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675B1 -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675B1
KR102531675B1 KR1020210078727A KR20210078727A KR102531675B1 KR 102531675 B1 KR102531675 B1 KR 102531675B1 KR 1020210078727 A KR1020210078727 A KR 1020210078727A KR 20210078727 A KR20210078727 A KR 20210078727A KR 102531675 B1 KR102531675 B1 KR 102531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ans
valve
housing
spac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789A (ko
Inventor
장석윤
최진복
최병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티엠
Priority to KR102021007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67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밸브에 의해 냉각수의 유통경로가 선택적으로 전환되며, 밸브의 작동성능 과 기밀성능이 확보되어 밸브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VALVE APPARATUS FOR COOLANT OF VEHICLE}
본 발명은 밸브를 통해 냉각매체의 유통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며, 밸브의 작동 성능이 확보되는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를 기존의 자동차와 같이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가 아닌 전기에너지로부터 얻는 자동차이다. 전기자동차는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다가 최근 공해문제의 심각화, 화석 연료의 고갈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그 개발이 다시 가속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로 구동하는 전기자동차에서는 인버터와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LDC 및 충전기등이 구비되고, 이들의 발열특성으로 인해 적정한 온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냉각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냉각계에는 냉각수 순환을 위한 워터펌프가 구비되고, 워터펌프에서 토출된 냉각수는 모터와 이에 관련된 전장기기들을 경유한 후 히트소스를 거쳐 순환됨으로써 발열특성을 갖는 각종 전장기기들이 과온으로부터 보호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냉각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다방향 밸브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밸브는 냉각수의 유통 경로가 많아짐에 따라 정밀한 제어를 요구하고, 특히 밸브의 고장시 냉각수의 흐름이 차단되어 각종 전자기기들에 과온이 발생된다.
특히, 밸브의 경우 냉각수의 유통 경로를 전환시, 밸브의 위치가 계속적으로 이동되는데, 지속적인 밸브 작동에 의해 밸브 성능이 저하되어 냉각수의 유통 경로를 정확히 전환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0-0102939 A (2010.09.2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밸브에 의해 냉각수의 유통경로가 선택적으로 전환되며, 밸브의 작동성능 과 기밀성능이 확보되는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는 유통공간을 통해 유체가 유통되는 복수개의 유통로와, 유통공간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하우징의 개방부에 장착되고, 유통로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밸브부와 밸브부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며, 구동부에는 하우징의 유체가 유입되어 구동부의 동작이 서포트되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구동기는, 하우징의 개방부에 장착되고 하우징의 유통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 커버부와, 커버부 내부에 마련되고 구동부와 밸브부가 설치되며 하우징의 유체가 유통되도록 이루어진 설치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부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하우징의 유통공간과 연통되며 설치부가 마련되는 내측공간 및 내측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공간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부는 외측공간에 마련된 작동수단과, 내측공간에 마련되어 작동수단에 의해 이동되고 밸브부가 연결되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부는, 내측공간에서 격벽에 고정되며 하우징의 유통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이동수단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캡부와, 캡부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밸브부가 관통되어 밸브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부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둘레면은 이동수단이 마련되는 직선구간과 직선구간보다 직경이 더 길게 형성되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설치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부의 둘레면은 직선구간과 설치구간이 폭이 점차 넓어지는 경사구간을 통해 연결되고, 가이드부는 경사구간과 마주하는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수단의 일단부에는 연장부가 형성됨에 따라 연장부가 캡부의 일측단에 접촉되어 캡부에는 이동수단의 일측으로 체류공간이 형성되고, 이동수단의 둘레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는 캡부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며 이동수단이 안착되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삽입단부와 둘레방향으로 돌출되어 커버부와 하우징에 개재되는 