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858B1 - A rearview mirror comprising a structure defining a limit of spring rotation - Google Patents

A rearview mirror comprising a structure defining a limit of spring ro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858B1
KR102528858B1 KR1020210071819A KR20210071819A KR102528858B1 KR 102528858 B1 KR102528858 B1 KR 102528858B1 KR 1020210071819 A KR1020210071819 A KR 1020210071819A KR 20210071819 A KR20210071819 A KR 20210071819A KR 102528858 B1 KR102528858 B1 KR 102528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mirror
unit
resistan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8580A (en
Inventor
이상구
송원준
황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2012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5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가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부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나선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리어뷰 미러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irror unit including a reflective member, a moving unit to which the mirror unit is coupled and mov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 resistance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to provide elastic force, wherein the resistance unit has a predetermined space. At least one spring having a spiral shape to be formed and at least one bayonet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wherein the at least one spring protrud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ear-view mirror may include a protrusion, and the movable part includes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at least one protrusion is disposed.

Figure 112021064019209-pat00005
Figure 112021064019209-pat00005

Description

스프링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리어뷰 미러{A REARVIEW MIRROR COMPRISING A STRUCTURE DEFINING A LIMIT OF SPRING ROTATION}A rear view mirror including a structure defining a limit of rotation of a spring

본 발명은 리어뷰 미러의 이동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의 이음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리어뷰 미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를 포함하는 스프링과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스프링의 의도치 않은 회전을 방지하는 리어뷰 미러가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view mirror includ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coupling of a spring providing resistance to movement of the rear-view mirror.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view mirror including a spring including a protrusion and an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to prevent unintentional rotation of the spring may be provided.

자동차용 외부미러를 수동으로 폴딩하거나 언폴딩하는 경우에, 바람 등에 의해 미러가 의도치않게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크기 이하의 외력에서는 미러가 이동하지 않도록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the case of manually folding or unfolding an exterior mirror for a vehicle, it is common to perform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so that the mirror does not move under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n order to prevent the mirror from being unintentionally folded due to wind or the like. am.

이에 따라, 외부미러를 수동으로 폴딩하거나 언폴딩함에 있어서, 소정 크기 이하의 외력에는 미러가 이동하지 않기 위해 미러에 소정의 저항력을 제공하는 구성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그러나,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활용하여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리어뷰 미러는 저항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이음이 발생하는 등의 구조적 문제가 수반되어왔다.Accordingly, in manually folding or unfolding the external mirror,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resistance is provided to the mirror is necessarily accompanied so that the mirror does not move when an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less is applied. However, a rearview mirror designed to provide resistance by utilizing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has been accompanied by structural problems such as a spring noise in the process of providing resistanc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리어뷰 미러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relates to a rear view mirror including a structure defining a limit of rotation of a spring.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리어뷰 미러의 구조적 설계를 통해 스프링의 이음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fine a limit of rotation of a spring in order to prevent spring coupling through a structural design of a rearview mirr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리어뷰 미러의 구조적 설계를 통해 리어뷰 미러가 이동함에 따라 폴딩부의 구성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이해지는 탄성력을 반영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flect the elastic force tha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olding part as the rear view mirror moves through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rear view mirr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가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부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나선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리어뷰 미러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irror unit including a reflective member, a moving unit to which the mirror unit is coupled and mov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 resistance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to provide elastic force, wherein the resistance unit has a predetermined space. At least one spring having a spiral shape to be formed and at least one bayonet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wherein the at least one spring protrud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ear-view mirror may include a protrusion, and the movable part includes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at least one protrusion is dispos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미러부,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러부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이동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 상의 제1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제2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너비는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너비보다 큰 리어뷰 미러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irror unit including a reflective member, at least one receiving unit is formed, the moving unit coupled to the mirror unit is mov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t least one protrusion disposed on the at least one receiving unit. A resistance part comprising a, wherein the at least one protrus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 on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moving part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moving part is at the second position. When located,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t, and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n the first part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n the second part. A rearview mirro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s, and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You will be able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의 이음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리어뷰 미러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view mirror defining a limit of rotation of the spring may be provided in order to prevent the spring from moving.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뷰 미러가 이동함에 따라 폴딩부의 구성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이해지는 탄성력을 반영하는 리어뷰 미러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ar view mirror moves, a rear view mirror that reflects a different elastic force according to a positional change of the foldable par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효과들이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성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의 폴딩부에 포함되는 구성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의 저항부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의 저항부 및 이동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rear 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rear 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components included in a foldable portion of a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mponents included in a resistance unit of a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sistance unit and a moving unit of a rear 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FIG. 3 .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t least one protrusion and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n FIG. 5 .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clearly expla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he scope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precedents,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However, in the case where a specific term is defined and used in an arbitrar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not the simpl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ccompanying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s necessar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necessary.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분"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es "part"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have a meaning or role that is distinct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가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부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나선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리어뷰 미러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irror unit including a reflective member, a moving unit to which the mirror unit is coupled and mov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 resistance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to provide elastic force, wherein the resistance unit has a predetermined space. At least one spring having a spiral shape to be formed and at least one bayonet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wherein the at least one spring protrud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ear-view mirror may include a protrusion, and the movable part includes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at least one protrusion is disposed.

