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627B1 -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 Google Patents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627B1
KR102531627B1 KR1020220163300A KR20220163300A KR102531627B1 KR 102531627 B1 KR102531627 B1 KR 102531627B1 KR 1020220163300 A KR1020220163300 A KR 1020220163300A KR 20220163300 A KR20220163300 A KR 20220163300A KR 102531627 B1 KR102531627 B1 KR 10253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luid
shaft bearing
cleaning devic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중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중전기 filed Critical (주)대한중전기
Priority to KR1020220163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6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베어링에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는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축수홈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축베어링에서 상기 축수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로서, 상기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는 상기 축베어링의 하부에 위치하여 토출되는 유체에 저항하여 상기 축베어링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유체의 저항이 사라지면 자중에 의해 상기 축베어링에서 이격되는 유체저항부, 및상기 각 축수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유체저항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저항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축수홈에 걸린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클리닝바를 포함한다. 따라서,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구동축과 축베어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Vertical shaft pump equipped with shaft bearing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축베어링에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입축펌프는 구동축이 세워진 형태로 집수정의 깊은 곳까지 임펠러가 위치하고, 임펠러가 설치된 카운터케이싱을 통해 유체를 집수정의 상부까지 이송하여 케이싱에 연결된 토출관을 통해 집수정의 외부로 유체를 이송한다.
입축펌프는 집수정의 하부에 위치하는 임펠러와 연결하기 위해 구동축이 카운터케이싱, 정션박스, 및 카운터케이싱에서 구동축을 지지하는 카운터메탈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구동축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분에는 구동축의 마모를 방지하고 원활한 회전을 위해 축베어링이 설치된다.
이러한 축베어링이 설치된 입축펌프는 종래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15604호에 "진동 저감형 펌프"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진동 저감형 펌프는 모터축과 임펠러축이 복수개의 축으로 연결된 펌프에 있어서, 상기 축이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에 삽입되는 자기 윤활성을 가지며 고강도인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 및 상기 탄소-탄소 복합재 슬리브를 일정간격 떨어져 감싸는, 자기 윤활성을 가지며 고강도인 탄소-탄소 복합재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된 진동 저감형 펌프는 슬리브와 슬라이딩 베어링을 탄소복합제로 형성하여 소착, 마모,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가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윤활할 수 있는 축수홈(11)이 형성된 축베어링(10)이 설치된 펌프가 개시된 바가 있는 데, 종래의 펌프의 축베어링(10)은 축수홈(11)에 이물질이 끼여 고착되면서, 이물질에 의해 구동축과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고, 구동축이 쉽게 마모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축베어링(10)이 손상되면서, 축베어링(10)의 내구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토출되는 유체에 유체저항부가 저항하면서 상승하고, 유체의 저항력이 사라지면 자중에 의해 유체저항부가 하강하면서, 유체저항부에 설치된 클리닝바가 축베어링의 축수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축수홈에 이물질의 끼임으로 인한 펌프 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축의 마모를 방지하고 축베어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체저항부의 유체에 저항하는 워터플레이트의 단부에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플레이트절곡부를 형성하여 유체저항부의 유체의 저항력을 증가시켜 유체의 작은 저항력에도 유체저항부가 용이하게 이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체저항부가 가이드스텝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함으로써, 유체저항부가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축수홈에서 클리닝바가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체저항부가 이동제한부에 의해 하부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유체저항부가 하부로 이동할 때, 축베어링의 축수홈에서 클리닝바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는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축수홈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축공의 내주에 형성되는 축베어링에서 상기 축수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로서, 상기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는 상기 축베어링의 하부에 위치하여 토출되는 유체에 저항하여 상기 축베어링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유체의 저항이 사라지면 자중에 의해 상기 축베어링에서 이격되는 유체저항부, 및 상기 각 축수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유체저항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저항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축수홈에 