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453B1 -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453B1
KR102530453B1 KR1020190007087A KR20190007087A KR102530453B1 KR 102530453 B1 KR102530453 B1 KR 102530453B1 KR 1020190007087 A KR1020190007087 A KR 1020190007087A KR 20190007087 A KR20190007087 A KR 20190007087A KR 102530453 B1 KR102530453 B1 KR 10253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solution
solvent
antisolvent
granular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0034A (en
Inventor
김현주
김현희
최재훈
홍무호
이기재
지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0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453B1/en
Priority to PCT/KR2020/000819 priority patent/WO2020149673A1/en
Priority to US17/413,285 priority patent/US20220025113A1/en
Priority to JP2021527086A priority patent/JP7082714B2/en
Priority to EP20741396.4A priority patent/EP3878892A4/en
Priority to CN202080006306.1A priority patent/CN113056506A/en
Publication of KR2020009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4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제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우수한 물성의 그래뉼 형태의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수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anular polycarbonate particles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can be obtained without using a stabilizer or a surfactant.

Description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Manufacturing method of granule polycarbonate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본 발명은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하나로서 플라스틱 산업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투명성, 내충격성,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투명시트, 자동차 범퍼 및 광디스크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Polycarbonate is one of engineering plastics and is widely used in the plastics industry. The polycarbonate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impact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heat resistance, etc., and is applied in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transparent sheets, automobile bumpers, and optical disks.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는 통상적으로 2가 방향족 히드록시 화합물과 포스겐을 반응시키는 방법 또는 2가 방향족 히드록시 화합물과 탄산 디에스테르를 반응시키는 교환법을 통해 제조되고 있다.These polycarbonates are usually prepared through a method of reacting a divalent aromatic hydroxy compound with phosgene or an exchange method of reacting a divalent aromatic hydroxy compound with a carbonic acid diester.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중합 생성물 내에는 목적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외에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흔히 사용되는 유기용매인 메틸렌 클로라이드(CH2Cl2), 트리에틸아민(TEA)과 같은 촉매 성분 및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과 같은 염 성분 등의 불순물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 공정 후에는 고분자 용액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일련의 정제 공정이 진행된다.In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produc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in addition to the desired polycarbonate, catalyst components such as methylene chloride (CH 2 Cl 2 ) and triethylamine (TEA), which are organic solvents commonly used in polycarbonate production, and sodium chloride, sodium carbonate and Impurities such as salt components are present. Therefore, after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process, a series of purification processes are performed to remove impurities present in the polymer solution.

정제 공정을 거친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물은 용매 제거 과정을 거치면서 파우더 형태, 플레이크 형태, 그래뉼 형태 등으로 모양을 갖추게 되고 이를 열 압출하여 최종적으로 펠렛의 형태로 만든다. The polycarbonate polymer that has undergone the purification process is shaped into a powder form, flake form, granule form, etc. while undergoing a solvent removal process, and is finally made into a pellet form by thermal extrusion.

그런데 파우더 형태의 경우에는 작업 중 비산되는 문제가 있고, 플레이크 형태의 경우에는 부피 대비 무게가 현저히 작아 다른 고분자와의 alloy 제품 생산 시 비효율적이므로 보통 펠렛으로 가공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펠렛으로 가공하기 위해서 고온의 열에 노출시키기 때문에 본래의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지는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powder form, there is a problem of scattering during operation, and in the case of flake form, the weight compared to the volume is remarkably small, so it is inefficient in producing alloy products with other polymers, so it is usually processed into pellets and used. However, since it is exposed to high-temperature heat in order to be processed into pelle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riginal polycarbonate are lower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열 노출 없이 용매 제거 과정 중에서 펠렛과 유사하게 높은 벌크 밀도의 그래뉼의 형태를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ot of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prepare polycarbonate having a granular form of high bulk density similar to pellets during the solvent removal process without heat exposure.

종래에 정제 방법으로, 반용매(antisolvent)를 사용하는 방법이 US Patent No. 5196507A, US Patent No. 5726223A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들에는 용매와는 섞이지만 폴리카보네이트를 용해시키지 않는 반용매를 사용하여 용매가 제거된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수득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방법에 의하면 많은 양의 반용매를 사용하여야 하며, 구형의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얻기 위하여 안정제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As a conventional purification method, a method using an antisolvent is described in US Patent No. 5196507A, US Patent No. 5726223A and the like. These documents disclose a method of obtaining solvent-free polycarbonate particles using an anti-solvent that is miscible with the solvent but does not dissolve the polycarbonate. However, according to the method disclosed in the above documents,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need to use a large amount of anti-solvent and the use of a stabilizer to obtain spherical polycarbonate particles.

US Patent No. 4546172A에는 반용매 없이 물 만을 사용하여 고분자 입자를 수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는 공정시간이 길며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아 분쇄 등의 추가적인 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US Patent No. 4546172A discloses a method for obtaining polymer particles using only water without an anti-solvent. However, in the case of this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time is long and the size of the particles is not uniform, so that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grinding is required.

