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322B1 - 발 선풍기 - Google Patents
발 선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8322B1 KR102528322B1 KR1020210029948A KR20210029948A KR102528322B1 KR 102528322 B1 KR102528322 B1 KR 102528322B1 KR 1020210029948 A KR1020210029948 A KR 1020210029948A KR 20210029948 A KR20210029948 A KR 20210029948A KR 102528322 B1 KR102528322 B1 KR 1025283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wing
- space
- piece
- unit
- f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한 채, 사용자의 발을 향해 송풍하는 발 선풍기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커버한 채,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송풍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송풍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된 채,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송풍부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인가 받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한 채, 사용자의 발을 향해 송풍하는 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발 선풍기는 바람이 나오는 관통홀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양쪽 발에 바람을 고루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발 선풍기는 선풍기를 눕힌 구조로, 전동기와 팬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충분한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야 했다.
사용자의 발에 바람을 제공하는 배출구멍 아래에 팬과 모터가 구비된 종래의 발 선풍기는 팬의 송풍을 위한 흡기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소음이 발생하고, 사용자가 양 발(왼발, 오른발) 중 어느 하나의 발 만을 거치한 경우에도 모든 모터가 구동되어,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팬의 송풍을 위한 흡기 공간을 확보하여, 모터와 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발을 거치한 형태에 따라 모터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구현되어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한 채, 사용자의 발을 향해 송풍하는 발 선풍기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커버한 채,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송풍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송풍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된 채,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송풍부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인가 받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기 하부프레임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테두리를 형성하는 하부본체부, 상기 하부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송풍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구획부에 연결되는 송풍장착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터리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송풍부로부터 발생된 송풍이 모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송풍공간과 상기 송풍부, 상기 전력공급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공간이 구획되도록 하고, 상기 송풍장착부는, 상기 구획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송풍홀 및 제2 송풍홀을 구비하는 장착편 및 상기 송풍장착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직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연장부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하부본체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홀에 동시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기 구획부는, 상기 내부공간 일측에 기립되는 제1 기립부 및 상기 내부공간 타측에 기립되는 제2 기립부를 구비하며,상기 제1 기립부와 상기 제2 기립부의 이격 공간에 상기 장착편이 장착되고,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제2 기립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기립부는, 상기 제1 기립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장착부는, 일측은 상기 제1 함입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함입부에 삽입된 채,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구획부에 착탈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기립부의 하측단과 상기 제2 기립부의 하측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연결바와 제2 연결바로 구성되며, 상기 송풍장착부는, 하측단이, 상기 제1 연결바와 상기 제2 연결바의 이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연결바는, 상기 수직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장착부는, 상기 하부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채, 기립되되, 상기 전력공급부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을 구속하기 위한 제1 구속편 및 제2 구속편을 구비하는 구속부 및 상기 제1 구속편과 상기 제2 구속편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전력공급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전력공급부의 하부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력공급부가 안착되는 경우,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전력공급부는, 도복된 역삼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기 송풍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된 채, 제1 팬이 상기 제1 송풍홀을 통해 상기 송풍공간으로 송풍하도록 배치되는 제1 송풍편,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된 채, 제2 팬이 상기 제2 송풍홀을 통해 상기 송풍공간으로 송풍하도록 배치되는 제2 송풍편, 상기 제1 팬의 전단에 배치된 채, 상기 제1 팬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제1 필터망 및 상기 제2 팬의 전단에 배치된 채, 상기 제2 팬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제2 필터망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송풍편은, 상기 제1 팬이 수용된 채, 송풍을 발생시키는 제1 송풍본체부 및 상기 제1 송풍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송풍을 위한 흡기 경로를 제공하는 제1 흡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송풍편은, 상기 제2 팬이 수용된 채, 송풍을 발생시키는 제2 송풍본체부 및 상기 제2 송풍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송풍을 위한 흡기 경로를 제공하는 제2 흡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흡기부와 상기 제2 흡기부의 배치 높이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기 상부프레임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본체부, 상기 상부본체부에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레그부, 상기 상부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작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조작공간부, 상기 상부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송풍부로부터 발생된 송풍이 외부로 방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통공부 및 상기 통공부를 규정하며, 상기 송풍부로부터 발생된 송풍의 방향을 결정하는 