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79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799B1
KR102532799B1 KR1020200081020A KR20200081020A KR102532799B1 KR 102532799 B1 KR102532799 B1 KR 102532799B1 KR 1020200081020 A KR1020200081020 A KR 1020200081020A KR 20200081020 A KR20200081020 A KR 20200081020A KR 102532799 B1 KR102532799 B1 KR 102532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oor
inner case
outer plat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344A (ko
Inventor
김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799B1/ko
Priority to EP21182911.4A priority patent/EP3933334B1/en
Priority to US17/363,929 priority patent/US11885557B2/en
Publication of KR2022000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4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8Refrigerat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며, 개구가 형성되는 캡 데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 상기 도어 내측에서 상기 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아웃 플레이트 및 캡 데코와 결합되며, 상기 단열재가 침투되지 않는 독립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를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캡 데코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단이 삽입 및 구속되는 케이스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e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도어에는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냉장고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숫자나 글자, 기호 또는 그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냉장고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40710호에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이 금속 소재로 형성된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아웃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관통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기 위한 터치 조작부가 형성되며, 도어 내부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터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
하지만,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을 위한 이너 케이스의 장착시 조립 작업성이 떨어지며, 도어 캡 데코와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 체결이 요구되어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조립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간단한 조립 작업으로 이너 케이스의 장착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며, 개구가 형성되는 캡 데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 상기 도어 내측에서 상기 개구와 연통되며, 상기 단열재가 침투되지 않는 독립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및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를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캡 데코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단이 삽입 및 구속되는 케이스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캡 데코의 내면과 접하는 케이스 상면과;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내면에 접하는 케이스 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상면과 상기 케이스 전면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 및 캡 데코 사이를 기밀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압축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상면이 상기 케이스 삽입부에 삽입될 때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상면의 둘레에는 구속단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구속단과 걸림 구속되도록 돌출되는 구속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삽입부는 상기 캡 데코의 내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 상면의 둘레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케이스 삽입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상면의 후단을 구속하고,
상기 케이스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구속단을 상기 케이스 삽입부로 삽입시켜 상기 구속돌기와 걸림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하부를 상기 아웃 플레이트 측으로 회전시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상면과 상기 캡 데코의 사이를 기밀하는 압축성 소재로 된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속돌기의 상면과 상기 구속단의 하면 사이는 설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간격은 상기 실링부재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케이스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캡 데코와 접하는 상부 실링부재와; 상기 케이스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접하는 하부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실링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일면이 접착되고, 상기 하부 실링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양면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구속돌기는 돌출될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된 상면과, 돌출될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된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구속단의 하면과 나란히 연장되는 상면과, 돌출될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된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캡 데코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삽입부에는 상기 스크류 체결부가 수용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 상면의 좌우 양측단과 후단은 상기 케이스 삽입부에 구속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전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 상면이 상기 케이스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데코 개구는 상기 케이스 삽입부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캡 데코에는 상기 데코 개구를 차폐하는 데코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의 조립시 상기 단열재의 성형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전에 상기 캡 데코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 및 이너 케이스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캡 데코의 케이스 수용부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 체결 없이도 상기 이너 케이스의 삽입 장착 만으로 상기 이너 케이스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 장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는 압축성 소재의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가고정 작업시 상기 캡 데코와 상기 이너 케이스 상면 사이가 기밀되고, 타이트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내부에 단열재를 성형하기 위해 발포액을 주입하게 되더라도 발포액이 유입되거나 발포액의 압력에 의해 상기 이너 케이스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가 기밀 됨은 물론 서로 접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과 전면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실링부재는 상기 캡 데코와 접착되지 않고 이너 케이스만 접착되도록 하고, 상부 실링부재 하방에 구비되는 하부 실링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 전면과 상기 아웃 플레이트 양면에 접착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 상면이 상기 케이스 삽입부에 삽입 장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이너 케이스가 아웃 케이스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조립 장착을 위한 작업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으며, 특히 이너 케이스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 체결 작업을 대폭적으로 줄여, 작업 공수의 절감 및 그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를 다수의 스크류로 고정 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캐데코와 이너 케이스의 가고정 구조 만으로 단열재의 유입을 방지하고, 이너 케이스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어의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조작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어의 아웃 플레이트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어로부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
