KR102533108B1 - 특허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특허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특허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특허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108B1
KR102533108B1 KR1020210069032A KR20210069032A KR102533108B1 KR 102533108 B1 KR102533108 B1 KR 102533108B1 KR 1020210069032 A KR1020210069032 A KR 1020210069032A KR 20210069032 A KR20210069032 A KR 20210069032A KR 102533108 B1 KR102533108 B1 KR 102533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es
authentication
access
management server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861A (ko
Inventor
황차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피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피나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피나우
Priority to KR102021006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1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06Q50/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eth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식재산권을 쉬운 방법으로 관리하고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고객의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가입 고객의 특허에 대한 관리를 처리하는 특허 관리서버로서,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기반으로 부정 접속의 가능성의 단계화하여,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낮은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화이트 리스트와,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한 IP 주소들보다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높은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그레이 리스트와, 상기 그레이 리스트에 속한 IP 주소들보다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높은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블랙 리스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상기 특허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시도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되,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별도의 추가 인증을 하지 않고 상기 웹사이트로의 접속을 허가하는 제1 레벨 인증, 또는 상기 화이트 리스트, 그레이 리스트, 블랙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2 레벨 인증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접속 인증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특허 출원 전의 발명 신고서를 제1 등급 문서로, 특허 출원 후 미공개된 미공개 특허를 제2 등급 문서로, 공개 특허 및 등록 특허를 제3 등급 문서로, 복수개의 열람 등급으로 분류하는 문서 관리모듈; 상기 문서 관리모듈에 의해 분류된 열람 등급에 따라 인증 요청을 수행하되, 상기 제1 등급 및 제2 등급 문서에 문서 열람을 위한 열람 비밀번호가 설정 또는 변경되면, 미리 설정된 관계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비밀번호가 자동 전송되도록 하는 열람 인증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특허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특허 관리시스템 {Patent management server and paten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it}
본 발명은 지식재산권을 쉬운 방법으로 관리하고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업 혁신의 핵심은 특허로 대표되는 지식재산권(이하,"지재권")에 많은 부분이 포함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지재권 관리 및 활용에 비혁신적이고 도움이 되지 않는 단순한 엑셀로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4위의 지재권 출원국가로 2020년 기준 약 54만건이 출원되었으며, 특히 중소기업의 특허 출원율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0.7% 증가하고 있지만 활용을 통해 기업에 도움이 된 사례는 거의 찾아 보기 힘들다.
일부 대기업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특허출원관리 시스템 및 특허분석 시스템은 특허 전문가들만 사용이 가능한 고가의 시스템이며, 특허 전문가를 보유할 여건이 어려운 중소기업에서는 고가의 시스템을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최근 20년간 지재권 출원 및 보유 기업은 약 27만여개社이나 지재권 관련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은 500개가 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무엇보다 기존의 지재권 관리시스템은 전문가를 위한 단순 특허 관리 및 단순 선행 특허 조사 업무에 초점이 맞춰 있어 중소기업에게 반드시 필요한 Cash Flow, 매출 증대 등 지재권을 활용하여 연계 할 수 없는 부분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또한, 중소기업들의 지재권은 내부관리 또는 특허사무소를 통해 관리하고 있으나, 실제 특허사무소에서 지재권 관리업무는 단순 관리업무에 국한되어 있을 뿐이다.
한편, 중소기업이 출원하고자 하는 특허에 대해 특허사무소와 지속적인 확인 및 점검 없이 특허사무소가 단순 출원업무를 함으로써, 기업이 필요로 하는 좋고 강한 특허를 만들어 내는데 한계가 있다. 더구나 특허의 활용 측면은 특허사무소의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관심이 없거나 관심이 일부 있더라도 정보가 없어 할 수 있는 역할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지재권에 비전문가인 중소기업 인력들도 기업혁신의 산물인 지재권을 가장 쉬운 방법으로 관리하고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 관리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000578호
본 발명은 지재권에 비전문가인 중소기업 인력들도 지식재산권을 쉬운 방법으로 관리하고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고객의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가입 고객의 특허에 대한 관리를 처리하는 특허 관리서버로서,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기반으로 부정 접속의 가능성의 단계화하여,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낮은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화이트 리스트와,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한 IP 주소들보다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높은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그레이 리스트와, 상기 그레이 리스트에 속한 IP 주소들보다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높은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블랙 리스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상기 특허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시도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되,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별도의 추가 인증을 하지 않고 상기 웹사이트로의 접속을 허가하는 제1 레벨 인증, 또는 상기 화이트 리스트, 그레이 리스트, 블랙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2 레벨 인증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접속 인증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특허 출원 전의 발명 신고서를 제1 등급 문서로, 특허 출원 후 미공개된 미공개 특허를 제2 등급 문서로, 공개 특허 및 등록 특허를 제3 등급 문서로, 복수개의 열람 등급으로 분류하는 문서 관리모듈; 상기 문서 관리모듈에 의해 분류된 열람 등급에 따라 인증 요청을 수행하되, 상기 제1 등급 및 제2 등급 문서에 문서 열람을 위한 열람 비밀번호가 설정 또는 변경되면, 미리 설정된 관계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비밀번호가 자동 전송되도록 하는 열람 인증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을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며,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 이외의 IP 주소들은 상기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과 상기 가입 고객의 임직원 자택에 설치된 IP 주소들을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며,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과 상기 가입 고객의 임직원 자택에 설치된 IP 주소들 이외의 IP 주소들은 상기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을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며, 상기 가입 고객의 임직원 자택에 설치된 IP 주소들을 상기 그레이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며,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과 상기 가입 고객의 임직원 자택에 설치된 IP 주소들 이외의 IP 주소들은 상기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가입 고객의 경쟁사의 IP 주소들, 상기 가입 고객의 본점 또는 지점 등이 소재하지 않은 국내 타지역의 IP 주소들, 상기 가입 고객의 대리인이 아닌 특허 사무소의 IP 주소들, 및 해외 IP 주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IP 주소들은 상기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그레이 리스트에 속하는 IP 주소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중간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인 1단계의 인증을 추가로 수행하고, 인증된 경우 상기 웹사이트로의 접속 허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IP 주소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중간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인 1단계의 인증 및 최종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인 2단계의 인증을 순차로 수행하고, 순차로 인증된 경우 상기 웹사이트로의 접속 허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웹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누적 접속 인증 현황에 따라 리스트 업그레이드 또는 리스트 다운그레이드를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 IP 주소의 리스트 등급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열람 인증모듈은, 상기 제2 등급 문서에 대해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중간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인 1단계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경우 요청된 문서를 제공하며, 상기 제1 등급 문서에 대해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중간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인 1단계의 인증 및 최종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인 2단계의 인증을 순차로 수행하고, 순차로 인증된 경우 요청된 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등급 및 제2 등급 문서에 잠금 비밀번호가 설정되고, 잠금 비밀번호가 설정된 문서에 대해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최종 관리자 단말기로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된 경우 열람 요청된 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고객의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가입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입 처리부는, 상기 가입 고객의 보유 특허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목록화하여 제공하고, 상기 가입 고객의 특허 대리인의 이메일이 입력되면, 해당 이메일로 자동 난수코드로 생성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가입 요청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가입 고객의 보유 특허에 대해 기한관리와 비용관리를 수행하는 특허관리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허관리 처리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특허 정보와 제품 정보를 매칭하는 매칭모듈; 상기 매칭모듈에서 매칭된, 상기 특허 정보를 매칭 특허로 하고 상기 제품 정보를 매칭 제품으로 하며, 상기 매칭 특허의 상기 매칭 제품에 대한 기여도를 산출하는 기여도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기여도와 상기 매칭 특허의 연차료를 대비하여 상기 매칭 특허의 잔존 가치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가치 평가모듈; 상기 가치 평가모듈의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매칭 특허의 연차료 납부 여부를 결정하는 결과 처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시스템은, 상기 특허 관리서버; 및, 상기 특허 관리서버로 특허 정보와 제품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특허 관리서버에서 생성된 특허 관리정보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재권에 비전문가인 중소기업 인력들도 지식재산권을 쉬운 방법으로 관리하고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시스템의 특허 관리서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가입 처리부에 의해 수행되는 가입 절차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는 특허관리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기한관리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특허와 제품을 매칭시키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5는 제품과 특허가 매칭된 매칭 리스트가 예시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하나의 제품에 복수개의 특허가 매칭되거나 또는 하나의 특허에 복수개의 제품이 매칭되는 것이 예시된 도면이다.
