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828B1 - Sbr공법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Sbr공법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8828B1 KR102528828B1 KR1020220073366A KR20220073366A KR102528828B1 KR 102528828 B1 KR102528828 B1 KR 102528828B1 KR 1020220073366 A KR1020220073366 A KR 1020220073366A KR 20220073366 A KR20220073366 A KR 20220073366A KR 102528828 B1 KR102528828 B1 KR 1025288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zone
- reaction
- wastewater
- reactor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6065 bio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5189 floccul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16615 floccul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2163 sequencing techniqu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6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303 advanced oxidation proces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73 epi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76 aerato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70 biolog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37 degrada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91 ferric ox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5 ozo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3—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21—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comprising treatment of the recirculated slud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02F3/16—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the aerator having a vertical ax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 유기성 폐수에 대한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먼저 폐수 중의 생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물학적 전반응에 의해 제거후, 전생분해유도산화공정으로 이송전 침전을 통해 고액분리후 상등수만 이송함으로써 후단 부하를 경감시킨 후, 전생분해유도산화공정에서 폐수 중의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고, 생분해도가 향상된 폐수에 대해 연속회분식(SBR)공정을 이용한 생물학적 주반응으로 처리하여 상등수만을 처리수로 배출하며, 배출된 처리수 중의 미처리된 일부의 부유물질을 제거후, 잔류하고 있는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전생분해유도산화공정과 동일한 반응기작을 통해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킴으로써 난분해성 유기물이 다량 함유된 난분해성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전공정(생물학적 전반응,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 등), 본공정(생물학적 주반응 등), 후공정(물리화학적처리,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 등)으로 처리함에 있어서, 본공정으로서 단일의 반응조(연속회분식 반응조, sequencing batch reactor, SBR)에서 유입, 반응, 침전, 배출을 일련적으로 수행하는 SBR공법을 이용하여 고농도 유기성 폐수 중에 함유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 기술 중에서 생물학적 처리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근간을 이룬다. 그러나,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경우는 미생물에 의해 바로 제거되지 않는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다량으로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미생물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 제한적이다.
현재, 난분해성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기술은 단순히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고 후공정으로서 산화반응을 적용함에 따라 생물학적 처리효율의 저하, 후공정인 산화공정(오존처리,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등)의 과다 투입 등으로 비효율적, 비경제적인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생물학적으로 안정된 처리효율을 보장할 수 있고, 산화공정의 사용 강도 최소화를 통하여 더욱 경제적이고 향상된 처리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난분해성 폐수 처리공정을 제공함으로써, 건전한 하천 생태계 및 관련 기술의 진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한편, 근래에 들어,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오염물질로서 난분해성 유기물 등의 함량이 높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에 대한 필요성에 발맞춰 관련 기술의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난분해성 폐수에 대한 처리공정의 정립이 폐수의 특성 및 폐수 처리기술의 원리를 바탕으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BOD(biochemical oxygen demand)/COD(chemical oxygen demand) 비가 낮을수록 난분해성으로 분류되고, 난분해성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수의 경우 SBR공법만으로는 처리하기 쉽지 않다. 이에,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SBR공법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전공정 및 후공정이 포함된 새로운 공정의 제공이 필요하고, 이로써 설비 운용효율 및 처리효과 면에서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활용도가 제한적이었던 SBR공법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정의 제공이 필요하다.
