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810B1 - gel nail sticker - Google Patents

gel nail stic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810B1
KR102528810B1 KR1020210111445A KR20210111445A KR102528810B1 KR 102528810 B1 KR102528810 B1 KR 102528810B1 KR 1020210111445 A KR1020210111445 A KR 1020210111445A KR 20210111445 A KR20210111445 A KR 20210111445A KR 102528810 B1 KR102528810 B1 KR 10252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layer
emulsion
scree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9211A (en
Inventor
채병철
윤두희
신동훈
Original Assignee
채병철
윤두희
주식회사 만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병철, 윤두희, 주식회사 만송 filed Critical 채병철
Priority to KR102021011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810B1/en
Publication of KR2023002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2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8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2Manually-operable devices
    • B41F15/04Manually-operable devices for 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41M1/16Multicolour printing using different inks which flow into one another to produce iridescent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젤 네일 스티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젤 네일 스티커는, 이형필름층, 접착제층 및 연질의 베이스젤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측에 적층되고 컬러와 무늬를 갖는 컬러층; 상기 컬러층의 상측에 적층되고 부분적으로 경화되어 연성을 갖는 반경화층; 및 상기 반경화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되, 상기 반경화층은 상기 컬러층의 상측에 반경화 잉크를 1도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고, 그 두께는 500 내지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컬러층의 상측에 500 내지 700㎛ 두께의 반경화층을 1도 인쇄과정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반경화층 자체의 레이어 분리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 인쇄를 통해 발생하는 가장자리 모서리의 계단식 단차 발생을 방지하여 심미적 효과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A gel nail sticker is disclosed. The gel nail sti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ilm layer in which a release film layer, an adhesive layer, and a soft base gel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a color layer laminated on top of the base film layer and having colors and patterns; a semi-cured layer laminated on top of the color layer and partially cured to have ductility; And a protective film layer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mi-cured layer, wherein the semi-cured layer is formed through a process of printing semi-cured ink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and has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to 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emi-cured layer with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through a one-degree prin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layer separation of the semi-cured layer itself, as well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layer separation through multi-stage print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esthetic effect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ascading steps at the edges.

Description

젤 네일 스티커{gel nail sticker}gel nail sticker{gel nail stick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톱, 발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젤 네일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l nail sticker that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a user's fingernail or toenail.

최근 미용 산업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며 동시에 일반인들에게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미용 산업의 한 분야인 네일 아트(nail art)는 연령층과 성별에 관계없이 신체에 대한 표현 예술의 필수적인 요소로 최근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the beauty industry market has rapidly expanded, and at the same time, it has begun to be popularized by the general public. Nail art, a field of the beauty industry, is an essential element of art expressing the body regardless of age group and gender, and has recently undergone rapid development.

일반적으로 네일 아트는 다양한 컬러의 매니큐어와 같은 액상 안료를 손톱 또는 발톱에 도포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액상 안료를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기술이 요구되며, 균일하게 도포된다 하더라도 이를 건조시키는데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건조된 후 부분적 혹은 전체 탈리가 쉽게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유발한다.In general, nail art mainly consists of applying liquid pigments such as various colors of nail polish to fingernails or toenails. This method requires a technique for uniformly applying liquid pigments, and even if applied uniformly, it is difficult to dry them. Not only does it take a long time, but partial or total detachment occurs easily after drying,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이에, 최근에는 UV경화 수지 조성물이 포함된 액상 안료를 사용하여 손톱이나 발톱에 도포한 후, UV 램프를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UV 젤 네일(gel nail)이 각광받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UV gel nails, which are applied to fingernails or toenails using a liquid pigment containing a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then cured using a UV lamp, have been spotlighted.

종래 UV 젤 네일 스티커는 일 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10, 이형필름, 접착제, 연성필름 포함), 베이스필름의 상측에 마련되는 컬러층(20), 컬러층의 상측에 마련되는 UV 반경화층(40), 컬러층과 UV 반경화층 사이에 마련되어 컬러층과 UV 반경화층 사이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프라이머(30), UV 반경화층의 상측에 마련되어 사용자 사용시 제거되는 UV 보호필름(50) 등을 포함하고 있다.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UV gel nail sticker, as shown in FIG. 1, a base film (10, including a release film, an adhesive, and a flexible film), a color layer 20 provided on top of the base film, and a color layer 20 on top of the color layer. A UV semi-curing layer 40 provided, a primer 30 provided between the color layer and the UV semi-curing layer to provide adhesion between the color layer and the UV semi-curing layer, and a UV protective film provided on top of the UV semi-curing layer and removed during use by the user ( 50), etc.

종래에는, UV 반경화층(40) 1도 인쇄에 해당하는 도막 두께가 100 내지 200㎛로 형성됨으로써, UV 반경화층 전체의 두께를 500㎛ 이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2도 내지 3도 인쇄공정을 진행해야 500㎛ 이상의 두께를 갖는 UV 반경화층을 제조할 수 있었다.Conventionally, the coating film thickness corresponding to one-time printing of the UV semi-curing layer 40 is 100 to 200 μm. By being formed, in order to realize the thickness of the entire UV semi-cured layer to 500 μm or more,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a UV semi-cur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0 μm or more only if a 2 or 3 degree printing process was performed.

그러나, 이와 같은 다단 중복인쇄는 UV 반경화층(40), 즉 젤 네일 스티커의 불규칙한 외곽라인 발생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UV 반경화층(40)이 입체감을 제공하도록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장자리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식 단차가 형성되어 제품의 심미감이 크게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multi-stage overprinting has a problem of causing irregular outlines of the UV semi-curing layer 40, that is, the gel nail sticker, and in particular, the UV semi-curing layer 40 is formed in a dome shape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a stepwise step is formed at the edge,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aesthetics of the product.

또한, 다단 중복인쇄로 인해 각 제1 UV 반경화층(41), 제2 UV 반경화층(42), 제3 UV 반경화층(43) 간의 접착력 문제로 인해 층간 분리가 발생하는 커다란 문제도 발생하였다.In addition, due to multi-stage overprinting, a great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layers occurred due to adhesion problems between the first UV semi-cured layer 41, the second UV semi-cured layer 42, and the third UV semi-cured layer 4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17832호 (2019.02.20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17832 (published on February 20, 201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컬러층의 상측에 500 내지 700㎛ 두께의 반경화층을 1도 인쇄과정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반경화층 자체의 레이어 분리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 인쇄를 통해 발생하는 가장자리 모서리의 계단식 단차 발생을 방지하여 심미적 효과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고, 컬러층과 반경화층 사이의 프라이머를 생략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젤 네일 스티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by forming a semi-cur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on top of a color layer through a one-degree printing process, the occurrence of layer separation of the semi-cured layer itself is fundamentally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esthetic effect by preventing the stepwise step of the edge corner occurring through multi-level printing, and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omitting the primer between the color layer and the semi-curing lay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l nail sticker that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형필름층, 접착제층 및 연질의 베이스젤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측에 적층되고 컬러와 무늬를 갖는 컬러층; 상기 컬러층의 상측에 적층되고 부분적으로 경화되어 연성을 갖는 반경화층; 및 상기 반경화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되, 상기 반경화층은 상기 컬러층의 상측에 반경화 잉크를 1도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고, 그 두께는 500 내지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film layer consisting of a release film layer, an adhesive layer and a soft base gel layer sequentially laminated; a color layer laminated on top of the base film layer and having colors and patterns; a semi-cured layer laminated on top of the color layer and partially cured to have ductility; And a protective film layer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mi-cured layer, wherein the semi-cured layer is formed through a process of printing semi-cured ink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and has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A gel nail sticker is provided.

상기 반경화 잉크는, 상기 반경화층에 일정 이상의 탄성을 제공가능하며 상기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70 내지 75 중량부를 갖는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 자외선에 반응하며 상기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20 내지 25중량부를 갖는 UV경화수지 조성물; 및 상기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1 내지 6중량부를 갖는 실란(Silane) 베이스 첨가제를 포함하여 혼합될 수 있다.The semi-curing ink may provide a certain or more elasticity to the semi-curing layer and may include a highly elastic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having 70 to 7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mi-curing ink; A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that reacts to ultraviolet rays and has 20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mi-curing ink; and a silane base additive having 1 to 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mi-curing ink.

상기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50 내지 70중량부를 갖는 고탄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고, 아크릴, 우레탄 및 에폭시 수지는 포함하지 않는다.The high modulus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high modulus polyester resin having 50 to 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igh modulus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does not include acrylic, urethane and epoxy resins.

상기 UV경화수지 조성물은, 상기 UV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80 내지 85중량부를 갖는 모노머; 및 상기 UV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10중량부를 가지며, 390nm 내지 420nm의 광파장영역을 가지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올리고머는 포함하지 않는다.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a monomer having 80 to 8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a photoinitiator having an optical wavelength range of 390 nm to 420 nm, and does not contain oligomers.