여기서, 상기 리어뷰 미러는 상기 저항부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뷰 미러를 차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ear view mirror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art connected to the resistance part to mount the rear view mirror to the vehicle body.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원주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너비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width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여기서, 상기 저항부가 제공하는 탄성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에 대한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Here,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resistance uni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protrusion with respect to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너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너비에 대응될 수 있다. Here,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미러부,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러부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이동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 상의 제1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제2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너비는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너비보다 큰 리어뷰 미러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irror unit including a reflective member, at least one receiving unit is formed, the moving unit coupled to the mirror unit is mov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t least one protrusion disposed on the at least one receiving unit. A resistance part comprising a, wherein the at least one protrus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 on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moving part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moving part is at the second position. When located,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t, and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n the first part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n the second part. A rearview mirror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저항부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은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저항부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보다 작을 수 있다. Here,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resistance part in the first part may be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resistance part in the second part.

여기서, 상기 리어뷰 미러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Here, a vehicle including the rear view mirror may be provid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rear 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1000)는 차량(10)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미러(1000)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어뷰 미러(1000)는 상기 차량(10)의 양 측면에 장착됨으로써, 탑승자에게 차량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rear view mirror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t least a part of a vehicle 10 . More specifically, the rear view mirror 1000 may be mounted on at least a part of a door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rear view mirrors 1000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10, so that the occupants can have a view of the side and rear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리어뷰 미러(1000)는 구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미러(1000)의 적어도 일부분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미러(1000)의 적어도 일부분은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리어뷰 미러(1000)는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 언폴딩되어 탑승자에게 차량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리어뷰 미러(1000)는 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이 좁은 통로(예를 들어, 좁은 골목, 좁은 주차 공간 등)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리어뷰 미러(1000)를 폴딩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Also, the rear view mirror 1000 can be driven.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view mirror 1000 may be adjusted.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view mirror 1000 may be folded or unfol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when the vehicle is driving, the rear view mirror 1000 may be unfolded to provide a view to the side and rear of the vehicle to the occupant.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rear view mirror 1000 may be folded.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a narrow passage (eg, a narrow alley, a narrow parking space, etc.),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vehicle can be minimized by folding the rear view mirror 1000 .

또한, 상기 리어뷰 미러(1000)의 구동 동작은 소정의 매커니즘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미러(1000)의 폴딩 또는 언폴딩 동작은 소정의 폴딩 매커니즘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Also,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rearview mirror 1000 may be performed based on a predetermined mechanism. Specifically,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of the rearview mirror 1000 may be performed based on a predetermined folding mechanism.

또한, 상기 폴딩 매커니즘은 외부 전원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 폴딩 매커니즘 및 직접적인 외력에 의해 수행되는 수동 폴딩 매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lding mechanism may include an automatic folding mechanism perform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manual folding mechanism performed by a direct external force.

이때, 상기 자동 폴딩 매커니즘은 외부 전력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미러가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외부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리어뷰 미러(10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리어뷰 미러(1000)를 폴딩 또는 언폴딩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utomatic folding mechanism may be performed based on external power. For example, when the rear view mirror includes at least one motor,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rear view mirror 1000 by rotating the at least one motor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The view mirror 1000 may be folded or unfolded.

또한, 상기 수동 폴딩 매커니즘은 차량의 구성과 관계없이 직접적인 외력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람이 상기 리어뷰 모듈에 직접적인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리어뷰 모듈이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Also, the manual folding mechanism may be performed based on a direct external force regardles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rear-view module may be folded or unfolded when a person directly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rear-view module.

