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116B1 - 충치가 발생된 치아와 충치가 발생되지 않는 치아를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충치가 발생된 치아와 충치가 발생되지 않는 치아를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116B1
KR102532116B1 KR1020220108295A KR20220108295A KR102532116B1 KR 102532116 B1 KR102532116 B1 KR 102532116B1 KR 1020220108295 A KR1020220108295 A KR 1020220108295A KR 20220108295 A KR20220108295 A KR 20220108295A KR 102532116 B1 KR102532116 B1 KR 102532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measurement
state information
measurement im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호정
유명선
김윤아
이청
유원형
Original Assignee
(주)스마투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투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스마투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08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4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image acquisition of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치아 관리 방법은,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치아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치아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치아 형태의 치아 측정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1 구강 측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치아 진단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치아 측정 이미지들 중 제1 치아 측정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와 매칭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에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치가 발생된 치아와 충치가 발생되지 않는 치아를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managing teeth using oral image that differently expresses decayed tooth and non-decayed tooth}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강 이미지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치아들 및/또는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용이하게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보기 쉽도록 제공하는 치아 관리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의 섭취는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음식의 섭취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치아와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건강하게 구강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올바르게 양치질을 수행하고, 치실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음식을 섭취한 후 사용자가 양치질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거나 치실을 사용하지 않으면 음식 찌꺼기가 치아에 남으며, 이로 인해 세균이 증식하게 되어 충치 등의 감염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각종 무기질이 침착되어 치석, 치태, 잇몸 염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양치질의 미숙, 치실의 미사용 등으로 인해 치아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한 구강 질환들을 예방하고 치아를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치아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치아 상태를 확인할 있고, 더불어 치아 상태에 기초하여 치아와 관련된 유의미한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진단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수집된 치아 정보에 기초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치아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된 치아 상태에 기초하여 치아와 관련된 유의미한 알림 정보(일례로, 사용자의 자가 관리 고취 정보, 유치의 강제 발치 정보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방지하고, 치과 진료 비용을 절약하며, 병원의 과잉 치료를 방지할 수 있는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치아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치아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치아 형태의 치아 측정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1 구강 측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치아 진단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아 측정 이미지들 중 제1 치아 측정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와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에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치아 측정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지 않는 치아와 대응되는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는 치아와 대응되는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는 서로 다르게 표현된다.
또한, 상기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인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와 매칭되지 않고, 상기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인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와 매칭된다.
또한,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 선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지 않는 치아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치아 정보 입력용 구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치아 정보 입력용 구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 이후, 상기 치아 정보 입력용 구강 이미지에 포함된 치아 이미지들 중 하나 이상의 치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에서 상기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가 표현된다.
또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n회 동안 측정된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n회 동안 측정된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와 매칭한다.
또한,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는 제1, 제2 및 제3 측정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이미지 영역에는 상기 치아 측정 이미지들 중 상기 사용자의 위턱에 배열된 치아들과 대응되는 위턱 치아 측정 이미지들이 표현되고, 상기 제2 측정 이미지 영역에는 상기 치아 측정 이미지들 중 상기 사용자의 아래턱에 배열된 치아들과 대응되는 아래턱 치아 측정 이미지들이 표현되고, 상기 제3 측정 이미지 영역에는 상기 대상 치아와 관련된 정보가 표현된다.
또한, 상기 제1 측정 이미지 영역은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의 상부에 표현되고, 상기 제2 측정 이미지 영역은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의 하부에 표현되고, 상기 제3 측정 이미지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측정 이미지 영역의 사이에 표현된다.
또한, 상기 n회 중 i회에서의 측정 시, 상기 제3 측정 이미지 영역에는 상기 i회에서 측정된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 및 상기 i회까지 측정된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가 각각 표현된다.
또한, 상기 제3 측정 이미지 영역에는 상기 i회에서 측정된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가 반영된 상기 대상 치아의 형태 이미지가 더 표현된다.
또한,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내부 또는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와 인접한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외부에 표현된다.
또한,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는 치아 상태 수치값으로 표현되고,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은 상기 임계값 이하인 다른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과 서로 다르게 표현된다.
또한,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는 치아 상태 수치값으로 표현되고,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가장자리 선은 상기 임계값 이하의 상태 수치값을 가지는 다른 치아 측정 이미지의 가장자리 선과 서로 다르게 표현된다.
또한, 상기 치아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치간 부위(interdental region)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치간 부위를 나타내는 측정 지시자(indicator)가 포함된 제2 구강 측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치아 진단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지시자들 중 제1 측정 지시자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측정 지시자의 상태 정보와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측정 지시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구강 측정 이미지에서 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구강 측정 이미지는 복수의 치아 형태 이미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지시자는 상기 복수의 치아 형태 이미지 중 상기 대상 치간 부위와 대응되는 제1 및 제2 치아 형태 이미지 사이의 부위를 표현하고, 상기 제1 측정 지시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측정 지시자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또한, 상기 치아 관리 방법은, 상기 치아 진단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지시자들을 더 포함하는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에서, 상기 측정 지시자들 중 제1 측정 지시자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측정 지시자의 상태 정보와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측정 지시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구강 측정 이미지에서 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치아 관리 방법은, 치아 형태의 치아 결과 이미지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과 지시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구강 결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치아 결과 이미지들 각각은 결과 상태 정보를 가지고, 상기 치아 결과 이미지들 중 제1 치아 결과 이미지의 결과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측정 지시자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와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과 지시자는 인접한 치아 결과 이미지 사이의 치간 부위의 치아 이상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이전 측정 기간에서의 상기 구강 결과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치아 결과 이미지들의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치아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치아 형태의 치아 측정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1 구강 측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치아 진단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치아 측정 이미지들 중 제1 치아 측정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와 매칭하고,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에서 표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진단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수집된 치아 정보에 기초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치아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된 치아 상태에 기초하여 치아와 관련된 유의미한 알림 정보(일례로, 사용자의 자가 관리 고취 정보, 유치의 강제 발치 정보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방지하고, 치과 진료 비용을 절약하며, 병원의 과잉 치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진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지 않는 치아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 도 17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치아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제1 구강 측정 이미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제2 구강 측정 이미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와 대응되는 제1 구강 결과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 결과 이미지의 결과 상태 정보 및 결과 지시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유치와 관련된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의 생성 시 사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관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관리 시스템(1)은 치아 진단 장치(10), 사용자 단말(20) 및 치아 관리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치아 진단 장치(10)는 사용자의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interdental region)의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치아 진단 장치(10)는 사용자의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산도(pH)를 측정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모든 타입의 치아 진단 장치(10)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공지된 치아 진단 장치(10)는, 광 센서 기반의 치아 진단 장치(KR 10-1828019, KR10-1787721, KR 10-2262446, KR 10-2020-0064771 등), 카메라 기반의 치아 진단 장치(KR 10-2311398, KR 10-2074887 등)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산도 측정 기반의 치아 진단 장치(10)을 중심으로 본 발명은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진단 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치아 진단 장치(10)는, 상태 정보 측정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장치 통신부(130) 및 장치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측정부(110)는 사용자의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산도(pH)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프로브(probe)와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치(치아 우식증) 등과 같이 구강병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는 수소이온화 농도, 타액 완충능, 타액 점조도, 타액 유출량, 감수성 등이 있으며, 상기한 요인은 사용자의 구강 내 산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정 치아가 양호한 상태인 경우 해당 치아의 산도는 약 7.0 pH이며, 충치 등이 발생되는 경우 특정 치아의 산도는 낮아진다. 상태 정보 측정부(110)는 사용자의 구강 내의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와 접촉하여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치(front tooth) 및 견치(canine)의 경우, 순면(labial surface), 설면(lingual surface) 및 절단면(incisal surface)에서 치아의 산도가 측정될 수 있고, 접촉면(contact surface)에서 치간 부위의 산도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구치(posterior teeth)의 경우, 협면(buccal surface), 설면 및 교합면(occlusal surface)에서 치아의 산도가 측정될 수 있고, 접촉면에서 치간 부위의 산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치아 관련 상태 정보"로 호칭하기로 한다.
