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560B1 - 윈들러스 지혈대 - Google Patents

윈들러스 지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560B1
KR102527560B1 KR1020217039353A KR20217039353A KR102527560B1 KR 102527560 B1 KR102527560 B1 KR 102527560B1 KR 1020217039353 A KR1020217039353 A KR 1020217039353A KR 20217039353 A KR20217039353 A KR 20217039353A KR 102527560 B1 KR102527560 B1 KR 102527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compression
base
buckle frame
tourniqu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418A (ko
Inventor
로스 에이. 존슨
리차드 알란 헤스터
코리 에스. 허슬리
Original Assignee
택티컬 메디컬 솔루션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택티컬 메디컬 솔루션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택티컬 메디컬 솔루션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7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7Tensioning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제1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섹션들 중 하나에 부착된 캡을 갖는 베이스를 갖는 지혈대에 대한 것이다. 압박 스트랩이 베이스에 부착되고 베이스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윈들러스 핸들이 제공되며, 압박 스트랩이 통과되어 그 자체에 스티칭되는 스트랩 개구를 포함한다. 라킹 스트랩(locking strap)이 캡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캡에 부착된다. 핸들 스톱(handle stop)이 핸들 스트랩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하도록 핸들 스톱은 라킹 스트랩에 계합한다. 스트랩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버클 프레임 및 버클 프레임의 제1 측으로부터 버클 프레임의 반대편의 제2 측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체 조임식 슬라이딩 암(self-cinching sliding arm), 버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암을 포함한다. 버클 커넥터가 버클 프레임에 계합하도록 압박 스트랩에 부착된다.

Description

윈들러스 지혈대
이 출원은 2019년 5월 8일자로 제출된 미국 가특허출원 일련번호 제62/845,051호의 권익을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편입되어 있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지혈대 분야에 관한 것이다.
외상으로 인한 억제되지 않은 출혈은 전장과 민간 상황 양자 모두에서 여전히 주요 사인으로 남아 있다. 동맥 출혈의 경우와 같이 치료되지 않은 극심한 출혈은 단 몇 분 안에 저혈량 쇼크(hypovolemic shock)를 유발할 수 있다.
지혈대들은 외상으로 인한 출혈을 막는 데 사용되는 잘 알려진 장치들이다. 적절히 전개되는 경우, 이들은 부상당한 피해자가 혼자이거나 즉각적인 의료 처치를 받을 수 없는 긴급 상황에서 구명 지원을 제공한다. 표준 지혈대는 부상 위의 사지(limb) 둘레의 압력을 높이고 심한 출혈이나 억제되지 않은 출혈을 멈추기 위한 시도로 부상당한 사지 둘레에 적용되는 단단히 묶이거나 감겨지는 밴드이다. 부상 부위 위에 지혈대를 신속하게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출혈 억제에 가장 중요하며, 다음 단계의 외상 관리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 지원이 이용 가능하게 되면 지혈대를 신속하게 점진적으로 해제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알려진 많은 지혈대는 "윈들러스(windlass)" 유형이다. 이러한 지혈대들은 전형적으로 윈들러스 핸들을 통과하여 지혈대 베이스에 결합된 스트랩을 포함한다. 사지 둘레에 지혈대를 조이기 위해, 스트랩이 버클을 통과하고 윈들러스 핸들이 트위스트되어, 윈들러스와 베이스 사이에 매듭을 생성하고 스트랩이 사지 둘레의 원주방향으로 수축하게 한다. 지혈대가 탈거될 때까지 혈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사지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 알려진 지혈대 중 일부의 결점은 때때로 지혈대 핸들이 트위스트됨에 따라 압박 스트랩에 생성된 매듭이 너무 커지고 윈들러스가 한쪽으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더 회전하여 추가 압력을 생성하는 능력을 제한한다는 것이다. 매듭이 너무 커지면, 사용자가 충분한 토크를 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사용자가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경우에도, 대부분의 윈들러스 지혈대는 지혈대가 적용된 후 처음 5분 동안에 최대 25 %의 압력 손실 또는 크리프를 겪는다.