이 밖에도 스프레이 드라잉(drying), 고온의 스팀분사 등의 방법으로 용매를 단시간에 제거시켜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도 있으나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는 내부 공극이 많아 입자의 벌크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producing polycarbonate particles by removing the solvent in a short time by methods such as spray drying or high-temperature steam injection, but the polycarbonate particles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have many internal voids, so that the bulk density of the particles is low. There is a downside problem.

USUS PatentPatent No.No. 5196507A5196507A USUS PatentPatent No.No. 5726223A5726223A USUS PatentPatent No.No. 4546172A4546172A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제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우수한 물성의 그래뉼 형태의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수득할 수 있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capable of obtaining granular polycarbonate particles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without using a stabilizer or a surfacta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폴리카보네이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중합반응 용액과, 물 및 니트릴계 반용매를 포함하는 반용매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preparing a mixed solution by mixing a polymerization solution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an organic solvent with an anti-solvent solution containing water and a nitrile-based anti-solvent;

상기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heating the mixed solution to remove the organic solvent; and

상기 혼합 용액을 건조 또는 여과하여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rying or filtering the mixed solution to obtain granular polycarbonate particles,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 공정 후의 중합반응 용액 중에 존재하는 유기용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고온 및 고진공 조건에서 정제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정제공정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solvent present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fter the polymerization process of polycarbonate can be effectively removed. In particular, since the purification process does not have to be perform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vacuum conditions, energy consumption required for the purification process can be reduced.

또한 핵 형성을 위한 계면활성제, 안정제,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분말을 사용하지 않아도 벌크 밀도나 입경 범위 측면에서 우수한 물성의 구형의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수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spherical granular polycarbonate particles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in terms of bulk density or particle size range can be obtained without using a surfactant, stabilizer, or polycarbonate powder for nucle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수득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은 고온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고온의 열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 고유 물성 저하의 우려가 없으며, 적절한 입경 범위를 가져 미분으로 비산되지 않고 흐름성이 좋아 작업환경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btained granular polycarbonate is not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there is no concern about deterioration of the inherent properties of polycarbonate due to high temperature heat, and it has an appropriate particle diameter range, so it does not scatter into fine powder and has good flowability. There are advantages to th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득되는 폴리카보네이트 그래뉼의 SEM 사진이다.1 is a SEM photograph of polycarbonate granules obta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n embodied feature, step, component, or combination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step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viously exclud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exemplified and described in detail below.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granular polycarbonate according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중합반응 용액과, 물 및 니트릴계 반용매를 포함하는 반용매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건조 또는 여과하여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ing a mixed solution by mixing a polymerization solution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an organic solvent with an anti-solvent solution containing water and a nitrile-based anti-solvent; heating the mixed solution to remove the organic solvent; and drying or filtering the mixed solution to obtain granular polycarbonat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nular polycarbo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tep by step.

먼저, 폴리카보네이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중합반응 용액과, 물 및 니트릴계 반용매를 포함하는 반용매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한다.First, a mixed solution is prepared by mixing a polymerization solution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an organic solvent with an anti-solvent solution containing water and a nitrile-based anti-solvent.

본 발명에 있어,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2가 히드록시 화합물과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출발 물질로 하여 일반적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알려진 중합 방법에 따라 직접 제조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method of polycarbo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directly prepared according to known polymerization methods of general polycarbonate resins using a divalent hydroxy compound and a carbonate precursor as starting materials.

상기 2가 히드록시 화합물과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divalent hydroxy compound and the carbonate precurso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use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2가 히드록시 화합물로는 비스페놀 A,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또는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valent hydroxy compounds include bisphenol A, 1,1-bis (4-hydroxyphenyl) ethane, bis (4-hydroxyphenyl) methane, bis (4-hydroxyphenyl) ether, bis (4-hydroxyphenyl)sulfone, bis(4-hydroxyphenyl)sulfoxide, bis(4-hydroxyphenyl)sulfide, bis(4-hydroxyphenyl)ketone, 2,2-bis(4-hydroxy Phenyl) butane, 1,1-bis (4-hydroxyphenyl) cyclohexane, 2,2-bis (4-hydroxy-3,5-dibromophenyl) propane, 2,2-bis (4-hydroxy hydroxy-3,5-dichlorophenyl)propane, 2,2-bis(4-hydroxy-3-bromophenyl)propane, 2,2-bis(4-hydroxy-3-chlorophenyl)propane, 2, 2-bis(4-hydroxy-3-methylphenyl)propane, 2,2-bis(4-hydroxy-3,5-dimethylphenyl)propane, 1,1-bis(4-hydroxyphenyl)-1- phenylethane, bis(4-hydroxyphenyl)diphenylmethane, or α,ω-bis[3-(ο-hydroxyphenyl)propyl]polydimethylsiloxane, and the like,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this can be used

또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디-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브로모포스겐, 또는 비스할로포르메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arbonate precursor,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ibutyl carbonate, dicyclohexyl carbonate, diphenyl carbonate, ditoryl carbonate, bis(chlorophenyl) carbonate, di-m-cresyl carbonate, dinaphthyl carbonate, bis(diphenyl) carbonate, phosgene, triphosgene, diphosgene, bromophosgene, or bishaloformate, and the like,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se may be used.

