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621B1 - Fixing member for window frame and system for constructing window fram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ixing member for window frame and system for constructing window fram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621B1
KR102529621B1 KR1020210184650A KR20210184650A KR102529621B1 KR 102529621 B1 KR102529621 B1 KR 102529621B1 KR 1020210184650 A KR1020210184650 A KR 1020210184650A KR 20210184650 A KR20210184650 A KR 20210184650A KR 102529621 B1 KR102529621 B1 KR 10252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upport
wall
fixing memb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경아
Original Assignee
한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아 filed Critical 한경아
Priority to KR102021018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6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6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 E06B1/6076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of screw-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에 대하여 창호 프레임이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틀어짐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와 이를 사용하여 벽체에 창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and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between a wall and a window frame to fix the window frame to the wall without twisting in vertical and/or horizontal directions. It relates to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and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capable of stably fixing a window frame to a wall using the same.

Description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FIXING MEMBER FOR WINDOW FRAME AND SYSTEM FOR CONSTRUCTING WINDOW FRAME USING THE SAME}Window frame fixing member and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using the same {FIXING MEMBER FOR WINDOW FRAME AND SYSTEM FOR CONSTRUCTING WINDOW FRA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에 대하여 창호 프레임이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틀어짐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와 이를 사용하여 벽체에 창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and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between a wall and a window frame to fix the window frame to the wall without twisting in vertical and/or horizontal directions. It relates to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and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capable of stably fixing a window frame to a wall using the same.

건물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벽체에 창호 프레임을 설치한 다음 상기 창호 프레임에 창문을 설치하는 순서로 작업이 수행된다.In order to install windows in a building, work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first installing a window frame on a wall and then installing windows on the window frame.

이러한 작업은 일반적으로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각목 또는 벽돌 조각 등과 같은 고임목을 위치시켜 벽체에 대하여 창호 프레임의 수평을 맞추고 앵커 볼트 등과 같은 고정 수단을 통해 벽체와 창호 프레임을 고정한 후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이격된 일부 공간으로 시멘트, 실리콘 또는 발포 수지를 채워넣는 방식으로 수행된다(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56376호 참조).In general, this work is done by placing a chock such as a piece of wood or a piece of brick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to level the window frame with respect to the wall, fixing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through a fixing means such as an anchor bolt, and then connecting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It is performed by filling cement, silicone, or foamed resin into some space spaced apart from (refer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56376).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크기 및 형상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으며, 각양각색의 각목 또는 벽돌 조각 등과 같은 고임목을 사용했기 때문에 벽체에 대한 창호 프레임의 수평을 정확히 맞추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임목의 변형에 따라 창호 프레임의 수평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size and shape are not standardized, and it is not only difficult to accurately level the window frame with respect to the wall because it uses chocks such as various wooden blocks or pieces of bricks, but also chocks over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orizontality of the window frame was distorted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window frame.

이와 같이, 벽체에 대한 창호 프레임의 수평이 틀어질 경우, 창호 프레임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창문의 여닫이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창문이 파손될 위험성이 존재한다.As such, when the window frame is not leveled with respect to the wall, the life span of the window frame is lowered, and there is a risk of failure in opening or closing the window or damage to the window.

이에 따라, 최근에는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위치시켜 벽체에 대하여 창호 프레임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해 고안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4861호).Accordingly, recently, there is a case of using a device designed to adjust the horizontality of the window frame with respect to the wall by placing it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4861).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창호 프레임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는 단지 상하 방향으로의 승강 동작만이 가능할 뿐인 바, 상기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벽체의 다양한 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창호 프레임의 수평을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각양각색의 고임목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However, devices for adjusting the leveling of window frames known so far only allow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and even if the devices are used, it is difficult to level the window frames in response to various surface shapes of walls.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a variety of conventional chocks as an auxiliary.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56376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35637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4861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94861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에 대하여 창호 프레임이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틀어짐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와 이를 사용하여 벽체에 창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Under such a technical backgrou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a wall and a window frame so that the window frame can be fixed to the wall in a vertical and/or horizontal direction without distortion, and using the same to stably secure the window frame to the wal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capable of being fixed.