따라서, 원주방향 압력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고 지혈대 적용 후 수 분 이내에 발생하는 자연적인 압력 크리프를 보상하는 윈들러스 지혈대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섹션 중 하나에 부착된 캡을 갖는 베이스를 갖는 지혈대가 제공된다. 압박 스트랩이 베이스에 부착되고 베이스를 가로질러 연장되는데, 압박 스트랩의 일부는 베이스와 캡 사이에 끼워진다. 윈들러스 핸들(windlass handle)이 제공되며, 압박 스트랩이 통과되어 스트랩 루프를 형성하도록 스티치 패턴에 의해 그 자체에 스티칭되는 스트랩 개구를 포함한다. 라킹 스트랩(locking strap)이 캡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캡에 부착된다. 핸들 스톱(handle stop)이 핸들 스트랩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하도록 핸들 스톱은 라킹 스트랩에 계합한다. 스트랩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버클 프레임 및 버클 프레임의 제1 측으로부터 버클 프레임의 반대편의 제2 측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체 조임식 슬라이딩 암(self-cinching sliding arm), 버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암을 포함한다. 압박 스트랩은 상기 버클 프레임을 통과하며, 버클 커넥터가 버클 프레임에 계합하도록 압박 스트랩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섹션 중 하나에 부착된 캡을 갖는 베이스를 갖는 지혈대가 제공된다. 압박 스트랩이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고 베이스를 가로질러 연장되는데, 압박 스트랩의 일부는 베이스와 캡 사이에 끼워진다. 윈들러스 핸들이 제공되며, 압박 스트랩이 통과되어 스트랩 루프를 형성하도록 스티치 패턴에 의해 그 자체에 스티칭되는 스트랩 개구를 포함한다. 스티치 패턴은 압박 스트랩의 폭을 따라 중심에 놓이고 압박 스트랩의 폭의 1/4 내지 1/2인 폭방향 치수를 갖는다. 스트랩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버클 프레임 및 버클 프레임의 제1 측으로부터 버클 프레임의 반대편의 제2 측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체 조임식 슬라이딩 암, 버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암을 포함한다. 압박 스트랩은 상기 버클 프레임을 통과하며, 버클 커넥터가 압박 스트랩에 부착되고 버클 프레임에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섹션 중 하나에 부착된 캡을 갖는 베이스를 갖는 지혈대가 제공된다. 압박 스트랩이 베이스에 부착되고 베이스를 가로질러 연장되는데, 압박 스트랩의 일부는 베이스와 캡 사이에 끼워진다. 윈들러스 핸들이 제공되며, 압박 스트랩이 통과되어 스트랩 루프를 형성하도록 스티치 패턴에 의해 그 자체에 스티칭되는 스트랩 개구를 포함한다. 라킹 스트랩이 캡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캡에 부착되고, 핸들 스톱이 라킹 스트랩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는 핸들 스톱을 통과한다. 스트랩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버클 프레임 및 버클 프레임의 제1 측으로부터 버클 프레임의 반대편의 제2 측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체 조임식 슬라이딩 암, 버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암을 포함한다. 압박 스트랩은 상기 버클 프레임을 통과하며, 버클 커넥터가 압박 스트랩에 부착되고 버클 프레임에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가 첨부 도면들에 예로서 도시되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들도 이용될 수 있고 현재 알려진 구조적 및/또는 기능적 동등물들을 기초로 한 구조적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 이점들, 및 특징들은 이하의 도면들과 연계하여 숙독하면 보다 용이하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의 평면도를 묘사한다.
도 2는 스티치 패턴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1 위치에서 사지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를 도시한다.
