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457B1 -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457B1
KR102528457B1 KR1020160026359A KR20160026359A KR102528457B1 KR 102528457 B1 KR102528457 B1 KR 102528457B1 KR 1020160026359 A KR1020160026359 A KR 1020160026359A KR 20160026359 A KR20160026359 A KR 20160026359A KR 102528457 B1 KR102528457 B1 KR 102528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net data
unit
node
buffer
mac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439A (ko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6002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45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0Support for services
    • H04L49/201Multicast operation; Broadcast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49/252Store and forward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노드 유닛은, 복수의 하위 노드와 연결되는 노드 유닛으로서, MAC(Media Access Control) 모듈, 및 MAC 모듈과 복수의 하위 노드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큐잉엔진을 포함하고, 큐잉엔진은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복수의 하위 노드에 멀티캐스팅하고,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MAC 모듈에 전달하며,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MAC 모듈에 출력하는 버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NODE UNIT COMPRISING QUEUING ENGINE FOR MULTITASKING ETHERNET DATA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OMPRISING FOR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QUEUING ENGINE)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매크로(macro) 무선 기지국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였으나, 최근 부가 기능의 하나로 LTE/3G 스몰셀(smallcell)과 와이파이(WiFi)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백홀(backhaul) 전송 망의 기능을 지원하면서 이더넷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복잡도가 높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C&M(Control & Management) 채널의 인터페이스로 높은 스루풋(Throughput)과 신뢰성을 갖는 이더넷(Ethernet)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이더넷 사용은 점차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마스터 유닛(Master Unit)과 수십 개의 리모트 유닛(Remote Unit) 사이, 그리고 캐스케이드(Cascade) 연결된 리모트 유닛들 사이에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의 외부에 L2 스위치(Layer 2 Switch)와 같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이더넷 데이터의 경로를 제어한다.
그러나, 수십 개의 링크와의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클록(clock) 및 제어 신호(control signal)가 제외되더라도,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의 경우 10개, GMII(Gigabit MII)의 경우 18개의 핀 할당(pin assign)이 요구되는 등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QUEUING ENGINE)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에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디지털 보드의 하드웨어적인 단순화를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노드 유닛은, 복수의 하위 노드와 연결되는 노드 유닛으로서, MAC(Media Access Control) 모듈; 및 상기 MAC 모듈과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큐잉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MAC 모듈에 전달하며,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MAC 모듈에 출력하는 버퍼;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노드 유닛의 디지털 파트를 구성하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버퍼는 FIFO(First-In First-Out) 버퍼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FIFO 버퍼는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풀 프레임 길이(Full Frame Length)의 2배 이상의 크기를 갖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더넷 데이터는 상기 노드 유닛과 연결된 외부 관리 장치로부터 또는 상기 외부 관리 장치로 전송되는 제어/관리 신호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큐잉엔진은 TX_EN 신호가 제1 레벨인 때에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하는 신호 제어 로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큐잉엔진은 RX_DV 신호가 제1 레벨인 때에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하는 신호 제어 로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버퍼로부터 상기 이더넷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MAC 모듈에 출력하는 스케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스케줄러는 TX_EN 신호가 제1 레벨인 때에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큐잉엔진은 RX_DV 신호가 제1 레벨인 때에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양태에 따른 노드 유닛은, 상위 노드 및 하위 노드와 캐스케이드 연결되는 노드 유닛으로서, MAC(Media Access Control) 모듈; 및 상기 MAC 모듈, 상기 상위 노드 및 상기 하위 노드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큐잉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상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MAC 모듈 및 상기 하위 노드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MAC 모듈 및 상기 상위 노드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상위 노드 및 상기 하위 노드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상위 노드 또는 상기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MAC 모듈에 출력하는 제1 버퍼와, 상기 상위 노드 또는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하위 노드에 출력하는 제2 버퍼와, 상기 하위 노드 또는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상위 노드에 출력하는 제3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노드 유닛의 디지털 파트를 구성하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버퍼는 FIFO(First-In First-Out) 버퍼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FIFO 버퍼는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풀 프레임 길이(Full Frame Length)의 2배 이상의 크기를 갖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더넷 데이터는 상기 노드 유닛과 연결된 외부 관리 장치로부터 또는 상기 외부 관리 장치로 전송되는 제어/관리 신호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제1 버퍼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MAC 모듈에 출력하는 제1 스케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제2 버퍼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하위 노드에 출력하는 제2 스케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제3 버퍼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상위 노드에 