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373B1 - 향기 확산 장치 - Google Patents

향기 확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373B1
KR102528373B1 KR1020220188646A KR20220188646A KR102528373B1 KR 102528373 B1 KR102528373 B1 KR 102528373B1 KR 1020220188646 A KR1020220188646 A KR 1020220188646A KR 20220188646 A KR20220188646 A KR 20220188646A KR 102528373 B1 KR102528373 B1 KR 10252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fragrance
diffusion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연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조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연 filed Critical 조주연
Priority to KR102022018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상측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본체 배면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면측으로 배출시키는 확산부; 상기 본체의 상측 배면측에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 상기 본체의 상측 정면측에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산부 동작시 공기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본체 정면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상기 본체의 하측 정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본체와 지지부 하측을 연결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지지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 상기 확산부의 ON, OFF를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 제어에 의해 확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확산부, 조작부 및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의 충전을 위한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향기 확산 장치{DEVICE FOR DIFFUSING FRAGRANCE}
본 발명은 향기를 더 넓게 퍼지게 하며, 원하는 방향으로도 확산시킬 수 있는 향기 확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설치가 용이하며, 디퓨저로부터 배출되는 향기를 더 넓게 퍼지게 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향기 확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퓨저의 주요 구성품은 고무마개가 있는 투명한 용기, 갈대스틱과 섬유스틱, 아로마오일 또는 향수, 유화제, 정제수, 무수에탄올 등 오일과 함께 알코올 또는 물과 배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디퓨저는 병 안에 배합된 액상의 수용액을 저장하고, 상기 갈대스틱 일부분은 병 안의 수용액에 점촉되도록 한 후, 나머지 일부분은 병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에, 수용액은 스틱을 타고 병 외부로 배출되어 향기가 나게 된다.
한편, 종래 디퓨저는 병 내부에 꽂아지는 스틱의 개수에 따라 확산되는 향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틱을 병에 꽂았을 때 보다 다수 개의 스틱을 병에 꽂았을 때, 다수 개의 스틱을 타고 병 외부로 재출되는 수용액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한 개의 스틱을 꽂았을때보다 많은 양의 향기가 확산되도록 한다.
그러나 그 효과가 미비하며, 하나의 디퓨저 병에 많은 양의 스틱을 꽂기엔 한계가 있으므로, 향기가 확산되는 정도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즉 디퓨저에 단순히 스틱을 꽂아 향기를 확산시키기에는 그 효과가 미비하여 넓은 공간에 향기를 확산시키기 어려우며, 국소적인 범위 내에서만 향기가 나게 되어 향기 확산이라는 디퓨저 자체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16113호(2006.05.03.)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설치가 용이하며, 디퓨저로부터 배출되는 향기를 더 넓게 퍼지게 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는 본체의 상측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본체 배면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면측으로 배출시키는 확산부; 본체의 상측 배면측에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 본체의 상측 정면측에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확산부 동작시 공기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본체 정면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본체의 하측 정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 본체와 지지부 하측을 연결하며, 본체로부터 지지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 확산부의 ON, OFF를 제어하는 조작부; 조작부 제어에 의해 확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확산부, 조작부 및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부의 충전을 위한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설치가 용이하며, 디퓨저로부터 배출되는 향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서 지지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서 지지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서 개폐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서 지지부에 디퓨저가 거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n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는 휴대가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설치가 용이하며, 디퓨저로부터 배출되는 향기를 더 넓게 퍼지게 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향기 확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의 측면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서 지지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서 지지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는 디퓨저로부터 배출되는 향기를 더 넓은 공간으로 퍼지게 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설치가 용이하며, 디퓨저가 거치되되, 프로펠러형 확산부(10)의 높이가 거치된 디퓨저의 상측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향기의 확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 수용액이 저장된 병에 스틱만 꽂아진 형태의 디퓨저 자체에서의 한계를 해소하는데 목적을 갖는 향기 확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향기 확산 장치는 휴대가 가능하며, 케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D), 확산부(10), 공기흡입구(20), 배출구(30), 지지부(40), 회동부(50), 조작부(60), 전원부(70), 제어부(80) 및 충전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체(D)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가볍고 튼튼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구비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부(10)는 본체(D) 상측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본체(D) 배면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면측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확산부(10)는 프로펠러형태로 이루어지며, 동작시 후술되는 공기흡입구(20)를 통해 본체(D)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배출구(30)를 통해 본체(D) 정면측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프로펠러형태로 이루어진 확산부(10)의 회전축 중심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술되는 지지부(40)에 거치된 디퓨저 상단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D)의 상측에 확산부(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디퓨저에 꽂은 스틱의 노출된 부분이 상디 디퓨저 