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313B1 -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313B1
KR102530313B1 KR1020210068637A KR20210068637A KR102530313B1 KR 102530313 B1 KR102530313 B1 KR 102530313B1 KR 1020210068637 A KR1020210068637 A KR 1020210068637A KR 20210068637 A KR20210068637 A KR 20210068637A KR 102530313 B1 KR102530313 B1 KR 10253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device
knee
value
user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417A (ko
Inventor
윤형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비
Priority to KR102021006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3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2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3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programm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using a remote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무릎치료기는, 상기 무릎치료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발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발열부; 및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위험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 패턴 및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치료 패턴에 따라 무릎치료기가 자율실행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학습 기능에 기초하여 결정된 치료 패턴에 따라 수동 조작없이도 증상을 호전시키도록 자율동작할 수 있는 무릎치료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KNEE THERAPEUTIC DEVICE OPERATING CUSTOMIZEDLY AND AUTONOMOUSLY AND ITS OPERATING METHOD}
본 개시 내용은 무릎치료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릎치료기는 무릎을 치료기에 걸치거나 또는 무릎에 착용되는 형태로 단순히 전원이 들어오면 핫팩, 저주파, 고주파, 적외선 등의 방식으로 열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순한 온/오프(ON/OFF) 동작이 아니라 추가 기능을 가지도록 구현된 무릎치료기의 경우에도 동작시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강도조정을 할 수 있는 정도의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무릎치료기는 설정된 기능 및 수동 조작에 따라 동작할 뿐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동작할 수 있는 치료기는 없는 실정이다. 더 나아가, 무릎치료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여 수동 조작없이도 자율적으로 증상이 호전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치료기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78377호(2015.12.17)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 내용은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가 제공된다. 상기 무릎치료기는, 상기 무릎치료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발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발열부; 및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위험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 횟수, 동작 온도, 동작 시간,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의 변화 정보, 상기 위험 상태 알림 발생 횟수를 포함하는 사용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시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만족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결정하며, 상기 무릎치료기가 상기 치료 패턴에 따라 자율실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초기 치료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초기 치료 패턴에 따른 상기 무릎치료기의 자율실행에 대한 상기 만족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치료 패턴 및 상기 만족도에 기초하여 상기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상태 알림이 발생한 횟수 및 상기 무릎치료기의 동작 동안 상기 동작 온도 및 상기 동작 시간이 변동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 호전 또는 악화를 결정하고, 결정된 증상 호전 또는 증상 악화에 따라 상기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혈류량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혈류량 감지 센서는 상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의 혈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혈류량의 초기 측정값과 상기 무릎치료기의 동작실행중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혈류량 측정값을 비교하며, 상기 혈류량 측정값이 상기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 이상으로 감소되는 조건을 상기 제 1 조건으로 설정하며, 상기 혈류량 측정값이 상기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되는 조건을 상기 제 2 조건으로 설정하며, 측정된 혈류 속도가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혈류량 측정값이 상기 초기 측정값으로부터 일정 기간이상 계속 증가 또는 감소하는 조건을 상기 위험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산소포화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산소포화도 감지 센서는 상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의 산호포화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포화도의 초기 측정값과 상기 무릎치료기의 동작실행중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산소포화도 측정값을 비교하며,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동작 온도 및 상기 동작 시간을 유지하며,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값이 상기 정상 범위의 하한치보다 낮은 제 1 범위에 있는 경우를 상기 제 1 조건으로 설정하고,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값이 상기 제 1 범위의 하한치보다 낮아지거나 또는 상기 초기 측정값으로부터 일정 기간이상 계속 낮아지는 조건을 상기 위험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맥박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맥박 감지 센서는 상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의 맥박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박의 초기 측정값과 상기 무릎치료기의 동작실행중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맥박 측정값을 비교하며, 상기 맥박 측정값이 상기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 이상으로 감소하는 조건을 상기 제 1 조건으로 설정하며, 상기 맥박 측정값이 상기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되는 조건을 상기 제 2 조건으로 설정하며, 상기 맥박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하한치 미만이 되는 경우 또는 상기 맥박 측정값의 변동치 절대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상기 위험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릎치료기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릎치료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치 및 상기 치료 패턴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릎치료기의 원격 실행 기능 및 상기 치료 패턴의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위험 상태 알림을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된 상기 위험 상태 