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188B1 -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188B1
KR102527188B1 KR1020190176223A KR20190176223A KR102527188B1 KR 102527188 B1 KR102527188 B1 KR 102527188B1 KR 1020190176223 A KR1020190176223 A KR 1020190176223A KR 20190176223 A KR20190176223 A KR 20190176223A KR 102527188 B1 KR102527188 B1 KR 10252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ical
signal strength
exerci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684A (ko
Inventor
김대영
유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카텍
Priority to KR1020190176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1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N2001/083Monitoring integrity of contacts, e.g. by impedanc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극 패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극 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 저항, 운동 지속 시간, 사용자의 자세 등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근육자극, 즉, EMS(Electrical Muscular Stimulation)는 도선 또는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체내에 전류를 공급하여 사용자의 근육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한 근육증강, 근육운동, 실금의 관리, 척추기형의 관리 등 다양하게 적용되어 골격근 수축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몸을 움직일 때 뇌에서 근육으로 하달되는 전기적 명령신호와 동일한 전류를 기계장치를 통해 근육에 직접 흘려넣어 운동신경과 근섬유가 수축을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 전류가 흐르지만 그것은 인체의 신호와 유사하게 조절된 것이라 감전된다는 느낌은 없다.
EMS에 의한 운동은 덤벨 운동과 같이 무거운 것을 사용하는 운동과는 상위하며, 근육을 전기적으로 자극함으로 써 근육이 수축되는 것을 이용해서 근육을 단련시킨다는 것이며, 보다 안정성이 높은 운동 방법으로서 평가되고 있다.
종래, EMS 운동을 제공하는 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도록 전기자극용 패드가 부착된 운동복을 이용하며, 이러한 전기자극용 패드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수행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운동 모드에 따라 자동 설정된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전기 강도로 단순히 전기 신호를 제공할 뿐이어서, 사용자의 운동 자세, 시간, 땀 등으로 접속 저항이 변경되는 경우, 균일한 운동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현재 실시하고 있는 운동 동작을 고려하여 전기적 자극이 가해지는 위치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지 못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KR 10-2019-0014633 A (2019. 02. 13.) KR 10-1775506 B1 (2017. 09. 06.)
본 개시는 접촉 저항, 운동 지속 시간, 사용자의 자세 등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극 패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극 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는, 통신부;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전기자극 패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극 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EMS 트레이닝 장치의 복수의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 모드, 각 운동 모드 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및 상기 신체 부위 별 신호 강도에 관한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닝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모드 별로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은, 통신부; 상기 EMS 트레이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EMS 트레이닝 장치의 복수의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 모드, 각 운동 모드 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및 상기 신체 부위 별 신호 강도에 관한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트레이닝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모드 별로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 "모듈"은 어드레싱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 "모듈" 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장치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시스템(1000)은, 의복(10), EMS 트레이닝 장치(100), 단말(200)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의복(1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자극 패드(11)는 양극, 음극의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의복을 사용자가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등, 어깨, 가슴, 복근, 허벅지, 등의 신체 부위에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극 패드(11)는 각각 대응하는 전선(12)을 통해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복(10) 또는 전기자극 패드(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등)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의복(10)의 일 측에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에는 전선(12) 및 전기자극 패드(11)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기자극 패드(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위로 전기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기자극 패드(11)와 신체 부위 간의 접속 저항,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 및/또는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전기자극 패드(11)에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단말(200)과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EMS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로부터 운동 모드의 선택,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한 신호 강도 및/또는 신호 패턴 등의 자동 또는 수동 조절을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200)에 1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트레이닝 정보(운동 모드, 운동 모드별 신체 부위에 대한 신호 강도 등)를 전달할 수 있다.
