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110B1 -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110B1
KR102532110B1 KR1020210024685A KR20210024685A KR102532110B1 KR 102532110 B1 KR102532110 B1 KR 102532110B1 KR 1020210024685 A KR1020210024685 A KR 1020210024685A KR 20210024685 A KR20210024685 A KR 20210024685A KR 102532110 B1 KR102532110 B1 KR 10253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tank
pressure value
oxygen ta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911A (ko
Inventor
장세훈
Original Assignee
조선기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기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선기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1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A61M16/101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using an oxygen concentr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with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A61M16/022Control means therefor
    • A61M16/024Control means therefor including calculation means, e.g. using a proces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61M16/201Controll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Earth Drilling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은, 상기 응급환자에게 공급될 산소를 각각 저장하는 제1 산소탱크;와 제2 산소탱크; 상기 제1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확인하는 제1 산소 압력 확인부;와 상기 제2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확인하는 제2 산소 압력 확인부; 상기 제1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을 감압하는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제2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을 감압하는 제2 레귤레이터; 상기 제1 산소탱크와 연결된 제1 산소 이동경로를 개폐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부;와 상기 제2 산소탱크와 연결된 제2 산소 이동경로를 개폐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부; 상기 제1 산소 이동경로 및 상기 제2 산소 이동경로 중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만 개방되도록 하는 수동밸브부; 상기 수동밸브부에 의해 개방된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산소의 유량값을 확인하는 산소 유량 확인부; 상기 산소 유량 확인부를 통해 유량값이 확인된 산소를 상기 응급환자에게 공급하는 산소 공급 아울렛; 및 상기 제1, 2 산소탱크 중 적어도 하나의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통해 상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Mobile oxygen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과 교체시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경보 기능을 갖는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용 산소 공급장치란 입원한 환자의 진료나 치료를 위하여 외래로 이동할 때 계속해서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산소탱크, 감압장치, 압력게이지, 유량계(플로우메타) 및 산소 보틀로 구성된다.
현재 사용되는 이동용 산소 공급장치는 10 L 이하의 소형용기로써, 사용시간이 짧아 검사를 대기하는 시간이나 치료 시간의 지연 시 산소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인명사고와 같은 위험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실제로, 이동식 산소 공급장치의 산소탱크 잔량 미확인으로 인해, 사용 중 산소 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환자의 이동 또는 검사 대기 중에 산소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산소탱크의 사용 전 산소 잔량을 확인하도록 하고, 필요시 보충(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산소탱크를 여러개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검사 소요시간, 현재 들어가는 산소량, 이송시간, 검사 대기시간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산소 최소 보유량을 계산하고, 압력 게이지를 통해 남아있는 산소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계산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압력게이지에 스티커를 부착하여, 압력계상의 눈금이 일정 영역 이하로 내려가면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산소탱크의 교체를 유도하고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압력 게이지의 눈금과 산소 주입 유속을 통해 산소탱크의 안전 사용가능시간을 표로 나타내어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산소 공급장치는 산소탱크의 압력변화에 따라 매번 사용 가능시간을 제공된 표를 통해 확인해야 하고, 이를 다양한 환자에게 바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산소 공급장치는 압력계상의 바늘을 체크함으로써 산소 탱크의 잔여 압축산소량을 확인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산소를 필요로 하는 환자마다 대기시간 및 치료시간이 각각 다르므로, 산소탱크의 잔여 압축산소가 각 환자에게 충분한 지에 대해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압력계상의 바늘만으로는 정확한 압축산소의 잔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동식 산소 공급장치는 설계 방식에 따라 압력 게이지에 그림자 또는 빛의 반사가 일어나거나, 압력 게이지에 구비된 눈금의 작은 크기로 인해 사용자가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을 확인하는데 불편하였으며, 이와 같이, 특정환경에서 압력 게이지의 확인이 어려움에 따라 산소탱크가 여러개 구비되는 경우, 어떠한 산소탱크가 사용되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보호자 또는 주변인이 가스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기 때문에, 압력계만으로는 남은 산소의 