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281B1 -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281B1
KR102530281B1 KR1020230025998A KR20230025998A KR102530281B1 KR 102530281 B1 KR102530281 B1 KR 102530281B1 KR 1020230025998 A KR1020230025998 A KR 1020230025998A KR 20230025998 A KR20230025998 A KR 20230025998A KR 102530281 B1 KR102530281 B1 KR 102530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sliding groove
virtual reality
circular slid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민
Original Assignee
윤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민 filed Critical 윤종민
Priority to KR1020230025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결과물을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고객의 인테리어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인테리어 결과 시뮬레이션 시스에 관한 것으로, 인테리어 시공을 요청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테리어 정보 또는 완성된 인테리어를 촬영한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테리어 결과물을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시뮬레이션하는 가상현실 구현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Interior virtual reality rea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결과물을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고객의 인테리어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택 및 사무실 등과 같이 일정한 주거공간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인들은 자신의 취향이나 주거공간의 특색에 따라 내부 인테리어를 개보수하는 리모델링을 통해 주거 환경을 개선한다.
이러한 리모델링을 통해 인테리어 설계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내 인테리어 또는 리모델링을 수행하는 업체에 의뢰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실내 인테리어 또는 리모델링을 수행하는 업체를 직접 선정해야 하므로, 업체 간의 시공 능력 및 비용에 대한 정확한 비교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의 방식은 인테리어 업체에서 인테리어 포트폴리오 및 사진을 고객에게 보여주거나, 인테리어 공간에 고객을 직접 데려가서 보여줌으로써, 고객에게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2D 자원인 인테리어 포트폴리오 및 사진을 고객에게 보여주기 때문에, 인테리어 디자인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인테리어 공간에 고객을 직접 데려가서 보여주기 때문에, 시간 및 공간 상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93933호 (2020.12.22.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테리어 결과물을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고객의 인테리어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은, 인테리어 시공을 요청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테리어 정보 또는 완성된 인테리어를 촬영한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테리어 결과물을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시뮬레이션하는 가상현실 구현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현실 구현 서버는, 완성된 인테리어에 따른 인테리어 시공 견적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인테리어 시공 견적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에 요구되는 면적, 인테리어 시공에 요구되는 자재의 종류, 인테리어 시공에 요구되는 인건비 및 인테리어 시공에 요구되는 자재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테리어 시공 정보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현실 구현 서버는, 인테리어가 시공될 장소의 실측 데이터를 입력 정보로 하여 인테리어가 시공될 장소의 각 위치 별로 시공될 개별 인테리어를 추천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인테리어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최적화된 맞춤형 인테리어를 분석한 뒤 인테리어 시공을 요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은, 완성된 상태의 인테리어를 가상현실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현실 구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가상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는, 사용자의 눈 부위를 덮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며, 상기 가상현실 구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가상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고글형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양측 어깨에 안착되어 상기 고글형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고글 거치대; 및 상기 고글 거치대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가상현실 구현 서버로 정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글 거치대는, 사용자의 외쪽 어깨에 안착되어 상기 고글형 디스플레이의 좌측을 지지하는 제1 거치 프레임;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에 안착되어 상기 고글형 디스플레이의 우측을 지지하는 제2 거치 프레임; 및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거치 프레임과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각 전단 및 후단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링형 레일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형 레일 프레임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거치 프레임과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각 전단 및 후단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외주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원형 슬라이딩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며,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가상현실 구현 서버로 정송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에 밀착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1 구동 롤러;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2 구동 롤러;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 상부의 전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개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외측면에 밀착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지지하는 한 쌍의 상단 지지휠; 및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 하부의 전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개구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외측면에 밀착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단 지지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상기 제2 구동 롤러에 의해 후단이 지지되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의 전단에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상기 한 쌍의 상단 지지휠과 상기 한 쌍의 하단 지지휠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블록; 상기 블록 안착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블록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블록 안착홈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블록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인테리어 결과물을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고객의 인테리어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고글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촬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10)은,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를 포함한다.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는, 인테리어 시공을 요청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테리어 정보 또는 완성된 인테리어를 촬영한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테리어 결과물을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시뮬레이션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는, 완성된 인테리어에 따른 인테리어 시공 견적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인테리어 시공 견적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에 요구되는 면적, 인테리어 시공에 요구되는 자재의 종류, 인테리어 시공에 요구되는 인건비 및 인테리어 시공에 요구되는 자재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테리어 시공 정보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는, 인테리어가 시공될 장소의 실측 데이터를 입력 정보로 하여 인테리어가 시공될 장소의 각 위치 별로 시공될 개별 인테리어를 추천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인테리어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최적화된 맞춤형 인테리어를 분석한 뒤 인테리어 시공을 요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10)은, 인테리어 결과물을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고객의 인테리어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20)은,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 및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300)는, 완성된 상태의 인테리어(P)를 가상현실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가상현실 이미지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는,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에 인테리어 결과물인 가상현실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합성시킨 뒤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20)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인테리어를 보다 객관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인테리어 비용의 지출을 막고 인테리어 결과물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300)는, 고글형 디스플레이(310), 고글 거치대(3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330)를 포함한다.