연장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부는,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이동수단과 함께 이동되고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하우징의 유통공간으로 연장된 로드와, 로드에 연결되며 로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유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일단이 이동수단에 접촉되고 타단이 가이드부에 접촉되어 이동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드의 둘레면에는 하나 이상의 함몰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는 밸브에 의해 냉각수의 유통경로가 선택적으로 전환되며, 밸브의 작동성능 과 기밀성능이 확보되어 밸브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로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로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통공간(S1)을 통해 유체가 유통되는 복수개의 유통로(110)와, 유통공간(S1)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개방부(120)가 형성된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의 개방부(120)에 장착되고, 유통로(110)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밸브부(300)와 밸브부(300)를 동작시키는 구동부(400)로 구성되며, 구동부(400)에는 하우징(100)의 유체가 유입되어 구동부(400)의 동작이 서포트되는 구동기(2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100)과 구동기(200)가 서로 조립되어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은 복수개의 유통로(110)가 형성되어 각 유통로(110) 및 유통공간(S1)을 통해 유체가 유통된다. 여기서 유체는 냉각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복수개의 유통로(110)와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120)가 형성되며, 개방부(120)를 통해 구동기(200)가 장착된다. 구동기(200)는 밸브부(300)와 구동부(400)가 구비되며, 하우징(100)에 장착시 구동부(400)의 동작에 의해 밸브부(300)가 동작됨으로써, 하우징(100)의 유통로(110)가 밸브부(3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특히, 구동기(200)는 하우징(100)의 유통로(110) 및 유통공간(S1)에 순환되는 유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유입된 유체가 구동부(400)의 동작을 서포트하게 된다. 즉, 구동기(200)에는 하우징(100)의 유통공간(S1)에서 유체가 유입되고, 구동부(400)는 유체에 의해 구동시 마찰이 저감됨에 따라 작동 성능이 확보된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기(200)는, 하우징(100)의 개방부(120)에 장착되고 하우징(100)의 유통공간(S1)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 커버부(210)와, 커버부(210) 내부에 마련되고 구동부(400)와 밸브부(300)가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유체가 유통되도록 이루어진 설치부(220)가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동기(200)는 커버부(210)와 설치부(220)로 구성되며, 커버부(210)는 하우징(100)의 개방부(120)에 장착되며, 실링링(R)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210)는 하우징(100)의 유통공간(S1)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부(220), 밸브부(300), 구동부(400) 및 PCB기판(P)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10)에는 고정을 위한 브라켓(B)이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400) 및 PCB기판(P)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기라인(L)이 구성될 수 있다.
설치부(220)는 커버부(210) 내부에 고정되며, 하우징(100)의 유체가 유통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210) 내부에 구비된 구동부(400)가 유입된 유체에 의해 서포트되어 작동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10)의 내부는 격벽(211)에 의해, 하우징(100)의 유통공간(S1)과 연통되며 설치부(220)가 마련되는 내측공간(S2) 및 내측공간(S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공간(S3)으로 구획된다.
즉, 커버부(210)의 내부는 격벽(211)에 의해 유체가 유입되는 내측공간(S2)과 유체의 유입이 제한되는 외측공간(S3)으로 구성되며, 내측공간(S2)의 경우 설치부(2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구동부(400)는 외측공간(S3)에 마련된 작동수단(410)과, 내측공간(S2)에 마련되어 작동수단(410)에 의해 이동되고 밸브부(300)가 연결되는 이동수단(420)으로 구성된다.
즉, 작동수단(410)은 코일로 구성되고, 이동수단(420)은 자성에 의해 이동되는 플런저로 구성되어, 작동수단(41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이동수단(420)이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수단(420)의 경우 내측공간(S2)에 마련되어 유체에 노출되기 때문에, 부식 방지와 함께 자성에 의한 이동이 수행되도록 Magnetic SUS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동수단(410)은 외측공간(S3)에 마련되어 유체의 유입이 차단됨에 따라 부식이 방지되고, 이동수단(420)은 내측공간(S2)에서 이동되며 유체에 의해 마찰 저감에 따른 작동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설치부(220)는, 내측공간(S2)에서 격벽(211)에 고정되며 하우징(100)의 유통공간(S1)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이동수단(420)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캡부(221)와, 캡부(221)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밸브부(300)가 관통되어 밸브부(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2)로 구성된다.
