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358B1 -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 - Google Patents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358B1
KR102526358B1 KR1020220110202A KR20220110202A KR102526358B1 KR 102526358 B1 KR102526358 B1 KR 102526358B1 KR 1020220110202 A KR1020220110202 A KR 1020220110202A KR 20220110202 A KR20220110202 A KR 20220110202A KR 102526358 B1 KR102526358 B1 KR 10252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ne
lines
replacement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11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는, 중공을 이루는 보호관; 상기 보호관의 중공에 배치되며, 단위 선로들을 이루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전 선로; 상기 단위 선로들에서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들; 상기 단위 선로들 중, 상기 측정된 전류가 기설정된 고장 전류에 이르는 고정 선로를 선정하는 제어기; 상기 보호관을 에워싸는 외부관; 상기 보호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위 선로들을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노출시키는 도어들; 상기 외부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교체 선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 선로를 그립하는 그립퍼를 갖는 선로 교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Fault detection and maintenance equipment i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실시간으로 감시함과 아울러, 고장 구간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고장구간을 격리하고, 고장 구간에 해당되는 선로를 모듈 방식의 교체 선로로 즉시 교체 및 교체가 이루어진 고정 선로를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 단지 내에 구비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배전선로 상에 설치된 배전자동화용 제어단말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배전선로를 감시함으로써 계통운영을 최적화하며, 배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각 지점의 배전자동화용 제어단말장치에서 고장을 검출하고 고장이 발생한 구간을 파악한다.
이러한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고장구간이 파악되면, 파악된 고장구간을 분리하고, 인근 배전선로를 이용하여 부하를 융통함으로써, 고장구간에 대한 복구를 시행함과 동시에 정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력공급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종래의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기준전류값을 설정하고, 이 기준전류값을 초과하는 과전류가 검출되면 고장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고장을 검출하게 되는데, 고장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전류값 자체가 오설정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정확한 고장검출이 어렵고, 특히 기준전류값이 정상치보다 높게 오설정된 경우 기준전류값 이하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아예 고장검출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고장 구간 만을 검출하고, 이를 격리하기도 어려워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피해가 더 커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0092호(등록일자: 2007.02.26)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실시간으로 감시함과 아울러, 고장 구간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고장구간을 격리하고, 고장 구간에 해당되는 선로를 모듈 방식의 교체 선로로 즉시 교체 및 교체가 이루어진 고정 선로를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고장구간에 화재가 발생되거나 이상 온도를 이루는 경우 소화물질을 투입하여 즉시 소화 후 이를 외부로 즉시 제거하여 고장 구간에서의 화재가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를 제공하며,
상기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는, 중공을 이루는 보호관; 상기 보호관의 중공에 배치되며, 단위 선로들을 이루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전 선로; 상기 단위 선로들에서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들; 상기 단위 선로들 중, 상기 측정된 전류가 기설정된 고장 전류에 이르는 고정 선로를 선정하는 제어기; 상기 보호관을 에워싸는 외부관; 상기 보호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위 선로들을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노출시키는 도어들; 상기 외부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교체 선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 선로를 그립하는 그립퍼를 갖는 선로 교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고장 선로가 선정되면, 이동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선로 교체 유닛을 상기 고장 선로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들 중, 상기 고장 선로가 배치된 위치에 해당되는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선로 교체 유닛의 상기 그립퍼를 사용하여 상기 고장 선로를 상기 외부관 내부로 인출하고, 상기 교체 선로들 중 어느 하나를 인출전 상기 고정 선로의 위치에 재배치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호관의 외주와 상기 외부관의 내주 사이에는 지지대들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들은, 스프링이 개재되어 탄성적으로 거동 가능하도록 둘 이상의 파이프로 결합되고,
상기 단위 선로들 각각의 양단에는 연결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 선로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단자가 서로 맞물리도록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보호관의 내주에는,
상기 단위 선로들 각각이 끼워져 지지되는 U 형상의 지지 부재들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들은, 상기 지지 부재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관의 다수 위치에는, 개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들은, 상기 개구들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관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개구들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장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블록과,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 블록을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로 교체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갖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상기 그립퍼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퍼는,
상기 회전축에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신축 가능하고, 상기 고장 선로를 그립하여 인출하는 제 1그립퍼와,
상기 회전축에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신축 가능하고, 상기 교체 선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교체 선로들 중 어느 하나를 인출전 상기 고정 선로의 위치에 재배치시키는 제 2그립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 1그립퍼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며, 신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와,
상기 제 1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장 선로의 양단을 그립하는 제 1그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그립퍼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며, 신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2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교체 선로들이 순차적으로 그립된 제 2그립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호관에는,
상기 단위 선로들의 경계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기 단위 선로들 각각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부가 설치되되,
상기 밀페부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정 선로의 공간을 밀폐시킨다.