단말(200)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가전 디바이스, 의료 디바이스,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유,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며,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EMS 트레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운동 모드의 선택,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한 신호 강도 및/또는 신호 패턴 등의 자동 또는 수동 조절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EMS 트레이닝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1 이상의 EMS 트레이닝 장치(100)로부터 사용자들의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하고, 누적된 정보를 기초로 운동 모드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별 추천 신호 강도/신호 패턴을 설정하여, 이에 따라 EMS 트레이닝 장치(100)가 전기자극 패드(11)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 EMS 트레이닝 장치(100)과 서버가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라,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팅 자원, 저장 자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전기 신호 발생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110), 메모리(120), 전기 신호 발생부(130), 프로세서(140) 중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는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유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6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16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20)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가 송수신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전기 신호 발생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가지며, 프로세서(140)의 지시에 따라, 전선(12) 등을 통해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신호 발생부(130)는 전원부(또는, 배터리), 파형 발생기, 전극, 단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EMS 트레이닝 장치(100)가 동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는 EMS 트레이닝 동작(전기자극 패드(11)로의 전기 신호 인가 등)을 수행하도록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측정된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기준 저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전기자극 패드(11)에 현재 인가된 전기 신호의 강도 대비 소정의 비율 내에서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기준 저항과 측정된 접촉 저항의 차이에 대응하여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한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접촉 저항과 운동 지속 시간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운동 지속 시간은,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전기 신호가 인가된 시점부터 기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운동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 이상이고, 측정된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판단하며, 판단된 운동 동작에 대응하여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 및 신호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1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기자극 패드(11)가 부착된 의복(10)을 착용하면,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은, 예를 들어, 가슴, 팔, 등, 허벅지 등의 신체 부위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이러한 전기자극 패드(11)와 전선(12)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체 부위의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신호 강도, 신호 패턴(예를 들어, 강도 변화, ON/OFF 변화, 펄스 파형 변화 등) 등은 사용자가 단말(200)을 통해 선택한 운동 모드 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32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기 신호가 인가된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에 대하여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피부와 접촉하는 전기자극 패드(11)의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을 통해 전달되는 저항(임피던스)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33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측정된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측정된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근육 자극 및/또는 운동량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복(10)을 착용한 채로 운동을 수행하면, 운동 자세 등에 따라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일부와 신체 부위 간의 접촉 강도가 달라지거나, 사용자의 피부에 흐르는 땀 등으로 인해 전기자극 패드(11)의 양 전극을 통해 측정되는 접촉 저항이 변화할 수 있다. 특히, 접촉 저항이 증가하게 되면, 설정된 신호 강도보다 낮은 전기 신호가 신체 부위로 전달됨으로 인하여,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근육 자극이 낮아져 운동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촉 저항이 일정한 기준 저항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해당 전기자극 패드(11)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신호 강도를 미세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신체 부위에 대한 동일한 근육 자극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기준 저항과 측정된 접촉 저항의 차이가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하여 신호 강도를 더 많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기준 저항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기자극 패드에 현재 인가된 전기 신호의 강도 대비 소정의 비율 내에서 신호 강도를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운동 모드 또는 신체 부위의 특성 등에 따라 각 신체 부위별로 최초 설정된 신호 강도가 상이하거나, 신체 부위별 전기 자극 변화에 대한 민감도 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 전기자극 패드(11) 별로 기준 저항을 상이하게 설정하거나, 최대 증가 가능한 신호 강도의 범위를 설정된 신호 강도대비 소정의 비율내로 제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방법(400)에서, 410 단계 및 430 단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 방법(300)의 310 단계 및 320 단계와 동일하므로, 도 3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42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1 이상의 전기자극 패드(11)에 인가된 전기 신호의 유지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기자극 패드(11) 중 임의의 일부에 대하여 전기 신호가 인가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동일 또는 상이한 전기자극 패드(11)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까지를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440 단계에서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측정된 운동 지속 시간 및 전기자극 패드(11)의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11)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측정된 운동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 이상이고,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운동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측정된 접촉 저항이 기준 저항보다 높다고 하더라도, 운동 자세나 땀에 의해 접속 저항이 변화되기 보다는, 전기자극 패드(11) 자체의 결함, 오작동 또는 사용자의 잘못된 착용으로 기인한 것일 확률이 높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운동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임에도 접촉 저항이 기준 저항보다 높은 경우에는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방법(500)에서, 510 단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 방법(300)의 310 단계와 동일하므로, 도 3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52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복(10), 전기자극 패드(11) 및/또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 자체에 장착될 수 있으며,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의 각도나 기울기, 속도 등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는,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3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감지된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운동 동작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가 엉덩이를 일정한 각도로 내밀면서 하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 상태를 반복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스쿼드(squat) 운동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54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판단된 운동 동작에 대응하여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 및 신호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530 단계에서 사용자가 스쿼드 운동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스쿼드 운동에 이용되는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한 신호 강도를 증대시키거나, 근육의 수축 및 이완에 맞춰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500)에 따르면,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신체 부위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강도 및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는 단말(200)은 통신부(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단말(200)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200)는 전술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디스플레이부, 입력부 등)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210), 메모리(220), 프로세서(230) 중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 