특히, 본 발명은 벽체의 다양한 표면 형상과 무관하게 창호 프레임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다양한 접촉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와 이를 사용하여 벽체에 창호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capable of forming various contact angles between a wall and a window frame so that the window frame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regardless of various surface shapes of the wall, and a window frame to the wall using the sa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capable of stably fixing.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정의된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를 통해 벽체와 창호 프레임이 고정된 후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이격된 일부 공간으로 주입된 시멘트, 실리콘 또는 발포 수지 등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벽체와 창호 프레임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are fixed through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defined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despite deformation of cement, silicone, or foamed resin injected into a partial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fixation of the window fram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에 대하여 창호 프레임을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로서, 일 면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된 제1 지지체; 상기 제1 지지체의 타 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체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지지체; 상기 제1 지지체의 타 면과 대향하지 않는 상기 제2 지지체의 일 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부재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a wall and a window frame to fix the window frame with respect to the wall, comprising: a first support having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at least one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a second support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first support along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at least one second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ody not fac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and an elev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so as to be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wherein the elev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일 면에 마련된 접촉면에 접착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체는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에 접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first support may be adhered to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via the adhesive lay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제1 지지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first support.

이 때,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제1 지지부가 관통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관통한 상기 제1 지지부의 돌출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지지체에 대한 상기 제2 지지체의 승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include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can pass, and a lifting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is adjusted according to a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support passing through the opening. can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제1 지지체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체의 타 면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1 지지체의 타 면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틸팅 가능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is capable of tilting such that a surface fac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is inclined along an arbitrar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ca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벽체와 창호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본원에 정의된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벽체에 상기 창호 프레임을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for fixing a wall and a window frame, wherein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defined herein is inter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to attach the window to the wall.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for fixing the frame is provi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상기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와 중첩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gap maintaining member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between the wall body and the window frame.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일 면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된 제3 지지체; 상기 제3 지지체의 타 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체로부터 상기 제3 지지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4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체의 타 면과 대향하지 않는 상기 제4 지지체의 일 면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며, 상기 제3 지지체의 일 면에 마련된 접촉면 및 상기 제4 지지체의 일 면에 마련된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에 접착층이 구비될 수 있다.The distance maintaining member is a third support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on one side; at least one third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body; And a fourth support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 from the third support, including, on one surface of the fourth support that does not face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the wall or the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window frame is provided, and an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body and the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ourth support bod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는 단순히 높이 조절만 가능한 종래의 수평 조절 장치와 달리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에 대하여 창호 프레임이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틀어짐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unlike the conventional leveling device that can only simply adjust the height, and fixes the window frame to the wall without twisting in the vertical and/or horizontal directions. make it possibl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는 벽체의 다양한 표면 형상과 무관하게 창호 프레임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다양한 접촉각을 형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various contact angles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so that the window frame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regardless of various surface shapes of the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를 통해 벽체와 창호 프레임이 고정된 후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이격된 일부 공간으로 주입된 시멘트, 실리콘 또는 발포 수지 등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간격 유지 부재를 통해 벽체와 창호 프레임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are fixed through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the spacing maintaining member is maintained despite the deformation of cement, silicone, or foamed resin injected into a partial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Through this, the fixation of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can be stably maintain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창호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창호 프레임에 사용된 제2 지지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간격 유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간격 유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used in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side views of the window frame shown in FIG. 1 .
FIG. 6 is a plan view of a second supporter used in the window frame shown in FIG. 1 .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p maintaining member used in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of the gap maintaining member shown in FIG. 7 .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Certain terms are defined herein for convenience in order to more read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herein, scientific and technical terms used herein shall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i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 their plural forms, and terms in the plural form also include their singular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context.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관련된 내용은 각각의 독립적인 실시예로서 이해될 것이며, 필요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실시예가 병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통해 충분히 설명되지 않은 구성 요소는 전술 또는 후술할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원용할 수 있다.Hereinafter, a chair equipped with a multi-channel sound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contents related to chair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understood as each independent embodiment, and if necessary, at least two independent embodiments may be merged. will be. On the other hand, components that are not sufficiently described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refer to components of the foregoing or later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창호 프레임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used in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5 are side views of the window frame shown in FIG. 1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100) (이하 '고정 부재'라 함)는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에 대하여 창호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100)로서, 상기 고정 부재(100)에 의해 상기 벽체에 대한 상기 창호 프레임의 높이 및 접촉각 등이 조절될 수 있다.1 to 5,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xing member') used in the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As a fixing member 100 for fixing the window frame with respect to, the height and contact angle of the window frame with respect to the wall can be adjusted by the fixing member 100.