도 4는 보다 큰 원주방향 힘을 가하는 도 3의 지혈대를 묘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혈대의 핸들 스톱(handle stop)을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연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 조임식 슬라이딩 부재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연결 어셈블리 및 스트랩 결합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를 도시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혈대(101)는 베이스(115)에 부착된/계합된 수축 밴드 또는 압박 스트랩(110)을 포함한다. 압박 스트랩(110)은 바람직하게는 약 1 인치(2.54 cm) 내지 약 3 인치(7.62 cm)의 폭,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인치(2.54 cm) 내지 약 2 인치(5.08 cm)의 폭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압박 스트랩(110)은 약 1.5 인치(3.81 cm)의 폭을 갖는다. 압박 스트랩(110)은 최소한, 스트랩이 평균 사이즈의 성인 남성의 사지 둘레에 감겨질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베이스(115)는 바람직하게는, 압박 스트랩(110)보다 폭이 넓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115)는 적어도 2 인치(5.08 cm)의 폭을 갖는다.
압박 스트랩(110)의 제1 단부는 베이스(115)의 제1 단부에 근접한 부착점에서 베이스(115)에 고정 부착, 예를 들면 스티칭된다. 압박 스트랩(110)은 최소한, 압박 스트랩(110)이 평균 사이즈의 성인 남성의 사지 둘레에 감겨질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베이스(115)를 가로질러 베이스(115)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지혈대(101)를 조이기 위해 지혈대 핸들(125)이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혈대 핸들(125)은 윈들러스(windlass)이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지혈대 핸들(125)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제1 및 제2 핸들 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잠금 홈(locking grooves)(127)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지혈대 핸들(125)에 잠금 홈들이 없을 수도 있다.
지혈대 핸들(125)은 압박 스트랩(110)이 통과하는 개구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스트랩(110)은 지혈대 핸들(125)에 계합하는 스트랩 루프(135)를 형성하기 위해 스티치 패턴(130)에 의해 그 자체에 스티칭된다. 지혈대 핸들(125)이 조여짐에 따라, 압박 스트랩(110)은 축적되어 트위스트 또는 매듭(135)(도 3)을 형성하는데, 이는 원주방향 압력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트위스트(135)가 너무 크면, 지혈대 핸들(125)은 한쪽으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의해 계속 회전하여 추가의 원주방향 압력을 발생시키는 능력을 제한한다.
본 발명자들은 스티치 패턴(130)이 트위스트(135)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결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치 패턴(130)은 삼각형일 수 있는데, 여기서 삼각형은 대체로 압박 스트랩(110)의 폭을 따라 중심에 놓이고 삼각형의 밑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혈대 핸들(125)에 대체로 평행한 압박 스트랩(110)의 폭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스티치 패턴(130)은 압박 스트랩(110)의 폭의 1/4 내지 1/2의 최대 폭방향 치수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티치 패턴(130)은 다이아몬드, T, I, 및 V자형 패턴들을 포함하여 대체로 압박 스트랩(110)의 폭을 따라 중심에 놓이는 다양한 스티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패턴은 상이한 크기의 트위스트들을 생성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각각은 지혈대 핸들(125)이 조여질 때 한쪽으로 떨어지는 경향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그에 따라 핸들을 돌려서 추가의 원주방향 압력을 가하는 것을 더 수월하게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압박 스트랩(110)이 캡(140)과 베이스(115) 사이에 끼워지도록 캡(140)이 압박 스트랩(110)의 일부의 위에 놓이고는 베이스(115)에 고정 부착된다. 