상기 중합 방법으로는, 일례로 계면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압과 낮은 온도에서 중합 반응이 가능하며 분자량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계면중합은 통상적으로 염성분 및 유기용매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As the polymerization method, for example, an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may be used, and in this cas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possible at normal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and the molecular weight is easily controlled.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is usually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a salt component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계면중합에 사용되는 물질들은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 사용량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Materials used for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can be used for polymerization of polycarbonate, and the amount thereof may be adjusted as necessary.

상기 염성분으로는 일례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피리딘 등의 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salt component, for example, an alkali metal hydroxide such as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or an amine compound such as pyridine may be used.

상기 유기용매로는 통상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되는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The organic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olvent commonly used for polymerization of polycarbonate, and for example,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methylene chloride and chlorobenzene may be used.

또한, 상기 계면중합은 반응 촉진을 위해 트리에틸아민, 테트라-n-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등의 3차 아민 화합물, 4차 암모늄 화합물, 4차 포스포늄 화합물 등과 같은 반응 촉진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is a reaction such as triethylamine, tetra-n-butylammonium bromide, tetra-n-butylphosphonium bromide, etc., tertiary amine compound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quaternary phosphonium compounds, etc. Accelerators may additionally be used.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생성물 내에는 목적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외에 유기용매인 메틸렌클로라이드(MC), 트리에틸아민(TEA)과 같은 촉매 성분 및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과 같은 염 성분 등의 불순물들이 존재한다. Therefore, in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produc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in addition to the desired polycarbonate, impurities such as catalyst components such as organic solvents methylene chloride (MC) and triethylamine (TEA) and salt components such as sodium chloride and sodium carbonate are present. ex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중합반응 생성물 내에 포함된 촉매 성분 및 염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촉매 성분 및 염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밀도 차이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중합 용액과, 촉매, 및 염 성분 등 기타 성분들이 용해되어 있는 불순물 용액을 각각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performing the step of removing the organic solvent, the step of removing the catalyst component and the salt component included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The step of removing the catalyst component and the salt component may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polymerization solution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an organic solvent and an impurity solution in which other components such as a catalyst and a salt component are dissolved may be separated by a difference in density using a centrifugal separator.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생성물에서 촉매 성분 및 염 성분을 제거, 분리하고 실질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유기용매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리된 용액을 "중합반응 용액"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alyst component and the salt component are removed and separated from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parated solution containing substantially only the polycarbonate resin and the organic solvent is referred to as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do.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에는 중합반응 용액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약 5 내지 약 20 중량%, 유기용매가 약 80 내지 약 95 중량%로 존재한다.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solution typically contains about 5 to about 20% by weight of the polycarbonate resin and about 80 to about 95%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에 포함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용액의 형태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그래뉼(granule) 형태의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로 제조하는 그래뉼화 공정이 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granul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polycarbonate resin in the form of a solution into polycarbonate particles in the form of granules by removing the organic solvent contained in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과, 물 및 니트릴계 반용매를 포함하는 반용매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한다. A mixed solution is prepared by mixing the abov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nd an anti-solvent solution containing water and a nitrile-based anti-solvent.

종래에 폴리카보네이트의 정제 공정에서 반용매로 헥산, 헵탄,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과 같은 케톤류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반용매를 사용할 경우 많은 양의 반용매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의 그래뉼화를 위해 계면활성제나 안정제를 투입하거나, 핵 생성 및 성장 과정을 돕기 위한 폴리카보네이트 분말을 추가 투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ly, a method of using an alcohol-based solvent such as hexane, heptane, methanol, ethanol, propanol, or isopropanol, a ketone solvent such as acetone or methyl ethyl ketone, or ethyl acetate as an anti-solvent in a polycarbonate purification process is known. However, when using the anti-solvent as described above, a large amount of the anti-solvent must be us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surfactant or a stabilizer must be added for granulation of polycarbonate, or polycarbonate powder must be additionally added to assist in nucleation and growth processes.

