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653B1 - 밸브 링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밸브 링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653B1
KR102530653B1 KR1020230026150A KR20230026150A KR102530653B1 KR 102530653 B1 KR102530653 B1 KR 102530653B1 KR 1020230026150 A KR1020230026150 A KR 1020230026150A KR 20230026150 A KR20230026150 A KR 20230026150A KR 102530653 B1 KR102530653 B1 KR 10253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screw coupling
bush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3002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specially adapted for hose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면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측을 향하여 안착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의 반대측에 멈춤부가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측의 끝단에 제 1 나사결합부가 마련되고, 밸브가 결합되는 측의 끝단에 제 2 나사결합부가 마련되는 바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일단에 마련되는 밸브지지부가 상기 안착부를 통과하여 상기 멈춤부로부터 상기 밸브가 결합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바디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끝단을 지지하는 부싱; 상기 부싱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그립링; 상기 그립링의 일측에 위치하고,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키는 오링; 상기 오링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의 내측에 삽입되고, 끝단에 내측으로 오므려지기 위한 가압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컬렉트; 및 상기 컬렉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나사결합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하며, 상기 밸브가 상기 제 2 나사결합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밸브지지부를 가압하면, 상기 부싱이 상기 컬렉트와 함께 밀리면서 상기 가압부가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압가이드부에 압입되어 오므려지면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너트;를 포함하며, 너트의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과 힘을 최소화하면서, 밸브의 조임만으로 에어컨 배관의 연결 시공이 기밀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밸브 링크 어셈블리{Valve link assembly}
본 발명은 밸브 링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예컨대 플레어 밸브의 연결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도록 하고, 밸브의 연결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밸브 링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콘을 포함하는 냉방기기에 사용되는 금속제 배관은 부식을 막기 위해 동관을 사용하거나, 동 이외의 금속제 배관의 외면에 구리도금이나 불소수지 코팅을 하기 때문에 원가가 높고 중량이 무거운 점이 있다. 따라서, 금속제 배관보다 가볍고 원가가 절감되는 알루미늄 배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알루미늄 배관을 밸브와 연결할 때, 통상 알루미늄 배관의 단부를 확관하여 직경을 증가시켜 밸브와 연결하는데, 알루미늄의 재질 특성상 확관시 배관이 늘어나면서 두께가 얇아져 확관부가 취약해지거나, 에어컨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터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터진 부분을 통하여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누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배관과 밸브 사이의 연결 부분에서 냉매의 누출을 신뢰성 있게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배관 연결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28589호의 "배관 연결장치"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한쪽 단부에서 밸브에 나사 결합되고, 중간에 배관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다른 쪽 단부에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가 순차로 형성되는 중계 너트; 상기 제1단차부에 접촉하도록 끼워지는 변형 링; 일단에 상기 변형 링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이 상기 제2단차부에 접촉하도록 끼워지며 타단에 삽입링부가 형성된 피팅 부재; 및 상기 중계 너트의 다른 쪽 단부에 나사 결합하고, 상기 삽입링부가 끼워지는 수용부가 형성된 조임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 너트가 상기 중계 너트와 나사 결합하여 조여짐으로써, 상기 피팅 부재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변형링이 변형되어 상기 배관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삽입 링이 상기 수용부에 강제 압입되어 상기 배관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몸체에 조임너트를 조여야 하는 1차 조임 과정과, 후속하여 밸브의 조임을 수행하는 2차 과정을 가짐으로써, 2차례에 걸친 조임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로 인해 에어컨 배관의 연결 시공 과정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너트의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과 힘을 최소화하면서, 밸브의 조임만으로 에어컨 배관의 연결 시공이 기밀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에어컨 배관의 기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에어컨 배관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측면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측을 향하여 안착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의 반대측에 멈춤부가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측의 끝단에 제 1 나사결합부가 마련되고, 밸브가 결합되는 측의 끝단에 제 2 나사결합부가 마련되는 바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일단에 마련되는 밸브지지부가 상기 안착부를 통과하여 상기 멈춤부로부터 상기 밸브가 결합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바디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끝단을 지지하는 부싱; 상기 부싱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그립링; 상기 그립링의 일측에 위치하고,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키는 오링; 상기 오링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의 내측에 삽입되고, 끝단에 내측으로 오므려지기 위한 가압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컬렉트; 및 상기 컬렉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나사결합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하며, 상기 밸브가 상기 제 2 나사결합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밸브지지부를 가압하면, 상기 부싱이 상기 컬렉트와 함께 밀리면서 상기 가압부가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압가이드부에 압입되어 오므려지면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밸브 링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오링의 양측에 상기 파이프가 각각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가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멈춤부가 상기 밸브의 결합부 끝단에 형성되는 경사진 부분에 대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너트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끝단에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나사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부싱은, 상기 파이프의 끝단이 끼워지기 위한 파이프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링크 어셈블리에 의하면, 너트의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과 힘을 최소화하면서, 밸브의 조임만으로 에어컨 배관의 연결 시공이 기밀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에어컨 배관의 기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에어컨 배관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밸브 링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밸브 링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밸브 링크 어셈블리에 파이프를 연결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밸브 링크 어셈블리에 밸브를 연결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밸브 링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밸브 링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밸브 링크 어셈블리(100)는 바디(110), 부싱(120), 그립링(130), 오링(140), 컬렉트(160) 및 너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는 내측면에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측을 향하여 안착부(111)가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안착부(111)의 반대측에 멈춤부(112)가 마련되며,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측의 끝단에 제 1 나사결합부(114)가 마련되고, 밸브(20)가 결합되는 측의 끝단에 제 2 나사결합부(115)가 마련된다. 