제1 및 제2 단부에서 캡(140)에 고정 부착된 라킹 스트랩(locking strap)(155)을 통해 핸들 스톱(handle stop)(145)과 핸들 락(handle lock)(150)이 캡(140)에 부착된다. 핸들 락(150)은 옵션이며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스톱(145)과 핸들 락(150)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라킹 스트랩(155)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즉, 락(150)과 스톱(145) 양자 모두는 라킹 스트랩(155)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라킹 스트랩(155)에 의해 가해지는 최소의 마찰력만을 받는다. 락(150)과 스톱(145) 어느 것에도 라킹 스트랩(155)을 파지하기 위한 어떠한 부착 메커니즘도 구비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핸들 스톱(145)은 스트랩 개구(160)를 갖는 대체로 C자형 부재이다. 압박 라킹 스트랩(155)은 스트랩 개구(160)을 통과한다. 스트랩 개구(160)는 충분히 넓어서 스트랩 개구(160)의 상부 경계와 하부 경계 중 최대로 하나만이 임의의 주어진 시점에 라킹 스트랩(155)에 접촉하며, 그에 의해 핸들 스톱(145)이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락(150)은 링, 예를 들면 삼각형 링 또는 D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라킹 스트랩(155)은 링 개구를 통과하며, 그에 의해 락(150)이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사용시, 지혈대 핸들(125)은 원하는 양의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트위스트되고는 그 원하는 토크를 유지하기 위해 핸들 스톱(145)에 삽입된다. 핸들 락(150)은 지혈대 핸들(125)을 적소에 잠그기 위해 지혈대 핸들(125)의 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된 홈들 중 하나와 계합될 수 있다. 하지만, 지혈대 적용 후 약 5 분 이내에 직조물의 연신 및 침강으로 인해 최대 약 25 %의 원주방향 압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톱(145) 및/또는 락(150)을 위쪽으로 트위스트(135)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지혈대 핸들를 탈거하지 않고도 압력을 최대 약 25 %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제공한다. 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은 스톱(145)이 트위스트(135)에 근접한 제1 위치에 고정된 지혈대(101)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스톱(145)이 트위스트(125)로부터 멀리 슬라이딩된 제2 위치에 고정된 지혈대(101)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115)는 실질적으로 강성이며, 따라서 지혈대 핸들(125)이 트위스트될 때 그 온전성을 유지한다. 실질적으로 강성이라 함은, 사지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가요성이 있으며 지혈대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지혈대 핸들(125)이 트위스트될 때 결합 또는 뭉개지는 것을 회피하도록 베이스(115)가 충분히 강성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베이스(115)는 2"×8½"(5.08 cm × 21.59 cm) 섹션의 중앙 웨빙 부재, 중앙 웨빙 부재의 하면에 부착된 2"×8½"(5.08 cm × 21.59 cm)의 루프형 단부 Velcro®, 및 중앙 웨빙 부재의 상부측에 부착된 2"×3"(5.08 cm × 7.62 cm) 스트립의 상부 웨빙 부재로 제작된다. 중앙 웨빙 부재 섹션은 16 포인트의 중량(heavy weight) 폴리프로필렌 재료 또는 그 동등물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 웨빙 부재는 나일론 스쿠버 웨빙(nylon scuba webbing) 또는 그 동등물로 제작될 수 있으나, 각각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웨빙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논스키드(nonskid) 또는 논슬립(non-slip) 직물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가 루프형 단부 Velcro®를 대체할 수 있다.
