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463B1 -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 Google Patents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463B1
KR102532463B1 KR1020220175830A KR20220175830A KR102532463B1 KR 102532463 B1 KR102532463 B1 KR 102532463B1 KR 1020220175830 A KR1020220175830 A KR 1020220175830A KR 20220175830 A KR20220175830 A KR 20220175830A KR 102532463 B1 KR102532463 B1 KR 102532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haft
floating
magnetic forc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선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7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01F33/453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supported or suspended stir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5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교반기의 교반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자력으로 부상시킴으로써 회전축의 마찰력을 줄여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는 부상식 축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은 자석교반기에 장착되는 교반용기의 뚜껑에 지지되어 상기 교반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교반하기 위한 축유닛에 있어서,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에 교반자석이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보다 큰 직경의 삽입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는 축지지대와, 축지지대를 상기 뚜껑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회전축을 자력에 의해 부상시키기 위한 자력부상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magnetic levitation axle unit}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교반기의 교반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자력으로 부상시킴으로써 회전축의 마찰력을 줄여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는 부상식 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분야에서 제품의 균질화, 침전 방지, 반응, 발효 등을 위해 교반기를 통하여 내용물을 교반시킴에 따라 원하는 물질의 회수나 제조를 실시하게 된다.
교반기는 교반하고자 하는 물질을 임펠러나 교반 날개 등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교반하게 된다. 하지만 임펠러나 교반 날개 등이 교반 구동하기 위해 회전되는 동력원인 모터와 연결되는 과정에서 교반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밀폐가 곤란하게 되어 교반 과정에서 이물질이 유입되어 교반 효율이 저하되거나 교반 물질이 구동부로 유입됨에 따라 장비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반기로서 자석 교반기가 사용되고 있다. 자석 교반기(magnetic stirrer)는 모터의 구동축에 자석을 장착하여 회전시키고 이 자석은 교반용기 안에 자석봉(magenetic bar)을 자력에 의하여 회전시키는 원리이다. 자석 교반기는 모터의 구동축에 교반날개를 연결하여 교반날개를 직접 회전시키는 일반 교반기보다 오염도가 낮고 사용이 편리하며 세척 및 살균등 사후 관리가 쉬운 것이 장점이다. 자석 교반기는 시약을 녹이거나 액체 시료를 균질화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78846호에 개시된 종래의 자석 교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자석(2)이 설치되어 전원 공급시 모터 회전에 따라 자석이 회전한다. 그리고 받침대(1) 위에 놓이는 교반용기(3) 내에 설치된 자석봉(4)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자석(2)의 자력에 의해 의해 회전하게 되어 교반용기(3) 내의 내용물을 교반한다.
교반용기(3)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봉(4)은 통상적으로 수직한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은 교반용기(3)의 뚜껑에 설치되는 지지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보통 지지체의 재질은 테플론(PTFE)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종래의 자석교반기는 모터에 설치된 자석과 교반용기에 설치된 자석봉의 간격이 커서 두 자석 간에 상호 인력이 약하여 자석봉의 회전속도와 회전력이 약해 교반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터에 설치된 자석이나 교반용기의 자석봉의 자력을 높일 수 있으나, 이 경우 지지체와 회전축간의 마찰이 커져서 회전력이 높아지지 않으며, 마찰에 의해 테플론이나 플라스틱의 재질의 지지체가 마모되어 시료를 오염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78846호: 자석 교반기의 모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모터에 설치된 자석과 교반용기에 설치된 자석봉의 자력을 높여 두 자석 상호 간에 인력을 상승시켜 자석봉의 회전력을 강화할 수 있는 부상식 축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에 설치된 자석과 교반용기에 설치된 자석봉의 자력 상승으로 인해 회전축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부상시킴으로써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체와의 비접촉 상태로 마찰이 없이 회전축의 회전이 가능한 부상식 축유닛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은 자석교반기에 장착되는 교반용기의 뚜껑에 지지되어 상기 교반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교반하기 위한 축유닛에 있어서,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에 교반자석이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큰 직경의 삽입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는 축지지대와; 상기 축지지대를 상기 뚜껑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회전축을 자력에 의해 부상시키기 위한 자력부상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자력부상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부상자석과, 상기 축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부상자석을 밀어올리는 하부고정자석과,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부상자석을 밀어내리는 상부고정자석을 구비한다.
