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085B1 -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및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 Google Patents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및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085B1
KR102533085B1 KR1020180131490A KR20180131490A KR102533085B1 KR 102533085 B1 KR102533085 B1 KR 102533085B1 KR 1020180131490 A KR1020180131490 A KR 1020180131490A KR 20180131490 A KR20180131490 A KR 20180131490A KR 102533085 B1 KR102533085 B1 KR 10253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isease
searching
loudness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883A (ko
Inventor
김근호
최우수
장준수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0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및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은, 오브젝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각 영역 마다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1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총합을,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및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GENERATING POSITION OF SOUND GENERATED BECAUSE OF INTERSTINAL DISEASE}
본 발명은 내장 질환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리(이하,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질환음의 발생 위치 탐색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1) 미국공개번호: 2013-0183660 (2013.07.18), "Apparatus for Disease Detection"
2) 일본공개번호: 2004-215968 (2004.08.05),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3) 일본공개번호: 2015-155975 (2015.08.27), "소리 신호 처리 장치 및 소리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위 혹은 장 등의 복부에 이상이 생길 경우, 꾸르륵과 같은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배에서 나는 소리를 크게 3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복명음, 장명음, 진수음 등이 있다.
치료를 위해서는 복부의 어느 부위에서 소리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에는 복부에서 소리가 가장 크게 발생된 부위를 트러블이 생긴 지점으로 진단하는 방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같은 내장기관 내에서도, 환자가 섭취한 여러 음식물 등으로 인해 내장기관을 이루는 매질은 서로 다를 수 있고, 매질의 차로 인해, 소리가 3차원 공간 상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감쇠되는 정도가 상이하게 되므로, 소리 크기가 큰 지점이 반드시 소리의 발생 위치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때문에, 질환의 소리 크기 만으로 소리 발생 위치를 추적하는 기존 방식으로는, 질환의 실제 발생 부위를 정확히 진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3차원 음파는 공간에 놓인 정음원에서 상하전후좌우로 전파해 가는 소리로서, 실제의 음원에서 3차원으로 방사되는 음파의 파동방정식을 유도하기는 매우 난해하다. 그러므로, 완전한 구체의 3차원 음파 방사의 이상적인 경우로 한정하여 파동방정식과 그 해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구좌표계(Spherical coordinate system)가 필요하다.
[수학식 1]
Figure 112018107631685-pat00001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8107631685-pat00002
는 라플라스 연산자(Laplacian operator)에 의해 수학식 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8107631685-pat00003
또한, 감쇠 상수가
Figure 112018107631685-pat00004
인 매질에서는, 진폭 감쇠가 일어나기 때문에 3차원 음파의 파동 함수는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Figure 112018107631685-pat00005
이처럼, 감쇠에 관한 수학식은, 지수의 곱셈이므로 선형 식으로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때문에 기존 음원의 매질 별 감쇠 수식을 이용하여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게 되면 계산양이 많고 복잡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질에 따른 균일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보다 간단히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장기관을 형상화한 3차원의 오브젝트로부터, 균일하면서도 최대로 질환음이 측정되는 영역을, 계층적이고 세분화된 방식으로 좁혀감으로써,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은, 오브젝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각 영역 마다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1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총합을,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오브젝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와,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각 영역 마다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1 영역을 선정하는 선정부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총합을,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장기관을 이루는 매질의 균일성을 고려하여, 내장기관에서 발생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보다 정확히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장기관을 형상화한 3차원의 오브젝트로부터, 계층적이고 세분화된 방식으로 질환음이 감쇠되는 정도가 균일한 영역을 찾고, 해당 영역 내에서 질환음이 최대인 지점을,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장기관의 질환으로 인해 발생되는 복명음이나 진수음과 같은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탐색하여, 질환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진단해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시스템 혹은 진단 시스템 등에서 매질에 무관하게 발생되는 소리(음원)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계산양이 많고 복잡한 종래의 음원의 매질 별 감쇠 수식 대신에, 계층적인 방식에 따라, 매질에 따른 균일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간단히 