잔량이나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18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응급환자나 보호자 또는 주변인과 같은 사용자가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경보 기능을 갖는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통해 산소탱크의 교체시기를 판단함으로써, 산소 공급 중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 또는 검사 대기동안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가 설정될 때, 사용자가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은, 상기 응급환자에게 공급될 산소를 각각 저장하는 제1 산소탱크;와 제2 산소탱크; 상기 제1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확인하는 제1 산소 압력 확인부;와 상기 제2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확인하는 제2 산소 압력 확인부; 상기 제1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을 감압하는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제2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을 감압하는 제2 레귤레이터; 상기 제1 산소탱크와 연결된 제1 산소 이동경로를 개폐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부;와 상기 제2 산소탱크와 연결된 제2 산소 이동경로를 개폐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부; 상기 제1 산소 이동경로 및 상기 제2 산소 이동경로 중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만 개방되도록 하는 수동밸브부; 상기 수동밸브부에 의해 개방된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산소의 유량값을 확인하는 산소 유량 확인부; 상기 산소 유량 확인부를 통해 유량값이 확인된 산소를 상기 응급환자에게 공급하는 산소 공급 아울렛; 및 상기 제1, 2 산소탱크 중 적어도 하나의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통해 상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동밸브부를 통해 개방되는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에 연결된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과 상기 산소 유량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산소의 유량값에 기반하여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를 적정단계, 주의단계 및 경고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산소 압력값, 상기 산소의 유량값,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 및 상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를 주의단계 또는 경고단계로 판단하는 경우, 출력되는 정보를 삭제한 후에 상기 주의단계 또는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와 상기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색으로 점등 및 점멸이 가능한 복수의 LED가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 산소 이동경로 및 상기 경보의 발생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부; 상기 제1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막대 그래프 또는 숫자로 표시하는 제1 압력값 표시부; 및 상기 제2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막대 그래프 또는 숫자로 표시하는 제2 압력값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2 압력값 표시부에 각각 점등이 가능한 LED가 내장되어, 상기 버튼부를 통해 상기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버튼부에 의해 설정된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표시하는 상기 제1 압력값 표시부 및 상기 제2 압력값 표시부 중 하나의 압력값 표시부가 점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이 1시간 이상일 때 적정단계, 30분 이상 1시간 이하일 때 주의단계, 30분 이하일 때 경고단계인 것으로 상기 경보의 발생기준이 초기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응급환자나 보호자 또는 주변인과 같은 사용자가 경보를 통해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산소공급의 중단에 따른 인명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 응급환자에게 공급될 산소의 유량값,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 및 산소탱크의 교체시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산소탱크의 산소 잔량을 확인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응급환자에게 제공하는 산소 공급작업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산소탱크의 산소 잔량 부족에 따른 응급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정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1)은 2대의 산소탱크(10, 100)를 이용하여 구급차, 헬기 등의 이동수단에 태워진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1)은 제1 산소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제1 산소탱크(10), 제1 산소 입력 확인부(20), 제1 레귤레이터(30) 및 제1 솔레노이드 밸브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2 산소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제2 산소탱크(100), 제2 산소 입력 확인부(200), 제2 레귤레이터(300)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산소탱크(10) 및 제2 산소탱크(100)는 내부에 저장되는 산소의 압력이 100~120 kgf/cm2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2 산소탱크(10, 100)의 용적 및 단위 기준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용적이 5 L 또는 10 L이며, 단위를 kgf/cm2 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산소 입력 확인부(20)는 치료자, 응급환자, 보호자 또는 주변인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제1 산소탱크(10)의 산소 압력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 및 압력 게이지(압력계)를 구비하고, 제2 산소 입력 확인부(200)는 사용자가 제2 산소탱크(100)의 산소 압력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 및 압력 게이지를 구비한다.