장치 UI(User Interface)(1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태 정보 측정부(110)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신호는 치아 진단 장치(10)의 턴 온 입력 신호 또는 턴 오프 입력 신호 등일 수 있고, 상기 각종 정보는 치아의 산도의 측정 완료 정보, 치아 진단 장치(10)의 배터리 상태 정보 등일 수 있다.
장치 통신부(130)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특히, 장치 통신부(130)는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 통신부(13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Wireless fidelity)에 따른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특히, 장치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프로세서(140)는 내부 메모리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프로세서(140)는 치아 진단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장치 프로세서(140)는 상태 정보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산도를 이용하여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 즉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치아 관련 상태 정보는 상태 수치값(또는 충치 진행값)과 대응될 수 있다. 상태 수치값은 0점 ~ 99점 중 어느 하나의 수치값을 가질 수 있다. 상태 수치값이 높을수록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충치가 더 많이 진행될 수 있고, 상태 수치값이 낮을수록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가 건강한 상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관련 상태 정보는 복수의 스테이지로 표현될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지는 제1 스테이지, 제2 스테이지 및 제3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는 충치 양호 스테이지일 수 있다. 충치 양호 스테이지는 치아가 거의 손상되지 않는 스테이지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스테이지와 대응되는 상태 수치값의 구간은 0~19점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스테이지는 충치 주의 스테이지일 수 있다. 충치 주의 스테이지는 치아의 법랑질(enamel)이 손상된 스테이지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스테이지와 대응되는 상태 수치값의 구간은 20~39점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스테이지는 충치 위험 스테이지일 수 있다. 충치 위험 스테이지는 치아의 법랑질 및 상아질(dentin)이 손상된 스테이지일 수 있다. 일례로, 제3 스테이지와 대응되는 상태 수치값의 구간은 40~99점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면, 치아 진단 장치(10)는 사용자의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산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산도에 기초하여 치아 관련 상태 정보(상태 수치값)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의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위치, 스마트 TV 등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가 성인인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부모님이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진단 장치(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치아 관련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구강 결과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강 결과 상태 정보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은 단말 통신부(210), 단말 UI(220), 디스플레이부(230), 단말 메모리(240) 및 단말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210)는 치아 진단 장치(10) 및 치아 관리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통신부(210)는 제1 단말 통신 모듈 및 제2 단말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통신 모듈은 치아 진단 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단말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술하였으며, 특히 제1 단말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제2 단말 통신 모듈은 치아 관리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단말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 및/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술하였으며, 특히 제2 단말 통신 모듈은 WiFi 모듈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 통신 모듈은 액세스 포인트 등을 통해 치아 관리 서버(3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원거리 통신 모듈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에 따른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단말 UI(2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후술할 "치아 이미지의 선택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영상 내지 영상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후술할 단말 프로세서(25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치아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말 UI(220) 및 디스플레이부(23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이 경우 단말 UI(220)는 사용자 단말(20)에서 생략될 수 있다.
단말 메모리(24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단말 메모리(240)는 사용자 단말(20)에서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과 관계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메모리(240)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즉, 사용자 정보)와 치아의 관리와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수집될 수 있고, 치아의 관리와 관련된 정보는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에서 수집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사용자의 치아 개수 정보(발치, 미맹출 등으로 인해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지 않는 치아의 개수 정보를 포함함), 사용자의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아의 관리와 관련된 정보는 올바른 양치법, 치실 사용법, 식습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올바른 양치법은 나이 별 치약 사용량 정보, 불소 도포 시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치아 관리법은 유치 관리 정보 및 유치 별 자연 발치 시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치의 자연 발치 시기 정보는 통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중절치의 자연 발치 시기 정보는 6세 6개월로 정의될 수 있고, 측절치의 자연 발치 시기 정보는 7세 6개월로 정의될 수 있고, 견치의 자연 발치 시기 정보는 11세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250)는 중앙처리장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2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 프로세서(250)는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치아 관리 서버(30)는 사용자 단말(2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한 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치아 관리 서버(30)는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치아 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치아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터치 디스플레이부(230)를 구비한 스마트 폰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에서는 치아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진단 장치(10)와 통신 연결(일례로, 블루투스 페어링)이 완료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1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치아들과 관련된 사전 정보(preliminary information)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S10)는 사용자 단말(20)의 단말 통신부(210), 단말 터치 디스플레이부(230) 및 단말 프로세서(25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 정보는 상술한 사용자 정보 및 치아 관리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사용자의 치아 개수 정보(발치, 미맹출 등으로 인해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지 않는 치아의 개수 정보를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사전 정보는 유치 별 자연 발치 시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특정 개수의 치아를 보유하며(일례로, 성인은 32개의 치아, 어린이는 20개의 치아), 일부의 치아가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치아 진단 장치(10)를 통해 치아 관련 상태 정보가 측정될 때, 사용자의 혼동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지 않는 치아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지 않는 치아의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는 치아를 "존재 치아"로 호칭하고,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는 않는 치아를 "미존재 치아"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미존재 치아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의 터치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터치 디스플레이부(230)에는 치아 정보 입력용 구강 이미지(50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치아 정보 입력용 구강 이미지(500)는 사용자의 미존재 치아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강 이미지일 수 있다.
치아 정보 입력용 구강 이미지(500)는 복수의 치아 이미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치아 이미지(510)는 치아 형태의 이미지일 수 있으며, 구강 내에 배열된 형태로 치아 정보 입력용 구강 이미지(500) 상에 배열되어 표현될 수 있다.
복수의 치아 이미지(510) 각각은 고유의 터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의 치아 이미지(510) 중 어느 하나의 치아 이미지(510)의 터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와 대응되는 선택 신호가 사용자 단말(20)에 입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미존재 치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미존재 치아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치아 정보 입력용 구강 이미지(500)에 포함된 복수의 치아 이미지(510) 중 하나 이상의 치아 이미지(510)의 터치 영역을 순차적으로 터치할 수 있고, 순차적인 터치와 대응되는 순차적인 선택 신호가 사용자 단말(20)에 입력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미존재 치아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20)에 입력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2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제1 측정 기간에서 치아 진단 장치(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치아들의 제1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측정 기간은 사용자의 모든 치아들의 상태 정보가 최초로 측정되는 측정 기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측정 기간은 특정 일(day)과 대응되는 기간일 수 있다.