고글형 디스플레이(310)는, 고글 거치대(320)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M)의 눈 부위를 덮고 사용자(M)의 머리에 착용되며,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가상현실 이미지를 출력한다.
고글 거치대(320)는, 사용자(M)의 양측 어깨에 안착되어 고글형 디스플레이(310)를 지지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330)는, 고글 거치대(320)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M)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로 개별적으로 정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330)로부터 수신되는 각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M) 주변의 3D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300)는, 사용자(M)에게 보다 편안한 고글형 디스플레이(310)의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격한 움직임에도 고글형 디스플레이(3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M) 주변의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M) 주변의 영상을 보다 많이 촬영하여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고글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글 거치대(320)는, 제1 거치 프레임(321), 제2 거치 프레임(322) 및 링형 레일 프레임(323)을 포함한다.
제1 거치 프레임(321)은, 사용자(M)의 외쪽 어깨에 안착되어 고글형 디스플레이(310)의 좌측을 지지한다.
제2 거치 프레임(322)은, 사용자(M)의 오른쪽 어깨에 안착되어 고글형 디스플레이(310)의 우측을 지지한다.
링형 레일 프레임(323)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거치 프레임(321)과 제2 거치 프레임(322)의 각 전단 및 후단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M)의 주변을 따라 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글 거치대(320)는, 사용자(M)에게 보다 편안한 고글형 디스플레이(310)의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격한 움직임에도 고글형 디스플레이(3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링형 레일 프레임(323)은, 프레임 바디(3231) 및 원형 슬라이딩홈(3232)을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3231)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거치 프레임(321)과 제2 거치 프레임(322)의 각 전단 및 후단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M)의 주변을 따라 배치된다.
원형 슬라이딩홈(3232)은, 슬라이딩 블록(400)이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 바디(3231)의 외주면으로 개구부(3232a)를 형성하면서 프레임 바디(323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도 5는 도 4의 촬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330)는, 슬라이더(331), 거치 프레임(332) 및 촬영 모듈(333)을 포함한다.
슬라이더(331)는, 원형 슬라이딩홈(3232)에 연결 설치되어 원형 슬라이딩홈(323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더(331)는, 슬라이딩 블록(400), 제1 구동 롤러(3312), 제2 구동 롤러(3313), 한 쌍의 상단 지지휠(3314) 및 한 쌍의 하단 지지휠(331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400)은, 원형 슬라이딩홈(3232)에 안착되어 거치 프레임(332)을 지지하며, 거치 프레임(332)을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블록(400)은, 제1 블록(410), 블록 안착홈(420), 제2 블록(430), 제1 지지 스프링(440) 및 제2 지지 스프링(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410)은, 제1 구동 롤러(3312)와 제2 구동 롤러(3313)에 의해 후단이 지지되어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내측에 배치된다.
블록 안착홈(420)은, 제1 블록(410)의 전단에 형성된다.
제2 블록(430)은, 블록 안착홈(420)에 안착되며, 블록 안착홈(420)으로부터 노출되는 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단 지지휠(3314)과 한 쌍의 하단 지지휠(3315)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지지 스프링(440)은, 블록 안착홈(4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블록 안착홈(420)에 삽입되는 제2 블록(43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지지 스프링(450)은, 블록 안착홈(420)의 타측에 설치되어 블록 안착홈(420)에 삽입되는 제2 블록(430)의 타측을 지지한다.
제1 구동 롤러(3312)는,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슬라이딩 블록(400)의 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내측면에 밀착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원형 슬라이딩홈(3232)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400)을 이동시켜 준다.
제2 구동 롤러(3313)는,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슬라이딩 블록(400)의 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내측면에 밀착 안착되며, 제1 구동 롤러(3312)와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원형 슬라이딩홈(3232)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400)을 이동시켜 준다.
한 쌍의 상단 지지휠(3314)은, 개구부(3232a)가 형성되는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슬라이딩 블록(400) 상부의 전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개구부(3232a)의 상측에 위치하는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외측면에 밀착 안착되어 슬라이딩 블록(400)을 지지한다.
한 쌍의 하단 지지휠(3315)은,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슬라이딩 블록(400) 하부의 전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개구부(3232a)의 하측에 위치하는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외측면에 밀착 안착되어 슬라이딩 블록(400)을 지지한다.
