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889B1 - Device for analyzing and relaxing emoti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analyzing and relaxing emo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889B1
KR102526889B1 KR1020210105089A KR20210105089A KR102526889B1 KR 102526889 B1 KR102526889 B1 KR 102526889B1 KR 1020210105089 A KR1020210105089 A KR 1020210105089A KR 20210105089 A KR20210105089 A KR 20210105089A KR 102526889 B1 KR102526889 B1 KR 10252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
module
data
improvement
de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3203A (en
Inventor
강형원
정문주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마인드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889B1/en
Publication of KR2023002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2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8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는 감정 평가 모듈; 및 분석된 감정 상태가 개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개선 컨텐츠를 제공하는 감정 개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감정 평가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복수의 설문이 표시되는 설문 화면을 단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는 답변 수집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점수로 산출하는 점수 산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감정 개선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중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점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를 낮추기 위한 상기 개선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선 컨텐츠는 상기 특정 감정의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컨텐츠인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otion evaluation module for analyzing a user's emotional state; and an emotion improvement module providing improved content to the user's termina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nalyzed emotional state is in need of improvement.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provides a questionnaire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questionnaires are displayed to the terminal device to evaluate the emotional state for each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and the terminal device an answer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answers to the plurality of questions from; and a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analyzes answers to the plurality of questionnaires and calculates an emotional state for each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as a score. The improvement content includes, wherein the emotion improvement module is configured to lower the score for the specific emotion when the score for the specific emotion among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exceeds a preset score. and an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providing the terminal device, wherein the improved content is content that induces conflicting emotions of the specific emotion, and relates to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Description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DEVICE FOR ANALYZING AND RELAXING EMOTION}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DEVICE FOR ANALYZING AND RELAXING EMOTION}

본 발명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평가하고 개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ssessing and improving emotional states for each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심리 평가는 해당 대상자 개인에 대한 이해는 물론 다양한 심리 장애나 정신 질환 개선 및 사업상의 목적에도 유용하다. 심리 상태들은 행복과 슬픔, 만족과 걱정, 흥분과 진정 간의 광범위한 심리 상태 뿐만 아니라 무수한 다른 심리 상태들을 포함한다. 혼란, 집중, 걱정과 같은 많은 심리 상태들이 개인 또는 사람들의 집단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되고 분석대상이 될 수 있다.Psychological evaluation is useful not only for understanding the individual subject, but also for improving various psychological disorders or mental disorders and for business purposes. Psychological states include a wide range of psychological states between happy and sad, contented and worried, excited and calm, as well as myriad other psychological states. Many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confusion, concentration, and worry, can be evaluated and analyzed to help understand an individual or group of people.

사람의 심리나 감정을 식별하기 위하여, 소정의 얼굴 표정들 및 머리 동작들을 이용하여 대상자가 경험 중인 심리 상태를 식별하는 기술 등이 소개되어 왔고, 얼굴 표정이나 신체 변화에 기반하는 심리 상태들의 평가 시에 제한적인 자동화가 이루어졌다. 소정의 생리적 조건들이 사람의 심리 상태에 대한 효과적인 지표를 제공하기도 하며, 거짓말 탐지기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 장치에서와 같이 불완전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심리 및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다양하고, 외부로 표출되는 방식이 개인마다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심리나 감정을 식별하는 것은 어렵다. In order to identify a person's psychology or emotion, a technique for identifying a psychological state being experienced by a subject using predetermined facial expressions and head movements has been introduced, and when evaluating psychological states based on facial expressions or body changes, There was limited automation in Certain physiological conditions also provide effective indicators of a person's psychological state, and have been used in an imperfect manner, such as in devices used for lie detector tes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psychology or emotion because there are various things that affect human psychology and emotions, and the ways in which they are expressed externally may differ from person to person.

KRKR 10-1843021 10-1843021 B1B1 KRKR 10-2017-0138222 10-2017-0138222 AA KRKR 10-2247058 10-2247058 B1B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있고 효과적인 감정 평가가 가능한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capable of reliable and effective emotion evalu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선이 필요한 감정의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개선 컨텐츠 제공을 통해 감정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심리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that enables psychological improvement by inducing a flow of emotions through provision of improved content that induces contradictory emotions of emotions that need improvem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 현실을 구현한 개선 컨텐츠 제공을 통해 심리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that maximizes psychological improvement effects through the provision of improved content implemented i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는 감정 평가 모듈; 및 분석된 감정 상태가 개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개선 컨텐츠를 제공하는 감정 개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감정 평가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복수의 설문이 표시되는 설문 화면을 단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는 답변 수집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점수로 산출하는 점수 산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감정 개선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중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점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를 낮추기 위한 상기 개선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선 컨텐츠는 상기 특정 감정의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otion evaluation module for analyzing a user's emotional state; and an emotion improvement module providing improved content to the user's termina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nalyzed emotional state is in need of improvement.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provides a questionnaire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questionnaires are displayed to the terminal device to evaluate the emotional state for each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and the terminal device an answer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answers to the plurality of questions from; and a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analyzes answers to the plurality of questionnaires and calculates an emotional state for each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as a score. The improvement content includes, wherein the emotion improvement module is configured to lower the score for the specific emotion when the score for the specific emotion among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exceeds a preset score. and an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providing the terminal device with the improved content, and the improved content may be content that induces conflicting emotions of the specific emotion.

