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979B1 -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979B1
KR102531979B1 KR1020217011862A KR20217011862A KR102531979B1 KR 102531979 B1 KR102531979 B1 KR 102531979B1 KR 1020217011862 A KR1020217011862 A KR 1020217011862A KR 20217011862 A KR20217011862 A KR 20217011862A KR 102531979 B1 KR102531979 B1 KR 10253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rc
eplmn
terminal
plm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598A (ko
Inventor
첸 정
샤오둥 양
샤오완 커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 보고 방법은, 무선 자원 제어(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보낸 제1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RRC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 인 경우,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 PLMN이 동등한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 EPLMN으로 재선택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RRC 메시지는 상기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Description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8 년 9 월 21일에 중국에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811109872.6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원용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와 같이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은 액세스 네트워크 알림 영역(RAN Notification Area,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RNA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며, 이를 간단히 RNAU 프로세스라고 한다. 여기서, RNA 업데이트 조건은 예를 들어 주기적 RNAU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UE가 구성된 RNA 영역을 벗어나는 것일 수 있다.
RNAU 과정에서 UE는 기지국으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복구 절차(RRC Resume Procedure)를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 RRC 재개 절차를 시작할 때 단말은 먼저 RRC 재개 요청(RRC Resume 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cause value)이 포함될 수 있으며 원인 값은 RNAU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후,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RRC 해제(RRC Release)메시지로 응답하고, 해제 메시지는 일시 중지 구성 정보(suspend configuration)를 캐리하고 RRC가 비활성화(Inactive) 상태임을 단말에게 캐리하며 상태 및 RNA 구성 정보를 포함하여 일시 중지 구성 정보를 통해 UE Inactive 관련 매개 변수 구성을 업데이트한다.
또한 Inactive UE가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동등한 EPLMN(Equivalent PLMN)으로 재선택하는 경우, 네트워크의 효과적인 UE 관리 및 제어를 위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지원하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관련 기술은 Inactive UE가 PLMN을 EPLMN으로 동시에 재선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RNAU 프로세스에서 기지국으로부터 MSG4(RRC Release with suspend configuration)가 응답하여 UE가 Inactive 상태임을 나타내므로 UE는 송신하지 않을 것이며 RRC Resume Complete 메시지는 재선택된 EPLMN을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비활성 상태의 단말이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하고 동시에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재선택 EPLMN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하며, 다음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송신하는 단계;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보낸 제1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RRC 메시지를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제2 RRC 메시지는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제2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하며,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 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하는 제3 RRC 메시지가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이 보낸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수신하는 단계;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RRC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이 보낸 제2 RRC 메시지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 일 때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제2 RRC 메시지는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제4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송신한 EPLMN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 5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 된 제1 RRC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및
제1 RRC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RRC 메시지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 일 때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제2 RRC 메시지는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제 6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하는 제3 RRC 메시지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제3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 7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단말에 의해 송신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RRC 메시지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4 송신 모듈;
제1 RRC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RRC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 일 때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제2 RRC 메시지는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제 8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송신한 EPLMN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4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 9 측면에서, 본 개시 내용의 실시 예는 또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수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를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에서 적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10 측면에서, 본 개시 내용의 실시 예는 또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 실행시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1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에 적용된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는 전술한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한편으로 단말이 시작한 RRC 복구 과정을 통해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은 EPLMN 식별자를 재선택된 것을 보고할 수 있다. 이로부터 비활성 상태의 단말이 PLMN에서 EPLMN을 재선택하고 동싱에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할 수 있다. 즉,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때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해당 통신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고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RRC 메시지를 통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직접 보고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해야 한다는 요건에 따라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줄어들고 통신 성능이 보장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설명에 이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략히 소개할 것이며, 이하 설명의 도면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들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이러한 도면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노력없이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흐름도 중 하나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예 1의 정보 보고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예 2의 정보 보고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예 3의 정보 보고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 예 4의 정보 보고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 예 5의 정보 보고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흐름도 중 하나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 인 구조도 중 하나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2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 예의 네트워크 기기의 개략적 인 구조도 중 하나이다.
도 1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제2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3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제3 구조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설명에 이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략히 소개할 것이며, 이하 설명의 도면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들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이러한 도면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노력없이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하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네트워크 기기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송신하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단말은 비활성(Inactive) 상태임을 알 수 있다. RRC 복구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전에 단말은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는지 여부와 RNA 업데이트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이 RRC 복구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 발생, RNA 업데이트 조건 만족,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 발생하는 것중 하나일 수 있다.
