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144B1 -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지문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지문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144B1
KR102532144B1 KR1020160079395A KR20160079395A KR102532144B1 KR 102532144 B1 KR102532144 B1 KR 102532144B1 KR 1020160079395 A KR1020160079395 A KR 1020160079395A KR 20160079395 A KR20160079395 A KR 20160079395A KR 102532144 B1 KR102532144 B1 KR 102532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ingerprint recognition
channels
touch screen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974A (ko
Inventor
임국찬
윤찬민
신덕문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9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1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지문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 화면상에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을 형성하는 제 1 전극패턴과, 터치 화면상에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을 형성하는 제 2 전극패턴과, 터치 인식용 채널 및 지문 인식용 채널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터치 인식용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값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위치를 인식하고,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 중에서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선정된 일부의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값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서 지문 인식을 위해 추가되는 하드웨어를 최소화하여 하드웨어적 복잡도의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며, 지문 인식 속도를 향상시켜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인식된 지문 정보에 대응하여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까지의 응답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지문 인식 방법{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GNIZING FINGERPRINT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지문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컴퓨터는 공동 작업을 위한 도구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테이블의 상면에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테이블 탑 인터페이스가 컴퓨터를 이용한 공동 작업의 용이성이 높아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 탑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사람들이 공동 작업을 할 때에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대형 테이블 탑 인터페이스를 위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의 터치 입력이 어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는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터치 입력에 대하여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지문, 얼굴, 음성, 손 모양, 홍채, 정맥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가 주로 손가락에 의해 수행되는 점을 감안할 때에 생체 정보 중에서도 지문을 활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지문 인식을 위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학식 지문 인식 기술을 접목시킬 경우에는 광센서 등을 내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적 복잡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6153호, 등록일자 2012년 4월 5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터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서 이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지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그 지문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으로서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 화면상에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을 형성하는 제 1 전극패턴과, 상기 터치 화면상에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을 형성하는 제 2 전극패턴과, 상기 터치 인식용 채널 및 상기 지문 인식용 채널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터치 인식용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값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 중에서 상기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부의 채널을 선정하며, 선정된 상기 일부의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터치스크린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은, 터치 화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과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에서 수행하는 지문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값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 중에서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채널들을 선정한 후, 선정된 채널들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서 이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지문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지문 인식을 위해 추가되는 하드웨어를 최소화하여 하드웨어적 복잡도의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다.
더욱이,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선정된 일부의 지문 인식용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값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지문 인식 속도를 향상시켜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인식된 지문 정보에 대응하여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까지의 응답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장치(100)는 제 1 전극패턴(110), 제 2 전극패턴(130), 감지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제 1 전극패턴(110)은 제 1 구동라인 전극그룹(111)과 제 1 감지라인 전극그룹(112)이 제 1 격자 구조를 이루고, 터치 화면상에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120)을 형성한다.
제 2 전극패턴(130)은 제 2 구동라인 전극그룹(131)과 제 2 감지라인 전극그룹(132)이 제 2 격자 구조를 이루며, 터치 화면상에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140)을 형성한다.
제 1 전극패턴(110)이루는 제 1 격자 구조와 제 2 전극패턴(130)이 이루는 제 2 격자 구조를 비교하여 보면, 제 1 격자 구조의 단위 격자크기가 제 2 격자 구조크기보다 더 크다. 그리고, 제 1 격자 구조의 단위 격자 내에 제 2 격자 구조의 단위 격자가 포함된다. 도 1에는 제 1 구동라인 전극그룹(111), 제 1 감지라인 전극그룹(112), 제 2 구동라인 전극그룹(131) 및 제 2 감지라인 전극그룹(132)을 이루는 소수의 전극라인을 대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터치 화면의 크기에 따라 그 개수가 변경된다. 제 2 전극패턴(130)은 지문의 융선과 골 사이에 여러 개의 지문 인식용 채널(140)이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미세한 선폭으로 구현된다.