참고로, SBR공법은 연속회분식 활성슬러지법이라고도 불리는 방법으로, 이는 설비의 건설비용과 운전비용이 낮고 운전의 편리성 및 우수한 오염물질 처리효율로 인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생물학적 처리의 대표 기술이다. 이러한 SBR공법은,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단일의 반응조에서 폐수의 유입 후 미생물 반응을 혐기, 무산소 또는 호기 조건으로 수행한 다음 고액분리(슬러지 침전)를 수행하고 상등수를 배출하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지며, 오염된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 뿐만 아니라 인 및 질소의 제거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에 관한 선행기술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의 등록특허공보 제10-0373745호(2003.02.25), 제10-1750449호(2017.07.03) 등이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단일처리공정의 SBR공법만을 이용하여 처리효율이 매우 제한적이었던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정화처리에 대해 전공정과 후공정 및 세부 처리장치를 이용한 혁신을 통해 경제적,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에 대해 생물학적 주반응을 수행하는 연속회분식 반응조(이하, SBR반응조라고도 칭한다.)로 유입되기 전에 생물학적 전반응을 위한 전반응조(유량조정조)에서 미생물을 주입하여 폐수에 포함된 일부의 생분해성 오염물질을 우선 분해, 제거하고, SBR반응조와 전반응조 사이의 전오존접촉조로 이송하기 위해 침전하여 상등수만 전반응조에 구비된 부유식 배출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하는 전반응단계와; 상기 전반응단계를 거친 상등수를 저장하는 상기 전오존접촉조에서 오존반응기를 경유하는 제1 순환비로의 상등수 순환을 통해 (오존반응기 내 주입되는 오존가스에 의해 생성된)오존수와 상등수의 접촉시간,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는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전오존처리단계)와; 상기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를 거친 상등수에 대해 상기 연속회분식 반응조(단일의 반응조)에서 이루어지는 미생물 반응 중에 폭기와 교반을 반복하여 생분해화된 오염물질과 기타 질소, 인을 제거하고, 고액분리를 위한 침전이 포함된 SBR공법으로 처리하는 주반응단계와; 상기 주반응단계를 거친 처리수로부터 미제거된 부유물질에 대한 화학적 응집반응으로 형성된 부유물(floc)을 침전분리 또는 부상분리, 여과공정 등을 통해 추가 제거하는 후처리단계와; 상기 후처리단계로부터의 처리수를 저장하는 후오존접촉조에서 오존반응기를 경유하는 제2 순환비로의 순환을 통해 (오존반응기 내 주입되는 오존가스에 의해 생성된)오존수와 처리수 간의 접촉시간,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지금까지 생분해 후 남은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추가로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는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후오존처리단계)와; 상기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를 통해 형성된 생분해성 오염물질을 마지막의 활성탄 등을 이용한 흡착여과공정에서 여재(활성탄 등)의 표면에 형성된 생물막의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 제거하고, 나머지 오염물질을 추가적으로 흡착여재(활성탄 등)에 의해 흡착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전오존처리단계의 상기 제1 순환비는 0.5Q 내지 2.0Q가 적절하고, 상기 후오존처리단계의 상기 제2 순환비는 1.5Q 내지 3.0Q가 적절한 값으로 조사되었으나, 이는 처리대상이 되는 유기성 폐수의 발생 성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현장 시운전을 통해 좀 더 적절한 순환비를 도출하여 운전조건으로 적용하는 것이 최선의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반응단계는 폐기물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침출수, 축산폐수처리시설의 침출수, 음식물쓰레기 침출수 등의 난분해성 폐수를 전단의 협잡물제거단계에서 고형물의 제거가 이루어진 상태로 저장한다. 상기 전반응조는, 바닥 측으로 배치되는 산기관이나 수면 측으로 배치되는 표면포기장치 등을 이용하는 공기공급수단이 적용되고, 공기공급수단의 교반기능에 따라 교반기가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반응단계는, SBR반응조에서 발생하는 잉여슬러지 중 일부를 반송받아 SBR반응조를 미생물 공급원으로 삼고, 공급받은 미생물에 의해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원수 중에 포함된 생분해성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의 오염부하를 경감시켜 주며,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로 이송 전 30분 이상의 정치침전(유입수를 차단하고, 교반을 정지한 상태의 침전방법)을 통한 충분한 고액분리에 의해 발생한 상등수만을 전오존접촉조로 이송할 수 있다. 이는 높은 산화력을 보유하여 난분해성 오염물질 제거기술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오존반응에서 생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오존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반응조에서 생물학적 처리 이후에 진행하는 침전은 0.5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이는 폐수의 발생 성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반응조에서 침전으로 인한 고액분리에 통상 약 1.0시간이 소요되나, 폐수의 발생 성상 등을 고려하여 침전 시간을 증감시킬 수 있다. 즉, 고액분리 진행이 상대적으로 원활하면 침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고액분리 진행이 상대적으로 비원활하면 침전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침전 시간이 0.5시간 미만이면 상등수의 수질이 요구 수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침전 시간이 2.0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전반응조가 혐기성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주반응단계 전에 수행하는 상기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와 상기 주반응단계 후에 수행하는 상기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는 상기 전오존접촉조와 상기 후오존접촉조에서 각각 일정량의 처리 대상 물을 오존반응기로 이송, 순환시킴으로써 오존수와 반응시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변환할 수 있는 반응기작을 유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오존반응기는, 별도의 오존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오존가스를 시상수와 혼합시켜 생성된 오존수를 적정량으로 주입하여 순환수와 반응시킴에 있어서, 순환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오존반응기 내 체류시간의 변화를 유도하여 오존수와 순환수의 반응시간 및 반응강도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순환수 내 난분해성 오염물질이 최적의 생분해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오존접촉조 또는 후오존접촉조는 순환수에 포함되어 잔류할 수 있는 오존이 일정 시간 이상의 체류시간 동안에 분해(소멸)되어 다음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순환비 및 순환수에 주입되는 오존의 량은 현장에 따라 특성이 다른 오염수에 적합하도록 위의 표 1에 나타낸 BOD/COD 