도 19는 각국의 연차료가 예시된 표이다.
도 20 및 도 21은 매칭 특허의 잔존 가치 평가에 따른 결과 처리모듈에서의 등급 결정 과정을 보여 주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결과 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된 결과가 예시된 도면이다.
도 23은 IP 담보대출 요청을 위한 단계가 표시된 화면의 일 예이다.
도 24는 투자 요청을 위한 기재 사항이 표시된 화면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서버 및 특허 관리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시스템의 특허 관리서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허 관리”는 특허를 담보로 대출을 실행하는 IP 담보 대출, 특허를 이용하여 투자를 요청하는 투자 요청 등의 특허를 활용하는 행위와, 특허 출원을 위한 모든 선행작업과 특허 등록 후의 모든 관리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허”는 모든 종류의 지식재산권을 대표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즉, 지식재산권에는 특허권, 실용신안권, 상표권, 디자인권 등이 있으며, 이들을 통칭하여 특허로 표기한다. 물론, 저작권 등 다른 종류의 지식재산권을 배제하는 의미는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특허 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고객의 키 조작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웹 페이지 데이터 또는 기업 내부 시스템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특허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또는 내부에 구축된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등의 수단과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특허 관리서버(200)는 인터넷을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특허 관리서버(200)는 기업 내부에 구축된 시스템(인트라넷)과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지 않고,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특허 관리서버(200)는 경우에 따라 인트라넷과 인터넷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특허 관리를 원하는 고객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특허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허 정보를 입력 송신하여 특허 관리를 요청할 수 있으며, 특허 관리서버(200)에서 처리된 특허 관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통신부(110), 클라이언트 단말기 입력부(120), 클라이언트 단말기 제어부(130), 클라이언트 단말기 저장부(140)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특허 관리서버(200)와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 통신부(11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 입력부(120)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특허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특허 관리서버(200)에서 생성된 특허 관리정보를 수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 입력부(120)는 사용자인 고객으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클라이언트 단말기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 입력부(120)는, 키 보드나 키 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 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 제어부(1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 (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클라이언트 단말기 제어부(130)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제어부(130)는 특허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기 제어부(1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통신부(110), 클라이언트 단말기 입력부(120), 클라이언트 단말기 저장부(140)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 출력부(15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특허 관리서버(200)는 특허 관리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특허 관리서버(2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접속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관리가 요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허를 수신하고, 수신된 특허에 대한 요청된 관리 절차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특허 관리서버(200)는 제어부(210)와, 통신부(220)와, 입력부(230)와, 출력부(240)와, 저장부(250)와, 가입 처리부(260)와, 특허관리 처리부(270)와, 특허활용 처리부(280)와, 인증 처리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특허 관리서버(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 (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특허 관리서버(200)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특허 관리서버(20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제어부(210)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10)는 특허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210)는 통신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저장부(250), 가입 처리부(260), 특허관리 처리부(270), 특허활용 처리부(280), 인증 처리부(29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허 정보를 수신하고, 요청된 관리 절차를 수행한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입력부(2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고객이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특허 관리와 관련하여 고객이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필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230)는 특허 관리시스템 가입 절차, IP 담보 대출 요청, 투자 요청, 기한 관리, 비용 관리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입력 필드들을 제공한다.
출력부(24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고객이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특허 관리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저장부(250)는 특허 관리서버(2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고객이 입력한 특허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고객이 있는 경우, 저장부(250)는 고객 별로 특허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객이 특허와 함께 해당 특허에 매칭되는 제품 정보를 입력한 경우, 특허 및 제품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가입 처리부(26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한 고객의 가입 절차를 처리한다. 이에 대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가입 처리부에 의해 수행되는 가입 절차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허 관리시스템에서 고객은, 크게 기업/대학/연구소(이하, 기업이라 약칭함) 등 발명을 창출하는 고객과, 기업에서 창출된 발명을 권리화하는 특허 사무소와, 권리화된 특허 또는 권리화 진행 중인 발명에 대해 투자하는 투자자 등이 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기업 입장에서 가입 절차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은 특허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고객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기업을 고객 유형으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5와 같은 가입 페이지가 제공되며, 가입하고자 하는 고객이 기업의 명칭(법인명, 단체명)을 입력하면, 도 6과 같이 해당 기업이 기존에 출원한 특허의 자동 등록 여부를 질의하고, 고객이 이를 승인하면, 도 7과 같이 해당 기업이 기존에 출원한 특허를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허 관리시스템은 특허청 API를 통하여 해당 고객의 모든 특허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도 7과 같이 목록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음, 도 8과 같이 가입을 위한 나머지 정보를 입력하면, 도 9와 같은 관리자 설정 페이지가 제공되며, 고객은 관리자 설정 및 해당 기업에 필요한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고객은 먼저 관리자를 설정하고 설정한 관리자 아이디를 통해 경영진, 발명자 등의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특허 사무소 등 특허 대리인이 있는 경우,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정보는 추후에 관리자 설정 페이지에서 추가/변경 등이 가능하다.
한편, 특허 대리인의 이메일이 입력되면, 해당 이메일로 자동 난수코드로 생성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가입 요청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기업 가입 페이지에서 기업 고객은 해당 기업에서 생산/판매 등을 수행하는 제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기업 고객은 특허 및 제품 정보를 매칭하여 입력할 수 있다.
특허관리 처리부(270)는 가입 고객의 특허에 대한 관리를 처리한다. 특허관리는 기한관리, 비용관리, 문서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허관리 처리부(270)에서 처리되는 기한관리 과정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는 특허관리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기한관리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기업 고객이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도 10과 같은 화면이 제공된다. 기업 고객은 제공된 화면에서, 보유 중인 특허에 대한 통계적인 정보, 예상 연차료 등을 시각적으로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고객이 기한관리를 선택하면, 도 11과 같이 보유 중인 특허에 대한 각종 기한 정보 목록이 제공된다. 고객이 기한알림 설정을 선택하면, 도 12와 같은 기한알림 설정 화면이 제공되고, 이를 통해 고객은 기한알림을 설정한다. 도 13과 같이 설정한 기한알림은 미확인 이벤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특허관리 처리부(270)에서 처리되는 비용관리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비용은 특허출원에 따른 제반 비용, 특허등록 후의 연차료 비용, 기타 특허관리에 필요한 제반 비용을 포함한다.