풍향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레그부는, 상기 상부본체부의 상대적으로 높은 타측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레그편 및 상기 상부본체부의 상대적으로 낮은 일측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레그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레그편의 높이는, 상기 제2 레그편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부의 경사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통공부는, 상기 송풍공간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풍향날개부는, 상기 송풍공간으로부터 상승된 송풍이 상기 상부본체부의 상대적으로 낮은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는,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부,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및 상기 압력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압력 정보 또는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센서부는, 상기 제1 송풍편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1 송풍공간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의 일부분에 인가된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편 및 상기 제2 송풍편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2 송풍공간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의 일부분에 인가된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편으로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송풍편이 구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편으로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송풍편이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기 온도측정부는, 상기 제1 송풍편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1 송풍공간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의 일부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측정편 및 상기 제2 송풍편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2 송풍공간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의 일부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측정편으로 측정된 온도값에 비례하여, 상기 제1 팬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온도측정편으로 측정된 온도값에 비례하여, 상기 제2 팬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팬의 송풍을 위한 흡기 공간을 확보하여, 모터와 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발을 거치한 형태에 따라 모터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구현되어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부프레임을 제외한 내부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하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송풍부 및 송풍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전력공급부 및 배터리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부프레임을 제외한 내부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하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송풍부 및 송풍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전력공급부 및 배터리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부프레임을 제외한 내부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하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송풍부 및 송풍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전력공급부 및 배터리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1)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한 채, 사용자의 발을 향해 송풍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발 선풍기(1)는, 하부프레임(10), 상부프레임(20), 송풍부(30), 전력공급부(40) 및 조작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은,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0)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S)을 커버한 채, 상기 내부공간(S)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30)는, 상기 내부공간(S)에 수용되며, 상기 내부공간(S)을 향해 송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40)는, 상기 내부공간(S)에 수용되고, 상기 송풍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0)는, 상기 상부프레임(20)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된 채,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송풍부(3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은, 하부본체부(11), 구획부(13), 송풍장착부(15) 및 배터리장착부(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본체부(11)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3)는, 상기 하부본체부(11)의 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내부공간(S)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3)는, 상기 송풍부(30)로부터 발생된 송풍이 모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송풍공간(S1)과 상기 송풍부(30), 상기 전력공급부(4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공간(S2)이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3)는, 상기 내부공간(S) 일측에 기립되는 제1 기립부(131) 및 상기 내부공간(S) 타측에 기립되는 제2 기립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착부(15)는, 상기 송풍부(3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구획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착부(15)는, 장착편(151) 및 수직연장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편(151)은, 상기 구획부(13)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송풍홀(151a) 및 제2 송풍홀(15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편(151)은, 상기 제1 기립부(131)와 상기 제2 기립부(132)의 이격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립부(131)는, 상기 제2 기립부(132)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131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립부(132)는, 상기 제1 기립부(131)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13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착부(15)는, 일측은 상기 제1 함입부(131a)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함입부(132a)에 삽입된 채,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구획부(13)에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13)는, 상기 제1 기립부(131)의 하측단과 상기 제2 기립부(132)의 하측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5)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연결바(135a)와 제2 연결바(135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착부(15)는, 하측단이, 상기 제1 연결바(135a)와 상기 제2 연결바(135b)의 이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연결바(135b)는, 