개별 섹션들은 재봉, 접착, 또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접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루프형 단부 Velcro® 섹션과 중앙 웨빙 부재는 서로 재봉된다. Velcro®의 루프형 단부는 지혈대(101)가 사용될 때 루프의 최하 층이 사지와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Velcro®의 루프형 단부는 지혈대(101)와 사지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고 중앙 웨빙 부재와 사지의 조직 사이에 패딩을 제공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Velcro®의 루프형 단부는 또한 지혈대(101)의 사용과 관련될 수 있는 집힘(pinching) 및 멍듦(bruising)으로부터 피부와 연조직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Velcro®의 루프형 단부는 또한 지혈대를 적소에 유지시키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물품(10)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혈대 물품(10)을 적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상부 웨빙 부재는 상부 웨빙 부재의 단부로부터 약 2"(5.08 cm) 거리에서 중앙 웨빙 부재의 상향측에 부착될 수 있고 핸들(125)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15)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핸들(125)이 트위스트되거나 돌려졌을 때 베이스(115)의 결합 또는 뭉개짐을 최소화하기 위해 나일론 스쿠버 웨빙이 상부 웨빙 부재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스쿠버 웨빙의 복수의 섹션이 결합되어 상부 웨빙 부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지혈대(101)를 더욱 쉽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게 하는 것 외에 사지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가요성이 여전히 있으면서 강성의 필요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루프 단부 Velcro® 부재, 중앙 웨빙 부재, 및 상부 웨빙 부재는 각각 스쿠버 웨빙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115)의 각 부재는 연장, 단축, 폭의 협소화, 또는 광폭화될 수 있다. 추가 패딩이 베이스(115)에 추가될 수도 있고, 또는 루프 단부 벨크로 부재, 중앙 웨빙 부재, 또는 상부 웨빙 부재에 개별적으로 추가될 수도 있다. 베이스(115)를 구성하는 부재들 중 하나 이상을 접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접착 스트립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혈대(101)는 압박 스트랩(110)을 그 자체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스트랩 연결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 연결 어셈블리(200)는 프레임(210)과 계합된 자체 조임식 슬라이드 부재(225)를 갖는 프레임(210) 및 베이스(115)에 부착되고 프레임(210)에 해제 가능하게 계합하도록 구성된 버클 커넥터(220)을 갖는 슬라이더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은 버클 커넥터(220)와 계합하도록 구성된 제1 개구(230) 및 제2 개구(235)를 포함한다. 제2 개구(235)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측면(236, 237)과 제1 및 제2 축방향 측면(238)에 의해 획정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자체 조임식 슬라이드 부재(225)는 제2 개구(235)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커프(cuff) 또는 바(bar)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축방향 측면(238)에 외부에서 장착된다. 제2 개구(235)는 미끄러짐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스트랩 감김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235)는 예를 들어, 3/4" x 1½"(1.905 cm x 3.81 cm)의 치수를 나타낸다.
베이스(115)의 특정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115)는 다른 구조들 및 재료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실질적으로 강성일 필요는 없다.
자체 조임식 슬라이드 부재(225)는 길이방향 중앙 섹션(240)과, 제1 및 제2의 C자형 단부 피스(24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축방향 측면(238)이 C자형 단부 피스의 초승달 형상부 내에 꼭 맞게 끼워지며, 그래서 자체 조임식 슬라이딩 바가 축 방향으로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 조임식 슬라이드 부재(225)는 자체 조임식 부재(225)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트립 파지 베인(strip gripping vane)(244)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스트랩(110)을 단순히 잡아당김으로써, 압박 스트랩(110)이 자체 조임식 슬라이드 부재(225)와 길이방향 측면들(236, 237) 중 하나 사이에 집힐 때까지 자체 조임식 슬라이드 부재(225)가 프레임(210)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압박 스트랩(110)은 스트랩 파지 베인(244) 위를 포함하여 자체 조임식 슬라이드 부재(225) 위로 루프를 이룬다. 이론에 구속되지는 않지만, 스트랩 파지 베인(244)은 압박 스트랩(110)의 이동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45 도 이하의 각도로 인장을 받는 동안 스트랩의 미끄러짐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버클 프레임(210)과 슬라이딩 부재(225)는 바람직하게는 금속보다 훨씬 더 윤활성이 있지만 지혈대들을 사용할 때 통상적으로 맞딱뜨리게 되는 힘들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한 재료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버클 프레임(210)과 슬라이딩 부재(225)는 최대 300 파운드의 인장 시험을 견딜 수 있는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스트랩 커넥터(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부재(222) 및 스트랩 채널 베이스 부재(224)를 포함한다. 후크 부재(222)는 내부 표면을 갖는 커프를 포함한다. 후크 부재(222)는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은 스트랩 계합 개구(strap engaging aperture)를 획정하는 스트랩 채널 베이스 부재(224)로부터 연장된다. 스트랩 채널 베이스 부재(224)는 에지들을 가질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1 측면 - 이로부터 후크 부재(222)가 연장됨 - 및 약간 만곡된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스트랩(110)은 버클 커넥터(220)를 통과하여 베이스(115)에 고정 연결된다. 이는 버클 커넥터(220)가 압박 스트랩(110)이 베이스(115)에 부착된 지점과 스티치 패턴(130) 사이에서 압박 스트랩(110)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버클 커넥터(220)가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토크를 감소시키고 특히 악력이 약한 사용자들에게 지혈대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최대 2:1의 기계적 확대율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위에서 논의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추가 실시예에서, 스트랩 연결 어셈블리(220)는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110307004 A1 또는 2018175953 A1에 기재된 스트랩 연결 어셈블리들 또는 임의의 유사한 이러한 어셈블리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개구를 갖는 임의의 윈들러스 핸들이 윈들러스 핸들(125)을 대체할 수도 있다.