상기 모노머는 단관능기 모노머일 수 있다.The monomer may be a monofunctional monomer.

상기 모노머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모노머일 수 있다.The monomer may be a polyester-based monomer.

상기 광개시제는 Phospine oxide 계열의 광개시제일 수 있다.The photoinitiator may be a phospine oxide-based photoinitiator.

상기 반경화 잉크는 아크릴 계열의 소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mi-curing ink may further include an acrylic-based antifoaming agent.

상기 반경화 잉크는 전체적으로 4,000 내지 6,000 CPS의 점도를 갖고, 혼합 전 상기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은 15,000 내지 18,0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The semi-curing ink as a whole may have a viscosity of 4,000 to 6,000 CPS, and the high 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before mixing may have a viscosity of 15,000 to 18,000 CPS.

상기 반경화층은 상기 컬러층의 상측에 인쇄제판을 마련하고 상기 반경화 잉크가 상기 인쇄제판을 통과한 후 상기 컬러층의 상측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인쇄제판은, 상기 반경화 잉크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스크린; 및 상기 반경화 잉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크린의 상면과 하면에 마련되되, 500 내지 700㎛의 두께로 형성되는 유제도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mi-cured layer is formed by providing a printing plate above the color layer and allowing the semi-cured ink to pass through the printing plate and then guide it to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a screen provided to; and an emulsion film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creen to prevent the semi-curing ink from passing through and having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상기 유제도막은, 상기 반경화 잉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마련되며 350 내지 500㎛의 두께로 형성되는 상도면 유제도막; 및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스크린의 하면에 마련되며 150 내지 200㎛의 두께로 형성되는 하도면 유제도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emulsion film may include a top coat emulsion film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to prevent passage of the semi-cured ink and having a thickness of 350 to 500 μm; and an undercoat emulsion film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coat emulsion film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50 to 200 μm.

상기 인쇄제판은 다음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inting plate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es.

(a)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2회 도포하고, 상기 스크린의 하면에 상기 하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2회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b) 상기 (a)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2회 추가 도포하고, 상기 스크린의 하면에 상기 하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2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c) 상기 (b)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하면에 상기 하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d) 상기 (c)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하면에 상기 하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e) 상기 (d)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3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f) 상기 (e)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3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g) 상기 (f)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3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h) 상기 (g)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i) 상기 (h)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55~65분 가열하는 과정; (j) 상기 (i)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55~65분 가열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제1 기설정 두께는 12 내지 18㎛ , 상기 제2 기설정 두께는 10 내지 15㎛(a) To form the top oil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an oil agent is applied twice with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o form the lower surface oil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the oil agent is applied to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After applying twice,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b) After the step (a), an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twice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the top oil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and to form the oil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After applying the emulsion two times at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c) after the step (b),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5 times at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ndercoating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d) after step (c),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5 times at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ndercoating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e) after the step (d),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three times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f) after step (e),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three times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g) after step (f),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three times at a first preset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h) after step (g),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5 times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i) after step (h),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5 times to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55 to 65 minutes; (j) after the step (i),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5 times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55 to 65 minutes; Here, the first preset thickness is 12 to 18㎛, the second preset thickness is 10 to 15㎛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젤 네일 스티커에 의하면, 컬러층의 상측에 500 내지 700㎛ 두께의 반경화층을 1도 인쇄과정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반경화층 자체의 레이어 분리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 인쇄를 통해 발생하는 가장자리 모서리의 계단식 단차 발생을 방지하여 심미적 효과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According to the gel nail sti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semi-cur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on top of the color layer through a one-degree prin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layer separation of the semi-curing layer itself.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esthetic effect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ascading steps at the edge corners that occur through multi-level printing.

또한, 컬러층과 반경화층 사이의 프라이머를 생략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omitting the primer between the color layer and the semi-cured layer.

또한, 실란 베이스 첨가제를 1 내지 6 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컬러층과 반경화층 사이의 결합력을 월등히 증대시켜 프라이머가 개재하지 않아도 컬러층에 대한 반경화층의 부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ixing 1 to 6 parts by weight of the silane-based additiv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color layer and the semi-cured layer is significantly increased, so that the adhesion state of the semi-cured layer to the color layer can be firmly maintained even without a primer intervening.

또한, UV경화수지 조성물이 올리고머를 포함하지 않고 폴리에스터 계열의 단관능기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간이 UV 경화기를 이용하여 젤 네일 스티커를 경화시킬때 신속한 반경화층의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탄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는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과 매칭되어 젤 네일 스티거의 탄성 제공면에서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does not contain an oligomer and contains a polyester-based monofunctional monomer, when a user cures a gel nail sticker using a simple UV curing machine, not only can the curing of the semi-cured layer be achieved quickly. In addition, it may be matched with a highly elastic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ncluding a highly elastic polyester resin to provide a synergistic effect in terms of providing elasticity of the gel nail sticker.

또한, 광개시제가 Phospine oxide 계열이고 390nm 내지 420nm의 광파장영역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매우 약한 UV 출력의 간이 경화기를 이용하더라도 최적의 UV 경화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경화층의 투명도 저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심미감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hotoinitiator is based on Phospine oxide and has an optical wavelength range of 390 nm to 420 nm, even if a user uses a simple curing machine with very weak UV output commonly used at home, not only can an optimal UV curing reaction occur, but also a semi-curing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aesthetics of the product by preventing a decrease in transparency of the product.

또한, 아크릴 소포제를 통해 1도 인쇄로 500㎛ 이상의 반경화층 두께를 형성해도 반경화층 내부의 기포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투명도를 저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표면 평활도를 유지하여 전체 젤 네일 스티커의 돔(dome) 형상 또한 자연스럽고 부드럽고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f a semi-cured layer thickness of 500㎛ or more is formed through 1-degree printing through an acrylic defoamer, air bubbles inside the semi-cured layer can be easily removed, transparency is not impaired, and surface smoothness is maintained to maintain the dome of the entire gel nail sticker. ) The shape is also natural, soft and feasib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젤 네일 스티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젤 네일 스티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젤 네일 스티커를 제조하기 위한 인쇄제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젤 네일 스티커를 제조하기 위한 인쇄제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l nail stic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l nail sti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inting plate for manufacturing a gel nail sti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able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printing plate for manufacturing a gel nail sti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will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fully cover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젤 네일 스티커는 컬러층의 상측에 돔 형상 인쇄층(반경화층)을 적층하기 위해 반경화 잉크를 1도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500 내지 700㎛ 두께의 반경화층(돔 형상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 다층 레이어 구조(다단 인쇄)의 반경화층에 비해 반경화층의 레이어 분리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 인쇄를 통해 발생하는 가장자리 모서리의 계단식 단차 발생을 방지하여 심미적 효과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In the gel nail stic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mi-curing layer (dome-cur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is formed through a process of printing semi-curing ink once to laminate a dome-shaped printing layer (semi-curing layer) on top of a color layer. By forming a shape printed layer),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layer separation of the semi-cured layer compared to the semi-cured layer of the conventional multi-layer structure (multi-stage printing), as well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tepped steps at the edge edges caused by multi-layer printing. This can lead to an increase in aesthetic effect.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젤 네일 스티커는 베이스필름층(100), 컬러층(200), 반경화층(300) 및 보호필름층(4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gel nail sti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ilm layer 100, a color layer 200, a semi-curing layer 300, and a protective film layer 400.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층(100)은 이형필름층(110), 접착제층(120) 및 연질의 베이스젤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base film layer 100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release film layer 110, an adhesive layer 120, and a soft base gel layer 130 are sequentially laminated.

이형필름층(110)은 이형성이 우수한 PET 필름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형필름층(110) 위에 접착제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제층(120)을 형성한다. 이때, 접착제로는 이미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체에 무해한 무독성 접착제를 적용할 수 있다. 베이스젤층(13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접착제층(120)의 상측에 마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젤층(130)은 PU 필름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release film layer 110 may employ a PET film having excellent release properties, and an adhesive layer 120 is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release film layer 110 . At this time, as the adhesive, it is possible to apply a non-toxic adhesiv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at is already commonly used. The base gel layer 130 is made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film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dhesive layer 120,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gel layer 130 can be applied as a PU film.

다음, 컬러층(200)은 베이스필름층(100)의 상측에 적층되어 네일 스티커에 컬러와 무늬를 부여한다.Next, the color layer 200 is laminated on top of the base film layer 100 to impart color and patterns to the nail sticker.