부상자석은 상기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은 동일한 자력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부상자석은 상기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과 반대의 자력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진동방지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 1자석과, 상기 상기 축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자석과 반대의 자력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자석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자석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동일 높이에서 동심원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축지지대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을 상기 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개의 원형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축을 수직상으로 부상시킴으로써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대와 비접촉 상태로 마찰이 없이 회전축의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에 설치된 자석과 교반용기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높여 두 자석 상호 간에 인력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자석봉의 회전력 및 회전속도를 높여 교반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과 축지지대가 비접촉 상태로 마찰이 없으므로 마모로 인한 시료의 오염이 없으며 윤활제가 불필요하여 청정환경을 제공한다. 아울러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는 것이 장점이다.
도 1은 종래의 자석 교반기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상식 축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발췌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부상식 축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자석교반기는 내부에 모터(5)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는 교반용기(10)가 올려질 수 있도록 평평한 받침대(9)가 형성된다. 모터(5)의 구동축에는 봉 형상의 자석(7)이 설치된다. 자석(7)은 수평하게 누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자석(7)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자석(7)은 단면이 원형인 봉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터(5)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5)에 의해 자석(7)이 회전한다. 후술한 교반자석(23)과 구분의 편의상 모터(5)에 설치된 자석(7)을 구동자석이라 한다.
교반용기(11)는 받침대(9)의 상부에 올려진다. 교반용기(11)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교반용기(11)의 상부에는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13)이 결합된다. 뚜껑(13)은 교반용기(1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부상식 축유닛은 뚜껑(13)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교반용기(11)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상식 축유닛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에 교반자석(23)이 설치되는 회전축(21)과, 회전축(21)보다 큰 직경의 삽입홀(32)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회전축(21)이 삽입홀(32)을 통과하는 축지지대(31)와, 축지지대(31)를 뚜껑(13)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회전축(21)을 자력에 의해 부상시키기 위한 자력부상수단을 구비한다.
회전축(21)은 교반용기(11)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수직하게 설치된 회전축(21)의 하부에는 교반자석(23)이 설치된다. 교반자석(23)은 수평하게 누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교반자석(23)은 단면이 사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교반자석(23)은 단면이 원형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교반자석(23)은 구동자석(7)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교반자석(23)과 구동자석(7)은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극이 서로 반대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구동자석(7)이 회전하면 자력에 의해 교반자석(23)도 함께 회전한다.
축지지대(3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축지지대(31)는 회전축(21)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축지지대(31)의 중앙에는 원형의 삽입홀(32)이 형성된다. 삽입홀(32)은 축지지대(31)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길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된다. 회전축(21)은 삽입홀(32)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21)의 상부와 하부는 축지지대(31)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노출된다.
삽입홀(32)은 회전축(2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삽입홀(32)의 중심에 회전축(21)이 위치할 경우 회전축(21)의 외주면이 축지지대(31)에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는 축지지대(31)를 뚜껑(13)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는 축지지대(31)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41)과, 지지브라켓(41)을 뚜껑(13)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7)를 구비한다.
지지브라켓(41)은 중앙에 나사홀(42)이 형성된다. 나사홀(42)에 축지지대(31)의 상부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축지지대(31)의 상부에는 나사홀(42)에 체결되는 나사부(33)가 마련된다.
나사홀(42)을 사이에 두고 지지브라켓(41)의 양측에 스페이서부(43)가 각각 형성된다. 스페이서부(43)의 단부는 뚜껑(13)의 저면에 접촉한다.
고정부재(47)로 볼트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2개의 볼트를 고정부재(47)로 이용한다. 고정부재(47)는 스페이서부(43)와 뚜껑(13)을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된다.
상술한 고정부에 의해 축지지대(31)는 뚜겅(13)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자력부상수단은 회전축(21)을 자력에 의해 부상시켜 회전축(21)과 축지지대(31)간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킨다.
도시된 자력부상수단은 회전축(21)에 설치되는 부상자석(51)과, 축지지대(31)에 설치되어 부상자석(51)을 밀어올리는 하부고정자석(57)과, 뚜껑(13)에 설치되어 부상자석(51)을 밀어내리는 상부고정자석(59)을 구비한다.
부상자석(51)은 축지지대(31)의 상부로 노출된 회전축(21)의 상부에 설치된다. 부상자석(51)으로 중앙이 뚫려 있는 원형의 링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부상자석(51)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한다.
회전축(21)의 상부에 2개의 홈(25)(26)을 나란하게 형성시킨 후 각 홈에 스냅링(27)(29)을 결합시켜 부상자석(51)을 회전축(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부상자석(51)의 내측으로 회전축(21)을 억지로 끼워넣는 방식으로 부상자석(51)을 회전축(21)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고정자석(57)은 축지지대(31)의 상부에 설치된다. 하부고정자석(57)은 부상자석(51)을 척력으로 밀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하부고정자석(57)으로 중앙이 뚫려 있는 원형의 링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하부고정자석(57)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한다.