단계 102: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술한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보낸 제1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단말이 보낸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기기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RRC 메시지로 단말에 응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프로토콜 또는 기타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위에서 언급한 제1 RRC 메시지는 RRC 복구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와 같은 기존 RRC 메시지 또는 New RRC message_1와 같은 새로 정의된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전술한 제1 RRC 메시지가 RRC 해제 메시지인 경우, 단말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RRC 해제 메시지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정지 구성(suspend configuration)을 포함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자원 구성 정보는 제2 RRC 메시지가 차지하는 자원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단말은 지시된 자원을 사용하여 제2 RRC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103: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RRC 메시지를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일 때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제2 RRC 메시지는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전술한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RRC 메시지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제1 RRC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이 제1 RRC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RRC 메시지로 네트워크 기기에 응답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프로토콜 동의 또는 기타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전술한 제2 RRC 메시지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와 같은 기존 RRC 메시지이거나, New RRC message_2 또는 New RRC message_3와 같은 새로 정의된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구현에서, 제1 RRC 메시지는 RRC 복구 메시지이고, 제2 RRC 메시지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 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RRC 메시지는 RRC 해제 메시지이고, 제2 RRC 메시지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New RRC message_2, 또는 전술한 제1 RRC 메시지는 New RRC message_1이고, 전술한 제2 RRC 메시지는 New RRC message_3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단말이 시작한 RRC 복구 과정을 통해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은 EPLMN 식별자를 재선택된 것을 보고할 수 있다. 이로부터 비활성 상태의 단말이 PLMN에서 EPLMN을 재선택하고 동시에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할 수 있다. 즉,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때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해당 통신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EPLMN으로의 PLMN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EPLMN으로의 PLMN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이 만족될 때 단말이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1 원인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원인 값은 단말이 PLMN에서 EPLMN으로 재선택, 즉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 발생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 발생으로 인해 해당 RRC 복구 프로세스를 시작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함을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즉, PLMN이 EPLMN으로 다시 선택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RRC 복구 프로세스가 시작된다.
위에서 언급한 제1 원인 값을 새로운 원인 값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RRC 메시지로 단말에 응답하면,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원인 값을 기반으로 해당하는 제1 RRC 메시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원인 값이 단말이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함을 나타내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제1 RRC 메시지가 RRC 복구 메시지, RRC 해제 메시지 또는 New RRC message_1이라고 판단하거나, 제1 원인 값이 단말이 PLMN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EPLMN이 재선택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RRC 메시지가 RRC 복구 메시지, RRC 해제 메시지 또는 New RRC message_1이라고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 한 제1 원인 값은 단말의 비 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NAS)에 의해 확정되고,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접근 계층(Access Stratum, AS)에 제공하면서 AS 계층에 제공 될 수 있다. 또는, 위에서 언급한 제1 원인 값은 NAS 계층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을 AS 계층에 제공한 후, 즉 NAS 계층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을 AS 계층에 제공한 후, AS 계층이 이를 설정한 후 단말의 AS 계층에 의해 제1 원인 값이 확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할 때 위의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송신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되어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위의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2 원인 값을 캐리할 수 있다. 제2 원인 값은 단말이 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 또는 상향 링크 시그널링 송신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 한 제2 원인 값은 기존 원인 값을 재사용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원인 값은 mo-singalling 또는 mo-data로 설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2 원인 값을 포함하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 한 네트워크 기기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복구 메시지로 단말에 응답할 수 있으며, 추가 단말은 RRC 복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RRC 복구 완료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
또한, 전술한 제2 원인 값은 단말의 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고,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가 AS 계층에 제공됨과 동시에 AS 계층에 제공될 수 있거나, 전술한 제2 원인 값은 단말의 NAS 계층에 의해 확정될 수 있으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는 AS 계층에 제공됨과 동시에 AS 계층에 제공되고, NAS 시그널링 프로세스가 동시에 트리거되며, NAS 시그널링 프로세스는 이동성 등록 업데이트 프로세스 또는 코어 네트워크 추적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 등이 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제2 원인 값은 NAS 계층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을 AS 계층에 제공한 후, 즉 NAS 계층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을 AS 계층에 제공한 후, AS 계층이 이 제2 원인값을 설정한 후 단말의 AS 계층에 의해 확정될 수 있다.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했을 때 단말이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지시 정보를 캐리할 수 있다. 이 지시 정보는 단말이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지시 정보는 선택적으로 1 비트 식별 정보 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RRC 메시지로 단말에 응답하면,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하는 제1 RRC 메시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 정보가 단말이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함을 나타내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제1 RRC 메시지가 RRC 복구 메시지, RRC 해제 메시지 또는 New RRC message_1임을 확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방송되는 PLMN 리스트이 단말의 등록된 공중 육상 이동망(Registered PLMN, RPLMN)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프로토콜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다른 PLMN을 재선택할 수 없다. 단말의 RPLMN이 단말이 방송하는 PLMN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EPLMN으로 재선택할 수 있으므로 관련 기술의 RNAU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컨텍스트를 통해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RRC를 선택할 수 있다. PLMN이 재선택된 경우 단말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EPLMN에 보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RNA 업데이트 조건이 만족될 때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단말에 의해 송신 될 때, 상기 제1 RRC 메시지는 복구 될 셀이 브로드 캐스트하는 PLMN 리스트에 단말의 RPLMN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확정한 후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제1 RRC 메시지는 RRC 복구 메시지이고, 제2 RRC 메시지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일 수 있다.
기지국과 같은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가 여러 개의 셀을 가질 수 있고 각 셀이 자신의 PLMN 리스트을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기기가 수신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판단하여 해당 RRC 복구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복원 할 셀을 확정한다.