또한, 상기 감정 평가 모듈은,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생성하여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결과 표시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의 점수가 수치 및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제1 영역; 및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중 점수가 가장 높은 핵심 감정이 표시되는 제2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may include: a result display module generating an emotion evaluation result screen and providing it to the terminal device; The emotion evaluation result screen includes: a first area in which scores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are displayed as at least one of numerical values and shapes; and a second area displaying the core emotion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can include

또한, 상기 감정 개선 모듈은, 개선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및 수집된 데이터를, 즐거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생각을 유발하는 데이터,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두려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놀람을 유발하는 데이터로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otion improvement module may include a data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data for providing or generating improved content; and classifying the collected data into pleasure-inducing data, anger-inducing data, thought-inducing data, depression-inducing data, sadness-inducing data, fear-inducing data, and surprise-inducing data. data classific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또한, 분노의 상극 감정은 슬픔 또는 우울이고, 슬픔 및 우울의 상극 감정은 즐거움이며, 즐거움의 상극 감정은 두려움 또는 놀람이고, 두려움 및 놀람의 상극 감정은 생각이며, 생각의 상극 감정은 분노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posite emotion of anger is sadness or depression, the opposite emotion of sadness and depression is joy, the opposite emotion of pleasure is fear or surprise, the opposite emotion of fear and surprise is thought, and the opposite emotion of thought is anger. there is.

또한, 상기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특정 감정이 분노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상기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개선 컨텐츠로서 제공하고, 상기 특정 감정이 슬픔 및 우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즐거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개선 컨텐츠로서 제공하며, 상기 특정 감정이 즐거움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두려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상기 놀람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개선 컨텐츠로서 제공하고, 상기 특정 감정이 두려움 및 놀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생각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개선 컨텐츠로서 제공하며, 상기 특정 감정이 생각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개선 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pecific emotion is anger,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selects at least one of the sadness-inducing data and the depression-inducing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and provides it as the improved content. and when the specific emotion is at least one of sadness and depression, at least one of the pleasure-inducing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is selected and provided as the improved content, and the specific emotion is pleasure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fear-inducing data and the surprise-inducing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is selected and provided as the improved content, and the specific emotion is at least one of fear and surprise. ,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thought-inducing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and providing it as the improved content, and when the specific emotion is a thought, causing the anger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At least one of data may be selected and provided as the improved content.

또한, 상기 개선 컨텐츠는,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가상 현실 구현 컨텐츠,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2차원 영상,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음원 및 상기 상극 감정을 느끼도록 하는 명상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proved content includes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content that induces the conflicting emotions using virtual reality, a two-dimensional image that induces the conflicting emotions, a sound source that induces the conflicting feelings, and a meditation guide for feeling the conflicting feelings. It may be at least one of them.

또한, 상기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특정 감정의 점수가 클수록 상극 감정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개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may provide improved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conflicting emotions as the score of the specific emotion increases.

본 발명에 의하면, 신뢰성있고 효과적인 감정 평가가 가능한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capable of reliable and effective emotion evalu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선이 필요한 감정의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개선 컨텐츠 제공을 통해 감정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심리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that enables psychological improvement by inducing a flow of emo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improved content that induces contradictory emotions of emotions that need improve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 현실을 구현한 개선 컨텐츠 제공을 통해 심리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that maximizes the psychological improvement effect through the provision of improved content implemented in virtual rea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정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변 수집 모듈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 장치에 표시된 설문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 표시 모듈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 장치에 표시된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극 감정을 이용한 감정 개선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system for evaluating and improving e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survey screen generated by an answer collection module and displayed o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otion evaluation result screen generated by a result display module and displayed o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emotion improvement using polarity e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 "결합" 또는 "접속"의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lements. In the case of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it is understood that not only physical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as necessary. It can be.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unit (unit)", "~group", "~character", and "~modul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softwa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 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make it clear that the classification of components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 classification for each main function in charge of each component.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component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its main function,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mponent may be performed by other components. Of course, it may be dedicated and performed by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정 평가 및 개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relat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정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system for evaluating and improving e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감정 평가 및 개선 시스템(1)은 통신망(10),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 및 단말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10 ,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and a terminal device 30 .

먼저, 통신망(10)은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First,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be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sca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Wi-Fi, WiGig, and WiBro (to provide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It may be a next-generation wireless network including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the like.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30)가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Internet is a TCP / IP protocol and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the upper layer, that is,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File Transfer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It may mean a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that provides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 (Network File Service),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etc., and the terminal device 30 is an appraisal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Internet may be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may be a core network integrated with a wired public network,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ortable Internet.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다만 통신망(10)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xampl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sed.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for exampl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nd the like.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may be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or a 5G network, or an IP network based on other IPs. Howe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any latest dat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pplied.

다음으로,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Next,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may evaluate the user's emotional state.

한의학에서는 사람의 감정과 관련하여, 즐거움(喜), 분노(怒), 슬픔(悲), 우울함(憂), 두려움(恐)을 (또는 슬픔 대신 생각(思)을 포함하여) "오지(五志)"라고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7개의 감정(즐거움(喜), 분노(怒), 우울함(憂), 생각(思), 슬픔(悲), 놀람(驚), 두려움(恐))으로 발전시킨 칠정 학설이 발전하였다. 즉, 한의학적 정지(情志)가 현대 심리학의 정서의 개념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칠정과 오지는 한의학에서 중시하는 정지(情志) 활동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내용으로, 기본적인 정서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In oriental medicine, in relation to human emotions, joy (喜), anger (怒), sadness (悲), depression (憂), fear (恐) (or thoughts instead of sadness) Based on this, it develops into seven emotions (joy, anger, depression, thought, sadness, surprise, fear) The theory of the Seven Heavens was developed.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oriental medicine's emotions correspond to the concept of emotion in modern psychology, and seven emotions and five are specific expressions of emotions that are valued in oriental medicine, and explain basic emotions. can be understood as

이에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는 사용자가 느끼는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의 7가지 감정(칠정) 각각에 대한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may evaluate the state of each of the seven emotions (seven emotions)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felt by the user.

또한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개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개선을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motional state is in need of improvement,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may generate and provide content for improvement.

단말 장치(30)는 통신망(10)을 통해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에 연결되며,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과 이미지나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30)로서 채택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30 is connected to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ha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and outputting images or text after accessing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A digital device that includes a display function and a function to output sound,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personal computer), a wireless phone, and a mobile phone. (mobile phone), smart phone (smart phone), smart watch (smart watch), smart glass (smart glass), wearable device (wearable device), etc.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having a memory means and a micro Any digital device equipped with a processor and equipped with an arithmetic capability can be adopted as the terminal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하여, 단말 장치(30)에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브라우저(browser) 관련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terminal device 30 may include a browser-related program or application that enables a user interface (UI) to be provided from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30)는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인 가상현실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기기는 예를 들어 HMD(Head Mounted Display), VR 글라스, 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음향 기기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rtual reality device that is a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VR), and the virtual reality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d Mounted Display (HMD). ), VR glasses, or a combination of a display device and sound device worn on the user's head.

