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626B1 -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626B1
KR102531626B1 KR1020220150729A KR20220150729A KR102531626B1 KR 102531626 B1 KR102531626 B1 KR 102531626B1 KR 1020220150729 A KR1020220150729 A KR 1020220150729A KR 20220150729 A KR20220150729 A KR 20220150729A KR 102531626 B1 KR102531626 B1 KR 10253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mage
clinical
photographing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주엽
Original Assignee
(주)비씨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씨앤컴퍼니 filed Critical (주)비씨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150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61Proximity, similarity or dissimilar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7Processing image or video features in feature spaces; using data integration or data reduction, e.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r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or self-organising maps [SOM]; Blind source separation
    • G06V10/774Generating sets of training patterns; Bootstrap methods, e.g. bagging or boos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장치는, 불특정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수집하는 임상이미지 수집부; 이미지속성별로 상기 임상이미지들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임상이미지 저장부;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임의의 휴대용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표시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의료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사진 촬영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임상이미지 저장부로부터 상기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대응한 이미지속성별 임상이미지들을 학습하여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하는 학습부;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된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중첩하여 표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여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소정의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의료사진으로 등록하는 의료사진 저장부를 포함하여,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휴대용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료 사진을 촬영할 때, 진단을 위해 필요한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촬영이 되도록 제한함으로써, 진단을 위한 임상이미지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AKING PATIENT PHOTOS BY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에 의해, 휴대용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사진으로부터 의료진단용 임상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경영효율화, 환자와의 소통, 설명 의무법 등의 법적 대응을 위해 DSLR 카메라, 스마트폰 등의 일반 광학카메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중소형 병원에서의 일반 광학카메라에 대한 의존율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일반 광학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을 의료 임상이미지로 활용하고자할 경우, 휴먼에러, 데이터의 위변조 및 정보유출 등의 문제를 감수해야 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2354826호에서는, 일반 광학카메라로 촬영한 치과용 원본사진을 미리 설계된 치과용 임상이미지 분류체계별로 자동으로 분류한 후 미리 설정된 표준 이미지에 의거하여 일반사진을 보정함으로써 임상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일반사진과 보정사진을 접근이 제한된 클라우드 저장장치에 함께 저장하고, 상기 일반사진의 보정이력을 블록체인을 통해 분산 관리하는 치과용 임상사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일반사진을 표준화된 의료용 임상이미지로 활용할 수 있고,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포터블인 스마트폰 또는 일반 광학카메라를 이용하여 임상용 사진을 촬영할 경우, 카메라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촬영하는 사람에 따라 촬영각도가 달라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진단을 위한 임상용 표준이미지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웠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54826호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휴대용카메라(예컨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의료 사진을 촬영할 때, 라이브뷰 영상이 진단을 위해 필요한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촬영이 되도록 제한함으로써, 진단을 위한 임상이미지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사진 촬영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의거하여 기 수집된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학습한 후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비전문가도 정확한 의료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촬영대상의 촬영부위에 대하여 2이상의 촬영각도에서 촬영한 촬영이미지가 수집되면, 기 수집된 다수의 임상이미지들 중 상기 특정 촬영대상과 정보, 및 촬영부위가 유사한 임상이미지들을 학습한 후 상기 특정 촬영대상의 촬영부위에 대하여 진단을 위해 필요한 각도의 임상이미지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의료사진 촬영시 정밀한 촬영각도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해, 진단을 위한 임상이미지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임상이미지 획득장치는 불특정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수집하되, 촬영일시, 촬영대상정보,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를 포함하는 이미지속성을 함께 수집하는 임상이미지 수집부; 상기 이미지속성별로 상기 임상이미지들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임상이미지 저장부;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임의의 휴대용카메라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표시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의료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사진 촬영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대응한 이미지속성별 임상이미지들을 제1 학습이미지로 추출한 후,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하여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하는 학습부;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된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중첩하여 표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여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소정의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의료사진으로 등록하는 의료사진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학습부는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 각각의 윤곽선 및 특징점들을 학습하여,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도출하고, 상기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포함하는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의료사진 저장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수집된 의료사진을 저장/관리하는 의료사진 관리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포함된 특정 대상에 대한 윤곽선을 도출하고, 상기 