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235B1 -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235B1
KR102532235B1 KR1020220181581A KR20220181581A KR102532235B1 KR 102532235 B1 KR102532235 B1 KR 102532235B1 KR 1020220181581 A KR1020220181581 A KR 1020220181581A KR 20220181581 A KR20220181581 A KR 20220181581A KR 102532235 B1 KR102532235 B1 KR 10253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on
exhaust
blower
sp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이재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Priority to KR1020220181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7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removing rad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8Rad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급기 및/또는 배기 방식을 이용하여 건물의 실내공간을 비롯하여 천장공간부, 벽체공간부, 및/또는 바닥공간부 등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포함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건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석고보드 등에서 발생되는 라돈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실내공간에 존재하는 라돈을 포함한 공기를 건물 밖으로 배출하여 실내로 들어오는 라돈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RADON EMISSIONS SYSTEM FOR REDUCTION RADON EMITTED FROM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돈(Radon, Rn)은 3.8일의 반감기로 알파 붕괴를 일으키는 자연 방사성 기체(radioactive gas)의 일종으로 무색, 무취 및 불활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고, 주로 건물의 바닥 지반으로부터 건축물의 균열 등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나 건축물 축조 시 사용되는 시멘트와 토사, 및 기타 내외장재에 포함된 우라늄 붕괴물로부터도 발생되어 실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라돈이 호흡기를 통해 폐로 들어가면 폐 속의 세포를 죽여 암을 유발시키는 주범이 되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미국 환경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은 라돈을 흡연 다음으로 폐암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물질로 규정하고, 실내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관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라돈은 실외공기나 지하수 중에도 존재하지만 실내공기를 통한 노출이 대략 95% 정도로서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라돈은 지구에서 가장 무거운 기체 성질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일단 실내로 유입되면 잘 빠져나가지 않고 누적되며, 사람의 호흡을 통해 라돈이 폐 속으로 들어가 붕괴되면서 알파 방사선을 방출하는데, 알파 방사선은 헬륨의 원자핵(He2+)으로 베타나 감마선보다 투과력은 약하지만 상대적으로 질량이 커서 폐 세포의 파괴를 일으킨다.
한편, 일반인에 대한 방사선 노출의 주요 원인인 라돈 가스는 건물 주변을 감싸고 있는 토양이나 자갈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상으로 이동하며, 이는 건물의 공간이나 콘크리트의 기공 등을 통해 실내로 침투하게 되며, 이와 같이 주변 토양으로부터 침투하는 라돈이 실내 라돈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콘크리트, 석고보드, 타일, 자갈, 벽돌 등의 건축자재 또한 실내 라돈의 오염원이 된다.
또한, 라돈은 물에 잘 용해되므로 지하수의 이동을 통해 실내에 유입되기도 하고, 물을 통한 실내 이동은 콘크리트의 기공을 통한 모세관 현상이나 수압으로 인해 침투하게 되며, 실내의 온도가 높거나 실내의 압력이 낮을수록 더 많은 량의 라돈 가스가 실내로 유입된다.
또한, 시멘트, 콘크리트 등 다양한 건축자재에서는 라돈 가스 뿐만 아니라 휘발성 유기물질, 무기가스, 중금속 등 다양한 유해한 물질을 자체적으로 방출할 잠재적 위험성이 존재한다.