상기 수직연장부(15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V)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연장부(153)는, 상기 송풍장착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관통홀(15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연장부(153)는, 상기 관통홀(153a)과 상기 하부본체부(11)의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홀(11a)에 동시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장착부(17)는, 상기 전력공급부(4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터리장착부(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장착부(17)는, 구속부(171) 및 안착부(1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171)는, 상기 하부본체부(11)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채, 기립되되, 상기 전력공급부(40)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을 구속하기 위한 제1 구속편(171a) 및 제2 구속편(17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73)는, 상기 제1 구속편(171a)과 상기 제2 구속편(171b)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전력공급부(4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73)는, 상기 전력공급부(40)의 하부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력공급부(40)가 안착되는 경우,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40)는, 도복된 역삼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73)는 도복된 역삼각형 기둥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공간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력공급부(40)의 상기 안착부(173)로의 진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력공급부(40)와 접촉 영역의 크기가 커져, 전력공급부(40)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부(30)는, 제1 송풍편(31), 제2 송풍편(32), 제1 필터망(34) 및 제2 필터망(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편(31)은, 상기 장착공간(S2)에 배치된 채, 제1 팬이 상기 제1 송풍홀(151a)을 통해 상기 송풍공간(S1)으로 송풍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편(32)은, 상기 장착공간(S2)에 배치된 채, 제2 팬이 상기 제2 송풍홀(151b)을 통해 상기 송풍공간(S1)으로 송풍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망(34)은, 상기 제1 팬의 전단에 배치된 채, 상기 제1 팬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망(35)은, 상기 제2 팬의 전단에 배치된 채, 상기 제2 팬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편(31)은, 상기 제1 팬이 수용된 채, 송풍을 발생시키는 제1 송풍본체부(311) 및 상기 제1 송풍본체부(3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송풍을 위한 흡기 경로를 제공하는 제1 흡기부(3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편(32)은, 상기 제2 팬이 수용된 채, 송풍을 발생시키는 제2 송풍본체부(321) 및 상기 제2 송풍본체부(3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송풍을 위한 흡기 경로를 제공하는 제2 흡기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기부(313)와 상기 제2 흡기부(323)의 배치 높이는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흡기부(313)의 배치 높이는 상기 제2 흡기부(323)의 배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S2) 내의 공기 중 하부측에 공기는 상기 제1 흡기부(313)를 통해 상기 제1 송풍편(31)으로 유입되고, 상기 장착공간(S2) 내의 공기 중 상부측에 공기는 상기 제2 흡기부(323)를 통해 상기 제2 송풍편(32)으로 유입되어, 상기 장착공간(S2) 내의 공기가 순환되는 기류를 형성하여, 외부공기의 장착공간(S2)으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고, 이는 흡기부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히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흡기부(313)와 상기 제2 흡기부(323)가 동일한 배치 높이로 배치되면, 상기 장착공간(S2) 내의 공기 중 상부측에 공기를 양 흡기부가 모두 흡기 하게 됨으로써,급작스러운 공기 유동을 일으키게 되어 외부공기의 장착공간(S2)으로의 공기 유입 또는 장착공간(S2) 내의 부족한 공기의 흡기를 통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1 흡기부(313)와 상기 제2 흡기부(323)의 배치 높이를 상이하게 두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상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1)의 상부프레임(20)은, 상부본체부(21), 레그부(23), 조작공간부(25), 통공부(27) 및 풍향날개부(2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본체부(21)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23)는, 상기 상부본체부(21)에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그부(23)는, 상기 상부본체부(21)의 상대적으로 높은 타측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레그편(231) 및 상기 상부본체부(21)의 상대적으로 낮은 일측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레그편(2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그편(231)의 높이는, 상기 제2 레그편(23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부(21)의 경사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작공간부(25)는, 상기 상부본체부(21)를 관통하여, 상기 조작부(5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공부(27)는, 상기 상부본체부(21)를 관통하여, 상기 송풍부(30)로부터 발생된 송풍이 외부로 방출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공부(27)는, 상기 송풍공간(S1)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풍향날개부(29)는, 상기 통공부(27)를 규정하며, 상기 송풍부(30)로부터 발생된 송풍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풍향날개부(29)는, 상기 송풍공간(S1)으로부터 상승된 송풍이 상기 상부본체부(21)의 상대적으로 낮은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1)는, 압력센서부(60), 온도측정부(70) 및 제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부(60)는, 상기 상부프레임(20)과 상기 하부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20)으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10)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부(70)는, 상기 상부프레임(2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압력센서부(60)에 의해 측정된 압력 정보 또는 상기 온도측정부(70)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풍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부(60)는, 상기 제1 송풍편(31)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1 송풍공간(S1)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20)의 일부분에 인가된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편(61) 및 상기 제2 송풍편(32)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2 송풍공간(S1)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20)의 일부분에 인가된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편(6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 압력센서편(61)으로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송풍편(31)이 구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편(62)으로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송풍편(32)이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압력센서편(61)은 