특정 컴포넌트들 및 구조 요소들에 대해 특정 재료들이 식별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다른 재료들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더 버클, 슬라이드 부재, 및 버클 커넥터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경우, 단수 형태들 "a", "an", 및 "the"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포함하다" 및/또는 "가지다"라는 어근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명기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아래의 청구범위에서의 모든 수단 플러스 기능 요소들의 대응하는 구조들, 재료들, 행위들, 및 동등물들은 구체적으로 특허청구된 다른 특허청구된 요소들과 조합하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구조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발명의 설명이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으나, 망라적이라거나 개시된 형태의 본 발명으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많은 수정 및 변형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위에서 사용된 "실질적으로", "대체로" 및 다른 정도를 나타내는 단어들(words of degree)은 그 수식되는 특성으로부터 허용 가능한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상대적인 수식어들이다. 그 수식하는 절대값이나 특성으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 반대보다 더 많은 물리적 또는 기능적 특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물리적 또는 기능적 특성에 접근하거나 이를 근사화함을 의도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전술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개조 및 수정이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것과는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2)

  1. 적어도 제1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섹션 중 하나에 부착된 캡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압박 스트랩 - 상기 압박 스트랩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 사이에 끼워짐 -;
    스트랩 개구 - 상기 압박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 개구를 통과하며 스트랩 루프를 형성하도록 스티치 패턴에 의해 그 자체에 스티칭됨 - 를 갖는 윈들러스 핸들(windlass handle);
    상기 캡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캡에 부착된 라킹 스트랩(locking strap);
    핸들 스톱(handle stop)이 상기 핸들 스트랩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라킹 스트랩과 계합하는 핸들 스톱; 및
    버클 프레임, 상기 버클 프레임의 제1 측으로부터 상기 버클 프레임의 반대편의 제2 측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체 조임식 슬라이딩 암(self-cinching sliding arm), 및 상기 버클 프레임에 계합하도록 구성된 상기 압박 스트랩에 부착된 버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스트랩 커넥터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자체 조임식 슬라이드 암은 상기 버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박 스트랩은 상기 버클 프레임을 통과하는, 지혈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패턴은 상기 압박 스트랩의 폭을 따라 중심에 놓인 삼각형, 다이아몬드, I, T, 및 V 패턴 중 하나를 포함하는,
    지혈대.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스트랩은 제1 폭을 가지며 상기 스티치 패턴은 상기 제1 폭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지혈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패턴은 상기 압박 스트랩의 제1 폭의 1/2 내지 1/4인 최대 폭방향 치수를 갖는,
    지혈대.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들러스 핸들이 돌려질 때 상기 버클 커넥터가 상기 압박 스트랩이 상기 베이스에 부착된 지점과 상기 스티치 패턴 사이에서 상기 압박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버클 커넥터는 상기 압박 스트랩에 부착되는,
    지혈대.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라킹 스트랩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된 핸들 락(handle lock):
    을 더 포함하는, 지혈대.