출력하는 제3 스케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마스터 유닛; 및 상기 마스터 유닛에 연결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상위 리모트 유닛 및 하위 리모트 유닛과 캐스케이드 연결되는 리모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유닛은, 마스터 유닛 MAC(Media Access Control) 모듈과, 상기 마스터 유닛 MAC 모듈과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마스터 유닛 큐잉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유닛 큐잉엔진은, 상기 마스터 유닛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유닛 MAC 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마스터 유닛 MAC 모듈에 출력하는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캐스케이드 연결된 리모트 유닛은, 리모트 유닛 MAC 모듈과,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 및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리모트 유닛 큐잉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유닛 큐잉엔진은,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 및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 및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 및 상기 하위 노드 리모트 유닛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 또는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으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에 출력하는 제1 버퍼와,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 또는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에 출력하는 제2 버퍼와,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 또는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에 출력하는 제3 버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목적지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ss) 필드를 참조하지 않고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Multicasting)하는 큐잉엔진(QUEUING ENGINE)을 이용하므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에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디지털 보드의 하드웨어적인 단순화 및 L2 스위치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 미사용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신호 분산 전송 시스템의 일 형태로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토폴로지(Topology)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마스터 유닛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스터 유닛에 신호 제어 로직이 추가적으로 적용된 번형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리모트 유닛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신호 분산 전송 시스템의 일 형태로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토폴로지(Topology)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1)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헤드엔드 노드(Headend Node)를 구성하는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Base station Interface Unit; BIU)(100), 마스터 유닛(Master Unit; MU)(200), 확장 노드(Extention Node)인 허브(HUB)(300), 원격의 각각의 서비스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Remote Unit; RU)(4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은 아날로그 DAS 또는 디지털 DAS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의 혼합형(즉, 일부 노드는 아날로그 처리, 다른 일부 노드는 디지털 처리를 수행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의 토폴로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은 설치 영역 및 적용 분야(예를 들어, 인빌딩(In-Building), 지하철(Subway), 병원(Hospital), 경기장(Stadium) 등)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토폴로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 마스터 유닛(200), 허브(300), 리모트 유닛(400)의 개수 및 상호 간의 상/하위 단의 연결 관계는 도 1과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1)에서 허브(200)는 설치가 필요한 리모트 유닛(400)의 개수에 비해 마스터 유닛(200)로부터 스타(STAR) 구조로 브랜치(Brach)될 브랜치 수가 제한적인 경우에 활용된다. 따라서, 단일의 마스터 유닛(200)만으로도 설치가 필요한 리모트 유닛(400)의 개수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경우 또는 복수의 마스터 유닛(200)이 설치되는 경우 등에는 허브(200)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으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의 토폴로지를 중심으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1) 내의 각 노드 및 그 기능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은 기지국 등의 BTS(Basestation Transceiver System)와 분산 안테나 시스템(1) 내의 마스터 유닛(200)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복수의 BTS가 단일의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과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은 각 사업자 별, 각 주파수 대역 별, 각 섹터 별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BTS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는 고전력(High Power)의 신호이므로, 일반적으로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은 이와 같은 고전력의 RF 신호를 마스터 유닛(200)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전력의 RF 신호로 변환시키고 이를 마스터 유닛(20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은, 구현 방식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파수 대역 별(또는 각 사업자 별, 섹터 별) 이동 통신 서비스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콤바인(combine)한 후 마스터 유닛(200)으로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이 BTS의 고전력 신호를 저전력으로 낮춘 후, 각 이동 통신 서비스 신호를 콤바인하여 마스터 유닛(200)으로 전달하는 경우, 마스터 유닛(200)은 콤바인되어 전달된 이동 통신 서비스 신호(이하, 중계 신호라 함)를 브랜치 별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이 디지털 DAS로 구현되는 경우,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은 BTS의 고전력 RF 신호를 저전력 RF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과, 저전력 RF 신호를 IF 신호(Intermediate Frequency signal)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하여 이를 콤바인하는 유닛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위와 달리, 만일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이 BTS의 고전력 RF 신호를 저전력 RF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 마스터 유닛(200)이 전달된 각 중계 신호를 콤바인하고 이를 브랜치 별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 유닛(200)의 구체적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2를 통해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유닛(200)으로부터 분배된 콤바인된 중계 신호는 브랜치 별(도 1의 Branch #1, …, Branch #k,…, Branch #N 참조)로 허브(300)를 통해서 또는 직접적으로 리모트 유닛(400)으로 전달된다.