즉, 건축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타일, 석고보드 등에는 미량이지만 라듐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건축물을 시공한 후, 콘크리트나 타일, 석고보드 등에 포함된 라듐이 핵분열하면서 라돈 가스가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라돈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에 축적되어,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977707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면에 라돈을 차단하는 마감재 등을 도포하거나, 콘크리트에 라돈 가스의 방출을 억제하는 차단제를 혼합하여 라돈 가스에 의한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콘크리트 벽면이나, 타일, 석고보드에서 발생되는 라돈 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를 효과적으로 막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
한편, 실내로 유입되는 라돈 가스의 저감을 위해서는 주로 거주자에 의한 주기적인 환기 등이 필요하나, 추운 겨울철이나 야간의 경우에는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거주자가 라돈 가스에 노출됨으로써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977707호(2010.08.25.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기 및/또는 배기 방식을 이용하여 건물의 실내공간을 비롯하여 천장공간부, 벽체공간부, 및/또는 바닥공간부 등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포함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건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석고보드 등에서 발생되는 라돈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실내공간에 존재하는 라돈을 포함한 공기를 건물 밖으로 배출하여 실내로 들어오는 라돈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실내공간에 마련된 천장공간부와 상기 실내공간에 상기 천장공간부와 서로 연통되도록 마련된 벽체공간부가 구비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은 실외에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급기흡입부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실내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배출부를 구비하는 급기덕트; 상기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실내공간과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의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흡입부를 구비하고, 타단은 실외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배기덕트; 상기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천장공간부 간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는 천장배기관; 상기 천장배기관과 상기 배기덕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천장배기관 및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가변형 개폐장치; 상기 급기덕트 상에 구비되며, 실외공기를 공급공기로서 상기 실내공간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급기송풍기; 상기 배기덕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실내공간의 실내공기를 배출공기로서 실외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기송풍기; 및 기 설정된 환기모드에 따라 상기 천장배기관을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 또는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기덕트의 일부는 상기 급기덕트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배출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물은, 상기 실내공간의 바닥에 구비된 바닥슬래브에 일정한 높이의 바닥공간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배선이나 배관을 매립하도록 액세스 플로어 패널이 설치된 이중 바닥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공간부는 상기 벽체공간부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물은, 상기 실내공간의 바닥에 구비된 바닥슬래브에 일정한 높이의 바닥공간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배선이나 배관을 매립하도록 액세스 플로어 패널이 설치된 이중 바닥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공간부와 상기 천장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공간부의 내부 공기가 상기 배기덕트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기덕트와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공기이동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물은, 복수의 세대와 층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으로 이루어지되, 각 세대별로 적어도 하나의 실내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천장공간부가 마련되고, 각 실내공간에 각 천장공간부와 서로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벽체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급기덕트, 상기 배기덕트, 상기 천장배기관, 및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는 각 세대별 각 실내공간에 마련된 각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된 각 급기덕트 간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하나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각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된 각 배기덕트 간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기 설정된 제1 환기모드에 따라 상기 천장배기관을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시켜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제2 환기모드에 따라 상기 천장배기관을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폐쇄시켜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환기모드를 기 설정된 수행주기에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환기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환기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장치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환기모드로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환기모드와 다른 기 설정된 제3 환기모드에 따라 상기 천장배기관을 기 설정된 제1 개방율로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기 설정된 제2 개방율로 개방시켜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와 함께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동시에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환기모드를 기 설정된 수행주기에 따라 순차적 또는 랜덤하게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3 환기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장치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환기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기모드로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개방율은,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내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측정기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라돈 