상부고정자석(59)은 뚜껑(13)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부고정자석(59)은 부상자석(51)을 척력으로 밀어내리는 역할을 한다. 상부고정자석(59)으로 중앙이 뚫려 있는 원형의 링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상부고정자석(59)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한다.
부상자석(51)은 하부고정자석(57)과 상부고정자석(59) 사이에 배치된다. 즉, 아래에서부터 하부고정자석(57), 부상자석(51), 상부고정자석(59)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부고정자석(57), 부상자석(51), 상부고정자석(59)은 상하로 정렬되어 일렬로 위치한다. 하부고정자석(57), 부상자석(51), 상부고정자석(59)은 동일한 형태 및 크기 그리고 동일한 자력세기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57)(59)은 동일한 자력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57)(59)은 아랫면이 S극이고, 윗면이 N극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달리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57)(59)은 아랫면이 N극이고, 윗면이 S극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상자석(51)은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57)(59)과 반대의 자력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부상자석(51)은 아랫면이 N극이고, 윗면이 S극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자석이 배치됨으로써 하부고정자석(57)과 부상자석(51)은 동일한 극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서로 척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상부고정자석(59)과 부상자석(51) 역시 동일한 극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서로 척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부상자석은 하부고정자석(57)과 부상자석(51) 사이에서 척력에 의해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회전축(21)이 부상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21)은 축지지대(31)의 상부와 접촉되지 않고 부상이 된다.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57)(59)은 고정된 자석이며, 부상자석(51)은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57)(59)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3개의 자석 세기가 모두 동일하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지 않으면 부상자석(51)은 자발적으로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57)(59)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게 된다.
축지지대(31)와 뚜껑(23)의 간격이 자석 간의 간격을 결정하게 된다. 각각의 자석(51)(57)(59) 두께가 3mm이고, 자석간(51)(57)(59)의 간격을 1mm로 할 경우 축지지대(31)와 뚜껑(13)의 최소 간격은 11mm가 된다.
실험 결과 실제 설계에서는 자석 두께와 같은 길이로 자석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즉, 각각의 자석(51)(57)(59)의 두께가 3mm이면, 축지지대(31)와 뚜껑(13)의 간격을 15mm로 설계하는 것이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직경이 20mm, 내경이 10mm, 두께가 3mm의 네오디뮴 영구자석은 약 2700 gauss 자력을 가지며, 최대 약 2.2kg의 무게를 갖는 회전축(21)을 부양할 수 있다. 일 예로 교반자석(23)의 무게는 약 120g이고, 회전축(21)의 무게는 약 20g으로 교반자석과 회전축의 총 무게는 140g이다. 따라서 2700gauss 자력을 갖는 자석은 실제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부양 능력을 갖는다.
상부고정자석(59)이 없어도 부양자석을 부양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상부고정자석(59)이 없으면 교반자석(23)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회전축(21)이 상하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상부고정자석(59)을 뚜껑(13)에 설치하면 회전축(21)의 상하 진동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교반자석(23)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하여 상부고정자석(59)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은 3개의 원형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축을 수직상으로 부상시킴으로써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대와 비접촉 상태로 마찰이 없이 회전축의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에 설치된 자석과 교반용기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높여 두 자석 상호 간에 인력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자석봉의 회전력 및 회전속도를 높여 교반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속도는 300rpm 이상까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과 축지지대가 비접촉 상태로 마찰이 없으므로 마모로 인한 시료의 오염이 없으며 윤활제가 불필요하여 청정환경을 제공한다. 아울러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는 것이 장점이다.
한편, 회전축(21)의 회전시 회전축(21)의 좌우 또는 전후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동방지수단은 회전축(21)에 설치되는 제 1자석(61)과, 축지지대(31)에 설치되어 제 1자석(61)과 반대의 자력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자(65)석을 구비한다.
제 1자석(61)은 회전축(21)을 감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제 1자석(61)은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자석(61)의 외경은 회전축(21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자석(61)은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2개 이상이 설치된다. 제 1자석(61)은 상하로 이격되어 적절한 위치에 2개 이상이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2개의 제 1자석(61)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 2자석(65)은 축지지대(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가령,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제 2자석(65)은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자석(65)의 내경은 삽입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자석(65)은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2개 이상이 설치된다. 제 2자석(65)은 상하로 이격되어 적절한 위치에 2개 이상이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2개의 제 2자석(65)이 축지지대(31)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 2자석(65)의 내경은 제 1자석(61)의 외경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자석(61)(65)이 동일 높이에 설치될 경우 제 1자석(61)은 제 2자석(65)의 내측에 위치되어 동심원상으로 배치된다.