특허출원 및 특허관리에 대한 비용은 주로 청구항 수에 따라 결정되는 일시적인 비용이며, 비용 납부 시기, 비용 총액 등을 산출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
특허등록 후의 연차료 비용은 청구항 수에 따라 결정되는 비용임은 동일하나, 연차료 납부 시기가 주기적으로 도래하는 주기적인 비용이다. 특히, 연차료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는 비용이므로, 연차료를 납부하여 유지할 지에 대한 결정은 기업 고객에게 중요한 사항이나, 실질적으로 중소 기업에는 특허 전담 인력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특허 전담 인력이 있다하더라도 다른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 연차료 납부 검토의 경험 부족, 제품과 관련하여 해당 특허의 실질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적절한 수단의 미비 등으로 인해, 연차료 납부 여부에 대한 결정을 합리적으로 하지 못하고, 일괄적으로 연차료를 납부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다량의 특허에 대한 연차료 납부를 검토해야하는 경우, 검토 대상 특허의 실질적인 가치를 평가하지는 못하여, 제품과의 관련성이 없어서 등록 유지의 필요성이 없는 특허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허 관리시스템은 연차료 납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산출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4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연차료 비용 관리의 측면에서, 특허관리 처리부(270)는 매칭모듈(271), 기여도 산출모듈(272), 가치 평가모듈(273), 결과 처리모듈(27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고객은 기업 가입 페이지에서 고객이 취급(판매, 유통 등)하는 제품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 참조) 또한, 고객은 제품 관련 매출액 및 관련 상세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제품 및 특허 정보는 가입시부터도 입력하도록 하며, 가입 후에도 수시로 입력이 가능하다. 누락된 정보나 추가된 사항 또는 변경된 사항을 언제든지 추가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으로 수집된 특허 정보에 대하여 제품을 매칭시키도록 할 수 있다. 특허와 제품의 매칭은 가입시에 바로 할 수도 있고, 추후에 추가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4는 특허와 제품을 매칭시키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7의 특허 목록에서 고객이 특정 특허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도 14와 같은 특허 상세 페이지가 특허청 API를 받아온 데이터를 통해서 자동으로 입력된다. 특허 상세 페이지에는, 해당 특허와 매칭되는 제품을 입력하는 제품명 필드와 관련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는 프로젝트명 필드가 제공된다. 또한, 해당 특허의 해당 제품에의 실제 적용 여부를 입력하는 적용유무 필드가 제공된다. 적용유무 필드에는, 예를 들어 "적용중/시제품개발중/미적용" 등을 입력할 수 있다. 고객은 원하는 필드를 선택하여 해당 특허 관련, 프로젝트명, 매칭 제품명, 적용유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허 상세 페이지의 입력 사항(또는 수정 사항)은 전체 특허 목록에도 적용된다.
한편, 하나의 특허에 대해, 여러 건의 패밀리 특허가 있는 경우, 그 중 하나에 대하여서만 제품명이나, 제품에의 적용상태를 변경하면 전체 패밀리 특허에 대하여 동시에 변경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예를 들어, 패밀리 특허에 따라 청구항이 다른 경우 등에는 선택에 따라서 동시에 적용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매칭모듈(271)은 수신된 특허 정보와 저장부(250)에 저장된 제품 정보를 매칭한다. 이때, 고객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특허 정보와 해당 특허 정보와 매칭되는 제품 정보를 입력하여 송신할 수 있고, 매칭모듈(271)은 저장부(250)에 저장된 제품 정보와 고객이 송신한 특허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매칭모듈(271)에 의해 특정 제품과 매칭된 특허 정보를 매칭 특허라 하고, 매칭 특허와 매칭된 특정 제품을 매칭 제품이라고도 한다.
또는, 고객이 특허 정보만을 송신한 경우, 매칭모듈(271)은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해당 특허 정보를 특정 제품과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매칭모듈(271)은 제품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와 특허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특히, 청구범위에 기재된 텍스트)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를 기반으로 제품 정보와 특허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품 정보와 특허 정보를 매칭하여 매칭 특허 후보를 선정할 수 있다.
매칭모듈(271)에 의해 자동으로 매칭 특허 후보가 선정되면, 특허 관리서버는 이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승인 여부를 요청할 수 있다. 회신 메시지를 통해 고객이 승인한 경우, 매칭 특허로 확정될 수 있고, 고객이 승인하지 않은 경우, 매칭모듈(271)은 유사도가 차순위로 높은 제품 정보와 특허 정보를 매칭하여 매칭 특허 후보로 선정하고, 재차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승인 여부를 요청할 수 있다. 매칭모듈(271)은 고객이 승인할 때까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매칭 특허를 선정할 수 있다.
도 15는 매칭모듈(271)에 의해 제품 정보와 특허 정보가 매칭된 매칭 리스트가 예시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품 정보(제품/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특허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제품에의 실제 적용 여부(적용 유무), 매출액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매출액은 추후 예상되는 매출액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허 관리서버는 매칭 리스트를 보기 좋게 시각화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공하며, 매출액, 적용 유무 등의 주요 정보가 한 눈에 보이고, 때에 따라 손쉽게 입력 및 수정이 가능이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기여도 산출모듈(272)은 매칭 제품에 대한 매칭 특허의 기술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기술 기여도는 매칭되는 매칭 제품에서의 매칭 특허의 기술 지분율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기술 기여도는 매칭 제품과 매칭 특허의 기술적 유사도로 정의될 수 있다. 기술적 유사도는 매칭 제품의 구성 부분과 매칭 특허의 청구항 구성 요소를 대비하여 산출할 수 있다.
매칭 특허 및 매칭 제품은 반드시 일대일 관계가 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6 내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품에 복수개의 특허가 매칭되거나 또는 하나의 특허에 복수개의 제품이 매칭될 수 있다.
복수개의 매칭 특허는 각각 상이한 기술 기여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품에 매칭되는 복수개의 매칭 특허의 기술 기여도 합은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이 1 이하가 될 수 있다. 기술 기여도의 합의 최대값은 개별 실시예에 따른 기여도 산정 방식이나 단위에 따라서 1 또는 100이 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5나 10과 같은 수치가 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하나의 제품에 매칭되는 복수개의 개별 매칭 특허들의 기술적 유사도가 모두 매우 높다고 하더라도, 상기 복수개의 개별 매칭 특허들의 기술적 유사도의 합은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기술 기여도의 합의 최대값을 초과할 수는 없다.
하지만, 도 18과 같이 1개의 특허가 복수 개의 제품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특허의 각각의 제품에 대한 기술 기여도가 모두 높은 수준이라면, 상기 특허의 각각의 제품에 대한 기술 기여도의 합은 1개의 제품에 대한 복수 개의 특허의 기술 기여도 합의 최대값보다도 클 수 있다.
기여도 산출모듈(272)은 매칭 제품에 대한 매칭 특허의 매출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매출 기여도는 매칭되는 매칭 제품에서의 매칭 특허의 매출 지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 기여도의 합의 최대값이 1로 설정된 경우, 매출 기여도는 아래 식 (1)과 같이, 매칭 제품의 단위 기간(예를 들어, 1년) 전체 매출액에 전술한 기술 기여도(기술 지분율)를 승산(乘算)하여 산출할 수 있다. 매칭 제품의 매출액은 고객으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고객의 매출 관련 전산 자료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다.
식 (1) : 매출 기여도 = 전체 매출액 X 기술 기여도
한편, 기술 기여도 합의 최대값이 100으로 설정된 경우, 매출 기여도는 위와 같이 전체 매출액에 전술한 기술 기여도를 승산하고, 다시 기술 기여도의 합의 최대값인 100으로 나누어서 산출할 수 있다.
하나의 제품에 매칭되는 복수개의 매칭 특허의 매출 기여도의 합은 상기 하나의 제품의 매출액과 같거나 그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예의 경우는 하나의 제품에 매칭되는 복수개의 매칭 특허의 매출 기여도의 합을 상기 제품의 매출액과 같은 단위가 되도록 직접적으로 연결시킨 경우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매출 기여도와 매출액의 단위는 같은 범위가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술 기여도의 합의 최대값이 100 이라고 한다면, 매출 기여도는 위와 같이 전체 매출액에 전술한 기술 기여도를 승산한 것으로 산출 과정을 마무리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또 다른 일정 범위의 수치가 되도록 단위를 환산하여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기술 기여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매출 기여도가 그에 비례하여 항상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상 의약품과 액상 의약품과 같이, 고상 의약품이 먼저 출시되고 이에 따른 특허가 먼저 확보된 후, 액상 의약품이 나중에 출시되고 이에 따른 특허가 나중에 확보된 상태에서 액상 의약품의 매출이 큰 경우, 동일 성분을 가지는 의약품에 대해 기술 기여도는 고상 의약품이 더 높을 수 있으나, 매출 기여도는 액상 의약품이 더 높게 산출될 수 있다. (예, 고상 우황 청심환과 액상 우황 청심환) 하지만 이 경우에도 액상 의약품으로의 전환에 대하여 기술 기여도 자체를 높이 평가하여, 기술 기여도와 매출 기여도를 비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매출 기여도를 산출하는 매출액은, 시장성과 장래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한 기대 매출액을 추가로 반영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제품의 매출액이 동일한 경우이거나 어느 하나의 제품 매출액이 다른 제품의 매출액보다 작은 경우라도 기대 매출액은 더 크게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시장성은 해당 제품의 국내 시장 규모 또는 국제 시장 규모이고, 장래성은 시장성의 미래 개념으로 해당 제품의 향후 예측 시장 규모이다. 매출액이 동일한 경우, 시장성 및/또는 장래성이 큰 제품의 매출 기여도가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매출액이 작은 경우라도 시장성 및/또는 장래성이 크면 해당 제품의 매출 기여도가 높게 산출될 수 있다.
