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289B1 - 유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289B1
KR102532289B1 KR1020200165571A KR20200165571A KR102532289B1 KR 102532289 B1 KR102532289 B1 KR 102532289B1 KR 1020200165571 A KR1020200165571 A KR 1020200165571A KR 20200165571 A KR20200165571 A KR 20200165571A KR 102532289 B1 KR102532289 B1 KR 10253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tatic pressure
unit
duc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702A (ko
Inventor
김용남
Original Assignee
(주)한국송풍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송풍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송풍기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21007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40Details of construction of the flow constriction devices
    • G01F1/46Pitot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산업용 송풍기의 송풍덕트에 설치되는 피토우 유닛과, 피토우유닛에 연결되어 유량을 검출하여 송신하는 검출 및 송신부와, 검출 및 송신부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유량 측정장치{AN APPARATUS FOR MEASURING RATE OF DISCHARGE}
본 발명은 시멘트, 철강, 발전소, 소각장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송풍기의 풍량 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송풍기는 시멘트, 철강, 발전소, 소각장 등에 사용되는 대용량으로서, 구동시 일방적으로 시설의 외부 또는 내부의 공기를 특정 공간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산업용 송풍기는 단순히 송풍기의 구동을 통해서 온/오프 동작만을 하도록 된 것으로서, 송풍기의 가동 상태에 따른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구성이 없기 때문에, 중앙 제어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연동 및 구동상태를 조절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사용자가 보일러의 팬이나 덕트 등에 직접 모니터링을 위한 별도의 장비 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설치 및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장치 설비에 최적화된 모니터링 장치를 적용하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20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산업용 송풍기에 설치되어 유량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유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량 측정장치는, 산업용 송풍기의 송풍덕트에 설치되는 피토우 유닛; 상기 피토우유닛에 연결되어 유량을 검출하여 송신하는 검출 및 송신부; 상기 검출 및 송신부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산업용 대형 송풍기에 연결되는 송풍 덕트를 통과하는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토우유닛은, 상기 송풍 덕트에 연결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에서 유체 이동방향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연결덕트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이격되게 고정 지지되고,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압 측정관; 상기 연결덕트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이격되게 고정 지지되고,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정압 측정관; 상기 연결덕트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전압 측정관에 연결되어 전압을 포집하고, 포집된 전압을 상기 검출 및 송신부로 전달하는 전압포집모듈; 및 상기 연결덕트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정압 측정관에서 연결되어 정압을 포집하고, 포집된 정압을 상기 검출 및 송신부로 전달하는 정압포집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송풍 덕트에 모듈화된 피토우유닛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의 중심에 배치되며 유속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을 가지는 중심링; 및 상기 중심링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내주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프레임은 상기 중심링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60°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연결덕트 내에 전압측정관과 정압측정관을 원하는 위치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측정관은, 상기 연결프레임에 고정되며, 유속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선단에 측정용 구멍이 형성되고 중공을 가지는 전압측정관부; 상기 전압측정관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결덕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중공을 가지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의 외측 끝단에 설치되어 전압 전달관에 의해 상기 전압포집모듈과 연결되는 전달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송풍덕트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복수 위치에서 측정하여 평균값을 통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ㄷ사.