한편, 단말 장치(30)를 구비한 사용자는 감정 평가 및 개선 대상자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대상자를 개선하는 상담사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having the terminal device 30 may be a subject for emotional evaluation and improvement, or may be a counselor who improves the subjec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는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개선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통신 모듈(260) 및 제어 모듈(2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otion evaluation module 210, an emotion improvement module 220, a database 250, a communication module 260, and a control module ( 270) may be included.

여기서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개선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통신 모듈(260) 및 제어 모듈(270)이 전부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에 물리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와 연동하는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Here,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210, the emotion improvement module 220, the database 250,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and the control module 270 do not all have to be physically included in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 It may be located outside of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in conjunction with it.

한편,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개선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통신 모듈(260) 및 제어 모듈(270)은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단말 장치(3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단말 장치(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Meanwhile, at least some of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210, emotion improvement module 220, database 250, communication module 260, and control module 270 may be program modules that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device 30. there is.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program module, or other program module,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i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Also,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devices 30 . Meanwhile, these program modules include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specific tasks or execute specific abstract data ty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먼저, 감정 평가 모듈(210)는 답변 수집 모듈(211), 점수 산출 모듈(212) 및 결과 표시 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210 may include an answer collection module 211 , a score calculation module 212 and a result display module 213 .

답변 수집 모듈(211)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복수의 설문이 표시되는 설문 화면을 단말 장치(30)로 제공하고, 단말 장치(30)로부터 설문에 대한 답변을 수집할 수 있다. The answer collection module 211 provides a questionnaire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questionnaires are displayed to the terminal device 30 to evaluate the emotional state for each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and the terminal device ( 30) to collect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변 수집 모듈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 장치에 표시된 설문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a survey screen generated by an answer collection module and displayed o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도 3을 참조하면, 설문 화면은 설문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310)과 각 설문에 대한 동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답변 입력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urvey screen may include an area 310 where the contents of the survey are displayed and an answer input area 320 where the degree of consent to each survey can be selected.

한편 상술한 7개의 감정 중, 즐거움(희, 喜)은 크게 유쾌함, 즐거움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상태와 병리적인 경조증 상태의 고양감 두 가지 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즐거움을 평가하는 설문은 대표적으로 "나는 기쁘다.", "나는 행복하다.", "나는 활기차다.", "내게 좋은 일이 생길 것 같다.", "내가 하는 일은 성공할 것 같다.", " 내 삶은 만족스럽다.", "내가 자랑스럽다."와 같은 행복, 즐거움, 희망, 감사, 자랑 등의 긍정적 정서의 핵심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긍정적 정서가 과도하여 병리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고유한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현대 심리학의 경조증 상태의 '고조된, 고양감'과 유사하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above-mentioned seven emotions, pleasure (joy, 喜)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factors: a positive emotional state such as pleasure and pleasure, and a feeling of exaltation in a pathological hypomanic state. Representative questionnaires to evaluate pleasure include "I am happy", "I am happy", "I am energetic", "I think good things will happen to me", "I think my work will be successful", " It contains key elements of positive emotions such as happiness, joy, hope, gratitude, and pride, such as "I am satisfied with my life" and "I am proud." In addition, the fact that positive emotions are excessive and act pathologically can be said to be a unique feature, which is similar to the 'elevated feeling' of hypomania in modern psychology.

분노(노, 怒)는 비난, 좌절 등 특정 종류의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분함 혹은 억울함, 뚜렷한 자극이나 사건 없이 발생하는 성마름, 짜증과 같은 상태, 그리고 공격성, 충동성, 논쟁적(언어적) 공격성 등을 포함한다. 분노에 해당하는 "화를 낸다"는 표현이 분노 감정의 핵심적인 표현으로 확인되었고, 분노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설문은, "나는 주먹을 휘두르고 싶을 때가 있다.", "나는 무엇인가를 부셔버리고 싶을 때가 있다."와 같은 공격성에 해당하는 설문과 "나는 나를 방해하면 참지 못한다.", "나는 나쁜 짓을 한 사람에게 보복하고 싶다.", "나는 반대하는 사람을 이기려고 노력한다."와 같이 외부에서의 침범이나 공격에 대한 보복이나 응징의 주관적 평가에서 발동되는 분노의 의미를 반영한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Anger (怒) is a reaction to certain kinds of events, such as criticism and frustration; Include etc. The expression "getting angry" corresponding to anger was identified as a key expression of anger emotion, and representative questionnaires for evaluating anger are "There are times when I want to swing my fist" and "There are times when I want to break something. and external questionnaires such as "I can't stand it when you interrupt me", "I want to retaliate against people who have done bad things", and "I try to win over those who oppose me". It can include a questionnaire that reflects the meaning of anger triggered by subjective evaluation of retaliation or punishment for aggression or attack in

생각(사, 思)은 과도한 생각과 고민, 그리고 집착과 강박적 사고를 의미하며, 이로 인한 주의 집중곤란, 우유부단, 예기 불안 등의 행동적 양상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생각(思) 감정을 평가하는 문항은 "나는 고민거리에 집착한다.", "나는 걱정을 많이 한다.", "나는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을 지우기가 어렵다.", "나는 생각이 많다.", "나는 중요하지도 않은 생각에 며칠이고 괴로워한다.", "사소한 생각이 나를 괴롭힌다." 등의 과도한 생각과 걱정, 고민의 표현이 포함된다. 이러한 걱정은 미래의 위험과 관련된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심리적 현상인 불안의 인지적 기제로서, 걱정이 지속되어 나타나는 불안을 수반하는 정서적 불편감이 생각(思)의 조작적 정의에 포함된다.Thought (sa, 思) refers to excessive thoughts and worries, as well as obsession and obsessive thoughts, and includes behavioral aspects such as difficulty concentrating, indecisiveness, and anxiety of anticipation. Therefore, the items to evaluate thoughts and feelings are "I am obsessed with troubles", "I worry a lot", "It is difficult for me to erase repetitive thoughts", "I have a lot of thoughts. ", "I am plagued by unimportant thoughts for days and days", "The smallest thoughts haunt me." Excessive thoughts, worries, and expressions of concern are included. This worry is a cognitive mechanism of anxiety, a psychological phenomenon about future risk-related events or situations.