걸린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클리닝바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저항부는 원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에 저항하는 워터플레이트, 및 상기 워터플레이트가 유체에 저항을 받을 때 상기 구동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워터플레이트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축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플레이트는 유체의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워터플레이트의 둘레에서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레이트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는 상기 유체저항부가 유체에 저항함에 따라 상기 유체저항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스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는 상기 축베어링에서 상기 클리닝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체저항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저항부가 토출하는 유체에 저항하며 상승하고, 유체의 저항력이 사라지면 자중에 의해 하향되면서 유체저항부에 설치된 클리닝바가 함께 이동하여 축베어링에 형성된 축수홈에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마찰력을 감소시켜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에 의해 구동축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구동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축베어링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축베어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저항부에서 유체의 저항을 받는 워터플레이트에 토출되는 유체의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플레이트절곡부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토출력에도 유체저항부가 용이하게 저항하여 이동하며 축수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유체저항부의 이동을 가이드스텝이 가이드하여 구동축과 유체저항부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축수홈에서 클리닝바가 이탈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제한부가 유체저항부의 하향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축수홈에서 클리닝바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펌프에 설치된 축베어링에 이물질이 끼인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를 구성하는 축베어링의 클리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를 확대한 도면으로써, 유체가 토출될 때 유체저항부가 유체에 저항하여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A"부를 확대한 도면으로써, 유체저항부에 유체의 저항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하향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를 구비한 입축펌프(100)는 임펠러(130), 구동모터(120), 카운터케이싱(110), 및 축베어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30)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베인이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다.
임펠러(130)는 축류 또는 사류 형태의 임펠러(130) 일 수 있다.
구동모터(120)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21)이 임펠러(130)와 연결되어 임펠러(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120)는 연료를 소모하여 구동하는 엔진이거나, 전기를 소모하여 구동하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구동모터(120)는 집수정(2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임펠러(130)는 집수정(200)의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모터(120)와 임펠러(130)는 구동축(12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집수정(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따라 집수정(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임펠러(130)가 회전할 수 있다.
카운터케이싱(110)은 관의 형태로 카운터케이싱(110)의 일단은 집수정(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카운터케이싱(110)의 타단은 집수정(200)의 외부에 위치하여 토출관과 연결되는 형태로 집수정(200)의 유체를 카운터케이싱(110)을 통해 집수정(200)의 외부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카운터케이싱(110)에서 집수정(20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집수정(200)의 깊이에 대해 90°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카운터케이싱(110)에서 집수정(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에는 임펠러(130)가 설치되어 집수정(200)의 깊이방향에서 유체를 흡입할 수 있으며, 임펠러(130)와 구동모터(120)는 구동축(1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동축(121)은 카운터케이싱(110)의 임펠러(130)가 위치한 부분에서 집수정(200)의 상부에 90°로 절곡된 부분을 관통하여 구동모터(120)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구동축(121)은 구동모터(120)의 회전축일 수 있으며, 구동모터(120)의 회전축과는 다른 별도의 구동축(121)을 회전축과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축(121)은 카운터케이싱(110)의 길이 즉, 집수정(200)의 깊이에 따라 복수 개를 일렬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카운터케이싱(110)의 중간부분에는 구동축(121)을 카운터케이싱(110)의 중앙에 구동축(121)을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축(121)이 카운터케이싱(110)을 관통하는 케이싱의 부분, 및 카운터케이싱(110)에서 구동축(121)을 지지하는 카운터메탈부(115), 및 정션박스부 등에는 구동축(121)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축을 지지하는 축베어링(140)이 설치될 수 있다.