제1 레귤레이터(30)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부(40)의 개방동작에 따라 유입되는 제1 산소탱크(10)의 산소를 감압하는 감압 밸브이고, 제2 레귤레이터(300)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부(40)의 개방동작에 따라 유입되는 제2 산소탱크(100)의 산소를 감압하는 감압 밸브이다. 이러한 제1, 2 레귤레이터(30, 300)가 제1, 2 산소탱크(10, 100)를 감압하는 기준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 2 산소탱크(10, 100)의 산소 압력(120 kgf/cm2)을 각각 3.4 kgf/cm2 으로 감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솔레노이드 밸브부(40)는 제1 산소탱크(10)의 산소를 응급환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경로인 제1 산소 이동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이하, '개폐'라 함.)하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부(400)는 제2 산소탱크(100)의 산소를 응급환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경로인 제2 산소 이동경로를 개폐한다. 이러한 제1, 2 솔레노이드 밸브부(40, 400)는 전기의 공급 여부에 따라 유로가 개폐되는 NC(Normal close) Type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1)은 상기 제1 산소 이동경로와 제2 산소 이동경로 중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를 통해 이동되는 산소가 응급환자에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수동밸브부(50), 산소 유량 확인부(60), 산소 공급 아울렛(70), 신호선(80) 및 컨트롤러(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동밸브부(50)는 제1 산소 이동경로와 제2 산소 이동경로 중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만 개방되도록 하는 3-Way type의 밸브일 수 있다. 이에, 수동밸브부(50)는 제1 산소 이동경로가 개방될 때 제2 산소 이동경로가 폐쇄되도록 하고, 이와 달리 제2 산소 이동경로가 개방될 때 제1 산소 이동경로가 폐쇄되도록 한다. 또한, 수동밸브부(5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제어되어 제1, 2 산소 이동경로 중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만 개방할 수 있으나, 컨트롤러(9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산소 유량 확인부(60)는 수동밸브부(50)에 의해 개방된 제1, 2 산소 이동경로 중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산소의 유량값을 확인할 수 있는 유량센서 또는 차압센서일 수 있다.
산소 공급 아울렛(70)은 산소 유량 확인부(60)를 통해 유량값이 확인된 산소를 응급환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산소 공급 아울렛(70)은 산소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제1 산소 이동경로의 산소가 응급환자에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산소 공급부(71)와, 제2 산소 이동경로의 산소가 응급환자에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산소 공급부(72)가 구비된다.
제1, 2 산소 공급부(71, 72)는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특정 기기(예: 인공호흡기, 산소공급기)와 연결되며, 수동밸브부(50)에 의해 제1, 2 산소 공급부(71, 72) 중 하나의 산소 공급부가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산소 공급 아울렛(70)은 제1, 2 솔레노이드 밸브부(40, 400) 또는 수동밸브부(50)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제1 산소탱크(10)와 제2 산소탱크(100)로부터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 바이패스 경로(미도시)를 통해 제1, 2 산소탱크(10, 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바이패스 경로(미도시)는 제1 산소탱크(10)와 제1 산소 공급부(71)를 연결하는 제1 바이패스 경로(미도시)와 제2 산소탱크(100)와 제2 산소 공급부(72)를 연결하는 제2 바이패스 경로(미도시)로 나누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바이패스 경로(미도시)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부(40) 또는 수동밸브부(50)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만 개방되며, 상기 제2 바이패스 경로(미도시)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부(400) 또는 수동밸브부(50)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만 개방된다.
바이패스 경로(미도시)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로, 제1 산소 공급부(71)가 제1 산소탱크(10)로부터 산소를 공급받는 도중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부(40)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1 바이패스 경로(미도시)는 개방되어 제1 산소탱크(10)의 산소가 제1 산소 이동경로가 아닌 제1 산소 공급부(71)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신호선(80)은 컨트롤러(90)에게 센서의 정보값을 송신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1, 2 산소 압력 확인부(20, 200), 제1, 2 솔레노이드 밸브부(40, 400) 및 산소 유량 확인부(60)가 컨트롤러(90)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신호선(80)은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수동밸브부(50)가 원격 제어되는 방식인 경우에 수동밸브부(50)와 컨트롤러(90)가 연결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90)는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제1, 2 산소탱크(10, 100) 중 적어도 하나의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920)을 계산하고,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920)을 통해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를 판단한다.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일례로, 컨트롤러(90)는 수동밸브부(50)를 통해 개방되는 제1, 2 산소 이동경로 중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에 연결된 제1, 2 산소탱크(10, 100) 중 적어도 하나의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900)과 산소 유량 확인부(60)를 통해 확인된 산소의 유량값(910)에 기반하여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920)를 계산하고,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920)에 기반하여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를 적정단계, 주의단계 및 경고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90)는 출력부(91), 전원부(92), 버튼부(93), 제1 압력값 표시부 및 제2 압력값 표시부가 구비된다.