또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유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23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2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여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단말(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220)는 단말(200)가 송수신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20)는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는 단말(200)이 동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2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는 단말(2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복수의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 모드, 각 운동 모드 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및 신체 부위 별 신호 강도에 관한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하고, 트레이닝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모드 별로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 2 사용자로부터 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제 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동 모드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2 사용자의 신체 부위 각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 2 사용자로부터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수동 조절 입력을 수신하고, 수동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패드(11)의 신호 강도를 조절하도록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 동안 동일한 신체 부위에 대하여 연속되는 복수 회의 수동 조절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신호 강도의 최대 상승 범위는 소정의 강도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710 단계에서, 단말(200)은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 모드, 각 운동 모드 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및 신체 부위 별 신호 강도에 관한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는 동일 또는 상이한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각각 이용하여 EMS 트레이닝을 수행한 사용자일 수 있으며, 운동 모드는, 예를 들어, 기초 운동, 지구력 운동, 유산소 운동, 전신 근력 운동, 하체 집중 운동, 지방 연소 운동, 정리 운동, 마사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720 단계에서, 단말(200)은 수집된 트레이닝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모드 별로 신체 부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동 모드별로 설정된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는 단말(200) 자체에 저장되거나, 외부 장치(서버 등) 또는 연동하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추천 신호 강도는 각 운동 모드에서 신체 부위 각각에 인가된 전기 신호의 신호 강도에 대한 평균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추천 신호 강도는 1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신호 강도는, 상기 평균의 50%, 75% 100%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730 단계에서, 단말(200)은 제 2 사용자로부터 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제 2 사용자에게 운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 일 수 있다.
740 단계에서, 단말(200)은 제 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동 모드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 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운동 모드에 대응하여 저장된 각 신체 부위별 추천 신호 강도 및/또는 추천 신호 패턴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EMS 트레이닝 장치(100)로 하여금 제 2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의 신호 강도 및/또는 신호 패턴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제 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동 모드에 복수의 추천 신호 강도 및/또는 추천 신호 패턴이 설정된 경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방법(800)에서, 810 단계 내지 840 단계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 방법(700)의 710 단계 내지 740 단계와 동일하므로, 도 7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850 단계에서, 단말(200)은 제 2 사용자로부터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수동 조절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제 2 사용자에게 신체 부위별로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한 신호 강도를 수동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850 단계에서, 단말(200)은 수동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패드(11)의 신호 강도를 조절하도록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단말(200)은 신호 강도의 수동 조절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EMS 트레이닝 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EMS 트레이닝 장치(100)로 하여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패드(11)의 신호 강도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동일한 신체 부위에 대하여 연속되는 복수회의 수동 조절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신호 강도의 최대 상승 범위는 소정의 강도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1 회 입력 시 상승되는 강도가 '5'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단말(200)에 동일 신체 부위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3회 이상 하더라도, 최대 상승되는 강도는 '10'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의 강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200)은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현재 동작 상태(예를 들어, 운동 모드, 진행 시간, 신체 부위별 신호 강도 등)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단말(200)의 화면의 일정한 부분을 접촉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운동 모드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또는 추선 신호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버튼 이미지(910)와 사용자가 선택한 추천 신호 강도 및/또는 추선 신호 패턴으로 자동 제어를 시작하게 하는 제 2 버튼 이미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버튼 이미지(910)는 각각 누적된 동일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평균 강도의 50%, 75%, 100%에 대응하는 3개의 이미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3개 이미지 중 하나를 접촉(즉, 선택)한 다음 제 2 버튼 이미지(920)를 접촉하면, 각 신체 부위에 인가되는 신호 강도가 자동으로 설정되면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통해 각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패드(11)로 전기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 신체 부위에 현재 설정된 신호 강도를 표시하고, 각 신체 부위를 선택하여 신호 강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 3 버튼 이미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3 버튼 이미지(930) 중에서 하나를 접촉하여 조절을 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선택하고, 해당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신호 강도를 수동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 일 뿐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및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Claims (15)

  1.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극 패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극 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저항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 패드와 상기 신체 부위 간의 접촉 강도가 달라지거나,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흐르는 땀이 상기 전기자극 패드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할 경우 변화하며,
    상기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과 상기 운동 지속 시간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상기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운동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 이상이고,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상기 전기자극 패드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 패드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기 기준 저항은 서로 상이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기자극 패드에 현재 인가된 전기 신호의 강도 대비 소정의 비율 내에서 신호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운동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자극 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 및 신호 패턴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로서,
    통신부;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전기자극 패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극 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저항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 패드와 상기 신체 부위 간의 접촉 강도가 달라지거나,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흐르는 땀이 상기 전기자극 패드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할 경우 변화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과 상기 운동 지속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강도를 제어하되, 상기 운동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 이상이고,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상기 전기자극 패드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장치.