본 발명에서는 물 및 니트릴계 반용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의 그래뉼화를 위해 계면활성제, 안정제,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분말을 투입할 필요가 없으며, 적은 양의 반용매로도 우수한 물성의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ixed solvent of water and a nitrile antisolvent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add a surfactant, stabilizer, or polycarbonate powder for granulation of polycarbonate, and granular polycarbonate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even with a small amount of antisolvent Noticing that carbonates could be obtained l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니트릴계 반용매는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부티로니트릴, 발레로니트릴, 카프릴로니트릴, 헵탄니트릴, 사이클로펜탄 카보니트릴, 사이클로헥산 카보니트릴, 2-플루오로벤조니트릴, 4-플루오로벤조니트릴, 다이플루오로벤조니트릴, 트리플루오로벤조니트릴, 페닐아세토니트릴, 2-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또는 4-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The nitrile antisolvent is acetonitrile, propionitrile, butyronitrile, valeronitrile, caprylonitrile, heptanenitrile, cyclopentane carbonitrile, cyclohexane carbonitrile, 2-fluorobenzonitrile, 4-fluorobenzo It may be nitrile, difluorobenzonitrile, trifluorobenzonitrile, phenylacetonitrile, 2-fluorophenylacetonitrile, or 4-fluorophenylacetonitri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acetonitrile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용매 용액이 상기 중합반응 용액보다 같거나 더 적은 중량으로 혼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용매 용액과, 상기 중합반응 용액의 중량비(반용매 용액 : 중합반응 용액)는 2:8 내지 5:5, 또는 3:7 내지 5:5, 또는 4:6 내지 5:5 일 수 있다. 상기 반용매 용액의 함량이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 너무 적으면 그래뉼화되지 않고 한 덩어리로 뭉쳐버리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반대로 너무 많으면 파우더화될 수 있으며, 실생산 시 생산률 저하 및 비 경제적인 단점이 있을 수 있어,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중량비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solvent solution may be mixed in a weight equal to or less than tha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more specifically, the weight ratio of the anti-solvent solution and the polymerization solution (anti-solvent solution :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may be 2:8 to 5:5, or 3:7 to 5:5, or 4:6 to 5:5. If the content of the anti-solvent solution is too small beyond the above-mentioned range, it may not be granulated and agglomerate into one lump, conversely, if it is too large, it may be powdered, and in actual production, the production rate is lowered and uneconomical. There may be, an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above weight ratio r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용매 용액은 전체 반용매 용액(물+반용매)의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니트릴계 반용매를 5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 또는 30 중량% 이상이면서, 40 중량% 이하, 또는 38 중량% 이하, 또는 35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트릴계 반용매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비정형 입자(폴리카보네이트 입자의 장축이 150mm 이상인 입자)가 제조되거나 한 덩어리로 뭉쳐버리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반대로 너무 많으면 그래뉼이 형성되지 않고 파우더 형태로 제조될 수 있어,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중량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solvent solution contains 5% by weight or more, or 10% by weight or more, or 20% by weight or more of the nitrile antisolv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solvent solution (water + antisolvent). , or 25% by weight or more, or 30% by weight or more, and may include 40% by weight or less, or 38% by weight or less, or 35% by weight or less. If the content of the nitrile-based antisolvent is too small, amorphous particles (polycarbonate particles having a long axis of 150 mm or more) may be produced or agglomerate into one lump. It can be manufactured, an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above weight range.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 내 포함된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니트릴계 반용매는 90 내지 2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니트릴계 반용매가 90 중량부 미만으로 적으면 비정형 입자가 제조되거나 한 덩어리로 뭉쳐버리는 현상이 일어 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니트릴계 반용매가 200 중량부를 초과하여 너무 많으면 그래뉼이 형성되지 않고 파우더 형태로 제조될 수 있어,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중량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itrile-based anti-solv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90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carbonate included in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solution. If the amount of the nitrile-based antisolvent is less than 90 parts by weight, amorphous particles may be produced or lumped together, and conversely, if the amount of the nitrile-based antisolvent exceeds 200 parts by weight and is too large, granules are not formed and powder It can be manufactured in a form, an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above weight rang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반용매 용액은 물과 니트릴계 반용매로만 이루어지며, 반용매로 니트릴계 반용매 외에 다른 반용매를 포함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solvent solution consists of only water and a nitrile-based anti-solvent, and does not include other anti-solvents other than the nitrile-based anti-solvent as anti-solvents.

폴리카보네이트의 그래뉼화를 위한 계면활성제, 안정제 또는 추가의 폴리카보네이트 분말을 투입하는 방법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데, 계면활성제나 안정제를 투입하여 그래뉼을 제조할 경우 이러한 투입물이 완벽히 제거되어야 하여 공정이 번거롭게 되며, 완벽히 제거되지 못한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물성, 특히 투명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A method of adding a surfactant, stabilizer or additional polycarbonate powder for granulation of polycarbonate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but when granules are prepared by adding a surfactant or stabilizer, these inputs must be completely removed, making the process cumbersome. , if not completely remov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carbonate, in particular, the transparency is lowered.

또한, 핵 생성을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분말을 투입하는 경우 역시, 분말 투입 공정이 추가되어 공정 경제상 바람직하지 못하며, 분말은 흐름성이 좋지 않아 이송 시스템 구축에도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lycarbonate powder is introduced for nucleation, a powder input process is added, which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process economy, and the powder has poor flowability, so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transfer system.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그래뉼화를 위한 계면활성제, 안정제 또는 추가의 폴리카보네이트 분말을 투입하지 않으므로, 이들을 추가 투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urfactant, a stabilizer or additional polycarbonate powder for granulation of polycarbonate is not added, the above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the additional addition of these can be prevented.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과 상기 반용매 용액을 혼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을 먼저 용기에 넣고 반용매 용액을 투입하거나, 또는 용기에 먼저 반용매 용액을 넣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을 투입하는 방법, 또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과 반용매 용액을 동시에 투입하는 방법 등 어느 방식이나 사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mixing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solution and the anti-solvent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solution is first put into a container and the anti-solvent solution is added, or the anti-solvent solution is first put into the container and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solution is first added to the container. Any method, such as a method of introducing a carbonat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or a method of simultaneously introducing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nd an anti-solvent solution, may be used.

