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419B1 - Method of realizing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dental compensatory movement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 - Google Patents

Method of realizing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dental compensatory movement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419B1
KR102526419B1 KR1020220030282A KR20220030282A KR102526419B1 KR 102526419 B1 KR102526419 B1 KR 102526419B1 KR 1020220030282 A KR1020220030282 A KR 1020220030282A KR 20220030282 A KR20220030282 A KR 20220030282A KR 102526419 B1 KR102526419 B1 KR 102526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ition
center point
crown
mandibular
max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2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효연
Original Assignee
마이라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라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이라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4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61C2007/004Automatic construction of a set of axes for a tooth or a plurality of tee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Abstract

본 발명은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은 (A) 치열 생성부가 대상자의 부정교합 형태로 배열된 치열로부터 정상 골격에서의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보상성 이동 구현부가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하면서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incongruity. A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normalized dentition in a normal skeleton from dentitions arranged in a malocclusion form of the subject, and (B) a compensatory movement implementing unit rotating or and moving to implement compensatory movement.

Description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Method of realizing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dental compensatory movement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Method of realizing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dental compensatory movement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

본 발명은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incongruity.

골격성 부정교합은 상악골과 하악골의 열성장 또는 과성장과 비대칭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격성 부정교합 환자에는 골격적으로 전후방적인 부조화뿐만 아니라, 횡적 부조화가 존재하기 때문에, 각각의 골격적 부조화를 보상하기 위해서 상악과 하악의 전 치열에서 보상성 이동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부정교합에서 상악 전치와 하악 전치는 순측 또는 설측으로 경사지며, 전후방적 골격부조화가 심해짐에 따라 특히 전치의 치축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keletal malocclusion is the overgrowth or overgrowth and asymmetry of the maxilla and mandible,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and is known to be relatively common in Northeast Asia. Since patients with skeletal malocclusion have skeletal anterior-posterior disharmony as well as transverse disharmony, compensatory movement appears in the entir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ition to compensate for each skeletal disharmony. In general, in malocclusio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are inclined labially or lingually, and as the anterior-posterior skeletal incongruity intensifies, it is known that the axis of the anterior teeth is particularly affected.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교정 치료를 위해서 치아 데이터를 도출하는 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에서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여 교정 치료에 활용하는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A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s of the prior art literature below, various technologies for deriving tooth data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e been developed, but the technology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by implemen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in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mismatch is non-existent.