상기 고정 부재(100)는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개재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00 may be inter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부재(100)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하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00)가 복수로 배치될 경우, 각각의 고정 부재(100)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fixing member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frame, preferably in plurality. When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100 are disposed, each fixing member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고정 부재(100)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상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창호 프레임의 양 측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xing member 100, preferably a plurality,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frame. In addition, at least one, preferably plura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즉, 상기 고정 부재(100)는 상기 벽체에 대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이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틀어짐없이 고정되기 위해 필요한 위치(예를 들어, 상기 창호 프레임의 모서리 등)에 적정 개수로 자유로이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xing member 100 can be freely disposed in an appropriate number at positions (eg, corners of the window frame, etc.) necessary for the window frame to be fixed to the wall without twisting in the vertical and/or horizontal directions. can

상기 고정 부재(100)는 일 면(110a)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된 제1 지지체(110), 상기 제1 지지체(110)의 타 면(110b)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111), 상기 제1 지지체(110)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111)의 돌출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지지체(120), 상기 제1 지지체(110)의 타 면(110b)과 대향하지 않는 상기 제2 지지체(120)의 일 면(120a)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부(121) 및 상기 제2 지지부(121)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 부재(122)를 포함한다.The fixing member 100 includes a first support 110 having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on one surface 110a and at least one protruding on the other surface 110b of the first support 110. of the first support 111, the second support 120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111 from the first support 110,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110 ( 110b) at least one second support part 121 protruding from one surface 120a of the second support body 120 that is not opposite and an elev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121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 122).

상기 고정 부재(1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로서 재생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00 may be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and a recycled plastic material may be used as the plastic material.

상기 제1 지지체(100)의 일 면(110a)에는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지지체(100)의 접촉면이 상기 벽체와 접촉할 경우, 상기 승강 부재(122)에 마련된 접촉면은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제1 지지체(100)의 접촉면이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할 경우, 상기 승강 부재(122)에 마련된 접촉면은 상기 벽체와 접촉할 것이다.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is provided on one surface 110a of the first support 100, and wh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100 contacts the wall, the elevating member 122 ) The contact surface provided on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and wh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er 100 contacts the window frame, the contact surface provided on the elevating member 122 will contact the wall.

만약 상기 고정 부재(100)가 서로 인접한 양 창호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상기 제1 지지체(100)의 접촉면은 임의의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고, 상기 승강 부재(122)에 마련된 접촉면은 다른 창호 프레임과 접촉할 것이다.If the fixing member 100 is used to fix both window fram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er 100 is in contact with an arbitrary window frame, and the contact surface provided on the elevating member 122 is another window frame.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ame.

상기 제1 지지체(110) 및 상기 승강 부재(122)에 마련된 접촉면에는 탄성층 및/또는 접착층이 마련될 수 있다.An elastic layer and/or an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n contact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110 and the lifting member 122 .

상기 제1 지지체(110) 및/또는 상기 승강 부재(122)에 마련된 접촉면에 탄성층이 마련된 경우, 상기 고정 부재(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지지체(110) 또는 상기 승강 부재(122)가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에 접촉한 상태로 소정의 가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탄성층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접촉면과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에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an elastic layer is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body 110 and/or the elevating member 122, the height of the fixing member 100 is adjusted so that the first support body 110 or the elevating member 122 ) As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is appli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the elastic layer is elastically deform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fixing force between the contact surface and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상기 탄성층은 고무 또는 에폭시 소재 등과 같이 비접착성의 탄성의 성질을 가지는 공지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layer may be formed of a known material having non-adhesive, elastic properties such as rubber or epoxy material.