비를 통해 조절해 줄 필요가 있으나, 오염물질의 양이 많은 제1 순환수(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에서 제1 순환비로 순환하는 물)에 주입되는 오존의 농도는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 주반응단계 및 후처리단계를 통해 오염물질 양이 저감된 제2 순환수(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에서 제2 순환비로 순환하는 물)에 주입되는 오존의 농도보다 고농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장치로서, 전반응조에서 침전으로 생성된 상등수를 전오존접촉조로 이송하는 부유식 배출장치가 상기 전반응조에 구비된 전반응장치와; 오존수(오존가스를 물과 혼합하여 형성)를 상기 전오존접촉조로 이송된 전반응조로부터의 상등수와 반응시키기 위한 오존반응기, 그리고 상기 전반응조로부터의 상등수를 상기 전오존접촉조에서 상기 오존반응기로 순환시키기 위한 제1 순환라인을 구비한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전오존처리장치)와; 전오존접촉조에서 일정 시간 체류 후 생분해화된 폐수를 저장하는 SBR반응조를 구비하고, 상기 SBR반응조에서 별도의 송풍기나 교반기 없이 산소 공급과 교반을 수행할 수 있는 이너홀(inner-hall)을 가진 표면포기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SBR반응조에서 침전으로 고액분리된 상등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를 구비한 연속회분식의 주반응장치와; 상기 SBR반응조에서 미량 유출된 부유물질을 물리화학적처리로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는 후처처리장치(가압부상분리장치)와; 상기 후처리장치로부터의 처리수에 대해 후오존접촉조에서 상기 오존반응기 또는 상기 오존반응기와 동일/유사 반응 메커니즘을 가지는 별도의 오존반응기로 공급, 순환시키고, 최종 활성탄흡착장치(흡착여과장치)로 이송하는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후오존처리장치)와; 최종 잔류 오염물질을 흡착/여과 공정을 통해 제거하는 상기 활성탄흡착장치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장치는, 원폐수 중에 포함된 생분해성 오염물질을 선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상기 전반응조에 산소공급 및 교반을 위하여 별도의 송풍기 및 산기장치와 교반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송풍기 및 산기장치와 교반장치 대신 표면포기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SBR반응조에서 고액분리를 위한 침전 후 발생하는 잉여슬러지의 일부를 상기 전반응조로 반송하여 상기 전반응조 내 활성슬러지의 농도를 제어하는 슬러지 반송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여슬러지는 그 발생량의 20 내지 70%를 상기 연속회분식 반응조로부터 상기 전반응조로 반송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이는 폐수의 발생 성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잉여슬러지를 발생량의 20% 미만으로 반송하면, 상기 전반응조에서의 생물학적 처리조건이 미흡하여 생물학적 처리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잉여슬러지를 발생량의 70%를 초과하여 반송하면, 상기 전반응조에서의 미생물 비율이 과도하여 자산화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처리 대상 물에 포함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기 위한 반응을 유도하는 전,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 모두가 오존반응기와 오존접촉조를 이용하여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오존수 형태의 오존과 접촉, 반응시키는 오존처리(오존처리단계, 오존처리장치)인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들 전,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은 오존처리에 한정되지 않으며 폐수의 성상 및 이에 따른 생분해도를 고려한 산화반응 특성을 가지도록 다른 처리기술들로 대체될 수 있다.
일례로,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 및/또는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은 고도산화처리(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의 일종으로서 자외선을 이용한 반응(UV+ H2O2, UV+O3)으로 생성되는 OH라디칼,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한 반응(TiO2+ H2O2)으로 생성되는 OH라디칼, 2가철과 과산화수소의 반응(펜톤반응)으로 생성되는 OH라디칼 등을 이용하여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는 처리일 수 있다. 이는 반응물의 투입량, 투입순서 등의 제어를 통해 OH라디칼의 수득율을 요구 수준으로 조절하여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생분해율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 및/또는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은 고도산화처리(AOP)의 일종으로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플라즈마의 라디칼에 의해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는 처리일 수 있다. 이는, 일례로서 수중 플라즈마방전 원리를 이용하여 OH라디칼을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공급 전원의 제어 등을 통해 OH라디칼의 수득율을 요구 수준으로 조절하여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생분해율을 조정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난분해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정화처리함에 있어서, 안정되고 경제적이며 우수한 처리효율에 의해 처리수질을 향상시켜 방류 하천 생태계의 보호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부적으로는, 난분해성 폐수에 대해 생분해성 오염물질을 전반응장치에서 1차로 제거하고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로 이송함으로써,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투입하여야 하는 반응물(예를 들어, 오존)의 양을 감소시켜 전력비 및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고, 후단의 SBR반응조에서의 미생물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에 의한 추가적인 생분해화 및 최종 방류 전에 제공될 수 있는 흡착여과를 통해 더욱 우수한 처리수질을 얻을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난분해성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난분해 오염물질의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효과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계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을 위한 전오존처리장치 및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을 위한 후오존처리장치의 구성과 작동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생물학적 전반응을 위한 전반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면포기장치의 포기유닛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생물학적 주반응을 위한 주반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을 위한 전오존처리장치 및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을 위한 후오존처리장치의 구성과 작동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생물학적 전반응을 위한 전반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면포기장치의 포기유닛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생물학적 주반응을 위한 주반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를 처리 대상의 물(水)로 한다. 