KRKR 10-2351053 10-2351053 B1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하면서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keletal incongruity that can implement compensatory movement by rotating or moving the normalized dentition while reflecting the subject's skeletal incongruity in the normalized dentition. It relates to a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은 (A) 치열 생성부가 대상자의 부정교합 형태로 배열된 치열로부터 정상 골격에서의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보상성 이동 구현부가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하면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mism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a denti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a normalized dentition in a normal skeleton from a dentition arranged in the form of malocclusion of the subject. and (B) implementing compensatory movement by rotating or moving the normalized dentition while reflecting the skeletal incongruity of the subject in the normalized dentition by the compensatory movement implement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서 상악 치관 배열선, 상악 치근단 배열선, 하악 치관 배열선, 및 하악 치근단 배열선이 정의되고,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 상악 경사 중심점이 정의되고,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 하악 경사 중심점을 정의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상악 경사 중심점과 상기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rmalized dentition, a maxillary crown array line, an upper apical crown array line, a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nd A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is defined, an upper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maxillary apical arrangement line, and a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in step (B), (B-1) the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and rotating about the center point of the mandibular inclin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악 경사 중심점은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구치부에 정의되는 제1 상악 경사 중심점이고, 상기 하악 경사 중심점은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구치부에 정의되는 제1 하악 경사 중심점이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is the first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posterior teeth in the maxillary apical arrangement line, and , The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is the first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posterior teeth i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악 경사 중심점은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는 제2 상악 경사 중심점이고, 상기 하악 경사 중심점은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는 제2 하악 경사 중심점이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is the second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ry apical arrangement line, and , The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is the second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anterior part i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서 상악 치관 배열선, 상악 치근단 배열선, 하악 치관 배열선, 및 하악 치근단 배열선이 정의되고, 상기 상악 치관 배열선에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이 정의되고,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이 정의되며, 상기 하악 치관 배열선에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이 정의되고,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이 정의되며,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기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및 상기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상기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rmalized dentition, a maxillary crown array line, an upper apical crown array line, a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nd A mandibular crown alignment line is defined, an uppe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an uppe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and a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ndibular crown alignment line,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and in step (B), (B-2) fixing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moving the center point of crown change in an anteroposterior direction or a left-right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2) 단계 이후에, (B-3) 상기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상기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 및 상기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상기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implement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the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B), after the step (B-2), (B-3)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ixing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nd moving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n a front-back direction or a left-right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은 상기 상악 치관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고, 상기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은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며, 상기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은 상기 하악 치관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고, 상기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은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ry crown arrangement line, and the maxillary apical change The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anterior part of the upper apical arrangement line,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anterior part in the mandibular crown arrangement line,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anterior part i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대상자의 CT 데이터에서 치근을 포함한 치아 데이터를 추출하여 정상 골격에서의 치열에 정합시킴으로써 상기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A), tooth data including the tooth root is extracted from the subject's CT data to be normal. The normalized dentition is created by registering it to the dentition in the skelet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대상자의 CT 데이터에서 치근을 포함한 상기 치아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상기 치아 데이터에서 각각의 치아를 둘러싸는 바운딩 박스(bounding box)의 체적이 최소화도록 각각의 치아를 배치시키고, 상기 바운딩 박스에서 치관측의 일면의 중심점과 치근단측 타면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임시 치아 장축을 생성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implement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tracting the tooth data including the tooth root from the CT data of the subject, each of the tooth data Each tooth is arranged so that the volume of a bounding box surrounding the teeth is minimized, and a temporary tooth long axis connecting the center point of one coronal side surface and the center point of the other apical side surface in the bounding box is cre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서 교합 평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영역을 지나는 치근단 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치근단 평면과 상기 임시 치아 장축의 교차점을 치근단 중심점으로 정의하며, 상기 치근단 중심점을 지나는 치근단 배열선을 생성하고,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서 6,7번 치아의 협측 교두정을 잇는 선의 중간점, 3,4,5번 치아의 교두정, 1,2번 치아의 절단연의 중간점을 지나는 치관 배열선을 생성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ical plane passing through an area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cclusal plane is generated in the normalized dentition,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apical plane and the temporary tooth long axis is defined as the apical center point, an apical arrangement line passing through the apical center point is created, and the midpoint of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cusps of teeth 6 and 7 in the normalized row of teeth, 3 Create a crown array line passing through the cusp of teeth 4 and 5 and the midpoint of the incisal edge of teeth 1 and 2.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관 배열선과 치관측 상기 바운딩 박스의 근원심을 이등분하는 선의 교차점을 치관 중심점으로 정의하고, 상기 치근단 중심점과 상기 치관 중심점을 연결한 선을 치아 장축으로 정의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section of the crown arrangement line and the line bisecting the mesial center of the coronal bounding box is defined as the center point of the crown. A line connecting the apical center point and the crown center point is defined as the tooth long axi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악에 대한 상기 치근단 배열선을 상악 치근단 배열선으로 정의하고, 하악에 대한 상기 치근단 배열선을 하악 치근단 배열선으로 정의하며, 상악에 대한 상기 치관 배열선을 상악 치관 배열선으로 정의하고, 하악에 대한 상기 치관 배열선을 하악 치관 배열선으로 정의하며,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과 상기 상악 치관 배열선을 상합하여 상악 치열 배열선을 생성하고,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과 상기 하악 치관 배열선을 상합하여 하악 치열 배열선을 생성하며, 상기 상악 치열 배열선과 상기 하악 치열 배열선을 결합하여 치열 배열선을 생성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ical arrangement line for the upper jaw is defined as the apical arrangement line for the upper jaw, and the apical arrangement line for the lower jaw is defined. The crown array line is defined as the mandibular apical array line, the crown array line for the maxilla is defined as the maxillary crown array line, the crown array line for the mandible is defined as the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nd the maxillary apical array line and the maxillary crown array line are defined. A maxillary dental alignment line is created by overlapping the crown alignment lines, a lower dental alignment line is created by overlapping the mandibular apical alignment line and the mandibular crown alignment line, and a dental alignment is achieved by combining the maxillary teeth alignment line and the mandibular dental alignment line. create a 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은 상기 치열 배열선으로 정의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rmalized dentition is defined as the dentition alignment 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악 치열 배열선과 상기 하악 치열 배열선을 결합할 때, 상기 상악 치관 배열선과 상기 하악 치관 배열선은 제1 소정거리의 수평이개(overjet)와 제2 소정거리의 수직피개(overbite)를 갖도록 배열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mism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xillary dental array line and the mandibular tooth array line are combined, the maxillary crown array line and the The lower crown array line is arranged to have a horizontal overjet of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vertical overbite of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할 때, 대상자의 골격 정보에 상기 정상화된 치열의 3차원적 위치를 인식시킨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 when the normalized dentition reflects the subject's skeletal incongruity,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normalized dentition is recognized in the skelet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하면서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함으로써, 교정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ensatory movement is realized by rotating or moving the normalized dentition while reflecting the subject's skeletal incongruity in the normalized dentition,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도 1 내지 도 17은 치열 생성부가 대상자의 부정교합 형태로 배열된 치열로부터 정상 골격에서의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하는 (A) 단계에 대한 도면, 및
도 18 내지 도 33은 보상성 이동 구현부가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하면서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는 (B)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to 17 are views of a step (A) of generating a normalized dentition in a normal skeleton from a dentition arranged in a malocclusion form of a subject by a dentition creating unit; and
18 to 3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ep (B) of implementing compensatory movement by rotating or moving the normalized dentition while reflecting the skeletal incongruity of the subject in the normalized dentition by the compensatory movement implementing unit.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은 (A) 치열 생성부가 대상자의 부정교합 형태로 배열된 치열로부터 정상 골격에서의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보상성 이동 구현부가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하면서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mism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a denti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a normalized dentition in a normal skeleton from a dentition arranged in the form of malocclusion of the subject. and (B) implementing compensatory movement by the compensatory movement implementer by rotating or moving the normalized dentition while reflecting the subject's skeletal incongruity in the normalized dentition.

여기서, 대상자는 부정교합 형태의 치열을 가지고 있어 치아 교정이 필요한 환자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여 교정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Here, the subject may be a patient who has a malocclusion type dentition and needs orthodontic treatment, and the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ensated by software. It can be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by implementing gender transfer.

도 1 내지 도 17은 치열 생성부가 대상자의 부정교합 형태로 배열된 치열로부터 정상 골격에서의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하는 (A) 단계에 대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A) 단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A) 단계는 치열 생성부가 수행할 수 있다.1 to 17 are diagrams for a step (A) of generating a normalized dentition in a normal skeleton from a dentition arranged in a malocclusion form of a subject by a dentition creating unit, and step (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Basically, step (A) may be performed by the dentition creating unit.