또한, 상기 정압측정관은, 상기 복수의 전압 측정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유속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외주에 복수의 정압측정공이 형성되는 정압측정관부; 상기 정압측정관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정압측정공에 연통되는 중공을 가지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압포집모듈에 연결되는 연결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송풍덕트의 전압과 정압을 별도로 각각 측정하되, 복수 위치의 평균값을 획득하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포집모듈은,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에 설치되는 모듈 본체; 및 상기 각각의 전압측정관을 상기 모듈 본체와 연결하는 전압 전달관;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복수의 전압관이 연결되는 복수의 전압 유입부와, 포집된 전압을 배출하여 제1압력 전달라인을 통해 상기 검출 및 송신부로 전달하는 포집 전압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송풍덕트 내의 유량을 복수 위치에서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포집하여 평균값을 용이하게 획득하여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정압포집모듈은, 상기 연결덕트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듈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정압 측정관을 상기 모듈 본체에 연결하는 정압 전달관;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정압 전달관이 연결되는 복수의 정압 유입부와, 상기 검출 및 송신부와 연결되는 제2압력 전달라인이 연결되는 정압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복수 정압측정관에서 측정된 정압을 포집하여 평균값을 얻음으로써, 유량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수집된 다수 송풍기의 모니터링정보를 근거로 송풍기들의 구동을 제어하고, 송풍기 모니터링정보와 구동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형 송풍기의 구동에 의한 유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송풍기의 구동을 자동 제어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원격에서 단말기고 확인 및 제어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량 측정장치에 따르면, 산업용 송풍기에 유량측정장치를 설치하여 송풍량 즉, 유량을 실시간을 정밀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정밀 측정한 유량정보를 근거로 하여 산업용 송풍기의 구동을 중앙제어부와 연계하여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피토우유닛을 모듈화하여 송풍덕트에 직접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설치, 수리 및 교환장착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전압측정관과 정압측정관을 별도로 각각 설치하되, 일정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송풍덕트 내의 복수 위치에서의 유량의 평균값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측정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 측정장치가 적용된 송풍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 측정장치의 피토우유닛을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토우유닛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압포집모듈 및 정압포집모듈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압측정관을 발췌하여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정압측정관을 발췌하여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 측정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량 측정장치는 산업용 송풍기의 송풍덕트에 설치되는 피토우 유닛(100)과, 피토우유닛(100)에 연결되어 유량을 검출하여 송신하는 검출 및 송신부(200)와, 상기 검출 및 송신부(200)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300)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측정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송풍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4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10)는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대형으로서, 일측에 연결되는 송풍덕트(20)를 통해서 대량의 유체를 강제로 송풍시킨다.
상기 피토우 유닛(100)은, 송풍덕트(20)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원통형의 연결덕트(110)와, 상기 연결덕트(110)의 내부에서 유체 이동방향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압 측정관(130)과,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복수의 정압 측정관(140), 연결덕트(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압포집모듈(150)과, 연결덕트(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정압포집모듈(160)과, 상기 전압포집모듈(150)과 정압포집모듈(160)을 상기 검출 및 송신부(200)로 전달하는 제1 및 제2압력 전달라인(171,173)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덕트(110)는 송풍덕트(20)에 대응되는 관 구조를 가지는 덕트 몸체(111)와, 덕트 몸체(111)의 양단 각각에 확장 형성되는 결합플랜지(113)를 가진다. 결합플랜지(113)는 송풍덕트(20)에 마련되는 결합플랜지와 접하여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연결덕트(110)의 내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링(121)과, 상기 중심링(121)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연결덕트(110)의 내주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123)을 구비한다. 중심링(121)은 중공을 가지는 링 또는 관 구조를 가지며, 연결덕트(110)의 중심에 배치되어 유속이 중공으로 통과하도록 하여 저항을 최소화하여 와류 발생을 억제하여 유량측정의 오차를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23)은 중심링(1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6개가 60°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전압측정관(130)은 각 연결프레임(123)마다 복수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연결프레임(123) 마다 4개씩 총 24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압측정관(130)은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구조로서, 중공(h1)을 가지고, 선단에 압력전달을 위한 측정용 구멍(h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전압측정관(130)은 연결프레임(123)에 고정되며, 유속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압측정관부(131)와, 전압측정관부(131)에서 절곡되어 연결덕트(11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관부(133)를 가진다. 전압측정관부(131)에서 연결관부(133)는 90°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연결덕트(110)를 관통하여 고정 결합된다. 하나의 연결프레임(123)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압측정관(130)은 전체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전압측정관부(131)의 선단은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곡선형 즉,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에 측정용 구멍(h2)이 형성된다. 연결덕트(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관부(133)의 끝단에는 전압 전달관(153)이 결합되는 전달관 결합부(135)가 결합된다.