컬러층(200)은 컬러, 글리터, 패턴,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네일 스티커로 인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컬러층(200)은 전술한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롤러, 스프레이, 실크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도포하거나, 노즐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디자인 요소로 인한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lor layer 200 includes at least one of colors, glitters, patterns, letters, and patterns, and functions to provide visual effects due to nail stickers. The color layer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pplying using a roller, spray, silk screen, or printing method, or using a printing method using a nozzle, in order to realize the various visual effects described above, and is a design element. It can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to enhance aesthetics due to.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화층(300)은 컬러층(200)의 상측에 적층되고 부분적으로 경화되어 연성을 갖는다. 반경화층(300)의 세부 조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 2, the semi-cured layer 300 is laminated on top of the color layer 200 and partially cured to have ductility. The detailed composition of the semi-hardened laye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보호필름층(400)은 반경화층(300)의 상측에 적층되며, 자외선 차단 물질인 UV 흡수제를 포함하여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사용자가 젤 네일 스티커를 사용하기 전에 반경화층(300)이 완전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필름층(400)은 사용자가 젤 네일 스티커를 손톱이나 발톱에 부착한 후 후술하는 자외선 경화기(led 간이 UV 경화기) 등을 이용하여 젤 네일 스티커를 경화시키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제거된다. 보호필름층(400)은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layer 400 is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mi-curing layer 300, and includes a UV absorber, which is a UV blocking material, to absorb ultraviolet rays so that the semi-curing layer 300 is completely cured before the user uses the gel nail sticker.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This protective film layer 400 is removed by the user after the user attaches the gel nail sticker to the fingernail or toenail and before curing the gel nail sticker using an ultraviolet curing machine (led simple UV curing machine) described later. The protective film layer 400 may use a UV absorber such as a benzotriazole-based or triazine-based UV absorber.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경화층(300)은 컬러층(200)의 상측에 반경화 잉크를 1도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고, 그 두께는 500 내지 700㎛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ured layer 300 is formed through a process of printing a semi-cured ink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200, and its thickness is 500 to 700 μm. is formed with

즉, 본 발명은 충분한 두께의 반경화층 구현을 위해 다단 인쇄과정을 채용하여 반경화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반경화 잉크를 1도 인쇄하는 심플한 공정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종래 다층 레이어 구조(다단 인쇄)의 반경화층에 비해 반경화층의 레이어 분리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 인쇄를 통해 발생하는 가장자리 모서리의 계단식 단차 발생을 방지하고 정교한 외곽라인을 구현하여 심미적 효과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orm a semi-cured layer by employing a multi-layer printing process to implement a semi-cured layer of sufficient thickness, but by forming a semi-cured layer through a simple process of printing one degree of semi-cured ink, so that the conventional multi-layer structure (multi-stage printing) Compared to the semi-cured layer, the layer separation of the semi-cured layer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and the occurrence of stepped steps at the edge edges caused by multi-level printing can be prevented, and the aesthetic effect can be increased by implementing a sophisticated outline.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화층(300)은 컬러층(200)의 상측에 인쇄제판(500)을 마련하고 반경화 잉크가 인쇄제판(500)을 통과한 후 컬러층(200)의 상측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semi-curing layer 300 provides a printing plate 500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200, and after the semi-curing ink passes through the printing plate 500, the color It is formed by leading to the top of the layer 200.

이하, 반경화 잉크를 1도 인쇄하여 500 내지 700㎛의 두께로 반경화층(300)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제판(5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inting plate 500 for forming a semi-cured layer 300 with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by printing semi-cured ink o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제판(500)은 반경화 잉크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스크린(510)과, 반경화 잉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스크린(510)의 상면과 하면에 마련되되 500 내지 700㎛의 두께로 형성되는 유제도막(52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printing plate 500 is provided with a screen 510 provided to pass semi-cured ink,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creen 510 to prevent semi-cured ink from passing through, but 500 to 700 μm. It includes an emulsion film 520 formed to a thickness of

여기서, 유제도막(520)은 반경화 잉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스크린(510)의 상면에 마련되며 350 내지 500㎛의 두께로 형성되는 상도면 유제도막(521)과, 상도면 유제도막(521)과 대응하는 위치의 스크린(510)의 하면에 마련되며 150 내지 200㎛의 두께로 형성되는 하도면 유제도막(522)을 포함한다. Here, the emulsion film 52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510 to prevent semi-curing ink from passing through, and is formed to a thickness of 350 to 500 μm.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includes an undercoating emulsion film 522 formed to a thickness of 150 to 200 μm.

한편 스크린(510)의 상면과 하면에 전체적으로 상도면/하도면 유제도막을 형성한 후, 노광, 에칭 공정을 통해 인쇄제판(500)에 젤 네일 스티커에 대응하는 형상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인쇄과정의 특성상, 하도면 유제도막(522)과 스크린(510) 사이의 빈 공간에 반경화 잉크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도면 유제도막(521)과 스크린(510) 사이의 빈 공간에 채워진 반경화 잉크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잉크가 내려지면서 컬러층(200)의 상측에 500 내지 700㎛의 두께의 반경화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forming the top/bottom emulsion film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creen 510 as a whol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el nail sticker can be formed on the printing plate 500 through exposure and etching processes.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continuous printing process, the empty space between the emulsion film 522 on the undercoat and the screen 510 is filled with semi-curing ink, and the empty space between the emulsion film 521 and the screen 510 is filled. A semi-cured layer 300 having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200 while the semi-cured ink filled in is pressed downward and the ink is lower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350 내지 500㎛의 두께로 상도면 유제도막(521)을 형성하고 150 내지 200㎛의 두께로 하도면 유제도막(522)을 형성함으로써, 컬러층(200) 상측에 반경화 잉크를 1도 인쇄하여 반경화층(300)을 형성할 때, 반경화층(300)의 가장자리 외곽라인에 계단식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정밀한 외곽라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경화층(300)의 기포발생을 방지하여 네일 스티커의 불량 발생을 월등히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upper coating emulsion film 521 with a thickness of 350 to 500 μm and forms the lower coating emulsion film 522 with a thickness of 150 to 200 μm,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200 When the semi-curing layer 300 is formed by printing one degree of semi-curing ink, it is possible to prevent stepwise steps from occurring on the edge outline of the semi-curing layer 300 and to form a precise outline, as well as to form a semi-curing layer ( 300),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occurrence of defective nail stickers.

예를 들어, 상도면 유제도막(521)의 두께가 350㎛ 미만이고 하도면 유제도막(522)의 두께가 200㎛를 초과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150 내지 200㎛의 두께로 상도면 유제도막(521)을 형성하고 350 내지 500㎛의 두께로 하도면 유제도막(522)을 형성하여 상도면 유제도막(521)의 두께를 하도면 유제도막(522)의 두께보다 얇게 적용할 경우, 스크린(510)을 통과하는 반경화 잉크의 내림성이 악화되어 원하는 500 내지 700㎛ 두께의 반경화층(300)을 인쇄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반경화층(300)의 가장자리 외곽라인이 정밀하게 형성되기 힘든 문제가 있다.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top coat emulsion film 521 is less than 35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bottom coat emulsion film 522 exceeds 200 μm, specifically, the top coat emulsion film 521 has a thickness of 150 to 200 μm. ) and form an undercoat emulsion film 522 with a thickness of 350 to 500 μm to apply a thickness of the upper coat emulsion film 521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ndercoat emulsion film 522, the screen 510 The drop-down property of the semi-cured ink passing through is deteriorated, resulting in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print the semi-cured layer 300 having a desired thickness of 500 to 700 μm, and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form the edge outline of the semi-cured layer 300. there is.

또한, 400 내지 550㎛의 두께로 상도면 유제도막(521)을 형성하고 100 내지 150㎛의 두께로 하도면 유제도막(522)을 형성하여 상도면 유제도막(521)의 두께가 하도면 유제도막(522)의 두께의 대략 3배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마찬가지로 1도 인쇄를 통해 형성되는 인쇄도막이 인쇄제판(5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결국 500 내지 700㎛ 두께의 반경화층(300)을 인쇄하기 어렵고 반경화층(300)에 다량의 기포가 발생하여 젤 네일 스티커의 외관 품질 저하에 따른 불량 발생율이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op coat emulsion film 521 is formed with a thickness of 400 to 550 μm and the undercoat emulsion film 522 is formed with a thickness of 100 to 150 μm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top coat emulsion film 521 is the undercoat emulsion film 521. When formed to be about 3 times or more of the thickness of 522, similarly, the printed coating film formed through 1-degree printing is formed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plate 500, eventually printing a semi-cured layer 300 having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It is difficult to do this, and a large amount of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semi-hardened layer 300, which increases the defect rat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gel nail stick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쇄제판(500)은 도 4의 표에 도시된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노광, 에칭 공정을 통해 젤 네일 스티커에 대응하는 형상을 인쇄제판에 구현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plate 500 sequentially goes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the table of FIG. 4, and then implement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el nail sticker through an exposure and etching process.