찾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에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계층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에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 (x, y)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에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 (x, y, z)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질환음이 최대로 측정되는 영역을 점진적으로 좁히면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추적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선정한 영역 내에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내장기관을 형상화한 3차원의 오브젝트를 n개(예, '16개')의 평면 혹은 입체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중에 질환으로 인한 소리('질환음')가 최대로 측정되는 하나의 영역을 다시 복수의 세부영역으로 분할하여, 점차적으로 질환음이 최대로 측정되는 영역을 좁혀 가는 방식으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탐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분할부(110), 측정부(120), 선정부(130), 비교부(140), 처리부(150) 및 메모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분할부(110)는 오브젝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일반적으로 같은 내장기관 내에서도 부분 별로 질환음의 종류나 크기, 길이 등 나타나는 양상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내장기관 표면을 일정한 면적으로 나눈 상태에서 최대 크기로 질환음이 발생하는 부분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내장기관의 어떤 위치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분할부(110)를 통해, 위 혹은 장과 같은 내장기관을 형상화한 3차원 입체도형(예컨대, '정육면체')을, 일정한 크기의 n개(예, 16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측정부(120)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각 영역 마다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분할부(110)는, 정육면체 형상의 오브젝트(200)를 동일한 크기의 평면 혹은 입체의 영역(R1 내지 Rn)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마이크 센서를 설치하여 질환음의 크기를 영역 별로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측정부(120)는 각 센서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질환음이 일정 길이 이상으로 측정되면, 측정된 질환음의 크기를, 센서 별로 메모리부(160)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크기는 질환음 측정 시 제거하려는 잡음의 정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20)는 센서 별로(영역 별로) 측정되는 질환음의 최대 크기 Max[R1, … Rn]를 메모리부(160)에 기록할 수 있다.
선정부(130)는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1 영역을 선정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선정부(130)는 16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오브젝트(200) 내에서,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된 제1 영역(R3)을 선정할 수 있다.
비교부(140)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총합(Sum)을,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인지 확인한다.
즉, 비교부(140)는 제1 영역(R3)에서 측정된 질환음의 크기로부터, 나머지 각 영역(R1, R2, R4, … Rn)에서 측정된 질환음의 크기를 각각 차감한 값들의 절대값을 합산하여, 상기 총합(Sum)을 계산할 수 있다.
비교부(140)는 상기 총합이, 정해진 임계치 보다 작은 값인지 확인 함으로써, 해당 제1 영역(R3)이 같은 매질로 이루어져 질환음을 감쇠시키는 정도가 균일한 영역인지 아닌지 균일성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상기 비교 결과,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상기 총합(Sum)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1 영역(R3)이 같은 매질로 이루어지지 않아 균일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150)는 상기 제1 영역(R3)에 대한 세분화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균일한 매질로 된 세부영역을 찾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50)는 분할부(110)를 통해, 상기 제1 영역을, 복수의 세부영역으로 분할하고, 측정부(120)를 통해, 복수의 세부영역 마다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선정부(130)를 통해, 복수의 세부영역 중, 상기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2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세부영역 간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제1 총합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 되는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분할부(110)는 상기 제1 영역(R3)을, 일정 크기의 4개의 세부영역(R31, R32, R33, R34)으로 분할하고, 측정부(120)는 각 세부영역에 설치된 마이크 센서를 통해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세부영역 별로 측정할 수 있다.
선정부(130)는 각 세부영역 중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2 영역(R32)을 선정하고, 제2 영역(R32)과 나머지 세부영역(R31, R33, R34) 간의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제1 총합(Sum = |R31-R32| + |R33-R32| + |R34-R32|)을 계산하고, 상기 제1 총합이, 정해진 임계치 보다 작은 값인지 확인 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이 균일한 매질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상기 제1 총합(Sum)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 아니면, 처리부(150)는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복수의 세부영역으로의 분할과 질환음의 크기 측정 및 임계치와의 비교하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처리부(150)는 상기 제2 영역(R32)이 같은 매질로 이루어지지 않아 균일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세분화를 통해,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균일한 매질로 된 세부영역을 찾는 과정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 이처럼 처리부(150)는 세분화 영역에서 계층적으로 최대 질환음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상기 총합(Sum)이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한다.