전체적으로, (A) 단계는 대상자의 CT 데이터에서 치근을 포함한 치아 데이터를 추출하여 정상 골격에서의 치열 데이터에 정합시킴으로써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한다.Overall, in step (A), a normalized dentition is created by extracting tooth data including a tooth root from the subject's CT data and matching it to the dentition data of a normal skeleton.

구체적으로, 대상자는 부정교합 형태로 배열된 치열을 갖는다. 이때, 대상자의 치근이 나타난 CT 데이터로부터 치근을 포함한 치아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치아를 둘러싸는 육면체의 바운딩 박스(bouding box)를 설정하고, 바운딩 박스의 체적이 최소화되도록 치아를 배치시킨다. 이때, 바운딩 박스의 치관측의 일면(도면상 상면)의 중심점과 치근단측의 타면(도면상 하면)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임시 치아 장축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임시 치아 장축이 생성된 치아(도 2 내지 도 3 참조)를 정상 골격에서의 치열(도 4 참조)에 정합시켜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한다(도 5 참조). 이때, 정상 골격에서의 치열(도 4 참조)은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임상 치관을 이용하여 생성된 치열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bject has teeth arranged in a malocclusion form. At this time, tooth data including the tooth root is extracted from the CT data showing the tooth root of the subject. Next, as shown in FIG. 1, a hexahedral bounding box enclosing each tooth is set from tooth data, and the teeth are arranged so that the volume of the bounding box is minimized. At this time, a temporary tooth long axis connecting the center point of one coronal side (top surface on the drawing) of the bounding box and the center point of the other surface (bottom side on the drawing) on the apical side is created. In this way, a normalized dentition is created by matching the tooth (see FIGS. 2 to 3 ) for which the temporary tooth long axis has been created with the dentition of the normal skeleton (see FIG. 4 ) (see FIG. 5 ). In this case, the teeth in the normal skeleton (see FIG. 4 ) may be teeth teeth created by software using clinical crowns.

정상화된 치열로부터는 치근단 배열선과 치관 배열선을 포함하는 치열 배열선을 생성할 수 있다.A dental alignment line including an apical alignment line and a crown alignment line may be generated from the normalized dentition.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화된 치열에서 교합 평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영역을 지나는 치근단 평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근단 평면은 전치부의 경우 교합 평면으로부터 20mm 이격된 영역을 지나고, 구치부의 경우 교합 평면으로부터 15mm 이격된 영역을 지나는 가상 평면일 수 있다. 다만, 교합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반드시 상기 수치(20mm, 15m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계 자료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근단 평면과 임시 치아 장축의 교차점을 치근단 중심점으로 정의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근단 중심점을 지나는 치근단 배열선을 생성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 it is possible to create an apical plane passing through an area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cclusal plane in the normalized dentition. For example, the apical plane may be a virtual plane passing through an area 20 mm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in the case of anterior teeth and 15 mm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in the case of posterior teeth. However, the distance away from the occlusal plan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numerical values (20 mm, 15 mm) and may be changed based on statistical data.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intersection of the apical plane and the temporary tooth long axis is defined as the apical center point.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a root-end alignmen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root-end is created.

한편,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화된 치열에서 6,7번 치아의 협측 교두정을 지나는 선의 중간점, 3,4,5번 치아의 교두정, 1,2번 치아의 절단연의 중간점을 지나는 치관 배열선을 생성한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관 배열선과 치관측 바운딩 박스의 근원심을 이등분하는 선의 교차점을 치관 중심점으로 정의한다. 상술한 치근단 중심점과 치관 중심점을 연결한 선을 치아 장축으로 정의한다(치아 장축은 임시 치아 장축과 구별됨). 한편, 치근단 중심점과 치관 중심점은 각각 치근단 배열선과 치관 배열선에 구속되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치근단 배열선이나 치관 배열선을 이동시키면, 치근단 중심점이나 치관 중심점이 이동되면서, 치아 장축이 변화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9 to 10, the midpoint of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buccal cusps of teeth 6 and 7, the cusp of teeth 3, 4 and 5, and the cutting of teeth 1 and 2 in the normalized dentition. Create a crown array line through the midpoint of the kite. Next, as shown in FIG. 11, the intersection of the crown arrangement line and the line bisecting the mesial center of the coronal bounding box is defined as the center point of the crown. A line connecting the above-mentioned apical center point and crown center point is defined as the long axis of the tooth (the long axis of the tooth is distinguished from the long axis of the provisional tooth). Meanwhile, the center point of the root end and the center point of the crown may be moved while being constrained to the apical arrangement line and the crown arrangement line,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apical alignment line or crown alignment line is moved, the long axis of the tooth may be changed while moving the apical center point or crown center point.

이러한 과정은 상악과 하악에 대해서 각각 수행된다. 이때, 상악에 대한 치근단 배열선을 상악 치근단 배열선으로 정의하고, 하악에 대한 치근단 배열선을 하악 치근단 배열선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악에 대한 치관 배열선을 상악 치관 배열선으로 정의하고, 하악에 대한 치관 배열선을 하악 치관 배열선으로 정의한다. 이때, 상악 치근단 배열선과 상악 치관 배열선을 상합하여 상악 치열 배열선을 생성한다. 또한, 하악 치근단 배열선과 하악 치관 배열선을 상합하여 하악 치열 배열선을 생성한다.This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apical arrangement line for the upper jaw is defined as the upper apical arrangement line, and the apical arrangement line for the lower jaw is defined as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In addition, the crown alignment line for the upper jaw is defined as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and the crown alignment line for the lower jaw is defined as the mandibular crown alignment line. At this time, the maxillary tooth alignment line is created by overlapping the maxillary tooth apical alignment line and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In additio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and the mandibular crown arrangement line are overlapped to create the mandibular dentition arrangement line.