단말의 RPLMN이 복원 될 셀이 브로드 캐스트하는 PLMN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게 RRC 해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은 RRC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단말은 다른 PLMN을 다시 선택하지 않는다. 즉, EPLMN을 다시 선택하지 않으므로 보고 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RPLMN이 브로드 캐스트 PLMN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기가 보낸 RRC 복구 메시지의 도움으로 PLMN이 재선택된 경우 EPLMN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위에서 시작된 RRC 복구 프로세스를 통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하는 것 외에도, 단말은 또한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보고를 위한 새로운 RRC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또한 단말에 적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하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하는 제3 RRC 메시지가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된다.
여기서, 전술 한 제3 RRC 메시지는 선택적으로 New RRC message_4와 같은 새로운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정확한 식별 및 검증을 위해 제3 RRC 메시지에서 캐리할 수 있는 EPLMN 식별자 외에도 다음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캐리할 수 있다.
단말 식별자, 메시지 인증 코드 무결성(Message Authentication code - Integrity,MAC-I) 및 잘린 MAC-I.
특정 구현에서, MAC-I 및 절단된 MAC-I 중 하나가 전술한 제3 RRC 메시지에서 하나일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MAC-I 또는 잘린 MAC-I의 도움으로 올바른 식별을 위해 단말 식별자를 검증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 식별자는 (비활성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Inactive-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I-RNTI), 재개 ID (resume ID), 단말 컨텍스트 식별자(UE 컨텍스트 ID), 5G S-임시 모바일 구독 식별자(5G S-Temporary Mobile Subscription Identifier, 5G-S-TMSI)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201 후에, 전술한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 할 수 있다:
단말은 제3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보낸 제4 RRC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술한 제4 RRC 메시지는 새로운 RRC 메시지로 선택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ew RRC message_5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RRC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를 통해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가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해당 통신 성능이 보장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새로운 RRC 프로세스는 제3 RRC 메시지(예: New RRC 메시지_4) (1 단계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구현된 프로세스 일 수 있거나, 제3 RRC 메시지 (예: New RRC 메시지_4) 및 현재 메시지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부 RRC 해제 메시지 (MSG4)는 제3 RRC 메시지(예: New RRC message_4)와 제4 RRC 메시지(New RRC message_5)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RRC 메시지를 통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직접 보고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해야 한다는 요건에 따라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줄어들고 통신 성능이 보장된다.
이하,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 1 내지 5의 정보 보고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 1
예를 들어, 비활성 상태의 단말은 RRC 복구 프로세스의 시작을 사용하여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할 수 있으며, RRC 복구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해당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새로운 원인 값을 캐리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예를 들어 기지국, NG-RAN 노드 등일 수 있다.
도면 3에 표시된 것처럼 해당 정보 보고 프로세스에는 다음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31: Inactive UE는 PLMN 재선택 발생 여부와 RNA 업데이트 조건 만족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그중에서 EPLMN으로 PLMN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EPLMN으로 PLMN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UE는 RRC 복구 프로세스 (RRC Resume Procedure)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 32: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UE는 RRC 재개 요청(RRC Resume 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그중, 요청 메세지는 제1 원인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UE가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하거나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하여 RNA 업데이트 조건을 충족 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원인 값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단계 33: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지국은 제1 원인 값을 읽고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RRC 메시지로 UE에 응답하는데 여기서, 제1 RRC 메시지는 선택적으로 RRC 복구 메시지 또는 RRC해제 메시지 또는 New RRC message_1일 수 있다.
단계 34: RRC 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UE는 RRC 복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복구 완료 메시지로 기지국에 응답하고, 여기서 RRC 복구 완료 메시지는 전술한 EPLMN 식별자(PLMN ID)를 캐리하고, UE는 RRC 연결 상태에 진입한다.
단계 35: RRC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고 RRC 해제 메시지가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suspend configuration 정보를 캐리하고 무선 자원 구성 정보가 무선 자원을 나타낼 수 있는 경우, UE는 RRC 복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New RRC로 기지국에 응답하는데 여기서 New RRC message_2는 EPLMN ID를 캐리하고 UE는 RRC inactive 상태를 유지한다.
단계 36: New RRC message_1이 수신되면 UE는 RRC 복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New RRC message_3로 기지국에 응답하고, New RRC message_3은 EPLMN ID를 캐리하고 UE는 RRC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예 2
예 2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은 RRC 복구 프로세스의 시작을 사용하여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할 수 있으며, RRC 복구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해당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다중화 원인 값을 캐리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예를 들어 기지국, NG-RAN 노드 등일 수 있다.
도면 4에 표시된 것처럼 해당 정보 보고 프로세스에는 다음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41: Inactive UE는 PLMN 재선택 발생 여부와 RNA 업데이트 조건 만족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그중에서 EPLMN으로 PLMN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EPLMN으로 PLMN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UE는 RRC 복구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 42: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UE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제2 원인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원인 값은 UE가 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 또는 상향 링크 시그널링 송신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mo-singalling 또는 mo-data로 설정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원인 값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단계 43: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제2 원인 값을 읽고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복구 메시지를 UE에 반환한다.
단계 44: RRC 복구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RRC 복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복구 완료 메시지로 기지국에 회신하고, RRC 복구 완료 메시지는 EPLMN ID를 캐리하고, 단말은 RRC 연결 상태에 진입한다.