각각의 리모트 유닛(400)은 전달받은 콤바인된 중계 신호를 주파수 대역 별로 분리하고, 신호 처리(아날로그 DAS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 디지털 DAS의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리모트 유닛(400)에서는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서 자신의 서비스 커버리지 내의 사용자 단말로 중계 신호를 전송한다. 리모트 유닛(400)의 구체적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4를 통해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의 경우, BTS와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 간 그리고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과 마스터 유닛(200) 간에는 RF 케이블로 연결되고, 마스터 유닛(200)으로부터 그 하위 단까지는 모두 광 케이블로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각 노드 간의 신호 전송 매체(signal transport medium)는 이와 다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예로,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100)과 마스터 유닛(200) 간은 RF 케이블을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지만, 광 케이블 또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마스터 유닛(200)과 허브(300) 그리고 마스터 유닛(200)과 직접 연결되는 리모트 유닛(400) 간에는 광 케이블로 연결되고, 케스케이드(Cascade) 연결된 리모트 유닛(400) 상호 간에는 RF 케이블, 트위스트 케이블, UTP 케이블 등을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마스터 유닛(200)과 직접 연결되는 리모트 유닛(400)도 RF 케이블, 트위스트 케이블, UTP 케이블 등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마스터 유닛(200), 허브(300), 리모트 유닛(400)은 전광변환/광전변환을 위한 광 트랜시버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의 광 케이블로 노드 간 연결되는 경우에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관리 장치(도 1의 NMS(Network Management Server 또는 System)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NMS를 통해서 원격에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의 각 노드의 상태 및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에서 각 노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각 노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관리 신호는 높은 스루풋(Throughput)과 높은 신뢰성을 갖는 이더넷 프로토콜(Ethernet Protocol)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무선 기지국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 외에 LTE/3G 스몰셀(smallcell)과 와이파이(WiFi)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백홀(backhaul) 전송 망의 기능을 지원하면서 이더넷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마스터 유닛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의 블록도는 노드 간 연결이 광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는 디지털 DAS 내의 마스터 유닛(200)에 관한 일 구현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2의 마스터 유닛(20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데이터 전송을 위한 큐잉엔진(QUEUING ENGINE)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큐잉엔진은 마스터 유닛(200)의 디지털 파트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마스터 유닛(200)의 디지털 파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가 적용되는 경우, 큐잉엔진은 그 FPGA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유닛(200)은 MAC(Media Access Control) 모듈(210), 디지털 파트를 구성하는 FPGA(220), 복수의 광/전 변환기(E/O Converter)(230)를 포함한다.
MAC 모듈(210)은 어드레싱(Addressing) 및 채널 액세스 컨트롤(Channel Access Control) 기능을 수행한다.
FPGA(220)는 큐잉엔진(221), 큐잉엔진(221)과 연결된 복수의 프레이머/서데스(Framer/SerDes)(222)를 포함한다. 큐잉엔진(221)은 MAC 모듈(210)과 복수의 프레이머/서데스(222) 간의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복수의 프레이머/서데스(222)는 마스터 유닛(200)의 하위 노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400)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프레이머/서데스(222)는 브랜치 별(도 1 참조)로 존재할 수 있다.