상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확산부(10)의 회전축 중심이 디퓨저 상단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확산부(10) 동작시 배출구(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디퓨저 외측으로 퍼져 불필요하게 소실되는 정도를 최소화하고, 디퓨저에 꽂은 스틱의 노출된 부분 전체와 높은 접촉률에 의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스틱에 의해 디퓨저로부터 배출된 향기가 확산부(10) 동작시 배출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확산부(10)가 동작되는 방향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흡입구(20)는 본체(D)의 상측 배면측에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기흡입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부(10)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기흡입구(20)는 본체(D)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내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포집하는 필터(21)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21)는 공기흡입구(20)를 통해 본체(D)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 내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흡착하여 필터링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필터(21)는 공기흡입구(20)에 관통된 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흡입구(20)가 형성되는 본체(D)의 일부분이 상기 본체(D)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필터(21)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 추가적으로 구성됨으로써, 필터(21)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필터(21)는 공기청정을 위해 사용되는 필터재질로 헤파필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구(30)는 본체(D)의 상측 정면측에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확산부(10) 동작시 공기흡입구(2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본체(D) 정면측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배출구(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무늬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격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확산부(10) 동작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배출구(30)를 통해 본체(D) 정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관통된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글자나 동물 또는 캐릭터 등과 같은 그림으로 이루어지되, 관통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그림의 외곽선으로만 구성되거나 또는 외곽선과 상기 외곽선을 일부 연결하는 중간선이 포함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배출구(30)는 본체(D)의 정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쉽게 노출되며, 다양한 재미 요소와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40)는 본체(D)의 하측 정면측에 구비되되, 후술되는 회동부(5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부(4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퓨저가 거치되도록 한다.
즉 지지부(40)는 본체(D) 측으로 회동되면, 본체(D)에 밀착되어 본체(D)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이에,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며, 반대로, 지지부(40) 정면측으로 회동되면, 판 형태의 지지부(40)는 지면에 직립된 본체(D)로부터 꺾여져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닥을 형성하고, 이에, 바닥에 형성된 지지부(40) 상측에 디퓨저가 거치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판 형태의 지지부(40)가 본체(D) 정면측으로 회동되어 디퓨저가 거치되기 위한 바닥을 형성하기 때문에 본체(D)가 설치되기 위한 장소의 바닥면이 울퉁불퉁하거나 또는 불규칙한 형태로 이루어져 디퓨저를 거치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판 형태의 지지부(40) 상측에 디퓨저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며, 나아가, 본체(D)의 하단면과 지지부(40)가 지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본체(D)가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이때, 지지부(40)는 본체(D) 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D)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41)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수단(41)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부(40) 상측과 인접한 본체(D)의 하측 일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 걸림홈(41a) 및 지지부(40)의 상단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걸림돌기(41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40)가 본체(D) 측으로 회동되는 경우, 걸림돌기(41b)는 걸림홈(41a)으로 안내되어 걸림상태가 됨으로써, 본체(D)로부터 지지부(40)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반대로, 지지부(40)를 본체(D) 정면측으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지지부(40)에 일정한 힘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걸림홈(41a)으로부터 걸림돌기(41b)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걸림홈(41a)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지지부(40)가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서 개폐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체(D)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개폐홈(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홈(42)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 또는 별도의 도구 등이 지지부(40) 배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체(D)로부터 지지부(40)를 정면측으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개폐홈(42)을 통해 지지부(40)의 배면측에 직접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적은 힘으로도 지지부(40)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0)는 정면측과 배면측을 관통하는 관통공(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43)은 후술되는 조작부(60)가 상기 관통공(43)을 통해 본체(D)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즉 지지부(40)가 본체(D)에 인접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관통공(43)을 통해 조작부(60)가 본체(D)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40)가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작부(60)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회동부(50)는 본체(D)로부터 지지부(40)가 회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회동부(5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D)와 지지부(40) 하측을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측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의해 지지부(40)는 본체(D) 정면측으로 회동된 경우, 본체(D)의 하측면과 지지부(40)의 정면이 동일한 바닥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60)는 버튼식 조작부로 구성되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D)의 하측에 노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부(60)는 누름 동작에 의해 확산부(10)의 ON/OFF를 제어한다.