여기서, 파이프(10)는 일례로 에어컨 배관용 파이프일 수 있고, 밸브(20)는 에어컨 배관에 설치되는 플레어 (타입의) 밸브(Flare valve)일 수 있으며, 일단의 결합부(21)에 수나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나사결합부(114,115)는 바디(11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암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10)는 멈춤부(112)가 밸브(20)의 결합부(21) 끝단에 형성되는 경사진 부분에 대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20)가 바디(110) 내측으로 제 2 나사결합부(115)에 나사 결합으로 인해 조여질 경우, 멈춤부(112)에 의해 가이드되어 안정적인 진행 및 멈춤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바디(110)는 너트(170)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끝단에 수용홈(113)이 마련될 수 있고, 수용홈(113)의 내주면에 제 1 나사결합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부싱(120)은 안착부(111)에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부(121)가 마련되고, 일단에 마련되는 밸브지지부(122)가 안착부(111)를 통과하여 멈춤부(112)로부터 밸브(20)가 결합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바디(110)에 삽입되는 파이프(10)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한다.
부싱(120)은 파이프(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파이프(10)의 끝단이 끼워지기 위한 파이프수용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립링(130)은 부싱(120)의 타단에 위치하고, 파이프(10)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오링(140)은 그립링(130)의 일측에 위치하고,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오링(140)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다수, 예컨대 2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압축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에 가드(150)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오링(140)은 최종적으로 조여지는 밸브(20)의 조임량에 따라 압축률이 정해질 수 있다.
가드(15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오링(140)의 양측에 파이프(10)가 각각 끼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일례로 중심부에 개구를 형성하는 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컬렉트(160)는 오링(14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바디(110)의 내측에 삽입되고, 끝단에 내측으로 오므려지기 위한 가압부(161)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161)는 컬렉트(160)의 끝단에서 오므려질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가 중심 둘레를 따라 다수로 형성되거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름부가 중심 둘레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너트(170)는 컬렉트(160)를 지지하도록 제 1 나사결합부(114)에 나사 결합되고, 파이프(10)가 관통하며, 밸브(20)가 제 2 나사결합부(115)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밸브지지부(122)를 가압하면, 부싱(120)이 컬렉트(160)와 함께 밀리면서 가압부(161)가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압가이드부(172)에 압입되어 오므려지면서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병목과 유사한 형태의 가압부위(1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너트(170)는 외주면에 제 1 나사결합부(114)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 3 나사결합부(17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너트(170)는 바디(110)에 나사 체결시, 밸브(20)의 결합 전에는 오링(140) 등의 최종 압축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적은 힘으로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링크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바디(110)의 내측에 부싱(120), 그립링(130), 가드(150), 오링(140), 컬렉트(160)를 삽입 장착한 다음, 바디(110)의 끝단에 너트(170)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조립을 마치는데, 이때, 최종적인 조임이 아니므로, 너트(170)를 비교적 적은 힘으로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부싱(120)의 밸브지지부(122)는 안착부(111) 및 멈춤부(112)를 관통하여 제 2 나사결합부(115) 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 다음, 도 3에서와 같이, 파이프(10)를 너트(170), 컬렉트(160), 가드(150), 오링(140) 및 그립링(130)을 관통하여 부싱(120)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밸브(20)의 결합부(21)를 바디(110)의 제 2 나사결합부(115)에 나사 체결시키면, 결합부(21)가 부싱(120)의 밸브지지부(122)를 가압하여, 부싱(120)과 함께 그립링(130), 가드(150), 오링(140) 및 컬렉트(160)를 함께 밀어서 컬렉트(160)의 가압부(161)가 이미 고정된 너트(170)의 가압가이드(172)에 의해 압입됨으로써 오므려져서,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가압 부위(11)에 병목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배관(10)의 안정적인 연결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링크 어셈블리에 따르면, 너트의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과 힘을 최소화하면서, 밸브의 조임만으로 에어컨 배관의 연결 시공이 기밀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컨 배관의 기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에어컨 배관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배관 11 : 가압부위
20 : 밸브 21 : 결합부
110 : 바디 111 : 안착부
112 : 멈춤부 113 : 수용홈
114 : 제 1 나사결합부 115 : 제 2 나사결합부
120 : 부싱 121 : 걸림부
122 : 밸브지지부 123 : 파이프수용홈
130 : 그립링 140 : 오링
150 : 가드 160 : 컬렉트
161 : 가압부 170 : 너트
171 : 제 3 나사결합부 172 : 가압가이드부

Claims (5)

  1. 내측면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측을 향하여 안착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의 반대측에 멈춤부가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측의 끝단에 제 1 나사결합부가 마련되고, 밸브가 결합되는 측의 끝단에 제 2 나사결합부가 마련되는 바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일단에 마련되는 밸브지지부가 상기 안착부를 통과하여 상기 멈춤부로부터 상기 밸브가 결합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바디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끝단을 지지하는 부싱;
    상기 부싱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그립링;
    상기 그립링의 일측에 위치하고,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키는 오링;
    상기 오링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의 내측에 삽입되고, 끝단에 내측으로 오므려지기 위한 가압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컬렉트; 및
    상기 컬렉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나사결합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하며, 상기 밸브가 상기 제 2 나사결합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밸브지지부를 가압하면, 상기 부싱이 상기 컬렉트와 함께 밀리면서 상기 가압부가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압가이드부에 압입되어 오므려지면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너트;
    를 포함하는, 밸브 링크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링의 양측에 상기 파이프가 각각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가드를 더 포함하는, 밸브 링크 어셈블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멈춤부가 상기 밸브의 결합부 끝단에 형성되는 경사진 부분에 대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밸브 링크 어셈블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너트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끝단에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나사결합부가 마련되는, 밸브 링크 어셈블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파이프의 끝단이 끼워지기 위한 파이프수용홈이 형성되는, 밸브 링크 어셈블리.