또한 혼합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온(25±2℃)의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xing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in the range of room temperature (25 ± 2 ℃).

다음에, 상기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다.Next, the organic solvent is removed by heating the mixed solution.

상기 가열은 혼합 용액의 온도가 40 내지 70℃, 또는 40 내지 60℃의 온도가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온도가 40℃ 미만으로 너무 낮으면 유기용매의 제거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가열 온도가 70℃를 초과하여 너무 높으면 그래뉼 내부에 공극이 다량 발생하거나 공극의 크기가 커져 벌크 밀도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가열 온도의 범위는 상술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The heating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solution is 40 to 70 °C or 40 to 60 °C. If the heating temperature is too low, less than 40 ° C, removal of the organic solvent may not be sufficient, and if the heating temperature is too high, exceeding 70 ° C, a large number of pores are generated inside the granules or the size of the pores increases, causing a decrease in bulk density. Since it can be, the range of the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the above-mentioned range.

또한 상기 가열은 30 내지 250분, 또는 30 내지 20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시간이 30분 미만으로 너무 짧으면 유기용매의 제거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가열시간이 250분을 초과하여 너무 길면 미분이 다량 발생할 수 있고, 생산시 생산량 및 경제적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ing may be performed for 30 to 250 minutes or 30 to 200 minutes. If the heating time is too short, less than 30 minutes, removal of the organic solvent may not be sufficient, and if the heating time is too long, exceeding 250 minutes, a large amount of fine powder may be generated, which may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yield and economy during production. .

또한, 상기 가열은 중탕, 쟈켓, 히팅밴드, 코일쟈켓 등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heating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such as a water bath, a jacket, a heating band, or a coil jacke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시 상기 혼합 용액을 일정한 속도로, 예를 들어 80 내지 900 rpm, 또는 100 내지 8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eferable to heat the mixed solution while stirring at a constant speed, for example, 80 to 900 rpm, or 100 to 800 rpm during heating.

상기 가열 공정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에 포함된 유기용매가 최초 100 중량% 함량 대비 80 중량% 이상, 또는 84 중량% 이상이면서, 약 90 중량% 이하, 또는 약 88 중량% 이하로 제거될 수 있다. 유기용매의 제거 중량이 80% 미만일 때는 그래뉼을 형성하지 못하는 단계로 덩어리로 뭉쳐지거나 끈적한 형태의 폴리카보네이트가 얻어지고, 90%를 초과하여 과하게 제거하게 되면, 생성된 그래뉼이 서로 부딪히고 깨지면서 다량의 미분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에 의해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는 유기용매가 80 내지 90%까지 제거되는 정도로 수행될 수 있다. By the heating process, the organic solvent contained in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solution may be removed in an amount of 80 wt% or more, or 84 wt% or more, and about 90 wt% or less, or about 88 wt% or less, based on the initial 100 wt% content. there is. When the removal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is less than 80%, granules cannot be formed, and polycarbonate in a lumpy or sticky form is obtained. will create a fraction. Therefore, the step of removing the organic solvent by heating may be performed to the extent that 80 to 90% of the organic solvent is removed.

나머지 유기용매는 이후의 단계에서 여과나 건조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The remaining organic solvent may be removed by filtration or drying in a later step.

다음에, 상기 유기용매가 80 중량% 이상 제거된 혼합 용액을 건조 또는 여과하여 나머지 물, 및 니트릴계 반용매를 제거하고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한다. Next, the mixed solution from which 80% by weight or more of the organic solvent has been removed is dried or filtered to remove the remaining water and the nitrile-based antisolvent to obtain granular polycarbonate.

상기 건조는 혼합 용액의 온도가 80 내지 150℃, 또는 100 내지 150℃의 온도가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온도가 80℃ 미만으로 너무 낮으면 유기용매 및 반용매의 제거가 완벽히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고, 건조 온도가 150℃를 초과하여 너무 높으면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전이 온도 부근에서 물성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건조 온도의 범위는 상술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The drying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solution is 80 to 150 °C or 100 to 150 °C. If the drying temperature is too low, less than 80 ° C, the organic solvent and anti-solvent may not be completely removed, and if the drying temperature is too high, exceeding 150 ° C, a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may occur arou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olycarbonate. Therefore, the range of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the above range.

한편, 건조 시간의 경우에는 공정 효율 등을 고려하여, 약 60 내지 약 600 분 동안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eanwhile, the drying time may be about 60 to about 600 minutes in consideration of process efficienc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건조 방법은 건조 공정으로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long as the drying method is commonly used as a drying process, it may be selected and used without limitation in its configuration.

또한 상기 여과 방법은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long as the filtration method is commonly used, it may be selected and used without limitation in its configuration.