알림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중계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릎치료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센서부로부터 무릎치료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기능을 수행하는 발열부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의 무릎치료기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시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만족도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치료 패턴에 따라 상기 무릎치료기를 자율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위험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패턴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 횟수, 동작 온도, 동작 시간,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의 변화 정보, 상기 위험 상태 알림 발생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릎치료기의 개인맞춤형 자율실행을 위한 시스템에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무릎치료기; 및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릎치료기와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릎치료기는,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기능을 수행하는 발열부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무릎치료기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시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만족도 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릎치료기는,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위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릎치료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릎치료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무릎치료기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치료 패턴에 따라 상기 무릎치료기가 자율실행되도록 상기 치료 패턴을 상기 무릎치료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패턴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 횟수, 동작 온도, 동작 시간,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의 변화 정보, 상기 위험 상태 알림 발생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학습 기능에 기초하여 결정된 치료 패턴에 따라 수동 조작없이도 증상을 호전시키도록 자율동작할 수 있는 무릎치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무릎치료기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센싱된 생체 정보 및 치료 패턴 정보를 제공받고, 건강상 위험 상태 알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원격으로 무릎치료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치료기의 개인맞춤형 자율실행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치료기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치료기의 제어부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치료기의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은 폭넓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서 제시되는 하나의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이러한 양상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더하여 또는 이들 양상들이 아닌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치료기의 개인맞춤형 자율실행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100)은 무릎치료기(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릎치료기(100)는 사용자의 무릎 부위에 착용될 수 있는 부착 구조 및 무릎치료를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구조는 예시적으로 무릎을 감싸면서 끝단에 고정 부착을 위한 벨크로가 반영된 밴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적으로 알려진 다른 형태의 부착 구조 또는 형상도 적용될 수 있다. 무릎치료기(100)의 무릎 치료를 위한 디바이스는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를 들어, 혈류량, 산소포화도, 맥박 등)를 측정하고, 온열과 같은 치료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결정된 치료 패턴에 따른 자율실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무릎치료기(100)의 세부 동작 및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300)는 셀룰러폰,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무릎치료기(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3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 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기(200 및 300)에는 무릎치료기(100)와의 연동된 기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즉, 앱(App))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구글플레이(Google Play) 또는 앱 스토어(App Store)와 같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통해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무릎치료기(100)와 관련된 지정된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무릎치료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와 연관된 사람(예를 들어,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헬스케어 관리 직원)의 단말기일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은 무릎치료기(100)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무릎치료기(10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무릎치료기(10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알림 등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한 무릎치료기(100)의 알림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기(300)로 중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릎치료기(100)의 동작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300)로 통보될 수 있도록 하여, 원격 제어 및 헬스케어와 연동되는 무릎치료기(1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치료기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치료기(100)는 제어부(110), 메모리(120), 센서부(130), 디스플레이(140), 입력부(150), 무선 통신부(160), 발열부(170), 스피커(180), 전원부(190) 및 배터리(1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무릎치료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메모리(120)는 무릎치료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무릎치료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혈류량 감지 센서(131), 산소포화도 감지 센서(132) 및 맥박 감지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무릎치료기(100)의 센서부(130)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 측정치, 동작 온도, 시간, 동작 상태, 알림 정보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키패드, 버튼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140)는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터치방식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입력부(150)는 무릎치료기(100)의 구성에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6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무선 