고농도 유기성 폐수는 오염물질로서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오염물질로서 난분해성 유기물 등이 포함된 폐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계통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이 각각 도 1 및 도 2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는, 난분해성 폐수를 저장하고 유입유량을 균질화하면서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후 침전을 통한 고액분리로 생성된 상등수만을 다음 처리공정으로 이송하는 전반응조(10), 전반응조(10)로부터의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기 위한 반응을 유도하는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에 의해 생분해화된 폐수에 대해 연속회분식 생물학적 처리기술을 적용한 정화처리를 수행하는 연속회분식 반응조(40),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 중 오염물질 대신 미생물로 증식하여 폐기해야 할 활성슬러지를 전반응조(10)로 반송하는 슬러지 반송장치(도면부호 51 및 52 참조),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서 정화처리가 된 폐수 중에 잔여물로 남아 있는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가압부상조(70), 가압부상조(70)로부터 잔여 부유물질이 제거된 정화처리 상태의 물에 존재하는 난분해성 오염물질(즉,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서 미처리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기 위한 반응을 재차 유도하는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 그리고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로부터의 정화처리된 물에 대해 활성탄의 흡착성능과 여과성능을 이용하여 정화처리를 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에서 전환된 생분해성 오염물질을 활성탄의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처리하는 활성탄 흡착장치(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는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 및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로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 및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는 자외선을 이용한 반응,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한 반응, 펜톤반응, 수중 플라즈마방전 원리를 이용한 반응 등으로 생성되는 OH라디칼에 의해 생분해도를 향상시키는 장치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 및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가 각각 오존반응을 이용하여 생분해도를 향상시키는 전오존처리장치 및 후오존처리장치인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전오존처리장치는 전오존접촉조(30)를 포함하고, 후오존처리장치는 후오존접촉조(80)를 포함한다. 전오존처리장치는, 오존반응기(20)를 더 포함하고, 오존반응기(20)를 후오존처리장치와 공유한다. 후오존처리장치는 전오존처리장치의 오존반응기(20)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오존반응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처리 대상 물은 오존반응기(20)에서 오존가스를 깨끗한 물과 혼합(용해)하여 형성한 오존수와 혼합된다. 전오존처리장치는, 전반응조(10)로부터 이송된 폐수를 전오존접촉조(30)에 저장하고, 전오존접촉조(30)에 저장된 폐수를 오존반응기(20)로 순환수로서 공급, 순환시켜 폐수 중의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오존반응기(20)에서 오존수 형태의 오존과 반응시키며, 잔류할 수 있는 오존 성분을 완전히 분해시켜 다음 처리공정인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대한 살균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일정 시간의 체류시간을 둔다.
후오존처리장치는, 전반응조(10)로부터 이송된 폐수를 전오존접촉조(30)에 저장하고, 가압부상조(70)로부터 잔여 부유물질이 제거된 정화 상태의 처리수를 후오존접촉조(80)에 저장하고, 후오존접촉조(80)에 저장된 처리수를 오존반응기(20)에 순환수로서 공급, 순환시키며, 오존반응기(20)에서 오존수와 반응하고 잔류할 수 있는 오존 성분을 완전히 분해시켜 다음 처리공정인 활성탄흡착장치(흡착여과장치, 90)에 생존하는 미생물을 살균하지 않도록 충분한 체류시간을 두도록 구성되고 작동한다.
처리 대상이 되는 물로서 난분해성의 유기물 등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는 정화처리를 위해 먼저 협잡물 종합처리장치(2)로 유입될 수 있다. 협잡물 종합처리장치(2)로 유입된 폐수는 혼입되어 있는 협잡물 및 토사가 스크린 등의 분리기에 의해 제거된 후 유량조정조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전반응조(10)로 이송될 수 있다.
전반응조(10) 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전반응조(10)는, 유입된 물(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연속회분식 반응조(40)로부터 공급된 미생물에 의해 우선 처리 후, 다음 처리공정으로 이송하기 전에 침전을 수행하여 상등수만을 후단의 연속회분식 반응조(40)의 처리 용량 등을 고려하여 일정한 유량으로 설정하여 공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응조(10)에서 난분해성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폐수 중의 생분해성 오염물질만을 선제적으로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정화처리함에 있어서, 산소를 공급하고 교반을 하기 위해 폐수를 하부로부터 유입하고 상부에서 주위로 토출하여 수면에 표면포기작용을 수행하는 수류를 발생시키고 수중에 교반작용을 수행하는 상승선회와류를 발생시키는 내부 구조(이너홀, inner-hall, 250)를 가진 표면포기장치(도면부호 11, 12, 13 및 14 참조)가 전반응조(10)에 구비된다. 전반응조(10)에 구비되는 표면포기장치는, 축(11)에 장착된 포기유닛(13) 및 축(11)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유닛(14)을 포함하고, 전반응조(10)의 상부의 구조물(12)(일례로, 전반응조의 상부에 이동로를 제공하는 스텝(step)이 마련되어 워크웨이일 수 있다.)에 설치되어 위치가 고정된 고정식 표면포기장치일 수 있다.