제 1자석(61)과 제 2자석(65)은 동일 높이에 설치되어 동일한 극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 1자석(61)과 제 2자석(65)은 서로 척력이 작용하여 회전축(21)은 삽입홀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이에 따라 교반자석이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축(21)의 전후 또는 좌우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모터 7: 구동자석
21: 회전축 23: 교반자석
31: 축지지대 41: 지지브라켓
51: 부상자석 57: 하부고정자석
59: 상부고정자석

Claims (7)

  1. 삭제
  2. 자석교반기에 장착되는 교반용기의 뚜껑에 지지되어 상기 교반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교반하기 위한 축유닛에 있어서,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에 교반자석이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큰 직경의 삽입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는 축지지대와;
    상기 축지지대를 상기 뚜껑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회전축을 자력에 의해 부상시키기 위한 자력부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력부상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부상자석과, 상기 축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부상자석을 밀어올리는 하부고정자석과,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부상자석을 밀어내리는 상부고정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부상자석은 상기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은 동일한 자력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부상자석은 상기 하부 및 상부고정자석과 반대의 자력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4. 자석교반기에 장착되는 교반용기의 뚜껑에 지지되어 상기 교반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교반하기 위한 축유닛에 있어서,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에 교반자석이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보다 큰 직경의 삽입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는 축지지대와;
    상기 축지지대를 상기 뚜껑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회전축을 자력에 의해 부상시키기 위한 자력부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 1자석과, 상기 상기 축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자석과 반대의 자력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자석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동일 높이에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축지지대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을 상기 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KR1020220175830A 2022-12-15 2022-12-15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KR102532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830A KR102532463B1 (ko) 2022-12-15 2022-12-15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830A KR102532463B1 (ko) 2022-12-15 2022-12-15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463B1 true KR102532463B1 (ko) 2023-05-12

Family

ID=8638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830A KR102532463B1 (ko) 2022-12-15 2022-12-15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4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46Y1 (ko) * 2013-07-30 2014-02-18 주식회사 에이제이씨 교반기
KR101944452B1 (ko) * 2018-10-22 2019-04-18 주식회사 에이제이씨 자석에 의해 밀폐 상태로 구동 가능한 교반기
KR20220078846A (ko) 2020-12-04 2022-06-13 헵시바주식회사 자석 교반기의 모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46Y1 (ko) * 2013-07-30 2014-02-18 주식회사 에이제이씨 교반기
KR101944452B1 (ko) * 2018-10-22 2019-04-18 주식회사 에이제이씨 자석에 의해 밀폐 상태로 구동 가능한 교반기
KR20220078846A (ko) 2020-12-04 2022-06-13 헵시바주식회사 자석 교반기의 모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3757B2 (en) Device for stirring
US10695730B2 (en) Magnetic coupling assembly for coupling stir bar in magnetic stirrer mixer and magnetic stirrer mixer using the same
KR101931873B1 (ko) 비접촉 부양식 마그네틱 교반기
US7396153B2 (en) Ultraclean magnetic mixer
US7059762B2 (en) Three-dimensional-motion-like rotational blend device
US20170007972A1 (en) Magnetic Stirr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50367302A1 (en) Magnetic agitator mixing system and an agitator mixing stand
JP2007136443A (ja) 撹拌子および撹拌装置
KR102532463B1 (ko) 자력을 이용한 부상식 축유닛
JP2018118243A (ja) 攪拌容器のための攪拌機
KR20210033223A (ko) 마그네틱 교반기용 임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교반기
KR101413712B1 (ko) 연마재교반장치
EP0360767A1 (en) Magnetic drive stirring unit
JPH03196827A (ja) ミキシング装置
CN214715781U (zh) 一种卫生型罐内搅拌轴防抖动装置及搅拌罐
JPH10192679A (ja) 撹拌用回転子及び撹拌装置
KR102501686B1 (ko) 무동력으로 회전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수직 교반기
KR102290703B1 (ko) 수부싱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교반기
KR20210132452A (ko) 마그네틱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반 시스템
JPH08332369A (ja) 磁気回転伝達装置、撹拌子、撹拌装置および磁気軸受
CN214076321U (zh) 一种带有振荡功能的搅拌装置
CN218795484U (zh) 一种卧式全密封单轴高温超导磁悬浮无菌搅拌器
CN217549515U (zh) 一种浆料搅拌设备
KR20110010591A (ko) 교반장치
JPH0745191Y2 (ja) 冷菓原料液撹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