단계(S20)는 사용자 단말(20)의 단말 통신부(210), 단말 터치 디스플레이부(230) 및 단말 프로세서(2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치아 관련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치아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치아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치아 관련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하, 도 5,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단계(S20) 중 사용자의 치아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 6,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단계(S20) 중 사용자의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S20) 중 치아의 상태 정보의 수집에 대한 세부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3은 사용자의 치아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S201)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형태로 표현되는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가 포함된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를 터치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즉,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는 제1 측정 이미지 영역(600a) 및 제2 측정 이미지 영역(6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정 이미지 영역(600a, 600b) 각각에는 사용자의 치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가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 각각은 고유의 터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정 이미지 영역(600a)은 사용자의 위턱에 배열된 치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위턱 치아 측정 이미지(610)가 표현될 수 있다. 제2 측정 이미지 영역(600b)은 사용자의 아래에 배열된 치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아래턱 치아 측정 이미지(610)가 표현될 수 있다.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위치를 사용자가 보기 쉽게 표현하기 위해, 제1 측정 이미지 영역(600a)은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측정 이미지 영역(600b)은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에 포함된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 각각은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 또는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일 수 있다.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는 사용자의 존재 치아와 대응될 수 있다. 즉,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는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는 치아를 표현할 수 있다.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는 사용자의 미존재 치아와 대응될 수 있다. 즉,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는 사용자의 구강에 존재하는 않는 치아를 표현할 수 있다.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는 상술한 치아 정보 입력용 구강 이미지(50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한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 상에 표현될 수 있다. 즉, 치아 정보 입력용 구강 이미지(500)에서 순차적으로 입력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에서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가 표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에서,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와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는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을 참조하면,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은 흰색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로 표현될 수 있고,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은 복수의 대각선으로 채워진 치아 측정 이미지(610)로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와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표현 방식을 통해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와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와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은 서로 다른 색상값 또는 서로 다른 명도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 특히 복수의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 각각은 상태 정보(620)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상태 정보(620)는 치아 진단 장치(10)에서 측정된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일 수 있다.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 각각의 상태 정보(620)는 "0"의 디폴트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하면,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상태 정보(620)는 상술한 상태 수치값과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상태 정보(620)는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내부에 표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상태 정보(620)를 치아 측정 이미지(610)와 쉽게 연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상태 정보(620)는 치아 측정 이미지(610)와 인접한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외부에 표현될 수도 있다.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는 제3 측정 이미지 영역(60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정 이미지 영역(600c)에는 대상 치아와 관련된 정보가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치아는 치아 진단 장치(10)가 접촉된 사용자의 치아로 정의된다. 즉, 대상 치아는 치아 진단 장치(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태 정보가 측정되는 사용자의 치아와 대응될 수 있다.
제3 측정 이미지 영역(600c)는 제1 측정 이미지 영역(600a)과 제2 측정 이미지 영역(60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 측정 이미지 영역(600c)은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대상 치아와 관련된 정보를 집중하여 확인할 수 있다.
대상 치아와 관련된 정보는, 대상 치아의 형태 이미지(631), 대상 치아의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632) 및 대상 치아의 최악의 상태 정보(633)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치아의 형태 이미지(631)는 대상 치아의 현재 시점에서의 상태 정보가 반영된 대상 치아의 형태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n(1 이상의 정수)회 동안 반복하여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가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632)는 대상 치아의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상태 정보와 대응될 수 있으며, 최악의 상태 정보(633)는 현재 시점까지 측정된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상태 정보가 상태 수치값으로 표현되는 경우, 최악의 상태 정보는 상태 수치값 중 최고값일 수 있다.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632) 및 최악의 상태 정보(633)는 "0"의 디폴트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201) 이후 단계(S202) 내지 단계(S205)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의 치아들(또는 적어도 일부의 치아)의 상태 정보를 별개로 확인하기를 원하므로, 단계(S202) 내지 단계(S205)는 사용자의 치아들 각각에 대해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서는 하나의 치아에 대해 수행되는 단계(S202) 내지 단계(S205)만을 설명한다.
단계(S202)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진단 장치(10)로부터 측정된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는 상태 수치값(또는 충치 진행값)과 대응될 수 있고, 상태 수치값은 0~99점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수치값을 가질 수 있다. 상태 수치값이 높을수록 대상 치아의 충치가 더 많이 진행될 수 있고, 상태 수치값이 낮을수록 치아가 건강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태 정보의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는 치아 진단 장치(10)를 이용하여 n회 동안 반복하여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S202)에서, 사용자 단말(20)은 n회 동안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단계(S203)에서, 사용자 단말(20)은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 중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 도 12)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710, 도 12)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는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치아 측정 이미지(610)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단계(S203)가 단계(S202)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계(S203)는 단계(S202)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S204)에서, 사용자 단말(20)은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의 상태 정보(620)와 매칭할 수 있다. 즉,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가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의 상태 정보(620)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매칭되는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는 n회 동안 반복하여 측정된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즉, 상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 및 표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은 대상 치아의 최악의 상태 정보(633)를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의 상태 정보(620)와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는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를 포함하고,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 각각은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 또는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실수 등으로 인해 사용자에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를 잘못 선택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가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에 매칭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혼동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는 고유의 터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치아 측정 이미지(610)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만이 고유의 터치 영역이 존재하는 치아 측정 이미지(610)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은,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2)인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와 매칭시키기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611)인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와 매칭시킬 수 있다.
단계(S205)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의 상태 정보(620)를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에서 표현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단계(S202) 내지 단계(S205)를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이 때, 상태 정보(620)는 상태 수치값과 대응되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의 측정 횟수는 3회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610b)는 측정 완료된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에 표현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상태 정보(620)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는 측정이 완료되지 않는 치아 측정 이미지(610)와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명도값은 측정이 완료되지 않는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명도값보다 높게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20)은 색상값 등을 달리하여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와 측정이 완료되지 않는 치아 측정 이미지(610)를 서로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에 기초하여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상태 수치값(620)이 표현될 수 있다. 즉,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상태 수치값(620)은 제1 임계값 이하의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상태 수치값(620)과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임계값은 상술한 제3 스테이지와 대응되는 상태 수치값의 구간의 시작값, 일례로 "40"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40"을 초과하는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상태 수치값(620)의 하측에는 밑줄이 표시될 수 있고, "40" 이하의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상태 수치값(620)의 하측에는 밑줄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20)은 밑줄 이외에 색상값 등을 달리하여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상태 수치값(620)과 제1 임계값 이하의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상태 수치값(620)를 서로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임계값에 기초하여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가장자리 선이 표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가장자리 선은 제1 임계값 이하의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가장자리 선과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가장자리 선은 빨간색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1 임계값 이하의 측정 완료된 치아 측정 이미지(610a)의 가장자리 선은 검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1회 측정 시의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를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진단 장치(10)로부터 "44"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의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632)에 "44"의 상태 수치값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가 최초로 측정되었으므로, 최악의 상태 정보(633)의 영역에는 디폴트 값인 "0"의 상태 수치값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치아의 형태 이미지(631)는 "44"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반영하도록 명도값이 표현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2회 측정 시의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를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진단 장치(10)로부터 "55"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의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632)에 "55"의 상태 수치값을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최악의 상태 정보(633)의 영역에는 도 9에서 측정된 "44"의 상태 수치값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치아의 형태 이미지(631)는 "55"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반영하도록 명도값이 표현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3회 측정 시의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를 도시하였다.