  7. 적어도 제1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섹션 중 하나에 부착된 캡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압박 스트랩 - 상기 압박 스트랩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 사이에 끼워짐 -;
    스트랩 개구를 갖는 윈들러스 핸들 - 상기 압박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 개구를 통과하며 스트랩 루프를 형성하도록 스티치 패턴에 의해 그 자체에 스티칭되고, 상기 스티치 패턴은 상기 압박 스트랩의 폭을 따라 중심에 놓이고 상기 압박 스트랩의 폭의 1/4 내지 1/2인 폭방향 치수를 가짐 -; 및
    버클 프레임, 상기 버클 프레임의 제1 측으로부터 상기 버클 프레임의 반대편의 제2 측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체 조임식 슬라이딩 암, 및 상기 버클 프레임에 계합하도록 구성된 상기 압박 스트랩에 부착된 버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스트랩 커넥터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자체 조임식 슬라이드 암은 상기 버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박 스트랩은 상기 버클 프레임을 통과하는, 지혈대.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패턴은 삼각형인,
    지혈대.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패턴은 다이아몬드, I, T, 및 V 중 하나인,
    지혈대.
  10. 적어도 제1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섹션 중 하나에 부착된 캡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압박 스트랩 - 상기 압박 스트랩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 사이에 끼워짐 -;
    스트랩 개구 - 상기 압박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 개구를 통과하며 스트랩 루프를 형성하도록 스티치 패턴에 의해 그 자체에 스티칭됨 - 를 갖는 윈들러스 핸;
    상기 캡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캡에 부착된 라킹 스트랩;
    개구를 포함하는 핸들 스톱 - 상기 핸들 스톱이 상기 라킹 스트랩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라킹 스트랩은 상기 개구를 통과함 -; 및
    버클 프레임, 상기 버클 프레임의 제1 측으로부터 상기 버클 프레임의 반대편의 제2 측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체 조임식 슬라이딩 암, 및 상기 버클 프레임에 계합하도록 구성된 상기 압박 스트랩에 부착된 버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스트랩 커넥터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자체 조임식 슬라이드 암은 상기 버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박 스트랩은 상기 버클 프레임을 통과하는, 지혈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라킹 스트랩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된 핸들 락:
    을 더 포함하는, 지혈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커넥터는 상기 압박 스트랩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지혈대.
KR1020217039353A 2019-05-08 2020-05-08 윈들러스 지혈대 KR102527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45051P 2019-05-08 2019-05-08
US62/845,051 2019-05-08
PCT/US2020/032254 WO2020227697A1 (en) 2019-05-08 2020-05-08 Windlass tourniqu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418A KR20220076418A (ko) 2022-06-08
KR102527560B1 true KR102527560B1 (ko) 2023-04-28

Family

ID=7305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353A KR102527560B1 (ko) 2019-05-08 2020-05-08 윈들러스 지혈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20218359A1 (ko)
EP (1) EP3965669A4 (ko)
JP (1) JP7165275B2 (ko)
KR (1) KR102527560B1 (ko)
CN (1) CN114727824A (ko)
AU (1) AU2020268195B2 (ko)
BR (1) BR112021022443A2 (ko)
CA (1) CA3138929C (ko)
FR (1) FR3095749A1 (ko)
IL (1) IL287867B2 (ko)
JO (1) JOP20210299A1 (ko)
MX (1) MX2021013563A (ko)
WO (1) WO2020227697A1 (ko)
ZA (1) ZA202108891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2908A2 (en) 2004-06-08 2005-12-29 Phil Durango, Llc Tourniquet and method of use
US20150216536A1 (en) 2014-02-04 2015-08-06 The Seaberg Company, Inc. Extremity Tourniquet