MAC 모듈(210)로부터 이더넷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큐잉엔진(221)은 MAC 모듈(210)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이더넷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목적지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ss) 필드를 참조하지 않고) 복수의 프레이머/서데스(222)에 멀티캐스팅(broadcasting)한다. 프레이머/서데스(222)는 큐잉엔진(221)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팅(Formatting)하고, 병렬 디지털 신호를 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광/전 변환기(230)는 프레이머/서데스(22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서 리모트 유닛(40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유닛(200)의 MAC 모듈(210)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가 하위 노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400)에 멀티캐스팅되지만, 각각의 리모트 유닛(400)은 이더넷 데이터의 목적지 어드레스가 자신이 아니면 이를 수용하지 않으므로, 스루풋(throughput)이 저하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위 노드인 리모트 유닛(400)으로부터 이더넷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각각의 광/전 변환기(230)는 광 케이블을 통해서 리모트 유닛(400)으로부터 수신된 광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레이머/서데스(222)에 전송한다. 프레이머/서데스(222)는 직렬 디지털 신호를 병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주파수 대역 별 처리에 적합한 포맷으로 리포맷팅(Reformatting)한다. 큐잉엔진(221)은 각각의 프레이머/서데스(222)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MAC 모듈(210)에 전달한다.
리모트 유닛(400)에서는 마스터 유닛(200)의 요청에 대해 응답할 경우 또는 이상 발생 시 경보(alarm) 정보가 있을 경우에 상위 노드로 이더넷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각각의 리모트 유닛(400)에 대응하는) 각각의 프레이머/서데스(222)와 MAC 모듈(210) 간 이더넷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전용 링크를 보장할 필요는 없다.
큐잉엔진(221)은 프레이머/서데스(222)와 MAC 모듈(210) 간 이더넷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가 이미 점유 중일 경우, 프레이머/서데스(22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를 순서대로 MAC 모듈(210)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큐잉엔진(221)은 하나 이상의 수신버퍼(221-2) 및 스케줄러(SCHEDULER)(22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버퍼(221-2)는 하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400)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스케줄러(221-1)에 입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케줄러(221-1)는 하나 이상의 수신버퍼(RX BUFFER)(221-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를 MAC 모듈(210)로 출력할 수 있다. 스케줄러(221-1)가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케줄러(221-1)는 FIFO(First-In First-Out) 버퍼를 포함하여 수신버퍼(221-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입력 순서에 따라 MAC 모듈(210)로 출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큐잉엔진(221)과 MAC 모듈(210) 간 링크가 이미 점유 중이고, 스케줄러(221-1)에 포함된 버퍼가 다 차서(full 상태) 저장 공간이 부족할 경우, 이더넷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으므로, 수신버퍼(221-2) 또한 FIFO 버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버퍼(221-2)는 이더넷 데이터의 풀 프레임 길이(full frame length)의 2 배 이상의 충분한 크기를 갖는 FIFO 버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더넷 데이터가 유실된다고 하더라도 이더넷 프로토콜의 베스트 에포트(Best Effort) 전송 특성 상 랜덤 백오프(Random Backoff)를 통해 이더넷 데이터를 재전송하므로, 수신버퍼(221-2)는 요구되는 스루풋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FIFO 버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프레이머 및 서데스가 단일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프레이머 및 서데스는 각각의 유닛으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마스터 유닛에 신호 제어 로직이 추가적으로 적용된 번형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큐잉엔진(221)은 신호 제어 로직(221-3)을 구비할 수 있다. 당해 신호 제어 로직(221-3)은 큐잉엔진(221) 내에 별도로 구비된 구성요소이거나 도 2에서 설명한 스케줄러(221-1) 내에 구현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신호 제어 로직(221-3)은 MAC 모듈(210)로부터 또는 프레이머/서데스(222)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인 경우 프레이머/서데스(222)로 멀티캐스팅하거나 MAC 모듈(210)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 제어 로직(221―3)은 MAC 모듈(210)로부터의 TX_EN 신호(transmit enable signal)가 제1 레벨(예를 들어, 하이(high))이고, 및/또는 프레이머/서데스(222)로부터의 RX_DV 신호(receive data valid signal)가 제1 레벨인 때에만 유효한 이더넷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유효한 이더넷 데이터가 아닐 경우, 신호 제어 로직(221-3)은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드롭(drop)하고, 다음 단의 프레이머/서데스(222)로 멀티캐스팅하거나 MAC 모듈(210)로 전달하지 않는다.