다만, 상기 수동 폴딩 매터니즘은 외력에 의해 수행되므로, 일정 수준 이하의 작은 힘에는 상기 리어뷰 미러(1000)가 이동하지 않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바람 등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리어뷰 미러가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However, since the manual folding mechanism is performed by an external force, it is necessary that the rearview mirror 1000 does not move with a small force below a certain level. This is to prevent the rearview mirror from being folded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wind or the like.

아래에서는 수동 폴딩 매커니즘을 기초로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리어뷰 미러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Below, a detailed structure of a rearview mirror that is folded or unfolded based on a manual fold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rear 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1000)는 미러부(1100), 및 폴딩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 rearview mirror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mirror unit 1100 and a folding unit 1300.

이때, 상기 미러부(1100)는 탑승자에게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러부(1100)는 반사 부재를 통해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rror unit 1100 can provide a field of view to the occupant. For example, the mirror unit 1100 may provide a view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a reflective member.

또한, 상기 폴딩부(1300)는 상기 리어뷰 미러(1000)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시키는 폴딩 매커니즘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딩부(1300)는 상기 리어뷰 미러(1000)가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딩부(1300)는 상기 리어뷰 미러(1000)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리어뷰 미러(1000)가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lso, the folding unit 13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folding mechanism for driving at least a part of the rear view mirror 1000 . More specifically, the folding unit 1300 may be mechanically configured to fold or unfold the rearview mirror 1000 . For example, the folding unit 1300 may be configured to fold or unfold the rear-view mirror 1000 when an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acts on the rear-view mirror 1000,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이때, 상기 폴딩부(1300)는 상기 폴딩 매커니즘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딩부(1300)는 이동부(1310) 및 저항부(13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folding unit 130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for performing the folding mechanism. For example, the folding unit 1300 may include a moving unit 1310 and a resistance unit 13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이동부(1310)는 상기 미러부(1100)가 장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러부(1100)의 반사 부재는 상기 이동부(1310)의 일면에 장착되어 탑승자에게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Also, the moving unit 1310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irror unit 1100 is mounted. Specifically, the reflective member of the mirror unit 1100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moving unit 1310 to provide the occupants with a view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이동부(1310)는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1310)가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리어뷰 미러(1000)가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이동부(1310)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외력을 상기 리어뷰 미러(1000) 내부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Also, the moving unit 1310 may move. Specifically, the rearview mirror 1000 may be folded or unfolded by rotating the moving unit 1310 based on a predetermined axis. In other words, the moving unit 1310 may be configured to transfer the external force to the inside of the rear view mirror 10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또한, 상기 저항부(1320)는 상기 이동부(1310)에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항부(1320)는 상기 이동부(1310)가 일정 수준 이하의 외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저항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항부(1320)는 상기 리어뷰 미러(1000)가 언폴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어뷰 미러(100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부(1310)에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기 저항부(1320)는 일정 크기 이하의 외력에 상기 이동부(131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so, the resistance part 1320 may provide resistance to the moving part 1310 . Specifically, the resistance unit 132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resistance so that the moving unit 1310 does not move due to an external force below a certain level. For example, the resistance unit 1320 provides resistance to the moving unit 1310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rear view mirror 1000 in an unfolded state. can In addition, through this, the resistance unit 1320 can prevent the moving unit 1310 from moving due to an external force of a certain magnitude or less.

아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에 포함되는 폴딩부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folding unit included in a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의 폴딩부에 포함되는 구성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components included in a foldable portion of a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의 저항부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mponents included in a resistance unit of a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1300)는 이동부(1310) 및 저항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folding unit 1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moving unit 1310 and a resistance unit 1320.