특정 제품의 시장성과 장래성은 고객에 의해 제공되어 입력 저장되거나, 또는 포털 사이트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또는 온라인 정보를 순회하며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용 웹 로봇 에이전트(Web Robot Agent)를 이용하여 수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여도 산출모듈(272)은 매칭 제품에 대한 매칭 특허의 기술 기여도, 매칭 특허의 매출 기여도를 기반으로 전체적인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기술 기여도는 매칭 제품과 매칭 특허의 기술적 유사도로 산출될 수 있고, 매출 기여도는 매칭 제품의 기준 기간 단위 전체 매출액을 기준으로 산출하되, 선택적으로 시장성 및/또는 장래성을 반영한 기대 매출액을 추가로 반영하여 산출될 수 있다.
가치 평가모듈(273)은 기여도 산출모듈(272)에서 산출된 매칭 특허의 기여도를 기반으로 매칭 특허의 잔존 가치를 평가한다. 가치 평가모듈(273)은 매칭 특허의 기여도와 해당 매칭 특허의 연차료를 대비하여 잔존 가치를 정량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매칭 특허의 잔존 가치는, 아래 식 (2)와 같이, 기여도와 평가 지수를 승산(乘算)하여 산출될 수 있다.
식 (2) : 잔존 가치 = 기여도 X 평가 지수
일 실시예에서, 평가 지수는 특허 등록 연차에 따른 연차료 금액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연차료 금액은 아래 식 (3)과 같이 최소 연차료를 분자로 하고 해당 연도의 연차료를 분모로 계산하는 연차 지수로 환산될 수 있다.
식 (3) : 연차 지수 = (최소 연차료)/(해당 연도의 연차료)
연차료 금액이 증가하는 연차 등록 년수가 되면 연차 지수는 감소된다. 예를 들어, 4 ~ 6년차 연차 등록료가 최저이므로 이때의 연차 지수를 제1 지수로 하고, 이후 연차 등록료가 증가하는 7 ~ 9년차의 연차 지수는 제1 지수 보다 작은 제2 지수로 하고, 10 ~ 12년차의 연차 지수는 제2 지수 보다 작은 제3 지수로 하고, 13 ~ 15년차의 연차 지수는 제3 지수 보다 작은 제4 지수로 하고, 16 ~ 25년차의 연차 지수는 가장 작은 제5 지수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허권의 잔존 존속 기간이 작을수록 잔존 가치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수는 최소 연차료이므로, 4 ~ 6년차의 연차 지수는 1이 된다. 상기에서 연도별 연차 등록료에 따른 연차 지수는 한국특허청을 예시로 한 것이며, 연차 지수는 국가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연차료는 감면 여부가 반영된 연차료를 의미한다. 즉, 감면이 없는 일반 연차료와 감면 대상이 되는 중소기업, 직무발명보상우수기업, 지식재산경영인증을 받은 기업의 감면 연차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한국이 아닌 다른 국가 특허청의 연차료라고 하더라도, 여전히 연차 지수는 최소 연차료를 분자로 하고 해당 연도의 연차료를 분모로 계산하는 연차지수로 환산될 수 있다. 이 때, 한국과 같이 특허 등록 유지를 위하여 매년 연차료를 내야하는 경우가 아닌 국가의 경우, 예를 들어 매 n년마다 n년치의 연차료를 일시에 납부하는 경우, 일시에 납부하는 n년치의 연차료를 n으로 나누어서 1년치 연차료 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1년치 연차료 금액을 상기 식 (3)의 해당 연도의 연차료 또는 최소 연차료에 대입하여 연차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여러가지 평가 가중치를 추가 반영하여 평가 지수를 가감함으로써 더 정확한 잔존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가중치는, 해외 가중치, 인증 가중치, 다중 매칭 가중치 등이 될 수 있다.
해외 가중치는 매칭 특허의 해외 패밀리 특허가 있는 경우 추가되는 가중치로서, 해외 패밀리 특허 수가 많을수록 해외 가중치는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해당 제품의 주요 시장 국가의 순위를 정하고, 시장 국가 별로 해외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외 주요 시장 국가가 미국, 유럽, 중국 순일 경우, 미국 패밀리 특허에 대해 제1 해외 가중치, 유럽 패밀리 특허에 대해 제1 해외 가중치 보다 작은 제2 해외 가중치, 중국 패밀리 특허에 대해 가장 작은 제3 해외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해외 가중치는 특정 제품의 전체 매출액과 각 국가별 매출액의 비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품의 전체 매출액이 1억원이고, 상기 제품의 미국 매출액이 3천만원이면 해외 가중치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해외가중치 = (미국 매출액)/(전체 매출액) = (3천만원)/(1억원) = 0.3
인증 가중치는, 일 실시예에서 매칭 제품의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외 정부 또는 공공기관에 의해 발급된 인증 관련 증명서가 있는 경우, 긍정 가중치(+a)를 부여하고, 인증 관련 증명서가 소멸된 경우, 부정 가중치(-a)를 부여함으로써 기술 인증 유효성을 반영하여 매칭 특허의 정확한 잔존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긍정 가중치(+a)와 부정 가중치(-a)는 실시예에 따라 평가 지수에서 일정 수치를 더하거나 빼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평가 지수에 일정 수치를 곱하거나 나누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사칙연산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방정식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하나의 특허는 복수개의 제품에 매칭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특허는 복수개의 제품과 매칭될 수 있고, 이러한 다중 매칭 특허는 복수개의 제품 각각에 대해 공통의 매칭 특허로 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다중 매칭 특허는 복수개의 제품 각각에 대해 상이한 기여도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다중 매칭 특허와 매칭되는 매칭 제품이 복수 개이므로, 하나의 매칭 제품을 기준으로 잔존 가치를 평가한 결과 잔존 가치가 낮아서 후술하는 결과 처리모듈(274)에 의해 연차료 불납 결정되어 특허권이 소멸되면 다른 매칭 제품에 불측의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품 각각에 대해 공통의 매칭되는 다중 매칭 특허에는 다중 매칭 가중치를 부여하여 특허권 소멸에 의한 다중 매칭 제품에 생길 수 있는 불측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평가 지수를 산정함에 있어서 해당 연도의 연차료 자체는 해당 연도의 연차료로 고정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상기의 평가 가중치들(해외 가중치, 인증 가중치, 다중 매칭 가중치 등)을 연차료에 반영하여 해당 연도의 연차료가 보정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보정되는 연차료를 보정 연차료라 한다. 보정 연차료는 실제로 특허청에 납부하는 연차료가 보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 관리시스템에서 잔존 가치의 정량 평가를 위해 수행되는 가상의 연차료 할인 또는 연차료 할증을 의미한다. 즉, 전술한 식 (3)에서 "해당 연도의 연차료"가 평가 가중치들에 의해 가감되도록 하여 해당 특허의 잔존 가치의 정량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외 가중치에 의한 할인율이 20%인 경우, 연차료에 대하여 보정하여 실제 연차료에서 20%를 뺀 (연차료 x 0.8)을 보정 연차료로 할 수 있다.