도 11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진단 장치(10)로부터 "50"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의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632)의 영역에 "50"의 상태 수치값을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의 최악의 상태 정보(633)의 영역에는 2회까지 측정된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즉, 최고의 상태 수치값)인 "55"의 상태 수치값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치아의 형태 이미지(631)는 "50"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반영하도록 명도값이 표현될 수 있다.
요컨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n회 중 i회에서의 측정 시, 제3 측정 이미지 영역(600c)에는, i회에서 측정된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 및 i회까지 측정된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즉, 최고의 상태 수치값)가 각각 표현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태 정보의 매칭의 개념을 도시하였다.
도 12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치아 측정 이미지(610) 중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를 선택하는 제1 선택 신호(Ts1)를 터치 디스플레이부(230)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저장 버튼을 선택하는 제2 선택 신호(Ts2)를 터치 디스플레이부(230)에 입력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에 표현된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의 상태 정보(620)를 도시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3회까지 측정된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즉, 최고의 상태 수치값)인 "55"의 상태 수치값이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의 상태 정보(620)에 표현되었다.
요컨대, 사용자 단말(20)은 n회 동안 측정된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를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b)의 상태 정보(620)와 매칭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S20) 중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의 수집에 대한 세부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사용자의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S206)에서, 사용자 단말(20)은 복수의 치아 형태 이미지(710) 및 복수의 측정 지시자(indicator)(720)가 포함된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를 터치 디스플레이부(230)에 출력(즉,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는 제4 측정 이미지 영역(700a) 및 제5 측정 이미지 영역(7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및 제5 측정 이미지 영역(700a, 700b)에는 사용자의 치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치아 형태 이미지(710)가 표현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치아 형태 이미지(710) 각각은 고유의 터치 영역을 가지지 않는다.
제4 측정 이미지 영역(700a)은 사용자의 위턱에 배열된 치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위턱 치아 형태 이미지(710)가 표현될 수 있다. 제5 측정 이미지 영역(600b)은 사용자의 아래에 배열된 치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아래턱 치아 이미지(610)가 표현될 수 있다. 제4 측정 이미지 영역(700a)은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5 측정 이미지 영역(700b)은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에 포함된 복수의 치아 형태 이미지(710) 각각은 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711) 또는 미존재 치아 측정 이미지(712)일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제4 및 제5 측정 이미지 영역(700a, 700b)에는 사용자의 치간 부위를 나타내는 복수의 측정 지시자(7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지시자(720)는 서로 인접한 치아 형태 이미지(710) 사이의 부위인 치간 부위를 표현할 수 있다.
복수의 측정 지시자(720) 각각은 고유의 터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측정 지시자(720) 각각은 상태 정보(730)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측정 지시자(720) 각각의 상태 정보(730)는 "0"의 디폴트 값을 가질 수 있다.
측정 지시자(720)의 상태 정보(730)는 상태 수치값과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지시자(720)의 상태 정보(730)는 측정 지시자(720)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측정 지시자(720)의 상태 정보(730)를 측정 지시자(720)와 쉽게 연관시킬 수 있다.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는 제6 측정 이미지 영역(70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측정 이미지 영역(700c)는 제4 측정 이미지 영역(700a)과 제5 측정 이미지 영역(70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6 측정 이미지 영역(700c)에는 대상 치간 부위와 관련된 정보가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치간 부위는 치아 진단 장치(10)가 접촉된 사용자의 치간 부위로 정의된다. 즉, 대상 치간 부위는 치아 진단 장치(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태 정보가 측정되는 사용자의 치간 부위와 대응될 수 있다.
대상 치간 부위와 관련된 정보는, 대상 치간 부위의 형태 이미지(741), 대상 치간 부위의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742) 및 대상 치간 부위의 최악의 상태 정보(743)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치간 부위의 형태 이미지(741)는 대상 치간 부위의 실시간의 상태 정보가 반영된 대상 치간 부위의 형태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치아의 상태 정보의 측정과 유사하게, n회 동안 반복하여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가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742)는 대상 치간 부위의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상태 정보와 대응될 수 있으며, 최악의 상태 정보(743)는 현재 시점까지 측정된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상태 정보가 상태 수치값으로 표현되는 경우, 최악의 상태 정보는 상태 수치값 중 최고값일 수 있다.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742) 및 최악의 상태 정보(743)는 "0"의 디폴트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207) 내지 단계(S210)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치아 진단 장치(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치간 부위(또는 적어도 일부의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별개로 확인하기를 원하므로, 단계(S207) 내지 단계(S210)는 사용자의 적어도 치간 부위 각각에 대해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서는 하나의 치간 부위에 대해 수행되는 단계(S207) 내지 단계(S210)만을 설명한다.
단계(S207)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진단 장치(10)로부터 측정된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는 상태 수치값(또는 충치 진행값)과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상태 정보의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는 치아 진단 장치(10)를 이용하여 n회 동안 반복하여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S207)에서, 사용자 단말(20)은 n회 동안의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단계(S208)에서, 사용자 단말(20)은 복수의 측정 지시자(720) 중 제1 측정 지시자(720b, 도 15)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730, 도 15)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측정 지시자(720b)는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측정 지시자(720)일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단계(S208)가 단계(S207)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계(S208)는 단계(S207)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S209)에서, 사용자 단말(20)은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제1 측정 지시자(720b)의 상태 정보(730)와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되는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는 n회 동안 반복하여 측정된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즉, 상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 및 표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은 대상 치간 부위의 최악의 상태 정보(742)를 제1 측정 지시자(720b)의 상태 정보(730)와 매칭시킬 수 있다.