우울함(우, 憂)는 우울과 상통하는 개념으로, 우울은 자신과 환경 그리고 미래를 왜곡되게 지각하는 부정적인 인지체계에 의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우울한 정서로 보고 우울삽화와 우울관련 척도에서 활용되는 요인을 포함시켜 구성개념을 설정한다. 우울의 행동적 측정치로서의 비활동성과 연관된 무기력(피로감), 식욕저하, 흥미저하, 자기비하(자의식), 무가치감, 과도한 죄책감, 무망감, 자살사고 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울함 감정을 평가하는 설문 문항은 미래에 대한 부정적 인지에 해당하는 "나는 원하는 것을 갖기 힘들 것 같다.", "나의 미래는 불확실하다.", "나의 일은 원하는 대로 잘 풀리지 않을 것 같다.", "내 미래는 어두울 것 같다.", "내 미래는 희망이 없을 것 같다.", "내 앞날에는 좋은 일 보다는 안 좋은 일이 좀 더 생길 것 같다."와 같은 문항을 포함한다. 또한, 우울감에 해당하는 의욕저하의 "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 "나는 아무 일도 하고 싶은 의욕이 없다.", 우울증의 공통적인 요인인 부적합감과 죄의식, 부정적인 자기개념과 낮은 자존감의 "나는 떳떳한 삶을 살지 못한 것 같다."의 문항이 포함된다.Depression (wu, 憂) is a concept tha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depression. Since depression is caused by a negative cognitive system that distorts oneself, the environment, and the future, it is regarded as a depressed emotion and includes factors used in depressive episodes and depression-related scales. to set up constructs. As a behavioral measure of depression, it can be seen as lethargy (fatigue), loss of appetite, loss of interest, self-abasement (self-consciousness), worthlessness, excessive guilt, hopelessness, and suicidal thoughts related to inactivity as a behavioral measure of depression. Therefore, the questionnaire items to evaluate the feeling of depression are “I don’t think I will have what I want,” “My future is uncertain,” and “My work will not work out as I want.” , "My future looks bleak", "My future looks hopeless", "I think there will be more bad things than good things in my future." In addition, low morale corresponding to depression, "I have no motivation to solve problems", "I have no motivation to do anything", and feelings of inadequacy and guilt, negative self-concept and low self-concept, which are common factors of depression. The self-esteem question “I don’t think I have lived a proud life” is included.

슬픔(비, 悲)은 우울함(憂)과 유사하나, 슬픈 감정을 쏟아내게 하고 발산하게 하는 속성에 주목하고, 상실감에 대한 정서적 반응인 슬픔과 상통하고 행동적 신호인 울음이 슬픔(悲)의 가장 큰 특징이다. 따라서 슬픔(悲)은 애도, 외로움(고독), 회복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절망감과 행동 측정치로서의 울음을 포함한다. 울음은 눈물과 울음소리를 동반하지만 항상 슬픔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슬픔에서의 울음은 외로움, 그리움을 수반한다. 따라서 "슬프다.", "울음", "눈물", "고독", "외로움"에 해당하는 문항이 포함된다. 또한, 주로 외부에서 기인하며 통제 불가능하고 불쾌한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슬픔이고, 우(憂)는 충분하고 분명한 이유 없이 장기간 동안 지속되는 불행한 기분인 우울감과 상통하는 개념으로 차이가 있으나, 정서적 표현에서 유사한 점이 많고 슬픔과 우울감에 대한 개념이 혼재되어 있어, 우울함(憂)에도 해당하는 불행감, 절망감, 침울함과 같은 부정적 정서 표현에 해당하는 문항이 포함된다.Sadness (rain, 悲) is similar to depression (憂), but pay attention to the property that makes sad emotions pour out and emit, and is in line with sadness, an emotional response to loss, and crying, a behavioral signal, is the cause of sadness. the biggest feature. Thus, sadness includes mourning, loneliness (solitude), feelings of hopelessness over an irreversible situation, and crying as a behavioral measure. Crying is accompanied by tears and cries, but it does not always mean sadness, and crying in sadness is accompanied by loneliness and longing. Therefore, items corresponding to "sad", "crying", "tears", "solitude", and "loneliness" are included. In addition, it is mainly caused by the outside and is caused by uncontrollable and unpleasant stimuli, and sadness is a similar concept to depression, an unhappy mood that lasts for a long time without sufficient and clear reason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emotional expression. There are many points and the concepts of sadness and depression are mixed, so items corresponding to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such as unhappines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which also correspond to depression, are included.

두려움(공, 恐)은 위험에 대해서 피하게 하는 행동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공포와 관련된 행동의 하나인 회피의 요소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두려움(恐)은 두려움, 통제 상실감, 회피, 사회불안으로 보았다. 심리학적 두려움으로 두려움의 대표적인 정서인 특정한 대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을 때 나타나는 공포(fear)뿐만 아니라, 불특정한 위험을 알 수 없지만 "뭔가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다"는 불안감을 포함한다. 또한, 긴장이란 근육의 긴장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과 감정의 흐름을 방해하는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에너지로, 불안, 공포와 심리적, 생리적 반응이 비슷하며, 흔히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불안이 정신병리적인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좁은 의미라면, 긴장은 불안을 포함하는 좀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두려움(恐)에 포함된다.Fear (gong, 恐) can be said to have an element of avoidance, which is one of the behaviors related to fear, in that it induces behaviors to avoid danger. Therefore, fear was viewed as fear, loss of control,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Psychological fear includes not only the fear that appears when directly related to a specific object, which is a representative emotion of fear, but also the anxiety that “something bad is going to happen” although unspecified danger is unknown. In addition, tension refers to muscle tension, which is excessive or unnecessary energy that interferes with the flow of thoughts and emotions. If losing has a narrow meaning, tension is included in fear as a more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anxiety.