다만, 반드시 상술한 과정을 거쳐 상악 치근단 배열선과 하악 치근단 배열선, 상악 치관 배열선, 하악 치관 배열선을 모두 생성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악 치관 배열선과 하악 치관 배열선을 생성한 후,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작도법을 이용하여 상악 치관 배열선로부터 상악 치근단 배열선과 상악 치아 장축을 생성할 수 있고,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작도법을 이용하여 하악 치관 배열선로부터 하악 치근단 배열선과 하악 치아 장축을 생성할 수도 있다.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create all of the maxillary apical array line, the mandibular apical array line, the maxillary crown array line, and the mandibular crown array lin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For example, after creating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and the mandibular crown alignment line, as shown in FIGS. 12 and 13 , the maxillary apical alignment line and the long axis of the maxillary tooth can be created from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using a conventional drawing method. 14 and 15,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and the long axis of the mandibular teeth may be created from the mandibular crown arrangement line using a conventional drawing method.

이후,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치열 배열선과 하악 치열 배열선을 결합하여 치열 배열선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상악 치열 배열선과 하악 치열 배열선을 결합할 때, 상악 치관 배열선과 하악 치관 배열선은 제1 소정거리의 수평이개(overjet, 도 17 참조)와 제2 소정거리의 수직피개(overbite, 도 16 참조)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소정거리와 제2 소정거리는 예를 들어 약 2mm일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S. 16 and 17 , an upper dental row array line and a lower dental row array line are combined to create a dental row array line. In this way, when the upper and lower dental tooth array lines are combined, the upper and lower crown array lines form a horizontal overjet (refer to FIG. 17) of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vertical overbite (refer to FIG. 17) of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 see FIG. 16). Here,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for example, about 2 mm.

정상화된 치열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생성한 치열 배열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normalized dentition may be defined as the dentition array line gener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도 18 내지 도 33은 보상성 이동 구현부가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하면서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는 (B)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B) 단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B) 단계는 보상성 이동 구현부가 수행할 수 있다.18 to 33 are diagrams showing a step (B) of implementing compensatory movement by rotating or moving the normalized dentition while reflecting the skeletal incongruity of the subject in the normalized dentition by the compensatory movement implementing unit, referring to this ( B) Describe the steps. Basically, step (B) may be performed by a compensatory motion implementation unit.

여기서,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할 때, 대상자의 골격 정보에 정상화된 치열의 3차원적 위치를 인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골격 정보는 CT 영상(도 18의 좌측 도면 참조) 또는 정면/측면 두부방사선계측사진(posteroanterior cephalometrics/lateral cephalometrics; 도 18의 우측 도면 참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자의 골격 정보가 CT 영상인 경우, CT 영상에 정상화된 치열을 정합시켜 정상화된 치열의 3차원적 위치를 인식시킨 후, CT 영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의 골격 정보가 정면/측면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인 경우, 정면/측면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작도상 계측치에 의해서 정상화된 치열의 3차원적 위치를 인식시킬 수 있다. Here, when the subject's skeletal incongruity is reflected in the normalized dentition, the 3-dimensional position of the normalized dentition can be recognized in the skelet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For example, the subject's skeletal information may be a CT image (refer to the left view of FIG. 18) or a frontal/lateral cephalometrics (refer to the right view of FIG. 18). Specifically, when the skelet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is a CT image, the CT image may be removed after matching the normalized dentition to the CT image to recognize the 3D position of the normalized dentition. In addition, when the subject's skeletal information is a front/lateral head radiograph,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normalized dentition can be recognized by the measured values on the drawing of the front/side head radiograph.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할 때 (A) 단계에서 생성한 치열 배열선을 이용할 수 있다. When reflecting the subject's skeletal incongruity to the normalized dentition, the dentition alignment line created in step (A) can be used.

(A) 단계에서 상악 치관 배열선, 상악 치근단 배열선, 하악 치관 배열선, 및 하악 치근단 배열선이 정의되었다. 추가적으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악 경사 중심점(제1,2 상악 경사 중심점), 하악 경사 중심점(제1,2 하악 경사 중심점),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이 정의될 수 있다. In step (A), the maxillary crown array line, the maxillary apical array line, the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nd the mandibular apical array line were defined. Additionally, in order to implement compensatory movement, the maxillary tilt center point (first and second maxillary tilt center points), the mandibular tilt center point (the first and second mandibular tilt center points),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can be defined.

여기서, 상악 경사 중심점은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 정의되고, 하악 경사 중심점은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악 경사 중심점은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구치부에 정의되는 제1 상악 경사 중심점(도 19 참조), 및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는 제2 상악 경사 중심점(도 2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악 경사 중심점은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4번과 5번 치아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도 19 참조), 제2 상악 경사 중심점은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1번과 1번 치아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0 참조). 또한, 하악 경사 중심점은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구치부에 정의되는 제1 하악 경사 중심점(도 19 참조), 및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는 제2 하악 경사 중심점(도 2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악 경사 중심점은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4번과 5번 치아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도 19 참조), 제2 하악 경사 중심점은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1번과 1번 치아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0 참조).Here, the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may be defined on the maxillary apical arrangement line, and the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may be defined o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Specifically, the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may include a first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maxillary apical arrangement line (see FIG. 19) and a second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anterior part in the maxillary apical arrangement line (see FIG. 20). can For example, the first maxillary tilt center point is preferably defined between teeth 4 and 5 on the maxillary apical alignment line (see FIG. 19), and the second maxillary tilt center point is defined between teeth 1 and 1 on the maxillary apical alignment line. It is preferably defined between the teeth (see Fig. 20). In addition, the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may include a first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see FIG. 19) and a second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anterior part i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see FIG. 20). there is. For example, the first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is preferably defined between teeth 4 and 5 i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see FIG. 19), and the second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at numbers 1 and 1. It is preferably defined between the teeth (see Fig. 20).