상기 제1 지지체(110) 및/또는 상기 승강 부재(122)에 마련된 접촉면에 접착층이 마련된 경우, 상기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접촉면과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다.When 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body 110 and/or the elevating member 122, the contact surface and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can be fix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상기 접착층의 접착은 점착과 구분되는 용어로서, 접착력에 의해 상기 접촉면과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이 고정할 수 있는 공지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dhesion of the adhesive layer is a term distinct from adhesion, and may be formed of a known material capable of fixing the contact surface and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by adhesive force.

상기 제1 지지체(110)의 타 면(110b)에는 상기 제1 지지부(11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111)는 상기 제1 지지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111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110b of the first support 110, and the first support 1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support 110.

상기 제2 지지체(120)는 상기 제1 지지부(111)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체(110)에 대한 상기 제1 지지부(111)의 돌출 높이에 따라 상기 제2 지지체(120)의 승강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120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first support 111, and the second support 120 moves accor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support 111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110. The lifting height of can be determin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지지체(120)는 상기 제1 지지부(111)가 관통 가능한 개구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124)는 소정의 회전 반경을 가지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econd support 120 may include an opening 124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111 may pass, and the opening 124 may have a circular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rotation. there is.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124)를 통해 상기 제2 지지체(120)를 상기 제1 지지부(111)가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개구부(124)의 원호를 따라 상기 제1 지지체(110)에 대하여 상기 제2 지지체(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110 along the arc of the opening 124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111 passes through the second support 120 through the opening 124, the first support 111 2 The support 120 can be rotated.

도 2는 상기 제1 지지체(110)에 상기 제2 지지체(120)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제1 지지체(110)에 상기 제2 지지체(1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2 shows a state before the second support 12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110, and FIGS. 3 to 5 show that the second support 120 is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110. It shows the combined stat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111)가 상기 개구부(124)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지지체(120)를 상기 제1 지지체(110)를 향해 하강시키며, 상기 개구부(124)를 관통한 상기 제1 지지부(111)의 돌출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지지체(110)에 대한 상기 제2 지지체(120)의 이격 정도(승강 높이, 간격)가 결정될 수 있다.2 and 3, the second support 120 is lowered toward the first support 110 so that the first support 111 passes through the opening 124, and the opening 124 The degree of separation (elevation height, spacing) of the second support 120 from the first support 11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support 111 penetrating the .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124)의 폭이 상기 제1 지지부(111)의 직경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지지부(111)가 상기 개구부(124)를 통과하자마자 상기 제2 지지체(120)는 상기 제1 지지체(110)와 맞닿도록 하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opening 124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upport part 111, as soon as the first support part 111 passes through the opening 124, the second support 120 It may descen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110 .

이 경우, 상기 제1 지지체(110)와 상기 제2 지지체(120) 사이에 와셔 등과 같은 중간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제1 지지체(110)에 대한 상기 제2 지지체(120)의 이격 정도, 나아가 상기 고정 부재(100)를 통해 조절되는 상기 벽체에 대한 상기 창호 프레임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와셔 등과 같은 중간 부재는 상기 제2 지지체(120)가 결합되기 전 상기 제1 지지부(111)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gree of separation of the second support 120 from the first support 110 by interposing an intermediate member such as a washer between the first support 110 and the second support 120, furthermore, the The height of the window frame relative to the wall, which is adjusted through the fixing member 100, can be controlled. An intermediate member such as the wash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111 before the second support 120 is coupled.

또한, 상기 제1 지지부(111)가 복수일 경우, 각각의 제1 지지부(111)에 결합되는 와셔의 개수 및/또는 형상(두께)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100)를 통해 조절되는 상기 벽체에 대한 상기 창호 프레임의 높이, 나아가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틀어짐 등을 제어할 수 있다(도 5 참조).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arts 111, the wall that is adjusted through the fixing member 100 by changing the number and/or shape (thickness) of washers coupled to each first support part 111.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window frame, and furthermore, the vertical and / or horizontal twisting, etc. of the window frame for (see FIG. 5).

이 때, 상기 개구부(124)를 통해 상기 제2 지지체(120)를 상기 제1 지지부(111)가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개구부(124)의 원호를 따라 상기 제1 지지체(110)에 대하여 상기 제2 지지체(1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지지체(110)의 타 면(110b)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1 지지체(110)의 타 면(110b)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110 along the arc of the opening 124 in a state where the first support 111 passes through the second support 120 through the opening 124, the first support 111 2 As the support 120 is rotated, the surface facing the other surface 110b of the first support 110 is inclined in an arbitrar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surface 110b of the first support 110. can do.