여기서, 제1 기설정 두께는 12 내지 18㎛이고, 제2 기설정 두께는 10 내지 15㎛이다. 또한, 유제는 FOTEC사의 FOTECOAT-1000이다.Here, the first preset thickness is 12 to 18 μm, and the second preset thickness is 10 to 15 μm. Also, the emulsion is FOTECOAT-1000 from FOTEC.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스크린(510)의 상면에 상도면 유제도막(521)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2회 도포하고, 스크린(510)의 하면에 하도면 유제도막(522)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2회 도포한 후, 45 ~ 55도로 15~25분 가열하여 건조시킨다(a 단계).Specifically, to form the top oil film 5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510, the oil agent is applied twice to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lower surface oil film 52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510. For formation, the emulsion is applied twice with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n dri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step a).

이후, (a)단계 후, 스크린(510)의 상면에 상도면 유제도막(521)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2회 추가 도포하고, 스크린(510)의 하면에 하도면 유제도막(522)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2회 추가 도포한 후, 45 ~ 55도로 15~25분 가열하여 건조시킨다(b 단계).Thereafter, after step (a), an oil agent is additionally applied twice to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upper oil film 5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nd an oil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510. (522) For formation, the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twice to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n dri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step b).

이어서, (b)단계 후, 스크린(510)의 하면에 하도면 유제도막(522)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 ~ 55도로 15~25분 가열하여 건조시킨다(c 단계).Subsequently, after step (b), an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5 times to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undercoating emulsion film 52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nd then heated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Dry (step c).

이어서, (c)단계 후, 스크린(510)의 하면에 하도면 유제도막(522)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 ~ 55도로 15~25분 가열하여 건조시킨다(d 단계). Subsequently, after step (c), an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5 times to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undercoating emulsion film 52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nd then heated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Dry (step d).

상기 (d)단계를 통해 하도면 유제도막(522)의 형성 작업은 완료된다.Through the step (d), the formation of the emulsion film 522 on the undercoating surface is completed.

한편, (c), (d)단계에서의 유제 도포횟수와 후술하는 (i),(j)단계에서의 유제 도포횟수는 각각 동일한데, 가열 시간에 있어 상호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c),(d)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하도면 유제도막의 표면은 (i),(j)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상도면 유제도막의 표면과 달리 인쇄작업시 스퀴지(Squeegee)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 아니라 상도면 유제도막의 표면만큼의 경화도를 요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e) 내지 (j)단계가 이루어지면서 자연 경화가 이루어지므로 15~25분의 가열 조건으로도 효율적으로 하도면 유제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imes of applying the oil agent in steps (c) and (d) and the number of times of applying the oil agent in steps (i) and (j) described later are the same, but there is a mutual difference in heating time. To elaborate on this, the surface of the undercoat emulsion film formed through steps (c) and (d) is different from the surface of the top coat emulsion film formed through steps (i) and (j). ), and does not require as much curing as the surface of the top coat emulsion film, as it is not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natural curing occurs while the steps (e) to (j) described below are performed, so the heating condition of 15 to 25 minutes It is also possible to efficiently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ndercoat.

이어서, (d)단계 후, 스크린(510)의 상면에 상도면 유제도막(521)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3회 추가 도포한 후, 45 ~ 55도로 15~25분 가열하여 건조시킨다(e 단계).Subsequently, after step (d), an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three times to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top coat emulsion film 5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nd then heated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Dry (step e).

이어서, (e)단계 후, 스크린(510)의 상면에 상도면 유제도막(521)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3회 추가 도포한 후, 45 ~ 55도로 15~25분 가열하여 건조시킨다(f 단계).Subsequently, after step (e), an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three times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top coat emulsion film 5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nd then heated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Dry (step f).

이어서, (f)단계 후, 스크린(510)의 상면에 상도면 유제도막(521)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3회 추가 도포한 후, 45 ~ 55도로 15~25분 가열하여 건조시킨다(g 단계).Subsequently, after step (f), an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three times to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top coat emulsion film 5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nd then heated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Dry (step g).

이어서, (g)단계 후, 스크린(510)의 상면에 상도면 유제도막(521)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 ~ 55도로 15~25분 가열하여 건조시킨다(h 단계).Subsequently, after step (g), an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5 times to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top coat emulsion film 5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nd then heated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Dry (step h).

이어서, (h)단계 후, 스크린(510)의 상면에 상도면 유제도막(521)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 ~ 55도로 55~65분 가열하여 완전 건조시킨다(i 단계).Subsequently, after step (h), an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5 times to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top coat emulsion film 5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nd then heated at 45 to 55 degrees for 55 to 65 minutes. Dry completely (step i).

마지막으로, (i)단계 후, 스크린(510)의 상면에 상도면 유제도막(521)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 ~ 55도로 55~65분 가열하여 완전 건조시킨다(j 단계).Finally, after step (i), the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5 times to the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the top coat emulsion film 5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nd then heated at 45 to 55 degrees for 55 to 65 minutes. to dry completely (step j).

한편, (c), (d)단계에서의 유제 도포횟수와 (i),(j)단계에서의 유제 도포횟수는 각각 동일한데, 가열 시간에 있어 상호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i),(j)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상도면 유제도막의 표면은 (c),(d)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하도면 유제도막의 표면과 달리 인쇄작업시 스퀴지(Squeegee)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하도면 유제도막의 표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표면 경화도가 요구된다.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imes the oil agent is applied in the steps (c) and (d) and the number of times the oil agent is applied in the steps (i) and (j) are the same, but there is a mutual difference in the heating time. To elaborate on this, the surface of the top coat emulsion film formed through steps (i) and (j) is different from the surface of the undercoat emulsion film formed through steps (c) and (d). ), a relatively high degree of surface hardening is required compared to the surface of the undercoating emulsion film.

만약, (i),(j)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상도면 유제도막의 표면이 완전 경화되지 못하고 표면 경화도가 설정값보다 낮은 상태에서, 스퀴지에 의한 인쇄작업이 실시되면 스퀴지와의 마찰로 인해 상도면 유제도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정밀한 설정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경화층(300)의 가장자리 외곽라인의 정밀한 라인 구현이 불가하여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If the surface of the top coat emulsion film formed through steps (i) and (j) is not completely cured and the surface curing degree is lower than the set value, if the print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 squeegee, the friction with the squeegee may cause damage. A phenomenon in which the edge of the drawing emulsion film cannot maintain a precise set shape and falls off may occur, and accordingly, it is impossible to realize a precise line around the edge of the semi-cured layer 300, resulting in a defec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i),(j)단계에서의 열 건조 시간은 다른 단계에 비해 일정이상 길게 증가시켜 상도면 유제도막(521)의 상측 표면부위를 완전 건조시켜 전술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drying time in steps (i) and (j) is increased by a certain length or longer compared to other steps to completely dry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at emulsion film 521, thereby solving the above problems. occurrenc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은 이와 같이 (a) 내지 (j)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스크린(510)에 상도면 유제도막(521)과 하도면 유제도막(522)을 형성하여 인쇄제판(500)을 제조함으로써, 상도면 유제도막과 하도면 유제도막의 자체 층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국 인쇄제판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s the printing plate 500 by forming the top oil film 521 and the bottom oil film 522 on the screen 510 sequentially through steps (a) to (j)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self-layer separation of the painting emulsion film and the undercoating emulsion film,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printing plate.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510)의 상하면으로의 유제 도포를 통해 인쇄제판을 형성하는 방법 외에 인쇄제판을 제조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법을 제시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ddi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ing plate other than the method of forming the printing plate through the application of oil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creen 510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유제를 성형틀에 부은 후 가열 건조하여 판상 필름타입의 유제도막을 형성한 후 스크린(510)의 상하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스크린(510)의 상하면에 부착한 후 전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노광, 에칭을 통해 젤 네일 스티커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외곽라인을 정교하게 형성하여 젤 네일 스티커의 미적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it is a method of pouring an emulsion into a molding mold, heating and drying to form a plate-shaped film-type emulsion film, and then attaching it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creen 510. The aesthetic quality of the gel nail sticker may be improved by elaborately forming an outline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gel nail sticker through exposure and etching.

부연하자면, 성형틀에 350 내지 500㎛의 두께로 유제를 부은 후 가열 건조하여 상도면 유제도막을 형성한 후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을 성형틀로부터 분리하여 스크린(510)의 상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성형틀로부터 분리된 상도면 유제도막은 일정 이상의 점도를 가지는바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스크린의 상면에 부착 가능하다.In other words, after pouring an emulsion to a thickness of 350 to 500 μm in the mold, heating and drying to form a top coat emulsion film, the top coat emulsion film is separated from the mold an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510. . At this time, since the top coat emulsion film separated from the mold has a certain viscosity or higher, it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without using a separate adhesive.