  9.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176223A 2019-12-27 2019-12-27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52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23A KR102527188B1 (ko) 2019-12-27 2019-12-27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23A KR102527188B1 (ko) 2019-12-27 2019-12-27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684A KR20210083684A (ko) 2021-07-07
KR102527188B1 true KR102527188B1 (ko) 2023-05-02

Family

ID=7686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223A KR102527188B1 (ko) 2019-12-27 2019-12-27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940B1 (ko) * 2022-02-26 2023-02-17 주식회사 코어무브먼트 가변 채널 제어 가능한 전기적 근육 자극 시스템 및 전기적 근육 자극 방법
KR102603577B1 (ko) * 2022-12-22 2023-11-21 주식회사 피치라이프사이언스 전극과 생체간 접촉 상태에 따른 자극 세기 조절이 가능한 의료용 전기 자극기
CN117095808B (zh) * 2023-10-18 2024-02-20 杭州般意科技有限公司 基于终端操作的模式推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045A (ja) 2004-12-27 2006-07-13 Hoomaa Ion Kenkyusho:Kk 電気刺激装置
KR101775506B1 (ko) * 2015-11-19 2017-09-06 김강석 전기근육자극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1859850B1 (ko) * 2016-12-23 2018-05-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패드가 신체 부위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지 않았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전기 근육 자극기
JP2018079222A (ja) * 2016-11-18 2018-05-2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気治療器、および治療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537A (ko) * 2015-10-07 2017-04-17 주식회사 지톤그룹 착용 및 부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운동 서비스 시스템
KR20190014633A (ko) 2017-08-03 2019-02-13 김진길 Ems 트레이닝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045A (ja) 2004-12-27 2006-07-13 Hoomaa Ion Kenkyusho:Kk 電気刺激装置
KR101775506B1 (ko) * 2015-11-19 2017-09-06 김강석 전기근육자극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JP2018079222A (ja) * 2016-11-18 2018-05-2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気治療器、および治療システム
KR101859850B1 (ko) * 2016-12-23 2018-05-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패드가 신체 부위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지 않았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전기 근육 자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684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188B1 (ko)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1278766B2 (en)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US10735831B2 (en) System and method communicating biofeedback to a user through a wearable device
US10105574B2 (en) Technologies for managing user-specific workouts
RU2741287C2 (ru) Контроллер тренажера и программа управления тренажером
US9089285B2 (en) Energy expenditure computation based on accelerometer and heart rate monitor
US20180028810A1 (en) System for controlling stimulation impulses
CN105380652B (zh) 一种人体运动姿势评估方法及系统
CN107961523B (zh) 基于心率检测的人体训练系统和智能健身系统
CN108882875A (zh) 用于神经血管刺激的设备
US10772528B2 (en)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KR101775506B1 (ko) 전기근육자극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1633186B1 (ko) 갈바닉 전극을 이용한 머리 장착형 전정기능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33682A (ko) 근전도 센서가 장착된 피트니스 웨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08209912A (zh) 一种肌电信号采集方法及装置
KR102185840B1 (ko) 저주파 자극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7780A (ko) 근전도 센서가 장착된 피트니스 웨어와 무선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근전도 측정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소프트웨어 분배서버
JP2023521655A (ja) 運動データ処理方法及び運動監視システム
US20200297248A1 (en) Posture monitoring device employing elastic resistance element, an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osture by using same
JP2017153822A (ja) 電気刺激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動作アシストシステム
KR20100063595A (ko) 전기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무구속 움직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20064166A (ko)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53546B1 (ko) 근긴장 완화와 근활성화 정보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KR20200133458A (ko) 전기적 근육 자극 트레이닝 시스템
KR102350320B1 (ko) 전기 자극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21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1121

Effective date: 20230418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