이에 따라, 상기 벽체의 다양한 표면 형상과 무관하게 사상기 창호 프레임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부재(100)는 상기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다양한 접촉각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xing member 100 can form various contact angles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so that the mapper window frame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regardless of various surface shapes of the wall body.

한편, 상기 제1 지지부(111)의 상단부가 상기 개구부(124)를 통과한 상태로 상기 제1 지지부(111)의 상단부로 결합되는 헤드 부재(112)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2 지지체(120)를 상기 제1 지지체(110)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헤드 부재(112)를 조일수록 상기 헤드 부재(112)는 상기 제1 지지체(110) 방향으로 하강하며, 상기 헤드 부재(112)의 하강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지지체(120)의 상기 제1 지지체(110) 방향으로의 하강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support 120 is formed by tightening the head member 112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111 with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111 passing through the opening 124. It may descen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110 . At this time, as the head member 112 is tightened, the head member 112 desc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body 110, and the second support body 120 mov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scent of the head member 112. A degree of desc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110 may be determined.

상기 제1 지지부(111)와 상기 헤드 부재(112)의 결합은 나사 결합 등과 같이 상기 제1 지지부(111)에 대하여 상기 헤드 부재(112)의 승강이 가능한 결합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지지부(111)와 상기 헤드 부재(112)가 나사 결합될 경우, 상기 제1 지지부(111)와 상기 헤드 부재(112) 중 하나는 암나사부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수나사부를 가질 것이다.For coupling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111 and the head member 112, a coupling means capable of elevating the head member 112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111, such as a screw coupling, may be used. If the first support part 111 and the head member 112 are screwed together, one of the first support part 111 and the head member 112 has a female screw part and the other one has a male screw part.

상기 제1 지지체(110)의 타 면(110b)과 대향하지 않는 상기 제2 지지체(120)의 일 면(120a)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부(12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부(121)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 부재(122)가 설치된다.At least one second support part 121 is protruded from one surface 120a of the second support 120 that is not opposite to the other surface 110b of the first support 1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 121) is installed with a height-adjustable lifting member 122.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지지부(121)와 상기 승강 부재(123)의 결합은 나사 결합 등과 같이 상기 제2 지지부(121)에 대하여 상기 승강 부재(123)의 승강이 가능한 결합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121)와 상기 승강 부재(123)가 나사 결합될 경우, 상기 제2 지지부(121)와 상기 승강 부재(123) 중 하나는 암나사부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수나사부를 가질 것이다.Similarly, coupling means capable of elevating the elevating member 123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1 may be used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1 and the elevating member 123, such as a screw coupling. When the second support part 121 and the lifting member 123 are screwed together, one of the second support part 121 and the lifting member 123 will have a female screw part and the other one will have a male screw part.

상기 제2 지지부(121)에 대한 상기 승강 부재(123)의 승강 정도에 따라 정도 상기 고정 부재(100)를 통해 조절되는 상기 벽체에 대한 상기 창호 프레임의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window frame relative to the wall, which is adjusted through the fixing member 10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levation of the elevating member 123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part 12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정 부재(100)는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개재되어 상기 벽체에 대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이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틀어짐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member 100 used in the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so that the window frame is perpendicular and / or so that it can be fixed without twis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은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상기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100)와 중첩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 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includes a space maintaining member 200 for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100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can include more.

본원에 정의된 상기 고정 부재(100)는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에 기정된 간격과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틀어짐 등을 보상할 수 있으나, 상기 고정 부재를 통해 일단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이 고정된 후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에 이격된 일부 공간으로 주입된 시멘트, 실리콘 또는 발포 수지 등의 변형 또는 상기 벽체 및/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 자체의 변형에 따른 사후적 변화에 충분히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00 defined herein may compensate for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and distortion in the vertical and/or horizontal directions, but once the wall and the window are connected through the fixing member. After the frame is fixed, in order to adequately respond to subsequent changes due to deformation of cement, silicone or foam resin injected into a partial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or deformation of the wall and/or the window frame itself. It can be difficult.