해외 가중치에 의한 할인율은, 예를 들어, 특정 제품의 전체 매출액과 각 국가별 매출액의 비로 나타날 수 있다. 즉, 특정 제품의 전체 매출액이 1억원이고, 상기 제품의 미국 매출액이 3천만원이면 해외 가중치 할인율은 (미국 매출액)/(전체 매출액) = (3천만원)/(1억원) = 0.3 = 3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치 평가모듈(273)은 원칙적으로 기여도와 평가 지수를 이용하여 매칭 특허의 잔존 가치를 평가하되, 평가 지수에 평가 가중치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가치 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 처리모듈(274)은 가치 평가모듈(273)의 정량화된 평가 결과를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등급에 따라 매칭 특허의 연차료 납부 여부를 결정한다. 결과 처리모듈(274)에서 결정하는 복수의 등급은, 예를 들어, 연차료 납부 등급(이하, A등급), 청구항 감축 등급(이하, B등급), 판단 유보 등급(이하, C등급), 연차료 불납 등급(이하, F등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 처리모듈(274)에서의 복수의 등급 구분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고객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특허 관리서버(200)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샘플들 중에서 고객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A등급은, 가치 평가모듈(273)의 정량 평가 제1 구간으로, 잔존 가치가 높아서 연차료를 모두 납부하는 등급이다.
B등급은, 가치 평가모듈(273)의 정량 평가 제2 구간으로, A등급인 제1 구간 보다는 잔존 가치가 낮으나, 특허 유지의 필요성이 있어서 연차료의 일부를 납부하는 등급으로, 등록된 청구항 중 일부의 청구항을 감축하여 연차료를 절감하는 등급이다. 이때, 청구항의 감축 순위는 후순위 종속항에서 선순위 종속항 순으로, 방법 발명 청구항을 선순위로 감축하고 물건 발명 청구항을 후순위로 감축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선택에 따라 물건 발명 청구항을 선순위로 감축하고 방법 발명 청구항을 후순위로 감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등급에 대한 처리는 고객이 원하는 처리 강도에 따라서 더욱 유연하게 설정하여 더 많은 등록 특허에 대하여 연차료를 납부하도록 하거나, 더욱 가치 있는 특허에 대하여서만 등록을 유지하도록 연차료를 납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C등급은, 가치 평가모듈(273)의 정량 평가 제3 구간으로, B등급인 제2 구간 보다 잔존 가치가 낮으며, 특허 유지의 필요성에 대해 판단을 유보하는 등급이다. C등급의 매칭 특허에 대해서는 결과 처리모듈(274)가 직접 판단하지 않고, 고객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그 결과를 통지하면서 연차료 일부 납부 또는 연차료 불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응답 메시지의 선택 사항에 따라 연차료 일부 납부 또는 연차료 불납 처리한다.
한편, 가치 평가모듈(273)의 정량 평가 결과, A등급 또는 B등급이 결정된 경우라도, 시장성 또는 장래성이 최소 기준치 미만인 경우, C등급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 특허가 원천특허 급이어서 기술 기여도가 매우 높아도 시장이 활성화(시장성)되지 않거나 활성 가능성(장래성)이 극히 낮은 경우, 잔존 가치가 높게 평가되어도 고객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기여도 산출모듈(272)에서 시장성 또는 장래성을 반영하여 기여도를 산출하므로,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거나 활성 가능성이 극히 낮으면 매출 기여도 점수가 낮게 산출되어 잔존 가치가 낮은 것으로 평가받게 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 기여도가 높아서 필요 이상으로 잔존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등급은, 가치 평가모듈(273)의 정량 평가 제4 구간으로, 잔존 가치가 특허 유지를 위한 최소 기준치 보다 낮은 것으로 해당 매칭 특허에 대한 연차료를 납부하지 않고 소멸시키는 등급이다.
결과 처리모듈(274)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면, 특허 관리서버(200)는 특허청 사이트에 접속하여 결정된 등급에 따른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특허권자의 권리 보호 및 보다 확실한 의사 결정의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선택에 따라, 특허 관리서버(200)는 고객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결정된 등급에 따른 연차료 납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응답 메시지의 선택 사항에 따라 연차료 납부 여부를 처리할 수 있다.
가치 평가모듈(273)와 결과 처리모듈(274)의 동작 과정을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각국의 연차료(등록료 등)를 예시하고 있다. 도 19의 (a)는 한국등록 특허의 연도별 연차 등록료를 보여주는 표이고, 도 19의 (b)는 미국등록 특허의 연도별 연차 등록료를 보여주는 표이며, 도 19의 (c)는 중국등록 특허의 연도별 연차 등록료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20은 가치 평가모듈(273)에서의 매칭 특허의 잔존 가치 평가에 따른 결과 처리모듈(274)에서의 등급 결정 과정을 보여 주는 그래프이다.
연차료는 연차료 라인(L1)으로 표시되며, 가치 평가모듈(273)에서 평가된 매칭 특허의 잔존 가치 평가는 잔존 가치 라인(L2)으로 표시된다. 등급 결정을 위해, 연차료 라인(L1)과 잔존 가치 라인(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라인은 스케일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결과 처리모듈(274)은 연차료 납부 시기가 도래하면, 연차료 라인(L1)과 잔존 가치 라인(L2)의 대소를 비교하여 매칭 특허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 처리모듈(274)은 해당 연도의 연차료 라인(L1)과 잔존 가치 라인(L2)의 차이(S1)가 제1 기준치 보다 큰 경우, A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도 20의 부호 A 영역)
결과 처리모듈(274)은 해당 연도의 연차료 라인(L1)과 잔존 가치 라인(L2)의 차이(S2)가 제1 기준치 ~ 제2 기준치 사이인 경우, B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의 부호 B 영역)
결과 처리모듈(274)은 해당 연도의 연차료 라인(L1)과 잔존 가치 라인(L2)의 차이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은 경우, C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의 부호 C 영역)
결과 처리모듈(274)은 해당 연도의 연차료 라인(L1)이 잔존 가치 라인(L2) 보다 큰 경우, F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의 부호 F 영역)
A등급과 B등급을 결정하는 제1 기준치와 제2 기준치는 고객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매칭 특허의 잔존 가치는 반드시 A -> B -> C -> F등급으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1과 같이 잔존 가치 라인(L2)은 곡선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매칭 특허의 가치는 존속 기간 만료일이 가까워질수록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잔존 가치 등급은 위 실시예에서 4개 등급으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4개의 등급으로 나누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3개, 혹은 5개 등의 임의의 개수의 등급으로 나누어서 결정할 수 있다.
결과 처리모듈(274)에 의해 처리된 결과는, 도 22와 같이 연차료 지급리스트 형태로 고객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2에서는 잔존 가치 등급이 3개의 등급으로 나누어지는 경우의 처리 결과가 "Signal" 칼럼에 색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22의 예시에서, 각 "Signal"은 예를 들어, 녹색은 연차료를 모두 납부하도록 하는 등급을 표시하고, 주황색은 연차료 납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는 등급을 표시하며, 빨간색은 연차료를 납부하지 않도록 하는 등급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색상에 의한 표시에 의하여, 고객은 직관적으로 특허의 잔존 가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차료 납부 여부를 처리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이 특허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련의 산출 과정을 거친 결과에 따라 연차료 납부 여부를 처리함으로써 특허권자로 하여금 특허 연차료 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게 할 수 있다.