도 6에 고정식 표면포기장치의 포기유닛(13)이 예시되어 있다. 도 6에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로, 포기유닛(13)은, 회전 시 교반작용과 표면포기작용을 수행하고, 이를 위한 이너홀(inner-hall, 250)을 가진다. 포기유닛(13)은 하부 영역이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회전되면, 물을 하부로부터 유입하고 유입된 물을 상부에서 공기 중에 회전방향의 접선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중에 선회하는 상승와류를 발생시키고 수면에 회전하면서 주위로 나아가는 수류를 발생시켜 물을 강제적으로 순환시킨다. 이러한 작용으로 표면포기와 교반을 수행하는 포기유닛(13)은 회전몸체(210) 및 복수의 블레이드(blade, 220)를 포함하고, 이너홀(250)은 이들에 의해 포기유닛(13)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210)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개방되고, 상부가 벌어진 원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220)들은, 회전몸체(210)의 내주에 마련되어 회전몸체(210)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몸체(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회전몸체(210)의 내주와의 사이에 회전 시 물이 회전몸체(210)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되어 회전몸체(210)의 상단에서 접선방향을 따라 주위의 수면으로 토출되는 유로로서 이너홀(2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몸체(210) 및 블레이드(220)들은 포기유닛(13)의 본체를 구성한다. 포기유닛(13)은 본체(도면부호 210 및 220 참조) 상에 장착된 축 마운트(shaft mount, 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 마운트(230)는 축(회전축, 11)의 하단 영역이 결합되는 센터 보스(center boss)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식 표면포기장치는 포기유닛(13)의 높이를 수위 등에 따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염된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처리작용에 의하면, 폐수 중에 포함된 생분해성 오염물질만을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할 수 있고, 난분해성 오염물질은 분해제거할 수 없다. 다만, 난분해성 오염물질(유기물)은, 원자 또는 분자 간의 결합력이 높은바, 오존 등 일정 수준의 산화력 갖는 물질과의 수중 접촉을 통해 거대분자결합을 끊어주게 되면 난분해성의 고분자 형태에서 중, 저분자 형태로 변환되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전반응조(10)에서, 폐수 중의 생분해성 오염물질을 미생물에 의해 먼저 정화제거하고, 정화처리가 완료되면 침전과정을 거쳐 고액분리를 하여 발생한 상등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수중펌프(15)가 구비되고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부유식 배출장치(도면 부호 15, 16 및 17 참조)가 전반응조(10)에 구비된다. 수중펌프(15)는, 부체(16)와 연결되고, 가이드(17)에 의하여 상하로 정확히 이동될 수 있다. 전반응조(10)에 침전된 잉여슬러지는 전반응조(10)에 연결된 슬러지 배출라인(15)을 따라 슬러지 저류조(4)로 배출될 수 있다.
전오존접촉조(30) 및 이를 포함하는 전오존처리장치가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전반응조(10)로부터 설정된 일정한 유량으로 이송되어 온 폐수는, 생분해성 오염물질의 비율이 매우 낮아진 상태이며, 전오존접촉조(30)로부터 오존반응기(20)로 이송되어 난분해성 오염물질이 오존에 의하여 부분분해되어 생분해 가능한 오염물질로 전환된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응조(10)로부터 전오존접촉조(30)로 이송된 폐수에 대해 오존반응기(20)를 경유하도록 순환시키는 제1 순환라인(도면부호 31, 32)이 전오존접촉조(30)에 연결된다. 오존은 오존발생기(25)로부터 발생된 오존가스를 깨끗한 물과 혼합한 오존수(水)의 형태로 오존반응기(2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순환라인 상에 순환펌프(35) 및 밸브(33, 34)가 제공된다. 전오존처리장치는, 전오존접촉조(30)로 유입된 물을 제1 순환비로 순환시켜 오존반응기(20)에서 오존수 형태의 오존과 혼합시키고, 이 과정에서 물에 포함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부분 분해하며,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생분해율은 제1 순환비에 의해 오존과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접촉시간을 조절하여 생분해로의 전환 정도를 제어한다. 전오존처리장치에서의 오존처리에 의하면, 난분해성 오염물질은 분자 고리가 끊어지고 생분해율이 생분해성 오염물질의 수준으로 전환(중, 저분자화)될 수 있다. 제1 순환비는 0.5 내지 2.0일 수 있다. 즉, 전오존접촉조(30)로 유입된 최초 유량을 1Q라 할 때, 오존반응기(20)를 경유하도록 순환되는 유량은 0.5Q 내지 2.0Q일 수 있다.
주반응장치를 구성하는 연속회분식 반응조(40)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전반응조(10)로부터 이송된 폐수는, 원폐수 중에 포함되어 있던 생분해성 오염물질이 전반응조(10)에서 전반응을 통해 제거됨으로써 잔류하는 생분해성 오염물질의 비율이 매우 낮아진 상태이며, 전오존처리장치(30)와 오존반응기(20)에 의해 생분해성 비율이 낮았던 폐수는 다시 생분해도가 높아진 상태가 되어 연속회분식 반응조(40)로 이송된다. 연속회분식 반응조(40)는 유입된 폐수를 미생물 반응 및 교반과 침전이 포함된 SBR공법으로 처리한다.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서, 미생물반응을 위하여, 처리 대상의 물을 하부로부터 유입하고 상부에서 주위로 토출하여 수면에 표면포기작용을 수행하는 수류를 발생시키고 수중에 교반작용을 수행하는 상승선회와류를 발생시키는 표면포기장치(도면부호 41, 42, 43, 44 및 45 참조)가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 구비된다.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서 표면포기장치의 회전 속도 등에 따라 혐기, 무산소 또는 호기 조건을 조성할 수 있다.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 구비되는 표면포기장치는, 축(41)에 장착된 포기유닛(44) 및 축(41)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유닛(45)을 포함하고, 프레임(4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부체(43)에 의하여 상하높이가 수위에 따라 조절되는 부유식 표면포기장치일 수 있다. 부유식 표면포기장치의 포기유닛(44)은, 고정식 표면포기장치의 포기유닛(13)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앞서 설명한 이너홀(도 6의 도면부호 250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서, 침전과정을 거친 상등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하스윙 형태의 디켄터(배출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하스윙형 디켄터는 디켄터(46)를 와이어(47) 및 윈치(48)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시켜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서 침전으로 발생한 상등수를 배출하며, 디켄터(46)의 유입구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러지 반송장치(도 2의 도면부호 51 및 52 참조)는,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서 증식된 활성슬러지를 연속회분식 반응조(40)에서 침전과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연속회분식 반응조(40)로부터 전반응조(10)로 반송하여 전반응조(10) 내 활성슬러지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연속회분식 반응조(40) 내 잉여슬러지는, 슬러지 저류조(4)로 반송되고, 탈수장치(6)를 거쳐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슬러지 반송장치는, 전반응조(10)와 연속회분식 반응조(40)를 연결하는 슬러지 반송라인(51), 그리고 슬러지 반송라인(51) 상에 제공된 슬러지 반송펌프(5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속회분식 반응조(40) 내 잉여슬러지의 배출을 위하여, 슬러지 반송라인(51)에서 슬러지 배출라인(53)이 분기되고, 슬러지 반송라인(51)에 대한 슬러지 배출라인(53)의 분기부분에 3방밸브(54)가 제공될 수 있다.