단계(S21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제1 측정 지시자(720b)의 상태 정보(730)를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에서 표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단계(S207) 내지 단계(S210)를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이 때, 상태 정보(730)는 상태 수치값과 대응되며,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의 측정 횟수는 3회인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에 기초하여 측정 완료된 치간 부위와 대응되는 측정 지시자(720)의 상태 정보(730)는 측정이 완료되지 않는 치간 부위와 대응되는 측정 지시자(720)의 상태 정보(730)와 서로 다르게 표현(일례로, 밑줄)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서는 3회 측정 시의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를 도시하였다. 1회 및 제2 측정 시의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는 상술한 도 9 및 도 10의 설명 및 후술할 도 15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진단 장치(10)로부터 "31"의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의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742)에 "31"의 상태 수치값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5의 최악의 상태 정보(743)에는 2회까지 측정된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즉, 최고의 상태 수치값)인 "36"의 상태 수치값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대상 치간 부위의 형태 이미지(741)는 "31"의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반영하도록 명도값이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복수의 측정 지시자(720) 중 제1 측정 지시자(720b)를 선택하는 제3 선택 신호(Ts3)를 터치 디스플레이부(230)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저장 버튼을 선택하는 제4 선택 신호(Ts4)를 터치 디스플레이부(230)에 입력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에 표현된 제1 측정 지시자(720b)의 상태 정보(730)를 도시하였다. 도 16을 참조하면, 3회까지 측정된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즉, 최고의 상태 수치값)인 "36"의 상태 수치값이 제1 측정 지시자(720b)의 상태 정보(730)에 표현되었다.
요컨대, 사용자 단말(20)은 n회 동안 측정된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를 제1 측정 지시자(720b)의 상태 정보(730)와 매칭할 수 있다.
한편,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와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는 하나의 통합 구강 측정 이미지(800)로 통합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와 제2 구강 측정 이미지(700)를 별로도 출력하지 않고, 하나의 통합 구강 측정 이미지(800)만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를 참조하면, 통합 구강 측정 이미지(800)는 제7 측정 이미지 영역(800a), 제8 측정 이미지 영역(800b) 및 제9 측정 이미지 영역(8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측정 이미지 영역(800a)는 사용자의 위턱에 배열된 치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위턱 치아 측정 이미지(610) 및 복수의 측정 지시자(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8 측정 이미지 영역(800b)는 사용자의 아래턱에 배열된 치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위턱 치아 측정 이미지(610) 및 복수의 측정 지시자(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9 측정 이미지 영역(800c)는 대상 치아 및 대상 치간 부위와 관련된 정보가 표현될 수 있다. 대상 치아 및 대상 치간 부위와 관련된 정보는 대상 치아 및 대상 치간 부위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형태 이미지(831), 대상 치아 및 대상 치간 부위 중 어느 하나의 현재 시점의 상태 정보(832) 및 대상 치아 및 대상 치간 부위 중 어느 하나의 최악의 상태 정보(8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더불어, 통합 구강 측정 이미지(800)가 출력됨으로써, 단계(S201) 내지 단계(S205)와, 단계(S206) 내지 단계(S210)는 통합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3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제1 치아 관련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를 산출한 후 출력(즉,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치아들의 상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는 제1 구강 결과 이미지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8를 참고하여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와 대응되는 제1 구강 결과 이미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 19를 참고하여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개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와 대응되는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는 상술한 도 9 내지 도 17과 관련이 없는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는 치아 형태의 복수의 치아 결과 이미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결과 이미지(910)는 각각은 고유의 터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의 치아 결과 이미지(910) 중 어느 하나의 치아 결과 이미지(910)의 터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치아 결과 이미지(910)에 대한 세부 정보(일례로, 어느 하나의 치아 결과 이미지(910)에 대한 상태 수치값 등)이 표현될 수 있다.
치아 결과 이미지(910)는 결과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결과 이미지(910)는 상태 정보는 상술한 치아 및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와는 다르게 복수의 스테이지로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치아 결과 이미지(910)의 결과 상태 정보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 결과 이미지(910)는 제1 치아 결과 이미지(911), 제2 치아 결과 이미지(912), 제3 치아 결과 이미지(913)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치아 결과 이미지(911)는 제1 스테이지, 즉 충치 양호 스테이지와 대응될 수 있는 치아 결과 이미지(910)일 수 있다. 일례로, 0~19점 사이의 상태 수치값을 가지는 치아 결과 이미지(910)가 제1 치아 결과 이미지(911)로 표현될 수 있다.
제2 치아 결과 이미지(912)는 제2 스테이지, 즉 충치 주의 스테이지와 대응될 수 있는 치아 결과 이미지(910)일 수 있다. 일례로, 20~39점 사이의 상태 수치값을 가지는 치아 결과 이미지(910)가 제2 치아 결과 이미지(912)로 표현될 수 있다.
제3 치아 결과 이미지(913)는 제3 스테이지, 즉 충치 위험 스테이지와 대응될 수 있는 치아 결과 이미지(910)일 수 있다. 일례로, 40점 이상의 상태 수치값을 가지는 치아 결과 이미지(910)가 제3 치아 결과 이미지(913)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치아 결과 이미지(911, 912, 913)는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즉, 제1 치아 결과 이미지(911)는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 상에서 흰색의 치아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고, 제2 치아 결과 이미지(912)는 수평선으로 채워진 치아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고, 제3 치아 결과 이미지(913)는 점으로 채워진 치아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20)은 색상값, 명도값 등을 달리하여 제1, 제2 및 제3 치아 결과 이미지(911, 912, 913)를 서로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치아 결과 이미지(910)는 결과 상태 정보는, 도 8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치아의 상태 정보(즉,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상태 정보(620))와, 도 14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즉, 측정 지시자(720)의 상태 정보(730))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는 해당 치아 측정 이미지(610) 및/또는 해당 측정 지시자(720)의 최악의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결과 이미지들 중 제1 치아 결과 이미지(910)의 결과 상태 정보는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상태 정보 및 제1 측정 지시자(720)의 상태 정보 중 최악의 상태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는 적어도 하나의 결과 지시자(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과 지시자(920)는 인접한 치아 결과 이미지(910) 사이의 치간 부위의 치아 이상 상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치아 결과 이미지(910) 사이의 치간 부위에 이상 상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결과 지시자(920)는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즉,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는 적어도 하나의 결과 지시자(92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치간 부위의 이상 상태는 치간 부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임계값은 상술한 제2 스테이지와 대응되는 상태 수치값의 구간의 시작값, 일례로 "20"일 수 있다. 즉, 특정 측정 지시자(720)의 상태 수치값이 20점을 초과하는 경우, 특정 측정 지시자(720)와 대응되는 결과 지시자(920)가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 표현될 수 있다.
결과 지시자(920)는 각각은 고유의 터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결과 지시자(920)의 터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결과 지시자(920)의 세부 정보(일례로, 결과 지시자(920)와 대응되는 측정 지시자(720)의 상태 수치값 등)이 표현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는 다양한 부가 정보 영역(930, 9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부가 정보 영역(930)에는 스테이지 별 치아의 개수가 표현될 수 있고, 제2 부가 정보 영역(940)에는 제1 측정 기간의 날짜가 표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치아 결과 이미지(910)의 결과 상태 정보 및 결과 지시자(920)의 개념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 결과 이미지(910)의 결과 상태 정보 및 결과 지시자(92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때, 도 19의 치아들은 구치이고, 도 18과 관련이 없는 실시예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9의 왼쪽 영역은 치아의 측정 상태 정보와 대응되는 치아 측정 이미지(610c, 610d)의 상태 정보 및 치간 부위의 측정 상태 정보와 대응되는 측정 지시자(720c)의 상태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9의 오른쪽 영역은 치아 결과 이미지(810c, 810d)의 상태 정보 및 결과 지시자(920c)의 상태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치아 측정 이미지 c(610c)의 상태 수치값은 10점이고, 치아 측정 이미지 d(610d)의 상태 수치값은 8점이고,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은 35점이다. 이 경우, 치아 측정 이미지 c(610c) 및 치아 측정 이미지 d(610d) 각각과 대응되는 치아들은 협면, 설면 및/또는 교합면에서 충치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치아들의 치간 부위에 충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치간 부위에 충치도 치아의 충치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 수치값과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을 비교하여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 수치값을 최종 확정할 수 있다. 즉,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 수치값이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보다 작으므로,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 수치값이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인 35점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은 최종 확정된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 수치값에 기초하여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서의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도 19의 오른쪽 영역 참조).