사용자가 왼발을 거치하는 상부프레임(20)에 인가된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압력센서편(62)은 사용자가 오른발을 거치하는 상부프레임(20)에 인가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압력센서편(61)에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는 사용자가 왼발을 거치하지 않은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왼발에 향해 송풍을 발생시키는 제1 송풍편(31)이 구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압력센서편(62)에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는 사용자가 오른발을 거치하지 않은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오른발에 향해 송풍을 발생시키는 제2 송풍편(32)이 구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발을 거치한 형태에 따라 송풍부(30)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구현되어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부(70)는, 상기 제1 송풍편(31)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1 송풍공간(S1)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20)의 일부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측정편(71) 및 상기 제2 송풍편(32)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2 송풍공간(S1)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20)의 일부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편(7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 온도측정편(71)으로 측정된 온도값에 비례하여, 상기 제1 팬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온도측정편(72)으로 측정된 온도값에 비례하여, 상기 제2 팬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온도측정편(71)은 사용자가 왼발을 거치하는 상부프레임(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온도측정편(72)은 사용자가 오른발을 거치하는 상부프레임(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온도측정편(71)에 측정된 온도값이 높을수록 사용자이 왼발의 온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1 송풍편(31)의 제1 팬의 속도를 증가시켜 사용자의 왼발의 온도를 낮추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제1 온도측정편(71)에 측정된 온도값이 낮을수록 사용자의 왼발의 온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1 송풍팬의 제1 팬의 속도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왼발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 온도측정편(72)에 측정된 온도값이 높을수록 사용자이 오른발의 온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2 송풍편(32)의 제2 팬의 속도를 증가시켜 사용자의 왼발의 온도를 낮추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제2 온도측정편(72)에 측정된 온도값이 낮을수록 사용자의 오른발의 온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2 송풍팬의 제2 팬의 속도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오른발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왼발 또는 오른발의 온도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자세 또는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사항이다. 본 발명은 이에 맞춰 사용자의 왼발 또는 오른발의 송풍되는 바람의 세기가 다르게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발 선풍기 10: 하부프레임
11: 하부본체부 13: 구획부
15: 송풍장착부 17: 배터리장착부
S: 내부공간 S1: 송풍공간
S2: 장착공간 20: 상부프레임
21: 상부본체부 23: 레그부
25: 조작공간부 27: 통공부
29: 풍향날개부 30: 송풍부
40: 전력공급부 50: 조작부
60: 압력센서부 70: 온도측정부
80: 제어부
11: 하부본체부 13: 구획부
15: 송풍장착부 17: 배터리장착부
S: 내부공간 S1: 송풍공간
S2: 장착공간 20: 상부프레임
21: 상부본체부 23: 레그부
25: 조작공간부 27: 통공부
29: 풍향날개부 30: 송풍부
40: 전력공급부 50: 조작부
60: 압력센서부 70: 온도측정부
80: 제어부
Claims (7)
- 사용자의 발을 지지한 채, 사용자의 발을 향해 송풍하는 발 선풍기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커버한 채,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송풍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송풍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된 채,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송풍부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인가 받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테두리를 형성하는 하부본체부,
상기 하부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송풍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구획부에 연결되는 송풍장착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터리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송풍부로부터 발생된 송풍이 모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송풍공간과 상기 송풍부, 상기 전력공급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공간이 구획되도록 하고,
상기 송풍장착부는,
상기 구획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송풍홀 및 제2 송풍홀을 구비하는 장착편 및
상기 송풍장착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직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연장부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하부본체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홀에 동시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선풍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내부공간 일측에 기립되는 제1 기립부 및 상기 내부공간 타측에 기립되는 제2 기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기립부와 상기 제2 기립부의 이격 공간에 상기 장착편이 장착되고,
상기 제1 기립부는,
상기 제2 기립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기립부는,
상기 제1 기립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장착부는,
일측은 상기 제1 함입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함입부에 삽입된 채,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구획부에 착탈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기립부의 하측단과 상기 제2 기립부의 하측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연결바와 제2 연결바로 구성되며,
상기 송풍장착부는,
하측단이, 상기 제1 연결바와 상기 제2 연결바의 이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연결바는,
상기 수직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장착부는,
상기 하부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채, 기립되되, 상기 전력공급부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을 구속하기 위한 제1 구속편 및 제2 구속편을 구비하는 구속부 및
상기 제1 구속편과 상기 제2 구속편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전력공급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전력공급부의 하부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력공급부가 안착되는 경우,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전력공급부는,