감지부(150)는 터치 인식용 채널(120) 및 지문 인식용 채널(140)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150)는 제 1 구동라인 전극그룹(111) 및 제 2 구동라인 전극그룹(131)으로 특정 파형을 가지는 소스 신호를 인가한 후에 제 1 감지라인 전극그룹(112) 및 제 2 감지라인 전극그룹(132)을 통해 응답의 왜곡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150)는 제 1 구동라인 전극그룹(111) 및 제 1 감지라인 전극그룹(112)의 각 라인에 연결된 제 1 다중화부(151)를 포함한다. 그리고, 감지부(150)는 제 1 다중화부(151)를 통해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120)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터치 인식 선택부(152)를 더 포함한다. 또, 감지부(150)는 제 2 구동라인 전극그룹(131) 및 제 2 감지라인 전극그룹(132)의 각 라인에 연결된 제 2 다중화부(15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감지부(150)는 제 2 다중화부(153)를 통해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140)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지문 인식 선택부(154)를 더 포함한다. 또, 감지부(150)는 터치 인식 선택부(152) 및 지문 인식 선택부(153)에 의해 선택된 터치 인식용 채널(120) 및 지문 인식용 채널(140)의 정전용량 값을 측정하는 센서부(155)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인식용 채널(120)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값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위치를 인식하고,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140) 중에서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선정된 일부의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값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한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상기 터치 위치가 인식되면,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140) 중에서 터치 위치로부터 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채널들을 선정한 후, 선정된 채널들에 대해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도록 감지부(150)를 제어하여,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가 인식되면, 터치 화면에 출력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메뉴를 파악하고, 파악된 인터페이스 메뉴의 속성 정보에 따라 감지부(150)가 지문 인식용 채널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가 인식되면, 파악된 인터페이스 메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지문 인식 규칙을 속성 정보로서 추출하며, 추출된 지문 인식 규칙에 따라 지문 인식용 채널(140)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도록 감지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은, 터치 화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값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S210)를 포함한다.
이어서, 인식된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화면에 출력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메뉴를 파악하는 단계(S22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파악된 인터페이스 메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지문 인식 규칙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속성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추출된 지문 인식 규칙에 따라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 중에서 지문 인식에 이용할 지문 인식용 채널들을 선정 및 파악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단계 S210에서 인식된 터치 위치로부터 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채널들이 지문 인식에 이용할 지문 인식용 채널들로 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파악된 지문 인식용 채널들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여 정전용량 값의 변화에 따라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서 수행하는 지문 인식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터치스크린 장치(100)의 제 1 전극패턴(110)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화면의 터치를 검출하고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과정에 이용된다.
이러한 터치 위치 인식 과정을 살펴보면, 센서부(155)는 제 1 다중화부(151)를 통해 제 1 전극패턴(110)의 제 1 구동라인 전극그룹(111)에 특정 파형을 가지는 소스 신호를 인가하며, 터치 인식 선택부(152)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제 1 다중화부(151)를 통해 제 1 구동라인 전극그룹(111) 및 제 1 감지라인 전극그룹(112)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120)을 순차적으로 스캐닝 한다.
그러면, 센서부(155)는 터치 인식 선택부(152)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터치 인식용 채널(120)의 정전용량 값을 측정, 즉, 특정 파형을 가지는 소스 신호에 대한 응답의 왜곡을 감지하여 제어부(160)에게 전달하며, 제어부(160)는 센서부(15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함과 아울러 터치 위치를 인식한다(S210).
그리고, 제어부(160)는 단계 S210에서 인식된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속성 정보를 파악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속성 정보라 함은 현재 터치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사용자가 터치해 선택한 위치에 표시되고 있는 객체가 지문 인식이 요구되는 것인지 여부와 기 약정된 지문 인식 규칙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단계 S210에서 인식된 터치 위치에 화면으로 출력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메뉴를 파악한다(S220).