연속회분식 반응조(40)로부터 배출된 처리수는 처리수조(60)로 이송된 후, 가압부상분리장치를 구성하는 가압부상조(70)로 이송될 수 있다. 가압부상조(70)는 유입된 물로부터 부유물질(유기물 등을 포함하는 고형물)을 부상분리에 의하여 제거한다. 가압부상조(70)는 분리효과 상승을 위하여 응집약품을 사용할 수 있다. 가압부상조(70)에서 부상된 부유물질은 부유물질 배출라인(75)을 따라 슬러지 저류조(4)로 배출될 수 있다. 부상된 부유물질을 부유물질 배출라인(75)으로 유도하는 장치가 가압부상조(70)에 구비될 수 있다.
후오존접촉조(80) 및 이를 포함하는 후오존처리장치가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오존접촉조(80)로 유입된 물에 대해 오존반응기(20)를 경유하도록 순환시키는 제2 순환라인(도면 부호 81, 82)이 후오존접촉조(80)에 연결된다. 제2 순환라인은 유출관(81)이 제1 순환라인의 유출관(31)에 연결되고 회수관(82)이 제1 순환라인의 회수관(32)에 연결된다. 제2 순환라인에 밸브(83, 84)가 제공되어 전오존접촉조(30)와 후오존접촉조(80) 간의 물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연속회분식 반응조(40)의 작동특성에 의하면, 전오존접촉조(30)와 후오존접촉조(80)는 어느 하나가 작동하는 동안 다른 하나가 대기 상태로 운영될 수 있다. 후오존처리장치는, 후오존접촉조(80)로 유입된 물을 제2 순환비로 순환시켜 오존반응기(20)에서 오존수 형태의 오존과 혼합시키고, 이 과정에서 물에 포함된 잔류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재차 부분 분해하여 활성탄 흡착장치(90)에 내재되어 있는 활성탄 표면의 미생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오존에 의한 잔류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제2 순환비에 따라 후오존접촉조(80)와 오존반응기(20)를 순환시켜 잔류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생분해 정도를 체류시간으로 제어한다. 제2 순환비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 즉, 후오존접촉조(80)로 유입된 최초 유량을 1Q라 할 때, 오존반응기(20)를 경유하도록 순환되는 유량은 1.5Q 내지 3.0Q일 수 있다. 후오존접촉조(80)에서는 전오존접촉조(30)와 비교할 때 오존이 낮은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후오존접촉조(80)로부터 배출된 물은 활성탄 흡착장치(90)로 이송되고, 활성탄 흡착장치(90)는 지금까지 처리된 물에 포함된 잔류 오염물질 등을 여재인 활성탄으로 흡착하여 제거한다. 활성탄 흡착장치(90)로부터 배출된 물은, 방류조(8)로 이송된 후, 방류될 수도 있고, 연계설비로 이송될 수도 있다. 활성탄 흡착장치(90)는 역세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활성탄 흡착장치(90)의 역세척에 의해 발생하는 다량의 슬러지가 함유된 역세수는 역세수 배출라인(95)을 따라 슬러지 저류조(4)로 이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0: 전반응조
20: 오존반응기
30: 전오존접촉조
40: 연속회분식 반응조
51: 슬러지 반송라인
52: 슬러지 반송펌프
60: 처리수조
70: 가압부상조
80: 후오존접촉조
90: 활성탄흡착장치(흡착여과장치)
20: 오존반응기
30: 전오존접촉조
40: 연속회분식 반응조
51: 슬러지 반송라인
52: 슬러지 반송펌프
60: 처리수조
70: 가압부상조
80: 후오존접촉조
90: 활성탄흡착장치(흡착여과장치)
Claims (10)
- 고농도 유기성 폐수에 혼입된 협잡물과 토사를 제거하는 협잡물제거단계와;
상기 협잡물제거단계를 거친 폐수를 전반응조에 저장하며, 폐수에 포함된 생분해성 오염물질을 후단(後段)의 연속회분식 반응조로부터 반송되는 잉여슬러지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폐수에 포함된 생분해성 오염물질의 비율을 낮춘 후, 0.5 ~ 2시간 동안의 침전 수행으로 고액분리를 하고 상등수만을 배출펌프가 부착된 부유식 배출장치에 의해 설정된 유량으로 배출하도록 운전제어하는 전반응단계와;
상기 전반응단계로부터의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기 위한 반응을 유도하는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와;
상기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에서 난분해성 오염물질이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됨에 따라 생분해도가 향상된 폐수를 상기 연속회분식 반응조에서 연속회분식 처리기술을 적용, 미생물을 이용한 반응 중 폭기와 교반을 반복하여 유기물과 질소, 인을 제거하고, 침전으로 고액분리하여 상등수를 처리수로서 배출하는 주반응단계와;
상기 주반응단계를 거친 처리수로부터 잔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후처리단계와;
상기 후처리단계로부터의 처리수에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주반응단계에서 미처리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기 위한 반응을 재차 유도하는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와;
상기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를 통해 생분해화된 처리수에 대해 오염물질을 여재에서 증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제거하고 잔류 오염물질을 흡착여과기작에 의해 제거하는 흡착여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는, 상기 전반응단계를 거친 폐수를 전오존접촉조에 저장하며, 저장된 폐수에 대해 오존반응기를 경유하도록 제1 순환비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오존반응기 내 오존수와 반응시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하는 반응을 유도하고 잔류 오존의 분해를 위한 체류시간을 확보하고,