여기서, 도 2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악 경사 중심점과 제1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시키면, 교합평면이 경사지게 되면서 상악 치열과 하악 치열 사이의 전후방향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다. 예를 들어, 제1 상악 경사 중심점과 제1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정상화된 치열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21 내지 도 22 참조), 상악 치열에 대해서 하악 치열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23 참조). 이를 통해서 2급 부정교합 관계가 완화되는 보상성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상악 경사 중심점과 제1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정상화된 치열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악 치열에 대해서 하악 치열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3급 부정교합 관계가 완화되는 보상성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21 and 22, when the normalized dentition is rotated around the first upper and lower inclined central points, the occlusal plane is inclined and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denti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is is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normalized teeth are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first maxillary tilt center point and the first mandibular tilt center point (see FIGS. 21 and 22), the lower jaw teeth may be mov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maxillary teeth ( see Figure 23).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compensatory movement in which the class 2 malocclusion relationship is alleviated. Conversely, if the normalized dentition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first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and the first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the mandibular dentition can be mov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maxillary denti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ensatory movement in which a class 3 malocclusion relationship is alleviated.

한편, 도 24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악 경사 중심점과 제2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시키면, 교합평면이 경사지게 되면서 상악 치열과 하악 치열 사이의 좌우방향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상악 경사 중심점과 제2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정상화된 치열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24 내지 도 25 참조), 상악 치열에 대해서 하악 치열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비대칭 부정교합 관계가 완화되는 보상성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4 to 25, when the normalized dentition is rotated around the second upper and lower inclined central points, the occlusal plane is inclined and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denti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is is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normalized teeth are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second maxillary tilt center point and the second mandibular tilt center point (see FIGS. 24 to 25), the mandibular teeth may be mov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maxillary teeth.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compensatory movement in which the asymmetric malocclusion relationship is alleviated.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제1,2 상악 경사 중심점과 제1,2 하악 경사 중심점을 고정한 후 상악 치열과 하악 치열을 회전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In terms of software, a method of rotating the upper and lower jaw teeth afte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upper jaw center points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jaw tilt center points can be used.

또한,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은 상악 치관 배열선에 정의되고,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은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 정의되며,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은 하악 치관 배열선에 정의되고,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은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은 상악 치관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고,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은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며,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은 하악 치관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고,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은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은 각각 상악 치관 배열선, 상악 치근단 배열선, 하악 치관 배열선, 및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1번과 1번 치아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6 참조).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6 and 27,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xillary crown array line,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xillary apical crown array line,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can be defined on the mandibular apical array line. Specifically,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ndibular crown alignment line, and the mandibular apical end. The center of change can be defined in the anterior part of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For example,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re number 1 and 1 respectively in the maxillary crown array line, the maxillary apical array line, the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nd the mandibular apical array line. It is preferably defined between teeth 1 (see Fig. 26).

여기서, 도 28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하악 치관 배열선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하악 교합 관계가 정상화되는 상태로 치아 장축의 경사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도 28 내지 도 29 참조), 하악 치관 배열선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치아 장축의 경사가 변화한다. 이를 통해서 2급 부정교합 관계가 완화되는 보상성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하악 치관 배열선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치아 장축의 경사가 변화한다. 이를 통해서 3급 부정교합 관계가 완화되는 보상성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28 to 29, when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are fixed,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mov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mandibular crown arrangement line is drawn in the front-back direction. As it is moved to, the inclination of the long axis of the teeth changes to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occlusion relationship is normalized. For example, when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re fixed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moved forward (see FIGS. 28 to 29), the mandibular crown arrangement line is moved forward , the inclination of the long axis of the tooth chang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compensatory movement in which the class 2 malocclusion relationship is alleviated. Conversely, when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are fixed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moved backward, the mandibular crown arrangement line is moved backward, and the inclination of the tooth long axis chang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ensatory movement in which a class 3 malocclusion relationship is alleviated.

이와 같이,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상악 치아의 변화폭을 최소화시키고 외부에 노출이 적은 하악 치아를 변화시키기 위함이다.In this way, the reason for fixing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moving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to minimize the range of change of maxillary teeth that are general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 minimize exposure to the outside. This is to change the lower jaw teeth.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한 상태에서 하악 치관 중심점을 고정 해제한 후 이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In terms of software, a method of unfixing the center point of the mandibular crown while fixing the center point of the maxillary crown change, the center point of the maxillary apical change, and the center point of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an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악 치아 장축을 추가로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29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악 치관 배열선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악 치아 장축의 경사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도 29 내지 도 30 참조), 상악 치관 배열선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치아 장축의 경사가 변화한다. 이를 통해서 2급 부정교합 관계가 완화되는 보상성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fixing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moving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n the front-back direction, it may be necessary to further adjust the maxillary tooth long axi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29 to 30 ,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may be fixed, and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may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When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moved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the inclination of the long axis of the maxillary teeth changes as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is moved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For example, if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re fixed and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moved backward (see FIGS. 29 to 30), the maxillary crown arrangement line is moved backward , the inclination of the long axis of the tooth chang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compensatory movement in which the class 2 malocclusion relationship is alleviated.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고정 해제한 후 이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In terms of software, it is possible to use a method of moving the center point of maxillary crown change after unfixing it.