이어서, 제어부(160)는 단계 S220에서 파악된 인터페이스 메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지문 인식 규칙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속성 정보로서 추출한다(S230). 여기서,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속성 정보에 따라 지문 인식을 수행할지 여부, 즉 감지부(150)가 지문 인식용 채널(140)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그 결정에 따라 감지부(150)가 지문 인식용 채널(140)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지문 인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는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메뉴가 사용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속성 정보를 가진 경우라 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220에서 파악된 인터페이스 메뉴가 '메뉴 호출'일 경우에는 지문 인식 규칙으로는 '5점 터치 입력'이 대응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메뉴가 '응용프로그램 종료'일 경우에 지문 인식 규칙으로는 '종료버튼 터치 입력'이 대응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메뉴가 '응용프로그램 좌표 이동'일 경우에 지문 인식 규칙으로는 '3점 터치 입력'이 대응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추출된 지문 인식 규칙에 따라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140) 중에서 지문 인식에 이용할 채널들을 파악하며, 파악된 지문 인식용 채널(140)을 대상으로 하여 지문 인식을 수행할 것을 지문 인식 선택부(154) 및 센서부(155)에게 지시한다(S240). 여기서, 단계 S210에서 인식된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채널들이 지문 인식에 이용할 지문 인식용 채널들로 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채널들은 '5점 터치 입력', '종료버튼 터치 입력', '3점 터치 입력' 등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
그러면, 센서부(155)는 제 2 다중화부(153)를 통해 제 2 전극패턴(130)의 제 2 구동라인 전극그룹(131)에 특정 파형을 가지는 소스 신호를 인가하며, 지문 인식 선택부(154)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제 2 다중화부(153)를 통해 제 2 구동라인 전극그룹(131) 및 제 2 감지라인 전극그룹(132)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140)을 순차적으로 스캐닝 한다. 이때, 제 2 전극패턴(130)에 의한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140)을 모두 스캐닝하지 않고 단계 S230에서 추출된 지문 인식 규칙에 따라 단계 S210에서 인식된 터치 위치로부터 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채널들만 스캐닝 된다.
그리고, 센서부(155)는 지문 인식 선택부(154)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지문 인식용 채널(140)의 정전용량 값을 측정, 즉, 특정 파형을 가지는 소스 신호에 대한 응답의 왜곡을 감지하여 제어부(160)에게 전달하며, 제어부(160)는 센서부(15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단계 S230에서 추출된 지문 인식 규칙에 따라 지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S250). 예컨대, 지문 인식 규칙이 '5점 터치 입력'일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다섯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으며, 지문 인식 규칙이 '종료버튼 터치 입력'일 경우에는 터치 화면에서 종료버튼이 표시 중인 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지문을 인식할 수 있고, 지문 인식 규칙이 '3점 터치 입력'일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세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지문 인식을 위해 제 2 전극패턴(130)에 의한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140)을 모두 스캐닝하지 않고 일부의 채널들만 스캐닝하기 때문에,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140)을 모두 스캐닝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에 지문 인식 속도가 향상된다.
한편, 터치스크린 장치(100)에 의해 인식된 지문 정보는 테이블 탑 장치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테이블 탑 장치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용 지문과 터치스크린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그 일치 정도에 따라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고, 구별된 사용자에 대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서 이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지문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지문 인식을 위해 추가되는 하드웨어를 최소화하여 하드웨어적 복잡도의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다.
더욱이,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선정된 일부의 지문 인식용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값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지문 인식 속도를 향상시켜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인식된 지문 정보에 대응하여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까지의 응답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지문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지문 인식을 위해 추가되는 하드웨어를 최소화하여 하드웨어적 복잡도의 상승을 최대한 억제한다. 그리고,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선정된 일부의 지문 인식용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값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지문 인식 속도를 향상시켜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인식된 지문 정보에 대응하여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까지의 응답속도를 개선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채용된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터치스크린 장치 110 : 제 1 전극패턴
120 : 터치 인식용 채널 130 : 제 2 전극패턴
140 : 지문 인식용 채널 150 : 감지부
151 : 제 1 다중화부 152 : 터치 인식 선택부
153 : 제 2 다중화부 154 : 지문 인식 선택부
155 : 센서부 160 : 제어부

Claims (9)

  1. 터치 화면상에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을 형성하는 제 1 전극패턴과,
    상기 터치 화면상에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을 형성하는 제 2 전극패턴과,
    상기 터치 인식용 채널 및 상기 지문 인식용 채널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터치 인식용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값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 중에서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일부의 채널들을 선정하며, 선정된 상기 일부의 채널들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제 1 구동라인 전극그룹과 제 1 감지라인 전극그룹이 제 1 격자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 2 전극패턴은, 제 2 구동라인 전극그룹과 제 2 감지라인 전극그룹이 제 2 격자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 1 격자 구조의 단위 격자크기가 상기 제 2 격자 구조의 단위 격자크기보다 큰