상기 정압 측정관(140)은 덕트 내의 속도분포 중 정압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연결프레임(123)마다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각 연결프레임(123)마다 한 개씩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정압 측정관(140)은 복수의 전압 측정관(1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정압측정관(14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23)에 결합되고 유속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정압측정관부(141)와, 정압측정관부(141)에서 절곡 연장되어 연결덕트(110)의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연결관부(143)를 가진다. 연결관부(143)의 외측 단부에는 정압 전달관(163)이 결합되는 전달관 결합부(145)가 결합된다. 정압측정관부(143)의 선단은 막힌 구조로서, 유속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정압측정관부(143)에는 선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정압측정공(h3)이 형성된다. 정압측정공(h3)은 정압측정관부(143)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6개가 60°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정압측정공(h3)은 정압 측정관(14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정압 전달경로(h4)와 수직으로 연결된다. 정압 전달경로(h4)는 정압 측정관(140)의 외측 단부 즉, 연결덕트(110) 외부의 호스 결합부(145)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압포집모듈(150)은 연결덕트(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모듈 본체(151)와, 상기 각각의 전압측정관(130)을 모듈 본체(151)와 연결하는 전압 전달관(153)을 구비한다. 모듈 본체(151)에는 복수의 전압관(151)이 연결되는 전압 유입부(151a)와, 포집된 전압을 배출하는 포집 전압 배출부(151b)를 가진다. 모듈 본체(151)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덕트(110) 외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전압을 각각의 전압 전달관(153)을 통해 전달된 전압이 모이는 공간이 형성된다. 모듈 본체(151)에 상기 전압 유입부(151a)가 복수 열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 측정관(130)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 포집전압 배출부(151b)는 모듈 본체(151)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압력 전달라인(171)이 연결되어, 포집된 전압을 배출하여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전압 전달관(153)은 각각의 전압 측정관(130)과 모듈본체(151)의 전압 유입부(151a)를 연결하도록 복수 설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압 측정관(130)으로 전달되는 전압이 전압포집모듈(150)의 모듈 본체(151)로 포집되고, 포집된 전압은 제1압력 전달라인(171)을 통해 검출 및 송신부(200)로 전달되어 유량의 평균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이로써, 송풍덕트(20) 내의 중심부와 외관부에서의 평균적인 전압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압포집모듈(160)은 연결덕트(11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듈 본체(161)와, 복수의 정압 측정관(140)을 모듈 본체(161)에 연결하는 정압 전달관(163)을 구비한다. 모듈 본체(161)에는 정압 전달관(163)이 연결되는 복수의 정압 유입부(161a)와, 상기 제2압력 전달라인(173)이 연결되는 정압 배출부(161b)가 설치된다. 이로써, 복수의 정압 측정관(140)에서의 정압은 정압포집모듈(160)에서 포집되고, 포집된 정압은 제2압력 전달라인(173)을 통해 검출 및 송신부(200)로 전달된다. 따라서, 송풍덕트(20) 내에서 평균적인 정압을 측정하여 산출이 가능해진다.
상기 검출 및 송신부(200)는 상기 전압포집모듈(150)에서 포집되어 전달되는 압력과, 정압포집모듈(160)에서 포집되어 전달되는 압력 즉, 차압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압정보를 통해 풍량과 풍속을 산출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서 데이터수집부(300)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300)에서는 수집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한편, 중앙제어부(400)에서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를 제공하여 준다.
중앙제어부(400)는 송풍기(10)의 구동시 송풍덕트(20)내에서는 차압, 풍속, 풍량을 모니터링한 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송풍기(10)의 구동을 적정 수준으로 구동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제어부(400)는 송풍기(10)를 설정된 차압, 풍속 및 풍량을 적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자동 운전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400)에 의해 송풍기 구동정보와, 송풍덕트(20)의 모니터링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기(500)에 송풍기 운전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중앙제어부(400)로부터 송풍기 운전 정보가 전달되어 관리자가 확인하거나, 직접 송풍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중앙 제어부(400)는 건물이나 시설의 산업용 송풍기에서 측정된 유량 즉, 송풍량에 대한정보들을 분석하여 전체 건물이나 시설의 송풍기들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구동 제어할 수도 있다. 이로써, 전체 송풍기의 구동을 최적의 상태로 운행할 수 있게 되어, 과도한 운전을 방지하고 운전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여 비용을 줄이고,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 환경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풍 덕트(20)와, 연결덕트(110)가 원통형인 것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예를 들어 사각 통 구조와 같이 각진 형태의 덕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진 형상의 송풍덕트와 연결덕트에 상기 구성의 피토우유닛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송풍기 20..송풍 덕트
100..피토우 유닛 110..연결덕트
120..지지프레임 130..전압 측정관
140..정압 측정관 150..전압포집모듈
160..정압포집모듈 200..검출 및 송신부
300..데이터 수집부 400..중앙제어부

Claims (8)

  1. 산업용 송풍기의 송풍덕트에 설치되는 피토우 유닛;
    상기 피토우유닛에 연결되어 유량을 검출하여 송신하는 검출 및 송신부;
    상기 검출 및 송신부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토우유닛은,