이에 따라, 만약 상기 벽체 및/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간격과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틀어짐 등이 사후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에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0)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wall and/or the window frame and the distortion in the vertical and/or horizontal direction from being subsequently deformed, the gap maintaining member (200) is placed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 It may be desirable to further instal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간격 유지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간격 유지 부재의 측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acing member used in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view of the spacing member shown in FIG. 7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0)는 일 면(210a)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된 제3 지지체(210), 상기 제3 지지체(210)의 타 면(210b)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지지부(211) 및 상기 제3 지지체(210)로부터 상기 제3 지지부(211)의 돌출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4 지지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체(210)의 타 면(210b)과 대향하지 않는 상기 제4 지지체(220)의 일 면(220b)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된다.7 and 8, the gap maintaining member 200 is a third support body 210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on one surface 210a, the third support body 210 At least one third support part 211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210b and a fourth support part 220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 part 211 from the third support part 210 And,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is provided on one surface 220b of the fourth support 220 that does not face the other surface 210b of the third support 210.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0)는 상기 고정 부재(100)와 마찬가지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로서 재생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Like the fixing member 100, the gap maintaining member 200 may be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and a recycled plastic material may be used as the plastic material.

상기 제3 지지체(210)의 일 면(210a) 및 상기 제4 지지체(220)의 일 면(220b)에는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며, 상기 제3 지지체(210)의 접촉면이 상기 벽체와 접촉할 경우, 상기 제4 지지체(220)의 접촉면은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제3 지지체(210)의 접촉면이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할 경우, 상기 제4 지지체(220)의 접촉면은 상기 벽체와 접촉할 것이다.One surface 210a of the third support 210 and one surface 220b of the fourth support 220 are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and the third support 210 When the contac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wall, the contact surface of the fourth support body 220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and wh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body 210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the fourth support body 220 ) will contact the wall.

만약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0)가 서로 인접한 양 창호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상기 제3 지지체(210)의 접촉면은 임의의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고, 상기 제4 지지체(220)에 마련된 접촉면은 다른 창호 프레임과 접촉할 것이다.If the space keeping member 200 is used to fix both window fram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tact surface of the third supporter 210 contacts an arbitrary window frame, and the contact surface provided on the fourth supporter 220 It will come into contact with other window frames.

상기 제3 지지체(210) 및 상기 제4 지지체(220)에 마련된 접촉면에는 탄성층 및/또는 접착층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층 및 상기 접착층에 대한 설명은 상기 고정 부재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0)를 통해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바, 상기 제3 지지체(210) 및 상기 제4 지지체(220)에 마련된 접촉면에는 접착층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lastic layer and/or an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third support body 210 and the fourth support body 220, and descriptions of the elastic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xing member.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rong fixing force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through the gap maintaining member 200, and the contact surface provided on the third support 210 and the fourth support 220 has an adhesive layer. It is desirable to provide

상기 제3 지지체(210)의 타 면(210b)에는 상기 제3 지지부(21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 지지부(211)는 상기 제3 지지체(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support 211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210b of the third support 210, and the third support 2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support 210.

상기 제4 지지체(220)는 상기 제3 지지부(211)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3 지지체(210)에 대한 상기 제3 지지부(211)의 돌출 높이에 따라 상기 제4 지지체(220)의 승강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The fourth support 220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third support 211, and the fourth support 220 moves accor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third support 211 relative to the third support 210. The lifting height of can be determined.

또한, 상기 제3 지지체(210)의 타 면(210b)과 대향하는 상기 제4 지지체(220)의 타 면(220a)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4 지지부(221)가 마련되며, 상기 제3 지지부(211)와 상기 제4 지지부(221)는 연결 부재(23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ourth support part 221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220a of the fourth support 220 facing the other surface 210b of the third support 210 is provided, and the third The support part 211 and the fourth support part 221 may be connected via a connection member 230 .

상기 제4 지지부(221)는 상기 제3 지지부(21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4 지지체(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Like the third support 211 , the fourth support 22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ourth support 220 .