한편, 도 31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하악 치관 배열선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하악 교합 관계가 정상화되는 상태로 치아 장축의 경사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도 31 내지 도 32 참조), 하악 치관 배열선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치아 장축의 경사가 변화한다. 이를 통해서 비대칭 부정교합 관계가 완화되는 보상성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1 and 32 , when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are fixed,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mandibular crown alignment line is shif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it is moved to, the inclination of the long axis of the teeth changes to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occlusion relationship is normalized. For example, when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are fixed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moved to the left (see FIGS. 31 and 32), the mandibular crown alignment line is moved to the left , the inclination of the long axis of the tooth chang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compensatory movement in which the asymmetric malocclusion relationship is alleviated.

이와 같이,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상악 치아의 변화폭을 최소화시키고 외부에 노출이 적은 하악 치아를 변화시키기 위함이다.In this way, the reason for fixing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moving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to minimize the range of change of maxillary teeth that are general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 reduce exposure to the outside. This is to change the lower jaw teeth.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한 상태에서 하악 치관 중심점을 고정 해제한 후 이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In terms of software, a method of unfixing the center point of the mandibular crown while fixing the center point of the maxillary crown change, the center point of the maxillary apical change, and the center point of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an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악 치악 장축을 추가로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32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악 치관 배열선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악 치아 장축의 경사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 및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도 32 내지 도 33 참조), 상악 치관 배열선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치아 장축의 경사가 변화한다. 이를 통해서 비대칭 부정교합 관계가 완화되는 보상성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fixing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moving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may be necessary to further adjust the long axis of the maxilla.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2 and 33 ,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may be fixed, and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inclination of the long axis of the maxillary teeth changes as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when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re fixed and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moved to the right (see FIGS. 32 and 33),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is moved to the right , the inclination of the long axis of the tooth chang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compensatory movement in which the asymmetric malocclusion relationship is alleviated.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고정 해제한 후 이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In terms of software, it is possible to use a method of moving the center point of maxillary crown change after unfixing it.

정리하면, 2급 부정교합 관계 또는 3급 부정교합 관계의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는 방법은 1) 제1 상악 경사 중심점과 제1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법(도 21 내지 도 22 참조), 2)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도 28 내지 도 29 참조), 및 3)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도 29 내지 도 30 참조), 3가지이다. 3가지 방법은 조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이때 1) 제1 상악 경사 중심점과 제1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법 -> 2)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 3)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summary, the methods for realiz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class 2 malocclusion relationship or the class 3 malocclusion relationship are 1) a method of rotating the first maxillary tilt center point and the first mandibular tilt center point (see FIGS. 21 and 22) , 2) a method of moving the center point of crown change in the lower jaw forward and backward (see FIGS. 28 to 29), and 3) a method of moving the center point of crown change in the upper jaw in an anteroposterior direction (see FIGS. 29 to 30). The three methods can be performed in combination. In this case, 1) a method of rotating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maxillary inclination and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mandibular inclination -> 2) a method of moving the center point of mandibular crown change forward and backward -> 3) It can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moving the center point of maxillary crown change forward and backward.