다음, 특허관리 처리부(270)에서 처리되는 문서관리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문서는 특허에 관한 문서로, 특허 출원 전의 발명 신고서, 특허 출원 후 미공개된 미공개 특허, 특허 출원 후 공개된 공개 특허, 등록 특허 등 모든 종류의 특허 관련 문서를 포함한다. 발명 신고서는 명칭의 동일 여부를 불문하고, 특허 출원을 진행하기 위해 작성된 모든 서류와, 특허 출원을 진행하였으나 기타의 이유로 출원 보류된 모든 서류를 의미한다.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를 수신한다. 문서 관리의 측면에서, 특허관리 처리부(270)는 문서 관리모듈(275)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은 관리서버(200)로 특허 문서를 전송할 때, 노우하우 여부, 미공개 여부, 공개 여부, 등록 여부에 대해 체크하여 전송할 수 있다. 고객이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체크하여 관리서버(200)로 특허 문서를 전송하면, 문서 관리모듈(275)은 체크된 항목에 따라 열람 등급을 분류한다.
예를 들어, 문서 관리모듈(275)은 비밀 유지 필요성에 따라 노우하우 대상 발명 신고서를 제1 등급으로 분류하고, 노우하우 대상이 아닌 특허 출원 전의 발명 신고서를 제2 등급으로 분류하고, 특허 출원 후 미공개된 특허 출원을 제3 등급으로 분류하며, 공개 특허와 등록 특허를 제4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만약, 고객이 별도로 체크하지 않고 특허 문서를 전송한 경우, 문서 관리모듈(275)은 해당 특허 문서의 출원 여부, 공개 여부에 따라 열람 등급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서에 출원번호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특허 출원 전의 발명 신고서로 간주하여 제2 등급으로 분류하고, 특허 문서에 출원번호는 기재되어 있으나 공개번호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미공개 특허로 간주하여 제3 등급으로 분류하고, 특허 문서에 공개번호 또는 등록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면 공개 특허로 간주하여 제4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출원번호만 기재된 경우라도, 출원일로부터 1년 6개월이 경과된 경우라면 공개 특허로 간주하여 제4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 제4 등급으로 분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등급을 더 추가하거나,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분류된 등급이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추후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우하우 대상이 아니였으나, 후에 노우하우 대상으로 결정된 경우, 고객은 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열람 등급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문서 관리모듈(275)은 후술하는 인증 처리부(290)와 연계하여, 인증 처리부(290)의 인증 결과에 따라 문서 열람 요청자에 대해 문서 열람 또는 문서 다운로드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특허활용 처리부(280)는 IP 담보대출 요청, 투자 요청, 오픈 마켓 처리를 위한 각종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서, 고객이 IP 담보대출을 선택하면, 도 23과 같은 IP 담보대출 요청을 위한 단계가 표시된 화면이 제공된다. 고객은 제공된 화면에서 IP 담보대출을 위한 step 01 ~ step 06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IP 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0에서, 고객이 투자 요청(투자자에게 특허 소개하기)을 선택하면, 도 24와 같이 투자 요청을 위한 기재 사항이 표시된 화면이 제공된다. 고객은 제공된 화면에서 필요 기재 사항을 기재하여 제출하면, 특허활용 처리부(280)는 투자자 고객에게 투자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서, 고객이 오픈 마켓(open market)을 선택하면, 고객이 자유롭게 보유 기술, 보유 특허 등을 거래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다.
한편, 기업 혁신의 핵심인 특허에 관한 문서가 의도치 않게 외부로 노출되면, 특허 등록 받지 못하게 되거나, 모방품의 출현으로 인해 막대한 손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 특허출원 또는 특허출원 전의 발명 신고서 또는 노우하우로 관리중인 문서에 대해서는 보다 엄격한 보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불순한 의도를 가진 제3 자(이하, “제3 자”라 함)의 웹사이트 로그인, 특허 문서 열람 또는 특허 문서 다운로드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특허 관리서버는 인증 처리부(290)를 포함한다.
인증 처리부(290)는 접속 인증모듈(291)과 열람 인증모듈(29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인증모듈(291)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설정에 따라 2 레벨의 인증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레벨의 인증은 로그인 정보를 이용한 인증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별도의 추가 인증을 하지 않고 특허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이하, 웹사이트라 함)의 접속을 허가한다. 제2 레벨의 인증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수행하는 인증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전술한 가입 절차 수행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이거나, 고객의 임직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이거나, 또는 임직원이 아닌 제3 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접속 인증모듈(291)은 기업 고객의 임직원이 아닌 제3 자가 로그인 정보를 탈취하여 웹사이트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레벨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속 인증모듈(291)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한다.
접속 인증모듈(291)은 화이트 리스트, 그레이 리스트, 블랙 리스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화이트 리스트는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매우 낮은 IP 주소들의 리스트이고, 블랙 리스트는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IP 주소들의 리스트이며, 그레이 리스트는 화이트 리스트와 블랙 리스트 중간 단계의 IP 주소들의 리스트이다.
예를 들어, 기업 고객의 경우, 해당 기업에 할당된 IP 주소들(이하, 기업 IP)이 화이트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에 따라 해당 기업의 임직원 자택에 설치된 IP 주소들(이하, 임직원 IP)도 추가적으로 화이트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기업 IP, 임직원 IP 이외에 특정될 수 있는 경우의 IP 주소들은 잠재적으로 블랙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특정될 수 있는 경우의 IP 주소들은, 예를 들어, 경쟁사의 IP 주소들, 기업 고객의 본점 또는 지점 등이 소재하지 않은 국내 타지역의 IP 주소들, 대리인이 아닌 특허 사무소의 IP 주소들, 해외 IP 주소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접속 인증모듈(291)은 초기에는 명확히 특정할 수 있는 기업 IP로만 화이트 리스트를 구성하며, 임직원 IP가 등록되면 그레이 리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외, 별도의 블랙 리스트를 구성하지 않고, 화이트 리스트 또는 그레이 리스트에 속하지 않으면 모두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접속 인증모듈(291)은 화이트 리스트에 속하는 IP 주소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로그인 정보(로그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별도의 추가 인증을 하지 않고 웹사이트로의 접속 허가 처리를 수행한다.
접속 인증모듈(291)은 그레이 리스트에 속하는 IP 주소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1단계의 인증을 추가로 수행하고, 인증된 경우 웹사이트로의 접속 허가 처리를 수행한다.
접속 인증모듈(291)은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IP 주소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2단계의 인증을 추가로 수행하고, 인증된 경우 웹사이트로의 접속 허가 처리를 수행한다.
1단계 인증은, 중간 관리자로 등록된 단말로부터의 승인(이하, 중간 관리자 승인)을 의미하고, 2단계 인증은 1단계 인증 이후에 추가로 최종 관리자로 등록된 단말로부터의 승인(이하, 최종 관리자 승인)을 의미한다.
여기서, 중간 관리자 승인은, 도 9에 예시된 기업 가입 페이지에서, 관리자로 등록된 자의 단말에 대한 정보(전화번호, 이메일 등)를 참조하여 해당 단말로 승인 여부를 묻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송부한 후, 이에 대한 회신으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최종 관리자 승인은 도 9에 예시된 기업 가입 페이지에서, 경영진으로 등록된 자의 단말에 대한 정보(전화번호, 이메일 등)를 참조하여 해당 단말로 승인 여부를 묻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송부한 후, 이에 대한 회신으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를 의미한다. 선택에 따라, 경영진은 대표자 1인으로 등록될 수 있다.
해킹, 협박, 공모 등의 임의의 사유로 어느 임직원의 로그인 정보를 취득한 제3 자의 단말이 갖는 IP 주소는, 해당 기업의 외부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것이므로 해당 기업의 IP가 아닐 것이기에, 중간 관리자 승인 및 최종 관리자 승인을 얻어야 접속할 수 있으므로, 불순한 의도를 가진 제3 자의 웹사이트 로그인을 방지할 수 있다.