통신부(160)는 BLE(Bluetooth Low Energy)와 같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발열부(170)는 온열 치료(예를 들어, 40~65도)와 같은 무릎 치료를 위한 발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발열부(170)는 근적외선을 발산하는 LED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치료 방식에 따라 초음파, 저주파 또는 고주파를 발산하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스피커(180)는 소리 또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치료 모드 선택음, 위험 상태 알림음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90)는 무릎치료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내장된 배터리(191)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치료 패턴을 결정하여 이러한 치료 패턴에 따라 무릎치료기(100)가 자율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무릎치료기(100)는 자율실행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율실행모드로 설정된 무릎치료기(100)는 전원이 온(ON)되면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 결정된 치료 패턴에 따라 치료 동작을 자율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치료기의 제어부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치료기(100)의 제어부(110)는 생체 정보 수신부(310), 알림 제공부(320), 동작 제어부(330), 치료 패턴 결정부(340) 및 자율실행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생체 정보 수신부(310)는 센서부(13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30)는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0초, 30초, 1분 등)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를 들어, 혈류량, 산호포화도, 맥박)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혈류량 감지 센서(131), 산소포화도 감지 센서(132) 및 맥박 감지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의 동작 제어부(330)는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변경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신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부(170)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0)는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1 조건을 만족하면 발열부(170)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어, 1도, 1.5도, 2도 등)만큼 증가시키고 발열부(170)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어, 1분, 5분, 10분 등)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0)는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면 발열부(170)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어, 1도, 1.5도, 2도 등)만큼 감소시키고 발열부(170)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어, 1분, 5분, 10분 등)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제어부(330)는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위험 조건을 만족하면 알림 제공부(32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혈류량 감지 센서(131)는 생체 정보로서 사용자의 혈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0)는 혈류량의 초기 측정값과 무릎치료기(100)의 동작실행중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0초, 30초, 1분 등) 측정되는 혈류량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혈류량의 변화량이 미세한 경우 동작 제어부(330)는 무릎치료기(100)의 설정된 발열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유지시킬 수 있다. 측정된 혈류량이 초기 측정값보다 줄어드는 경우에는 혈압이 낮아지거나 또는 추위를 느끼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동작 제어부(330)는 혈류량 측정값이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어, 5 ml/s, 10 ml/s, 15 ml/s 등) 이상으로 감소되는 조건을 발열부(170)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제 1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측정된 혈류량이 초기 측정값보다 늘어나는 경우에는 혈압이 높아지거나 더위를 느끼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동작 제어부(330)는 혈류량 측정값이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어, 5 ml/s, 10 ml/s, 15 ml/s 등) 이상으로 증가되는 조건을 발열부(170)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제 2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측정된 혈류 속도가 의학적으로 알려져 있는 일정 속도를 넘어서거나 또는 혈류량이 계속 늘어나거나 또는 감소되는 상태이면 무릎치료기(100) 사용자의 건강이 위험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동작 제어부(330)는 측정된 혈류 속도가 설정된 속도(예를 들어, 20 cm/s)를 초과하거나 또는 혈류량 측정값이 초기 측정값으로부터 일정 기간(예를 들어, 3분, 5분, 10분 등)이상 계속 증가 또는 감소하는 조건을 상기 위험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조건으로 판단된 경우, 알림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혈류량과 관련하여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산호포화도 감지 센서(132)는 생체 정보로서 사용자의 산호포화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0)는 산소포화도의 초기 측정값과 무릎치료기(100)의 동작실행중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0초, 30초, 1분 등) 측정되는 산소포화도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예를 들어, 95%~99%)에 있는 경우, 동작 제어부(330)는 무릎치료기(100)의 설정된 발열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0)는 산소포화도 측정값이 상기 정상 범위의 하한치보다 낮은 제 1 범위(예를 들어, 91%~94%)에 있는 경우를 발열부(170)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제 1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0)는 산소포화도 측정값이 상기 제 1 범위의 하한치보다 낮아지거나(예를 들어, 90% 이하) 또는 초기 측정값으로부터 일정 기간(예를 들어, 3분, 5분, 10분 등)이상 계속 낮아지는 조건을 상기 위험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조건으로 판단된 경우, 알림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산호포화도와 관련하여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맥박 감지 센서(133)는 생체 정보로서 사용자의 맥박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0)는 맥박의 초기 측정값과 무릎치료기(100)의 동작실행중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0초, 30초, 1분 등) 측정되는 맥박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맥박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예를 들어, 65~85회/분)에 있는 경우, 동작 제어부(330)는 무릎치료기(100)의 설정된 발열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0)는 맥박 측정값이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어, 분당 10회, 15회, 20회 등) 이상으로 감소하는 조건을 발열부(170)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제 1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0)는 맥박 측정값이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어, 분당 10회, 15회, 20회 등) 이상으로 증가되는 조건을 발열부(170)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제 2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0)는 