이렇게, 설치부(220)는 캡부(221)와 가이드부(222)로 구성되며, 캡부(221)는 유통공간(S1)과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유통공간(S1)의 유체가 유입되고, 내측으로 이동수단(420)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로 인해, 이동수단(420)은 캡부(221)에 존재하는 유체가 이동수단(420)과 캡부(221) 사이에 수막을 형성하여 이동수단(420)이 캡부(221)에 접촉됨에 따른 마찰이 감소되어 이동수단(420)의 작동 성능이 확보된다. 한편, 가이드부(222)는 캡부(221)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동수단(420)에 연결된 밸브부(30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캡부(221)는 격벽(211)에 레이저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가이드부(222)는 캡부(221)에 레이저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각기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부(221) 및 가이드부(222)를 통해, 커버부(210)측으로 유체의 유통이 제한된다.
또한, 캡부(221)는 내측면의 직경이 이동수단(420)의 외측면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캡부(221)와 이동수단(420) 사이에 틈이 형성됨으로써, 캡부(221)와 이동수단(420) 사이의 틈으로 유체가 막을 형성함에 따라 이동수단(420)의 이동시 유체에 의해 마찰이 저감되어 작동 성능이 확보된다.
이러한 캡부(221)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둘레면은 이동수단(420)이 마련되는 직선구간(221a)과 직선구간(221a)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가이드부(222)가 삽입되는 설치구간(221b)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캡부(221)는 타측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으며, 둘레면의 직선구간(221a)에서 이동수단(420)이 직선운동하여 이동수단(420)에 연결된 밸브부(300)가 전환될 수 있다. 특히, 캡부(221)의 둘레면은 직선구간(221a)의 끝단에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설치구간(221b)이 형성되고, 설치구간(221b)에 가이드부(22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캡부(221)와 가이드부(222)의 접촉면적이 확보됨으로써 결합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캡부(221)의 둘레면은 직선구간(221a)과 설치구간(221b)이 폭이 점차 넓어지는 경사구간(221c)을 통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캡부(221)는 직선구간(221a)에서 설치구간(221b)으로 경사진 경사구간(221c)을 통해 연장된 형상을 이룸에 따라, 캡부(221)의 자체 강성이 확보된다.
아울러, 가이드부(222)는 경사구간(221c)과 마주하는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부(222)를 캡부(221)의 내측으로 삽입시 가이드부(222)의 단부가 캡부(221)의 경사구간(221c)에 접촉되어 캡부(221) 또는 가이드부(222)가 손상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캡부(221)와 가이드부(222)는 캡부(221)의 경사구간(221c)과 가이드부(222)의 경사진 부분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캡부(221)와 가이드부(222)는 캡부(221)의 경사구간(221c)과 가이드부(222)의 경사진 단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캡부(221)의 경사구간(221c)과 가이드부(222)의 경사진 부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유체가 체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부(221) 내부에는 체류되는 유체가 존재함에 따라 이동수단(420)이 유체에 의해서 작동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이동수단(420)의 일단부에는 연장부(421)가 형성됨에 따라 연장부(421)가 캡부(221)의 일측단에 접촉되어 캡부(221)에는 이동수단(420)의 일측으로 체류공간(S4)이 형성되고, 이동수단(420)의 둘레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홈(4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420)은 일단부에 연장부(421)가 돌출됨으로써, 이동수단(420)이 일측으로 최대 이동시 연장부(421)가 캡부(221)의 일측단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이동수단(420)이 일측으로 최대 이동되더라도, 캡부(221)에는 이동수단(420)의 일측으로 체류공간(S4)이 형성됨으로써 체류공간(S4)에 유체가 체류될 수 있다.