농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환기모드보다 우선 순위로 상기 천장배기관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개방시켜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가 기 설정된 가동율로 기 설정된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기 설정된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천장배기관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폐쇄시켜 상기 실내공간에 마련된 천장공간부와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동율로 상기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제어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에서 기 설정된 증가 가동율만큼 더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3 제어모드를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이 최대 가동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내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측정기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라돈 농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환기모드보다 우선 순위로 상기 천장배기관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개방시켜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가 기 설정된 가동율로 기 설정된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1a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기 설정된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의 현재 가동율에서 기 설정된 증가 가동율만큼 더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1b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b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의 현재 가동율이 최대 가동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b 제어모드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가 최대 가동율로 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천장배기관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폐쇄시켜 상기 실내공간에 마련된 천장공간부와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동율로 상기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2a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에서 상기 증가 가동율만큼 더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2b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a 및 제2b 제어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b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이 최대 가동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2b 제어모드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가 최대 가동율로 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점검 안내를 위한 기 설정된 점검 안내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에 따르면, 급기 및/또는 배기 방식을 이용하여 건물의 실내공간을 비롯하여 천장공간부, 벽체공간부, 및/또는 바닥공간부 등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포함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건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석고보드 등에서 발생되는 라돈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실내공간에 존재하는 라돈을 포함한 공기를 건물 밖으로 배출하여 실내로 들어오는 라돈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제1 예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제2 예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제3 예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제4 예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열교환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제1 예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제2 예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제3 예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제4 예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열교환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은, 크게 급기덕트(100), 배기덕트(150), 천장배기관(200), 가변형 개폐장치(250), 급기송풍기(300), 배기송풍기(350), 제어장치(450), 및 전원공급장치(5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은 전열교환기(400), 사용자 입력장치(550), 라돈측정기(600)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건물(10)(예컨대, 빌딩, 상가, 단독주택, 학교, 군부대, 아파트, 다세대 주택, 연립 주택, 빌라, 오피스텔 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실내공간(11)(예컨대, 방, 사무실, 컴퓨터실, 전기실, 방재실, 클린룸 등)이 구비되어 있고, 각 실내공간(11)에는 통상적으로 천장슬래브(RS)와 천장내장재(RI) 사이에 천장공간부(11a) 및 벽면슬래브(WS)와 벽면내장재(WI) 사이에 천장공간부(11a)와 서로 연통되도록 벽체공간부(11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건물(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실내공간(11)의 바닥에 구비된 바닥슬래브(FS)에 일정한 높이의 바닥공간부(11c)가 형성되어 별도의 배선이나 배관을 매립하도록 액세스 플로어 패널(Access Floor Panel, AFP)이 설치된 이중 바닥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공간부(11c)는 벽체공간부(11b)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는 컴퓨터의 활용이 증대되는 정보화 시대에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인 사무 공간 확보를 위해 시공되는 것으로, 바닥의 상부에 낮게는 약 20㎝에서부터 높게는 약 50~60㎝까지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띄워 다른 바닥재를 얹은 뒤 그 사이에 전기선, 통신선 등 케이블을 몰아넣는 이른바 이중 바닥재 마감 방식이다.