축베어링(140)은 구동축(121)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축공(141)이 관통형성된 원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축베어링(140)의 내주에는 구동축(121)의 길이방향으로 윤활하기 위한 유체가 유입되는 축수홈(1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축수홈(143)은 축베어링(140)의 내주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축베어링(140)은 구동축(121)과 축베어링(140)의 축공(141)의 사이로 토출되는 유체가 축수홈(143)으로 유입되면서 윤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축베어링(14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또는 테프론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축베어링(140)의 일례로는 솔던(thordon)사의 솔던베어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축베어링(140)은 일례로 카운터케이싱(110)에서 구동축(121)을 지지하는 카운터메탈부(115)에 베어링홈(115a)을 형성하고, 베어링홈(115a)에 축베어링(140)을 삽입하여 끼우는 형태로 설치한 뒤, 축베어링(140)의 축공(141)을 구동축(121)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형태로 구동축(121)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카운터메탈부(115)는 카운터케이싱(110)에서 구동축(121)을 지지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며 카운터메탈부(115)의 중앙에는 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형성되고, 축지지부에 베어링홈(115a)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를 구비한 입축펌프(100)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는 카운터케이싱(110)으로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축베어링(140)의 축수홈(143)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는 유체저항부(151), 및 클리닝바(15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저항부(151)는 축베어링(14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체저항부(151)는 카운터케이싱(110)으로 토출되는 유체에 저항하여 구동축(121)에서 축베어링(14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토출되는 유체의 저항력이 사라지면 예를 들어 펌프의 구동이 정지되면, 자중에 의해 구동축(121)에서 하향이동할 수 있다.
유체저항부(151)는 구동축(121)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축삽입부(152)와 유체에 저항을 받는 워터플레이트(15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축삽입부(152)는 중앙에 구동축(121)이 끼워져 삽입되는 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워터플레이트(153)는 축삽입부(152)의 둘레에서 축삽입부(152)를 중심으로 원판의 형태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워터플레이트(153)의 끝단은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플레이트절곡부(153b)가 절곡형성되어 토출되는 유체의 저항을 증대시켜 유체저항부(151)가 유체의 토출력에 의해 용이하게 구동축(12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바(154)는 축삽입부(152)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위치할 수 있으며, 각 클리닝바(154)의 상단은 축베어링(140)의 각 축수홈(143)으로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클리닝바(154)는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유체저항부(151)가 저항하거나, 저항력이 사라지면서 이동할 때, 유체저항부(151)와 함께 이동하면서, 축수홈(143)을 따라 구동축(12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축수홈(143)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다.
클리닝바(154)는 막대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리닝바(154)의 끝단에는 축수홈(143)의 깊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물질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부(154a)가 형성될 수 있다.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는 가이드스탭(155), 및 이동제한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이드스탭(155)은 유체저항부(15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스탭(155)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축베어링(140)이 설치되는 위치의 하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스탭(155)은 복수 개가 구동축(121)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구동축(121)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유체저항부(151)의 워터플레이트(153)에서 가이드스탭(15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스탭(155)이 관통하여 끼워져 가이드스탭(155)에 가이드되는 가이드공(153a)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156)는 유체저항부(151)가 구동축(121)의 하부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여 클리닝바(154)가 축수홈(14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의 이동제한부(156)는 클리닝바(154)의 스크레이퍼부(154a)가 축베어링(140)의 축수홈(143)의 하단에 걸쳐지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축(121)에서 축삽입부(152)의 하단이 걸쳐지도록 구성하였지만, 이동제한부(156)는 가이드스탭(155)의 하단에 가이드공(153a)보다 큰 둘레를 갖는 플랜지의 형태 또는 너트를 체결하는 형태로 워터플레이트(153)가 이동제한부(156)에 걸쳐져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제한부(156)는 유체저항부(151)의 하부로 이동만을 제한하고, 유체저항부(151)의 상부의 이동은 축삽입부(152)가 축베어링(140)의 하단에 걸쳐져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에 상부로의 이동은 제한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를 구비한 입축펌프(100)는 집수정(200)의 상부에 구동모터(120)가 위치하고, 구동모터(120)는 구동축(121)에 의해 카운터케이싱(110)의 하부 내측에 설치된 임펠러(130)와 연결된다.
한편, 카운터케이싱(110)에서 구동축(121)이 관통하는 부분 예를 들어 정션박스가 위치하는 부분, 구동축(121)을 카운터케이싱(110)에서 지지하는 카운터메탈부(115), 또는 카운터케이싱(110)의 부분에는 구동축(121)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축베어링(140)이 설치된다.