도 6은 도 2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터치 어셈블리, 이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어의 캡 데코와 이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캡 데코 및 이너 케이스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1도 10의 11-11'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켑데코와 이너 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와 반대되는 캐비닛(10)의 높은 면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2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리고 상기 도어(20)를 기준으로 캐비닛(10)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의되지 않는 방향을 이야기 하고자 할 때에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20a,20b)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방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방에 냉동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20,20a,2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차폐하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20a)와 냉동실을 차폐하는 한쌍의 냉동실 도어(2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20a)와 냉동실 도어(20b)는 모두 좌우 양측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우양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20,20a) 중 우측의 냉장실 도어(20a)는 별도의 도어 저장 공간과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의 일부는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구성되어 도어 저장 공간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의 냉장실 도어(2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식별이 용이한 높이에 디스플레이부(211)와 터치 조작부(212)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1)와 터치 조작부(212)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므로, 좌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도어(20)라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좌측의 냉장실 도어(2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어의 상단을 통해서 삽입되고 상기 도어(20)의 전면으로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1) 및/또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통해 조작되는 터치 조작부(212)가 구비될 수 있는 모든 도어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어의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조작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21)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2)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캡 데코(23)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는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는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된 컬러 강판(VCM, PC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는 대략 0.5mm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0)의 전면에는 지문방지 처리가 되거나, 특정 색상이나, 패턴, 문양이 표현될 수 있으며, 메탈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는 디스플레이부(211)와 터치 조작부(21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는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20)의 내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기호 또는 숫자 등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외부에서 이를 통해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213)에 의해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는 숫자나 기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한 배치로 연속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213)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다수의 상기 관통홀(213)들의 집합은 7 세그먼트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특정 기호나 문양의 형상, 글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홀(213)는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관통홀들(312,614)의 배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발광부재(511)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에 형성되는 관통홀(213)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구비되는 관통홀(312,614)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제 1 관통홀(213)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213)은 직경이 작은 미세한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관통홀(213)은 0.4mm ~ 0.7mm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이저 가공, 에칭 또는 엔시티(NCT)가공 등에 의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213)은 그 크기가 미세하고, 내부에 홀 매움부재(214)가 채워져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에 제공되는 발광부재(51)가 켜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51)가 온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관통홀(213)은 빛이 투과되면서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관통홀(213)들 중 빛이 조사되는 상기 발광부재(51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일부의 상기 제 1 관통홀(213)들을 통과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빛이 조사되는 상기 제 1 관통홀(213)들은 특정 숫자나 문자 모양 등을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발광부재(511) 중 적어도 일부가 점등될 경우, 다수의 상기 제 1 관통홀(213) 중 점등된 상기 발광부재(511)와 대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213)들은 빛이 투과되면서 외부로 보여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노출되는 상기 제 1 관통홀(213)들의 조합에 의해 특정한 숫자로 표현될 수 있으며 문자 또는 그림 등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511)가 오프되어 상기 도어(20)의 내부에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11)가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511)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11)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것과 같은 외관을 가지게 된다.