설사, 제3 자가 임직원의 자택에서 임직원 IP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라도, 임직원 IP를 그레이 리스트에 등록하면, 1단계의 승인을 얻어야 접속할 수 있으므로, 제3 자의 웹사이트 로그인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화이트 리스트, 그레이 리스트, 블랙 리스트는 고정 불변의 것은 아니며, 누적 접속 인증 현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접속 인증모듈(291)은 리스트 업그레이드 또는 다운그레이드를 수행하여 특정 IP의 리스트 등급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IP를 갖는 단말이 기설정된 N1회로 2단계 인증을 성공한 경우, 접속 인증모듈(291)은 해당 단말을 그레이 리스트로 변경 등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레이 리스트에 속하는 IP를 갖는 단말이 기설정된 N2회로 1단계 인증을 성공한 경우, 접속 인증모듈(291)은 해당 단말을 화이트 리스트로 변경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이트 리스트에 속하는 IP를 갖는 단말이 기설정된 M1회로 로그인 정보 불일치시, 해당 단말을 그레이 리스트로 변경 등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레이 리스트에 속하는 IP를 갖는 단말이 기설정된 M2회로 1단계 인증을 실패한 경우, 접속 인증모듈(291)은 해당 단말을 블랙 리스트로 변경 등록할 수 있다. N1, N2, M1, M2는 모두 다른 수이거나 적어도 하나가 같은 수일 수 있으며,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업 고객의 지점이 국내 타지역 또는 해외에 신설된 경우(이경우, 별도의 IP 등록이 없으면 블랙 리스트로 처리됨)라도, 별도로 해당 지점의 IP를 등록하지 않아도, 웹사이트 접속 인증을 기설정된 회수로 누적 성공시킴에 따라 해당 지점의 IP는 자동적으로 그레이 리스트, 화이트 리스트로 업그레이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기등록된 본점 또는 지점이 국내 타지역 또는 해외로 이동한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반대로, 원래 기등록된 본점 또는 지점이였으나, 국내 타지역 또는 해외로 이동한 경우, 별도로 IP 변경 등록하지 않아도 웹사이트 접속 인증의 실패(로그인 정보 불일치)가 기설정된 회수로 누적 실패되면 기등록된 본점 또는 지점의 IP는 자동적으로 그레이 리스트, 블랙 리스트로 다운그레이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단기간 반복적인 로그인 시도(아이디 및 패스워드 해킹 시도)에 의한 로그인 정보 탈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업 내에서의 접속에 대해서는 별도의 추가 인증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상급 관리자(중간 관리자 및 최종 관리자)의 업무 수행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기업 외에서의 접속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추가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여 부정한 목적의 제3 자 접속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열람 인증모듈(292)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특허 문서에 대한 열람 요청 또는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면, 문서 관리모듈(275)에 의해 분류된 열람 등급에 따라 인증 요청을 수행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열람 요청 또는 다운로드 요청”은 “열람 요청”으로 한다.
문서 관리모듈(275)에 의해 제1 ~ 제4 등급으로 분류되는 상기의 예에서, 제4 등급인 공개/등록 특허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공개/등록 특허는 제한없이 제3자의 열람이 가능한 특허 문서이므로, 열람 인증모듈(292)은 별도의 인증 요청을 수행하지 않고 요청된 특허 문서를 제공한다.
열람 인증모듈(292)은 발명신고서/미공개 특허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이들은 제3자 열람이 불가능한 특허 문서이므로 별도의 인증 요청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되면 요청된 특허 문서를 제공한다.
열람 인증모듈(292)은 열람 등급에 따라 1단계 승인(중간 관리자 승인) 또는 2단계 승인(중간 관리자 승인 및 최종 관리자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중간 관리자 승인 및 최종 관리자 승인은 전술한 접속 인증모듈(291)에서의 승인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열람 요청된 특허 문서의 열람 등급이 제3 등급인 미공개 특허출원인 경우, 열람 인증모듈(292)은 중간 관리자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을 얻은 경우, 해당 특허 문서의 열람을 제공한다.
한편, 열람 요청된 특허 문서의 열람 등급이 제2 등급 이상인 경우, 열람 인증모듈(292)은 중간 관리자 승인 및 최종 관리자 승인을 순차적으로 요청하고, 순차적으로 승인을 얻은 경우, 해당 특허 문서의 열람을 제공한다.
따라서, 부정한 목적의 제3 자가 여하한 사유로 접속 인증모듈(291)의 인증을 통과하여, 기업의 기밀 문서(제1 ~ 제3 등급의 특허 문서, 미공개 특허 문서)를 열람하거나 다운로드하려는 시도를 하더라도, 해당 기밀 문서의 열람을 위해서는 열람 인증모듈(292)이 중간 관리자 승인 및/또는 최종 관리자 승인을 얻어야 열람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기업의 기밀 문서(제1 ~ 제3 등급의 특허 문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중간 관리자 또는 최종 관리자(바람직하게는 최종 관리자이며, 이하 '관리자'라 함)는 기업의 기밀 문서에 추가적인 보안 설정을 할 수 있다. 즉, 중간 관리자 또는 최종 관리자는 기밀 문서에 문서 열람을 위한 비밀번호를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열람 비밀번호는, 관리자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서 설정하여 특허 관리서버(200)로 전송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관리자가 특허 관리서버(200)에 접속한 상태에서 해당 특허 문서에 추가로 설정한 것일 수 있다. 설정된 열람 비밀번호는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관리자가 특허 관리서버(2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열람 비밀번호를 설정 또는 변경한 경우, 열람 인증모듈(292)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계자의 단말기로 설정/변경된 열람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관계자 단말기는, 예를 들어, 발명자로 등록된 IP 주소를 갖는 단말기, 특허 대리인으로 등록된 IP 주소를 갖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미공개 특허 문서에 대한 열람 비밀번호 자동 전송은, 중간 관리자 또는 최종 관리자 승인을 갈음할 수 있다. 즉, 특허 대리인 측에서 미공개 특허 문서를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 접속 인증 후 열람 신청시 열람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열람 인증모듈(292)은 관리자 승인을 받은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문서에 대한 열람/다운로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특정 미공개 특허 문서에 대한 보안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잠금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 설정을 할 수 있다. 열람 인증모듈(292)은 열람 비밀번호와는 달리, 잠금 비밀번호는 관계자 단말기로 자동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잠금 비밀번호가 설정된 특허 문서에 대해 열람 요청된 경우, 열람 인증모듈(292)은 최종 관리자 승인을 요청하고, 최종 관리자 승인을 얻은 경우, 해당 특허 문서의 열람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3 자의 로그인/문서 열람/문서 다운로드 차단을 위해 인증 처리부(290)에서의 인증 과정(보안)은 다단계로 진행될 수 있으며, 고객 기업은 기업 실정에 맞게 실시간으로 인증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등급(보안 등급)이 높을수록 원하는 정보로의 접근이 어렵고 담당자의 업무 처리가 지연될 수 있으므로, 접속 인증만 설정하거나, 또는 열람 인증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어느 하나의 인증만 설정하더라도 제3 자의 불법적인 접근에 대한 방어가 가능하다. 또한, 해당 기업의 독자적인 다른 인증 방법(예를 들어, OTP 인증)이 있다면, 해당 인증 방법을 추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인증 처리부(290)에 이에 대한 정보가 부가적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고객은 접속 인증모듈(291)에 의한 2단계 접속 인증, 열람 인증모듈(292)에 의한 관리자 승인, 열람 비밀번호 자동 전송, 잠금 비밀번호에 대한 관리자 승인에 대해 원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고객 측의 별도의 설정이 없는 경우, 인증/승인 단계를 자동으로 업그레이드 또는 다운 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클라이언트 단말기 200 : 특허 관리서버
210 : 제어부 220 : 통신부
230 : 입력부 240 : 출력부
250 : 저장부 260 : 가입 처리부
270 : 특허관리 처리부 280 : 특허활용 처리부
290 : 인증 처리부

Claims (13)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고객의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가입 고객의 특허에 대한 관리를 처리하는 특허 관리서버로서,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기반으로 부정 접속의 가능성의 단계화하여,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낮은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화이트 리스트와,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한 IP 주소들보다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높은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그레이 리스트와, 상기 그레이 리스트에 속한 IP 주소들보다 부정 접속의 가능성이 높은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블랙 리스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상기 특허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되,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하는 IP 주소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별도의 추가 인증을 하지 않고 웹사이트로의 접속 허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그레이 리스트에 속하는 IP 주소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중간 관리자로 등록된 단말로부터의 승인인 1단계 인증을 추가로 수행하여 인증된 경우 상기 웹사이트로의 접속 허가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IP 주소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시도된 경우,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1단계 인증 및 최종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인 2단계 인증을 순차로 수행하여 순차로 인증된 경우 상기 웹사이트로의 접속 허가 처리를 수행하는, 접속 인증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특허 출원 전의 발명 신고서를 제1 등급 문서로, 특허 출원 후 미공개된 미공개 특허를 제2 등급 문서로, 공개 특허 및 등록 특허를 제3 등급 문서로, 복수개의 열람 등급으로 분류하는 문서 관리모듈;