더불어,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이 20점(즉, 제2 임계값)을 초과하였으므로, 측정 지시자 c(720c)와 대응되는 결과 지시자(920c)가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 표현될 수 있다(도 19의 오른쪽 영역 참조).
도 19의 (b)를 참조하면, 치아 측정 이미지 c(610c)의 상태 수치값은 31점이고, 치아 측정 이미지 d(610d)의 상태 수치값은 42점이고,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은 35점이다. 이 경우, 치아 측정 이미지 c(610c) 및 치아 측정 이미지 d(610d) 각각과 대응되는 치아들은 협면, 설면 및/또는 교합면과 함께 상기 치아들의 치간 부위에도 충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치아 측정 이미지 c(610c)의 상태 수치값이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보다 작으므로, 치아 측정 이미지 c(610c)의 상태 수치값이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인 35점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치아 측정 이미지 d(610dd)의 상태 수치값이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보다 크므로, 치아 측정 이미지 d(610d)의 상태 수치값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은 최종 확정된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 수치값에 기초하여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서의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도 19의 오른쪽 영역 참조).
더불어,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이 20점(즉, 제2 임계값)을 초과하였으므로, 측정 지시자 c(720c)와 대응되는 결과 지시자(920c)가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 표현될 수 있다(도 19의 오른쪽 영역 참조).
도 19의 (c)를 참조하면, 치아 측정 이미지 c(610c)의 상태 수치값은 11점이고, 치아 측정 이미지 d(610d)의 상태 수치값은 33점이고,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은 10점이다. 이 경우, 치아 측정 이미지 d(610d)과 대응되는 치아들은 협면, 설면 및/또는 교합면에 충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 수치값이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보다 크므로,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 수치값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은 최종 확정된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 수치값에 기초하여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서의 치아 측정 이미지 c 및 d(610c, 610d)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도 19의 오른쪽 영역 참조).
더불어, 측정 지시자 c(720c)의 상태 수치값이 20점(즉, 제2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측정 지시자 c(720c)와 대응되는 결과 지시자(920c)가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도 19의 오른쪽 영역 참조).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단계(S10)에서 수집된 사전 정보 및 단계(S30)에서 산출된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출력(즉,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치아들의 관리 및 치료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치아들 중 특정 치아(이하, "제1 치아"로 호칭함)의 상태 수치값과 제1 및 제2 임계값을 비교하여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 또는 병원 예약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은 제1 치아의 상태 수치값이 제2 임계값보다 크고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제1 치아의 상태 수치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병원 예약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치아의 상태 수치값은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의 복수의 치아 결과 이미지(910) 중 제1 치아와 대응되는 치아 결과 이미지(910)의 상태 수치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임계값은 제3 스테이지와 대응되는 상태 수치값의 구간의 시작값일 수 있고, 제2 임계값은 제2 스테이지와 대응되는 상태 수치값의 구간의 시작값일 수 있다.
더불어, 제1 치아에 대한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는 제1 치아에 대한 양치법(칫솔 타입 정보를 포함함), 식습관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치아에 대한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는 구강 내의 제1 치아의 치아 구간과 관련된 구간 치아 관리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치아가 구치인 경우 구간 치아 관리법은 "어금니 전용 칫솔을 사용하여 치아의 앞면, 뒷면, 옆면을 전체적으로 닦아주세요"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예약 가이드 정보는 병원의 위치(맵 상에서 표현될 수 있음) 및 병원의 웹 사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치아의 상태 수치값이 충치 주의 스테이지(제2 스테이지)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에서 제공되는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치아를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방지할 수 있고, 치과 진료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치아의 상태 수치값이 충치 위험 스테이지(제3 스테이지)인 경우, 사용자는 제1 치아를 치료받기 위한 병원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병원 방문이 용이해질 수 있고, 병원 방문 시 과잉 치료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서 제1 치아와 대응되는 치아 결과 이미지(910)를 선택하는 경우, 제1 치아와 대응되는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가 별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치간 부위 중 특정 치간 부위(이하, "제1 치간 부위"로 호칭함)의 상태 수치값이 제2 임계값보다 크고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제1 치간 부위의 상태 수치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병원 예약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치간 부위의 상태 수치값은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결과 지시자(920) 중 제1 치간 부위와 대응되는 결과 지시자(920)와 대응되는 상태 수치값일 수 있다. 결과 지시자(920)와 대응되는 상태 수치값은 결과 지시자(920)와 대응되는 측정 지시자(720)의 상태 수치값일 수 있다.
더불어, 제1 치간 부위에 대한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는 제1 치간 부위에 치실 및/또는 치간 칫솔의 사용을 권유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치간 부위의 상태 수치값이 충치 주의 스테이지(제2 스테이지)인 경우, 사용자는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치실 및/또는 치간 칫솔을 사용함으로써 제1 치간 부위의 상태를 악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피할 수 있고, 치과 진료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한편, 제1 구강 결과 이미지(900)에서 제1 치간 부위와 대응되는 결과 지시자(920)를 선택하는 경우, 제1 치간 부위와 대응되는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가 별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유치(milk tooth)의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린이의 치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유치일 수 있다. 유치는 영구치가 나기 이전에 자연적으로 빠지는 치아이지만, 유치에 충치가 발생하는 경우 영구치의 치열을 비뚤게 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치는 치료되어야 한다.
그리고, 유치 별 자연 발치 시기는 통계적으로 결정되어 있다. 일례로, 중철치의 자연 발치 시기는 6~7세이고, 측절치의 자연 발치 시기는 7~8세이고, 견치의 자연 발치 시기는 10~11세이고, 제1 유구치의 자연 발치 시기는 9~11세이고, 제2 유구치의 자연 발치 시기는 10~12세이다.