예 3
예 3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은 RRC 복구 프로세스의 시작을 사용하여 재선택된 EPLMN의 신원을보고 할 수 있으며, RRC 복구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해당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예를 들어 기지국, NG-RAN 노드 등일 수 있다.
도면 5에 표시된 것처럼 해당 정보 보고 프로세스에는 다음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51: Inactive UE는 PLMN 재선택 발생 여부와 RNA 업데이트 조건 만족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그중에서 EPLMN으로 PLMN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EPLMN으로 PLMN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UE는 RRC 복구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 52: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UE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요청 메시지는 PLMN 재선택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 지시 정보는 1비트 식별 정보일 수 있다.
단계 53: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원인 값과 1 비트 식별 정보를 읽고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RRC 메시지로 UE에 응답한다. 여기서, 제1 RRC 메시지는 선택적으로 RRC 복구 메시지, RRC 해제 메시지 또는 New RRC message_1일 수 있다.
단계 54: RRC 복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UE는 RRC 복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복구 완료 메시지로 기지국에 응답하고, 여기서 RRC 복구 완료 메시지는 EPLMN 식별자를 송신하고, UE는 RRC 연결 상태에 진입한다.
단계 55: RRC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고 RRC 해제 메시지가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suspend configuration 정보를 캐리하고 무선 자원 구성 정보가 무선 자원을 나타낼 수 있는 경우, UE는 RRC 복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New RRC로 기지국에 응답하는데 여기서 New RRC message_2는 EPLMN ID를 캐리하고 UE는 RRC inactive 상태를 유지한다.
단계 56: New RRC message_1이 수신되면 UE는 RRC 복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New RRC message_3로 기지국에 응답하고, New RRC message_3은 EPLMN ID를 캐리하고 UE는 RRC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예 4
예 4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은 RRC 복구 프로세스의 시작을 사용하여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 할 수 있으며, RRC 복구 프로세스는 관련 기술에서 RNAU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예를 들어 기지국, NG-RAN 노드 등일 수 있다.
도면 6에 표시된 것처럼 해당 정보 보고 프로세스에는 다음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61: Inactive UE는 RNA 업데이트 조건이 만족되는지 모니터링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UE는 기지국으로 RRC 복구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 62: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UE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원인 값을 캐리할 수 있고 원인 값은 RNAU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63: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지국은 UE 컨텍스트 획득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획득된 UE 컨텍스트는 기지국에 의해 방송된 PLMN 리스트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4: 기지국은 UE의 RPLMN이 복원 될 셀에 의해 방송된 PLMN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65: UE의 RPLMN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복구 메시지로 UE에 응답한다.
단계66: UE의 RPLMN이 포함된 경우, 기지국은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해제 메시지(MSG4)로 UE에 응답하고, MSG4는 서스밴드 구성 정보(관련 기술에서와 동일한 메커니즘)를 캐리할 수 있고, UE는 RRC inactive상태를 유지한다.
단계 67: RRC 복구 메시지를 수신 한 단말은 RRC 복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복구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에 회신하고, 그중 62 단계가 시작될 때 UE의 NAS 계층이 재선택된 PLMN ID를 AS 계층에 제공하면 RRC 복구가 완료된다. 메시지는 EPLMN ID를 캐리하고 그렇지 않으면 EPLMN ID를 캐리하지 않으며 UE는 RRC connected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예 5
예 5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은 새로운 RRC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 할 수 있다. 도면 7에 표시된 것처럼 해당 정보 보고 프로세스에는 다음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71: Inactive UE는 PLMN 재선택 발생 여부와 RNA 업데이트 조건 만족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그 중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UE는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RRC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 72: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UE는 New RRC message_4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New RRC message_4는 적어도 재선택된 EPLMN ID를 캐리한다.
단계73: 기지국은 UE에 대한 New RRC message_4에 대한 응답으로 New RRC message_5로 응답하거나 중지 구성 정보를 캐리하는 RRC Release 메시지(MSG4, 관련 기술과 동일한 메커니즘)로 응답하고 UE는 RRC inactive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01: 단말이 보낸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수신;
단계 802: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RRC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
단계 803: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이 보낸 제2 RRC 메시지 수신;
여기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 일 때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제2 RRC 메시지는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단말이 시작한 RRC 복구 과정을 통해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은 EPLMN 식별자를 재선택된 것을 보고할 수 있다. 이로부터 비활성 상태의 단말이 PLMN에서 EPLMN을 재선택하고 동시에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할 수 있다. 즉,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때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해당 통신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단말이 PLMN에서 EPLMN으로 재선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이 만족 될 때 송신된다.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1 원인 값을 캐리하고, 제1 원인 값은 단말이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하거나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하여 RNA 업데이트 조건을 충족 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2 원인 값을 캐리하고, 제2 원인 값은 단말이 업 링크 데이터 송신 또는 업 링크 시그널링 송신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된다;
또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지시 정보는 단말이 EPLMN에 대해 PLMN을 재선택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RRC 메시지는 RRC 복구 메시지이고, 제2 RRC 메시지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이고;
또는, 제1 RRC 메시지는 RRC 해제 메시지이고, RRC 해제 메시지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서스밴드 구성 정보를 캐리하고, 무선 자원 구성 정보는 제2 RRC 메시지가 차지하는 자원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제1 원인 값을 캐리하는 경우,
제1 원인 값은 단말의 비 접속(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액세스 AS 계층에 제공하면서 AS 계층에 제공된다.