일례로, 도 2를 참조하면, 처리부(150)는 상기 총합이 상기 임계치 미만으로 확인 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R3)이, 상기 질환음을 감쇠시키는 정도가 균일한 매질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상기 제1 영역(R3)에 대한 세분화를 멈추고, 균일한 매질로 된 제1 영역(R3) 내 임의의 위치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비교하면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와의 거리가 근접한 지점을 탐색할 수 있다.
매질이 같은 제1 영역(R3) 내에서는 질환음이 전파되면서 감쇠되는 크기가 유사하여, 질환음의 크기가, 질환음의 발생 위치와의 거리에 반비례하게 되므로, 처리부(150)는 이를 이용하여 제1 영역(R3) 내에서 각 센서로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로 측정되는 지점을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 탐색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설치된 n 이상(상기 n은 3)의 센서 각각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질환음이 측정되는 범위를, 각 센서의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한 동심원 형태로 작성하고, 상기 동심원 각각이 겹치는 지점을,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서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150)는 상기 n 이상의 센서에 의해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 시, 잡음을 제거하려는 정도에 따라, 상기 일정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처리부(150)는 일정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잡음 제거율을 높일 수 있고, 일정 크기를 감소시킬 경우 질환음 감지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처리부(150)는 제1 영역 내에 설치한 3 이상의 센서(301 내지 304)에 의해, 일정 크기(T) 이상의 질환음이 일정 길이(L) 이상 측정되는 범위를 각 센서를 중심으로 한 점선의 동심원으로 작성하고, 각 동심원이 모두 겹치는 지점(300)을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 탐색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150)는 동심원이 모두 겹치는 지점이 없을 경우, 상기 n 이상의 센서 간 이격 거리를 단계적으로 줄여 나갈 수 있다.
처리부(150)는 제1 영역 내에서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로 이격되는 n 이상의 센서 각각의 설치위치('(a, 0), (0, a), (a, -a), (-a, 0)')를, 상기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처리부(150)는 상기 n 이상의 센서 각각의 설치위치('(a, 0), (0, a), (a, -a), (-a, 0)')를 이용하여, 상기 지점의 위치좌표(x, y)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처리부(150)는 상기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지점의 위치좌표(x, y)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처리부(150)는 균일한 매질로 된 영역 내에서 동 거리로 설치된 각 센서의 위치와 거리를 이용해, 질환음이 발생된 세부 위치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측정부(120)는 상기 n 이상의 센서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상기 질환음이 일정 길이 이상으로 측정되면,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센서 별로 메모리부(160)에 기록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을 참조하면, 처리부(150)는, 메모리부(160)로부터, 3 이상의 센서(301 내지 304)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의 최대값(A1, A2, A3)을 식별하고, 식별한 최대값(A1, A2, A3)과, 정해진 거리 변수 s를 이용하여, 아래의 3개의 수학식에 따라, 동심원이 모두 겹치는 지점(300)의 2차원 위치좌표(x, y)를 이루는 두 변수 x, y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 변수 s는 질환음과의 거리 scaling 변수로서, 일정 범위 내의 수치로 정해질 수 있다.
[수학식 4]
(x-a)2+y2=s2
[수학식 5]
x2+(y-a)2=(s*A2/A1)2
[수학식 6]
x2+(y+a)2=(s*A3/A1)2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처리부(150)는 동심원이 모두 겹치는 지점(400)에 대한 깊이 z를 더 산출할 수 있다.