놀람(경, 驚)은 가슴이 두근거리고 어지럽고, 기절할 것 같은 느낌 등의 자율신경계 반응으로 표현되어, 현대 심리학의 놀람 반응(startle response)과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갑작스러운 큰 소음에 대부분의 동물들이 타고난 공포를 보이는 것으로 자동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이며, 이 놀람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공포를 측정하기도 한다. 따라서 놀람 반응은 깜짝 놀람, 가슴 두근거림, 안절부절못함(신경과민상태)으로 몸 떨림, 놀람 등 다양한 감정 상태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다.Surprise (Gyeong, 驚) is expressed as an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 such as heart palpitations, dizziness, and a feeling of fainting, and similarities can be found with the startle response of modern psychology. It is an automatic response that most animals show innate fear to a sudden loud noise, and fear is also measured by triggering this startle response. Therefore, the startle response can be evaluated for various emotional states such as surprise, heart palpitations, restlessness (nervous state), body tremors, and surprise.

답변 수집 모듈(211)은 단말 장치(30)에 설문 문항이 표시된 화면,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며, 단말 장치(30)로부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획득할 수 있다. The answer collection module 211 causes the terminal device 30 to display a screen on which survey items are displayed, that is, a screen as shown in FIG. 3 , and obtains answers to the survey from the terminal device 30 .

다음으로, 점수 산출 모듈(212)은 답변 수집 모듈(211)로부터 전송 받은 설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Next, the score calculation module 212 analyzes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transmitted from the answer collection module 211 and calculates the emotional state for each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as a score. can

다음으로, 결과 표시 모듈(213)는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생성하여 단말 장치(30)에 제공할 수 있으며, 감정 평가 결과 화면에는 점수 산출 모듈(212)에서 산출한 7개의 감정 각각에 대한 점수가 표시될 수 있다. Next, the result display module 213 may generate an emotion evaluation result screen and provide the result screen to the terminal device 30, and the score for each of the seven emotions calculated by the score calculation module 212 may be displayed on the emotion evaluation result screen. can be displayed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emotion evaluation result scre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 표시 모듈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 장치에 표시된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otion evaluation result screen generated by a result display module and displayed o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은 7개의 감정 각각의 점수가 수치 및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제1 영역(410) 및 7개의 감정 전체에 대한 점수와 7개의 감정 중 점수가 가장 높은 핵심 감정이 표시되는 제2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A and 4B , the emotion evaluation result screen shows a first area 410 in which the scores of each of the seven emotions are displayed as at least one of a numerical value and a figure, and scores for all seven emotions and scores among the seven emotions. may include a second area 420 in which the core emotion with the highest value is displayed.

다음으로, 감정 개선 모듈(220)은, 감정 평가 모듈(210)에서 분석한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개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감정 개선을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 수집 모듈(221), 데이터 분류 모듈(222) 및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motional state analyzed by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210 is in need of improvement, the emotion improvement module 220 may create and provide content for emotion improvement, and the data collection module 221, a data classification module 222, and an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may be included.

데이터 수집 모듈(221)은 개선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데이터는 영상, 음원, 그림, 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module 221 may collect data for providing or generating improved content, where the data may include images, sound sources, pictures, documents, and the like.

데이터 수집 모듈(221)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웹 사이트, 및 동영상 공유 플랫폼(예를 들어, 유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module 221 may collect data from at least one of a social network service, a website, and a video sharing platform (eg, YouTube).

데이터 분류 모듈(222)은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모듈(221)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7개 감정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222 may classify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module 221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ata classification model, and more specifically, may classify the data into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ven emotions.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 개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서,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인공지능 기술 중 특히 주목받는 분야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이며, 기계 학습이라고도 불리는 머신 러닝은 컴퓨터가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고, 사람처럼 어떤 대상 혹은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일 수 있는데, 컴퓨터를 학습시켜 패턴을 찾아내 분류하는 기술적 방식으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알고리즘이 핵심일 수 있다. 데이터를 활용하는 알고리즘을 정교하게 만들면 컴퓨터가 학습해가며 사용자들에게 의미 있는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을 구현하는 기술 중 하나인 딥러닝은, 인간이 사물을 구분하듯 데이터 속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분류를 통해 예측하며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다.Artificial intelligence is a field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at studies methods to enable computers to do thinking, learning, self-development, etc. that can be done with human intelligence. can mean doing Machine learning, also called machine learning,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a computer to learn from data and understand an object or situation like a human. The key could be an algorithm that allows computers to analyze data in a technical way that it learns to find and classify patterns. If an algorithm that utilizes data is elaborated, the computer can learn and provide meaningful results to users. Deep learning, one of the technologies that implements machine learning, finds patterns in data and predicts through classification, just as humans classify objects, and i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데이터 분류 모듈(222)은 데이터 수집 모듈(221)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즐거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생각을 유발하는 데이터,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두려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놀람을 유발하는 데이터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거나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에 제공할 수 있다.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222 divides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module 221 into data that causes pleasure, data that causes anger, data that causes thoughts, data that causes depression, data that causes sadness, and fear. The data may be classified into data causing surprise and data causing surprise, and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250 or provided to the improvement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

데이터 수집 모듈(221)과 데이터 분류 모듈(222)은 지속적으로(또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개선 컨텐츠가 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module 221 and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222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collect and classify data so that improved content can be updated.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감정 개선을 위한 컨텐츠(또는 ‘개선 컨텐츠’라고도 함)를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감정 개선을 위한 컨텐츠는 가상 현실 구현 컨텐츠, 2차원 영상, 음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mprovement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may provide content for emotion enhancement (or also referred to as 'enhancement content') to the terminal device 30, where the content for emotion improvement includes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content, 2D image, Sound sources may be included.