또는 NAS 계층이 AS 계층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제공한 후 제1 원인 값이 단말의 AS 계층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제2 원인 값을 캐리하는 경우,
제2 원인 값은 단말의 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AS 계층에 제공하면서 AS 계층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제2 원인 값은 단말의 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고,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S 계층에 제공하면서 AS 계층에 제공되는 동시에 NAS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트리거한다.
또는 NAS 계층이 AS 계층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제공한 후 제2 원인 값이 단말의 AS 계층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단말이 RNA 업데이트 조건을 충족할 때 송신된다. 제1 RRC 메시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복구 할 셀에서 방송 된 PLMN 리스트에 전술한 단말의 RPLMN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확정한 경우에 송신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901: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송신한 EPLMN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3 RRC 메시지는 다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캐리한다.
단말 식별, MAC-I 및 잘린 MAC-I.
선택적으로, 단계 901 후에, 전술한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 할 수 있다:
제3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4 RRC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RRC 메시지를 통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직접 보고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해야 한다는 요건에 따라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줄어들고 통신 성능이 보장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정보 보고 방법 및 수신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는 실시 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또한 다음을 포함하는 단말(10)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기기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11);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RRC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12);
제1 RRC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RRC 메시지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13)을 포함하며,
여기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 일 때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제2 RRC 메시지는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단말이 시작한 RRC 복구 과정을 통해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은 EPLMN 식별자를 재선택된 것을 보고할 수 있다. 이로부터 비활성 상태의 단말이 PLMN에서 EPLMN을 재선택하고 동싱에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할 수 있다. 즉,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때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해당 통신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단말이 PLMN에서 EPLMN으로 재선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이 만족 될 때 송신된다.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1 원인 값을 캐리하고, 제1 원인 값은 단말이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하거나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하여 RNA 업데이트 조건을 충족 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2 원인 값을 캐리하고, 제2 원인 값은 단말이 업 링크 데이터 송신 또는 업 링크 시그널링 송신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또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지시 정보는 단말이 EPLMN에 대해 PLMN을 재선택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RRC 메시지는 RRC 복구 메시지이고, 제2 RRC 메시지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이고;
또는, 제1 RRC 메시지는 RRC 해제 메시지이고, RRC 해제 메시지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서스밴드 구성 정보를 캐리하고, 무선 자원 구성 정보는 제2 RRC 메시지가 차지하는 자원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제1 원인 값을 캐리하는 경우,
제1 원인 값은 단말의 비 접속(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액세스 AS 계층에 제공하면서 AS 계층에 제공된다.
또는 NAS 계층이 AS 계층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제공한 후 제1 원인 값이 단말의 AS 계층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제2 원인 값을 캐리하는 경우,
제2 원인 값은 단말의 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AS 계층에 제공하면서 AS 계층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제2 원인 값은 단말의 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고,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AS 계층에 제공하면서 AS 계층에 제공되는 동시에 NAS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트리거한다.
또는 NAS 계층이 AS 계층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제공한 후 제2 원인 값이 단말의 AS 계층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단말이 RNA 업데이트 조건을 충족할 때 송신된다.
제1 RRC 메시지는 복원 할 셀이 방송된 PLMN 리스트에 단말의 RPLMN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또한 다음을 포함하는 단말(110)을 제공한다: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하는 제3 RRC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111)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3 RRC 메시지는:
단말 식별, MAC-I 및 잘린 MAC-I 중 적어도 하나를 캐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제3 RRC 메시지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4 RRC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 5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RRC 메시지를 통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직접 보고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해야 한다는 요건에 따라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줄어들고 통신 성능이 보장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또한 다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120)를 제공한다:
단말에 의해 송신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121);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RRC 메시지를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122);
제1 RRC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RRC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모듈(123);을 포함하며,
여기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 일 때,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제2 RRC 메시지는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단말이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이 만족 될 때 송신된다.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1 원인 값을 캐리하고, 제1 원인 값은 단말이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하거나 PLMN을 EPLMN으로 재선택하여 RNA 업데이트 조건을 충족 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2 원인 값을 캐리하고, 제2 원인 값은 단말이 업 링크 데이터 송신 또는 업 링크 시그널링 송신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된다;
또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지시 정보는 단말이 EPLMN에 대해 PLMN을 재선택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RRC 메시지는 RRC 복구 메시지이고, 제2 RRC 메시지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이고;
또는, 제1 RRC 메시지는 RRC 해제 메시지이고, RRC 해제 메시지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서스밴드 구성 정보를 캐리하고, 무선 자원 구성 정보는 제2 RRC 메시지가 차지하는 자원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제1 원인 값을 캐리하는 경우,
제1 원인 값은 단말의 비 접속(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액세스 AS 계층에 제공하면서 AS 계층에 제공된다.