이때, 조작부(6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D) 정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D)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판()의 관통공(43)을 통해 지지판()이 상기 본체(D) 측으로 회동되도라도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본체(D)로부터 지지판()을 회동시키지 않더라도 조작부(6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조작부(60)는 확산부(10)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식 조작부로 구성된 조작부(60)를 회전시켜 확산부(10)의 동작 속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조작부(60)를 누르면, 확산부(10)의 ON/OFF를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60)를 회전시키면, 회전 정도에 따라, 확산부(10)의 동작 속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하나의 조작부(60)를 통해 확산부(10)의 ON/OFF와 속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직관성을 향상시켜 조작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70)는 본체(D) 내부에 구비되며, 조작부(60) 제어에 의해 확산부(1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원부(70)는 후술되는 충전부(90)를 통해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도록 한다.
제어부(80)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확산부(10), 조작부(60) 및 전원부(7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작부(60) 제어시 전원부(70)를 통해 확산부(1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이에, 확산부(10)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공기흡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배출구(30)를 통해 본체(D) 정면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의 배면도이다.
충전부(9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D) 외측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되, 전원부(70)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충전부(90)는 C타입, 5핀 또는 8핀 등 다양한 충전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USB 케이블 연결이 가능한 OUTPUT 단자가 더 구비되어 외부의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번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D) 배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본체(D)의 측면 또는 정면 또는 상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에서 지지부에 디퓨저가 거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는 지지부(40)가 회동됨에 따라, 본체(D)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프로펠러형태로 이루어진 확산부(10) 동작에 의해 디퓨저로부터 배출되는 향기를 더 넓은 공간으로 퍼지게 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프로펠러형태로 이루어진 확산부(10)의 회전축 중심이 형성되는 높이(h)가 지지부(40)에 거치된 디퓨저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확산부(10) 동작시 배출구(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디퓨저 외측으로 퍼져 불필요하게 소실되는 정도를 최소화하고, 디퓨저에 꽂은 스틱의 노출된 부분 전체와 높은 접촉률을 유지한채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스틱에 의해 디퓨저로부터 배출된 향기가 확산부(10) 동작시 배출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확산부(10)가 동작되는 방향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확산 장치는 향기가 더 넓은 공간으로 퍼지게 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D : 본체 10 : 확산부
20 : 공기흡입구
21 : 필터
30 : 배출구
40 : 지지부 41 : 고정수단
41a : 걸림홈 41b : 걸림돌기
42 : 개폐홈 43 : 관통공
50 : 회동부
60 : 조작부
70 : 전원부
80 : 제어부
90 : 충전부

Claims (10)

  1. 본체(D)의 상측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본체(D) 배면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면측으로 배출시키는 확산부(10);
    상기 본체(D)의 상측 배면측에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20);
    상기 본체(D)의 상측 정면측에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산부(10) 동작시 공기흡입구(2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본체(D) 정면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30);
    상기 본체(D)의 하측 정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40);
    상기 본체(D)와 지지부(40) 하측을 연결하며, 상기 본체(D)로부터 지지부(40)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50);
    상기 확산부(10)의 ON, OFF를 제어하는 조작부(60);
    상기 조작부(60) 제어에 의해 확산부(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
    상기 확산부(10), 조작부(60) 및 전원부(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 및
    상기 전원부(70)의 충전을 위한 충전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D)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개폐홈(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10)는 프로펠러형태로 이루어져, 동작시 상기 공기흡입구(20)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배출구(30)를 통해 본체(D) 정면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20)는
    상기 본체(D)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내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포집하는 필터(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0)는
    상기 본체(D)의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일부분이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관통된 부분의 형태는 빗살무늬 형태 또는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글자나 동물 또는 캐릭터 등과 같은 그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50)에 의해 본체(D) 정면측으로 회동되어 바닥을 형성하되,
    회동된 지지부(40) 상측에 디퓨저가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 상측에 거치된 디퓨저의 상단 높이는 상기 본체(D)의 상측에 구비된 배출구(30) 하단의 높이와 같거나 또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본체(D)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4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수단(41)은
    상기 지지부(40) 상측과 인접한 본체(D)의 하측 일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 걸림홈(41a); 및
    상기 지지부(40)의 상단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걸림돌기(41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는 정면측과 배면측을 관통하는 관통공(4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40)가 본체(D)에 인접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43)을 통해 조작부(60)가 본체(D)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60)는
    누름 동작에 의해 확산부(10)의 ON, OFF를 제어하는 버튼식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확산 장치.