즉, 처리부(150)는 메모리부(160)로부터, 4 이상의 센서(401 내지 404)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의 최대값(A1, A2, A3, A4)이 식별되는 경우, 식별한 최대값(A1, A2, A3, A4)과, 정해진 거리 변수 s를 이용하여, 아래의 4개의 수학식에 따라, 동심원이 모두 겹치는 지점(400)의 3차원 위치좌표(x, y, z)를 이루는 세 변수 x, y, z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7]
(x-a)2+y2=s2
[수학식 8]
x2+(y-a)2=(s*A2/A1)2
[수학식 9]
x2+(y+a)2=(s*A3/A1)2
[수학식 10]
(x+a)2+y2=(s*A4/A1)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계층적이고 세분화된 방식으로 매질이 균일한 영역을 좁혀 나감으로써, 질환음이 최대로 측정되는 지점을,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서 탐색할 수 있으며, 내장기관을 이루는 매질의 균일성을 고려해 질환음의 위치 탐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복부 표면을 일정한 면적으로 나눈 상태에서 최대 크기로 음성이 발생하는 부분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위장의 어떤 위치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 정확히 추적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에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계층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점차적으로 좁혀 가기 위해, 16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입체 영역(200) 내에서, 영역 마다 설치한 센서로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센서 별로 최대 크기 Max[R1, … Rn]를 기록할 수 있다.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16개의 영역 중 질환음이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1 영역(R3)을 선정하고, 제1 영역(R3)과 나머지 영역 간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절대값의 총합(Sum)이 임계치(T) 미만인지 확인하여, 제1 영역(R3)에 대해 균일성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일 경우,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제1 영역(R3)에 대해 균일한 매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하여 제1 영역(R3)에 대한 세분화를 멈추고, 제1 영역(R3) 내에서 질환음의 크기에 따라 질환음이 발생된 세부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이 아닐 경우,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제1 영역(R3)이 균일하지 않은 매질로 된 것으로 추정하고, 제1 영역(R3)을 세분화하여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로 측정되는 세부영역에 대해, 다시 균일성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다.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제1 영역(R3)을 분할한 4개의 세부영역(R31, R32, R33, R34) 중, 질환음이 최대로 측정된 제2 영역(R32)을 기준으로, 나머지 영역 간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절대값의 총합을 아래의 수식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Sum = |R31-R32| + |R33-R32| + |R34-R32|
상기 수식에 의해 계산된 총합이 임계치(T) 미만이 아닐 경우,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제2 영역(R32)을 다시 세분화하여 4개의 세부영역(R321, R322, R323, R324)으로 분할하고, 이 중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로 측정되는 제3 영역(R324)에 대해, 균일성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제3 영역(R324)을 기준으로, 나머지 영역 간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절대값의 총합을 아래의 수식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Sum = |R324-R321| + |R324-R322| + |R324-R323|
상기 수식에 의해 계산된 총합이 임계치(T) 보다 작다면,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제3 영역(R324)을 이루는 매질의 분포가 균일한 것으로 추정하여 제3 영역(R324)에 대한 세분화를 멈추고, 제3 영역(R324) 내에서 질환음이 발생된 세부 위치를 도 3 또는 도 4와 같은 과정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에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 (x, y)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매질이 균일한 영역 내에 설치한 3개 이상의 모든 센서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질환음이 측정되는 지점을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 찾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상기 영역 내에 설치한 3 이상의 센서(301 내지 304)에 의해, 일정 크기(T) 이상의 질환음이 일정 길이(L) 이상 측정되는 범위를 각 센서를 중심으로 한 점선의 동심원으로 작성하고, 각 동심원이 공통으로 만나는 지점(300)을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동심원이 모두 겹치는 지점이 없을 경우,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n 이상의 센서(301 내지 304) 간 이격 거리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 이상의 센서(301 내지 304)는 상기 영역 내에서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센서 간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각 센서(301 내지 304)의 설치위치를 계산하고, 각 설치위치를 이용하여, 동심원이 모두 겹치는 지점(300)의 위치좌표(x, y)를 이루는 두 변수 x, y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간 이격 거리가