윤곽선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도출하는 라이브뷰 분석부; 상기 라이브뷰 분석부에서 도출된 윤곽선 및 특징점들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부; 및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의료사진을 수집하여 상기 의료사진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하는 의료사진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상이미지 획득장치는 상기 유사도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신호를 생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비활성화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카메라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가 뷰파인더에 현재 표시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자동촬영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촬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카메라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각도 또는 촬영위치의 조정을 안내하는 조정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카메라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특정 촬영대상에 대하여 2이상의 촬영각도 각각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 및 그 이미지에 대한 속성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학습부는 상기 촬영이미지들 각각의 속성에 대응한 임상이미지들을 제2 학습이미지로 추출하여 상기 제2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한 후, 상기 수집된 2 이상의 촬영이미지들을 상기 학습결과에 적용하여, 상기 특정 촬영대상의 의료진단을 위해 필요한 촬영각도의 임상이미지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임상이미지 획득방법은 불특정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수집하되, 촬영일시, 촬영대상정보,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를 포함하는 이미지속성을 함께 수집하고, 상기 이미지속성별로 상기 임상이미지들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임상이미지 수집 및 저장단계;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휴대용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료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사진 촬영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대응한 이미지속성별 임상이미지들을 제1 학습이미지로 추출한 후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하는 제1 학습단계; 상기 제1 학습단계의 학습결과,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하는 가이드라인 생성단계; 상기 휴대용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중첩 표출하는 가이드라인 표출단계; 및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여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소정의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학습단계는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 각각의 윤곽선 및 특징점들을 학습하여,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라인 생성단계는 상기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포함하는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포함된 특정 대상에 대한 윤곽선을 도출하고, 상기 윤곽선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도출하는 라이브뷰 분석단계; 상기 라이브뷰 분석단계에서 도출된 윤곽선 및 특징점들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단계; 및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활성화하는 촬영모드 활성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현재 표시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자동촬영하는 자동촬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상기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비활성화한 후,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각도 또는 촬영위치의 조정을 안내하는 조정안내메시지를 표출하는 촬영정보 조정안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특정 촬영대상에 대하여 2 이상의 촬영각도 각각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들을 수집하되, 상기 촬영이미지들 각각의 이미지속성을 함께 수집하는 촬영이미지 수집단계; 상기 촬영이미지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이미지속성에 대응한 임상이미지들을 제2 학습이미지로 추출한 후 상기 제2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하는 제2 학습단계; 및 상기 수집된 2 이상의 촬영이미지들을 상기 제2 학습단계의 학습결과에 적용하여, 상기 특정 촬영대상의 의료진단을 위해 필요한 촬영각도의 임상이미지를 자동 생성하는 이미지 자동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는,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휴대용카메라(예컨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의료 사진을 촬영할 때, 라이브뷰 영상이 진단을 위해 필요한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촬영이 되도록 제한함으로써, 진단을 위한 임상이미지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비활성화함으로써, 진단을 위해 유효한 이미지만을 임상이미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사진 촬영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의거하여 기 수집된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학습한 후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비전문가도 정확한 의료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의료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대, 성별, 신장 등의 기초 정보에 의거하여, 동일한 연령대, 성별, 신장 등의 속성을 가지는 기 등록된 임상이미지를 추출하여 학습하고, 그 결과로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비전문가도 진단대상이 되는 촬영부위에 대하여 정확한 의료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촬영대상의 촬영부위에 대하여 2이상의 촬영각도에서 촬영한 촬영이미지가 수집되면, 기 수집된 다수의 임상이미지들 중 상기 특정 촬영대상과 정보, 및 촬영부위가 유사한 임상이미지들을 학습한 후 상기 특정 촬영대상의 촬영부위에 대하여 진단을 위해 필요한 각도의 임상이미지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의료사진 촬영시 정밀한 촬영각도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해, 진단을 위한 임상이미지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이미지 획득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사진 저장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이미지 획득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이미지 획득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이미지 획득장치(100)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I/F)(110), 임상이미지 수집부(120), 정보 입력부(130), 임상이미지 저장부(140), 학습부(150), 의료사진 저장부(160), 표시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부(I/F)(110)는 의료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카메라(10, 2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카메라는 스마트폰(10) 또는 일반 광학카메라(예컨대, DSLR 등)(20)와 같이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휴대용카메라일 수 있으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I/F)(110)는 휴대용카메라(10, 20)의 뷰파인더에 표시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수신하거나, 휴대용카메라(10, 20)의 촬영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 인터페이스부(I/F)(110)는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예컨대, 스마트폰(10) 등)와는 무선통신을, 그렇지 않은 기기(예컨대, DSLR(20) 등)와는 유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10)에는 본 발명의 임상이미지 획득장치(100)와 연동하기 위한 임상이미지 획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동작할 수 있다.