또한, 성형틀에 150 내지 200㎛의 두께로 유제를 부은 후 가열 건조하여 하도면 유제도막을 형성한 후 하도면 유제도막을 성형틀로부터 분리하여 스크린(510)의 하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성형틀로부터 분리된 하도면 유제도막은 일정 이상의 점도를 가지는바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스크린의 하면에 부착 가능하다.In addition, after pouring the emulsion to a thickness of 150 to 200 μm into the molding mold, heating and drying to form an undercoating emulsion film, the undercoating emulsion film may be separated from the molding die and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510. At this time, since the undercoating emulsion film separated from the mold has a certain viscosity or more, it can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without using a separate adhesive.

이와 같은 판상 필름타입의 유제도막은 상도면 유제도막과 하도면 유제도막이 각각 하나의 레이어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술한 (a) 내지 (j)단계를 통해 유제도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유제도막의 층간 분리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장시간 다수회 반복하여 인쇄작업을 실시하더라도 내구성의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In such a plate-shaped film-type emulsion film, since the top and bottom oil films are each composed of one layer,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oil film is form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eps (a) to (j), the oil film By fundamentally preventing the separation between the layer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durability even if the printing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for a long time and many times.

또한, 전술한 (a) 내지 (j)단계와 같은 다수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신속한 인쇄제판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시간 단축을 가져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number of processes such as steps (a) to (j) described above are not required, rapid manufacturing of printing plates is possible, resulting in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time.

이하, 반경화 잉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emi-cured in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경화 잉크는 일종의 하이브리드 타입 잉크로서,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 UV경화수지 조성물, 실란(Silane) 베이스 첨가제 및 아크릴 소포제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uring ink is a kind of hybrid type ink and includes a high 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 UV curing resin composition, a silane base additive and an acrylic defoaming agent.

먼저,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은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경화되는 것으로서, 일부 경화에 따른 높은 연성과 일정 이상의 탄성을 반경화층(300)에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highly elastic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s cured by heat at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and can provide the semi-cured layer 300 with high ductility and elasticity of a certain level or more due to partial cu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은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70 내지 75 중량부를 갖도록 마련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s prepared to have 70 to 7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mi-curing ink.

여기서,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제조공정상 반경화층(300)을 충분히 건조시키기 위한 열 건조시간이 대략 1시간 이상 소요되는바 생산성이 현저히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열 건조공정시 열에 반응하지 않는 UV경화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소비자가 젤 네일 스티커의 사용을 위해 반경화층(300)을 자외선 완전경화 시키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자외선 경화하는 동안 제품 표면의 끈적임으로 인해 제품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고 심미적 부분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다.Here, when the high-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s mixed in an amount of less than 70 parts by weight, the heat drying time required to sufficiently dry the semi-cured layer 300 is about 1 hour or more due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productivity is inevitably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content of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that does not react to heat is relatively increased during the heat drying process,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sumer to fully cure the semi-cured layer 300 with UV light for the use of a gel nail sticker increases, resulting in UV curing During the process, the stickiness of the product surface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causing stains on the product surface and deteriorating aesthetics.

반대로,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이 7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열 건조공정시 열에 반응하지 않는 UV경화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열 건조공정에서 반경화층(300) 대부분이 건조되어 반경화층(300), 결국 젤 네일 스티커 제품의 신축성(유연성)을 상당히 저감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반경화층(300)을 포함하는 젤 네일 스티커의 유연성 저감으로 인해, 즉 반경화층(300)이 컬러층(200) 상에 인쇄된 상태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성향이 강해지는바 소비자가 젤 네일 스티커를 손톱(발톱)에 부착시 손톱의 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부착되지 못하고 손톱의 테투리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부착되지 못하고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크게 발생한다.Conversely, when the high modulus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s mixed in excess of 75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that does not react to heat is relatively reduced during the heat drying process, so most of the semi-cured layer 300 is dried in the heat drying process to give a radius There is a problem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elasticity (flexibility) of the image layer 300, eventually, the gel nail sticker product.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reduced flexibility of the gel nail sticker including the semi-curing layer 300, that is, the tendenc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printed state of the semi-curing layer 300 on the color layer 200 becomes stronger. When a bar consumer attaches a gel nail sticker to a nail (toenail), it is not uniformly attached as a whole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nail,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nail is not attached and easily falls off.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은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50 내지 70중량부를 갖는 고탄성 폴리에스터 수지와 용제를 포함하고, 아크릴, 우레탄 및 에폭시 수지는 포함하지 않는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modulus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high modulus polyester resin and a solvent having 50 to 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igh modulus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does not include acrylic, urethane and epoxy resins.

여기서, 고탄성 폴리에스터 수지는 우레탄, 에폭시 수지에 비해 높은 투명도를 구현할 수 있고 아크릴 수지에 비해 투명도는 떨어지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바, 본 발명은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에 아크릴, 우레탄 및 에폭시 수지를 포함시키지 않고 고탄성 폴리에스터 수지만을 포함시킴으로써 500 내지 700㎛ 두께의 반경화층(300)에 높은 투명도와 더불어 일정 이상의 탄성(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high modulus polyester resin can implement high transparency compared to urethane and epoxy resin, and can have relatively high flexibility although the transparency is lower than that of acrylic resin. In the present invention, acrylic, urethane and By including only the highly elastic polyester resin without including the epoxy resi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emi-cured layer 300 having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with high transparency and at least a certain level of elasticity (flexibility).

여기서, 고탄성 폴리에스터 수지가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용제의 함량이 높아짐으로 인해 반경화 잉크의 점도가 낮아지게 되는바 컬러층(200) 상측으로 반경화 잉크를 인쇄하여 반경화층(300)을 형성할 경우 반경화층(30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설정된 500 내지 700㎛의 두께를 형성하지 못하고 이보다 작은 두께가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반경화 잉크의 점도가 낮아짐으로 인해 컬러층(200) 상측에 반경화 잉크를 인쇄한 후 반경화 잉크의 흘러내림 현상이 발생하여 반경화층(300)의 가장자리 외곽 라인이 설정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즉 외곽라인이 일정하게 자리잡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Here, when the high modulus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semi-cured ink is lowered due to the relatively high content of the solvent. In the case of forming the semi-hardened layer 300,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thickness of 500 to 700 μm set uniformly as a whole is not formed, and a thickness smaller than this is formed. In addition, due to the decrease in viscosity of the semi-cured ink, after the semi-cured ink is pri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200, a phenomenon of flowing down of the semi-cured ink occurs, so that the edge outline of the semi-cured layer 300 does not maintain the set shape. That is, a defect in which the outer line is not uniformly located occurs.

반대로, 고탄성 폴리에스터 수지가 7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열 건조공정시 반경화층(300) 대부분이 건조되어 반경화층(300), 결국 젤 네일 스티커 제품의 신축성(유연성)을 상당히 저감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반경화층(300)을 포함하는 젤 네일 스티커의 유연성 저감으로 인해, 즉 반경화층(300)이 컬러층(200) 상에 인쇄된 상태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성향이 강해지는바 소비자가 젤 네일 스티커를 손톱(발톱)에 부착시 손톱의 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부착되지 못하고 손톱의 테투리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부착되지 못하고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크게 발생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high modulus polyester resin is mixed in excess of 70 parts by weight, most of the semi-cured layer 300 is dried during the heat drying process,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elasticity (flexibility) of the semi-cured layer 300, eventually the gel nail sticker product. there is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reduced flexibility of the gel nail sticker including the semi-curing layer 300, that is, the tendenc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printed state of the semi-curing layer 300 on the color layer 200 becomes stronger. When a bar consumer attaches a gel nail sticker to a nail (toenail), it is not uniformly attached as a whole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nail,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nail is not attached and easily falls off.

다음, UV경화수지 조성물은 자외선에 반응하여 경화되는 것으로서, UV 경화기 또는 일상생활에서 노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완전 경화되어 손톱, 발톱에 대한 부착성 및 부착 지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is cured in response to ultraviolet rays, and is completely cur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fingernails or toenails by a UV curing machine or ultraviolet rays exposed in daily life, thereby exhibiting adhesion and durability to the fingernails and toenails. can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V경화수지 조성물은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20 내지 25 중량부를 갖도록 마련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is prepared to have 20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mi-curing ink.

여기서, UV경화수지 조성물은 UV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80 내지 85중량부를 갖는 모노머와, UV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10중량부를 가지며 390nm 내지 420nm의 광파장영역을 가지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올리고머는 포함하지 않는다.Here,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monomer having 80 to 8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a photoinitiator having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having a light wavelength region of 390 nm to 420 nm, , oligomers are not included.

즉, 현재 젤 네일 스티커에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UV경화수지 조성물(UV 경화형 잉크)은 통상 올리고머, 모노머, 광개시제 및 첨가제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은 올리고머를 포함하지 않고 모노머와 광개시제로만 구성하고 있다.That is,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UV curable ink) currently used in gel nail stickers usually consists of oligomers, monomers, photoinitiators and additives,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oligomers and consists only of monomers and photoinitiators.