또는 NAS 계층이 AS 계층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제공한 후 제1 원인 값이 단말의 AS 계층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제2 원인 값을 캐리하는 경우,
제2 원인 값은 단말의 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AS 계층에 제공하면서 AS 계층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제2 원인 값은 단말의 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고,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AS 계층에 제공하면서 AS 계층에 제공되는 동시에 NAS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트리거한다.
또는 NAS 계층이 AS 계층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제공한 후 제2 원인 값이 단말의 AS 계층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단말이 RNA 업데이트 조건을 충족할 때 송신된다.
제1 RRC 메시지는 복원 할 셀이 방송된 PLMN 리스트에 단말의 RPLMN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다.
도 13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또한 다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130)를 제공한다:
제4 수신 모듈(131)은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송신한 EPLMN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3 RRC 메시지는:
단말 식별, MAC-I 및 잘린 MAC-I중 적어도 하나를 캐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30)는:
제3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4 RRC 메시지 또는 RRC 해제 메시지를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제 5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RRC 메시지를 통해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직접 보고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보고해야 한다는 요건에 따라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줄어들고 통신 성능이 보장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또한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의 단말에 적용된 정보 보고 방법의 각 과정이 구현되어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현하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단말(1400)은 무선 주파수 유닛(1401), 네트워크 모듈(1402), 오디오 출력 유닛(1403), 입력 유닛(1404), 센서(1405) 및 디스플레이 유닛(1406), 사용자 입력 유닛(1407), 인터페이스 유닛(1408), 메모리(1409), 프로세서(1410), 전원 공급 장치(1411) 및 기타 구성 요소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도 14에 도시된 단말 구조가 단말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이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일부 구성 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배열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단말은 핸드폰, 태블릿PC, 노트북 컴퓨터, 팜탑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장치 및 만보계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은 네트워크 기기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 일 때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제2 RRC 메시지는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은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하는 제3 RRC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단말(1400)이 시작한 RRC 복구 과정을 통해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1400)은 EPLMN 식별자를 재선택된 것을 보고할 수 있다. 이로부터 비활성 상태의 단말이 PLMN에서 EPLMN을 재선택하고 동싱에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할 수 있다. 즉,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는 네트워크 기기가 제때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해당 통신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링크 데이터는 프로세서(1410)에 의해 수신되고 처리된다.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는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가 이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탐색하고,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는 것을 돕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 모듈(1402)을 통해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403)은 무선 주파수 유닛(14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402)에서 수신하거나 메모리(14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1403)은 단말(14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예: 호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성 출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403)은 스피커, 부저,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4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유닛(14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GPU)(14041) 및 마이크로폰(140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4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진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1406)에 표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4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409)(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유닛(14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402)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4042)은 음성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음성을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 출력을 위해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을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단말(1400)은 또한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40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조도 센서는 조도 센서와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조도 센서는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4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단말(1400)이 귀에 닿을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14061) 및 / 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 인 가속도계 센서는 다양한 방향(일반적으로 3 축)의 가속도 크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정지 상태 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 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의 자세(예: 수평 및 수직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예: 보수계, 타악기) 등을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센서(14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 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도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설명이 생략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4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406)는 디스플레이 패널(14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4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4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407)은 터치 패널(14071) 및 기타 입력 기기(14072)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으로도 알려진 터치 패널(14071)(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패널(14071) 또는 터치 패널(14071)상에서 또는 그 근처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사용자 터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의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송신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410)로 송신하며 프로세서(1410)가 보낸 명령이 수신되어 실행된다. 또한, 터치 패널(14071)은 저항성, 캐패시티성,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071) 외에, 사용자 입력부(1407)는 기타 입력 기기(14072)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14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터치 패널(14071)은 디스플레이 패널(14061)을 커버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071)은 그 위 또는 근처에서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이를 프로세서(1410)로 송신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한다. 이벤트 유형은 디스플레이 패널(14061)에 대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4에서는 터치 패널(14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4061)이 단말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두 개의 독립적 인 구성 요소로 사용되지만, 일부 실시 예에서는 터치 패널(14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4061)이 통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데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1408)은 단말(1400)과 외부 기기를 연결하기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장치와 식별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 / 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408)은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1400) 내의 하나 이상의 요소로 송신하거나 단말(1400)과 외부 장치사이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4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4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데이터 구역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 (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다른 휘발성 솔리드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0)는 단말의 제어 센터로, 단말 전체의 다양한 부분을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사용하며, 메모리(14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 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14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하며 단말의 다양한 기능과 데이터 처리를 통해 단말 전체를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14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4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통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전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410)에 통합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단말(1400)은 또한 다양한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1411)(예: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전원(14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 (14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4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설명이 생략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또한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된 정보 수신 방법의 각 과정이 구현되어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150)는 버스(151), 송수신기(152), 안테나(153), 버스 인터페이스(154), 프로세서(155) 및 메모리(156)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기기(150)는 메모리(156)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55)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55)에 의해 실행될 때 다음 단계들이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기(152)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RRC 메시지를 단말에 송신하고, 제1 RRC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이 비활성 상태 일 때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제2 RRC 메시지는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55)에 의해 실행될 때 다음 단계들이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기(152)는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이 만족될 때 단말이 보낸 EPLMN의 식별자를 송신하는 제3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
송수신기 (152)는 프로세서 (155)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15에서, 버스 아키텍처(버스(151)로 표시됨), 버스(151)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버스(151)는 프로세서(155)가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56)가 나타내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151)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154)는 버스(151)와 송수신기(152)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52)는 하나의 요소 또는 다중 수신기 및 송신기와 같은 다중 요소일 수 있으며, 송신 매체상의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55)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안테나(153)를 통해 무선 매체로 송신된다. 또한 안테나(153)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55)로 송신한다.