또한, 이동수단(420)은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슬릿홈(422)이 길이방향인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00)의 유통공간(S1)에서 유입된 유체는 이동수단(420)의 슬릿홈(422)을 통해 체류공간(S4)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수단(420)의 위치에 따라 슬릿홈(422)을 통해 유체가 유통됨으로써 이동수단(420)과 캡부(221) 사이에 유체가 막이 형성되어 이동수단(420)이 이동됨에 따른 마찰이 감소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22)는 캡부(221)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며 이동수단(420)이 안착되도록 함몰부(222b)가 형성된 삽입단부(222a)와 둘레방향으로 돌출되어 커버부(210)와 하우징(100)에 개재되는 연장단부(222c)로 구성된다.
이처럼, 가이드부(222)는 삽입단부(222a)가 캡부(221)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되 연장단부(222c)가 커버부(210)에 밀착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단부(222a)와 캡부(221)가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22)는 연장단부(222c)가 커버부(210)와 하우징(100)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실링되어 하우징(100) 내의 유체가 커버부(210)의 외측공간(S3)으로 유입이 방지된다.
또한, 가이드부(222)의 삽입단부(222a)에는 이동수단(420)과 매칭되도록 함몰된 함몰부(222b)가 형성됨으로써 이동수단(420)이 타측으로 최대 이동시 함몰부(222b)에 안착되어 과도한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가이드부(222)의 함몰부(222b)를 통해 이동수단(420)의 이동이 가이드됨으로써 이동수단(420)이 안정적으로 직선 운동될 수 있다.
한편, 밸브부(300)는, 이동수단(420)에 연결되어 이동수단(420)과 함께 이동되고 가이드부(222)를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유통공간(S1)으로 연장된 로드(310)와, 로드(310)에 연결되며 로드(31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유통로(110)를 개폐하는 밸브체(320)와, 일단이 이동수단(420)에 접촉되고 타단이 가이드부(222)에 접촉되어 이동수단(42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30)로 구성된다.
이처럼, 밸브부(300)는 로드(310), 밸브체(320), 탄성체(330)로 구성되며, 이동수단(420)의 이동시 로드(310)가 함께 이동되면서 밸브체(320)를 이동시킴에 따라 유통로(110)가 밸브체(3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여기서, 탄성체(330)는 이동수단(420)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작동수단(410)의 자성 해제시 이동수단(420)은 탄성체(33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체(320)의 이동에 따른 유통로(110)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해, 하우징(100)에는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디퓨저(D)가 구성될 수 있고, 하우징(100)에는 밸브체(320)가 특정 위치로 이동시 밸브체(320)가 지지되도록 지지돌기(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브부(300)는 이동수단(420)의 이동 여부에 따라 위치가 전환되어 유통로(110)를 개폐할 수 있으며, 탄성체(33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10)의 둘레면에는 하나 이상의 함몰홈(311)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로드(310)의 둘레면에는 하나 이상의 함몰홈(311)이 길이방향인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00)의 유통공간(S1)의 유통되는 유체가 로드(310)의 함몰홈(311)을 통해 캡부(221)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로드(310)는 함몰홈(311)을 통해 유체가 이동됨으로써 로드(310)와 가이드부(222)의 마찰이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는 밸브에 의해 냉각수의 유통경로가 선택적으로 전환되며, 밸브의 작동성능이 유지되고, 기밀 성능이 확보되어 밸브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하우징 110:유통로
120:개방부 200:구동기
210:커버부 220:설치부
221:캡부 221a:직선구간
221b:설치구간 221c:경사구간
222:가이드부 222a:삽입단부
222b:함몰부 222c:연장단부
300:밸브부 310:로드
311:함몰홈 320:밸브체
330:탄성체 400:구동부
410:작동수단 420:이동수단
421:연장부 422:슬릿홈
S1:유통공간 S2:내측공간
S3:외측공간 S4:체류공간

Claims (11)

  1. 유통공간을 통해 유체가 유통되는 복수개의 유통로와, 유통공간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하우징의 개방부에 장착되고 하우징의 유통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 커버부와, 커버부 내부에 마련되고 유통로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밸브부 및 밸브부를 동작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되어 하우징의 유체가 유통되도록 이루어진 설치부가 구성된 구동기;를 포함하며,
    커버부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하우징의 유통공간과 연통되며 설치부가 마련되는 내측공간 및 내측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공간으로 구획되고,