이러한 액세스 플로어는 바닥 콘크리트 상부에 격자형 프레임이 지지되는 지주대(I)를 설치하고, 격자형 프레임의 형상에 맞는 바닥 패널을 조립하여 시공되는 것으로, 바닥 패널을 쉽게 분리, 조립할 수 있어 현장의 각종 설비를 매립된 각종 배선이나 배관에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물(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공간부(11c)와 천장공간부(11a)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공간부(11c)의 내부 공기가 배기덕트(150)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기덕트(150)와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공기이동관(12)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이동관(12)은 각 실내공간(11)의 벽면에 설치되거나 벽체공간부(11b)의 내부에 매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건물(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세대와 층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예컨대, 아파트, 다세대 주택, 연립 주택, 빌라, 오피스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세대별로 적어도 하나의 실내공간(11)이 구비되어 있고, 각 실내공간(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천장공간부(11a)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 실내공간(11)에 각 천장공간부(11a)와 서로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벽체공간부(11b)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급기덕트(100), 배기덕트(150), 천장배기관(200), 및 가변형 개폐장치(250)는 각 세대별 각 실내공간(11)에 마련된 각 천장공간부(11a)의 내부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천장공간부(11a)의 내부에 설치된 각 급기덕트(100) 간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하나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각 천장공간부(11a)의 내부에 설치된 각 배기덕트(150) 간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하나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급기덕트(100)는 건물(10)의 각 실내공간(11)에 마련된 천장공간부(11a)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 그 일단은 실외에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급기흡입부(101)를 구비하고, 그 타단은 각 실내공간(11)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배출부(10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배기덕트(150)는 건물(10)의 각 실내공간(11)에 마련된 천장공간부(11a)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 그 일단은 각 실내공간(11)과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각 실내공간(11)의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흡입부(151)를 구비하고, 그 타단은 실외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배출구(15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배기덕트(150)의 일부는 급기덕트(100)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천장배기관(200)은 건물(10)의 각 실내공간(11)에 마련된 천장공간부(11a)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기덕트(150)와 천장공간부(11a) 간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천장공간부(11a)와 벽체공간부(11b) 및/또는 바닥공간부(11c)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를 배기덕트(150)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변형 개폐장치(250)는 건물(10)의 각 실내공간(11)에 마련된 천장공간부(11a)의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천장배기관(200)과 배기덕트(150)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의 제어 즉, 후술하는 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천장배기관(200) 및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변형 개폐장치(250)는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 및/또는 천장배기관(200)을 통해 순환하고 있는 공기의 흐름에 대해 방향,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통상의 자동 전동 댐퍼(Damper) 등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 및/또는 천장배기관(200)의 입구 또는 통로를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 및/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미도시된 소통창과, 상기 소통창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소통창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와, 제어장치(450)에 의해 작동하면서 각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나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급기송풍기(300)는 급기덕트(100) 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실외공기를 공급공기로서 각 실내공간(11)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기송풍기(350)는 배기덕트(150) 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각 실내공간(11)의 실내공기를 배출공기로서 실외 측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는 제어장치(45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고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키는 공지의 것으로,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급기덕트(100) 및 배기덕트(150)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실내 및/또는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는 정속형 배기팬이 아닌 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풍량을 가변할 수 있는 풍량가변형 배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는 전열교환기(400)의 하우징 즉, 본체케이싱(405)의 내측에 배치된 급기덕트(100) 및 배기덕트(150)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공기의 급기와 배기가 용이하도록 적절한 위치를 설정하여 급기덕트(100) 및 배기덕트(150) 상의 어느 위치든 상관없이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장치(4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특히 기 설정된 환기모드에 따라 천장배기관(200)을 일부 및/또는 전체적으로 폐쇄 및/또는 개방시킴과 동시에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를 일부 및/또는 전체적으로 개방 및/또는 폐쇄시켜 각 실내공간(11)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 또는 천장공간부(11a)와 벽체공간부(11b) 및/또는 바닥공간부(11c)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기 설정된 제1 환기모드에 따라 천장배기관(200)을 일부 및/또는 전체적으로 폐쇄시킴과 동시에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를 일부 및/또는 전체적으로 개방시켜 각 실내공간(11)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기 설정된 제2 환기모드에 따라 천장배기관(200)을 일부 및/또는 전체적으로 개방시킴과 동시에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를 일부 및/또는 전체적으로 폐쇄시켜 천장공간부(11a)와 벽체공간부(11b) 및/또는 바닥공간부(11c)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1 및 제2 환기모드를 기 설정된 수행주기에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1 환기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급기송풍기(3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배기송풍기(350)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2 환기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천장공간부(11a)와 벽체공간부(11b) 및/또는 바닥공간부(11c)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배기송풍기(3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사용자 