Figure 112018107631685-pat00006
로 정해지면,
Figure 112018107631685-pat00007
)이 되므로 동 거리의 각 센서의 설치위치는 각각 '(a, 0), (0, a), (a, -a), (-a, 0)'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후,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3 이상의 센서(301 내지 304)에서 측정된 질환음의 크기의 최대값(A1, A2, A3)을 식별하고, 식별한 최대값(A1, A2, A3)과, 정해진 거리 변수 s와의 관계 "(A1 : A2 : A3) = (1 : A2/A1 : A3/A1) = (s : s*A2/A1 : s*A3/A1)"을 이용하여 아래의 3개의 수학식을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x-a)2+y2=s2
[수학식 2]
x2+(y-a)2=(s*A2/A1)2
[수학식 3]
x2+(y+a)2=(s*A3/A1)2
여기서, 거리 변수 s는 질환음과의 거리 scaling 변수로서, 일정 범위 내의 수치로 정해질 수 있으며,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최대값(A1, A2, A3)과, 정해진 거리 변수 s를 이용하여, 도출한 3개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두 변수 x, y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균일한 매질로 된 영역 내에서 동 거리로 설치된 각 센서의 위치와 거리를 이용해, 질환음이 발생된 세부 위치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에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 (x, y, z)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매질이 균일한 영역 내에 설치한 4개 이상의 센서를 이용할 경우, 질환음 발생 위치의 깊이 z를 더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상기 영역 내에 설치한 4 이상의 센서(401 내지 404)에 의해, 일정 크기(T) 이상의 질환음이 일정 길이(L) 이상 측정되는 범위를 각 센서를 중심으로 한 점선의 동심원으로 작성하고, 각 동심원이 공통으로 만나는 지점(400)을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센서 간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각 센서(401 내지 404)의 설치위치를 계산하고, 각 설치위치를 이용하여, 동심원이 모두 겹치는 지점(400)의 위치좌표(x, y, z)를 이루는 세 변수 x, y, z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간 이격 거리가
Figure 112018107631685-pat00008
로 정해지면,
Figure 112018107631685-pat00009
)이 되므로 동 거리의 각 센서의 설치위치는 각각 '(a, 0, 0), (0, a, 0), (a, -a, 0), (-a, 0, 0)'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후,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4 이상의 센서(401 내지 404)에서 측정된 질환음의 크기의 최대값(A1, A2, A3)을 식별하고, 식별한 최대값(A1, A2, A3)과, 정해진 거리 변수 s와의 관계 "(A1 : A2 : A3 : A4) = (1 : A2/A1 : A3/A1 : A4/A1) = (s : s*A2/A1 : s*A3/A1 : s*A4/A1)"을 이용하여 아래의 4개의 수학식을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x-a)2+y2=s2
[수학식 2]
x2+(y-a)2=(s*A2/A1)2
[수학식 3]
x2+(y+a)2=(s*A3/A1)2
[수학식 4]
(x+a)2+y2=(s*A4/A1)2
여기서, 거리 변수 s는 질환음과의 거리 scaling 변수로서, 일정 범위 내의 수치로 정해질 수 있으며,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최대값(A1, A2, A3, A4)과, 정해진 거리 변수 s를 이용하여, 도출한 4개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세 변수 x, y, z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은 균일한 매질로 된 영역 내에서 동 거리로 설치된 각 센서의 위치와 거리를 이용해, 깊이를 가지는 질환음이 발생된 세부 위치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은 상술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오브젝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위 혹은 장과 같은 내장기관을 형상화한 3차원 입체도형(예컨대, '정육면체')을, 일정한 크기의 n개(예, 16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각 영역 마다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분할부(110)는, 정육면체 형상의 오브젝트(200)를 동일한 크기의 평면 혹은 입체의 영역(R1 내지 Rn)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마이크 센서를 설치하여 질환음의 크기를 영역 별로 측정하고, 센서 별로(영역 별로) 측정되는 질환음의 최대 크기 Max[R1, … Rn]를 메모리부에 기록할 수 있다.