임상이미지 수집부(120)는 불특정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수집하되, 촬영일시, 촬영대상정보(예컨대, 촬영대상의 나이, 성별, 신장 등),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를 포함하는 이미지속성을 함께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임상이미지 수집부(120)는 저장매체(예컨대, USB 등)로부터 사전에 수집된 다수의 임상이미지들 및 대응된 이미지속성을 읽어들이는 매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거나, 통신망으로 연결된 데이터서버(예컨대, 클라우드 등)로부터 상기 다수의 임상이미지들 및 대응된 이미지속성을 수신하는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촬영부위는 의료진단대상이 되는 부위이고, 상기 촬영각도는 의료진단을 위해 유의미한 이미지를 습득하기 위한 촬영각도일 수 있다. 이 때, ‘유의미하다’는 뜻은 의료진단에 유용하거나, 의료진단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라는 뜻을 내포할 수 있다(이하 동일). 예컨대, 특정 부위를 진단하거나, 특정 병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유용하거나,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라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력부(130)는 의료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사진 촬영정보(예컨대, 환자의 나이, 촬영부위, 진료목적 등)를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임상이미지 획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동작하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상기 의료사진 촬영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의료사진 촬영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입력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료목적은 특정 촬영부위에 대한 촬영각도를 결정하기 위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인터페이스부(110), 임상이미지 수집부(120), 및 정보입력부(130)들 각각은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임상이미지 저장부(140)는 임상이미지 수집부(120)에서 수집된 임상이미지들을 저장하되, 상기 이미지속성별로 상기 임상이미지들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이미지 저장부(140)는 먼저, 상기 임상이미지들을 촬영부위별로 1차 분류한 후, 상기 1차 분류된 그룹 내의 임상이미지들을 촬영대상의 연령대별로 2차 분류하고, 상기 2차 분류된 그룹 내의 임상이미지들을 다시 촬영각도별로 3차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학습부(150)는 상기 입력된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응답하여, 임상이미지 저장부(140)로부터 상기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대응한 이미지속성별 임상이미지들을 제1 학습이미지로 추출한 후,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하여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20대 여성의 얼굴에 질환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진단하거나, 이미 발생한 질환의 진행 경과를 진단하기 위한 의료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정보입력부(130)는 '20대, 여성, 얼굴'을 의료사진 촬영정보로 입력받아 제어부(180)로 전달하고, 제어부(180)는 이를 학습부(150)로 전달한다. 그러면 학습부(150)는 임상이미지 저장부(140)로부터 '20대, 여성, 얼굴'에 해당하는 임상이미지들을 제1 학습이미지로 추출하고, 이들을 학습하여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습부(150)는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 각각의 윤곽선 및 특징점들을 도출한 후 이들을 학습하여,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도출하고, 상기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포함하는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한다. 이 때, 임의의 이미지들 각각에 대하여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도출하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기술을 응용할 수 있다.