상기 제3 지지체(210) 및 상기 제4 지지체(220)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부재(23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연결 부재(230)에 대한 상기 제3 지지체(210) 및 상기 제4 지지체(220)의 승강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third support body 210 and the fourth support body 220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mber 230, and the third support body 210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mber 230 And the lifting of the fourth supporter 220 can be mad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제3 지지부(211)와 상기 연결 부재(230) 및 상기 제4 지지부(221)와 상기 연결 부재(230)의 결합은 나사 결합 등과 같이 상기 연결 부재(230)에 대하여 상기 제3 지지체(210) 및 상기 제4 지지체(220)의 승강이 가능한 결합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 지지부(211)와 상기 연결 부재(230)가 나사 결합될 경우, 상기 제3 지지부(211)와 상기 연결 부재(230) 중 하나는 암나사부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수나사부를 가질 것이다. 상기 제4 지지부(221) 역시 상기 제3 지지부(211)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연결 부재(23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support part 211 and the connection member 230 and the fourth support part 221 and the connection member 230 are coupled together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mber 230, such as a screw connection. ) and a coupling means capable of lifting the fourth support 220 may be used. If the third support part 211 and the connection member 230 are screwed together, one of the third support part 211 and the connection member 230 has a female screw part and the other one has a male screw part. The fourth support part 221 may also be screwed to the connection member 230 in the same way as the third support part 211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는 단순히 높이 조절만 가능한 종래의 수평 조절 장치와 달리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에 대하여 창호 프레임이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틀어짐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to fix the window frame with respect to the wall without twisting in the vertical and/or horizontal directions, unlike conventional leveling devices that can only simply adjust the height. make it possibl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는 벽체의 다양한 표면 형상과 무관하게 창호 프레임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다양한 접촉각을 형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various contact angles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so that the window frame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regardless of various surface shapes of the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를 통해 벽체와 창호 프레임이 고정된 후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이격된 일부 공간으로 주입된 시멘트, 실리콘 또는 발포 수지 등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간격 유지 부재를 통해 벽체와 창호 프레임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are fixed through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the spacing maintaining member is maintained despite the deformation of cement, silicone, or foamed resin injected into a partial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Through this, the fixation of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can be stably maintain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벽체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벽체에 대하여 창호 프레임을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로서,
일 면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된 제1 지지체;
상기 제1 지지체의 타 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체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지지체;
상기 제1 지지체의 타 면과 대향하지 않는 상기 제2 지지체의 일 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부재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A window frame fix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a wall and a window frame to fix the window frame to the wall,
A first support having a contact surface on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at least one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a second supporter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first supporter along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er;
at least one second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ody not fac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and
an elevating member install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on the second support;
Including,
The elev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Window frame fix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일 면에 마련된 접촉면에 접착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체는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에 접착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According to claim 1,
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The first support is adhered to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via the adhesive layer,
Window frame fix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제1 지지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upport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first support,
Window frame fixing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제1 지지부가 관통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관통한 상기 제1 지지부의 돌출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지지체에 대한 상기 제2 지지체의 승강 높이가 조절되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support include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can pass,
The lifting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support through the opening.
Window frame fixing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소정의 회전 반경을 가지는 원호의 형상을 가지는,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According to claim 4,
The opening has a shape of a circular arc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rotation,
Window frame fix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는 상기 제1 지지체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체의 타 면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1 지지체의 타 면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틸팅 가능한,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upport is capable of tilting so that the surface fac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is inclined along an arbitrar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Window frame fixing member.
벽체와 창호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벽체에 상기 창호 프레임을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
A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for fixing a wall and a window frame,
Fixing the window frame to the wall by interposing at least one window fram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상기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와 중첩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벽체와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 부재가 구비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A gap maintaining member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is provid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window frame fixing member between the wall and the window frame,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일 면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된 제3 지지체;
상기 제3 지지체의 타 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체로부터 상기 제3 지지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4 지지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체의 타 면과 대향하지 않는 상기 제4 지지체의 일 면에 상기 벽체 또는 상기 창호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련되며,
상기 제3 지지체의 일 면에 마련된 접촉면 및 상기 제4 지지체의 일 면에 마련된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에 접착층이 구비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gap maintaining member,
a third support having a contact surface on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at least one third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body; and
a fourth supporter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third supporter along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er;
Including,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wall or the window fram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ourth support that is not oppos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at least on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and the contact surfac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ourth support,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체의 타 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4 지지체의 타 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4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제4 지지부는 연결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At least one fourth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ourth support body opposit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body is provided,
The third support and the fourth support are connected via a connecting member,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체 및 상기 제4 지지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third support and the fourth support is provided to be liftab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KR1020210184650A 2021-12-22 2021-12-22 Fixing member for window frame and system for constructing window frame using the same KR1025296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650A KR102529621B1 (en) 2021-12-22 2021-12-22 Fixing member for window frame and system for constructing window fram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650A KR102529621B1 (en) 2021-12-22 2021-12-22 Fixing member for window frame and system for constructing window fram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621B1 true KR102529621B1 (en) 2023-05-08