부연하자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경우 반경화층(300)의 인쇄 표면의 평탄도가 저하되어 젤 네일 스티커 표면이 거칠어질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UV 경화기 등을 이용하여 젤 네일 스티커를 자외선 경화시키고자 할 때 특히 LED 간이 UV 경화기에 대해서는 경화 반응이 상당히 느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정에서 LED 간이 UV 경화기 등을 이용하여 경화시킬때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증가하고 완전 경화되는 부분에 있어서도 부족한 면이 발생하는바, 소비자는 사용함에 있어 상당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계열의 모노머를 혼합함으로써 젤 네일 스티커의 표면이 거칠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 완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oligomer is included, the flatness of the printing surface of the semi-curing layer 300 is lowered and the surface of the gel nail sticker becomes rough, and when the user wants to cure the gel nail sticker with UV light using a UV curing machine, etc. In particula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uring reaction occurs very slowly for the LED simple UV curing machine. Therefore, when a user cures using a simple LED UV curing machine at home, the time required for curing significantly increases, and a shortage occurs even in the completely cured part, and consumers may feel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using i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mixing polyester-based monomers, the surface of the gel nail sticker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rough, thereby increasing product completion.

또한, LED 간이 UV 경화기에 대한 UV경화수지 조성물의 경화 반응이 상당히 느리게 발생하게 되므로,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오랜시간 동안 반경화층(300), 결국 젤 네일 스티커의 표면 경도가 오래도록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경화과정에서 표면 긁힘, 오염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ring reaction of the UV curing resin composition for the LED simple UV curing machine occurs very slowly, the semi-curing layer 300 for a long time during the curing process, eventually the surface hardness of the gel nail sticker remains low for a long time In the process of bar hardening, surface scratches and contamination can easily occu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노머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모노머로 적용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mer is applied as a polyester-based monomer.

일반적으로 모노머의 종류에는 폴리에스터, 아크릴, 우레탄, 에폭시, 실리콘 등 여러 계열의 모노머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이 50 내지 70중량부를 갖는 고탄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바,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의 주요 물질인 고탄성 폴리에스터의 특성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발생하도록 폴리에스터 계열의 모노머를 적용하고 있다.In general, there are various types of monomers such as polyester, acrylic, urethane, epoxy, silicone, etc.,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high elasticity polyester resin having 50 to 70 parts by weight, and has high elasticity A polyester-based monomer is applied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igh modulus polyester, which is the main material of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re generated as efficiently as possible.

참고로, 가정에서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LED 간이 UV 경화기는 UV 파장대가 390nm ~ 420nm 대역의 장파장 대역이며, 출력은 계측기가 측정이 어려울 정도로 매우 약하다. For reference, the simple LED UV curing device commonly used by users at home has a UV wavelength range of 390 nm to 420 nm, and the output is so weak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instrument to measure.

한편, 올리고머가 함유되는 경우 간이 UV 경화기를 이용해서는 신속한 경화를 발생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간이 경화기를 통해서도 충분하게 빠른 UV경화수지 조성물의 경화를 유도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올리고머는 함유하지 않고 모노머와 광개시제로만 UV경화수지 조성물을 구성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oligomer is contai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ause rapid curing using a simple UV curing machine. In order to induce sufficiently fast curing of the UV curing resin composition even through such a simple curing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does not contain oligomers and constitutes a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only with monomers and photoinitiator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노머는 단관능기 모노머로서 폴리에스터 계열의 단관능기 모노머로 적용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mer is applied as a monofunctional monomer of the polyester series as a monofunctional monomer.

UV경화수지 조성물이 관능기가 많은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대적으로 UV 경화 반응이 느리게 발생하는바, 사용자가 가정에서 간이 UV 경화기를 이용하여 젤 네일 스티커를 경화시킬때 신속한 반경화층(300)의 경화를 이루기 힘들게 되므로,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계열의 단관능기 모노머롤 포함함으로써 UV 간이 경화기를 이용해서도 신속한 경화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If the UV curing resin composition contains a monomer with many functional groups, the UV curing reaction occurs relatively slowly. Therefore, when a user cures a gel nail sticker using a simple UV curing machine at home, the rapid curing of the semi-curing layer 300 is achieved. Since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apid curing reaction even using a UV simple curing machine by including a polyester-based monofunctional monomer roll.

한편, 사용자가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매우 약한 UV 출력의 간이 경화기에서 최적의 UV 경화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UV 경화반응을 시작시키는 광개시제의 선정 및 함량이 매우 중요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generate an optimal UV curing reaction in a simple curing machine with very weak UV output commonly used by users at home, the selection and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that initiates the UV curing reaction is very importan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led 간이 UV 경화기의 주 파장대역인 390nm ~ 420nm에서 가장 극적인 개시활동을 할 수 있는 광개시제를 적용하고, UV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10중량부로 혼합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photoinitiator capable of the most dramatic initiation activity in the main wavelength range of 390nm to 420nm, which is the main wavelength of the led simple UV curing machine, and is mixed with 2 to 10 parts by weight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 curing resin composition.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개시제는 Phospine oxide 계열의 광개시제로 적용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initiator is applied as a photoinitiator based on Phospine oxide.

즉, 본 발명은 Phospine oxide 계열의 광개시제를 UV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10중량부로 혼합함으로써, led 간이 UV 경화기의 주 파장대역인 390nm ~ 420nm에서 UV경화수지 조성물, 즉 반경화층(300)이 효율적으로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that is, a semi-curing layer (300 ) can be efficiently cured.

부연하자면, Camphoroquinone 계열의 광개시제 또한 390nm ~ 420nm 파장대역의 충분한 개시 활동을 유도할 수 있으나, Camphoroquinone 계열의 광개시제는 황색을 띠고 있어 UV경화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반경화층(300)의 투명도를 저감시켜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the camphoroquinone-based photoinitiator can also induce sufficient initiation activity in the 390 nm to 420 nm wavelength band, but the camphoroquinone-based photoinitiator has a yellow color, so when included in the UV curing resin composition, the transparency of the semi-curing layer 300 is reduced, resulting in aesthetic aesthetics. There is a problem with the feeling falling.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Phospine oxide 계열의 광개시제는 Camphoroquinon 계열의 광개시제보다 투명한 컬러를 지니며 폴리에스터 계열의 단관능기 모노머와의 중합 효율 또한 뛰어난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hospine oxide-based photoinitiator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re transparent color than the camphoroquinon-based photoinitiator, and has excellent polymerization efficiency with polyester-based monofunctional monomers.

또한, 390nm ~ 420nm 파장대역에서 반응하는 다른 동류의 광개시제에는 1-phenyl-1,2-propanedione / p-octyloxy-phenyl-phenyl iodonium hexafluoroantimonate 등도 있으나, 폴리에스터 계열의 단관능기 모노머와의 중합 효율 및 투명도, 색상, 용해력 등에서 Phospine oxide 계열의 광개시제에 비해 비효율적이고 많은 단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In addition, other photoinitiators that react in the wavelength range of 390 nm to 420 nm include 1-phenyl-1,2-propanedione / p-octyloxy-phenyl-phenyl iodonium hexafluoroantimonate, but polymerization efficiency and transparency with monofunctional monomers of polyester series It is inefficient and causes many disadvantages compared to phospine oxide-based photoinitiators in terms of , color, and solu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Phospine oxide 계열의 광개시제는 UV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10중량부로 혼합되는데, 2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충분한 개시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UV경화수지 조성물, 즉 반경화층(300)의 UV 경화정도에 부족함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led 간이 UV 경화기를 이용하여 경화한 후에도 젤 네일 스티커 표면(반경화층)의 끈적거림이 잔재하게 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spine oxide-based photoinitiator is mixed in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The degree of UV curing of the semi-curing layer 300 is insufficient, so that the stickiness of the gel nail sticker surface (semi-curing layer) remains even after the user hardens it using a simple led UV curing machine.

또한, Phospine oxide 계열의 광개시제가 10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 혼합되는 경우, led 간이 UV 경화기에 반응하지 못한 Phospine Oxide 광개시제가 잔류하여 반경화층(300)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황변 현상이 발생하며, 따라서 젤 네일 스티커의 심미적인 부분에 있어 상당한 악영향을 초래한다.In addition, when the Phospine oxide-based photoinitiator is mixed in excess of 10 parts by weight, the PhospineOxide photoinitiator that has not reacted to the LED simple UV curing unit remains, resulting in a yellowing phenomenon in which the semi-cured layer 300 turns yellow, and thus gel nails It causes a considerable adverse effect on the aesthetic part of the sticker.