보다 구체적으로,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7개의 감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즉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감정에 대한 점수를 낮추기 위한 개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개의 감정 중 분노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분노의 대한 점수를 낮추기 위한 개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mprovement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improves content for lowering the score of the corresponding emotion when the score of at least one of the seven emotions exceeds a preset value,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improvement is necessary. can provide. For example, when the score for anger among the seven emotions exceeds a preset value, improved content for lowering the score for anger may be provided.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이 제공하는 개선 컨텐츠는 개선의 대상이 되는 감정과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것일 수 있다. The improved content provided by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may induce conflicting emotions with emotions that are targeted for improvement.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7개의 감정 각각에 대한 상극 감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 conflicting emotions for each of the seven emo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극 감정을 이용하여 감정을 개선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improving emotions using conflicting emo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오지상승위치료란 감정 상호간의 관계 즉 오행(五行)의 상생상극(相生相克)의 이치를 통해 심리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치료법으로, 오행이론에서는 상생과 상극으로 조화를 이루게 되는데, 이와 연결된 칠정(상술한 7개의 감정)이 과하게 되어 감정의 문제가 생기면 그것을 억누르는 감정으로서 치료한다.Oji ascending position therapy is a treatment that promotes psychological chang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that is, the principle of co-generation and mutual supremacy of the five elements. If one of the seven emotions) becomes excessive and an emotional problem arises, it is treated as an emotion that suppresses i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는 두려움 및/또는 놀람, ‘목’은 분노, ‘화’는 즐거움, ‘토’는 생각, ‘금’은 슬픔 및/또는 우울을 의미할 수 있으며, 분노의 상극 감정은 슬픔 및/또는 우울, 슬픔 및/또는 우울의 상극 감정은 즐거움, 즐거움의 상극 감정은 두려움 및/또는 놀람, 두려움 및/또는 놀람의 상극 감정은 생각, 생각의 상극 감정은 분노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Wed' may mean fear and/or surprise, 'Throat' may mean anger, 'Fire' may mean pleasure, 'Sat' may mean thinking, 'Gold' may mean sadness and/or depression, , the opposite emotion of anger is sadness and/or depression, the opposite emotion of sadness and/or depression is joy, the opposite emotion of pleasure is fear and/or surprise, the opposite emotion of fear and/or surprise is thought, and the opposite emotion of thought is it could be anger

예를 들어,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분노를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 분노의 상극 감정인 슬픔 및/또는 우울을 유발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데이터 분류 모듈(222)에서 분류한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개선 컨텐츠로서 단말 장치(30)에 제공하거나, 선택된 데이터를 기초로 개선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anger is to be improved,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may provide content that induces sadness and/or depression, which are opposite emotions of anger. At this time,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may provide a data classification module. At least one of the sadness-inducing data and the depression-inducing data classified in step 222 is selected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30 as improved content, or improved cont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selected data and the terminal device 30 ) can also be provided.

분노에 대한 점수가 높은 사용자는 단말 장치(30)에 제공된 슬픔 및/또는 우울을 유발하는 컨텐츠를 통해 자비를 느낌으로써 분노에 대한 감정을 낮출 수 있다.A user with a high score for anger can lower his/her feelings for anger by feeling compassion through the content that induces sadness and/or depression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30 .

또 다른 예로,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생각, 즉 과도한 생각과 고민, 집착, 강박적 사고 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 생각의 상극 감정인 분노를 유발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데이터 분류 모듈(222)에서 분류한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개선 컨텐츠로서 단말 장치(30)에 제공하거나, 선택된 데이터를 기초로 개선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improvement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may provide content that induces anger, which is a contradictory emotion of thought, when thoughts, that is, excessive thoughts and worries, obsession, obsessive thoughts, etc., are to be improved. At this time, the improvement content The provision module 223 selects at least one of the anger-inducing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222 and provides it to the terminal device 30 as improved content or generates improved content based on the selected data. I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30.

생각에 대한 점수가 높은 사용자는 단말 장치(30)에 제공된 분노를 유발하는 컨텐츠를 통해 적절한 긴장, 갈등을 느낌으로써 매몰되어 있는 생각에서 빠져나와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다. A user with a high score for thinking can escape from buried thoughts and arouse the surroundings by feeling appropriate tension and conflict through anger-inducing content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30 .

개선 컨텐츠는 가상 현실 제공을 위한 컨텐츠로 구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이 단말 장치(30)로 제공하는 개선 컨텐츠는, i) 영화나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 업로드된 동영상과 같은 영상, ii)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음원 및 iii) 상극 감정을 느끼도록 하는 명상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The improved content may be spherical as content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improved content provided by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to the terminal device 30 includes i) a video such as a movie or a video uploaded to a video sharing platform such as YouTube, ii) a sound source that causes conflicting emotions, and iii) ) may be at least one of the meditation guides that allow you to feel conflicting emotions.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개선 대상 감정의 점수가 클수록 상극 감정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개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mprovement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may provide improvement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conflicting emotions as the score of the emotion to be improved increases.

예를 들어, 제1 구간은 A 이상 B 미만, 제2 구간은 B 이상 C 미만, 제3 구간은 C 이상(여기서, A<B<C)이라고 할 때,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개선 대상 감정의 점수가 제1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음원으로만 구현된 개선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점수가 제2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소리를 포함하는 2차원 영상으로 구현된 개선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점수가 제3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가상 현실을 구현하는 개선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개선 대상 감정의 점수가 클수록 상극 감정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개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sec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and less than B, the second sec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B and less than C, and the third sec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C (here, A<B<C),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performs improvement When the score of the target emo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section, improved content implemented only as a sound source is provided, and when the score is included in the second section, improved content implemented as a two-dimensional image including sound is provided. , When the score is included in the third section, improved content that implements virtual reality may be provided, so that the higher the score of the emotion to be improved, the higher the conflicting emo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단말 장치(30)에 제공된 개선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답변 수집 모듈(211)로 재설문 화면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production of the improved content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30 is completed,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 request to generate a re-question screen to the answer collection module 211. there is.