그런데, 특정 유치에 충치가 심하게 발생하였고, 특정 유치가 곧 자연적으로 발치되는 것으로 예측된 경우, 병원에서 특정 유치를 치료받는 것은 무의미하고, 불필요한 치과 진료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나이 정보 및 유치 별 자연 발치 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사전 정보와, 특정 치아(이하, "제1 유치"로 호칭함)의 상태 정보(상태 수치값)에 기초하여 제1 유치에 대한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사용자 단말(20)은, 제1 유치의 상태 수치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즉 제1 유치가 충치 위험 스테이지(제3 스테이지)인 경우, 사용자의 나이와 제1 유치의 자연 발치 시기를 비교하여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 또는 병원 예약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유치에 대한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있다. 그리고, 유치 자연 발치 시기는 상술한 통계적 자연 발치 시기를 고려하여 특정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유치에 대한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는, 제1 유치의 강제 발치를 권유하는 정보 및/또는 제1 유치에 대한 양치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예약 가이드 정보는 상술하였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나이가 제1 유치의 자연 발치 시기보다 빠르고, 사용자의 나이와 제1 유치의 자연 발치 시기 간의 시간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값보다 큰 경우, 병원 예약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유치에 대한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20의 (a)를 참조하면, 제1 유치가 중절치이고, 사용자의 나이가 5세이고, 중절치의 자연 발치 시기가 6세 6개월로 정의되고, 임계 시간값이 4개월로 정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의 나이는 중절치의 자연 발치 시기보다 4개월 이상으로 빠르다. 이러한 경우, 충치가 존재하는 중절치로 인해 다른 치아에 손상이 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중절치는 치료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은 병원 예약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유치에 대한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나이가 제1 유치의 자연 발치 시기보다 빠르고, 사용자의 나이와 제1 유치의 자연 발치 시기 간의 시간 차이값이 임계 시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유치에 대한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20의 (b)를 참조하면, 제1 유치가 중절치이고, 사용자의 나이가 6세 3개월이고, 중절치의 자연 발치 시기가 6세 6개월로 정의되고, 임계 시간값이 4개월로 정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의 나이는 중절치의 자연 발치 시기보다 4개월 미만으로 빠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중절치는 자연 발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중절치를 치료하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유치에 대한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는 제1 유치의 강제 발치를 권유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유치에 대한 양치법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나이가 제1 유치의 자연 발치 시기보다 늦은 경우,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유치에 대한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20의 (c)를 참조하면, 제1 치아가 중절치이고, 사용자의 나이가 6세 7개월이며, 중절치의 자연 발치 시기가 6세 6개월로 정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의 나이는 중절치의 자연 발치 시기를 경과하였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중절치는 자연 발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즉, 제1 유치의 강제 발치를 권유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유치에 대한 제1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6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비측정 기간에서 사용자의 치아 자가 관리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비측정 기간은 제1 측정 기간 이후에 도래하는 기간으로서, 복수의 일(day)로 구성된 기간일 수 있다. 일례로, 비측정 기간은 15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측정 기간 동안 치아 관련 상태 정보는 치아 진단 장치(10)에서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비측정 기간은 제1 측정 기간과 후술할 제2 측정 시간의 사이의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치아 자가 관리 정보는 사용자 단말(20)의 터치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즉, 비측정 기간에서, 사용자는 스스로 수행한 치아들의 관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 입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자가 관리 정보는 사용자가 비측정 기간에서 수행한 양치 정보, 양치 시의 칫솔 타입 정보, 치실 사용 정보, 치실을 사용한 치간 부위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치아 자가 관리 정보는, 일례로 일 별로 사용자 단말(20)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특정 일에 치아를 자가 관리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치아 자가 관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치아를 자가 관리한 특정 일에만 사용자 단말(20)이 치아 자가 관리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치아 자가 관리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은 비측정 기간에서 사용자의 치아 자가 관리를 유도하는 유도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즉,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유도 메시지 역시 일 별로 사용자 단말(20)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유도 메시지를 확인한 후 치아의 자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치아 자가 관리 정보는 유도 메시지의 응답과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서, 유도 메시지는 "오늘 양치하셨나요?", "충치 주의 스테이지인 구치들 사이에 치실을 사용하셨나요?" 등일 수 있다.
단계(S7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제2 측정 기간에서 치아 진단 장치(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치아들의 제2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2 측정 기간은 비측정 기간 이후에 도래하는 기간일 수 있다. 제2 측정 기간은 제1 측정 기간 이후에 치아 진단 장치(10)에서 사용자의 치아 관련 상태 정보가 수집되는 측정 기간일 수 있다. 제2 측정 기간은 특정 일과 대응되는 기간일 수 있다.
한편, 제2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상태 정보가 "0"로 디폴트된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치아 관련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은 제1 측정 기간에서 산출되고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의 기초가 되는 복수의 제1 치아 측정 이미지(610)의 상태 정보(620)(도 13 참조)를 초기값으로 하는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구강 측정 이미지(600)의 출력을 제외하고, 단계(S70)에서 수행되는 과정은 단계(S20)에서 수행되는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8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제2 치아 관련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구강 결과 상태 정보를 산출한 후 출력(즉,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S80)에서 수행되는 과정은 단계(S30)에서 수행되는 과정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90)에서, 사용자 단말(20)은 단계(S10)에서 수집된 사전 정보, 단계(S30)에서 산출된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 단계(S60)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치아 자가 관리 정보 및 단계(S80)에서 산출된 제2 구강 결과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출력(즉,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 역시 사용자에게 치아들의 관리 및 치료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제1 치아의 상태 수치값 및/또는 제1 치간 부위의 상태 수치값과 제1 및 제2 임계값을 비교하여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 또는 병원 예약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단계(S50)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제1 치아의 상태 수치값 및/또는 제1 치간 부위의 상태 수치값과 제1 및 제2 임계값을 비교하여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 또는 병원 예약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단계(S50)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유치의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단계(S50)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는 상술한 단계(S50)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제1 및 제2 구강 결과 상태 정보(또는 제1 및 제2 치아 관련 상태 정보 간의 비교 결과)와, 치아 자가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치아 자가 관리에 의해 사용자의 치아들의 상태가 유지 또는 악화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은 유도 메시지의 출력에 기초하여 비측정 기간에서 사용자의 치아를 자가 관리하는 정보, 즉 치아 자가 관리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치아들의 자가 관리(일례로, 양치질 및 치실 사용)를 열심히 수행하는 경우, 치아들의 상태 정보(또는 상태 수치값)가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치아들의 자가 관리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는 경우, 치아들의 상태 정보가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은 제1 측정 기간과 제2 측정 기간 사이의 치아들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의 치아 자가 관리에 의해 비교 결과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가 치아 관리를 지속적으로 신경 쓰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비측정 기간에서, 치아 자가 관리 정보는 적어도 1회 이상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적어도 1회 이상 입력된 치아 자가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비측정 기간에서의 사용자의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제1 및 제2 구강 결과 상태 정보(또는 제1 및 제2 치아 관련 상태 정보)와,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치아들의 상태가 유지 또는 악화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은 일 별 양치 여부 및 치실 사용 여부 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이 미리 설정된 임계율보다 크고, 사용자의 치아들 모두에 대한 제1 및 제2 구강 결과 상태 정보(또는 제1 및 제2 치아 관련 상태 정보)의 차이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에 따른 사용자의 치아들의 상태 유지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임계율은 실험적 또는 통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비측정 기간이 30일이고, 임계율이 70%인 것으로 정의되고,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이 90%이고(즉, 30일 중 27일을 자가 치아 관리함), 상기 상태 정보의 차이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이 