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376B1 -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및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및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376B1
KR102530376B1 KR1020210045757A KR20210045757A KR102530376B1 KR 102530376 B1 KR102530376 B1 KR 102530376B1 KR 1020210045757 A KR1020210045757 A KR 1020210045757A KR 20210045757 A KR20210045757 A KR 20210045757A KR 102530376 B1 KR102530376 B1 KR 10253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reading
remote reading
imag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599A (ko
Inventor
정희원
장이호
구자웅
Original Assignee
에이아이닥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아이닥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아이닥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3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은,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의 생성 시점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결정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및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A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remote reading on an image to be remotely read and a control system for performing remote reading on an image to be remotely read}
본 발명은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및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판독 대상자의 이미지인 것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하며, 특히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활용해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및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염병의 확산과 의료기관 내 감염 방지를 위해서 의료 기관 비대면 서비스가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비대면 서비스 제공으로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판독 결과를 환자에게 대면하여 직접 전달하는 상황이면, 환자의 상태를 직접 의료진이 확인하여 잘못된 이미지가 첨부된 것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바로 정정할 수 있지만, 비대면 의료 환경에서는 환자의 이미지가 아닌 다른 이미지가 첨부된 경우에도 이를 의료진이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비대면 의료 환경이 감염도 방지하고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부분도 있지만, 위와 같이 잘못된 이미지를 판독해야하는 상황이 생긴 경우에도 의료진은 이를 알 수 없어 잘못된 이미지가 판독되어 환자에게 전달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대면 원격 의료 환경에서, 특히 의료진이 해당 이미지를 바로 판독해도 무방하도록 해당 이미지가 환자의 이미지가 맞다는 것이 전제되기 위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삭제
KR 1809819 B1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판독 대상자의 이미지인 것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부적합한 판독 대상 이미지는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상의 각 장치를 통해 여러 단계로 필터링되도록 하여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은,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의 생성 시점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결정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동작 수행 단계는,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 부적합 상태 정보를 상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동작 수행 단계는,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를 판독 수행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에 의해,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에 의해,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모델로부터 판독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독 수행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를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독 수행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판독 결과 정보를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수행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상기 판독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에 포함된 판독 대상자의 성별 및 나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로부터 획득되는 성별 및 나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은,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의 생성 시점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판독 의뢰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 부적합 상태 정보를 상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 장치; 및 상기 원격 판독의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판독 수행 관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가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를 상기 판독 수행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는,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모델로부터 판독 결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판독 수행 관리 장치는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를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판독 결과 정보를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상기 판독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는,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는,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에 포함된 판독 대상자의 성별 및 나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로부터 획득되는 성별 및 나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독 의뢰 관리 장치는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의 생성 시점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판독 대상자의 이미지인 것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부적합한 판독 대상 이미지는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상의 각 장치를 통해 여러 단계로 필터링되도록 하여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판독 수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판독 수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독 수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 장치(220)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의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판독 수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판독 수행 시스템은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20), 및 판독 화면 출력 장치(30)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으로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20)은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 이미지 분석 