재설문 화면은 개선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의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재평가하기 위한 복수의 재설문이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이때, 재설문의 수는 설문 화면에 표시되는 설문의 수보다 적일 수 있으며, 개선 대상이 되는 감정의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핵심 질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survey screen may be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re-questions are displayed to re-evaluate the user's emotional states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respectively, who have been provided with the improved content. In this case, the number of re-questions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displayed on the questionnaire screen, and may be composed of key questions for calculating the score of the emotion to be improved.

답변 수집 모듈(211)은 재설문 화면을 생성하여 단말 장치(30)로 제공하며, 단말 장치(30)로부터 재설문에 대한 답변을 획득하여 점수 산출 모듈(212)로 전송할 수 있다. The answer collection module 211 may generate and provide a re-survey screen to the terminal device 30 , obtain answers to the re-ques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30 and transmit them to the score calculation module 212 .

점수 산출 모듈(212)은 재설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개선 대상이 되는 감정의 점수가 낮아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core calculation module 212 may determine whether a score of an emotion to be improved is lowered by analyzing an answer to the re-question.

개선 대상이 되는 감정의 점수가 낮아지지 않은 경우,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개선 컨텐츠를 다시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다시 제공되는 개선 컨텐츠(이하, ‘2차 개선 컨텐츠’라고 함)는 최초 제공된 개선 컨텐츠(이하, ‘1차 개선 컨텐츠’라고 함)와 다른 것일 수 있다. When the score of the emotion to be improved does not decrease,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may provide the improved content to the terminal device 30 again, and the improved content provided aga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ary improved content'). ) may be different from the initially provided improved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mary improved content').

또한, 2차 개선 컨텐츠는 1차 개선 컨텐츠 대비 상극 감정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개선 컨텐츠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improved content may be improved content that allows a greater feeling of contradiction compared to the first improved content.

이와 반대로, 개선 대상이 되는 감정의 점수가 낮아진 경우,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개선 컨텐츠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score of the emotion to be improved is lowered,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223 may end providing the improved content.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250)는 감정 평가 모듈(210) 및 감정 개선 모듈(220)에서 수집, 분석, 생성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Next, the database 250 may store and manage all information collected, analyzed, and generated by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210 and the emotion improvement module 220 .

비록 도 2에서는 데이터베이스(250)가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50)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50)는 복수 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database 250 is shown as being included in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in FIG. ) and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250 may be configured by being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5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50)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base 25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includ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a database in a broad sense including not only a database in a narrow sense but also data records based on a file system, and a simple log Even a set can be a database 250 in the present invention if data can be extracted by searching it.

다음으로, 통신 모듈(260)은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개선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및 제어 모듈(270) 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단말 장치(30) 및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transmits/receives data from/to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210, emotion improvement module 220, database 250 and control module 270 or evaluates and improves emo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30 It may perform a function of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20 .

마지막으로, 제어 모듈(270)은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개선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및 통신 모듈(26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270)은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장치(2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개선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및 통신 모듈(26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inally, the control module 27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210 , the emotion enhancement module 220 , the database 25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 That is, the control module 2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low of data to/from the outside of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or the flow of data between components of the device 20, thereby controlling the emotion evaluation module 210. , The emotion improvement module 220, the database 25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can each be controlled to perform unique function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단말 장치(30),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20) 등) 일 수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of FIG. 6 may be a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eg, the terminal device 30,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20, etc.).

도 6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6 ,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N110, a transceiver TN120, and a memory TN130.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TN140, an input interface device TN150, and an output interface device TN160. Elements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connected by a bus TN170.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TN110 may execute program commands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The processor TN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Processor TN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procedures, functions, methods, and the like described in relation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TN11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TN100.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TN110.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TN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TN120 may transmit or receive a wired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TN120 may perform communication by being connected to a network.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통신망
20: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30: 단말 장치
210: 감정 평가 모듈
211: 답변 수집 모듈
212: 점수 산출 모듈
213: 결과 표시 모듈
220: 감정 개선 모듈
221: 데이터 수집 모듈
222: 데이터 분류 모듈
223: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
250: 데이터베이스
260: 통신 모듈
270: 제어 모듈
10: communication network
20: appraisal and improvement device
30: terminal device
210: appraisal module
211: answer collection module
212: score calculation module
213: result display module
220: emotion improvement module
221: data collection module
222: data classification module
223: improvement content providing module
250: database
260: communication module
270: control module