출력부(91)는 컨트롤러(90)에서 산소 압력값(900), 산소의 유량값(910),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920) 및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에 대한 정보가 출력(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출력부(91)는 정보를 출력하는 중에 컨트롤러(90)가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가 주의단계 또는 경고단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출력되는 정보를 삭제한 후에 주의단계 또는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를 표시하며,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와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색으로 점등 및 점멸이 가능한 복수의 LED가 내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를 시각적으로 확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점등은 산소공급 과정동안 빛의 조사가 발생되는 것이며, 점멸은 산소공급 과정동안 5초마다 빛이 꺼졌다 켜지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후술될 점등 및 점멸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살명하기로 한다.
경보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일례로, 컨트롤러(90)가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를 주의단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출력부(91)는 컨트롤러(90)에 의해 주황색의 빛이 점등 방식으로 조사되도록 하고, 이와 달리 컨트롤러(90)가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를 경고단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출력부(91)는 컨트롤러(90)에 의해 적색의 빛이 점멸 방식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출력부(91)는 컨트롤러(90)로부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가 적정단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트롤러(90)에 의해 초록색의 빛이 점등 방식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부(91)는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마다 빛의 색상 및 빛의 조사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90)는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의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와 경고단계에 따른 정보가 시각적 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도 확인되도록,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와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가 발생되는동안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1 알람부재(미도시)가 내장되거나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알람부재(미도시)는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와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에 대한 알람의 구별이 명확해지도록,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와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에 대한 알람의 음성, 음정, 음높이 및 박자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러(90)는 바이패스 경로(미도시)가 개방되는 경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의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 및 경고단계에 따른 정보와 다른 색(예: 파랑색)의 빛이 출력부(91)에서 점멸 또는 점등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의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 및 경고단계에 따른 정보와 다른 알람이 제1 알람부재(미도시)에서 발생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컨트롤러(90)는 출력부(91)가 경보를 표시하는 기준인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의 적정단계, 주의단계 및 경고단계에 대해 초기 설정이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920)이 1시간 이상일 때 적정단계, 30분 이상 1시간 이하일 때 주의단계, 30분 이하일 때 경고단계인 것으로 경보의 발생기준이 초기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부(92)는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1)을 온/오프하기 위해 출력부(91)와 별도로 컨트롤러(90)에 구비되나, 출력부(91)의 화면이 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출력부(91)가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1)을 온/오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부(93)는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 산소 이동경로 및 경보의 발생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컨트롤러(90)에 복수의 버튼 형태로 구비된다.
구체적인 일례로, 치료자는 버튼부(93)를 통해 제1, 2 산소탱크(10, 100) 중 적어도 하나의 산소탱크를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로 설정할 수 있고,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가 설정되면 이와 연결된 산소 이동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경보의 발생기준을 치료자의 기준에 맞추어 초기 설정으로부터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1 압력값 표시부는 제1 산소탱크(10)의 산소 압력값을 막대 그래프로 표시하는 제1-1 압력값 표시부(94)와 숫자로 표시하는 제1-2 압력값 표시부(9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압력값 표시부(94, 95)에는 점등 및 점멸이 가능한 LED가 내장될 수 있다.
제2 압력값 표시부는 제2 산소탱크(100)의 산소 압력값을 막대 그래프로 표시하는 제2-1 압력값 표시부(96)와 숫자로 표시하는 제2-2 압력값 표시부(9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압력값 표시부(96, 97)에는 제1 압력값 표시부(94, 95)와 다른 색상의 빛이 점등 및 점멸되도록 하는 LED가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압력값 표시부(94, 95)와 제2 압력값 표시부(96, 97)에 각각 LED가 내장되는 것은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탱크의 압력값을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시키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일례로, 버튼부(93)를 통해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가 설정되는 경우 또는 설정되는 동시에, 설정된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표시하는 제1 압력값 표시부(94, 95) 및 제2 압력값 표시부(96, 97) 중 하나의 압력값 표시부가 점등될 수 있다.
구체적인 다른예로,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이 기설정된 압력값 미만이 되는 경우, 기설정된 압력값 미만의 산소탱크의 압력값을 표시하는 제1 압력값 표시부(94, 95) 및 제2 압력값 표시부(96, 97) 중 하나의 압력값 표시부가 점멸될 수 있다.