의료사진 저장부(160)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 중 소정의 의료사진 촬영조건(예컨대, 촬영위치, 및 촬영각도 등)을 만족하는 영상만을 수집하여 의료사진으로 등록한다. 즉, 의료사진 저장부(160)는 카메라 I/F(120)를 통해 수집된 카메라(예컨대, 스마트폰(10), 또는 DSLR 전화기)의 라이브뷰 영상과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여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소정의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의료사진으로 등록한다. 이를 위한 의료사진 저장부(160)의 구성 예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사진 저장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의료사진 저장부(160)는 의료사진 관리 DB(161), 라이브뷰 분석부(162), 유사도 산출부(163), 의료사진 등록부(164)를 포함한다.
의료사진 관리 DB(161)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즉, 휴대용 카메라(10, 또는 20))으로부터 수집된 의료사진을 저장/관리한다. 특히, 의료사진 관리 DB(161)는 해당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입력된 의료사진 촬영정보 및 기타 속성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사진 관리 DB(161)는 의료사진들 각각에 대하여 대응된 환자의 나이, 촬영부위, 진료목적, 촬영각도, 촬영일시 등을 함께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라이브뷰 분석부(162)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포함된 특정 대상에 대한 윤곽선을 도출하고, 상기 윤곽선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도출한다. 이는 촬영대상 및 촬영각도를 식별하기 위함이다. 이 때, 라이브뷰 분석부(162)는 이미지 처리 분야의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윤곽선 및 특징점을 도출할 수 있다.
유사도 산출부(163)는 라이브뷰 분석부(162)에서 도출된 윤곽선 및 특징점들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이 때, 유사도 산출부(163)는 유사도 산출을 위한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의료사진 등록부(164)는 유사도 산출부(163)에서 산출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의료사진을 수집하여 의료사진 관리 DB(161)에 등록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은 휴대용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이 의료진단을 위해 유의미한 위치 및 각도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의료사진으로 등록하되, 이러한 판단을 사전에 등록된 불특정 다수의 임상이미지로부터 도출된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료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용이하게 유의미한 의료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시부(170)는 카메라 I/F(110)를 통해 수집된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중첩하여 표출한다. 이로 인해, 시스템 관리자가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시각적으로 비교하여 촬영각도 또는 촬영위치의 오차 정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스마트폰(10)의 뷰파인더(즉, 디스플레이)에서도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중첩하여 표출함으로써, 의료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보호자 등이 해당 사진의 유효성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10)은 사전에 탑재된 임상이미지 획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임상이미지 획득장치(100)에 접근한 후,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제어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임상이미지 획득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카메라 인터페이스부(I/F)(110), 임상이미지 수집부(120), 정보 입력부(130), 임상이미지 저장부(140), 학습부(150), 의료사진 저장부(160), 및 표시부(17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유사도 산출부(163)에서 산출한 유사도에 의거하여 휴대용카메라(10, 20)의 촬영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데,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신호를 생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비활성화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I/F(110)를 통해 휴대용카메라(10, 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휴대용카메라(10, 20)는 의료사진 가이드라인에 의해 유의미하다고 판단된 라이브뷰 영상만을 의료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환자 또는 보호자와 같은 촬영자의 실수나 움직임, 오판 등으로 인해, 촬영 오류를 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비전문가라 하더라도 의료진단을 위해 의미있는 정확한 영상을 의료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휴대용카메라(10, 20)가 뷰파인더에 현재 표시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자동촬영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촬영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I/F(110)를 통해 휴대용카메라(10, 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촬영자가 보다 편리하게 의료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자동촬영기능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명령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 또는 프레임의 이동 등의 문제를 예방함으로써, 편리하게 의료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휴대용카메라(10, 20)의 촬영각도 또는 촬영위치의 조정을 안내하는 조정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카메라 I/F(110)를 통해 휴대용카메라(10, 20)로 전달함으로써, 촬영자가 의료사진을 위한 촬영각도 및 촬영위치를 보다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임상이미지 획득장치(100)는 임상이미지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임상이미지들 중 휴대용카메라(10, 20)를 통해 촬영된 사진과 