도 3에서는 신호 제어 로직(221-3)이 큐잉엔진(221)의 송신단 및 수신단에 각각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송신단 및 수신단에 연결된 단일의 로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로직(221-3)은 스케줄러(221-1) 내에 구성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리모트 유닛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의 블록도는 노드 간 연결이 광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는 디지털 DAS 내의 리모트 유닛(400)에 관한 일 구현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특히, 도 4의 블록도는 상위 단의 리모트 유닛 및 하위 단의 리모트 유닛과 캐스케이드(cascade) 연결된 리모트 유닛(400)을 예시하고 있다.
도 4의 리모트 유닛(40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데이터 전송을 위한 큐잉엔진(QUEUING ENGINE)이 적용된다. 도 4의 중위 단의 리모트 유닛(400)에 적용된 큐잉엔진은 상위 단의 리모트 유닛 및/또는 하위 단의 리모트 유닛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큐잉엔진은 리모트 유닛(400)의 디지털 파트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리모트 유닛(400)의 디지털 파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FPGA가 적용되는 경우, 큐잉엔진은 그 FPGA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모트 유닛(400)은 MAC(Media Access Control) 모듈(410), 디지털 파트를 구성하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420), 복수의 광/전 변환기(E/O Converter)(430, 440)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430, 440은 상위 단의 리모트 유닛(Upper RU)에 연결된 광/전 변환기와 하위 단의 리모트 유닛(Lower RU)에 연결된 광/전 변환기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MAC 모듈(410)은 어드레싱(Addressing) 및 채널 액세스 컨트롤(Channel Access Control) 기능을 수행한다.
FPGA(420)는 큐잉엔진(421), 큐잉엔진(421)과 연결된 복수의 프레이머/서데스(Framer/SerDes)(422, 423)를 포함한다. 큐잉엔진(421)은 MAC 모듈(410)과 복수의 프레이머/서데스(422, 423)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레이머/서데스(422)는 리모트 유닛(400)의 상위 노드를 구성하는 리모트 유닛(Upper RU)에 대응하여 구성되고, 프레이머/서데스(423)는 리모트 유닛(400)의 하위 노드를 구성하는 리모트 유닛(Lower RU)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이더넷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광/전 변환기(440)는 광 케이블을 통해서 상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광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레이머/서데스(422)에 전송한다. 프레이머/서데스(422)는 직렬 디지털 신호를 병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주파수 대역 별 처리에 적합한 포맷으로 리포맷팅(Reformatting)한다.
큐잉엔진(421)은 프레이머/서데스(422)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MAC 모듈(410)에 및 하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 멀티캐스팅한다.
프레이머/서데스(423)는 큐잉엔진(421)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팅하고, 병렬 디지털 신호를 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광/전 변환기(430)는 프레이머/서데스(423)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서 하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한다.
하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이더넷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광/전 변환기(430)는 광 케이블을 통해서 하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광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레이머/서데스(423)에 전송한다. 프레이머/서데스(423)는 직렬 디지털 신호를 병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주파수 대역 별 처리에 적합한 포맷으로 리포맷팅(Reformatting)한다.
큐잉엔진(421)은 프레이머/서데스(423)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MAC 모듈(410) 및 상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 멀티캐스팅한다.
프레이머/서데스(422)는 큐잉엔진(421)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팅하고, 병렬 디지털 신호를 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광/전 변환기(440)는 프레이머/서데스(42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서 상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한다.
MAC 모듈(410)로부터 이더넷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큐잉엔진(421)은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 및/또는 하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 멀티캐스팅한다.
프레이머/서데스(422)는 큐잉엔진(421)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팅하고, 병렬 디지털 신호를 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광/전 변환기(440)는 프레이머/서데스(42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서 상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한다.
프레이머/서데스(423)는 큐잉엔진(421)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팅하고, 병렬 디지털 신호를 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광/전 변환기(430)는 프레이머/서데스(423)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서 하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한다.