즉, 제1 압력값 표시부(94, 95)와 제2 압력값 표시부(96, 97)는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가 설정되었다는 정보와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이 기설정된 압력값 미만에 도달하였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점등 및 점멸하는 LED가 내장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압력값 표시부(94, 95)와 제2 압력값 표시부(96, 97)는 시각적으로 산소탱크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도 산소탱크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2 알람부재(미도시)가 내장되거나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알람부재(미도시)는 LED가 점등 또는 점멸되는동안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압력값 표시부(94, 95)와 제2 압력값 표시부(96, 97)는 각각 구비된 제2 알람부재(미도시)가 구별되도록, 제2 알람부재(미도시)의 알람의 음성, 음정, 음높이 및 박자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1)은 컨트롤러(90)를 구비함으로써, 응급환자나 보호자 또는 주변인과 같은 사용자가 경보를 통해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산소공급의 중단에 따른 인명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1)은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900), 응급환자에게 공급될 산소의 유량값(910),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920) 및 산소탱크의 교체시기(930)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산소탱크의 산소 잔량을 확인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응급환자에게 제공하는 산소 공급작업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1)은 사용자가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제1, 2 산소탱크(10, 100) 중 적어도 하나의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900)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산소탱크의 산소 잔량 부족에 따른 응급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10: 제1 산소탱크,
20: 제1 산소 압력 확인부, 30: 제1 레귤레이터,
40: 제1 솔레노이드 밸브부, 50: 수동밸브부,
60: 산소 유량 확인부, 70: 산소 공급 아울렛,
71: 제1 산소 공급부, 72: 제2 산소 공급부,
80: 신호선, 90: 컨트롤러,
91: 출력부, 92: 전원부,
93: 버튼부, 94: 제1-1 압력값 표시부,
95: 제1-2 압력값 표시부, 96: 제2-1 압력값 표시부,
97: 제2-2 압력값 표시부, 100: 제2 산소탱크,
200: 제2 산소 압력 확인부, 300: 제2 레귤레이터,
400: 제2 솔레노이드 밸브부.

Claims (7)

  1. 응급환자의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에게 공급될 산소를 각각 저장하는 제1 산소탱크;와 제2 산소탱크;
    상기 제1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확인하는 제1 산소 압력 확인부;와 상기 제2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확인하는 제2 산소 압력 확인부;
    상기 제1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을 감압하는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제2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을 감압하는 제2 레귤레이터;
    상기 제1 산소탱크와 연결된 제1 산소 이동경로를 개폐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부;와 상기 제2 산소탱크와 연결된 제2 산소 이동경로를 개폐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부;
    상기 제1 산소 이동경로 및 상기 제2 산소 이동경로 중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만 개방되도록 하는 수동밸브부;
    상기 수동밸브부에 의해 개방된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산소의 유량값을 확인하는 산소 유량 확인부;
    상기 산소 유량 확인부를 통해 유량값이 확인된 산소를 상기 응급환자에게 공급하는 산소 공급 아울렛; 및
    상기 제1, 2 산소탱크 중 적어도 하나의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통해 상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동밸브부를 통해 개방되는 하나의 산소 이동경로에 연결된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과 상기 산소 유량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산소의 유량값에 기반하여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를 적정단계, 주의단계 및 경고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판단하며,
    상기 산소 압력값, 상기 산소의 유량값,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 및 상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산소탱크의 교체시기를 주의단계 또는 경고단계로 판단하는 경우, 출력되는 정보를 삭제한 후에 상기 주의단계 또는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상기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 산소 이동경로 및 상기 경보의 발생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부;
    상기 제1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막대 그래프 또는 숫자로 표시하며, 상기 버튼부를 통해 상기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가 설정되었다는 정보와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이 기설정된 압력값 미만에 도달하였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LED가 내장되는 제1 압력값 표시부;
    상기 제2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막대 그래프 또는 숫자로 표시하며, 상기 버튼부를 통해 상기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가 설정되었다는 정보와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이 기설정된 압력값 미만에 도달하였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LED가 내장되는 제2 압력값 표시부;