입력장치(550)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또는 제2 환기모드로 가변형 개폐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1 및 제2 환기모드와 다른 기 설정된 제3 환기모드에 따라 천장배기관(200)을 기 설정된 제1 개방율로 개방시킴과 동시에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를 기 설정된 제2 개방율로 개방시켜 실내공간(11)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와 함께 천장공간부(11a)와 벽체공간부(11b) 및/또는 바닥공간부(11c)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동시에 실외로 배출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1 내지 제3 환기모드를 기 설정된 수행주기에 따라 순차적 및/또는 랜덤하게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환기모드에서는 제어장치(450)의 제어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른 기 설정된 주기 및 서로 같거나 다른 기 설정된 가동율로 서로 같거나 다른 기 설정된 가동시간동안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개방율은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3 환기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급기송풍기(3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배기송풍기(350)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사용자 입력장치(550)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환기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기모드로 가변형 개폐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라돈측정기(600)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라돈 농도값(예컨대, 약 148베크렐(Bq/m3) 등)을 초과할 경우, 상기 환기모드(즉, 제1 내지 제3 환기모드)보다 우선 순위로 천장배기관(200)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를 개방시켜 실내공간(11)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급기송풍기(3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배기송풍기(350)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가 기 설정된 가동율로 기 설정된 가동시간(예컨대, 약 1시간 이상)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상기 제1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기 설정된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라돈측정기(600)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또는 기 설정된 목표 라돈저감 농도값)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천장배기관(200)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를 폐쇄시켜 실내공간(11)에 마련된 천장공간부(11a)와 벽체공간부(11b) 및/또는 바닥공간부(11c)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동율로 상기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2 제어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천장공간부(11a)와 벽체공간부(11b) 및/또는 바닥공간부(11c)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배기송풍기(3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2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라돈측정기(600)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에서 기 설정된 증가 가동율만큼 더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3 제어모드를 수행함과 아울러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이 최대 가동율(예컨대, 약 100% 정도의 가동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율은 예컨대, 약 45% 내지 55% 범위(더욱 바람직하게, 약 50% 정도)의 가동율 중 어느 하나의 가동율로 설정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은 예컨대, 시간당 약 25% 내지 35% 범위(더욱 바람직하게, 시간당 약 30% 정도)의 라돈농도 평균저감율 중 어느 하나의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증가 가동율은 예컨대, 약 5% 내지 15% 범위(더욱 바람직하게, 약 10% 정도)의 가동율 중 어느 하나의 가동율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라돈측정기(600)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라돈 농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환기모드(즉, 제1 내지 제3 환기모드)보다 우선 순위로 천장배기관(200)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를 개방시켜 실내공간(11)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급기송풍기(3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배기송풍기(350)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가 기 설정된 가동율로 기 설정된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1a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기 설정된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라돈측정기(600)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의 현재 가동율에서 기 설정된 증가 가동율만큼 더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1b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1b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라돈측정기(600)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의 현재 가동율이 최대 가동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b 제어모드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가 최대 가동율로 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라돈측정기(600)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천장배기관(200)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배기덕트(150)의 배기흡입부(151)를 폐쇄시켜 실내공간(11)에 마련된 천장공간부(11a)와 벽체공간부(11b) 및/또는 바닥공간부(11c)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가변형 개폐장치(25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동율로 상기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2a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라돈측정기(600)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에서 상기 증가 가동율만큼 더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2b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2a 및/또는 제2b 제어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실내공간(11)에 마련된 천장공간부(11a)와 벽체공간부(11b) 및/또는 바닥공간부(11c)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배기송풍기(3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상기 제2b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라돈측정기(600)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이 최대 가동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2b 