또한, 비대칭 관계의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는 방법은 1) 제2 상악 경사 중심점과 제2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법(도 24 내지 도 25 참조), 2)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도 31 내지 도 32 참조), 및 3)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도 32 내지 도 33 참조), 3가지이다. 3가지 방법은 조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이때 1) 제2 상악 경사 중심점과 제2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법 -> 2)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 3)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methods for realizing compensatory movement in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are: 1) a method of rotating the center point of the second upper jaw and the center point of the second lower jaw (see FIGS. 24 and 25); 31 and 32), and 3) moving the center point of maxillary crown chang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ee FIGS. 32 and 33). The three methods can be performed in combination. In this case, 1) a method of rotating the center point of the second upper jaw and the center point of the second mandibular tilt -> 2) a method of moving the central point of change in the mandibular crow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3) It can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moving the center point of maxillary crown chang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은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하면서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함으로써, 개별화된 브라켓 베이스(invididualized bracket base)를 제작하는데 활용할 수 있고(브라켓 베이스의 경사도 조절 등), 교정 과정에서 치열 변화를 재현할 수 있다.The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the skeletal incongru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compensatory movement by rotating or moving the normalized dentition while reflecting the skeletal incongruity of the subject, thereby creating individualized brackets. It can be used to make an individualized bracket base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racket base, etc.), and it can reproduce changes in the dentition during the orthodontic proces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A) 치열 생성부가 대상자의 부정교합 형태로 배열된 치열로부터 정상 골격에서의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보상성 이동 구현부가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하면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서 상악 치관 배열선, 상악 치근단 배열선, 하악 치관 배열선, 및 하악 치근단 배열선이 정의되고,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 상악 경사 중심점이 정의되고,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 하악 경사 중심점을 정의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상악 경사 중심점과 상기 하악 경사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In the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incongruity, which implements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in software,
(A) generating a normalized dentition in a normal skeleton from a dentition arranged in a malocclusion form by a dentition creating unit; and
(B) implementing compensatory movement by rotating or moving the normalized dentition while reflecting the subject's skeletal incongruity in the normalized dentition, by a compensatory movement implementing unit;
including,
In the normalized dentition, a maxillary crown array line, an upper apical crown array line, a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nd a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re defined,
The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xillary apical arrangement line, and the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In step (B),
(B-1) rotating the center point of the upper jaw and the center point of the lower jaw inclination;
A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incongruity, including.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악 경사 중심점은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구치부에 정의되는 제1 상악 경사 중심점이고,
상기 하악 경사 중심점은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구치부에 정의되는 제1 하악 경사 중심점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is a first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posterior part in the maxillary apical arrangement line,
The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is a first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posterior teeth i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악 경사 중심점은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는 제2 상악 경사 중심점이고,
상기 하악 경사 중심점은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는 제2 하악 경사 중심점인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is a second maxillary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anterior part in the maxillary apical arrangement line,
The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is a second mandibular inclination center point defin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a method of implement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에 있어서,
(A) 치열 생성부가 대상자의 부정교합 형태로 배열된 치열로부터 정상 골격에서의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보상성 이동 구현부가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하면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보상성 이동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서 상악 치관 배열선, 상악 치근단 배열선, 하악 치관 배열선, 및 하악 치근단 배열선이 정의되고,
상기 상악 치관 배열선에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이 정의되고,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이 정의되며, 상기 하악 치관 배열선에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이 정의되고,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이 정의되며,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 상기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및 상기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상기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In the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incongruity, which implements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in software,
(A) generating a normalized dentition in a normal skeleton from a dentition arranged in a malocclusion form by a dentition creating unit; and
(B) implementing compensatory movement by rotating or moving the normalized dentition while reflecting the subject's skeletal incongruity in the normalized dentition, by a compensatory movement implementing unit;
including,
In the normalized dentition, a maxillary crown array line, an upper apical crown array line, a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nd a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re defined,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xillary crown arrangement line, the maxillary apical end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xillary apical end arrangement line,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on the mandibular crown arrangement line, and the mandibular apical end is defined on the mandibular apical end arrangement line. The center of change is defined,
In step (B),
(B-2) fixing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and moving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A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incongruity, includ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2) 단계 이후에,
(B-3) 상기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 상기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 및 상기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을 고정하고, 상기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step (B),
After step (B-2),
(B-3) fixing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nd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and moving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A method of implement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incongruity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악 치관 변화 중심점은 상기 상악 치관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고,
상기 상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은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며,
상기 하악 치관 변화 중심점은 상기 하악 치관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고,
상기 하악 치근단 변화 중심점은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에서 전치부에 정의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maxillary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ry crown arrangement line,
The maxillary apical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anterior part of the maxillary apical arrangement line,
The mandibular crown change center point is defin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ndibular crown arrangement line,
The mandibular apical change center point is a method of implement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defined in the anterior portion in the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대상자의 CT 데이터에서 치근을 포함한 치아 데이터를 추출하여 정상 골격에서의 치열에 정합시킴으로써 상기 정상화된 치열을 생성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5,
In step (A),
A method of implement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mismatch by extracting tooth data including tooth roots from CT data of a subject and matching them to a dentition in a normal skeleton to generate the normalized denti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대상자의 CT 데이터에서 치근을 포함한 상기 치아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상기 치아 데이터에서 각각의 치아를 둘러싸는 바운딩 박스(bounding box)의 체적이 최소화도록 각각의 치아를 배치시키고,
상기 바운딩 박스에서 치관측의 일면의 중심점과 치근단측 타면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임시 치아 장축을 생성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n extracting the tooth data including the tooth root from the subject's CT data,
In the tooth data, each tooth is arranged so that the volume of a bounding box surrounding each tooth is minimized,
A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incongruity to create a temporary tooth long axis connecting the center point of one surface on the coronal side and the center point of the other surface on the apical side in the bounding box.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서 교합 평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영역을 지나는 치근단 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치근단 평면과 상기 임시 치아 장축의 교차점을 치근단 중심점으로 정의하며, 상기 치근단 중심점을 지나는 치근단 배열선을 생성하고,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서 6,7번 치아의 협측 교두정을 잇는 선의 중간점, 3,4,5번 치아의 교두정, 1,2번 치아의 절단연의 중간점을 지나는 치관 배열선을 생성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normalized row of teeth, an apical plane passing through a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occlusion pla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created,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apical plane and the temporary tooth long axis is defined as an apical center point, and an apical alignment line passing through the apical center point is generated,
Skeleton for generating a crown arrangement line passing through the midpoint of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cusp crowns of teeth 6 and 7, the cusp vertex of teeth 3,4 and 5, and the midpoint of the incisal edge of teeth 1 and 2 in the normalized dentition. A method for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disharmon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치관 배열선과 치관측 상기 바운딩 박스의 근원심을 이등분하는 선의 교차점을 치관 중심점으로 정의하고,
상기 치근단 중심점과 상기 치관 중심점을 연결한 선을 치아 장축으로 정의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 intersection of the crown array line and a line bisecting the mesiocentric center of the crown-side bounding box is defined as the center point of the crown,
A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due to skeletal incongruity defining a tooth long axis as a line connecting the apical center point and the crown center point.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악에 대한 상기 치근단 배열선을 상악 치근단 배열선으로 정의하고, 하악에 대한 상기 치근단 배열선을 하악 치근단 배열선으로 정의하며,
상악에 대한 상기 치관 배열선을 상악 치관 배열선으로 정의하고, 하악에 대한 상기 치관 배열선을 하악 치관 배열선으로 정의하며,
상기 상악 치근단 배열선과 상기 상악 치관 배열선을 상합하여 상악 치열 배열선을 생성하고,
상기 하악 치근단 배열선과 상기 하악 치관 배열선을 상합하여 하악 치열 배열선을 생성하며,
상기 상악 치열 배열선과 상기 하악 치열 배열선을 결합하여 치열 배열선을 생성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apical arrangement line for the upper jaw is defined as an upper apical arrangement line, and the apical arrangement line for the lower jaw is defined as a mandibular apical arrangement line,
The crown array line for the upper jaw is defined as a maxillary crown array line, and the crown array line for the lower jaw is defined as a mandibular crown array line,
The maxillary tooth alignment line is created by overlapping the maxillary tooth apical alignment line and the maxillary crown alignment line;
The mandibular tooth alignment line is created by overlapping the mandibular tooth apical arrangement line and the mandibular crown arrangement line,
A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dentition array lines are combined to generate a dentition array lin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은 상기 치열 배열선으로 정의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normalized dentition is a method of implement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the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the skeletal incongruity defined by the dentition array lin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악 치열 배열선과 상기 하악 치열 배열선을 결합할 때,
상기 상악 치관 배열선과 상기 하악 치관 배열선은 제1 소정거리의 수평이개(overjet)와 제2 소정거리의 수직피개(overbite)를 갖도록 배열되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n combining the upper jaw alignment line and the lower jaw alignment line,
The maxillary crown array line and the mandibular crown array line are arranged to have a horizontal overjet of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vertical overbite of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How to implement fiercenes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정상화된 치열에 대상자의 골격부조화를 반영할 때,
대상자의 골격 정보에 상기 정상화된 치열의 3차원적 위치를 인식시키는 골격부조화에 따른 치열의 보상성 이동을 반영한 정상화된 치열의 구현방법.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5,
In step (B),
When reflecting the subject's skeletal incongruity in the normalized dentition,
A method of realizing a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dentition according to skeletal incongruity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normalized dentition is recognized in the skelet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KR1020220030282A 2022-03-10 2022-03-10 Method of realizing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dental compensatory movement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 KR102526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282A KR102526419B1 (en) 2022-03-10 2022-03-10 Method of realizing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dental compensatory movement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282A KR102526419B1 (en) 2022-03-10 2022-03-10 Method of realizing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dental compensatory movement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419B1 true KR102526419B1 (en) 2023-05-02