    상기 출력부에서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 또는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가 발생되는동안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에 대한 알람 또는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에 대한 알람을 서로 상이하게 발생시키는 제1 알람부재; 및
    상기 제1 압력값 표시부와 제2 압력값 표시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압력값 표시부의 LED가 점등 또는 점멸될 때와 상기 제2 압력값 표시부의 LED가 점등 또는 점멸될 때 서로 상이한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2 알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주의단계에 따른 경보와 상기 경고단계에 따른 경보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색으로 점등 및 점멸이 가능한 복수의 LED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버튼부를 통해 상기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산소탱크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버튼부에 의해 설정된 산소탱크의 산소 압력값을 표시하는 상기 제1 압력값 표시부 및 상기 제2 압력값 표시부 중 하나의 압력값 표시부가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산소탱크의 사용가능시간이 1시간 이상일 때 적정단계, 30분 이상 1시간 이하일 때 주의단계, 30분 이하일 때 경고단계인 것으로 상기 경보의 발생기준이 초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KR1020210024685A 2021-02-24 2021-02-24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KR102532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685A KR102532110B1 (ko) 2021-02-24 2021-02-24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685A KR102532110B1 (ko) 2021-02-24 2021-02-24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911A KR20220120911A (ko) 2022-08-31
KR102532110B1 true KR102532110B1 (ko) 2023-05-15

Family

ID=8306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685A KR102532110B1 (ko) 2021-02-24 2021-02-24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1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7517A (ja) * 2009-03-27 2010-10-14 Metoran:Kk 酸素濃縮装置
JP2019110997A (ja) 2017-12-21 2019-07-11 株式会社三幸製作所 酸素ガス残量通知装置及びシステム
KR102217017B1 (ko) * 2020-01-22 2021-02-19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사용 가능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용 산소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829Y1 (ko) 1996-07-01 1999-06-01 김종기 의료용 산소기의 붙박이형 압력조정기기 체결함체
JPH10192405A (ja) * 1997-01-13 1998-07-28 Gunma Koike:Kk 呼吸同調装置
US5924418A (en) * 1997-07-18 1999-07-20 Lewis; John E. Rebreather system with depth dependent flow control and optimal PO2 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7517A (ja) * 2009-03-27 2010-10-14 Metoran:Kk 酸素濃縮装置
JP2019110997A (ja) 2017-12-21 2019-07-11 株式会社三幸製作所 酸素ガス残量通知装置及びシステム
KR102217017B1 (ko) * 2020-01-22 2021-02-19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사용 가능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용 산소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911A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049B2 (en) Remote control fluid regulation system
AU707011B2 (en) Checking the operation of breathing equipment
US8122763B2 (en) Breathing gas supply visual broadcast apparatus
CN104826204B (zh) 一种智能伺服的氧疗控制系统
US20120132207A1 (en) Rebreather setpoint controller and display
CN201043742Y (zh) 健康节能防近视台灯
CN109124941B (zh) 一种新型一体式医用空气加压舱
KR102532110B1 (ko) 이동용 산소공급 시스템
CN202818692U (zh) 一种消防应急照明系统
CN204272460U (zh) 一种智能照明系统及具有该智能照明系统的智能照明灯具
JP2001041791A (ja) ガスメータ
EP3076066A1 (en) Oxygen storage and supply unit, oxygen supply system and method of oxygen supply
EP3074094B1 (en) Breathing apparatus with illuminated connection
CN203892661U (zh) 一种智能燃气阀
KR20220058827A (ko) 응급생존 호흡 자동화 장치
CN206103136U (zh) 一种气压报警系统及呼吸器设备
KR102217017B1 (ko) 사용 가능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용 산소 공급장치
US20200238042A1 (en) Anesthesia machine exhaust emiss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321413B (zh) 一种滤波增压装置及具有该装置的模拟按压止血装置
KR20220093957A (ko) 생명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소공급방법
JP2020006017A (ja) 医療用酸素供給装置
JP2005124873A (ja) 携帯型呼吸用気体供給装置
JP7204090B2 (ja) 医療用酸素供給装置
Miraoui A Smart Room to Promote Autonomy of Disabled People due to Stroke.
CN210107066U (zh) 一种微量精准控制型天然气加臭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