장치(220), 및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동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 이미지 분석 장치(220), 및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 판독 화면 출력 장치(30) 중 적어도 하나는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생성 장치(40)는 촬영부를 구비하여 환자의 신체를 촬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부터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가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 전송되면,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 각각의 생성 시점을 비교하여 이미지의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면 부적합 상태 정보를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전송하고, 판단 결과 적합하다고 판단하면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를 이미지 분석 장치(220) 및/또는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분석 장치(220)가 이미지를 이용해 판독 결과값을 출력하면,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는 판독 결과값과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의뢰 요청 정보를 이용해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 여부를 다시 판단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특히,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위 과정을 통해 판독 의뢰 대상 데이터의 정확성을 담보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는 안과에 구비된 안저 촬영 기기를 내과에 배치하여, 내과에서 안저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안과에 판독 의뢰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안과를 굳이 가지 않고 내과만을 방문해서도 안과 전문의 협진을 통해 질병을 추적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특히, 대학 병원의 협진 시스템의 경우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예상 질병에 대해 추적 관찰하는 경우 보다 유익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빈혈을 추적 관찰하기 위해 내과에서 매번 채혈할 필요 없이 주기적으로 망막 사진을 찍어 안과 전문의를 통해 확인받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조기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때, 안과 전문의에게 전송된 판독 의뢰 대상 데이터가 해당 환자에 대한 데이터인 것이 정확한 것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경우, 이에 대한 정확성을 담보하고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20)을 통해 판독 의뢰 대상 데이터에 대한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다른 환자의 데이터가 판독 의뢰 대상 데이터로 잘못 의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20)의 제어를 통해 판독자인 안과 전문의는 안심하고 판독 의뢰 대상 데이터에 대한 판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로 의료 서비스를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공 기관에서의 문서 발급 서비스 등 판독 의뢰 대상 객체의 정확성을 담보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서비스에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판독 의뢰 대상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판독수행 제어 시스템(20)의 동작을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판독 수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뢰자는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에 의뢰 요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 실시예에 따른 의뢰 요청 정보는 환자 정보, 의사 코멘트, 의뢰 범위, 의뢰 대상 병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정보는 환자 ID, 이름, 생년월일, 성별, 나이 등의 개인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의뢰 범위는 협진인지 여부, 예측되는 관련 병명에 대한 정보, 종합 건강 검진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의뢰자가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에 의뢰 요청 정보를 입력 시, 이에 대응하는 의뢰 번호와 의뢰 일시가 자동 생성될 수 있다.
이어서, 이미지 생성 장치(40)를 이용해 촬영된 이미지가 생성되면(s2), 해당 이미지는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입력될 수 있다(s3).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된 이미지는 별도의 저장매체(예>USB)를 통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입력되거나, 이미지 생성 장치(40)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환자의 신체를 촬영하여 이미지가 생성되면 촬영 시점 및/또는 생성 시점에 대한 정보도 함께 생성되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고,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는 해당 이미지가 입력된 시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는 입력된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를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s4).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부터 의뢰 요청 정보와 이미지를 수신하여,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과 이미지의 생성 시점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
실시예에 따르면,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 및/또는 이미지의 생성 시점은 년, 월, 일, 분, 초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까지 상세하게 기록되어 비교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가 상기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이를 상기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 부적합 상태 정보를 상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s6-1).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전에 생성된 이미지를 해당 환자가 아닌 다른 환자에 의한 의뢰 요청 정보이거나 해당 환자의 현 시점에서의 의뢰 요청 정보가 아닌 예전에 생성된 정보 등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이미지가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해당 이미지가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하면, 이러한 상태 정보를 알림의 형태로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의뢰자가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화면 상의 업로드 창(1-1)을 통해 이미지(1-2)를 드래그하여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에 업로드 하려고 하는 상황에서,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의 각 생성 시점의 비교를 통해 이미지가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이미지가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절하거나 원격 판독 수행을 거절하는 형태의 상태 정보를 알림의 형태로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를 통해 의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알림은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거나, 이미지가 업로드 창에 삽입되지 않고 튕겨져 나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 이외에도 판독 수행이 불가함을 알리는 모든 형태의 알림 정보이면 본 발명에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가 상기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장치(220)로 전송하고, 상기 의뢰 요청 정보를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s6-2)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상기 이미지가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후에 