KR1020220188646A 2022-12-29 2022-12-29 향기 확산 장치 KR10252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646A KR102528373B1 (ko) 2022-12-29 2022-12-29 향기 확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646A KR102528373B1 (ko) 2022-12-29 2022-12-29 향기 확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373B1 true KR102528373B1 (ko) 2023-05-02

Family

ID=8638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646A KR102528373B1 (ko) 2022-12-29 2022-12-29 향기 확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3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568A1 (en) * 2000-08-30 2002-04-18 Ing. Erich Pfeiffer Gmbh Smart miniature fragrance dispensing device for multiple ambient scenting applications and environments
KR200273792Y1 (ko) * 2002-01-21 2002-04-27 주식회사 불스원 방향제 유출장치
KR200300304Y1 (ko) * 2002-09-26 2003-01-14 박노복 방향제 장치
KR200416113Y1 (ko) 2006-01-02 2006-05-11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공기확산부재가 승하강 조절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30107482A (ko) * 2012-03-22 2013-10-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향제 자동분사장치
KR20160093209A (ko) * 2015-01-29 2016-08-08 다인크린텍(주) 방향제 휘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568A1 (en) * 2000-08-30 2002-04-18 Ing. Erich Pfeiffer Gmbh Smart miniature fragrance dispensing device for multiple ambient scenting applications and environments
KR200273792Y1 (ko) * 2002-01-21 2002-04-27 주식회사 불스원 방향제 유출장치
KR200300304Y1 (ko) * 2002-09-26 2003-01-14 박노복 방향제 장치
KR200416113Y1 (ko) 2006-01-02 2006-05-11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공기확산부재가 승하강 조절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30107482A (ko) * 2012-03-22 2013-10-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향제 자동분사장치
KR20160093209A (ko) * 2015-01-29 2016-08-08 다인크린텍(주) 방향제 휘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0333B2 (en) Portable misting fan with pivoting head
CN108785717B (zh) 一种智能扩香的香氛装置
US20030176140A1 (en) Bubble generating assembly
US8925905B2 (en) Device for dispensing volatile substances, in particular fragrances and/or insecticides
JP2019534156A (ja) 拡散装置及び方法
KR200437058Y1 (ko) 가정용 피부 미용기
KR102528373B1 (ko) 향기 확산 장치
CN109247686A (zh) 一种可蓄电吹风机
CN209630467U (zh) 可增氧和除尘霾的个人空气净化器
US10919059B2 (en) Diffusing apparatus and methods
CN217510056U (zh) 毛发护理设备
US20100143203A1 (en) Fragrance generator
CN219721256U (zh) 一种香薰装置
US10596292B2 (en) Compact aromatic diffuser and method of use
CN208726234U (zh) 美容装置
JP2013032866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CN205813892U (zh) 一种数显补水仪
CN215951642U (zh) 加湿装置和液雾通道件
CN217524182U (zh) 一种发梳、发梳本体及发梳组件
CN214717847U (zh) 一种负氧离子景观装置
CN210078857U (zh) 一种烟雾泡泡玩具
CN217778537U (zh) 一种新式车载号码牌香薰器
CN211984238U (zh) 一种香水仪
CN217391229U (zh) 散香量可控的便携香薰
CN216635997U (zh) 一种可雾化且具有循环流水功能的流水摆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