    상기 문서 관리모듈에 의해 분류된 열람 등급에 따라 인증 요청을 수행하되, 상기 제1 등급 및 제2 등급 문서에 문서 열람을 위한 열람 비밀번호가 상기 중간 관리자 또는 최종 관리자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되면, 미리 설정된 관계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비밀번호가 자동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관계자 단말기로의 상기 열람 비밀번호 자동 전송은 상기 중간 관리자 또는 최종 관리자의 승인으로 처리하는, 열람 인증모듈;
    을 포함하는 특허 관리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을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며,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 이외의 IP 주소들은 상기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는, 특허 관리서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과 상기 가입 고객의 임직원 자택에 설치된 IP 주소들을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며,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과 상기 가입 고객의 임직원 자택에 설치된 IP 주소들 이외의 IP 주소들은 상기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는, 특허 관리서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을 상기 화이트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며,
    상기 가입 고객의 임직원 자택에 설치된 IP 주소들을 상기 그레이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며,
    상기 가입 고객에 할당된 IP 주소들과 상기 가입 고객의 임직원 자택에 설치된 IP 주소들 이외의 IP 주소들은 상기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는, 특허 관리서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가입 고객의 경쟁사의 IP 주소들, 상기 가입 고객의 본점 또는 지점 등이 소재하지 않은 국내 타지역의 IP 주소들, 상기 가입 고객의 대리인이 아닌 특허 사무소의 IP 주소들, 및 해외 IP 주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IP 주소들은 상기 블랙 리스트에 속하는 것으로 관리하는, 특허 관리서버.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모듈은,
    상기 웹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누적 접속 인증 현황에 따라 리스트 업그레이드 또는 리스트 다운그레이드를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 IP 주소의 리스트 등급을 변경하는, 특허 관리서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람 인증모듈은,
    상기 제2 등급 문서에 대해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중간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인 1단계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경우 요청된 문서를 제공하며,
    상기 제1 등급 문서에 대해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중간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인 1단계의 인증 및 최종 관리자 단말기로부터의 승인인 2단계의 인증을 순차로 수행하고, 순차로 인증된 경우 요청된 문서를 제공하는, 특허 관리서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등급 및 제2 등급 문서에 잠금 비밀번호가 설정되고, 잠금 비밀번호가 설정된 문서에 대해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최종 관리자 단말기로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된 경우 열람 요청된 문서를 제공하는, 특허 관리서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고객의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가입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입 처리부는,
    상기 가입 고객의 보유 특허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목록화하여 제공하고,
    상기 가입 고객의 특허 대리인의 이메일이 입력되면, 해당 이메일로 자동 난수코드로 생성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가입 요청메일을 전송하는, 특허 관리서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입 고객의 보유 특허에 대해 기한관리와 비용관리를 수행하는 특허관리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허관리 처리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특허 정보와 제품 정보를 매칭하는 매칭모듈;
    상기 매칭모듈에서 매칭된, 상기 특허 정보를 매칭 특허로 하고 상기 제품 정보를 매칭 제품으로 하며, 상기 매칭 특허의 상기 매칭 제품에 대한 기여도를 산출하는 기여도 산출모듈;
    상기 산출된 기여도와 상기 매칭 특허의 연차료를 대비하여 상기 매칭 특허의 잔존 가치를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가치 평가모듈;
    상기 가치 평가모듈의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매칭 특허의 연차료 납부 여부를 결정하는 결과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특허 관리서버.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특허 관리서버; 및,
    상기 특허 관리서버로 특허 정보와 제품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특허 관리서버에서 생성된 특허 관리정보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를 포함하는 특허 관리 시스템.
KR1020210069032A 2021-05-28 2021-05-28 특허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특허 관리시스템 KR102533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32A KR102533108B1 (ko) 2021-05-28 2021-05-28 특허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특허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32A KR102533108B1 (ko) 2021-05-28 2021-05-28 특허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특허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61A KR20220160861A (ko) 2022-12-06
KR102533108B1 true KR102533108B1 (ko) 2023-05-16

Family

ID=8440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032A KR102533108B1 (ko) 2021-05-28 2021-05-28 특허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특허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1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215A (ja) * 2000-10-05 2002-04-19 Fujikura Ltd 特許管理システム
JP3946243B2 (ja) * 2005-03-23 2007-07-18 株式会社Ihc 認証システム
KR101097942B1 (ko) * 2010-03-16 2011-12-22 (주)이즈넷 그레이 리스트를 이용하여 조직내 컴퓨터 단말을 중앙 관리하는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 및 프로세스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78A (ko) 2018-06-25 2020-01-03 주식회사 한국지식재산경영평가원 특허 관리시스템
KR102169066B1 (ko) * 2019-01-02 2020-10-22 나이스평가정보 주식회사 기술정보 기반 금융리스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215A (ja) * 2000-10-05 2002-04-19 Fujikura Ltd 特許管理システム
JP3946243B2 (ja) * 2005-03-23 2007-07-18 株式会社Ihc 認証システム
KR101097942B1 (ko) * 2010-03-16 2011-12-22 (주)이즈넷 그레이 리스트를 이용하여 조직내 컴퓨터 단말을 중앙 관리하는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 및 프로세스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61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garwal et al. Factors influencing growth potential of e‐commerce in emerging economies: An institution‐based N‐OLI framework and research propositions
Papadopoulou et al. What is trust in e-government? A proposed typology
US20190156307A1 (en) Agent access portal to money transfer system
US115212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contract information on multiple blockchain ledgers
CN111417977A (zh) 管理专利风险的系统和方法
CN101208702A (zh) 计算机执行的认证和授权体系结构
Reinsberg Fully-automated liberalism? Blockchain technolog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n anarchic world
CN109074436A (zh) 在授权系统的存储器中授权规则的循环
KR101639024B1 (ko) 부동산 전속중개계약의 업무처리 방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6575397A (zh) 经由组织对云提供商伙伴关系的多云策略制定
CN110084048A (zh) 一种银行统一用户管理的实现方法
Milosevic et al. Supporting business contracts in open distributed systems
CN111275391A (zh) 在线式资产智能分发系统和方法
JP3622789B2 (ja) 汎用的組織内個人認証システム
Fedosov et al. Sharing physical objects using smart contracts
KR102533108B1 (ko) 특허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특허 관리시스템
Potgieter et al. Regulating cryptocurrencies: mapping economic objectives and technological feasibilities
KR20090089745A (ko) 진성 확인된 중개사의 부동산 거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564310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정보 인증, 관리, 운영 시스템 및방법
KR100926112B1 (ko) 진성 확인된 부동산 거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410712B2 (ja) 口座情報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14659B1 (ko) 프로젝트금융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Xu et al. BHDA-A Blockchain-Based Hierarchical Data Access Model for Financial Services
Griggs et al. Privatisation, the consensus algorithms of blockchains and Land titling in Australia: where are we now, and where are we going?
Bassan Digital Platforms and Blockchains: The Age of Participated Reg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