상술한 방법으로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으며, 수득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는 ASTM D1895 방법으로 측정한 벌크 밀도가 0.40 내지 0.70 g/cm3일 수 있다. Granular polycarbonate may be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and the obtained granular polycarbonate may have a bulk density of 0.40 to 0.70 g/cm 3 as measured by the ASTM D1895 metho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는 ASTM D1895 방법으로 측정한 벌크 밀도가 0.40 g/cm3 이상, 또는 0.42 g/cm3 이상, 또는 0.45 g/cm3 이상, 또는 0.50 g/cm3 이상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는 높은 벌크 밀도에 의해 생산성이 우수하며, 다른 폴리머와 컴파운드하여 폴리머 얼로이(polymer alloy)를 만들 때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granular polycarbonate has a bulk density of 0.40 g / cm 3 measured by the ASTM D1895 method. or more, or 0.42 g/cm 3 or more, or 0.45 g/cm 3 or more, or 0.50 g/cm 3 may be ideal As such, the granular polycarbonate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roductivity due to its high bulk density, and can exhibit excellent compatibility when compounded with other polymers to form a polymer alloy.

벌크 밀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0.70 g/cm3 이하, 또는 0.65 g/cm3 이하, 또는 0.60 g/cm3 이하, 또는 0.58 g/cm3 이하일 수 있다. The upper limit of the bulk densi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0.70 g/cm 3 or less, or 0.65 g/cm 3 or less, or 0.60 g/cm 3 or less, or 0.58 g/cm 3 or less.

또한, 상기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평균 입경은 0.3 내지 10 mm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granular polycarbonate may be 0.3 to 10 mm.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평균 입경은 0.3 mm 이상, 또는 0.5 mm 이상, 또는 0.7 mm 이상이면서, 10 mm 이하, 또는 8 mm 이하, 또는 7 mm 이하, 또는 6 mm 이하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granular polycarbonate was 0.3 mm greater than or equal to 0.5 mm greater than or equal to 0.7 mm In spite of being ideal; 10mm or less, or 8 mm or less, or 7 mm or less, or 6 mm may be below.

상기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평균 입경은 SEM 이미지를 이용하여 임의로 선정된 10 구역에서 각각 20개의 그래뉼 입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그래뉼 입자의 장축의 길이를 측정하여 이의 평균값을 구하거나, 또는 image j 프로그램을 통해 5000개 이상의 그래뉼 입자의 장축의 길이를 측정하여 이의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granular polycarbonate is obtained by selecting 20 granule particles from each of 10 randomly selected areas using SEM images, measuring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selected granule particles, and obtaining an average value thereof, or using the image j program. It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5000 or more granular particles through a method of obtaining the average value.

또한 수득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는 실질적으로 구형일 수 있다.The granular polycarbonate obtained may also be substantially spherical.

또한, 상기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잔류량이 50 ppm 이하, 또는 30 ppm 이하, 또는 10 ppm 이하로 실질적으로 메틸렌 클로라이드가 모두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idual amount of methylene chloride in the granular polycarbonate may be 50 ppm or less, or 30 ppm or less, or 10 ppm or less, so that all methylene chloride may be substantially remov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중합 반응 생성물 중에 존재하는 유기용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벌크 밀도나 입경 범위 측면에서 우수한 물성의 구형의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수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solvent present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can be effectively removed, and spherical granular polycarbonate particles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in terms of bulk density or particle size range can be obtained. there i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se examples are only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비스페놀 A와 포스겐을 출발물질로 하고, 용매로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계면중합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 중합 공정에 의해 중합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중합반응 생성물을 원심분리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중합반응 용액을 준비하였다(중합 반응 용액 중 폴리카보네이트 17wt%, 메틸렌클로라이드 83wt% 포함).A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by a conventional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process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using bisphenol A and phosgene as starting materials and methylene chloride as a solven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centrifuged to prepare a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methylene chloride (including 17 wt% of polycarbonate and 83 wt% of methylene chloride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상기 중합반응 용액 3,500g과, 물과 아세토니트릴의 반용매 용액(물 80wt%, 아세토니트릴 20wt%) 3,500g을 상온에서 혼합하고, 50℃의 온도에서 50분 동안 1.5 내지 3 m/s의 속도로 교반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를 85 wt%까지 제거하였다. 3,500 g of the abov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nd 3,500 g of an anti-solvent solution of water and acetonitrile (80 wt % of water, 20 wt % of acetonitrile) were mixed at room temperature, and at a temperature of 50° C. for 50 minutes at a rate of 1.5 to 3 m/s. The mixture was stirred to remove methylene chloride up to 85 wt%.

다음에, 폴리카보네이트를 150℃의 온도로 맞춰진 오븐에서 120분 동안 건조하여,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였다. Next, the polycarbonate was dried in an oven set at a temperature of 150 DEG C for 120 minutes to obtain granular polycarbonate.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을 준비하였다.The sam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s in Example 1 was prepared.

상기 중합반응 용액 4,200g과, 물과 아세토니트릴의 반용매 용액(물 75wt%, 아세토니트릴 25wt%) 2,800g을 상온에서 혼합하고, 50℃의 온도에서 60분 동안 1.5 내지 3 m/s의 속도로 교반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를 85wt%까지 제거하였다. 4,200 g of the abov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nd 2,800 g of an anti-solvent solution of water and acetonitrile (75 wt % of water, 25 wt % of acetonitrile) were mixed at room temperature, and at a temperature of 50° C. for 60 minutes at a speed of 1.5 to 3 m/s. The mixture was stirred to remove methylene chloride up to 85wt%.