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해 조작을 입력하는 부분으로 상기 도어(20)의 전면 일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11)의 하방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1)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조작부(212)는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처리되거나 에칭 등과 같은 표면 가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조작 부위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조작부(212)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기 터치 조작부(212)의 누름 조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70)의 배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도어의 아웃 플레이트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도어로부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6-6'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는 아웃 플레이트(21)와 도어 라이너(22) 및 캡 데코(23)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도어 라이너(22) 및 캡 데코(23)가 결합된 상기 도어(20)의 내부 공간에는 단열재(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24)는 발포액을 주입하여 발포 성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 커버(30),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70)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 케이스(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상단이 상기 캡 데코(23)의 하면과 결합되고, 전면 둘레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결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도어(20)에 발포액의 주입될 때 발포액이 침투되지 않도록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장착을 위해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내측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커버(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배면에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상단과 상기 캡 데코(23) 사이에는 보강판(2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26)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측 공간으로 아웃 플레이트(21)가 굴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캡 데코(23)에 형성된 데코 개구(231)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개구(231)는 데코 커버(2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232)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를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측의 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상면이 개구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측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삽입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개구된 상면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자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232)가 상기 데코 개구(231)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때 상기 데코 커버(232)의 하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상단을 눌러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완전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안내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서로 접하거나 형합되는 다수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 내측에서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발광부재(51)와 제 3 관통홀(614),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의 제 2 관통홀(312)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제 1 관통홀(213)이 서로 연통되도록 정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51)가 온되면, 상기 발광부재(51)에서 조사되는 빛은 차례로 제 3 관통홀(614), 제 2 관통홀(312) 및 제 1 관통홀(213)을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터치 어셈블리, 이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25)가 장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내측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와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는 케이스 상면(521)과 케이스 전면(252)이 형성되며, 내측에 전방과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250)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 상면(251)은 상기 캡 데코(23)와 접하며, 케이스 전면(25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후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전면(252)은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공간(250)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후면에는 전체적으로 보강 리브(256)가 배치되어 상기 단열재(24)의 성형시 압력에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상측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70)와 연결되는 전선들이 출입되는 전선 홀(253)이 측방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공간 좌우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커버 지지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255)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를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지지부(255)의 상측에는 측방으로 함몰된 케이스 홈(2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홈(254)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 상단의 어퍼 가이드(321)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내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는 커버 전면(31)이 아웃 플레이트(21)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전면(31)과 이격된 커버 후면(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전면(31)과 커버 후면(33)을 연결하는 커버 둘레면(3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30)에는 다수의 제 2 관통홀(312)이 형성되는 커버 라이트 가이드(3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전면(31)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70)가 장착되는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4)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상기 발광부재(511) 등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50)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50)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도어(20)의 외측에서 상기 데코 개구(231)를 통해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60)은 손잡이부(66)와, 좌우 양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제 1 사이드 연장부(62) 및 제 2 사이드 연장부(63)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 연장부(62)와 제 2 사이드 연장부(63)의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라이트 가이드(61)는 상기 제 2 관통홀(312)과 연통되는 제 3 관통홀(6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66)에는 와이파이 모듈(41)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어셈블리(70)는 터치 센서(712)가 장착되는 터치 피시비(71)와, 상기 터치 피시비(7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72) 그리고 상기 터치 피시비(71)를 차폐하는 터치 커버(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2)와 터치 피시비(71) 및 터치 커버(73)는 차례로 상기 센서 어셈블리 장착부(34)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 및 상기 캡 데코(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고, 장착 상태를 유지하여야 상기 발광부재(51)와 다수의 관통홀들(213,312,614)이 서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상기 캡 데코(23)와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너 케이스(25)와 캡 데코(23)의 결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도어의 캡 데코와 이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상기 케이스 상면(251)은 상기 캡 데코(23)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상기 케이스 전면(25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와 상기 캡 데코(23) 및 아웃 플레이트(21)는 상기 도어(20)에 단열재(24)를 성형하기 위해 발포액을 주입하기 전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 케이스(25)와 아웃 플레이트(21) 및 캡 데코(23)의 사이에는 실링부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5)는 상기 케이스 상면(251)과 상기 캡 데코(23) 그리고 상기 케이스 전면(252)과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사이 공간을 기밀하여, 상기 도어(20) 내부에 상기 단열재(24) 성형을 위해서 발포액이 주입될 때에 발포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실링부재(25)는 압축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25)는 상기 케이스 상면(251)과 상기 케이스 전면(252)을 