상기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는, 상기 후처리단계를 거친 처리수를 후오존접촉조에 저장하며, 저장된 폐수에 대해 오존반응기를 경유하도록 제2 순환비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오존반응기 내 오존수와 반응시켜 상기 주반응단계에서 미처리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하는 반응을 재차 유도하고 잔류 오존의 분해를 위한 체류시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에서 전오존반응은 상기 제1 순환비를 0.5Q 내지 2.0Q로, 상기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단계에서 후오존반응은 상기 제2 순환비를 1.5Q 내지 3.0Q로 하여 처리 대상이 되는 물과 오존의 반응강도를 조절하고 생분해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반응단계에서,
폭기와 교반 수행을 위해 이너홀(inner-hall)을 가져 회전 시 하층부의 폐수에 대해 상승선회와류를 형성하도록 유입하여 주위의 수면으로 토출하는 부유식 표면포기장치가 상기 연속회분식 반응조에 구비되고,
미생물 반응 완료 후, 침전을 통해 생성된 상등수를 배출하는 상하스윙형 배출장치가 상기 연속회분식 반응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반응조에는 고정식 표면포기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식 표면포기장치는, 상기 전반응조의 상부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수위 변동에 따라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여 수면의 높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반응단계를 위해 상기 연속회분식 반응조에서 침전 후 배출되는 잉여슬러지의 20 ~ 70%를 상기 전반응조로 반송하여 상기 전반응조의 활성슬러지 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단계는 가압부상분리장치에서 응집약품을 주입하여 플럭(floc)을 형성하고 미세기포를 주입하여 플럭을 부상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 고농도 유기성 폐수와 혼입되어 유입되는 협잡물 및 토사를 제거하는 협잡물종합처리장치와;
상기 협잡물종합처리장치를 거친 폐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폐수 중의 생분해성 오염물질을 연속회분식 반응조로부터 반송되는 잉여슬러지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산소를 공급하는 상하높이조절 가능형의 고정식 표면포기장치가 구비되고, 침전으로 생성된 상등수를 설정된 유량으로 배출하여 유량을 조정하는 부유식 배출장치가 구비되며, 생물학적 처리 후 침전을 0.5 ~ 2시간 동안 수행하고 상등수만을 배출펌프가 부착된 상기 부유식 배출장치에 의해 배출하도록 운전제어되는 전반응조와;
상기 전반응조에서 생분해성 오염물질의 비율이 낮아진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기 위한 반응을 유도하는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와;
상기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에서 난분해성 오염물질이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됨에 따라 생분해도가 향상된 폐수를 연속회분식 처리기술로 처리하기 위해 상기 연속회분식 반응조를 구비함과 아울러 폭기와 교반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이너홀(inner-hall)을 가져 회전 시 하층부의 폐수에 대하여 상승선회와류를 형성하도록 유입하여 주위의 수면으로 토출하는 부유식 표면포기장치를 구비하고, 침전으로 생성된 상등수를 처리수로 배출하는 상하스윙형 배출장치를 구비한 주반응장치와;
상기 주반응장치를 거친 처리수로부터 잔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잔류부유물질을 응집제와 반응시켜 플럭를 생성하고 생성된 플럭을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분리하는 가압부상분리장치와;
상기 가압부상분리장치를 거친 처리수에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주반응장치에서 미처리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시키기 위한 반응을 재차 유도하는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와;
상기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를 통해 생분해화된 처리수에 대해 오염물질을 여재에서 증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제거하고 잔류 오염물질을 흡착여과기작에 의해 제거하는 흡착여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는, 처리 대상 물에 포함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에 대해 생분해할 수 있게 부분 분해시키기 위해 오존수 형태의 오존과 접촉시키기 위한 오존반응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반응조를 거친 폐수가 저장되는 전오존접촉조를 구비하며, 상기 전오존접촉조에 저장된 폐수에 대해 상기 오존반응기를 경유하도록 0.5Q 내지 2.0Q의 순환비로 순환시켜 상기 전반응조로부터의 폐수에 잔류하는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성 오염물질로 전환하고,