또한, 상기 이동부(1310)는 상기 저항부(132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1310)는 상기 저항부(1320)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Also, the moving part 1310 may be connected to the resistance part 1320 . More specifically, the moving part 1310 may be coupled to and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resistance part 1320 .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의 결합부(1311)는 상기 저항부(1320)와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311)는 상기 저항부(1320)에 삽입되거나, 상기 저항부(132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결합부(1311)는 상기 저항부(1320)와 결합되기 위한 구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1311)는 상기 저항부(13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저항부(1320)와 상기 결합부(1311)를 연결하는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1311 of the moving part may contact the resistance part 1320 . Specifically, the coupling part 1311 may be inserted into the resistance part 1320 or may accommodate the resistance part 1320 .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upling part 1311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resistance part 1320 .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1311 may include a coupling structure that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istance portion 1320 and connects the resistance portion 1320 and the coupling portion 13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또한, 상기 리어뷰 미러는 차체에 연결되는 장착부(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1200)는 상기 리어뷰 미러를 차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미러는 상기 장착부(1200)를 통해 상기 차체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채결 부재를 통해 상기 장착부(1200)는 상기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view mirror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art 1200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In this case, the mounting part 1200 may be configured to couple the rear view mirror to the vehicle body. More specifically, the rearview mirror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1200, and 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1200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t least one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저항부(1320)는 장착부(120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1200)의 일부는 상기 차체와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 구조(12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1200)의 다른 일부에는 상기 저항부(1320)가 결합되는 제2 결합 구조(12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저항부(1320) 및 상기 장착부(1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resistance unit 1320 may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1200 . More specifically, a first coupling structure 1210 for coupling with the vehicle body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200, and the resistance portion 1320 is coupled to anoth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200. 2 coupling structure 1220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resistor unit 1320 and the mounting unit 1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저항부(1320)는 상기 이동부(1310)에 저항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항부(1320)는 상기 이동부(131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항부(1320)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133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lso, referring to FIG. 4 , the resistance unit 132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for providing resistance to the moving unit 1310 . Specifically, the resistance unit 1320 may include a component for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moving unit 1310 . For example, the resistance unit 1320 may include at least one bayonet 1330 and at least one spring 13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은 나선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이 나선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 내부에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have a spiral shape. In addition, as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has a spiral shape, a predetermined empty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13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1330)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1330)은 다른 구성과 접촉되기 위한 복수의 돌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13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이동부의 결합부(1311)에 접촉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lso, the at least one bayonet 1330 may be inserted and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bayonet 13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t least one bayonet 13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structures to be in contact with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bayonet 1330 may have a structure for contacting at least a part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or the coupling part 1311 of the moving pa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저항부(1320)는 탄성력을 기초로 상기 이동부(1310)에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1310)가 폴딩 또는 언폴딩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133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Also, the resistance unit 132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resistance force to the moving unit 1310 based on an elastic force. More specifically, as the movable unit 1310 is folded or unfolded, the at least one bayonet 1330 can move up and down, and accordingly, an elastic force can be generat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there is.

또한, 상기 리어뷰 미러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저항부(1320)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131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미러에 일정 크기 이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저항부(1320)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1310)는 폴딩 또는 언폴딩되지 않을 수 있다. Also,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rear view mirror,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1310 may be limited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resistance unit 1320 .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less acts on the rear view mirror, the moving unit 1310 may not be folded or unfolded due to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resistance unit 1320 .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은 상기 이동부(1310)의 위치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1310)가 언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은 수축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이동부(1310)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은 이완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수축 및 이완이 반대로 될 수 있다.Also,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be contracted or relax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1310 . For example, when the moving unit 1310 is unfolded,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be contracted, and when the moving unit 1310 is folded, the at least one spring ( 1340) may be relaxed. Of cours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be reversed according to embodiments.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은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이 수축 또는 이완함에 따라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이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13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부(1320)가 상기 이동부(13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은 상기 이동부의 결합부(1311) 내에서 헛돌 수 있다. Also,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rotate. In other words,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rotate by an elastic force generated as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contracts or relaxes. More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rotate around the at least one bayonet 1330. Also, when the resistance part 1320 is coupled to the moving part 1310,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rotate within the coupling part 1311 of the moving part.

또한, 상기 리어뷰 미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의도치 않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항부(13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rear view mirror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rota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For example, the resistance part 132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part 1350 to define a rotational limit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아래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의도치 않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Below, in order to prevent unintentional rota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a structure for defining a rotational limit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도 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의 저항부 및 이동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FIG.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sistance unit and a moving unit of a rear 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FIG. 3 .

도 6은 도 5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t least one protrusion and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n FIG. 5 .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미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and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to define a limit of rota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can do.

구체적으로, 상기 저항부(1320)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은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이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at least one spring 1340 of the resistance part 132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protru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from being connected,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can include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원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단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가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중심축에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가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중심축에 이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nd surface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Also, a direction in which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protrudes may be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Also, a direction in which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protrudes may be spaced apart from a central axis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중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may be formed at the middle or lower end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밴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의 단면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형상, 원형상, 타원 형상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단면과 같은 형상 등 당업자가 공정상 변형 가능한 모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may be formed in a bending shape.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limited thereto, such as a square shape,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the same shap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formed in any shape deformable in the process.