따라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5)는 일부가 접착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5)는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실링부재(257b)와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실링부재(257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는 상기 케이스 상면(251)과 상기 케이스 전면(252)의 상단에서 상부 일부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는 일면만 접착되는 구조로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는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결합시 상기 캡 데코(23)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는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상단이 상기 상부 캡 데코(23)의 하면에 회전되면서 삽입되는 구조의 특성상 상기 캡 데코(23) 및 아웃 플레이트(21)와 접착되는 구조가 아닌 단순 접촉 및 압축에 의한 기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실링부재(257a)는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25) 하방의 상기 케이스 전면(252)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실링부재(257a)는 양면이 접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실링부재(257a)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실링부재(257a)는 일면이 상기 케이스 전면(252)에 접착되고, 다른 일면이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내측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25)와 상기 캡 데코(23)의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이너 케이스(25)와 아웃 플레이트(21)의 접착을 통해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상면(251)은 상기 캡 데코(23)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캡 데코(23)의 데코 개구(231)가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수용 공간(250)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 데코(23)를 통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25) 내부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캡 데코(23)와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결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캡 데코 및 이너 케이스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A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1도 10의 11-11'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는 상기 단열재(24)의 성형을 위해 발포하기 전에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캡 데코(23) 그리고 이너 케이스(25)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 데코(23)는 상면부(233)에 의해 상기 도어(20)의 상면 외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 데코(23)의 상면부(233) 둘레를 따라서 플레이트 삽입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삽입부(235)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절곡된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 데코(23)의 상면부(233)의 전면과 양측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상단은 상기 캡 데코(23)의 상면부(233) 둘레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데코(23)의 상면부(233)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상단을 수용하는 케이스 삽입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는 상기 캡 데코(23)의 상면부(233) 중 상기 도어(20)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상면(25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는 상기 케이스 상면(25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상면(251)과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는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 공간(234a)을 형성하며,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 상면(251)이 상기 삽입 공간(234a)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는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둘레를 따라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 공간(234a)의 내측에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상기 캡 데코(23)상의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의 양단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의 양측면은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의 양측면의 연장된 단부의 사이에는 후면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 공간(234a)은 3면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와 나머지 1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2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접하고 나머지 세 면은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와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의 후면 중 일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34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34b)는 상기 이너 케이스(25) 상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부(251b)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234b)는 상기 체결부(251b)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51b)에는 상기 캡 데코(23)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51b)에는 상기 데코 커버(23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데코 커버(232)와 상기 캡 데코(23)를 차례로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데코 커버(232)와 상기 캡 데코(23) 및 이너 케이스(25)는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 공간(234a)의 내측 영역에 상기 데코 개구(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 공간(234a)에 상기 케이스 상면(251)을 삽입 장착하게 되면 상기 데코 개구(231)와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수용 공간(250)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의 연장된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속 돌기(2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돌기(236)는 상기 수용 공간(25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 돌기(236)의 돌출된 단부의 높이는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의 위치보다 설정 높이(H)만큼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설정 높이(H)는 1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충분한 걸림 구속 량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속 돌기(236)는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보다 전방으로 설정 높이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25) 상면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은 상기 구속 돌기(236)에 의해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후단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상기 구속 돌기(236)는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 돌기(236)는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를 따라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속 돌기(236)는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장착시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구속단(251a)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속 돌기(236)의 상면(236a)은 돌출될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 돌기(236)의 하면(236b)은 돌출될 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면(236a)과 하면(236b)이 만나는 지점이 상기 구속 돌기(236)의 가장 돌출된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장착시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이 상기 구속 돌기(236)를 지나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구속될 수 있다.