이후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였다.Subsequent procedures were the same as in Example 1 to obtain granular polycarbonate.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을 준비하였다.The sam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s in Example 1 was prepared.

상기 중합반응 용액 4,200g과, 물과 아세토니트릴의 반용매 용액(물 67.5wt%, 아세토니트릴 32.5wt%) 2,800g을 상온에서 혼합하고, 50℃의 온도에서 60분 동안 1.5 내지 3 m/s의 속도로 교반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를 85wt%까지 제거하였다. 4,200 g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nd 2,800 g of an anti-solvent solution of water and acetonitrile (67.5 wt % of water, 32.5 wt % of acetonitrile) were mixed at room temperature, and 1.5 to 3 m/s was applied at 50° C. for 60 minutes. By stirring at a speed of methylene chloride was removed up to 85wt%.

이후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였다.Subsequent procedures were the same as in Example 1 to obtain granular polycarbonate.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 중합반응 용액을 준비하였다.The sam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s in Example 1 was prepared.

상기 중합반응 용액 3,500g과, 물과 아세토니트릴의 반용매 용액(물 70wt%, 아세토니트릴 30wt%) 3,500g을 상온에서 혼합하고, 50℃의 온도에서 50분 동안 1.5 내지 3 m/s의 속도로 교반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를 85wt%까지 제거하였다. 3,500 g of the abov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and 3,500 g of an anti-solvent solution of water and acetonitrile (70 wt % of water, 30 wt % of acetonitrile) were mixed at room temperature, and at a temperature of 50° C. for 50 minutes at a speed of 1.5 to 3 m/s. The mixture was stirred to remove methylene chloride up to 85wt%.

이후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였다.Subsequent procedures were the same as in Example 1 to obtain granular polycarbonat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에서, 반용매 용액으로 물을 70wt%, 에틸아세테이트를 30wt%로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수득하였다. In Example 1, polycarbonate 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olution containing 70 wt% of water and 30 wt% of ethyl acetate was used as the antisolvent solution.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에서, 반용매 용액으로 물을 70wt%, 아세톤을 30wt%로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수득하였다. In Example 1, polycarbonate 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olution containing 70 wt% of water and 30 wt% of acetone was used as the antisolvent solution.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에서, 반용매 용액으로 물을 70wt%, 헥산을 30wt%로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폴리카보네이트는 한 덩어리로 뭉쳐 입자 형태를 갖추지 못하였다. In Example 1, polycarbo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olution containing 70 wt% of water and 30 wt% of hexane was used as the antisolvent solution. The obtained polycarbonate was agglomerated and did not have a particle shape.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에서, 반용매 용액으로 물을 100wt%로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폴리카보네이트는 한 덩어리로 뭉쳐 입자 형태를 갖추지 못하였다. In Example 1, polycarbo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olution containing 100 wt% of water was used as the anti-solvent solution. The obtained polycarbonate was agglomerated and did not have a particle shap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수득된 폴리카보네이트 입자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carbonate particle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1) 평균 입경: SEM 이미지(30배 확대)에서 임의의 10구역 각각 임의로 20개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선정하고, 선정된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 장축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1) Average particle diameter: 20 granular polycarbonate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of 10 random areas in the SEM image (magnified 30 times), and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selected granule polycarbonate was measured to obtain an average value.

또한, 실시예 4의 SEM 이미지를 도 1에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he SEM image of Example 4 is shown in FIG.

(2) 벌크 밀도: ASTM D1895 방법으로 측정하였다.(2) Bulk density: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1895 method.

평균 입경
(단위: mm)
average particle diameter
(Unit: mm)
벌크 밀도
(단위: g/cm3)
bulk density
(Unit: g/cm 3 )
실시예 1Example 1 4.454.45 0.620.62 실시예 2Example 2 5.215.21 0.580.58 실시예 3Example 3 2.382.38 0.570.57 실시예 4Example 4 0.780.78 0.430.4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2 mm 이하의 미분Differential less than 0.2 mm 측정불가not measurabl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0.2 mm 이하의 미분Differential less than 0.2 mm 측정불가not measurable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측정불가not measurable 측정불가not measurable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측정불가not measurable 측정불가not measurable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물 및 니트릴계 반용매를 포함하는 반용매 용액을 이용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건조 공정을 수행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구형의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였으며, 0.43 g/cm3 이상의 우수한 벌크 밀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반용매 용액으로 종래의 용매 또는 물만을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를 수득할 수 없었다. Referring to Table 1,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4 in which the organic solvent was removed using an anti-solvent solution containing water and a nitrile-based anti-solvent and a drying proces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pherical granular polycarbonate was obtained, 0.43 g/cm 3 The above excellent bulk density was exhibited. Howev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using only a conventional solvent or water as an anti-solvent solution, granular polycarbonate particles could not be obtained.