거치 프레임(332)은, 슬라이더(331)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이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개구부(3232a)를 통해 프레임 바디(323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촬영 모듈(333)은, 원형 슬라이딩홈(3232)의 개구부(3232a)를 통해 프레임 바디(323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거치 프레임(332)의 전단에 설치되며, 사용자(M)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가상현실 구현 서버(100)로 정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촬영 장치(330)는 링형 레일 프레임(3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 주변을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형 레일 프레임(32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보다 선명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은,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100: 가상현실 구현 서버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체험 단말기

Claims (2)

  1. 인테리어 시공을 요청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테리어 정보 또는 완성된 인테리어를 촬영한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테리어 결과물을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시뮬레이션하는 가상현실 구현 서버; 및
    완성된 상태의 인테리어를 가상현실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현실 구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가상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 체험 단말기는,
    사용자의 눈 부위를 덮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며, 상기 가상현실 구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가상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고글형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양측 어깨에 안착되어 상기 고글형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고글 거치대; 및
    상기 고글 거치대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가상현실 구현 서버로 정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글 거치대는,
    사용자의 외쪽 어깨에 안착되어 상기 고글형 디스플레이의 좌측을 지지하는 제1 거치 프레임;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에 안착되어 상기 고글형 디스플레이의 우측을 지지하는 제2 거치 프레임; 및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거치 프레임과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각 전단 및 후단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링형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링형 레일 프레임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거치 프레임과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각 전단 및 후단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외주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원형 슬라이딩홈;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며,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가상현실 구현 서버로 정송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에 밀착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1 구동 롤러;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타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제1 구동 롤러와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2 구동 롤러;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 상부의 전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개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외측면에 밀착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지지하는 한 쌍의 상단 지지휠; 및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 하부의 전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개구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원형 슬라이딩홈의 외측면에 밀착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단 지지휠;을 포함하며,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2. 삭제
KR1020230025998A 2022-09-21 2023-02-27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KR10253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998A KR102530281B1 (ko) 2022-09-21 2023-02-27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84A KR102506320B1 (ko) 2022-09-21 2022-09-21 인테리어 결과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230025998A KR102530281B1 (ko) 2022-09-21 2023-02-27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084A Division KR102506320B1 (ko) 2022-09-21 2022-09-21 인테리어 결과 시뮬레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281B1 true KR102530281B1 (ko) 2023-05-08

Family

ID=8551053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084A KR102506320B1 (ko) 2022-09-21 2022-09-21 인테리어 결과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230025998A KR102530281B1 (ko) 2022-09-21 2023-02-27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KR1020230026020A KR102577064B1 (ko) 2022-09-21 2023-02-27 가상현실 기반의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084A KR102506320B1 (ko) 2022-09-21 2022-09-21 인테리어 결과 시뮬레이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020A KR102577064B1 (ko) 2022-09-21 2023-02-27 가상현실 기반의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063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312A (ko) * 2018-09-14 2020-03-24 서광훈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95664A (ko) * 2019-02-01 2020-08-11 (주)씨소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KR102193933B1 (ko) 2019-01-23 2020-12-22 엄기창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312A (ko) * 2018-09-14 2020-03-24 서광훈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93933B1 (ko) 2019-01-23 2020-12-22 엄기창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95664A (ko) * 2019-02-01 2020-08-11 (주)씨소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320B1 (ko) 2023-03-03
KR102577064B1 (ko)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786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JP666906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11308696B2 (en) Media compositor for computer-generated reality
JP7201869B1 (ja) 前の目線からのレンダリングされたコンテンツおよびレンダリングされなかったコンテンツを使用した新しいフレームの生成
US10403045B2 (en) Photorealistic augmented reality system
CN108885690A (zh) 用于产生头相关传递函数滤波器的布置
JP2020525912A (ja) デジタル画像を適応的にスティッチ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761763B (zh) 用于使用预先计算的光照构建增强现实环境的方法
KR20220125358A (ko) 인공 현실에서 물리적 환경의 실시간 시각화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매체
US11350113B2 (en) Gaze-driven recording of video
US20200316462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JP2014095809A (ja) 画像生成方法、画像表示方法、画像生成プログラム、画像生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90266802A1 (en) Display of Visual Data with a Virtual Reality Headset
US106854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eyewear on a user
US9161012B2 (en) Video compression using virtual skeleton
KR20180136891A (ko) 전방향 비디오에 관한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530281B1 (ko) 인테리어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
JP6166985B2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KR20220106076A (ko) 조밀한 깊이 맵의 재구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5382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rendered image data captur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KR101874084B1 (ko)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20190052868A1 (en) Wide viewing angle video processing system, wide viewing angle video transmitt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US11749018B1 (en) Eye enrollment for head-mounted enclosure
US11989404B1 (en) Time-based visualization of content anchored in time
TWI839578B (zh) 3d顯示系統與3d顯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