맥박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치(예를 들어, 성인 분당 100회, 노인 분당 80회 등)를 초과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하한치(예를 들어, 성인 분당 60회, 노인 분당 50회 등) 미만이 되는 경우 또는 맥박 측정값의 변동치 절대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예를 들어, 분당 30회, 40회 등)을 초과하는 경우를 상기 위험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조건으로 판단된 경우, 알림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맥박과 관련하여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인 혈류량, 산소포화도 및 맥박 중 2개 이상의 생체 정보에 대하여 위험 조건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 제어부(330)는 위험 정도가 더 높은 제 2 위험 조건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위험 조건으로 판단된 경우, 알림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더 높은 위험 상태임을 표시하는 제 2 위험 상태 알림(예를 들어, 적색 알림 메시지로 표시, 팝업과 같은 강조 효과 또는 진찰을 받기 위한 병원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를 함께 제공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무릎치료기(100) 사용시마다 사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만족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만족도 값은 0~10점 사이의 정수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범위(예를 들어, -5~5점)로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평가로부터 획득되는 만족도 값은 사용 데이터를 학습시키는데 있어 특정 사용 패턴에 대한 평가 점수 또는 가중치로서 반영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복수번의 사용에 대한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 패턴은 사용자에 의한 무릎치료기(100)의 사용 횟수, 동작 온도, 동작 시간,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의 변화 정보, 위험 상태 알림 발생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의 변화 정보는 설정된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예를 들어, 동작 온도 50도 및 동작 시간 30분)에 따라 무릎치료기(100)가 동작하면서 센서부(130)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에 따라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이 변경된 횟수, 동작 온도 및 동작 온도를 증가시킨 변화인지 감소시킨 변화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결정된 사용 패턴 및 획득된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결정할 수 있으며, 자율실행부(350)는 자율실행모드에 있는 무릎치료기(100)가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 결정된 치료 패턴에 따라 치료 동작을 자율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무릎치료기(100)의 추가적인 사용들의 사용 패턴 및 만족도 값은 계속하여 제어부(110)에 의해 수집될 수 있으며,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주기적으로 추가된 사용 패턴 및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보다 잘 맞춤화된 자율실행을 위한 치료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패턴은 사용자에게 선호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사용자의 질환(예를 들어, 관절염) 증상을 호전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동작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동작 구성 정보는 동작 온도(예를 들어, 52도) 정보, 동작 시간(예를 들어, 30분) 정보, 동작 시간 중 지정된 시점(예를 들어, 시작후 10분 시점)에서 동작 온도를 증가/감소(예를 들어, 2도 증가/감소)시켜 지정된 기간(예를 들어, 5분) 동안 유지하는 스케줄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각 질환(예를 들어, 관절염, 무릎연골 손상, 무릎 인대 손상 등)의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도록 검증된 무릎치료기 동작 정보를 기준 데이터로 하여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을 통해 사용 패턴 및 만족도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치료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결정된 치료 패턴에 대하여 추가적인 사용 패턴 및 만족도 값에 기초하여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통해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기초하여 초기 치료 패턴을 먼저 결정하고, 자율실행부(350)는 초기 치료 패턴에 따라 무릎치료기(100)가 자율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또한 자율실행시마다 해당 사용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만족도 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초기 치료 패턴 및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위험 상태 알림이 발생한 횟수 및 무릎치료기(100)의 동작 동안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이 변동된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증상 호전 또는 악화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증상 호전 또는 증상 악화에 따라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위험 상태 알림 횟수가 적을수록 그리고 생체 정보 측정치의 변동에 의한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 변동 횟수가 적을수록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안정적이며 증상 호전을 나타내는 사용 패턴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위험 상태 알림 횟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생체 정보 측정치의 변동에 의한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 변동 횟수가 많을수록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불안정적이며 증상 악화를 나타내는 사용 패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치료 패턴 결정부(340)는 사용 데이터 학습시 증상 호전을 나타내는 사용 패턴의 가중치를 높이고 증상 악화를 나타내는 사용 패턴의 가중치를 낮춤으로써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어부(110)는 무릎제어기(1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센서부(130)의 생체 정보 측정치, 사용 데이터 및 치료 패턴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무릎치료기(100)의 원격 실행 기능 및 치료 패턴의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편집 기능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결정된 치료 패턴에 동작을 추가하거나(예를 들어, 온도 55도에서 동작하는 3분 구간을 치료 패턴에 추가) 또는 치료 패턴의 특정 구간의 설정을 변경(예를 들어, 온도 45도에서 동작하는 2분 구간을 온도 47도에서 동작하는 3분 구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치료 패턴을 결정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무릎치료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무릎치료기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패턴을 결정하고, 사용 패턴 및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치료 패턴에 따라 무릎치료기(100)가 자율실행되도록 상기 치료 패턴을 무릎치료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치료기의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러한 방법은 무릎치료기(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치료 패턴을 결정하여 무릎치료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무릎치료기(100)는 센서부(130)로부터 무릎치료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410). 무릎치료기(100)는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기능을 수행하는 발열부(170)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420). 단계 410 및 420은 복수회 반복수행되면서 사용자의 무릎치료기 사용 데이터 및 만족도 값이 수집될 수 있다(430). 무릎치료기(100)는 사용자의 무릎치료기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패턴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사용 패턴 및 만족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치료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440). 무릎치료기(440)는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 결정된 치료 패턴에 따라 자율실행될 수 있다(450). 또한, 결정된 치료 패턴은 단계 410 내지 440의 반복 수행에 따라 축적되는 학습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에 보다 잘 맞춤화된 치료 패턴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임의의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유닛(또는 부)",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릎치료기