Claims (7)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는 감정 평가 모듈; 및
분석된 감정 상태가 개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개선 컨텐츠를 제공하는 감정 개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감정 평가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복수의 설문이 표시되는 설문 화면을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는 답변 수집 모듈;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점수로 산출하는 점수 산출 모듈; 및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결과 표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감정 개선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중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점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를 낮추기 위한 상기 개선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
상기 개선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및
수집된 데이터를, 즐거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생각을 유발하는 데이터,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두려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놀람을 유발하는 데이터로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개선 컨텐츠는 상기 특정 감정의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컨텐츠이고,
상기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의 점수가 수치 및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제1 영역; 및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중 점수가 가장 높은 핵심 감정이 표시되는 제2 영역;
을 포함하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an emotion evaluation module that analyzes a user's emotional state; and
an emotion improvement module for providing improved content to a user's termina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nalyzed emotional state is in need of improvement; Including,
The appraisal module,
A survey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questionnaires are displayed i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to evaluate the emotional state for each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and answers to the plurality of questionnaires ar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Answer collection module to collect;
a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analyzes answers to the plurality of questionnaires and calculates an emotional state for each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as a score; and
a result display module generating an emotion evaluation result screen and providing it to the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emotion improvement module,
When the score for a specific emotion among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exceeds a preset score, the improved content for lowering the score for the specific emo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module;
a data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data for providing or generating the improved content; and
Data that categorizes collected data into pleasure-inducing data, anger-inducing data, thought-inducing data, depression-inducing data, sadness-inducing data, fear-inducing data, and surprise-inducing data. classification module; Including,
The improvement content is content that causes conflicting emotions of the specific emotion,
The appraisal evaluation result screen,
a first area in which scores of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are displayed as at least one of numerical values and shapes; and
a second area in which the core emotion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joy, anger, thought, depression, sadness, fear, and surprise is displayed;
Appraisal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분노의 상극 감정은 슬픔 또는 우울이고, 슬픔 및 우울의 상극 감정은 즐거움이며, 즐거움의 상극 감정은 두려움 또는 놀람이고, 두려움 및 놀람의 상극 감정은 생각이며, 생각의 상극 감정은 분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posite emotion of anger is sadness or depression, the opposite emotion of sadness and depression is joy, the opposite emotion of joy is fear or surprise, the opposite emotion of fear and surprise is thought, and the opposite emotion of thought is anger Appraisal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특정 감정이 분노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상기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개선 컨텐츠로서 제공하고,
상기 특정 감정이 슬픔 및 우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즐거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개선 컨텐츠로서 제공하며,
상기 특정 감정이 즐거움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두려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상기 놀람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개선 컨텐츠로서 제공하고,
상기 특정 감정이 두려움 및 놀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생각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개선 컨텐츠로서 제공하며,
상기 특정 감정이 생각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개선 컨텐츠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improvement content providing module,
When the specific emotion is anger, at least one of the sadness-inducing data and the depression-inducing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is selected and provided as the improved content;
When the specific emotion is at least one of sadness and depression, at least one of the pleasure-inducing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is selected and provided as the improved content;
When the specific emotion is pleasure, at least one of the fear-inducing data and the surprise-inducing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is selected and provided as the improved content;
When the specific emotion is at least one of fear and surprise, at least one of the thought-inducing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is selected and provided as the improved content;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pecific emotion is a thought,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anger-inducing data classified by the data classification module and providing it as the improvement cont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 컨텐츠는,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가상 현실 구현 컨텐츠,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2차원 영상,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음원 및 상기 상극 감정을 느끼도록 하는 명상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improved content is at least one of virtual reality materialized content that induces the conflicting emotions using virtual reality, a two-dimensional image that induces the conflicting emotions, a sound source that induces the conflicting feelings, and a meditation guide that allows the feeling of the conflicting feelings. Appraisal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특정 감정의 점수가 클수록 상극 감정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개선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emo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roved content providing module provides improved content that allows a greater feeling of conflicting emotion as the score of the specific emotion increases.
KR1020210105089A 2021-08-10 2021-08-10 Device for analyzing and relaxing emotion KR1025268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89A KR102526889B1 (en) 2021-08-10 2021-08-10 Device for analyzing and relaxing emo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89A KR102526889B1 (en) 2021-08-10 2021-08-10 Device for analyzing and relaxing emo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203A KR20230023203A (en) 2023-02-17
KR102526889B1 true KR102526889B1 (en) 2023-05-03

Family

ID=8532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089A KR102526889B1 (en) 2021-08-10 2021-08-10 Device for analyzing and relaxing emo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8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266B1 (en) * 2023-08-28 2023-12-07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induce thought data corresponding to the emotion data of a user and compu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610271B1 (en) * 2023-08-28 2023-12-07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induce thought data corresponding to the action data of a user and computing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21B1 (en) * 2016-05-31 2018-05-14 (주)잼투고 System for Providing Video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102214402B1 (en) 2019-09-27 2021-02-09 (주)트라이스 A mobile-based customized mental health care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using the system
KR102247058B1 (en) * 2020-11-27 2021-04-30 주식회사 모비젠 Method for diagnosing user's psychiatric status using multiple data processing and syste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222A (en) 2016-06-07 2017-12-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Emotion Evaluation and Device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21B1 (en) * 2016-05-31 2018-05-14 (주)잼투고 System for Providing Video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102214402B1 (en) 2019-09-27 2021-02-09 (주)트라이스 A mobile-based customized mental health care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using the system
KR102247058B1 (en) * 2020-11-27 2021-04-30 주식회사 모비젠 Method for diagnosing user's psychiatric status using multiple data processing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203A (en)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Machinelike or humanlike? A literature review of anthropomorphism in AI-enabled technology
Liapis et al. Recognizing emotions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studying stress using skin conductance
KR102526889B1 (en) Device for analyzing and relaxing emotion
Huynh et al. Engagemon: Multi-modal engagement sensing for mobile games
Yong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s for mobile devices
Augstein et al. A human-centered taxonomy of interaction modalities and devices
Hussain Metric based evaluation of mobile devices: Mobile goal question metric (mGQM)
Alfimtsev et al. A new methodology of usability testing on the base of the analysis of user’s electroencephalogram
Ottley Adaptive and personalized visualization
Kraaij et al. Personalized support for well-being at work: an overview of the SWELL project
Greedharry et al. Colonialism as context in diversity research
Javaid et al. Real-time EEG-based human emotion recognition
KR102128435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depression based on patient diary record
Zhang et al. A survey on mobile affective computing
KR101717290B1 (en) Method for child psychology, family psychology and childcare psychology related child emotion managemen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Bačić Biometrics and business information visualization: research review, agenda and opportunities
Carneiro et al. Context acquisition in auditory emotional recognition studies
Huang et al. Research on Older Adults’ Interaction with E-Health Interface Based on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Sinha Affective computing and emotion-sensing technology for emotion recognition in mood disorders
Ulbricht et al. The emotion component on usability testing human computer interface of an inclusive learning management system
Saini et al. Inferring user emotions from keyboard and mouse
Zhao et al. Interpretable emotion classification using multi-domain feature of EEG signals
Herring et al. Potential of using visual imagery to revolutionise measurement of emotional health
Üsten et al. Don’t stop me now: Psychological effects of interrupting a moving pedestrian crowd and a video game
Maniou et al. The dissemination of science news in social media platforms during the COVID-19 crisis: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cri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