이미지속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학습하여, 유의미한 의료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카메라 I/F(110)를 통해, 특정 촬영대상에 대하여 2이상의 촬영각도 각각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 및 그 이미지에 대한 속성정보가 수집되면, 학습부(150)는 상기 촬영이미지들 각각의 속성에 대응한 임상이미지들을 제2 학습이미지로 추출하여 상기 제2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한 후, 상기 수집된 2 이상의 촬영이미지들을 상기 학습결과에 적용하여, 상기 특정 촬영대상의 의료진단을 위해 필요한 촬영각도의 임상이미지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 촬영대상에 대한 2이상의 촬영각도 각각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그 사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촬영이미지의 수가 많을수록, 즉, 상기 촬영이미지의 촬영각도가 다양할수록, 그 촬영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유추하여 생성되는 임상이미지의 정확도는 향상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이미지 획득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이미지 획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10에서는, 임상이미지 수집부(120)가, 불특정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수집하되, 촬영일시, 촬영대상정보(예컨대, 나이, 성별, 신장 등),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를 포함하는 이미지속성을 함께 수집하고, 상기 이미지속성별로 상기 임상이미지들을 분류하여 임상이미지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단계 S120에서는, 학습부(150)가 임상이미지 저장부(140)에 저장된 임상이미지들 중 소정의 제1 학습이미지들을 추출한 후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한다. 이를 위해, 학습부(150)는, 먼저,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휴대용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료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사진 촬영정보(예컨대, 환자의 나이, 촬영부위, 진료목적(진료목적에 의해 촬영각도가 자동 결정될 수 있음) 등)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대응한 이미지속성별 임상이미지들을 제1 학습이미지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한다.
특히, 단계 S120에서, 학습부(150)는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 각각의 윤곽선 및 특징점들을 학습하여,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학습부(150)가 상기 제1 학습단계의 학습결과로,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한다. 특히, 단계 S130에서, 학습부(150)는 상기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포함하는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표시부(170)는 휴대용카메라(10, 20)를 통해 수집된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중첩 표출한다. 또한, 단계 S140에서는, 제어부(180)가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스마트폰(10)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되, 스마트폰(10)의 뷰파인더에서도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중첩하여 표출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는, 표시부(170)에 표시 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촬영하되,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여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소정의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촬영한다.
이를 위해, 의료사진 저장부(160)는, 단계 S151에서,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포함된 특정 대상에 대한 윤곽선을 도출한 후 상기 윤곽선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도출하고, 단계 S152에서는, 상기 단계 S151에서 도출된 윤곽선 및 특징점들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단계 S153에서는, 상기 유사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단계 S154 내지 단계 S156에서는, 제어부(180)가 상기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휴대용 카메라(10, 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단계 S154에서, 휴대용카메라(10, 20)의 촬영모드를 활성화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휴대용카메라(10, 20)의 뷰파인더에 현재 표시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자동촬영하도록 하는 자동촬영명령을 생성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상기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즉,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단계 S155에서, 휴대용카메라(10, 20)의 촬영모드를 활성화한다. 이는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무의미한 의료사진을 생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단계 S156에서는, 제어부(180)가 휴대용카메라(10, 20)의 촬영각도 또는 촬영위치의 조정을 안내하는 조정안내메시지를 표출함으로써, 의료사진 촬영조건에 맞게 촬영각도 또는 촬영위치를 조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단계 S160 내지 단계 S180에서는, 휴대용카메라(10, 20)를 통해 촬영된 사진과 이미지속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학습하여, 유의미한 의료사진을 자동생성한다. 이를 위해, 단계 S160에서는, 카메라 I/F(110)가, 특정 촬영대상에 대하여 2 이상의 촬영각도 각각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들을 수집하되, 상기 촬영이미지들 각각의 이미지속성을 함께 수집하고, 단계 S170에서는, 학습부(150)가 단계 S160에서 수집된 이미지속성에 대응한 임상이미지들을 제2 학습이미지로 추출한 후 상기 제2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하고, 단계 S180에서는, 제어부(180)가 상기 수집된 2 이상의 촬영이미지들을 상기 단계S170의 학습결과에 적용하여, 상기 특정 촬영대상의 의료진단을 위해 필요한 촬영각도의 임상이미지를 자동 생성한다.