110: 제어기
120: 메모리
130: 센서부
131: 혈류량 감지 센서
132: 산소포화도 감지 센서
133: 맥박 감지 센서
140: 디스플레이
150: 입력부
160: 무선 통신부
170: 발열부
180: 스피커
190: 전원부
191: 배터리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제 2 사용자 단말기

Claims (10)

  1.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로서,
    상기 무릎치료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발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발열부; 및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위험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 횟수, 동작 온도, 동작 시간,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의 변화 정보, 상기 위험 상태 알림 발생 횟수를 포함하는 사용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시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만족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결정하며, 상기 무릎치료기가 상기 치료 패턴에 따라 자율실행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초기 치료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초기 치료 패턴에 따른 상기 무릎치료기의 자율실행에 대한 상기 만족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치료 패턴 및 상기 만족도에 기초하여 상기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위험 상태 알림이 발생한 횟수 및 상기 무릎치료기의 동작 동안 상기 동작 온도 및 상기 동작 시간이 변동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 호전 또는 악화를 결정하고, 결정된 증상 호전 또는 증상 악화에 따라 상기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혈류량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혈류량 감지 센서는 상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의 혈류량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혈류량의 초기 측정값과 상기 무릎치료기의 동작실행중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혈류량 측정값을 비교하며, 상기 혈류량 측정값이 상기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 이상으로 감소되는 조건을 상기 제 1 조건으로 설정하며, 상기 혈류량 측정값이 상기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되는 조건을 상기 제 2 조건으로 설정하며, 측정된 혈류 속도가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혈류량 측정값이 상기 초기 측정값으로부터 일정 기간이상 계속 증가 또는 감소하는 조건을 상기 위험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산소포화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산소포화도 감지 센서는 상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의 산호포화도 값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포화도의 초기 측정값과 상기 무릎치료기의 동작실행중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산소포화도 측정값을 비교하며,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동작 온도 및 상기 동작 시간을 유지하며,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값이 상기 정상 범위의 하한치보다 낮은 제 1 범위에 있는 경우를 상기 제 1 조건으로 설정하고,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값이 상기 제 1 범위의 하한치보다 낮아지거나 또는 상기 초기 측정값으로부터 일정 기간이상 계속 낮아지는 조건을 상기 위험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맥박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맥박 감지 센서는 상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의 맥박 값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박의 초기 측정값과 상기 무릎치료기의 동작실행중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맥박 측정값을 비교하며, 상기 맥박 측정값이 상기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 이상으로 감소하는 조건을 상기 제 1 조건으로 설정하며, 상기 맥박 측정값이 상기 초기 측정값보다 미리 결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되는 조건을 상기 제 2 조건으로 설정하며, 상기 맥박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하한치 미만이 되는 경우 또는 상기 맥박 측정값의 변동치 절대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상기 위험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릎치료기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릎치료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치 및 상기 치료 패턴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릎치료기의 원격 실행 기능 및 상기 치료 패턴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위험 상태 알림을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된 상기 위험 상태 알림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중계하는,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9. 무릎치료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센서부로부터 무릎치료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기능을 수행하는 발열부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의 무릎치료기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시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만족도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치료 패턴에 따라 상기 무릎치료기를 자율실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위험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패턴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 횟수, 동작 온도, 동작 시간,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의 변화 정보, 상기 위험 상태 알림 발생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초기 치료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초기 치료 패턴에 따른 상기 무릎치료기의 자율실행에 대한 상기 만족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치료 패턴 및 상기 만족도에 기초하여 상기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상태 알림이 발생한 횟수 및 상기 무릎치료기의 동작 동안 상기 동작 온도 및 상기 동작 시간이 변동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 호전 또는 악화를 결정하고, 결정된 증상 호전 또는 증상 악화에 따라 상기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릎치료기의 동작 방법.