프로세서(155)는 버스 (151)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타이밍, 주변 인터페이스, 전압 조절, 전력 관리 및 기타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메모리(156)는 동작을 수행할 때 프로세서(155)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55)는 CPU, ASIC, FPGA 또는 CPLD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지시 신호가 송신되는 단계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단말에 사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의 실시 예의 각 프로세스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세부 사항을 반복하지 않는다. 여기서,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지시 신호가 송신되는 단계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단말에 사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의 실시 예의 각 프로세스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세부 사항을 반복하지 않는다. 여기서,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문에서 용어 포함"또는 이의 다른 변형은 비 배타적 포함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므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뿐만 아니라, 또한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기타 요소 또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 한 요소도 포함된다. 더 많은 제한없이, "포함하는 ..."단락으로 정의된 요소는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 한 실시 예들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상기 실시 예들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로도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 전자가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본질적인 기술적 솔루션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ROM / RAM,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에 저장되며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이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몇 가지 명령을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특정 실시 예는 예시일뿐 제한적이지 않다. 본 개시 내용의 계몽하에, 본 개시 내용의 목적 및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형태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모두 본 개시 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5)

  1. 단말에 적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에 있어서,
    무선 자원 제어(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제1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RRC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PLMN)에서 동등한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EPLMN)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또는 PLMN이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RRC 메시지는 상기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하며,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1 원인 값을 캐리하고, 상기 제1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이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2 원인 값을 캐리하고, 상기 제2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이 업 링크 데이터 송신 또는 업 링크 시그널링 송신을 가지고 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정보 보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것인,
    정보 보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RC 메시지는 RRC 복구 메시지이고, 상기 제2 RRC 메시지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1 RRC 메시지는 RRC 해제 메시지이고, 상기 RRC 해제 메시지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서스밴드 구성 정보를 캐리하며, 상기 무선 자원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RRC 메시지가 차지하는 자원을 지시하는 것인,
    정보 보고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상기 제1 원인 값을 캐리하는 경우,
    상기 제1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의 비 접속(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고,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AS 계층에 제공하는 경우, AS 계층에 상기 제1 원인 값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원인 값은 NAS 계층이 AS 계층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제공한 후,상기 단말의 AS 계층에 의해 확정되는 것인,
    정보 보고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가 상기 제2 원인 값을 캐리하는 경우,
    상기 제2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의 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고,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AS 계층에 제공하는 경우, AS 계층에 상기 제2 원인 값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의 NAS 계층에 의해 확정되고,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AS 계층에 제공하는 경우, AS 계층에 상기 제2 원인 값을 제공하고, 또한 NAS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트리거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원인 값은 NAS 계층이 AS 계층에 재선택된 EPLMN의 식별자를 제공한 후, 상기 단말의 AS 계층에 의해 확정되는 것인,
    정보 보고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1 RRC 메시지는 복구해야 할 셀이 브로드캐스트한 PLMN 리스트에 상기 단말의 등록된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RPLMN)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 보고 방법.
  7.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송신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제1 RRC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및
    상기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이 송신한 제2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RRC 메시지는 상기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하며,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1 원인 값을 캐리하고, 상기 제1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이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2 원인 값을 캐리하고, 상기 제2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이 업 링크 데이터 송신 또는 업 링크 시그널링 송신을 가지고 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정보 수신 방법.
  8. 단말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제1 RRC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RRC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RRC 메시지는 상기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하며,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1 원인 값을 캐리하고, 상기 제1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이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2 원인 값을 캐리하고, 상기 제2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이 업 링크 데이터 송신 또는 업 링크 시그널링 송신을 가지고 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말.