다음, 실란(Silane) 베이스 첨가제는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1 내지 6중량부를 갖도록 혼합된다.Next, a silane base additive is mixed so as to have 1 to 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mi-curing ink.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란 베이스 첨가제는 컬러층(200)과 반경화층(300)의 상호간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혼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컬러층과 반경화층 사이의 상호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별도의 프라이머 등을 개재하지 않고 실란 베이스 첨가제만으로도 충분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ane base additive is mixed to increase mutual adhesion between the color layer 200 and the semi-cured layer 3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mutual adhesion between the color layer and the semi-cured layer. In the meantime, sufficient adhesive strength can be provided with only the silane base additive without intervening a separate primer or the like.

부연하자면, 본 발명은 반경화 잉크에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1 내지 6 중량부로 실란 베이스 첨가제를 혼합하여 아래와 같이 트리하이드록시(trihydroxy)를 형성함으로써, 컬러층(200)의 인쇄 표면(상측 표면)과 반경화층(300) 사이에 강력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mixes 1 to 6 parts by weight of a silane base additive with 100 parts by weight of semi-curing ink in semi-curing ink to form trihydroxy as follows, thereby forming the printing surfac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200. surface) and the semi-cured layer 300 may provide adhesive force so that strong bonding is achieved.

Figure 112021097387821-pat00001
Figure 112021097387821-pat00001

따라서, 프라이머 등의 인쇄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컬러층(200)에 반경화 잉크를 직접 인쇄하여 반경화층(300)을 형성해도 컬러층(200)과 반경화층(300) 사이의 층간 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semi-cured layer 300 is formed by directly printing the semi-cured ink on the color layer 200 without adding a printing process such as a primer, interlayer separation between the color layer 200 and the semi-cured layer 300 occurs. can definitely be prevented.

여기서, 실란 베이스 첨가제 혼합비율이 전술한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생성되는 트리하이드록시의 양의 너무 적어 일정 이상의 접착력을 제공하기 힘들고 컬러층과 반경화층 간의 층간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Here,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silane base additive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amount of trihydroxy produced is too small to provide a certain level of adhesive strength, and interlayer separation between the color layer and the semi-cured layer may occur.

반대로, 실란 베이스 첨가제 혼합비율이 전술한 6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반경화 잉크의 열반응 속도가 매우 증가하여 열 건조공정에서 컬러층(200) 상측에 인쇄된 반경화층(300)이 단시간에 젤리 형태처럼 변화하여 인쇄 공정에서의 연속 작업이 불가해진다. 또한, 실란 베이스 첨가제 혼합비율이 전술한 6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실제 반경화 잉크를 이용한 1도 인쇄공정시 반경화 잉크에 첨가하는 경화제의 NCO와 급격히 반응하여 인쇄 표면(반경화층의 표면)이 거칠어져 표면 평활도에 문제가 발생한다.Conversely,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silane base additive exceeds 6 parts by weight, the thermal reaction rate of the semi-cured ink is greatly increased, so that the semi-cured layer 300 pri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200 in a heat drying process becomes jelly in a short time. It changes like a shape, making continuous work in the printing process impossible. In addition,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silane base additive exceeds 6 parts by weight, the printing surface (surface of the semi-cured layer) reacts rapidly with the NCO of the curing agent added to the semi-cured ink during the 1-degree printing process using the actual semi-cured ink. It becomes rough and a problem arises in surface smoothness.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경화 잉크는 아크릴 계열의 소포제를 더 포함한다.Nex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uring ink further includes an acrylic-based antifoaming agent.

본 발명은 반경화층(300)이 반경화 잉크의 1도 인쇄를 통해 500 내지 700㎛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1도 인쇄로 형성되는 이러한 두께는 얇은 편으로 볼 수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uring layer 300 has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through 1-degree printing of semi-curing ink. It is formed in thickness, but this thickness formed by one-degree printing cannot be seen as thin.

통상, 1도 인쇄로 형성되는 인쇄층의 도막 두께가 증가할수록 인쇄층 내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고 쉽게 소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소포력을 가진 물질을 인쇄 잉크에 첨가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계열의 첨가제는 백탁 현상을 일으켜 제품(젤 네일 스티커)의 투명도를 저해하게 된다.In general, as the coating film thickness of the printed layer formed by one-color printing increases, more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printed laye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not easily defoamed. In order to improve this, a material having antifoaming power should be added to the printing ink, but generally used silicon-based additives cause a cloudiness phenomenon and impair the transparency of the product (gel nail sticker).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경화 잉크에 아크릴 계열의 소포제를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1 내지 10중량부로 첨가한다. 따라서, 1도 인쇄로 500㎛ 이상의 반경화층(300) 두께를 형성해도 반경화층(300) 내부의 기포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투명도를 저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표면 평활도를 유지하여 전체 젤 네일 스티커의 돔(dome) 형상 또한 자연스럽고 부드럽고 구현 가능하다.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from occurring, the present invention adds 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antifoaming agen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mi-cured ink in the semi-cured ink. Therefore, even if a thickness of the semi-cured layer 300 of 500 μm or more is formed by one-time printing, air bubbles inside the semi-cured layer 300 can be easily removed, transparency is not impaired, and surface smoothness is maintained to maintain the dome of the entire gel nail sticker. The shape of the dome is also natural, soft and fea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경화 잉크는 전체적으로 4,000 내지 6,000 CPS의 점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반경화 잉크를 구성하는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 UV경화수지 조성물 및 실란 베이스 첨가제가 서로 혼합되기 전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은 15,000 내지 18,000 CPS의 점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uring ink is made to have a viscosity of 4,000 to 6,000 CPS as a whole, and the high 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semi-curing ink, the UV curing resin composition, and the silane base additive are mixed with each other before the high elasticity heat. The cured resin composition is made to have a viscosity of 15,000 to 18,000 CPS.

본 발명의 출원인은 다수의 실험을 반복 실시하여 1도 인쇄과정을 통해 500 내지 700㎛ 두께의 반경화층을 불량없이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경화 잉크의 점도가 4,000 내지 6,000 CPS를 유지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반경화 잉크의 점도가 4,000 CPS보다 낮은 경우, 반경화층 두께(인쇄도막 두께)가 감소하고 설정된 가장자리 외곽라인(젤 네일 스티커의 가장자리 외곽) 밖으로 반경화 잉크가 흘러내려 제품 불량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peatedly conducted a number of experiments and confirmed that the viscosity of the semi-cured ink should be maintained at 4,000 to 6,000 CPS in order to form a semi-cured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without defects through a 1-color printing process. In addition, when the viscosity of the semi-curing ink is lower than 4,000 CPS, the thickness of the semi-curing layer (printing film thickness) decreases and the semi-curing ink flows outside the set edge outline (outside the edge of the gel nail sticker), resulting in product defects. confirmed to have occurred.

또한, 본 출원인은 반경화 잉크의 점도가 6,000 CPS를 초과하는 경우, 반경화층의 인쇄시 인쇄제판을 통한 반경화 잉크의 내림성이 악화되어 설정된 가장자리 외곽라인(젤 네일 스티커의 가장자리 외곽)이 정교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viscosity of the semi-cured ink exceeds 6,000 CPS, the drop-down property of the semi-cured ink through the printing plate is deteriorated during printing of the semi-cured layer, so that the set edge outline (outside the edge of the gel nail sticker) is elaborate. It was confirmed that a problem that could not be formed occurred.

정리하자면, 본 출원인은 다수의 실험을 통해 반경화 잉크를 1도 인쇄하여 컬러층(200) 상측에 500 내지 700㎛의 두께로 반경화층(30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 UV경화수지 조성물, 실란 베이스 첨가제 및 아크릴 소포제로 이루어지는 반경화 잉크의 전체 점도가 4,000 내지 6,000 CPS의 점도를 갖는 상태에서 최적화된 잉크 인쇄 결과를 도출함을 확인하였다.To sum up, the present applicant printed a semi-cured ink through a number of experiments to form a semi-cured layer 300 with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200, the high 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t was confirmed that an optimized ink printing result was ob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total viscosity of the semi-cured ink composed of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the silane base additive, and the acrylic defoaming agent had a viscosity of 4,000 to 6,000 CPS.