단계(530, 54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1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총합을,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인지 확인한다.
본 단계(530, 540)는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된 제1 영역에 대해, 같은 매질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 함으로써, 질환음의 감쇠 폭이 균일한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16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오브젝트(200) 내에서,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된 제1 영역(R3)을 선정하고, 제1 영역(R3)에서 측정된 질환음의 크기로부터, 나머지 각 영역(R1, R2, R4, … Rn)에서 측정된 질환음의 크기를 각각 차감한 값들의 절대값을 합산한 총합(Sum)을 계산할 수 있다.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상기 총합이 임계치 보다 작은지 확인하여, 제1 영역의 세분화를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이면, 단계(55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한다.
이 경우,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질환음의 감쇠 폭이 균일하게 나타나므로 제1 영역이 같은 매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제1 영역의 세분화를 멈추고, 제1 영역 내에서 질환음이 발생된 세부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단계(540)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이 아니면,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단계(510)으로 돌아가서, 제1 영역에 대한 세분화를 통해, 질환음이 최대로 측정되는 동일 매질로 된 세부영역을 계층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영역을 복수의 세부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세부영역 마다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복수의 세부영역 중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2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세부영역 간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제1 총합이, 임계치 미만이 되는 제2 영역 내에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이처럼,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영역의 세분화 및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인 영역에 대한 균일성 테스트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점차적으로 영역을 좁혀가면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계층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질환음이 최대로 측정되는 영역을 점진적으로 좁히면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추적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동 거리 위치의 n개 영역의 센서로 질환과 관련된 소리(질환음)를 탐색한다.
본 실시예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각 영역을 2차원 평면으로 가정하고, 동일한 이격 거리로 센서(예, '마이크')를 설치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일정 크기 이상의 음원(질환음)을 탐색한다.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일정 길이(L)의 음원이 임계값(T) 보다 큰 경우가 없을 때까지 질환음의 탐색을 계속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 탐색 조건은 {t| f(t) > T during -L/2<t<L/2}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질환음 크기의 최대값("F = max |f(t)| over all t")을 센서 별로 메모리부에 기록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전 영역의 위치를 탐색한다.
단계(64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값인 제1 영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단계(640)에서의 확인 결과,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값인 제1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단계(620)로 이동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질환음의 탐색을 재수행 한다.
또는, 단계(650)에서의 확인 결과,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값인 제1 영역이 존재하면, 단계(650 내지 66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영역을 세분화한 복수의 세부영역 중에서,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값인 제2 영역의 위치를 탐색한다.
단계(67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최대값인 제2 영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단계(670)에서의 확인 결과,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값인 제2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단계(660)로 돌아가서, 제2 영역을 더 세분화하여,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값인 제2 영역을 탐색한다.
또는, 단계(670)에서의 확인 결과,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값인 제2 영역이 존재하면, 단계(68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최대값과, 나머지 세부영역에서 측정된 최대값 간 차의 총합(Sum)을 계산하고, 상기 총합이 주어진 임계치(T) 보다 작은지 확인한다.
상기 총합이, 주어진 임계치(T) 보다 작으면, 단계(69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제2 영역 내에서 질환음의 크기에 따라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세부적으로 탐색한다.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세부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은, 도 7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서 선정한 영역 내에서,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71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도 6에서 선정한 제2 영역 내에 4개 이상의 센서를 동일한 이격 거리('a')로 설치한다.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상기 제2 영역을 2차원 평면으로 가정하고, 동일한 거리에 센서(예, '마이크')를 설치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일정 길이(L)의 음원(질환음)이 임계값(T) 보다 큰 경우가 없을 때까지 일정 크기 이상의 질환음을 탐색한다.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일정 크기(T) 이상의 질환음을 탐색할 수 있으며, 질환음의 탐색 조건은 {t| f(t) > T during -L/2<t<L/2}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단계(73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전 구간의 최대값 F(max |f(t)| over all t)의 크기를 도출한다.