  9.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단말이 송신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제1 RRC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 및
    상기 제1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이 송신한 제2 RRC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거나,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RRC 메시지는 상기 EPLMN의 식별자를 캐리하며,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1 원인 값을 캐리하고, 상기 제1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이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PLMN에서 EPLMN으로의 재선택이 발생하고 RNA 업데이트 조건을 만족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2 원인 값을 캐리하고, 상기 제2 원인 값은 상기 단말이 업 링크 데이터 송신 또는 업 링크 시그널링 송신을 가지고 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 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217011862A 2018-09-21 2019-09-02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531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109872.6A CN110944355B (zh) 2018-09-21 2018-09-21 信息上报方法、接收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201811109872.6 2018-09-21
PCT/CN2019/103992 WO2020057361A1 (zh) 2018-09-21 2019-09-02 信息上报方法、接收方法、终端及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598A KR20210060598A (ko) 2021-05-26
KR102531979B1 true KR102531979B1 (ko) 2023-05-11

Family

ID=6988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862A KR102531979B1 (ko) 2018-09-21 2019-09-02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678393B2 (ko)
EP (2) EP3855791B1 (ko)
JP (1) JP7213960B2 (ko)
KR (1) KR102531979B1 (ko)
CN (1) CN110944355B (ko)
PT (1) PT3855791T (ko)
SG (1) SG11202102858SA (ko)
WO (1) WO2020057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6950B2 (en) * 2020-02-13 2023-01-03 Qualcomm Incorporated Truncated identification indicators for early user equipment (UE) capability retrieval
CN113498178A (zh) * 2020-04-01 2021-10-12 夏普株式会社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及用户设备
CN113630841A (zh) * 2020-05-07 2021-1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站选择方法、装置、基站和存储介质
WO2022061616A1 (zh) * 2020-09-23 2022-03-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寻呼碰撞处理方法及装置、用户设备、网络设备及存储介质
CN112165718B (zh) * 2020-10-23 2022-12-2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终端的网络配置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基带芯片
CN113727467A (zh) * 2021-09-24 2021-1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恢复rrc连接的方法、装置、芯片、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9070A1 (ko) 2013-07-18 2015-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lmn 선택 방법 및 사용자 장치
WO2018131956A1 (en) * 2017-01-16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1786B2 (en) * 2008-05-13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downlink code selection for femto cells
CN103636257B (zh) * 2011-07-01 2018-07-3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支持本地ip接入lipa移动性的方法和装置
CN103037400B (zh) 2011-09-30 2016-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最小化路测控制方法及系统、网元设备
WO2013105790A1 (ko) * 2012-01-09 2013-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깅 방법 및 장치
KR102038001B1 (ko) * 2012-04-06 2019-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2768258B1 (en) * 2012-08-02 2019-03-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after access failure thereof
DK2760240T3 (en) * 2013-01-25 2016-08-29 Telia Co Ab A method, network nod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brugerapparats capability to support network sharing
EP3429258B1 (en) * 2013-02-14 2020-04-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mbms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US9363844B2 (en) * 2013-08-30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 performance of making an emergency call during radio link failure over radio access technology
CN104902541B (zh) * 2015-04-30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及移动通信终端
CN106304019B (zh) * 2015-06-04 2020-01-2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移动终端的能力更新方法及装置、移动终端
GB2549987A (en) * 2016-05-06 2017-11-08 Ip Access Ltd Network entiti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features to mobile handsets
CN108040367B (zh) 2016-11-04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ue位置区域更新方法、接入网实体、ue及核心网实体
US11160132B2 (en) * 2017-02-03 2021-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resource control resume wthout context fetch
WO2019160475A1 (en) * 2018-02-14 2019-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a update in rrc_inactive state
CN112640529A (zh) * 2018-08-10 2021-04-09 鸿颖创新有限公司 用于rrc状态转换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9070A1 (ko) 2013-07-18 2015-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lmn 선택 방법 및 사용자 장치
WO2018131956A1 (en) * 2017-01-16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02638*
3GPP R2-1813424*
3GPP TSG-RAN WG2 Meeting #101, R2-1802638, 2018.02.16.
3GPP TSG-RAN WG2 Meeting #103, R2-1813424, 2018.09.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02858SA (en) 2021-04-29
JP7213960B2 (ja) 2023-01-27
CN110944355B (zh) 2021-12-03
JP2022500953A (ja) 2022-01-04
US20230284318A1 (en) 2023-09-07
EP3855791A1 (en) 2021-07-28
US11678393B2 (en) 2023-06-13
KR20210060598A (ko) 2021-05-26
CN110944355A (zh) 2020-03-31
WO2020057361A1 (zh) 2020-03-26
US20210212147A1 (en) 2021-07-08
PT3855791T (pt) 2024-01-24
EP4294114A2 (en) 2023-12-20
EP3855791B1 (en) 2023-12-20
EP4294114A3 (en) 2024-03-13
EP3855791A4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1979B1 (ko) 정보 보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CN110366212B (zh) 一种条件切换结果的检测方法及终端
CN110650492B (zh) 一种测量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0831109B (zh) 一种网络选择方法、终端、网络指示方法和网络侧设备
JP2021530914A (ja) ページング指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N110505638B (zh) 测量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1182563B (zh) 一种无线能力标识传输方法、终端设备和网络节点
KR102398275B1 (ko) 액세스 제어 방법, 메시지 브로드캐스트 방법 및 관련 기기
CN111436090A (zh) Plmn同步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3498164A (zh) 寻呼处理方法、通信设备及网络侧设备
CN111800835B (zh) 切换配置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2552981B1 (ko) 랜덤 액세스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N113596961A (zh) 小区选择方法、小区选择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1246528A (zh) 一种网络切换方法及电子设备
WO2019192520A1 (zh) 测量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615158B (zh) 一种更新方法、重建请求处理方法、终端和网络设备
JP7162078B2 (ja) 情報対話方法及び端末
CN111356183B (zh) 一种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10972212A (zh) 一种PC5接口的QoS参数配置方法、设备及系统
CN113055960B (zh) 基站重选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601365B (zh) 一种连接管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3709898A (zh) 能力上报、获取方法、ip地址请求方法及iab节点
CN113498128A (zh) 重定向方法、网络侧设备和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