큐잉엔진(421)은 MAC 모듈(410) 및 복수의 프레이머/서데스(422, 423)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가 이미 점유 중일 경우, 프레이머/서데스(422, 42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를 순서대로 MAC 모듈(410)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큐잉엔진(421)은 스케줄러(421-1, 421-2, 421-3), 로컬버퍼(421-4), 수신 버퍼(421-5) 및 발신 버퍼(421-6)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러(421-1, 421-2, 421-3)는 링크의 방향에 따라 로컬 스케줄러(Local Scheduler)(421-1), 발신 스케줄러(Tx Scheduler)(421-2), 수신 스케줄러(Rx Scheduler)(421-3)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스케줄러(421-1, 421-2, 421-3)는 연결된 하나 이상의 버퍼(421-4, 421-5 및/또는 421-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스케줄러(Local Scheduler)(421-1)는 로컬버퍼(421-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를 MAC 모듈(410)로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발신 스케줄러(421-2)는 발신버퍼(421-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를 프레이머/서데스(423)로 출력할 수 있다. 스케줄러(421-1, 421-2, 421-3)가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케줄러(421-1, 421-2, 421-3)는 FIFO(First-In First-Out) 버퍼를 포함하여 연결된 하나 이상의 버퍼(421-4, 421-5 및/또는 421-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입력 순서에 따라 MAC 모듈(210)로 출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로컬버퍼(421-4), 수신 버퍼(421-5) 및/또는 발신 버퍼(421-6)는 FIFO(First-In First-Out) 버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스터 유닛(200)의 스케줄러(221-1) 및 수신 버퍼(221-2)와 유사하게, 큐잉엔진(421)의 구성요소(421-1, 421-2. 421-3, 421-4, 421-5, 421-6)는 이더넷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및/또는 충분한 크기의 FIFO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로컬 스케줄러(421-1)를 예로 설명하면, 로컬 버퍼(421-4)는 연결된 상위 및/또는 하위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로컬 스케줄러(421-1)로 출력할 수 있고, 로컬 스케줄러(421-1)는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MAC 모듈(4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로컬 스케줄러(421-1) 및/또는 로컬 버퍼(421-4)는 FIFO 버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발신 버퍼(421-6)는 연결된 상위 노드 및/또는 MAC 모듈(410)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발신 스케줄러(421-2)로 출력할 수 있고, 발신 스케줄러(421-2)는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하위 노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버퍼(421-5)는 연결된 하위 노드 및/또는 MAC 모듈(410)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수신 스케줄러(421-3)로 출력할 수 있고, 수신 스케줄러(421-3)는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위 노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421-1, 421-2. 421-3, 421-4, 421-5, 421-6)에 포함된 버퍼는 요구되는 스루풋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FIFO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큐잉엔진(421)은 상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로컬 스케줄러(421-1) 및/또는 발신 스케줄러(421-2)에 입력시킬 수 있다. 이때, 상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는 로컬 버퍼(421-4)를 통해 로컬 스케줄러(421-1)로 입력될 수 있고, 발신 버퍼(421-6)를 통해 발신 스케줄러(421-2)로 입력될 수 있다. 로컬 버퍼(421-4)는 입력된 이더넷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로컬 스케줄러(421-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큐잉엔진(421)은 하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로컬 스케줄러(421-1) 및/또는 수신 스케줄러(421-3)에 입력시킬 수 있다. 이때 하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는 로컬 버퍼(421-4)를 통해 로컬 스케줄러(421-1)로 입력될 수 있고, 수신 버퍼(421-5)를 통해 수신 스케줄러(421-3)로 입력될 수 있다. 발신 버퍼(421-6)는 입력된 이더넷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발신 스케줄러(421-2)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큐잉엔진(421)은 MAC 모듈(410)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발신 스케줄러(421-2) 및/또는 수신 스케줄러(421-3)에 입력시킬 수 있다. 이때, MAC 모듈(410)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는 수신 버퍼(421-5)를 통해 수신 스케줄러(421-3)로 입력될 수 있고, 발신 버퍼(421-6)를 통해 발신 스케줄러(421-2)로 입력될 수 있다. 수신 버퍼(421-5)는 입력된 이더넷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수신 스케줄러(421-3)에 전송할 수 있다.