제어모드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50)는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가 최대 가동율로 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라돈측정기(600)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급기송풍기(300) 및/또는 배기송풍기(35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점검 안내를 위한 기 설정된 점검 안내메시지를 통신망(20)을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제어장치(450)가 관리자 단말(3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2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셀룰러(cellular) 기반의 3G망,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20)은 제어장치(450)와 관리자 단말(30)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3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통신망(20) 및 제어장치(45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장치(500)는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 즉, 가변형 개폐장치(250), 급기송풍기(300), 배기송풍기(350), 제어장치(450), 사용자 입력장치(550), 및/또는 라돈측정기(60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예컨대, AC 220V)을 직류(DC) 및/또는 교류(A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공급장치(500)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장치(4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미도시)에 저장되고, 제어장치(4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열교환기(400)는 건물(10)의 각 실내공간(11)에 마련된 천장공간부(11a)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덕트(100)와 배기덕트(15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급기송풍기(300)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공급공기와 배기송풍기(350)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배출공기를 열교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열교환기(400)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면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장치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는 실내흡입부(401), 실내로 공기를 배기하는 실내배기부(402),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는 실외흡입부(403), 및 실외로 공기를 배기하는 실외배기부(404)가 구비된 본체케이싱(405)과, 실내흡입부(401) 및 실외흡입부(403)로부터 흡기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상호 열교환을 할 수 있는 전열소자로 이루어진 열교환모듈(406)과, 실외배기부(404) 측으로 공기를 배기할 수 있는 배기송풍기(350)와, 실내배기부(402) 측으로 공기를 배기할 수 있는 급기송풍기(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는 전열교환기(400)의 본체케이싱(405)의 내부에 구비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전열교환기(400)의 본체케이싱(405)의 내부에 별도의 급기 및 배기 송풍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급기덕트(100) 및 배기덕트(150) 상에 적어도 하나의 급기송풍기(300) 및 배기송풍기(350)를 더 설치하여 공기의 급기 및 배기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장치(5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입력장치(550)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하여 특정의 키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모듈로서, 다수개의 문자 키, 숫자 키 및 각종 기능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신호를 제어장치(45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장치(550)는 다수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리모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라돈측정기(600)는 실내공간(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실내공간(11) 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라돈측정기(600)는 예컨대, 이온화 챔버(Pulsed Ionization Chamber) 방식의 라돈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알파입자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 표면 장벽형(Surface Barrier Type), 고순도형 반도체 검출기(Pure Ge),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섬광)검출기, 고체접합계수기(Solid State Junction Counter)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온화 챔버 방식의 라돈 측정센서는 금속으로 된 원통형 상자 내부의 중앙에 탐침 형태의 전극을 설치하고, 금속 원통과 내부 탐침 사이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상기 이온화 챔버의 내부에서 알파 붕괴가 발생하여 알파입자가 방출되면 공기와의 충돌로 알파입자는 소멸되지만 이온 전하가 발생하므로 이를 중앙 탐침을 통하여 흡수하여 신호를 증폭하면 알파입자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자체가 금속 원통과 탐침으로 구성되어 매우 저렴하며 내구성이 좋고 빛과 무관하므로 통기성을 좋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면 장벽형 검출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반도체의 표면은 표면준위나 산화피막 등 때문에 P-N 접합과 같은 공핍층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 부근이 전하이동의 장애물로 되어있다. 실용적인 것으로는 N형 Si의 표면에 금을 약 100㎛/㎠ 정도로 증착시켜 이것을 한쪽 전극으로 하고 이면에 방사선을 입사시킨다. 여기서, 공핍층의 두께는 약 50~500㎛ 정도로 여러 가지가 있고 표면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작기 때문에 주로 알파 방사선으로 발생하는 하전 입자의 검출에 사용되며 에너지 분해능이 좋다.
상기 고순도 반도체 검출기는 일반적으로 Pure Ge 검출기라고도 부른다. 불순물 농도나 결함이 매우 작은 고순도의 Ge 결정체이며 저온에서 전기저항이 매우 높고, 높은 바이어스 전압도 걸 수 있다. Ge(Li)와 다른 점은 상온에서 보존할 수 있고 측정할 때만 액체질소로 냉각시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하기에 편하고 에너지 분해능도 Ge(Li)에 비하여 손색이 없으므로 실용화되고 있다.
상기 신틸레이션 검출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하전 입자가 어떤 물질에 부딪히면 발광하는 현상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지만 유화아연(ZnS) 또는 NaI 도막의 알파 방사선에 의한 발광은 특히 강하고 암실에서는 확대경으로 검출 및 계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발광을 신텔레이션(Scintillation, 섬광)이라 하고, 이러한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신틸레이터라 한다. 그리고, 신틸레이터에 광전자 증배관을 결합한 것을 신틸레이션 검출기라 부르지만 특히 펄스출력으로서 계수에 사용하는 방법을 신틸레이션 계수관이라 한다.
한편, 출력을 직류적으로 읽는 방법을 취한 것은 주로 선량측정에 사용되고 있으며 신틸레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신틸레이션 선량계라 하고, 신틸레이터에는 고체, 액체, 기체 어느 것이나 쓰이고 있으며 액체를 사용하고 있으면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 장치라 한다.