    터치스크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 1 구동라인 전극그룹 및 상기 제 1 감지라인 전극그룹의 각 라인에 연결된 제 1 다중화부와,
    상기 제 1 다중화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터치 인식 선택부와,
    상기 제 2 구동라인 전극그룹 및 상기 제 2 감지라인 전극그룹의 각 라인에 연결된 제 2 다중화부와,
    상기 제 2 다중화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지문 인식 선택부와,
    상기 터치 인식 선택부 및 상기 지문 인식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터치 인식용 채널 및 상기 지문 인식용 채널의 정전용량 값을 측정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위치가 인식되면,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 중에서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일부의 채널들에 대해서만 상기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위치가 인식되면, 상기 터치 화면에 출력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상기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메뉴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인터페이스 메뉴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감지부가 상기 지문 인식용 채널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위치가 인식되면, 파악된 상기 인터페이스 메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지문 인식 규칙을 상기 속성 정보로서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지문 인식 규칙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용 채널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7. 터치 화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과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에서 수행하는 지문 인식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터치 인식용 채널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값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지문 인식용 채널 중에서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기 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채널들을 선정한 후, 선정된 채널들에서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위치가 인식되면, 상기 터치 화면에 출력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상기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메뉴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인터페이스 메뉴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용 채널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위치가 인식되면, 파악된 상기 인터페이스 메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지문 인식 규칙을 상기 속성 정보로서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지문 인식 규칙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용 채널의 정전용량 값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
KR1020160079395A 2016-06-24 2016-06-24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지문 인식 방법 KR102532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395A KR102532144B1 (ko) 2016-06-24 2016-06-24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지문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395A KR102532144B1 (ko) 2016-06-24 2016-06-24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지문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74A KR20180000974A (ko) 2018-01-04
KR102532144B1 true KR102532144B1 (ko) 2023-05-12

Family

ID=6099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395A KR102532144B1 (ko) 2016-06-24 2016-06-24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지문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003A (ko) *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02541B1 (ko) * 2018-02-21 202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센서의 전극들 중에서 선택된 전극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53B1 (ko) 2010-02-19 2012-04-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 인식 또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센서 그리드 방식의 투명 패널 사용자 입력 장치, 사용자 지문 인식 방법, 및 사용자 터치 인식 방법
US9261991B2 (en) * 2013-05-28 2016-02-1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layered sensing with multiple resolutions
KR20150087811A (ko) * 2014-01-21 2015-07-30 크루셜텍 (주) 지문 인식 가능한 터치 검출 장치
KR102330586B1 (ko) * 2014-09-17 2021-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지문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74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30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put
US9349035B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sensor for providing improved identification
TWI398818B (zh) 手勢辨識方法與系統
JP5174979B1 (ja) 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60190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put
JP2017509062A (ja) 電子機器の制御方法
WO2016206279A1 (zh) 触控显示装置及其触控方法
GB2470654A (en) Data input on a virtual device using a set of objects.
US106214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keyboard with multi functional keys, using fingerprints recognition
EP262681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handwriting input for handwriting recognition
KR20100099641A (ko) 차재 기기의 조작장치
JP2016004541A (ja) 車両用操作入力装置
WO2013069372A1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取引装置
CN105242776A (zh) 一种智能眼镜的控制方法及智能眼镜
CN103460225A (zh) 手写字符输入装置
KR102532144B1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지문 인식 방법
CN104915003A (zh) 一种体感控制参数调整的方法、体感交互系统及电子设备
CN104915004A (zh) 一种体感控制屏幕滚动方法、体感交互系统及电子设备
CN104460999B (zh) 一种带拐点的手势识别方法及装置
JP2015018413A (ja) 携帯端末、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16691B2 (en) Input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N106775400A (zh) 按键显示方法及系统
CN112395925A (zh) 屏下指纹注册方法及电子装置
KR20170000654A (ko) 지문 인식 시스템
KR101595293B1 (ko) 깊이 센서 기반의 공간 터치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