생성되더라도 의뢰 요청 정보 생성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만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뢰 요청 정보 생성 시점으로부터 1분 내에 생성된 이미지인 경우에만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이미지인 것으로 결정하고, 1분이 경과하여 생성된 이미지인 경우에는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이면, 해당 환자가 아닌 다른 환자를 촬영한 이미지가 생성된 것으로 간주하여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시간 정보는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40)의 식별 정보 및/또는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의 위치 정보를 더 참조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생성 장치(40)의 고유 기기 번호를 함께 참조하여 해당 이미지가 해당 이미지 생성 장치(40)에서 생성된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참조하여 해당 이미지가 허가된 병원에서 생성된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상기 의뢰 요청 정보에 포함된 판독 대상자의 성별 및 나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이미지로부터 획득되는 성별 및 나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의뢰 요청 정보 생성 시점 이후에 이미지가 생성된 것이더라도, 판독 대상자의 성별 및 나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지 않으면, 이는 판독 대상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성별이나 나이 정보는 복잡한 분석 과정 없이 바로 식별될 수 있는 정확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용이하게 해당 식별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이미지의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이미지 별 기준이 되는 성별 및/또는 나이 정보를 미리 가이드화하여 DB로 기록해두고, 특정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DB를 참조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응될 수 있는 성별 및/또는 나이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이미지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뢰 요청 정보에 남자 환자로 기재되어 있는데, 자궁 이미지가 입력되면, 이는 부적합한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생성 시점이 의뢰 요청 정보 생성 시점 이후임을 만족하더라도, 상기 요소들을 더 체크하여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해당 이미지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장치(220)로 전송하고, 상기 의뢰 요청 정보를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뢰 요청 정보 전체는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로 바로 전송하면서,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장치(220)로 별도로 전송해 인공 지능을 이용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인공 지능을 통한 분석 처리를 분산하여 수행할 있고, 이로서, 보다 빠른 처리가 가능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가 판독한 결과 이미지가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더라도,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부터 별도의 판독 의뢰 명령을 전송받은 경우에만 상기 전송 과정(s6-2)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가 판독한 결과 이미지가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4-1)를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전송하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는 해당 정보를 UI 화면을 통해 출력하여 의뢰자에게 알리고, 의뢰자에 의해 해당 UI 화면 상의 판독 의뢰 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는 판독 의뢰 명령을 생성하여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 전송하여 상기 전송 과정(s6-2)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미지 분석 장치(220)는,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모델로부터 판독 결과값을 획득할 수 있다(s7).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분석 장치(220)는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예> 성별, 나이)만을 참조해도 이미지를 분석하여 판독 결과값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분석 장치(220)에 의한 이미지 분석 및 판독 결과값 획득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이미지 분석 장치(220)는 출력한 판독 결과값을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s8).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는 전체 의뢰 요청 정보를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부터 수신하고, 판독 결과값을 이미지 분석 장치(220)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전체 의뢰 요청 정보와 상기 판독 결과값을 비교하여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s9).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는 판독 결과값이 가리키는 특정 병명과 의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의사 코멘트가 가리키는 특정 병명을 서로 비교하고, 이들이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하면 해당 이미지는 판독 대상자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하여 의뢰 요청 정보와 이미지를 판독 화면 출력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s10-1).
참고로, 여기서 이미지는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또는 이미지 분석 장치(22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해당 판독 대상자에 매칭되는 판독자를 찾아 판독 대상자별로 판독자를 배정할 수 있다.
그러면, 판독 화면 출력 장치(30)는 판독자를 통해 해당 이미지에 대한 판독 수행 결과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판독 수행 결과를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이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해당 이미지는 판독 대상자에 대한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판독 수행 부적합 상태 정보를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전송함으로써 의뢰자에게 이미지 재 전송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s10-2).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수행 부적합 상태 정보를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에 의해 부적합한 판독 대상 이미지가 1차적으로 필터링되고, 다시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에 의해 부적합한 판독 대상 이미지가 2차적으로 필터링되도록 함으로써,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필터링 정확도와 신뢰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독 수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각 단계(s11 내지 s101)는 도2의 각 단계(s1 내지 s10)가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과 이미지의 생성 시점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가 상기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의뢰 요청 정보와 상기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s61-2).
즉, 도 2에서는 이미지 분석 장치(220)에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만을 전송하였으나, 도 3과 같이 이미지 분석 장치(220)에 이미지와 함께 전체 의뢰 요청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미지 분석 장치(220)는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전체 의뢰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일부와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모델로부터 판독 결과값을 획득할 수 있다(s71).