축베어링(140)의 중앙에는 구동축(121)이 관통하는 축공(141)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축공(141)의 내주에는 구동축(121)의 축방향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윤활하는 축수홈(143)이 형성되며, 축수홈(143)은 축공(141)의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축베어링(140)이 설치되는 하부에는 유체에 저항하여 축베어링(140)의 축수홈(143)을 청소하기 위한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가 설치되며,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는 축베어링(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카운터케이싱(110)을 통해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구동축(121)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저항부(151)와 유체저항부(151)에 설치되어 축수홈(143)의 이물질을 긁어내는 형태로 청소하는 클리닝바(154)가 유체저항부(151)의 상부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유체저항부(151)는 구동축(121)에 축삽입부(152)가 관통하여 삽입되고, 축삽입부(152)의 둘레에는 토출되는 유체에 저항하는 워터플레이트(153)가 형성된다.
워터플레이트(153)는 축삽입부(152)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워터플레이트(153)의 둘레에는 유체의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에 대해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플레이트절곡부(153b)가 형성된다.
축베어링(140)이 위치하는 하부에는 유체저항부(1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스탭(155)이 설치되며, 가이드스탭(155)은 유체저항부(151)의 워터플레이트(153)에 형성된 가이드공(153a)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그리고, 유체저항부(151)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축(121)의 부분에는 유체저항부(151)가 구동축(121)에서 최대로 하향된 상태에서 클리닝바(154)의 상단이 축수홈(14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제한부(156)가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를 구비한 입축펌프(100)는 구동모터(120)가 구동하면, 구동축(121)이 회전하면서, 임펠러(130)를 회전시키고, 임펠러(130)가 회전하면, 카운터케이싱(110)의 하부에서 유체가 흡입되고, 흡입된 유체는 카운터케이싱(110)에 연결된 토출관을 통해 집수정(200)의 외부로 이송된다.
한편, 카운터케이싱(110)에서 유체가 토출되면, 토출되는 유체에 워터플레이트(153)가 가압되어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유체저항부(151)가 상향 이동하고, 유체저항부(151)가 상향이동하면, 유체저항부(151)에 설치된 클리닝바(154)도 함께 상향되면서, 축베어링(140)의 축수홈(143)의 상부로 클리닝바(154)가 이동한다.
이때, 워터플레이트(153)의 둘레는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절곡부(153b)가 형성되어 유체의 저항성을 증대시켜 유체저항부(151)가 축베어링(140)이 위치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상승하며, 유체저항부(151)는 가이드스탭(155)에 의해 가이드되어 구동축(121)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상향이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120)의 기동이 정지되어 카운터케이싱(110)에서 유체의 토출이 정지되면, 워터플레이트(153)에 유체가 저항하지 않기 때문에 축베어링(140)이 위치한 방향으로 상향되었던 유체저항부(151)는 자중에 의해 이동제한부(156)가 위치한 부분까지 하향이동하고, 유체저항부(151)가 하향 이동하면서, 클리닝바(154)도 함께 하향이동하여 축베어링(140)의 축수홈(143)에 걸린 이물질을 스크레이퍼부(154a)를 통해 긁어 내는 형태로 축수홈(143)을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베어링 클리닝장치(150)를 구비한 입축펌프(100)는 토출되는 유체에 유체저항부(151)가 저항하면서, 클리닝바(154)가 축베어링(140)의 축수홈(143)에서 상승하고, 유체의 저항이 사라지면 유체저항부(151)가 자중에 의해 축베어링(140)의 축수홈(143)에서 하향되는 형태로 클리닝바(154)가 반복적으로 축수홈(143)을 상하로 이동하며 청소함으로써, 축수홈(143)이 끼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수홈(143)에 이물질이 끼어 구동축(121)의 회전 저항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축수홈(143)에 이물질이 끼임으로 인해 구동축(121)의 마모가 촉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되는 유체에 저항을 받는 워터플레이트(153)의 끝단에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플레이트절곡부(153b)로 인해 유체의 저항성을 증대시켜 유체저항부(151)가 작은 토출력에도 용이하게 이동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스탭(155)에 의해 유체저항부(151)가 가이드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구동축(121)과 함께 유체저항부(15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클리닝바(154)가 축수홈(143)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저항부(151)가 하부로 이동하는 이동거리를 이동제한부(156)가 제한하여 축베어링(140)의 축수홈(143)에서 클리닝바(15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입축펌프 110: 카운터케이싱
115: 카운터메탈부 115a: 베어링홈
120: 구동모터 121: 구동축
130: 임펠러 140: 축베어링
141: 축공 143: 축수홈
150: 축베어링 클리닝장치 151: 유체저항부
152: 축삽입부 153: 워터플레이트
153a: 가이드공 153b: 플레이트절곡부
154: 클리닝바 154a: 스크레이퍼부
155: 가이드스탭 156: 이동제한부

Claims (5)

  1.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축수홈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축공의 내주에 형성되는 축베어링에서 상기 축수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로서,