도 3 및 도 4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별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각각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에 대하여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장치 설명에 언급되었으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는,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휴대용카메라(예컨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의료 사진을 촬영할 때, 라이브뷰 영상이 진단을 위해 필요한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촬영이 되도록 제한함으로써, 진단을 위한 임상이미지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비활성화함으로써, 진단을 위해 유효한 이미지만을 임상이미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사진 촬영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의거하여 기 수집된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학습한 후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비전문가도 정확한 의료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의료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대, 성별, 신장 등의 기초 정보에 의거하여, 동일한 연령대, 성별, 신장 등의 속성을 가지는 기 등록된 임상이미지를 추출하여 학습하고, 그 결과로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비전문가도 진단대상이 되는 촬영부위에 대하여 정확한 의료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촬영대상의 촬영부위에 대하여 2이상의 촬영각도에서 촬영한 촬영이미지가 수집되면, 기 수집된 다수의 임상이미지들 중 상기 특정 촬영대상과 정보, 및 촬영부위가 유사한 임상이미지들을 학습한 후 상기 특정 촬영대상의 촬영부위에 대하여 진단을 위해 필요한 각도의 임상이미지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의료사진 촬영시 정밀한 촬영각도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해, 진단을 위한 임상이미지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스마트폰 20: DSLR
100: 임상이미지 획득장치 110: 카메라 I/F
120: 임상이미지 수집부 130: 정보입력부
140: 임상이미지 저장부 150: 학습부
160: 의료사진 저장부 161: 의료사진 관리 DB
162: 라이브뷰 분석부 163: 유사도 산출부
164: 의료사진 등록부 170: 표시부
180: 제어부

Claims (15)

  1. 불특정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수집하되, 촬영일시, 촬영대상정보,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를 포함하는 이미지속성을 함께 수집하는 임상이미지 수집부;
    상기 이미지속성별로 상기 임상이미지들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임상이미지 저장부;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임의의 휴대용카메라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표시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의료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사진 촬영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임상이미지 저장부로부터 상기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대응한 이미지속성별 임상이미지들을 제1 학습이미지로 추출한 후,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하여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하는 학습부;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된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중첩하여 표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여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소정의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의료사진으로 등록하는 의료사진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는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 각각의 윤곽선 및 특징점들을 학습하여,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도출하고,
    상기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포함하는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사진 저장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수집된 의료사진을 저장/관리하는 의료사진 관리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포함된 특정 대상에 대한 윤곽선을 도출하고, 상기 윤곽선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도출하는 라이브뷰 분석부;
    상기 라이브뷰 분석부에서 도출된 윤곽선 및 특징점들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부; 및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의료사진을 수집하여 상기 의료사진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하는 의료사진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신호를 생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비활성화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카메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가 뷰파인더에 현재 표시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자동촬영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촬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카메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각도 또는 촬영위치의 조정을 안내하는 조정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카메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특정 촬영대상에 대하여 2이상의 촬영각도 각각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 및 그 이미지에 대한 속성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학습부는
    상기 촬영이미지들 각각의 속성에 대응한 임상이미지들을 제2 학습이미지로 추출하여 상기 제2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한 후, 상기 수집된 2 이상의 촬영이미지들을 상기 학습결과에 적용하여, 상기 특정 촬영대상의 의료진단을 위해 필요한 촬영각도의 임상이미지를 자동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이미지 획득장치.