KR1020230026150A 2023-02-27 2023-02-27 밸브 링크 어셈블리 KR102530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150A KR102530653B1 (ko) 2023-02-27 2023-02-27 밸브 링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150A KR102530653B1 (ko) 2023-02-27 2023-02-27 밸브 링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653B1 true KR102530653B1 (ko) 2023-05-09

Family

ID=8640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150A KR102530653B1 (ko) 2023-02-27 2023-02-27 밸브 링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65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406B1 (ko) * 2012-10-18 2013-03-05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에어컨 냉매파이프 연결용 아답터 및 이를 이용한 냉매파이프 연결 방법
KR101375718B1 (ko) * 2011-02-21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매관의 연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50054717A (ko) * 2012-09-19 2015-05-20 이노우에 스다레 가부시키가이샤 관 조인트 구조
KR101638312B1 (ko) * 2016-04-19 2016-07-21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관이음용 어댑터
KR20200028589A (ko) * 2018-09-07 2020-03-17 이현정 배관 연결장치
KR102161551B1 (ko) * 2019-05-02 2020-10-06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오링의 손상을 방지하는 파이프 고정용 그립링과 너트의 조립체
KR102230449B1 (ko) * 2020-08-10 2021-03-22 (주)에쎈테크 배관용 연결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18B1 (ko) * 2011-02-21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매관의 연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50054717A (ko) * 2012-09-19 2015-05-20 이노우에 스다레 가부시키가이샤 관 조인트 구조
KR101239406B1 (ko) * 2012-10-18 2013-03-05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에어컨 냉매파이프 연결용 아답터 및 이를 이용한 냉매파이프 연결 방법
KR101638312B1 (ko) * 2016-04-19 2016-07-21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관이음용 어댑터
KR20200028589A (ko) * 2018-09-07 2020-03-17 이현정 배관 연결장치
KR102161551B1 (ko) * 2019-05-02 2020-10-06 주식회사 우정메카트로닉스 오링의 손상을 방지하는 파이프 고정용 그립링과 너트의 조립체
KR102230449B1 (ko) * 2020-08-10 2021-03-22 (주)에쎈테크 배관용 연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9869B2 (en) Coupling gasket with multiple sealing surfaces
US10274115B2 (en) Coupling with tongue and groove
KR200232262Y1 (ko) 튜브 커플러
US9297484B2 (en) Slip-on coupling
JP2815235B2 (ja) 抵抗の減少されたビードシールを有する設置装置
US6896298B2 (en) Conduit coupling assembly
US6776440B2 (en) Method and structure for preventing slipping-off of a tube in a pipe joint made of resin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US3575447A (en) Tube fitting
US6729659B2 (en) Flare fitting assembly with metal-to-metal line seal
KR20200079172A (ko) 급격한 휨 기술을 사용한 금속 시일 끼워맞춤
KR102530653B1 (ko) 밸브 링크 어셈블리
KR101723205B1 (ko) 냉매관 연결구
KR101055938B1 (ko)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된 알루미늄피복관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20200028589A (ko) 배관 연결장치
US20130193683A1 (en) High pressure fitting
US6364371B1 (en) Conical flange interface for railway applications
US11543060B2 (en) Pipe-fitting device for connecting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KR20210001307U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관 연결장치
CN219154191U (zh) 一种汽车空调管路压板结构
KR100446186B1 (ko) 튜브커플러
US20230332722A1 (en) Connection devices for connecting a pipe having an outer peripheral projection, uses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10001999A (ko) 에어컨 호스의 결합구조
US5649361A (en) Method of making an heat exchanger having a compression fitting with a load bearing ring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