그리고, 이미지 분석 장치(220)는 출력한 판독 결과값과 전체 의뢰 요청 정보를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s81).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는 이미지 분석 장치(220)로부터 수신한 판독 결과값과 전체 의뢰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이미지의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s91).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는 프로세서(1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의뢰자로부터 의뢰 요청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의뢰 요청 정보는 환자 정보, 의사 코멘트, 의뢰 범위, 의뢰 대상 병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의뢰 요청 정보를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가 이미지 생성 장치(4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으면, 프로세서(110)는 이미지를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의뢰자로부터 이미지 전송 요청을 입력받아 이미지를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뢰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화면 상의 업로드 창을 통해 이미지를 드래그하는 방식을 통해 이미지 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이미지를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가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의 각 생성 시점의 비교를 통해 이미지가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절하다고 판단한 경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는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부터 원격 판독 수행을 거절하는 형태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화면을 통해 의뢰자에게 알림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는 프로세서(2110) 및 통신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20)는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와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와 이미지 분석 장치(220), 및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와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120)는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부터 의뢰 요청 정보와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0)는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과 이미지의 생성 시점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가 상기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이를 상기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 부적합 상태 정보를 상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21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가 상기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장치(220)로 전송하고, 상기 의뢰 요청 정보를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 장치(220)의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 장치(220)는 프로세서(2210) 및 메모리(22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20)는 이미지 분석 장치(22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련된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0)는 메모리(2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미지 분석 장치(2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10)는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부터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를 수신하여 이미지 분석 모델로부터 판독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10)는 신경망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이미지 분석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한 이미지 분석 모델을 이용해 판독 결과값을 출력하는 추론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2210)는 병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해당 병변 이미지는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나 기타 외부 기기로부터 획득되어 미리 준비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2210)는 병변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예> 환자의 성별, 나이 등)를 연계하여 데이터 셋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0)는 생성한 데이터 셋트를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 가능하도록 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자르기(crop), 평행 이동 하기(shift), 뒤집기(flipping), 색상 조정 등의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0)는 전처리된 데이터 셋트를 미리 준비된 신경망에 입력시키고, 병변 판독 결과 값을 신경망으로부터 출력시키는 기계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이미지 분석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처리된 데이터 셋트를 입력으로 하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과, 합성곱 신경망의 출력과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를 입력으로 하는 완전 연결 심층 신경망(Fully Connected Neural Networks)에 대한 기계 학습을 통해 이미지 분석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처리된 데이터 셋트를 합성곱 신경망이 입력받아 해당 병변 이미지를 분석한 특징 패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합성곱 신경망에서 출력된 특징 패턴 정보는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함께 완전 연결 심층 신경망에 입력되어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이미지 분석 모델이 구축될 수 있다.
합성곱 신경망은 병변 이미지로부터 커널을 이용해 특징 패턴 정보를 나타내는 피쳐맵을 출력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병변 이미지에 대한 풀링과 드롭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처리된 데이터 셋트를 이용해 상기 신경망들을 통해 출력된 결과와 트레이닝 데이터를 상기 신경망들을 통해 출력한 결과와의 오차를 비교하여 신경망의 가중치를 점차적으로 변화시켜주는 역전파(backpropagation) 과정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즉, 특징 패턴 정보와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는 완전 연결 심층 신경망에 입력되어 상기 학습을 통해 해당 병변에 대한 분류 결과 정보인 판독 결과값이 출력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을 참조하면,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해 안과 병변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로부터 커널을 이용해 특징 패턴 정보를 출력하고, 특징 패턴 정보와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가 함께 완전 연결 심층 신경망에 입력되어 당뇨망박병증, 황반변성, 백내장 중 해당 병변에 대응하는 판독 결과값이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경우에 있어서는, 프로세서(2210)는 기 준비된 병변 이미지와 전체 의뢰 요청 정보를 데이터 셋트로 합성곱 신경망에 입력해 특징 패턴 정보를 출력하고, 특징 패턴 정보와 전체 의뢰 요청 정보가 함께 완전 연결 심층 신경망에 입력되어 해당 병변에 대한 분류 결과 정보인 판독 결과값을 출력하는 학습을 수행하여 이미지 분석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분석 장치(220)는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병변 이미지와 전체 의뢰 요청 정보로부터 이미지 분석 모델을 통해 판독 결과값을 출력하는 추론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신경망으로 CNN과 FCNN을 이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DNN(Deep Neural Network)이나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신경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10)는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부터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를 수신하면, 구축한 이미지 분석 모델을 이용해 추론 과정을 수행하여 판독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와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가 신규 데이터 셋트로 생성되고, 신규 데이터 셋트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한 후, 구축한 이미지 분석 모델을 이용해 판독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10)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이미지 분석 장치(22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PU(Neu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거나,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VPU(Visual Processing Unit))의 일부로 제작되어 이미지 분석 장치(220)에 탑재될 수도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따르면,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는 프로세서(2310) 및 통신부(23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20)는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와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와 