한편, 경사진 상기 상면(236a)의 연장선과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 사이는 설정 간격(G)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설정 간격(G)은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삽입 장착시 상기 케이스 상면(251)에 부착된 상부 실링부재(257b)의 압축량을 고려한 것으로,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장착시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가 압축되면서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설정 간격(G)은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설정 간격(G)은 대략 0.3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너 케이스(25)의 조립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조립 전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상기 캡 데코(23)를 먼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절곡된 상단은 상기 캡 데코(23)의 플레이트 삽입부(235)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수 있다. 물론, 상기 아웃 플레이트(21)는 상기 상기 캡 데코(23)에 결합된 상태에서 추가의 구속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캡 데코(23)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25)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장착 전 상기 케이스 상면(251)과 케이스 전면(252)에 각각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와 하부 실링부재(257a)를 부착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실링부재(257a)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접착되기 위한 추가의 접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장착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케이스 상면(251)이 상방을 향하고 상기 케이스 전면(252)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시킨 다음, 상기 케이스 상면(251)이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를 향하도록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하단이 아웃 플레이트(21)와 떨어지고, 상단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접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케이스 상면(251)이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케이스 상면(251)이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로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이동되되,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하부를 반시계 방향(도 12에서 볼 때)으로 회전시키면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착에 의해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은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의 구속 돌기(236)를 지나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상단이 상기 캡 데코(23)의 상면부(233)에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캡 데코(23)와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걸림 구속되는 결합 과정에서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가 영향을 주지 않게 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25)와 상기 캡 데코(23)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가 압축되면서 상기 이너 케이스(25)와 캡 데코(23)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실링부재(257a)는 상기 이너 케이스(25) 상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21) 내측면과 접하게 되며, 상기 케이스 전면(252)과 상기 아웃 플레이트(21)가 접착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스 상면(251)이 상기 캡 데코(23)의 상면부(233)와 접하고 상기 케이스 삽입부(234)의 구속 돌기(236)에 의해 구속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에 의해 기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전면(25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접착 및 기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22) 및 상기 도어(20)를 구성하는 추가의 구성들이 결합되고, 상기 도어(20)의 내부에는 발포액이 주입되어 상기 단열재(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24)의 성형시 발포액이 주입되더라도 상기 발포액은 상기 이너 케이스(25)와 캡 데코(23) 또는 이너 케이스(25)와 아웃 플레이트(21)의 사이로 침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구속 돌기(236)에 의해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보다 견고하게 구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구속 돌기(236)의 형상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켑데코와 이너 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캡 데코(23) 둘레의 플레이트 삽입부(235)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절곧된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상기 캡 데코(2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결합시 상기 케이스 상면(251)은 상기 캡 데코(23)의 상면부(233)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에 의해 사이 공간이 실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는 상기 캡 데코(2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이 상기 구속 돌기(237)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돌기(237)는 상기 수용 공간(25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 돌기(237)의 돌출된 단부의 높이는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의 위치보다 설정 높이(H)만큼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설정 높이는 1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충분한 걸림 구속 량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속 돌기(237)는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보다 전방으로 설정 높이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상면(251)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은 상기 구속 돌기(237)에 의해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후단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속 돌기(237)는 상면(237a)이 상기 캡 데코(23)의 상면부(233)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이 상기 구속 돌기(237)에 의해 견고하게 구속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면(237a)의 연장선과 상기 케이스 상면(251)의 구속단(251a) 사이는 설정 간격(G)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설정 간격(G)은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삽입 장착시 상기 케이스 상면(251)에 부착된 상부 실링부재(257b)의 압축량을 고려한 것으로,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장착시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가 압축되면서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설정 간격(G)은 상기 상부 실링부재(257b)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설정 간격(G)은 대략 0.3m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속 돌기(237)의 하면(237b)은 돌출될 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삽입될 때 상기 이너 케이스(25)의 구속단(251a)은 경사진 상기 하면(237b)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상기 캡 데코(23)에 완전히 구속되도록 결합되면, 상기 케이스 전면(25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의 내측면과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5)가 상기 캡 데코(23)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를 구성하는 도어 라이너(22)를 비록한 다른 구성들을 더 조립한 후 발포액을 주입하여 상기 도어(2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Claims (15)