Claims (10)

폴리카보네이트,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중합반응 용액과, 물 및 니트릴계 반용매를 포함하는 반용매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건조 또는 여과하여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니트릴계 반용매는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부티로니트릴, 발레로니트릴, 카프릴로니트릴, 헵탄니트릴, 사이클로펜탄 카보니트릴, 사이클로헥산 카보니트릴, 2-플루오로벤조니트릴, 4-플루오로벤조니트릴, 다이플루오로벤조니트릴, 트리플루오로벤조니트릴, 페닐아세토니트릴, 2-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및 4-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preparing a mixed solution by mixing a polymerization solution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an organic solvent with an anti-solvent solution containing water and a nitrile-based anti-solvent;
heating the mixed solution to remove the organic solvent; and
Drying or filtering the mixed solution to obtain granular polycarbonate,
The nitrile antisolvent is acetonitrile, propionitrile, butyronitrile, valeronitrile, caprylonitrile, heptanenitrile, cyclopentane carbonitrile, cyclohexane carbonitrile, 2-fluorobenzonitrile, 4-fluorobenz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trile, difluorobenzonitrile, trifluorobenzonitrile, phenylacetonitrile, 2-fluorophenylacetonitrile, and 4-fluorophenylacetonitrile,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용매 용액 및 중합반응 용액은 2:8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solvent solution and the polymerization solution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2:8 to 5:5, a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용매 용액은 상기 니트릴계 반용매를 전체 반용매 용액의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solvent solution comprises the nitrile-based antisolvent in an amount of 5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ntisolvent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solven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granular polycarbonate containing methylene chlor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상기 혼합 용액의 온도가 40 내지 70℃가 되도록 수행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is performed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solution is 40 to 70 ° C., a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상기 혼합 용액의 온도가 80 내지 150℃가 되도록 수행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rying is performed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solution is 80 to 150 ° C., a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 입자는 ASTM D1895 방법으로 측정한 벌크 밀도가 0.40 내지 0.70 g/cm3인,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granular polycarbonate particles have a bulk density of 0.40 to 0.70 g / cm 3 as measured by the ASTM D1895 method.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은 0.3 내지 10 mm인,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granular polycarbonate particles is 0.3 to 10 mm, a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중합 용액에 포함된 유기용매가 최초 100 중량% 함량 대비 80 내지 90 중량%가 제거되는, 그래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wherein 80 to 90%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contained in the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solution is removed by the heating process compared to the first 100% by weight.
KR1020190007087A 2019-01-18 2019-01-18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KR1025304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087A KR102530453B1 (en) 2019-01-18 2019-01-18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PCT/KR2020/000819 WO2020149673A1 (en) 2019-01-18 2020-01-16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US17/413,285 US20220025113A1 (en) 2019-01-18 2020-01-16 Method for Preparing Granular Polycarbonate
JP2021527086A JP7082714B2 (en) 2019-01-18 2020-01-16 Manufacturing method of granular polycarbonate
EP20741396.4A EP3878892A4 (en) 2019-01-18 2020-01-16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CN202080006306.1A CN113056506A (en) 2019-01-18 2020-01-16 Process for preparing granular polycarbon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087A KR102530453B1 (en) 2019-01-18 2019-01-18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034A KR20200090034A (en) 2020-07-28
KR102530453B1 true KR102530453B1 (en) 2023-05-08

Family

ID=7183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087A KR102530453B1 (en) 2019-01-18 2019-01-18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45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727A1 (en) 2016-03-15 2017-09-21 出光興産株式会社 Polycarbonate resi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coating liqui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electrophotograph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796B2 (en) * 1991-01-24 2001-04-16 三井化学株式会社 Process for producing granules of polycarbonate and its composition
JPH07268092A (en) * 1994-03-31 1995-10-17 Mitsui Toatsu Chem Inc Production of polycarbonate
KR101799093B1 (en) * 2014-11-04 2017-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Production method of poly(alkylene carbonate) p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727A1 (en) 2016-03-15 2017-09-21 出光興産株式会社 Polycarbonate resi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coating liqui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electrophotograph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034A (en)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6894B2 (en) Economical process for producing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alkylene carbonate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processability
JP6019652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JP2012214729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WO201213385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carbonate resin
JP5962129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JPH06234845A (en) Production of aromatic polycarbonate
KR102530453B1 (en)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WO2012133855A1 (en) Polycarbonate-resin manufacturing method
JP5445652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KR20200101118A (en)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EP3878892A1 (en) Method for preparing granule polycarbonate
WO2018043899A1 (en) Method for preparing polycarbonate
JP5974583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JP3217853B2 (en) Preparation of aromatic polycarbonate prepolymer
KR102203151B1 (en) Crystallization of Polycarbonate
JP3164668B2 (en) Method for producing granular polycarbonate
KR20040040664A (en) Preparation method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carbonate resin
JP5906885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JP201301824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ycarbonate resin molding
JPH05178979A (en) Production of aromatic polycarbonate
JP6270304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1997019975A1 (en)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
JP6019667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JP307372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disk substrate
KR100733924B1 (en) Preparation method of high molecular weight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