이미지 분석 장치(220),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와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 판독 수행 관리 장치(230)와 판독 화면 출력 장치(3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320)는 의뢰 요청 정보를 판독 의뢰 관리 장치(210)로부터 수신하고, 판독 결과값을 이미지 분석 장치(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310)는 의뢰 요청 정보와 상기 판독 결과값을 비교하여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310)는 판독 결과값이 가리키는 특정 병명과 의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의사 코멘트가 가리키는 특정 병명을 서로 비교하고, 이들이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하면 해당 이미지는 판독 대상자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하여 의뢰 요청 정보와 이미지를 판독 화면 출력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2310)는 이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해당 이미지는 판독 대상자에 대한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판독 수행 부적합 상태 정보를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10)로 전송함으로써 의뢰자에게 이미지 재 전송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 형태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의 생성 시점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결정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는 환자 정보, 의사 코멘트, 의뢰 범위, 및 의뢰 대상 병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는 환자의 신체가 촬영되어 획득된 이미지인,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동작 수행 단계는,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 부적합 상태 정보를 상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에 의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동작 수행 단계는,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를 판독 수행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에 의해,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에 의해,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모델로부터 판독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행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를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독 수행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판독 결과 정보를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수행 관리 장치에 의해,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상기 판독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하여 수행되는,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7. 삭제
  8.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의 생성 시점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판독 의뢰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는 환자 정보, 의사 코멘트, 의뢰 범위, 및 의뢰 대상 병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는 환자의 신체가 촬영되어 획득된 이미지인,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 부적합 상태 정보를 상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 장치; 및
    상기 원격 판독의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판독 수행 관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가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보다 이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가 상기 원격 판독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를 상기 판독 수행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는,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 중 일부와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모델로부터 판독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행 관리 장치는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를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판독 결과 정보를 상기 이미지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상기 판독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다시 결정하는,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의뢰 관리 장치는,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는,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14. 삭제
  15. 판독 의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와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의 생성 시점과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의 생성 시점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판독 의뢰 요청 정보는 환자 정보, 의사 코멘트, 의뢰 범위, 및 의뢰 대상 병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는 환자의 신체가 촬영되어 획득된 이미지인,
    판독 의뢰 관리 장치.


KR1020210045757A 2021-04-08 2021-04-08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및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KR10253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57A KR102530376B1 (ko) 2021-04-08 2021-04-08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및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57A KR102530376B1 (ko) 2021-04-08 2021-04-08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및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99A KR20220139599A (ko) 2022-10-17
KR102530376B1 true KR102530376B1 (ko) 2023-05-10

Family

ID=8380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757A KR102530376B1 (ko) 2021-04-08 2021-04-08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및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3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68B1 (ko) * 2012-06-22 2015-04-15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809819B1 (ko) 2016-02-23 2017-12-18 정종율 혀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설진 방법 및 시스템
KR102100339B1 (ko) * 2018-05-21 2020-04-22 김지훈 중고거래 사기방지를 위한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176043B1 (ko) * 2018-05-31 2020-11-06 주식회사 에스원 영상 정보를 이용한 감염의심자의 동선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선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99A (ko)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70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aided triage
US11276497B2 (en) Diagnosis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53874B2 (en) Dental image feature detection
KR102243830B1 (ko) 통합 의료 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201633A1 (zh) 基于眼底图像的糖尿病视网膜病变识别系统
US114882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aided triage
US10013528B2 (en) Medical image storing method, information exchanging method, and apparatuses
JP6912840B1 (ja) 情報処理方法、診断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grawal et al. Assistive framework for automatic detection of all the zones in retinopathy of prematurity using deep learning
US20220309665A1 (en) Processing fundus images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to generate blood-related predictions
KR102530376B1 (ko)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방법 및 원격 판독 대상 이미지에 대한 원격 판독 수행 제어 시스템
AU2022200340B2 (en) Digital image screening and/or diagnos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116635889A (zh) 从外部眼睛前部图像检测疾病的机器学习
JP706223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176561A (ja) プログラム、モデル生成方法、医療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200135142A (ko) 의료 영상의 메타데이터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210144253A (ko) 예측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132161A (ko) 건강검진을 위한 인공지능시스템의 학습방법, 인공지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검진정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