  8. 불특정 다수의 임상이미지들을 수집하되, 촬영일시, 촬영대상정보, 촬영부위, 및 촬영각도를 포함하는 이미지속성을 함께 수집하고, 상기 이미지속성별로 상기 임상이미지들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임상이미지 수집 및 저장단계;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휴대용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료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사진 촬영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의료사진 촬영정보에 대응한 이미지속성별 임상이미지들을 제1 학습이미지로 추출한 후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하는 제1 학습단계;
    상기 제1 학습단계의 학습결과, 의료사진 촬영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하는 가이드라인 생성단계;
    상기 휴대용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중첩 표출하는 가이드라인 표출단계; 및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여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소정의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학습단계는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 각각의 윤곽선 및 특징점들을 학습하여, 상기 제1 학습이미지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 생성단계는
    상기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포함하는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포함된 특정 대상에 대한 윤곽선을 도출하고, 상기 윤곽선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을 도출하는 라이브뷰 분석단계;
    상기 라이브뷰 분석단계에서 도출된 윤곽선 및 특징점들과 상기 의료사진용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윤곽선 및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들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단계; 및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활성화하는 촬영모드 활성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뷰파인더에 현재 표시중인 라이브뷰 영상을 자동촬영하는 자동촬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상기 의료사진 촬영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모드를 비활성화한 후, 상기 휴대용카메라의 촬영각도 또는 촬영위치의 조정을 안내하는 조정안내메시지를 표출하는 촬영정보 조정안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특정 촬영대상에 대하여 2 이상의 촬영각도 각각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들을 수집하되, 상기 촬영이미지들 각각의 이미지속성을 함께 수집하는 촬영이미지 수집단계;
    상기 촬영이미지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이미지속성에 대응한 임상이미지들을 제2 학습이미지로 추출한 후 상기 제2 학습이미지들을 학습하는 제2 학습단계; 및
    상기 수집된 2 이상의 촬영이미지들을 상기 제2 학습단계의 학습결과에 적용하여, 상기 특정 촬영대상의 의료진단을 위해 필요한 촬영각도의 임상이미지를 자동 생성하는 이미지 자동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방법.
KR1020220150729A 2022-11-11 2022-11-11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KR10253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729A KR102531626B1 (ko) 2022-11-11 2022-11-11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729A KR102531626B1 (ko) 2022-11-11 2022-11-11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626B1 true KR102531626B1 (ko) 2023-05-11

Family

ID=8637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729A KR102531626B1 (ko) 2022-11-11 2022-11-11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6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226A (ko) * 2013-07-29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촬영 방법
KR20200139491A (ko) * 2019-06-04 2020-12-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의료영상 처리 방법
KR102354826B1 (ko) 2021-08-04 2022-02-08 (주)비씨앤컴퍼니 치과용 임상사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226A (ko) * 2013-07-29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촬영 방법
KR20200139491A (ko) * 2019-06-04 2020-12-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의료영상 처리 방법
KR102354826B1 (ko) 2021-08-04 2022-02-08 (주)비씨앤컴퍼니 치과용 임상사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617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analyzing, and sending still and video images of the fundus during examination using an ophthalmoscope
JP7075085B2 (ja) 全身測定値抽出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00250821A1 (en) Image featur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945637B2 (en) Image based jaundice diagno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mage based jaundice diagnosis assisting apparatus
US11430564B2 (en) Personalized patient positioning, verification and treatment
JP2014530730A (ja) 目の症状を特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696083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98595B1 (ko)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방법 및 장치
JP732209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89166B1 (ko)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방법 및 장치,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보조 장치
CN117897778A (zh) 用于获取侧面图像以进行眼睛突出分析的方法、执行方法的图像捕获设备和记录介质
KR20210083478A (ko)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101938361B1 (ko) X선 영상 내 체형 윤곽선 기반의 골격 상태 예측방법 및 프로그램
CN114223040A (zh) 在成像点处用于对使成像工作流程效率更高的选择的即时建议的设备
US20210042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determination of hand bone age using personal device
WO2019230724A1 (ja) 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電子機器、こ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これらの制御方法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2531626B1 (ko)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2849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ersonalized assessment of human body surface conditions
JP6567638B2 (ja) 鼻紋照合システム、鼻紋照合方法及び鼻紋照合プログラム
CN111260635B (zh) 一种全自动眼底照片获取、眼病预警及个性化管理系统
JP2021137344A (ja) 医療用画像処理装置、医療用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557639A (zh) 眼底检查系统
KR102473744B1 (ko) 가림 안가림 검사 중 획득한 안구 이미지 분석을 통한 사시진단방법
US11972603B2 (en) Image verification method, diagnostic system performing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method recorded thereon
WO2023048153A1 (ja) 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