단계(74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4 이상의 센서 각각에 대해 단계(720 내지 730)을 반복하고, 단계(75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센서 별로 질환음 크기의 최대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단계(760)에서,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나타내는 3개의 변수 x, y, s를 산출한다.
여기서, (x, y)는 2차원 평면에서의 위치이고, 3차원 공간의 깊이 정보 z 까지 탐색하려면(x, y, z),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100)은, 4 이상의 센서를 모두 고려하여, 4개의 변수를 찾는 수식을 탐색할 수 있다. 거리 변수 s는 질환음의 발생원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scaling 변수로서, 일정한 범위 내의 수치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장기관을 형상화한 3차원의 오브젝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영역 별로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했을 때, 균일한 매질로 이루어진 영역 내에서 질환음의 크기가 최대로 측정되는 지점을 찾아,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탐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110: 분할부
120: 측정부
130: 선정부
140: 비교부
150: 처리부
160: 메모리부

Claims (15)

  1. 오브젝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각 영역 마다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1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총합을,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총합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1 영역을, 복수의 세부영역으로 분할하는 제1 단계;
    상기 복수의 세부영역 마다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2 단계;
    상기 복수의 세부영역 중, 상기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2 영역을 선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세부영역 간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제1 총합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 아니면, 상기 제1 내지 제3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총합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 되는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총합이 상기 임계치 미만으로 확인 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질환음을 감쇠시키는 정도가 균일한 매질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균일한 매질 내 임의의 위치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비교하면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와의 거리가 근접한 지점을 탐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설치된 n 이상(상기 n은 3)의 센서 각각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상기 질환음이 측정되는 범위를, 각 센서의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한 동심원 형태로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심원 각각이 겹치는 지점을,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서 탐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n 이상의 센서에 의해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 시, 잡음을 제거하려는 정도에 따라, 상기 일정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심원이 모두 겹치는 지점이 없을 경우, 상기 n 이상의 센서 간 이격 거리를 단계적으로 줄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서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n 이상의 센서 각각의 설치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지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 이상의 센서 각각이,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동일한 이격 거리로 설치된 경우,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서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 내 설정된 원점으로부터의, 상기 n 이상의 센서 각각의 설치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은,
    상기 n 이상의 센서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상기 질환음이 일정 길이 이상으로 측정되면,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센서 별로 메모리부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3 이상의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의 최대값(A1, A2, A3)을 식별하고, 식별한 상기 최대값(A1, A2, A3)과, 정해진 거리 변수 s를 이용하여, 상기 지점의 2차원 위치좌표(x, y)를 이루는 두 변수 x, y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4 이상의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의 최대값(A1, A2, A3, A4)이 식별되는 경우,
    상기 지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값(A1, A2, A3, A4)과, 정해진 거리 변수 s를 이용하여, 상기 지점의 3차원 위치좌표(x, y, z)를 이루는 세 변수 x, y, z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10. 오브젝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부;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각 영역 마다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1 영역을 선정하는 선정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총합을,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총합이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총합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분할부를 통해, 상기 제1 영역을, 복수의 세부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측정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세부영역 마다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선정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세부영역 중, 상기 질환음의 크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는 제2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세부영역 간 상기 질환음의 크기 차에 대한 제1 총합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 되는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를 탐색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설치된 n 이상(상기 n은 3)의 센서 각각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상기 질환음이 측정되는 범위를, 각 센서의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한 동심원 형태로 작성하고, 상기 동심원 각각이 겹치는 지점을, 상기 질환음의 발생 위치로서 