상기 고체 접합계수기는 고체 역바이어스 P-N 접합반도체로서 공핍층(Depletion Layer)을 통과하는 알파입자로부터 이온 전하를 수집하도록 된 계수기로 소형, 이동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급기덕트,
150 : 배기덕트,
200 : 천장배기관,
250 : 가변형 개폐장치,
300 : 급기송풍기,
350 : 배기송풍기,
400 : 전열교환기,
450 : 제어장치,
500 : 전원공급장치,
550 : 사용자 입력장치,
600 : 라돈측정기

Claims (26)

  1. 적어도 하나의 실내공간에 마련된 천장공간부와 상기 실내공간에 상기 천장공간부와 서로 연통되도록 마련된 벽체공간부가 구비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은 실외에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급기흡입부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실내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배출부를 구비하는 급기덕트;
    상기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실내공간과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의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흡입부를 구비하고, 타단은 실외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배기덕트;
    상기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천장공간부 간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는 천장배기관;
    상기 천장배기관과 상기 배기덕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천장배기관 및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가변형 개폐장치;
    상기 급기덕트 상에 구비되며, 실외공기를 공급공기로서 상기 실내공간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급기송풍기;
    상기 배기덕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실내공간의 실내공기를 배출공기로서 실외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기송풍기; 및
    기 설정된 환기모드에 따라 상기 천장배기관을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 또는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의 일부는 상기 급기덕트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배출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상기 실내공간의 바닥에 구비된 바닥슬래브에 일정한 높이의 바닥공간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배선이나 배관을 매립하도록 액세스 플로어 패널이 설치된 이중 바닥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공간부는 상기 벽체공간부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상기 실내공간의 바닥에 구비된 바닥슬래브에 일정한 높이의 바닥공간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배선이나 배관을 매립하도록 액세스 플로어 패널이 설치된 이중 바닥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공간부와 상기 천장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공간부의 내부 공기가 상기 배기덕트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기덕트와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공기이동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복수의 세대와 층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으로 이루어지되, 각 세대별로 적어도 하나의 실내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천장공간부가 마련되고, 각 실내공간에 각 천장공간부와 서로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벽체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급기덕트, 상기 배기덕트, 상기 천장배기관, 및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는 각 세대별 각 실내공간에 마련된 각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된 각 급기덕트 간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각 천장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된 각 배기덕트 간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기 설정된 제1 환기모드에 따라 상기 천장배기관을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시켜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제2 환기모드에 따라 상기 천장배기관을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폐쇄시켜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환기모드를 기 설정된 수행주기에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환기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환기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11. 제7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장치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환기모드로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환기모드와 다른 기 설정된 제3 환기모드에 따라 상기 천장배기관을 기 설정된 제1 개방율로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기 설정된 제2 개방율로 개방시켜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와 함께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동시에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환기모드를 기 설정된 수행주기에 따라 순차적 또는 랜덤하게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3 환기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15. 제1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특정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장치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출력된 특정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환기모드 중 어느 하나의 환기모드로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방율은,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측정기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라돈 농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환기모드보다 우선 순위로 상기 천장배기관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개방시켜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가 기 설정된 가동율로 기 설정된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기 설정된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천장배기관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폐쇄시켜 상기 실내공간에 마련된 천장공간부와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동율로 상기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제어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에서 기 설정된 증가 가동율만큼 더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3 제어모드를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이 최대 가동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측정기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라돈 농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환기모드보다 우선 순위로 상기 천장배기관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개방시켜 상기 실내공간 내의 라돈을 포함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공급공기와 상기 배기송풍기에 의해 유동되는 배출공기가 동시에 급기 및 배기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가 