US20160367262A1 (en) 2015-06-18 2016-12-22 Samuel E. Burke Tourniquet and Windlass Assembly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6064B2 (en) * 2004-04-21 2010-08-17 Tactical Medical Solutions, Inc. Tourniquet article
US8343182B2 (en) * 2008-09-04 2013-01-01 Kirkham Jeffrey B Tourniquet assembly
JP5793148B2 (ja) * 2009-12-09 2015-10-14 タクティカル メディカル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ク.Tactical Medical Solutions,Inc. 止血帯
US20140277103A1 (en) * 2013-03-15 2014-09-18 Phil Durango Llc Quick-connect buckle for a tourniquet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CA3214534A1 (en) * 2013-09-27 2015-04-02 Alphapointe A mechanical tournique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206372076U (zh) * 2013-12-05 2017-08-04 卡森·托马斯·亨德森 用于冲浪板保持和紧急医疗的冲浪板附件
US20180228497A1 (en) * 2016-10-03 2018-08-16 Michael J. Dimino Tourniquet
US20180257747A1 (en) * 2017-01-27 2018-09-13 Claude Haskins Surf leash tourniquet device and related methods
CA3057624A1 (en) * 2017-03-23 2018-09-27 John Morris Tourniquet with rotatable buckle assembly
US20180317935A1 (en) * 2017-05-08 2018-11-08 Rachel Ann Engwall Tourniquet with an attached timer
CA3100531A1 (en) * 2019-11-26 2021-05-26 Acme United Corporation Medical tourniquet
US11684373B2 (en) * 2020-09-16 2023-06-27 Recon Medical, Llc Lightweight tourniquet
US20230233213A1 (en) * 2022-01-21 2023-07-27 M-Pak, Inc. Tourniquet windlass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tool implements
USD991452S1 (en) * 2023-03-31 2023-07-04 Risen Medical Products Co., Ltd. Tourniqu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2908A2 (en) 2004-06-08 2005-12-29 Phil Durango, Llc Tourniquet and method of use
US20150216536A1 (en) 2014-02-04 2015-08-06 The Seaberg Company, Inc. Extremity Tourniquet
US20160367262A1 (en) 2015-06-18 2016-12-22 Samuel E. Burke Tourniquet and Windlass Assembly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7697A1 (en) 2020-11-12
CA3138929C (en) 2023-01-17
IL287867B2 (en) 2023-05-01
FR3095749A1 (fr) 2020-11-13
IL287867B1 (en) 2023-01-01
EP3965669A1 (en) 2022-03-16
BR112021022443A2 (pt) 2022-03-22
JP7165275B2 (ja) 2022-11-02
CN114727824A (zh) 2022-07-08
KR20220076418A (ko) 2022-06-08
IL287867A (en) 2022-01-01
MX2021013563A (es) 2022-02-11
ZA202108891B (en) 2022-08-31
AU2020268195B2 (en) 2022-12-01
JOP20210299A1 (ar) 2023-01-30
JP2022525690A (ja) 2022-05-18
EP3965669A4 (en) 2023-03-29
US20220218359A1 (en) 2022-07-14
AU2020268195A1 (en) 2021-12-02
CA3138929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6064B2 (en) Tourniquet article
US9750507B2 (en) Emergency tourniquet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10016203B2 (en) Tourniquet and method of use
US7892253B2 (en) Tourniquet and method of use
AU2014324593C1 (en) A mechanical tournique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DK2509515T3 (en) Tourniquet
US8214975B2 (en) Adjustable length litter strap assembly
US20170354422A1 (en) Emergency arterial tournique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CN111432681B (zh) 具有可旋转带扣组件的止血带
US20230371957A1 (en) Holster and Tourniquet
KR102527560B1 (ko) 윈들러스 지혈대
WO2019036203A1 (en) EMERGENCY ARTERIAL TOURNAM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RU2774828C9 (ru) Турникет-закрутка
RU2774828C1 (ru) Турникет-закрутка
JP2019534770A (ja) ねじり力に強いバックルを有する止血帯
US20220265281A1 (en) Mechanical tournique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