세부적으로, 상기 조성물, 첨가제, 소포제의 혼합전에,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은 15,000 내지 18,000 CPS의 점도를 갖도록 하고, UV경화수지 조성물, 실란 베이스 첨가제, 아크릴 소포제 및 용제(알콜 또는 아세톤)을 첨가하여 전체적으로 반경화 잉크의 점도가 4,000 내지 6,000 CPS의 점도를 갖도록 점도를 조절하였다.Specifically, before mixing the composition, additives, and antifoaming agent, the high 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has a viscosity of 15,000 to 18,000 CPS, and the UV curing resin composition, silane base additive, acrylic antifoaming agent and solvent (alcohol or acetone) are added to Overall, the viscosity of the semi-cured ink was adjusted to have a viscosity of 4,000 to 6,000 CPS.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베이스필름층 110: 이형필름층
120: 접착제층 130: 베이스젤층
200: 컬러층 300: 반경화층
400: 보호필름층 500: 인쇄제판
510: 스크린 520: 유제도막
521: 상도면 유제도막 522: 하도면 유제도막
100: base film layer 110: release film layer
120: adhesive layer 130: base gel layer
200: color layer 300: semi-curing layer
400: protective film layer 500: printing plate
510: screen 520: emulsion film
521: top coat emulsion film 522: bottom coat emulsion film

Claims (12)

이형필름층, 접착제층 및 연질의 베이스젤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측에 적층되고 컬러와 무늬를 갖는 컬러층;
상기 컬러층의 상측에 적층되고 부분적으로 경화되어 연성을 갖는 반경화층; 및
상기 반경화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되,
상기 반경화층은 상기 컬러층의 상측에 반경화 잉크를 1도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고, 그 두께는 500 내지 700㎛이며,
상기 반경화층은 상기 컬러층의 상측에 인쇄제판을 마련하고 상기 반경화 잉크가 상기 인쇄제판을 통과한 후 상기 컬러층의 상측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인쇄제판은,
상기 반경화 잉크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스크린; 및
상기 반경화 잉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크린의 상면과 하면에 마련되되, 500 내지 700㎛의 두께로 형성되는 유제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 base film layer in which a release film layer, an adhesive layer, and a soft base gel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a color layer laminated on top of the base film layer and having colors and patterns;
a semi-cured layer laminated on top of the color layer and partially cured to have ductility; and
Including a protective film layer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mi-cured layer,
The semi-curing layer is formed through a process of printing a semi-curing ink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and has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The semi-curing layer is formed by providing a printing plate on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and allowing the semi-curing ink to pass through the printing plate and then guide it to the upper side of the color layer,
The printing plate,
a screen through which the semi-cured ink passes; and
A gel nail sticker comprising an emulsion film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creen to prevent the semi-curing ink from passing through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500 to 700 μ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화 잉크는,
상기 반경화층에 일정 이상의 탄성을 제공가능하며 상기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70 내지 75 중량부를 갖는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
자외선에 반응하며 상기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20 내지 25중량부를 갖는 UV경화수지 조성물; 및
상기 반경화 잉크 100중량부 대비 1 내지 6중량부를 갖는 실란(Silane) 베이스 첨가제를 포함하여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ccording to claim 1,
The semi-curing ink,
a highly elastic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capable of providing a certain or more elasticity to the semi-curing layer and having 70 to 7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mi-curing ink;
A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that reacts to ultraviolet rays and has 20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mi-curing ink; and
A gel nail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mixed with a silane base additive having 1 to 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mi-curing in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50 내지 70중량부를 갖는 고탄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고, 아크릴, 우레탄 및 에폭시 수지는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ccording to claim 2,
The high 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high elasticity polyester resin having 50 to 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igh 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does not contain acrylic, urethane and epoxy resins Gel nail stick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V경화수지 조성물은,
상기 UV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80 내지 85중량부를 갖는 모노머; 및
상기 UV경화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10중량부를 가지며, 390nm 내지 420nm의 광파장영역을 가지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올리고머는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A monomer having 80 to 8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It has 2 to 1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includes a photoinitiator having an optical wavelength region of 390 nm to 420 nm,
A gel nail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contain oligom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단관능기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ccording to claim 4,
The monomer is a gel nail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ofunctional monom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ccording to claim 4,
The monomer is a gel nail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ester-based monom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Phospine oxide 계열의 광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ccording to claim 4,
The photoinitiator is a gel nail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spine oxide-based photoiniti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화 잉크는 아크릴 계열의 소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ccording to claim 2,
The semi-curing ink further comprises an acrylic-based antifoaming ag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gel nail stick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화 잉크는 전체적으로 4,000 내지 6,000 CPS의 점도를 갖고,
혼합 전 상기 고탄성 열경화수지 조성물은 15,000 내지 18,0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ccording to claim 2,
The semi-curing ink has a viscosity of 4,000 to 6,000 CPS as a whole,
The gel nail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 elasticity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before mixing has a viscosity of 15,000 to 18,000 CP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도막은,
상기 반경화 잉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마련되며 350 내지 500㎛의 두께로 형성되는 상도면 유제도막; 및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스크린의 하면에 마련되며 150 내지 200㎛의 두께로 형성되는 하도면 유제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ccording to claim 1,
The emulsion film,
a top coat emulsion film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to prevent the semi-curing ink from passing through and having a thickness of 350 to 500 μm; and
A gel nail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ttom oil film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oil film and formed to a thickness of 150 to 200 μ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판은 다음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네일 스티커.
(a)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2회 도포하고, 상기 스크린의 하면에 상기 하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2회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b) 상기 (a)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2회 추가 도포하고, 상기 스크린의 하면에 상기 하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2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c) 상기 (b)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하면에 상기 하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d) 상기 (c)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하면에 상기 하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2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e) 상기 (d)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3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f) 상기 (e)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3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g) 상기 (f)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3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h) 상기 (g)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15~25분 가열하는 과정;
(i) 상기 (h)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55~65분 가열하는 과정;
(j) 상기 (i)단계 후, 상기 스크린의 상면에 상기 상도면 유제도막 형성을 위해 유제를 제1 기설정 두께로 5회 추가 도포한 후, 45~55도로 55~65분 가열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제1 기설정 두께는 12 내지 18㎛ ,
상기 제2 기설정 두께는 10 내지 15㎛.




According to claim 11,
The gel nail stic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ting plate is made sequentially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a) To form the top oil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an oil agent is applied twice with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o form the lower surface oil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the oil agent is applied to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After applying twice,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b) After the step (a), an emulsion is additionally applied twice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the top oil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and to form the oil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After applying the emulsion two times at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c) after the step (b),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5 times at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ndercoating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d) after step (c),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5 times at a second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ndercoating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e) after the step (d),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three times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f) after step (e),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three times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g) after step (f),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three times at a first preset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h) after step (g),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5 times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15 to 25 minutes;
(i) after step (h),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5 times to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55 to 65 minutes;
(j) after the step (i), additionally applying an emulsion 5 times at a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n emulsio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ollowed by heating at 45 to 55 degrees for 55 to 65 minutes;
Here, the first predetermined thickness is 12 to 18㎛,
The second preset thickness is 10 to 15 μm.




KR1020210111445A 2021-08-24 2021-08-24 gel nail sticker KR102528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45A KR102528810B1 (en) 2021-08-24 2021-08-24 gel nail stic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45A KR102528810B1 (en) 2021-08-24 2021-08-24 gel nail stic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211A KR20230029211A (en) 2023-03-03
KR102528810B1 true KR102528810B1 (en) 2023-05-11

Family

ID=8551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445A KR102528810B1 (en) 2021-08-24 2021-08-24 gel nail stic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81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4155A (en) * 2012-06-25 2014-01-16 Gg Corporation Co Ltd Nail decoration stic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149668A (en) * 2016-02-24 2017-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Nail primer composition, artificial nail, method of forming artificial nail, and nail art kit
KR102184087B1 (en) * 2019-08-23 2020-11-30 주식회사 이노뷰텍 Gel nail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832A (en) 2019-01-31 2019-02-20 (주)선우인더스트리 Gel nail stic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4155A (en) * 2012-06-25 2014-01-16 Gg Corporation Co Ltd Nail decoration stic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149668A (en) * 2016-02-24 2017-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Nail primer composition, artificial nail, method of forming artificial nail, and nail art kit
KR102184087B1 (en) * 2019-08-23 2020-11-30 주식회사 이노뷰텍 Gel nail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211A (en)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3103B2 (en) Gel nail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184087B1 (en) Gel nail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94838B1 (en) Adhesive gel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870215B2 (en) In-mold transfer film provided with elastic tex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024666B1 (en) Gel nail sticker manufacturing method
EP4088614A1 (en) Gel nail stic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313488B1 (en) Semi-cured gel nail stick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024663B1 (en) Gel nail sticker
CN104366952A (en) Nail/toenail sticker
KR102308728B1 (en) Gel nail lab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02653B1 (en) Nail stic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WO2007116942A1 (en)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503250B1 (en) Nail stic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28810B1 (en) gel nail sticker
KR20210084358A (en) Nail ar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il art
KR102539186B1 (en) Adhesive gel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15498B1 (en) Decoration for nail
KR102304140B1 (en) Nail ar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il art
KR102304141B1 (en) Method for preparing the nail art
KR101601336B1 (en) Adhesive Sheet for exterior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393644B1 (en) Adhesive gel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82916B1 (en) Adhesive for nail art and nail art
KR102419887B1 (en) Gel nail sticker for nail extension and nail art method by using the same to extend nails
JP7164240B1 (en) Gel nail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reatment method using gel nail sticker
US20210219696A1 (en) Method for preparing the nail 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