  1.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며, 개구가 형성되는 캡 데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
    상기 도어 내측에서 상기 개구와 연통되며, 상기 단열재가 침투되지 않는 독립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를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캡 데코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단이 삽입 및 구속되는 케이스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캡 데코의 내면과 접하는 케이스 상면과;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내면에 접하는 케이스 전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면과 상기 케이스 전면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 및 캡 데코 사이를 기밀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압축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상면이 상기 케이스 삽입부에 삽입될 때 압축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면의 둘레에는 구속단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구속단과 걸림 구속되도록 돌출되는 구속돌기가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삽입부는 상기 캡 데코의 내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 상면의 둘레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케이스 삽입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상면의 후단을 구속하고,
    상기 케이스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구속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구속단을 상기 케이스 삽입부로 삽입시켜 상기 구속돌기와 걸림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하부를 상기 아웃 플레이트 측으로 회전시켜 고정되는 냉장고.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면과 상기 캡 데코의 사이를 기밀하는 압축성 소재로 된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속돌기의 상면과 상기 구속단의 하면 사이는 설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간격은 상기 실링부재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케이스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캡 데코와 접하는 상부 실링부재와;
    상기 케이스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접하는 하부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실링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일면이 접착되고, 상기 하부 실링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양면이 접착되는 냉장고.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는 돌출될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된 상면과, 돌출될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된 하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구속단의 하면과 나란히 연장되는 상면과, 돌출될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된 하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캡 데코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삽입부에는 상기 스크류 체결부가 수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 상면의 좌우 양측단과 후단은 상기 케이스 삽입부에 구속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전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 상면이 상기 케이스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구속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개구는 상기 케이스 삽입부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캡 데코에는 상기 데코 개구를 차폐하는 데코 커버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20200081020A 2020-07-01 2020-07-01 냉장고 KR102532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20A KR102532799B1 (ko) 2020-07-01 2020-07-01 냉장고
EP21182911.4A EP3933334B1 (en) 2020-07-01 2021-06-30 Refrigerator
US17/363,929 US11885557B2 (en) 2020-07-01 2021-06-30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20A KR102532799B1 (ko) 2020-07-01 2020-07-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44A KR20220003344A (ko) 2022-01-10
KR102532799B1 true KR102532799B1 (ko) 2023-05-16

Family

ID=7673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020A KR102532799B1 (ko) 2020-07-01 2020-07-01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85557B2 (ko)
EP (1) EP3933334B1 (ko)
KR (1) KR1025327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0934B2 (en) * 2013-04-08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81800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0032B1 (ko) 2015-10-05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CN106091526A (zh) 2016-06-23 2016-11-09 南京创维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门体显示组件及冰箱
KR102273092B1 (ko) * 2016-12-12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01889B1 (ko) * 2016-12-12 202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802059B (zh) 2016-12-27 2020-12-15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冷柜温显仪的下盖和冷柜温显仪
CN106839639B (zh) 2016-12-27 2021-04-16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冷柜温显仪和冷柜
KR20180080053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551391B1 (ko) * 2017-12-06 202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아웃 플레이트
DE102019203114A1 (de) * 2019-03-07 2020-09-10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Anzeige- und/oder Bedien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3334B1 (en) 2024-06-05
KR20220003344A (ko) 2022-01-10
US11885557B2 (en) 2024-01-30
EP3933334A1 (en) 2022-01-05
US20220003488A1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522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1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0B1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USRE49409E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736608B1 (ko) 냉장고
KR20180135987A (ko) 냉장고
CN115507615A (zh) 冰箱
KR20160076391A (ko)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20180067367A (ko) 냉장고
KR102532799B1 (ko) 냉장고
US11617278B2 (en) Household appliance
KR102338781B1 (ko) 냉장고
US11988436B2 (en) Refrigerator with a hidden display
AU2020264346B2 (en) Refrigerator
KR20220005231A (ko) 냉장고
KR102448186B1 (ko) 냉장고
AU2021202356B2 (en) Refrigerator
US20230314062A1 (en) Refrigerator
KR102486948B1 (ko) 냉장고
KR20170019774A (ko) 냉장고
KR20220005220A (ko) 냉장고
KR20220005332A (ko) 냉장고
JP2018124062A (ja) 冷蔵庫扉
JP2012057881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