Family

ID=8638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650A KR102529621B1 (en) 2021-12-22 2021-12-22 Fixing member for window frame and system for constructing window fram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621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199U (en) * 1989-07-20 1991-03-14
KR200291124Y1 (en) * 2002-06-27 2002-10-09 삼성건철산업 주식회사 Having a high-law regulation device the moving dwelling house
KR100356376B1 (en) 2000-01-05 2002-10-19 김광식 executing method for window frame assembly
KR20100012922U (en) * 2009-06-19 2010-12-29 후지산업(주) Wall for clean room
KR20110004499U (en) * 2009-10-29 2011-05-06 신용판 Horizontal regulation tool for supporting door-frame
KR101585833B1 (en) * 2015-07-22 2016-01-22 이준문 apparatus for adjusting horizon of architecture wall
KR101694861B1 (en) 2016-01-27 2017-01-10 김효은 Leveling apparatus for window frame
KR102143886B1 (en) * 2019-08-20 2020-08-12 차희열 The apparatus for door frame installa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199U (en) * 1989-07-20 1991-03-14
KR100356376B1 (en) 2000-01-05 2002-10-19 김광식 executing method for window frame assembly
KR200291124Y1 (en) * 2002-06-27 2002-10-09 삼성건철산업 주식회사 Having a high-law regulation device the moving dwelling house
KR20100012922U (en) * 2009-06-19 2010-12-29 후지산업(주) Wall for clean room
KR20110004499U (en) * 2009-10-29 2011-05-06 신용판 Horizontal regulation tool for supporting door-frame
KR101585833B1 (en) * 2015-07-22 2016-01-22 이준문 apparatus for adjusting horizon of architecture wall
KR101694861B1 (en) 2016-01-27 2017-01-10 김효은 Leveling apparatus for window frame
KR102143886B1 (en) * 2019-08-20 2020-08-12 차희열 The apparatus for door frame install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25199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63771A1 (en) Resilient deck board fastener
CN104896265B (en) The fixing means of fixing device, the fixed structure of equipment and equipment
US20030033765A1 (en) Apparatus for securing curtain wall supports
US20170037653A1 (en) Clamps for panel-type fences
KR102249289B1 (en) Concrete Level Indicator
KR102529621B1 (en) Fixing member for window frame and system for constructing window frame using the same
KR1004621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xing Outer Panel Of Building
KR101127433B1 (en) Bracket for fixing of supporter by architectural construction
EP3272959A1 (en) Building wall
CN220184931U (en) Window frame fixing part and window frame construction system
US20120011781A1 (en) Perimeter wall support system for a manufactured home
KR100824799B1 (en) An assembly device for local pannel the utilization of unit pannel
JP3944110B2 (en) Support structure for glass floor
KR101280465B1 (en) Rail system for vip fixing
KR101262814B1 (en) Fixture for horizontal control of window frame
KR200378378Y1 (en) Fixing apparatus of stone panel for construction
CN114165014A (en) Shock-proof stone fixing device
KR100745024B1 (en) Balancing device for form panels
KR200280824Y1 (en) Floor construction work device
KR20210029350A (en) Seismic Isolation System with Horizontal Adjustment
KR102341833B1 (en) Seismic junction unit for mounting exterior building material
CN215331601U (en) Precast concrete post aligning device
JP2000160820A (en) Connecting floor for horizontally two-dimensional base isolated floor
JP2018053513A (en) Low-floor double floo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2051254B1 (en) Floor plate for indoor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