    상기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는
    상기 축베어링의 하부에 위치하여 토출되는 유체에 저항하여 상기 축베어링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유체의 저항이 사라지면 자중에 의해 상기 축베어링에서 이격되는 유체저항부, 및
    상기 각 축수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유체저항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저항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축수홈에 걸린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클리닝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저항부는
    원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에 저항하는 워터플레이트, 및
    상기 워터플레이트가 유체에 저항을 받을 때 상기 구동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워터플레이트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축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플레이트는
    유체의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워터플레이트의 둘레에서 유체가 토출되는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레이트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는
    상기 유체저항부가 유체에 저항함에 따라 상기 유체저항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스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는
    상기 축베어링에서 상기 클리닝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체저항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KR1020220163300A 2022-11-29 2022-11-29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KR102531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300A KR102531627B1 (ko) 2022-11-29 2022-11-29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300A KR102531627B1 (ko) 2022-11-29 2022-11-29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627B1 true KR102531627B1 (ko) 2023-05-11

Family

ID=8637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300A KR102531627B1 (ko) 2022-11-29 2022-11-29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6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691A (ja) * 1995-06-02 1996-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立軸ポンプにおける水中軸受の異物侵入防止装置
KR20110125096A (ko) * 2010-05-12 201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배수펌프
JP2014151275A (ja) * 2013-02-08 2014-08-25 Iwasaki Electric Co Ltd 流体処理装置
JP2016130566A (ja) * 2015-01-14 2016-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軸受機構およびポ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691A (ja) * 1995-06-02 1996-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立軸ポンプにおける水中軸受の異物侵入防止装置
KR20110125096A (ko) * 2010-05-12 201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배수펌프
JP2014151275A (ja) * 2013-02-08 2014-08-25 Iwasaki Electric Co Ltd 流体処理装置
JP2016130566A (ja) * 2015-01-14 2016-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軸受機構およびポ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9091B2 (en) Modular submersible pump
CN103492722B (zh) 用于载有固体的流体的潜水离心泵
US5632608A (en) Pump oil mister with reduced windage
US5011370A (en) Centrifugal pump
US20080175704A1 (en) Pump oil mister with improved service life
KR102531627B1 (ko) 축베어링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US20030196952A1 (en) Sand and particle separator for fluid pumping systems
WO2012169904A2 (en) Multistage comminuting pump
US2066505A (en) Means for excluding abrasive carrying liquid from bearings and joints
CN203285697U (zh) 防垢潜油泵
CN1014344B (zh) 压缩机杂质颗粒收集器
RU2554380C2 (ru) Система насоса с непосредственным приводом
EP3890861B1 (en) A bearing housing and a method of removing impurities from a bearing housing
US2294135A (en) Pump
EP2227335B1 (de) Separator mit einem schmiermittelsystem für einen kurzspindelantrieb
KR20080067569A (ko) 압축기 및 압축기 내의 철 물질을 포착하는 방법
RU202692U1 (ru) Погружной многоступенчатый скважинный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с компрессионной схемой сборки
US2281682A (en) Pump and bearing construction
CN203548304U (zh) 长轴液下排污泵
CN101432534B (zh) 液力滑动轴承
EP1048261A2 (de) Bodenreinigungsgerät
JP2008232121A (ja) 遠心ポンプ
JP6936061B2 (ja) 立軸ポンプ
US2284632A (en) Centrifugal pump
CN116447146A (zh) 一种具有自洁功能的潜水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