    구동부는 외측공간에 마련된 작동수단과, 내측공간에 마련되어 작동수단에 의해 이동되고 밸브부가 연결되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설치부는, 내측공간에서 격벽에 고정되며 하우징의 유통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이동수단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캡부와, 캡부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밸브부가 관통되어 밸브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캡부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둘레면은 이동수단이 마련되는 직선구간과 직선구간보다 직경이 더 길게 형성되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설치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캡부의 둘레면은 직선구간과 설치구간이 폭이 점차 넓어지는 경사구간을 통해 연결되고,
    가이드부는 경사구간과 마주하는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일단부에는 연장부가 형성됨에 따라 연장부가 캡부의 일측단에 접촉되어 캡부에는 이동수단의 일측으로 체류공간이 형성되고, 이동수단의 둘레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캡부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며 이동수단이 안착되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삽입단부와 둘레방향으로 돌출되어 커버부와 하우징에 개재되는 연장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밸브부는,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이동수단과 함께 이동되고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하우징의 유통공간으로 연장된 로드와, 로드에 연결되며 로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유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일단이 이동수단에 접촉되고 타단이 가이드부에 접촉되어 이동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로드의 둘레면에는 하나 이상의 함몰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KR1020210078727A 2021-06-17 2021-06-17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KR102531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727A KR102531675B1 (ko) 2021-06-17 2021-06-17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727A KR102531675B1 (ko) 2021-06-17 2021-06-17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789A KR20220168789A (ko) 2022-12-26
KR102531675B1 true KR102531675B1 (ko) 2023-05-12

Family

ID=8454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727A KR102531675B1 (ko) 2021-06-17 2021-06-17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6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723B1 (ko) * 2017-09-04 2019-01-03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냉각수용 솔레노이드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823B1 (ko) * 2003-06-26 2006-01-1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보일러용 3방향 유로전환밸브
KR101103056B1 (ko) 2009-03-12 2012-01-05 장현철 유량제어밸브
KR102105949B1 (ko) * 2018-09-20 2020-05-06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2166945B1 (ko) * 2019-02-26 2020-10-19 주식회사 유니크 삼방향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723B1 (ko) * 2017-09-04 2019-01-03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냉각수용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789A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773B1 (ko) 냉각수 능동제어용 비례제어방식 삼방향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냉각수 능동형 비례제어방법
KR101936853B1 (ko) 멀티웨이밸브 장치
GB2264998A (en)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
KR20210056729A (ko) 차량 통합 열관리 멀티포트 밸브
CN108119671B (zh) 流量控制装置
US10001223B2 (en) Electromagnetic valve device and coil former
KR101338467B1 (ko) 반응성이 향상된 써모스탯
US20210285564A1 (en) Solenoid valve
KR102531675B1 (ko) 차량 냉각수용 밸브 장치
KR20170073973A (ko) 냉각수 히터
KR20130113824A (ko) 써모스탯
CN113260807B (zh) 流体流通阀和用于车辆的包括这种阀的热处理系统
KR20140045185A (ko) 써모스탯
JP2010112448A (ja) シフトバルブ
KR102166945B1 (ko) 삼방향 밸브
KR20140021219A (ko) 탄성부재를 구비한 써모스탯
KR20200144600A (ko) 유량제어밸브
US11953014B2 (en) Integrated water pump and valve device
WO2019058887A1 (ja) 流体制御弁
KR102388971B1 (ko) 누수 냉각수를 포집하는 밸브하우징
KR100534711B1 (ko) 전기 자동차의 냉각수 순환장치
KR20220087218A (ko) 유량제어밸브 장치
CN110573366A (zh) 冷却剂加热器
JP7107261B2 (ja) 流体制御弁
KR102356911B1 (ko)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