또한, 이에 대응되어, 상기 이동부(1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도록, 상기 이동부(1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Correspondingly, the moving part 1310 may includ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in which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1350 is disposed. In other words, the moving part 1310 may includ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1350 so as to define a rotational limit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를 수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저항부(1320)가 상기 이동부(131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accommodate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1350 . In other words, when the resistance part 1320 is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1310,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1350 may be disposed in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by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의 너비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양 끝단에 접촉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회전의 한계가 규정될 수 있다. Also,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1350 .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136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13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1350 contacts both ends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and thus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can be defined.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와 소정의 틈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의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에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의 타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lso, a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1350 .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1350 . For example, when one end of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contacts the at least one accommodation part 1360, the other end of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is in contact with the at least one accommodation part 1360. may not conta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가 형성되는 원주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는 상기 이동부 상의 제1 부분(1370)으로부터 상기 이동부 상의 제2 부분(1380)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 6 ,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mea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which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is formed. More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extends from the first part 1370 on the movable part to the second part 1380 on the movable part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extends.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는 가이드부(13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36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양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부(136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양측벽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include a guide part 1361 . In this case, the guide portion 136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walls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1360 . For example, the guide portion 1361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1360 from side walls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1360 .

또한, 상기 가이드부(1361)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소정의 내부 공간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가 배치될 수 있다. Also, by the guide part 1361,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lso,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may be disposed within the predetermined inner space.

또한, 상기 가이드부(136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회전의 한계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136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규정된 범위 이상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Also, the guide part 1361 may define a rotation limit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More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is disposed inside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and when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rotates, the movement is caused by the guide part 1361. may be limited. Accordingly, rota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beyond a prescribed range may be prevented.

또한, 상기 가이드부(1361)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가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양측벽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1361)사이의 거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를 의미할 수 있다. Also,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be defined by the guide part 1361 . More specific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e parts 1361 formed from the side walls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mean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는 상기 제1 부분(1370)에서 상기 제2 부분(1380)으로 향하는 정도에 따라 상이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는 상기 제1 부분(1370)에서 상기 제2 부분(1380)으로 갈수록 너비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분(1370)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는 상기 제2 부분(1380)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Also,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may have a different width according to a degree from the first part 1370 to the second part 1380 . More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1360 may be formed such that a width decreases from the first portion 1370 to the second portion 1380 . For example, a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in the first part 1370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in the second part 1380 .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이 이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상기 제1 부분(13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부분(1370)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Also, for example, when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is relaxed,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 1370 .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in the first part 1370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1350 .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상기 제2 부분(138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부분(1380)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너비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Also, for example, when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is contracted,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t 1380 .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1360 in the second part 1380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13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fference in width is minimized. can be designed to b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이 수축할수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이 커지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회전력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이 커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Also,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1360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 More specifically, as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contracts,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increases, s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increase.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1360 may decrease as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increases.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가 상기 제1 부분(13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때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가 상기 제2 부분(138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때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부분(1370)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는 상기 상기 제2 부분(1380)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when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 1370 is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 may be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when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t 1380 . Accordingly, a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in the first part 1370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in the second part 1380 .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은 상기 제1 부분(1370)에서 상기 제2 부분(1380)을 향하는 정도에 따라 회전 가능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분(1370)에서 상기 제2 부분(1380)을 향할수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의 너비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의 이동 가능 각도가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40)의 회전 가능 각도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분(137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제1 각도(1391)만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138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는 상기 제1 각도(1391)보다 작은 제2 각도(1392)만큼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have different rotatable ranges according to a degree of orientation from the first part 1370 to the second part 1380 . More specifically, as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1360 decreases from the first part 1370 toward the second part 1380, the movable angle of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1350 may decrease, and accordingly, a rotatable angle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40 may decrease.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in the first portion 1370 may rotate by a first angle 1391, and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50 in the second portion 1380 It may rotate by a second angle 1392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1391 .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5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360)를 설계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가공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5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워셔 추가 및 그리스 도포 공정이 필요 없어서, 상기 가공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리어뷰 미러에 포함되는 부품수, 후공정, 및 후가공을 최소화할 수 있다.Also, by designing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1350 and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1360, a processing process of the at least one spring may be simplified. More specifically, since there is no need for adding a washer and applying grease to prevent rota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1350, the process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Through this, the number of parts included in the rearview mirror, post-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can be minimized.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0 리어뷰 미러
1100 미러부
1200 장착부
1300 폴딩부
1310 이동부
1320 저항부
1000 rear view mirror
1100 mirror part
1200 mounting
1300 folding part
1310 moving parts
1320 resistance part