탐색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n 이상의 센서 각각의 설치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지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동일한 이격 거리로 설치된 상기 n 이상의 센서 간 상기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지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n 이상의 센서에 의해 상기 질환음의 크기를 측정 시, 잡음을 제거하려는 정도에 따라, 상기 일정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동심원이 모두 겹치는 지점이 없을 경우, 상기 n 이상의 센서 간 이격 거리를 단계적으로 줄이는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KR1020180131490A 2018-10-31 2018-10-31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및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KR10253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90A KR102533085B1 (ko) 2018-10-31 2018-10-31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및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90A KR102533085B1 (ko) 2018-10-31 2018-10-31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및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883A KR20200048883A (ko) 2020-05-08
KR102533085B1 true KR102533085B1 (ko) 2023-05-17

Family

ID=7067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490A KR102533085B1 (ko) 2018-10-31 2018-10-31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및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825B1 (ko) * 2020-10-28 2022-11-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의 소화불량 복진 장치
WO2022092406A1 (ko) * 2020-10-28 2022-05-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의 복진 장치
KR102462821B1 (ko) * 2020-10-28 2022-11-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의 복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3847A1 (en) 1996-04-03 2003-08-14 Rush-Presbyterian - St. Luke's Medical Center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gastrointestinal sounds
JP2011514199A (ja) 2008-03-04 2011-05-0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体の音の非侵襲的分析
JP2011519663A (ja) 2008-05-08 2011-07-14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胃腸の機能および生理学的特性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1130589A2 (en) 2010-04-16 2011-10-20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gastrointestinal impair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3847A1 (en) 1996-04-03 2003-08-14 Rush-Presbyterian - St. Luke's Medical Center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gastrointestinal sounds
JP2011514199A (ja) 2008-03-04 2011-05-0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体の音の非侵襲的分析
JP2011519663A (ja) 2008-05-08 2011-07-14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胃腸の機能および生理学的特性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1130589A2 (en) 2010-04-16 2011-10-20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gastrointestinal impair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883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085B1 (ko)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방법 및 질환음의 발생원 탐색 시스템
US20240089685A1 (en) Personalized three-dimensional audio
US98144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estimation of shear modulus and viscosity from shear wave imaging
US1049728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ultrasound simulation
O'Shea et al. Temporal regularization of ultrasound‐based liver motion estimation for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
CN103200870A (zh) 三维成像
CN102944867A (zh) 一种无需相位信息的点声源识别方法
BR102015005406B1 (pt) Método para localizar um mamífero marinho em um ambiente subaquático implantado através de um sistema pam, dispositivo e meio portador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o correspondentes
CN109828307B (zh) 一种瞬变电磁多频率融合的探测方法及应用
Gombots et al. Sound source localization–state of the art and new inverse scheme
US103755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quickly determining location-dependent pulse responses in signal transmission from or into a spatial volume
KR101695080B1 (ko) 단일채널 탄성파 탐사자료로부터 지하 속도정보 도출을 위한 탄성파 파형역산 방법 및 장치
Handzel et al. A biomimetic apparatus for sound-source localization
Yan et al. A real‐time prostate cancer detection technique using needle insertion force and patient‐specific criteria during percutaneous intervention
CN108594163B (zh) 用单个传声器移动结合内积运算识别声源的方法
CN109490924B (zh) 一种基于机载放射性监测系统的多源定位方法
KR102046875B1 (ko) 실내 측위 장치 및 방법
McCollom et al. Root finding in the complex plane for seismo-acoustic propagation scenarios with Green's function solutions
Filpo et al. Image-guided ray tracing and its applications
JP2020128878A (ja) 配置推奨装置、配置推奨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539420B (zh) 剂量控制系统、装置和存储介质
CN103534610A (zh) 平滑化方法以及平滑化装置
Johansson et al. Real-time implementation of a particle filter with integrated voice activity detector for acoustic speaker tracking
Hardt et 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multiple scattering on the reconstruction of ultrasound tomography signals using Synthetic Aperture Focussing Technique
GB2583073A (en) Generating mapp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