    상기 송풍 덕트에 연결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에서 유체 이동방향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연결덕트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이격되게 고정 지지되고,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압 측정관;
    상기 연결덕트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이격되게 고정 지지되고,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정압 측정관;
    상기 연결덕트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전압 측정관에 연결되어 전압을 포집하고, 포집된 전압을 상기 검출 및 송신부로 전달하는 전압포집모듈; 및
    상기 연결덕트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정압 측정관에서 연결되어 정압을 포집하고, 포집된 정압을 상기 검출 및 송신부로 전달하는 정압포집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의 중심에 배치되며 유속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을 가지는 중심링; 및
    상기 중심링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내주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프레임은 상기 중심링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60°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측정관은,
    상기 연결프레임에 고정되며, 유속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선단에 측정용 구멍이 형성되고 중공을 가지는 전압측정관부;
    상기 전압측정관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결덕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중공을 가지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의 외측 끝단에 설치되어 전압 전달관에 의해 상기 전압포집모듈과 연결되는 전달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측정관은,
    상기 복수의 전압 측정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유속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외주에 복수의 정압측정공이 형성되는 정압측정관부;
    상기 정압측정관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정압측정공에 연통되는 중공을 가지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압포집모듈에 연결되는 연결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포집모듈은,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에 설치되는 모듈 본체; 및
    상기 각각의 전압측정관을 상기 모듈 본체와 연결하는 전압 전달관;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복수의 전압관이 연결되는 복수의 전압 유입부와, 포집된 전압을 배출하여 제1압력 전달라인을 통해 상기 검출 및 송신부로 전달하는 포집 전압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포집모듈은,
    상기 연결덕트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듈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정압 측정관을 상기 모듈 본체에 연결하는 정압 전달관;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정압 전달관이 연결되는 복수의 정압 유입부와, 상기 검출 및 송신부와 연결되는 제2압력 전달라인이 연결되는 정압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장치.
  8.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수집된 다수 송풍기의 모니터링정보를 근거로 송풍기들의 구동을 제어하고, 송풍기 모니터링정보와 구동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장치.
KR1020200165571A 2019-12-09 2020-12-01 유량 측정장치 KR102532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01 2019-12-09
KR20190162701 2019-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702A KR20210072702A (ko) 2021-06-17
KR102532289B1 true KR102532289B1 (ko) 2023-05-12

Family

ID=7660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571A KR102532289B1 (ko) 2019-12-09 2020-12-01 유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1842B (zh) * 2021-08-20 2023-12-12 宁波水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流量特性能够调节的水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2117A1 (en) * 2009-04-22 2010-10-28 Syddansk Universitet Ventilation system involving ultrasonic flow measure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3640A1 (en) * 1993-05-17 1994-11-18 Thomas A. Berger Airflow measuring centrifugal fan
US6843110B2 (en) * 2002-06-25 2005-01-18 Fluid Components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ating the accuracy of a flowmeter
KR20100062020A (ko) 2008-12-01 2010-06-10 이유형 산업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2117A1 (en) * 2009-04-22 2010-10-28 Syddansk Universitet Ventilation system involving ultrasonic flow measur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702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289B1 (ko) 유량 측정장치
TWI684754B (zh) 吸入性取樣系統之改良技術
CN107664523A (zh) 一种矩阵式全烟气流量测量装置和方法
CN115683286A (zh) 一种非均匀风场风道的风量测量校正方法
CN115683242A (zh) 一种非均匀风场矩形风道的风量测量系统
CN210863063U (zh) 换热管在线检漏装置
CN201382801Y (zh) 用于高温、高粉尘环境的雷达物位计
CN111306689A (zh) 一种地下通风系统
CN213364805U (zh) 风筒风速测定装置
CN215765170U (zh) 一种排烟系统及脱硫脱硝生产线
CN219244698U (zh) 一种污水测量装置
CN219656117U (zh) 一种改进锅炉空预器差压测量方式的装置
CN216792266U (zh) 一种组合式空调毕托管及空调器
CN217502056U (zh) 一种风机性能检测装置
CN217763845U (zh) 风量测控装置
CN211206553U (zh) 一种对穿式超声波气体流速仪
CN218035287U (zh) 一种流量计用多气源检测比对装置及其布装结构
CN111412007B (zh) 一种矿井通风装置
CN216244341U (zh) 蒸汽吹灰器密封结构
CN216409910U (zh) 一种摆臂式吹灰器
CN216283421U (zh) 一种离型纸全自动平滑度测试仪
CN214251202U (zh) 一种燃气表外挂式漏气监测系统
CN219266330U (zh) 耐腐蚀耐高温皮托管
CN218156644U (zh) 一种煤粉炉引风机出口压力测量装置
CN103837568A (zh) 一种多管土壤-空气对流换热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