로컬 스케줄러(421-1)는 이더넷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MAC 모듈(410)에 전송할 수 있다. 발신 스케줄러(421-2)는 이더넷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하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에 대응하는 프레이머/서데스(423)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 스케줄러(421-3)는 이더넷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위 노드의 리모트 유닛에 대응하는 프레이머/서데스(422)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은 상위 노드 또는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MAC 모듈(400)에 출력하는 제1 구성(로컬 스케줄러(421-1) 및 로컬 버퍼(42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은 상위 노드 또는 MAC 모듈(400)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하위 노드에 출력하는 제2 구성(발신 스케줄러(421-2) 및 발신 버퍼(42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은 하위 노드 또는 MAC 모듈(400)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위 노드에 출력하는 제3 구성(수신 스케줄러(421-3) 및 수신 버퍼(42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프레이머 및 서데스가 단일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프레이머 및 서데스는 각각의 유닛으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의 리모트 유닛(400)은 서비스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로 제공하고,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업 컨버터(Up Converter), PAU(Power Amplification Unit), LNA(Low Noise Amplifier), 다운 컨버터(Down Converte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등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마스터 유닛(200)의 큐잉엔진(221)이 수신 버퍼(221-2)만 포함하고, 발신 버퍼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예시되었다. 하지만 분산 안테나 시스템(1)에 복수의 마스터 유닛(200)이 포함되고, 복수의 마스터 유닛(200) 상호 간에 연결되어 이더넷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 마스터 유닛(200)의 큐잉엔진(221)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마스터 유닛(200)이 리모트 유닛(400)과 유사하게 동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복수의 마스터 유닛(200) 중 임의의 마스터 유닛(200)은 다른 마스터 유닛(200)에게 하위 노드 또는 상위 노드인 것처럼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허브(300)에도 큐잉엔진이 포함될 수 있다. 허브(300)에 포함된 큐잉엔진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유닛(400)이 하위 노드로 NMS 데이터(NMS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에는 하위 노드로 NM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 경우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은 MAC 모듈(410)으로부터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는 발신 버퍼(421-6), 발신 스케줄러(421-2), 하위 노드로부터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는 로컬 버퍼(421-4)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유닛(400)은 이더넷 포트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에는 하위 노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레이머/서데스(423)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에는 각 프레이머/서데스(423)에 대응되는 복수의 로컬 버퍼(421-4) 및/또는 수신 버퍼(421-5)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에는 상위 노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레이머/서데스(422)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 유닛(400)의 큐잉엔진(421)에는 각 프레이머/서데스(422)에 대응되는 복수의 로컬 버퍼(421-4) 및/또는 발신 버퍼(421-6)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상황에 따라 상이한 큐잉엔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분산 안테나 시스템
100: 베이스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유닛
200: 마스터 유닛
210: 마스터 유닛 MAC 모듈
220: 마스터 유닛 FPGA
221: 마스터 유닛 큐잉엔진

Claims (19)

  1. 복수의 하위 노드와 연결되는 노드 유닛으로서,
    MAC(Media Access Control) 모듈; 및
    상기 MAC 모듈과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큐잉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MAC 모듈에 전달하며,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MAC 모듈에 출력하는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큐잉엔진은,
    RX_DV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하도록 구성되는, 노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노드 유닛의 디지털 파트를 구성하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내에 구현되는, 노드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FIFO(First-In First-Out) 버퍼인, 노드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FIFO 버퍼는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풀 프레임 길이(Full Frame Length)의 2배 이상의 크기를 갖는, 노드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데이터는 상기 노드 유닛과 연결된 외부 관리 장치로부터 또는 상기 외부 관리 장치로 전송되는 제어/관리 신호인, 노드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잉엔진은 TX_EN 신호가 제1 레벨인 때에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하는 신호 제어 로직;
    을 더 포함하는, 노드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RX_DV 신호가 제1 레벨인 때에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하는 신호 제어 로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버퍼로부터 상기 이더넷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MAC 모듈에 출력하는 스케줄러;
    를 더 포함하는, 노드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TX_EN 신호가 제1 레벨인 때에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하는, 노드 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RX_DV 신호가 제1 레벨인 때에 상기 복수의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하는, 노드 유닛.