  10. 무릎치료기의 개인맞춤형 자율실행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무릎치료기; 및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릎치료기와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치료기는,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 기능을 수행하는 발열부의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무릎치료기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시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만족도 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릎치료기는,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열부의 동작 온도를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시간을 미리 결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며, 상기 생체 정보의 측정치가 위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위험 상태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릎치료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릎치료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무릎치료기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만족도에 기초하여 치료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치료 패턴에 따라 상기 무릎치료기가 자율실행되도록 상기 치료 패턴을 상기 무릎치료기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 패턴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무릎치료기의 사용 횟수, 동작 온도, 동작 시간, 동작 온도 및 동작 시간의 변화 정보, 상기 위험 상태 알림 발생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초기 치료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초기 치료 패턴에 따른 상기 무릎치료기의 자율실행에 대한 상기 만족도 값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치료 패턴 및 상기 만족도에 기초하여 상기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위험 상태 알림이 발생한 횟수 및 상기 무릎치료기의 동작 동안 상기 동작 온도 및 상기 동작 시간이 변동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 호전 또는 악화를 결정하고, 결정된 증상 호전 또는 증상 악화에 따라 상기 치료 패턴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무릎치료기의 개인맞춤형 자율실행을 위한 시스템.
KR1020210068637A 2021-05-27 2021-05-27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3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37A KR102530313B1 (ko) 2021-05-27 2021-05-27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37A KR102530313B1 (ko) 2021-05-27 2021-05-27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17A KR20220160417A (ko) 2022-12-06
KR102530313B1 true KR102530313B1 (ko) 2023-05-10

Family

ID=8440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637A KR102530313B1 (ko) 2021-05-27 2021-05-27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3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1292A (ja) 2009-07-03 2012-12-10 ヴェーゲナ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駆動型プロトコルを備えた熱処理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102164714B1 (ko) * 2018-05-28 2020-10-12 임기태 수술용 체온 유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377B1 (ko) 2014-07-18 2015-12-17 채성수 고주파 무릎 관절 치료기
KR101661239B1 (ko) * 2014-09-30 2016-09-30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무릎용 광, 냉, 온 찜질기
KR101898783B1 (ko) * 2016-11-10 2018-09-1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쌍방간 화상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고 의사소통을 통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마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1292A (ja) 2009-07-03 2012-12-10 ヴェーゲナ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駆動型プロトコルを備えた熱処理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102164714B1 (ko) * 2018-05-28 2020-10-12 임기태 수술용 체온 유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17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0245B2 (en) Urination prediction and monitoring
EP3127378B1 (en) Wearable apparatus and network for communication therewith
KR102403257B1 (ko) 홈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동작 방법
EP3064129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10771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疲労評価方法
KR20160107261A (ko) 스마트 착용형 디바이스들에 대한 신체 위치 최적화 및 바이오-신호 피드백
US201600299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biological age over time based upon heart rate variability using earphones with biometric sensors
WO2019077454A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PHYSICAL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OF A USER
US20150157278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903578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101986088B1 (ko)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90944B1 (ko) 원격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21858B1 (ko) 휴식 심박동 측정 방법
KR102530313B1 (ko) 개인맞춤형 자율실행 무릎치료기 및 이의 동작 방법
ES2869916T3 (es) Sistema para alertar a una persona
KR20180135750A (ko) 스마트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969901B (zh) 一种转速控制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设备
KR20140108452A (ko) 적응형 감성 추론 엔진 기술과 이에 기반한 서비스 모델
US20240066223A1 (en) Automatic Suspension and Resumption of Medicament Delivery
KR20170133087A (ko) 밴드형 스마트 체온계, 그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체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893435B2 (ja) 活動量測定装置、及び活動量測定システム
JP2021148361A (ja) 電子機器、スマートフォン、及びシステム
WO2018211963A1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4015338A1 (en) Location-aided glycemic control
JP2020141202A (ja) バイタルサイン反応式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バイタルサイン反応式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