상기 후생분해유도산화반응장치는, 상기 가압부상분리장치를 거친 처리수가 저장되는 후오존접촉조를 구비하며, 상기 후오존접촉조에 저장된 처리수에 대해 상기 오존반응기를 경유하도록 1.5Q 내지 3.0Q의 순환비로 순환시켜 상기 주반응장치에서 미처리된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생분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3366A KR102528828B1 (ko) | 2022-06-16 | 2022-06-16 | Sbr공법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3366A KR102528828B1 (ko) | 2022-06-16 | 2022-06-16 | Sbr공법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8828B1 true KR102528828B1 (ko) | 2023-05-04 |
Family
ID=8637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3366A KR102528828B1 (ko) | 2022-06-16 | 2022-06-16 | Sbr공법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882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8184B1 (ko) * | 2004-03-16 | 2005-11-15 | 주식회사 부강테크 | 고농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수에 대한 고도처리 방법 |
KR20090100962A (ko) * | 2008-03-21 | 2009-09-24 | (주)옥센텍 | 축산폐수 처리장치 |
KR100941949B1 (ko) | 2009-07-13 | 2010-02-12 | (주) 상원이엔씨 | 부유식 표면포기장치를 이용한 에스비알 공법의 하수 또는 폐수 처리장치 및 반응조의 제어방법 |
KR101443835B1 (ko) * | 2013-11-20 | 2014-09-26 | (주)태림이엔티 | 자동조절 오존나노-마이크로버블발생장치 및 회분식부상조를 이용한 오-하수 고도처리장치 |
KR101750449B1 (ko) | 2016-03-11 | 2017-07-03 | (주) 상원이엔씨 | 고정형 속도가변식 표면포기장치와 부유식 배출장치를 이용한 sbr공법의 소규모 하 폐수 처리장치 및 공정 |
-
2022
- 2022-06-16 KR KR1020220073366A patent/KR1025288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8184B1 (ko) * | 2004-03-16 | 2005-11-15 | 주식회사 부강테크 | 고농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수에 대한 고도처리 방법 |
KR20090100962A (ko) * | 2008-03-21 | 2009-09-24 | (주)옥센텍 | 축산폐수 처리장치 |
KR100941949B1 (ko) | 2009-07-13 | 2010-02-12 | (주) 상원이엔씨 | 부유식 표면포기장치를 이용한 에스비알 공법의 하수 또는 폐수 처리장치 및 반응조의 제어방법 |
KR101443835B1 (ko) * | 2013-11-20 | 2014-09-26 | (주)태림이엔티 | 자동조절 오존나노-마이크로버블발생장치 및 회분식부상조를 이용한 오-하수 고도처리장치 |
KR101750449B1 (ko) | 2016-03-11 | 2017-07-03 | (주) 상원이엔씨 | 고정형 속도가변식 표면포기장치와 부유식 배출장치를 이용한 sbr공법의 소규모 하 폐수 처리장치 및 공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59797B2 (ja) | 高度水処理装置及び高度水処理方法 | |
KR100723337B1 (ko) | 산화 가압 부상장치 | |
US20060157424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ozone activated flotation | |
KR101220539B1 (ko) | 수처리장치 | |
JP6750930B6 (ja) | 汚排水浄化システム | |
JP2009254967A (ja) | 水処理システム | |
KR20080079430A (ko) | 복합 고급산화공정을 이용한 방향족 카르복실산 함유 폐수처리 장치 | |
KR101019590B1 (ko) | 철과 망간을 제거하는 정수 장치 및 정수 방법 | |
JP3483917B2 (ja) | 汚水処理法 | |
KR101858028B1 (ko) | 고속 복합 수처리 장치 | |
KR100945722B1 (ko) | 가축분뇨 및 분뇨 등의 유기성 고농도 폐수 고도처리 및 자원재활용 공법 및 이를 위한 처리장치 | |
KR100789955B1 (ko) | 고농도 오폐수처리장치 | |
KR101751250B1 (ko) | 배오존을 이용한 부상분리와 무포기 오존 반응기를 이용한 수 처리장치 | |
JP2008126125A (ja) | 汚染水の処理装置及び方法 | |
KR102528828B1 (ko) | Sbr공법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
KR100451640B1 (ko) | 자외선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수살균장치 및 살균방법 | |
KR101208683B1 (ko) | 생활용수와 염수의 재활용 장치 및 방법 | |
KR100435002B1 (ko) | 전해부상방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 |
KR101071709B1 (ko) | 광-펜턴 산화에 의한 1,4-다이옥산 제거 장치 및1,4-다이옥산 제거 방법 | |
KR100710488B1 (ko) | 용존오존부상 및 가압오존산화와 생물처리를 연계한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1191032B1 (ko) | 슬러지 감량형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장치 | |
KR101125815B1 (ko) | 초미세 기포를 이용한 고도산화공정의 하천 수질 개선 시스템 | |
KR100656562B1 (ko) | 수처리 재활용 시스템 | |
KR20150081920A (ko) | 하수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 |
KR102670533B1 (ko) | 하폐수의 고도산화 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