  11. 상위 노드 및 하위 노드와 캐스케이드 연결되는 노드 유닛으로서,
    MAC(Media Access Control) 모듈; 및
    상기 MAC 모듈, 상기 상위 노드 및 상기 하위 노드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큐잉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상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MAC 모듈 및 상기 하위 노드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MAC 모듈 및 상기 상위 노드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상위 노드 및 상기 하위 노드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상위 노드 또는 상기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MAC 모듈에 출력하는 제1 버퍼와, 상기 상위 노드 또는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하위 노드에 출력하는 제2 버퍼와, 상기 하위 노드 또는 상기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상위 노드에 출력하는 제3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큐잉엔진은,
    RX_DV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상위 노드 또는 상기 하위 노드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하도록 구성되는, 노드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노드 유닛의 디지털 파트를 구성하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내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유닛.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FIFO(First-In First-Out)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FIFO 버퍼는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풀 프레임 길이(Full Frame Length)의 2배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유닛.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데이터는 상기 노드 유닛과 연결된 외부 관리 장치로부터 또는 상기 외부 관리 장치로 전송되는 제어/관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유닛.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RX_DV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버퍼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MAC 모듈에 출력하는 제1 스케줄러;
    를 더 포함하는, 노드 유닛.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제2 버퍼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하위 노드에 출력하는 제2 스케줄러;
    를 더 포함하는, 노드 유닛.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큐잉엔진은,
    상기 제3 버퍼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상위 노드에 출력하는 제3 스케줄러;
    를 더 포함하는, 노드 유닛.
  19. 마스터 유닛; 및
    상기 마스터 유닛에 연결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상위 리모트 유닛 및 하위 리모트 유닛과 캐스케이드 연결되는 리모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유닛은,
    마스터 유닛 MAC(Media Access Control) 모듈과,
    상기 마스터 유닛 MAC 모듈과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마스터 유닛 큐잉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유닛 큐잉엔진은,
    상기 마스터 유닛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유닛 MAC 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마스터 유닛 MAC 모듈에 출력하는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캐스케이드 연결된 리모트 유닛은,
    리모트 유닛 MAC 모듈과,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 및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 사이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리모트 유닛 큐잉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유닛 큐잉엔진은,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 및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 및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 및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에 멀티캐스팅하고,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 또는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으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에 출력하는 제1 버퍼와,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 또는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에 출력하는 제2 버퍼와, 상기 하위 리모트 유닛 또는 상기 리모트 유닛 MAC 모듈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상위 리모트 유닛에 출력하는 제3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유닛 큐잉엔진은,
    RX_DV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데이터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이더넷 데이터는 드롭하도록 구성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0160026359A 2016-03-04 2016-03-04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528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59A KR102528457B1 (ko) 2016-03-04 2016-03-04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59A KR102528457B1 (ko) 2016-03-04 2016-03-04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439A KR20170103439A (ko) 2017-09-13
KR102528457B1 true KR102528457B1 (ko) 2023-05-04

Family

ID=5996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359A KR102528457B1 (ko) 2016-03-04 2016-03-04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4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8089A1 (en) * 2008-06-24 2009-12-24 Lgc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in a td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993B1 (ko) * 2011-06-09 2015-10-12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집적된 무선 주파수 회로부를 갖는 안테나 모듈
EP3285446B1 (en) * 2012-10-31 2020-10-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Digital baseband transport in telecommunications distribu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8089A1 (en) * 2008-06-24 2009-12-24 Lgc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in a td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439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4242B2 (en) Modular wireless communications platform
US8583100B2 (en) Distributed remote base station system
US10383171B2 (en) Digital data transmiss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6587479B1 (en) Architecture for signal distribution in wireless data network
US7366150B2 (en) Indoor local area network system using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US7039399B2 (en) Distribution of wireless telephony and data signals in a substantially closed environment
US20230054709A1 (en) Network switch for a distributed antenna network
US20100189439A1 (en) Optical fiber distribut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CN109963290B (zh) 多业务室内覆盖系统及工作方法
JP5784707B2 (ja) 多様な類型の通信信号を統合中継する統合中継機及び統合中継システム
US20050018655A1 (en) Architecture for signal and power distribution in wireless data network
KR100585190B1 (ko) 기가비트 이더넷 망을 사용한 유무선 통합 시스템 및 방법
KR102528457B1 (ko)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386123B1 (ko) 이더넷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더미 허브를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WO2016108640A1 (ko) 이더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큐잉엔진을 포함하는 노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JP4964105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メディアコンバータ
KR101072242B1 (ko) 이동통신 중계기
Bai Multiservice Ethernet Digital Distributed Antenna Systems
KR101462433B1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회선을 재설정하기 위한 회선 재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