Claims (9)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가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부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나선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오넷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너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너비에 대응되는
리어뷰 미러.
a mirror unit including a reflective member;
a moving unit to which the mirror unit is coupled and mov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 resistance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cludes,
The resistance unit includes at least one spring having a spiral shape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nd at least one bayonet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by the at least one spring,
The at least one spring includes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moving part includes at least one receiving part in which the at least one protrusion is disposed,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protrusion.
rearview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뷰 미러를 차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리어뷰 미러.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esistance portion and configured to mount the rear view mirror to the vehicle body.
rearview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원주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리어뷰 미러.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rearview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너비가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리어뷰 미러.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spring
rearview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가 제공하는 탄성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에 대한 위치에 따라 상이한
리어뷰 미러.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resistance par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protrusion with respect to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rearview mirror.
삭제delete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미러부;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러부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이동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 상의 제1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제2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너비는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너비보다 큰
리어뷰 미러.
a mirror unit including a reflective member;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the mirror part is coupled to the moving part mov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 resistance part including at least one protrusion disposed in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The at least one protrus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rtion on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moving unit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when the moving unit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at least one I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A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in the first portion is greater than a width of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in the second portion.
rearview mirr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저항부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은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저항부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보다 작은
리어뷰 미러.
According to claim 7,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resistance portion in the first portion is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resistance portion in the second portion.
rearview mirror.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어뷰 미러를 포함하는 차량.
A vehicle comprising the rear view mirr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7 to 8.
KR1020210071819A 2021-03-11 2021-06-02 A rearview mirror comprising a structure defining a limit of spring rotation KR1025288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06 2021-03-11
KR20210032006 2021-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580A KR20220128580A (en) 2022-09-21
KR102528858B1 true KR102528858B1 (en) 2023-05-08

Family

ID=8345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819A KR102528858B1 (en) 2021-03-11 2021-06-02 A rearview mirror comprising a structure defining a limit of spring ro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85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893B1 (en) 2015-03-13 2016-09-01 주식회사 호영자동차부품 Clutch assembly for outside view mirror adussting appartus
JP2020520848A (en) * 2017-05-24 2020-07-16 エスエムアール・パテンツ・ソシエテ・ア・レスポンサビリテ・リミテ Pivot joint system and rear view device equipped with it
KR102189707B1 (en) 2019-08-26 2020-12-11 주식회사 진웅이앤지 Mirror fix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860B1 (en) * 2013-04-03 2015-01-15 곽래훈 Driving apparatus for side mirr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893B1 (en) 2015-03-13 2016-09-01 주식회사 호영자동차부품 Clutch assembly for outside view mirror adussting appartus
JP2020520848A (en) * 2017-05-24 2020-07-16 エスエムアール・パテンツ・ソシエテ・ア・レスポンサビリテ・リミテ Pivot joint system and rear view device equipped with it
KR102189707B1 (en) 2019-08-26 2020-12-11 주식회사 진웅이앤지 Mirror fix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580A (en)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2162B2 (en) Vehicle step apparatus and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therefor
JP6045064B2 (en) Vehicle display device
EP1908633A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ES2770875T3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with energy absorber for vehicle collision
CN107264408B (en) Visual identification angle adjusting mechanism of visual identification device
EP0904983B1 (en) Wiper for a vehicular mirror
WO2019068889A1 (en) Head-up display system
KR102528858B1 (en) A rearview mirror comprising a structure defining a limit of spring rotation
CN113572877A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6788330B2 (en) Fixed structure of frame and support member in electric retractable visual equipment for vehicles
CN107264411B (en) Visual identification angle adjusting mechanism of visual identification device
CN107264409B (en) Visual identification angle adjusting mechanism of visual identification device
CN107264407B (en) Visual identification angle adjusting mechanism of visual identification device
KR102419785B1 (en) An actuator for folding an out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and an outside rearview mirror including the same
EP1795394B1 (en) Retractable door mirror
EP3184366B1 (en) Moveable rear view mirr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EP3539828B1 (en) Articulated arm assembly for motor vehicles
KR102500757B1 (en) An actuator for an out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KR100477556B1 (en) A folding unit of side mirror for mobile
KR100811949B1 (en) Electric folding type outside mirror assembly
KR20210154449A (en) Mirror assembly for vehicle
CN219938110U (en) Actuator, rearview device and vehicle
JP6832393B2 (en) Fixed structure of frame and support member in electric retractable visual equipment for vehicles
US11320654B2 (en) Headup display device
KR101762560B1 (en) Automatic Folding Device of Rearview Mirror Supporter for B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