도복된 역삼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선풍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된 채, 제1 팬이 상기 제1 송풍홀을 통해 상기 송풍공간으로 송풍하도록 배치되는 제1 송풍편,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된 채, 제2 팬이 상기 제2 송풍홀을 통해 상기 송풍공간으로 송풍하도록 배치되는 제2 송풍편,
상기 제1 팬의 전단에 배치된 채, 상기 제1 팬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제1 필터망 및
상기 제2 팬의 전단에 배치된 채, 상기 제2 팬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제2 필터망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송풍편은,
상기 제1 팬이 수용된 채, 송풍을 발생시키는 제1 송풍본체부 및 상기 제1 송풍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송풍을 위한 흡기 경로를 제공하는 제1 흡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송풍편은,
상기 제2 팬이 수용된 채, 송풍을 발생시키는 제2 송풍본체부 및 상기 제2 송풍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송풍을 위한 흡기 경로를 제공하는 제2 흡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흡기부와 상기 제2 흡기부의 배치 높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선풍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본체부,
상기 상부본체부에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레그부,
상기 상부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작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조작공간부,
상기 상부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송풍부로부터 발생된 송풍이 외부로 방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통공부 및
상기 통공부를 규정하며, 상기 송풍부로부터 발생된 송풍의 방향을 결정하는 풍향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레그부는,
상기 상부본체부의 상대적으로 높은 타측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레그편 및 상기 상부본체부의 상대적으로 낮은 일측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레그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레그편의 높이는, 상기 제2 레그편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부의 경사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통공부는,
상기 송풍공간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풍향날개부는,
상기 송풍공간으로부터 상승된 송풍이 상기 상부본체부의 상대적으로 낮은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선풍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부;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및
상기 압력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압력 정보 또는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센서부는,
상기 제1 송풍편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1 송풍공간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의 일부분에 인가된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편 및 상기 제2 송풍편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2 송풍공간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의 일부분에 인가된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편으로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송풍편이 구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편으로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송풍편이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선풍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부는,
상기 제1 송풍편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1 송풍공간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의 일부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측정편 및 상기 제2 송풍편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체류하는 제2 송풍공간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의 일부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측정편으로 측정된 온도값에 비례하여, 상기 제1 팬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온도측정편으로 측정된 온도값에 비례하여, 상기 제2 팬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선풍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9948A KR102528322B1 (ko) | 2021-03-08 | 2021-03-08 | 발 선풍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9948A KR102528322B1 (ko) | 2021-03-08 | 2021-03-08 | 발 선풍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5969A KR20220125969A (ko) | 2022-09-15 |
KR102528322B1 true KR102528322B1 (ko) | 2023-05-02 |
Family
ID=8328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9948A KR102528322B1 (ko) | 2021-03-08 | 2021-03-08 | 발 선풍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832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57765U (ja) | 2009-10-29 | 2010-03-04 | 林碧芬Pi−Fen Lin | 乾燥マット |
KR101123872B1 (ko) | 2009-07-06 | 2012-03-15 | 주영태 | 발 건조기 |
CN102805682A (zh) * | 2012-03-29 | 2012-12-05 | 金亨烈 | 冷暖兼用脚风机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1259U (ko) * | 2007-07-30 | 2009-02-04 | 차상윤 | 발 건조 탈취장치 |
KR101253934B1 (ko) | 2011-12-21 | 2013-04-16 | 김학열 | 냉온풍 겸용 발선풍기 |
-
2021
- 2021-03-08 KR KR1020210029948A patent/KR1025283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3872B1 (ko) | 2009-07-06 | 2012-03-15 | 주영태 | 발 건조기 |
JP3157765U (ja) | 2009-10-29 | 2010-03-04 | 林碧芬Pi−Fen Lin | 乾燥マット |
CN102805682A (zh) * | 2012-03-29 | 2012-12-05 | 金亨烈 | 冷暖兼用脚风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5969A (ko) | 2022-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4578B1 (ko) | 휴대용 공기정화기 | |
JP4967334B2 (ja) | 送風装置 | |
EP1142593B1 (en) | Aromatizer | |
KR102528322B1 (ko) | 발 선풍기 | |
JP4729460B2 (ja) | エンジンブロワ | |
JP2013040708A (ja) | 空気調和機 | |
JP7508886B2 (ja) | 除湿機 | |
CN107313956B (zh) | 带驱动马达和被驱动马达驱动的鼓风机的背携式工作器械 | |
JP2023024751A (ja) | 暖房装置 | |
KR102718399B1 (ko) | 휴대형 공기정화기 | |
JP3314152B2 (ja) |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 |
CN221476655U (zh) | 车载香薰盒 | |
KR20210065526A (ko) | 가습기 | |
KR20060111029A (ko) | 공기청정기 | |
JP4318477B2 (ja) | 扇風機 | |
JP3329671B2 (ja) | 床下換気扇 | |
KR100407050B1 (ko) | 공기조화기의 팬 케이스 고정장치 | |
KR20190114766A (ko) | 휴대형 공기정화기 | |
JPH0486013U (ko) | ||
KR200248447Y1 (ko) | 발 선풍기 | |
JP2000096668A (ja) | 便器の除臭装置 | |
JPH033660U (ko) | ||
KR20000002343U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H11230594A (ja) | クロスファン使用の床下換気ファン | |
JPS62201323U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