임계율보다 크고, 치아들의 상태가 거의 유지되었으므로,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자가 관리를 잘 수행해서 치아들의 상태가 유지되었어요"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치아 자가 관리를 더욱 열심히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이 임계율보다 작고, 사용자들의 치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대한 제1 및 제2 구강 결과 상태 정보(또는 제1 및 제2 치아 관련 상태 정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에 따른 사용자의 치아들의 상태 악화 알림 정보 및 치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비측정 기간이 30일이고, 임계율이 70%인 것으로 정의되고,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이 50%이고(즉, 30일 중 15일을 자가 치아 관리함), 상기 상태 정보의 차이가 임계치보다 큰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치아 자가 관리 수행률이 임계율보다 작고, 치아들의 상태가 악화되었으므로(치아 A의 충치 상태 악화 또는 새로운 충치 치아 B의 발생 등),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자가 관리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어요, 치아들을 더욱 열심히 관리해주세요"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 단말(20)은 치아 관리법을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치아 자가 관리를 열심히 수행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제1 및 제2 구강 결과 상태 정보(또는 제1 및 제2 치아 관련 상태 정보) 각각에 사용자의 치아들 중 제2 치아에 대한 치아 관련 상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2 치아에 대한 치아 관련 상태 정보의 측정을 권유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거울을 보면서 스스로 치아 진단 장치(10)를 이용하여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사용자는 자주 측정하였던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만을 측정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자주 측정되지 않는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는 상태 정보를 알 수 없어서 해당 치아 및/또는 치간 부위에 발생된 충치를 모르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측정 기간 모두에서 제2 치아에 대한 치아 관련 상태 정보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제2 치아에 대한 치아 관련 상태 정보의 측정을 권유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치아 관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계(S50) 내지 단계(S90)는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단계(S50) 내지 단계(S90)는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전 주기의 제2 구강 결과 상태 정보는 현재 주기의 제1 구강 결과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치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치아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치아 형태의 치아 측정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1 구강 측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치아 진단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아 측정 이미지들 중 제1 치아 측정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대상 치아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내부 또는 외부에 표현되는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과 매칭하는 단계;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을 상기 제1 구강 측정 이미지에서 표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치간 부위를 나타내는 측정 지시자가 포함된 제2 구강 측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치아 진단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지시자들 중 제1 측정 지시자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대상 치간 부위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측정 지시자의 상태 정보와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측정 지시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구강 측정 이미지에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치아 상태 수치값은 숫자값이고,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이 충치 위험과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은 상기 임계값 이하인 다른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과 서로 다르게 표현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가장자리 선은 상기 다른 치아 측정 이미지의 가장자리 선과 서로 다르게 표현되고,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은 상기 다른 치아 측정 이미지의 치아 상태 수치값과 동일하게 표현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치아 측정 이미지의 가장자리 선은 상기 다른 치아 측정 이미지의 가장자리 선과 동일하게 표현되는,
    치아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8295A 2022-04-26 2022-08-29 충치가 발생된 치아와 충치가 발생되지 않는 치아를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102532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295A KR102532116B1 (ko) 2022-04-26 2022-08-29 충치가 발생된 치아와 충치가 발생되지 않는 치아를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183A KR102469875B1 (ko) 2022-04-26 2022-04-26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1020220108295A KR102532116B1 (ko) 2022-04-26 2022-08-29 충치가 발생된 치아와 충치가 발생되지 않는 치아를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183A Division KR102469875B1 (ko) 2022-04-26 2022-04-26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116B1 true KR102532116B1 (ko) 2023-05-15

Family

ID=8423690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183A KR102469875B1 (ko) 2022-04-26 2022-04-26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1020220108295A KR102532116B1 (ko) 2022-04-26 2022-08-29 충치가 발생된 치아와 충치가 발생되지 않는 치아를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1020220108296A KR102498849B1 (ko) 2022-04-26 2022-08-29 치아 상태와 치간 부위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183A KR102469875B1 (ko) 2022-04-26 2022-04-26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296A KR102498849B1 (ko) 2022-04-26 2022-08-29 치아 상태와 치간 부위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338117A1 (ko)
KR (3) KR1024698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085B1 (ko) * 2017-05-01 2017-10-12 김도훈 치아별 산도 및 구강 내 세균 검사장치
KR102267739B1 (ko) * 2020-02-24 2021-06-22 주식회사 딥덴탈스 치아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853B1 (ko) * 2015-02-24 2016-09-22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치아 관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치아 관리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129247A (ko) * 2018-05-10 2019-11-20 (주)비포덴트 치아진단 방법 및 치아진단용 전자 장치
JP6900445B2 (ja) * 2018-12-17 2021-07-07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識別装置、歯牙種類識別システム、識別方法、および識別用プログラム
KR20210019944A (ko) * 2020-07-14 2021-02-23 프리즈머블 주식회사 상태정보 분석장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085B1 (ko) * 2017-05-01 2017-10-12 김도훈 치아별 산도 및 구강 내 세균 검사장치
KR102267739B1 (ko) * 2020-02-24 2021-06-22 주식회사 딥덴탈스 치아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38117A1 (en) 2023-10-26
KR102498849B1 (ko) 2023-02-10
KR102469875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4953C2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профиля состояния здоровья из информации, полученной от инструмента по уходу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Arici et al. Comparison of different toothbrushing protocols in poor-toothbrushing orthodontic patients
JP6551110B2 (ja) 口腔ケアサポートシステム
Ng et al. Peri‐implant inflammation and marginal bone level changes around dental implants in relation to proximity with and bone level of adjacent teeth
CA2658807A1 (en) Methods and products for analyzing gingival tissues
US20230118333A1 (en) Dental feature identification for assessing oral health
US20230026220A1 (en) Oral health assessment for generating a dental treatment plan
WO2022085724A1 (ja) 口腔状態評価システム、口腔ケア推薦システム、及び口腔状態通知システム
Muniz et al. Efficacy of dental floss impregnated with chlorhexidine on reduction of supragingival biofil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R102532116B1 (ko) 충치가 발생된 치아와 충치가 발생되지 않는 치아를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구강 이미지를 활용한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Batwa et al. Smile analysis: what to measure
KR102273893B1 (ko)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3083650A1 (en) A toothbrush for providing historic brushing performance
KR102498850B1 (ko)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속한 관리 그룹의 소속 사용자들의 치아 악화 수치 정보를 비교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elleher et al. ‘Selfies’− an effective communication aid to solve periodontal and implant diseases
KR102599021B1 (ko) 치주염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eightley et al. Management of Dental Caries in the Young Permanent Teeth
JP2001046381A (ja) リスク改善表とその作成方法及びリスク改善表を具備するリスクケアセット、並びにリスクケアビジネスシステム
Wetselaar Monitoring tooth wear
JP7317171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102037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Greer et al. Periodontal exams for adult orthodontic patients
JP2022068484A (ja) 口腔ケア推薦システム
JP2006092543A (ja) リスク改善表とその作成方法及びリスク改善表を具備するリスクケアセット、並びにリスクケアビジネスシステム
Maltese et al. Epidemiology, prevention and control of oral diseases in pediatric su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