Family

ID=8638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282A KR102526419B1 (en) 2022-03-10 2022-03-10 Method of realizing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dental compensatory movement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41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028A (en) * 2013-10-01 2015-04-09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Simulation method and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190128925A (en) * 2018-05-09 2019-11-19 시스루테크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KR20200046843A (en) * 2018-10-25 2020-05-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ratus, method and program for setting a tranparent orthodontic model using orthodontics clinical bigdata
KR20210063640A (en) * 2019-11-25 2021-06-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deal arch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210092864A (en) * 2020-01-16 2021-07-27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ic aligned teeth shape
KR102351053B1 (en) 2018-05-03 2022-01-14 한국기계연구원 System of manufacturing orthodontic and dentition maintenance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rthodontic and dentition maintenance wir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028A (en) * 2013-10-01 2015-04-09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Simulation method and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2351053B1 (en) 2018-05-03 2022-01-14 한국기계연구원 System of manufacturing orthodontic and dentition maintenance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rthodontic and dentition maintenance wire using the same
KR20190128925A (en) * 2018-05-09 2019-11-19 시스루테크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KR20200046843A (en) * 2018-10-25 2020-05-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ratus, method and program for setting a tranparent orthodontic model using orthodontics clinical bigdata
KR20210063640A (en) * 2019-11-25 2021-06-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deal arch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210092864A (en) * 2020-01-16 2021-07-27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ic aligned teeth sha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0996B2 (en) Treatment plan specific bite adjustment structures
US8044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tooth axes
JP36729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dental prediction model
Meyer et al. Preadjusted edgewise appliances: theory and practice
Shkarin et al. Occlusal plane orientation in patients with dentofacial anomalies based on morphometric cranio-facial measurements
CN111407440B (en) Shell-shaped dental instrument and design metho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im et al.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and basal arch forms in normal occlusion
Park et al. Impact of orthodontic brackets on the intraoral scan data accuracy
CN111658187B (en) Method for simulating pose change of digital tooth model
Imamura et al. Unilateral maxillary central incisor root resorp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for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ith significant maxillary midline deviation: A possible correlation with root proximity to the incisive canal
Kim et al.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evaluation of posterior available space in both arches relative to various skeletal patterns
US20220246270A1 (en) Virtual articulation model for dental treatment
Janson et al. Orthodontic treatment alternative to a Class III subdivision malocclusion
KR102526419B1 (en) Method of realizing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dental compensatory movement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
KR202100636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deal arch for orthodontic treatment
Soboku et al. Effect of Different Bracket Prescriptions on Orthodontic Treatment Outcomes Measured by Three-dimensional Scanning
CN114668533A (en) Digital root shield guid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Kara-Boulad et al. Treatment of Moderately Crowded Teeth Using Lingual Fixed Appliance Prepared by a Modified HIRO® Technique: A Case Report and Method Description
Zapata et al. Finishing analysis of dental outcome (FADO) as a new guide in orthodontic treatment
Ghijselings et al. Clinical problems with a double tooth and a macrodont in the maxillary anterior area: a case report
Melsen et al. Treatment planning: the 3D VTO
Bhupali et al. 3-Dimensional prediction of pre-surgical decompensation after atypical extractions and soft tissue simulation for Ortho-surgical manage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 case report
Sadek et al. Journal of the World Federation of Orthodontists
Kairalla et al. 3D technology to measure dental arches and create a template for lingual brackets technique
Abu-Hussein et al. The interdisciplinary treatment of congenitally missing lateral maxillary incisors by canines substit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