기 설정된 가동율로 기 설정된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1a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기 설정된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기 설정된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의 현재 가동율에서 기 설정된 증가 가동율만큼 더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1b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b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의 현재 가동율이 최대 가동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b 제어모드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급기송풍기 및 상기 배기송풍기가 최대 가동율로 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천장배기관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흡입부를 폐쇄시켜 상기 실내공간에 마련된 천장공간부와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가변형 개폐장치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동율로 상기 가동시간동안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2a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에서 상기 증가 가동율만큼 더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2b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a 및 제2b 제어모드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천장공간부와 상기 벽체공간부 내의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b 제어모드를 수행한 후,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가동율이 최대 가동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2b 제어모드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가 최대 가동율로 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 라돈농도 저감시간동안 상기 라돈측정기로부터 측정된 라돈 농도값이 상기 라돈농도 평균저감율만큼 저감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급기송풍기 또는 상기 배기송풍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점검 안내를 위한 기 설정된 점검 안내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KR1020220181581A 2022-12-22 2022-12-22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KR102532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581A KR102532235B1 (ko) 2022-12-22 2022-12-22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581A KR102532235B1 (ko) 2022-12-22 2022-12-22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235B1 true KR102532235B1 (ko) 2023-05-18

Family

ID=8654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581A KR102532235B1 (ko) 2022-12-22 2022-12-22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2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07B1 (ko) 2007-11-09 2010-08-25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라돈 방출 방지를 위한 페인트
JP2011021833A (ja) * 2009-07-16 2011-02-03 Kuramochi Housing:Kk 躯体内換気システム
KR20120040927A (ko) * 2010-10-20 2012-04-30 조승연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1404433B1 (ko) * 2014-01-13 2014-06-11 (주) 무심종합건축사사무소 방사성 라돈 가스 피폭 방지기능을 구비한 실내 오염물질 배기 제어시스템
KR20180059642A (ko) * 2016-11-25 2018-06-05 임만순 라돈 저감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2312104B1 (ko) * 2021-06-16 2021-10-13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풍량가변형 토양배기 라돈저감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07B1 (ko) 2007-11-09 2010-08-25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라돈 방출 방지를 위한 페인트
JP2011021833A (ja) * 2009-07-16 2011-02-03 Kuramochi Housing:Kk 躯体内換気システム
KR20120040927A (ko) * 2010-10-20 2012-04-30 조승연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1404433B1 (ko) * 2014-01-13 2014-06-11 (주) 무심종합건축사사무소 방사성 라돈 가스 피폭 방지기능을 구비한 실내 오염물질 배기 제어시스템
KR20180059642A (ko) * 2016-11-25 2018-06-05 임만순 라돈 저감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2312104B1 (ko) * 2021-06-16 2021-10-13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풍량가변형 토양배기 라돈저감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143B1 (ko)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2312104B1 (ko) 풍량가변형 토양배기 라돈저감 제어 방법
KR102532235B1 (ko) 건물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KR102269540B1 (ko) 풍량가변형 토양배기 라돈저감 제어 장치
KR102532229B1 (ko) 공동주택의 욕실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층간 배기 시스템
KR102532220B1 (ko) 공동주택 내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저감하기 위한 라돈 배출 시스템
KR102492227B1 (ko) 공동주택에 대한 층간배기 방식의 라돈 저감 시스템
KR102225013B1 (ko) 라돈 저감을 위한 풍량 가변형 환기 시스템
KR102101711B1 (ko) 라돈 저감을 위한 풍량 가변형 환기 시스템
KR102311194B1 (ko) 실내 라돈 농도 저감을 위한 환기 시스템
Orlando et al. A study about remedial measures to reduce 222Rn concentration in an experimental building
Tunno et al. Critical aspects of radon remediation in karst limestone areas: Some experiences in schools of South Italy
KR101239868B1 (ko) 계측기 및 공조기를 이용한 공기정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elicioni et al. Embodied energy and global warming potential of radon preventive measures applied in new family houses
Henschel Radon reduction techniques for detached houses: technical guidance
Brossard et al. Residential radon mitigations at Kitigan Zibi Anishinabeg: comparison of above ground level (RIM JOIST) and above roof line discharge of radon mitigation SUB-SLAB depressurization systems
KR102656846B1 (ko) 실내라돈 농도 측정을 이용한 건물 노후화 분석 시스템
Huber et al. Quality control of mitigation methods for unusually high indoor radon concentrations
Atwood How much radon is too much?
Moeller et al. Cost evaluation of control measures for indoor radon progeny
YH Chao et al. Detailed measurements of indoor radon levels in five residential premises and the effect of ventilation
Vysotskii et al. Radon risk reduction to population
KR20230161182A (ko) 차압 센서를 이용한 라돈 저감 시스템
Gökmen et al. Radon pollution control
Sheets Indoor thoron: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