또한 상기 밀폐부는,
다수의 밀폐 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밀폐 유닛 각각은,
상기 보호관의 내주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제 1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밀폐판과,
상기 한 쌍의 제 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 1회전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밀폐판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 선로의 외주를 감싸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밀폐판은 회전되는 경우, 단부가 맞닿는다.
또한 상기 보호관에는,
상기 단위 선로들이 배치되는 공간에 연결되는 다수의 공급 튜브가 연결되고,
상기 단위 선로들이 배치되는 공간에 연결되는 다수의 회수 튜브가 연결되고,
상기 단위 선로들이 배치되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공급 튜브는 겔상의 소화물질을 공급하는 소화물질 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회수 튜브는, 회수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회수 펌프는, 상기 소화물질 공급기에 의해 상기 단위 선로들이 배치되는 공간에 공급된 소화 물질을 강제 회수하여 상기 소화물질 공급기로 회수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고장 선로가 배치된 공간의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소화물질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고장 선로가 배치된 공간으로 소화 물질을 공급하고,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상기 이상 온도 미만을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상기 회수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공급된 소화 물질을 상기 소화 물질 공급기로 회수시킨다.
또한 상기 다수의 회수 튜브에는, 교체 가능한 필터가 설치되어 회수되는 상기 소화 물질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상기의 과제를 통하여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실시간으로 감시함과 아울러, 고장 구간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고장구간을 격리하고, 고장 구간에 해당되는 선로를 모듈 방식의 교체 선로로 즉시 교체 및 교체가 이루어진 고정 선로를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기의 고장구간에 화재가 발생되거나 이상 온도를 이루는 경우 소화물질을 투입하여 즉시 소화 후 이를 외부로 즉시 제거하여 고장 구간에서의 화재가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선로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보호관의 내측의 일면부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 교체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 2그립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1그립부재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고장 선로를 교체 선로로 교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에 소화기능구현을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는 중공을 이루는 보호관(100)과, 상기 보호관(100)의 중공에 배치되며, 단위 선로들(210)을 이루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전 선로(200)와, 상기 단위 선로들(210)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들(300)과, 상기 단위 선로들 중, 상기 측정된 전류가 기설정된 고장 전류에 이르는 고정 선로(210')를 선정하는 제어기(400)와, 상기 보호관(100)을 에워싸는 외부관(500)과, 상기 보호관(10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위 선로들(210)을 상기 외부관(500)의 내부에 노출시키는 도어들(600)과, 상기 외부관(500)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교체 선로들(10)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 선로들(210) 중 상기 고장 선로(210')를 그립하는 그립퍼를 갖는 선로 교체 유닛(700)을 갖는다.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고장 선로(210')가 선정되면, 이동 장치(150)를 사용하여 상기 선로 교체 유닛(700)을 상기 고장 선로(210')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어 제어기(400)는 상기 도어들(600) 중, 상기 고장 선로가 배치된 위치에 해당되는 도어(600)를 개방하고, 상기 선로 교체 유닛(700)의 상기 그립퍼를 사용하여 상기 고장 선로(210')를 상기 외부관(500) 내부로 인출하고, 상기 교체 선로들(10) 중 어느 하나를 인출 전 상기 고정 선로(210')의 위치에 재배치시킨다.
또한 상기 보호관(100)의 외주와 상기 외부관(500)의 내주 사이에는 지지대들(미도시)이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대들(220)은 스프링이 개재되어 탄성적으로 거동 가능하도록 둘 이상의 파이프로 결합되어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선로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단위 선로들(210) 각각의 양단에는 연결 단자(211)가 형성된다.
상기 단위 선로들(210)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단자(211)가 서로 맞물리도록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홈과 돌기 방식의 끼움 결합으로써 결합 해제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보호관(100)의 내주에는 상기 단위 선로들(210) 각각이 끼워져 지지되는 U 형상의 지지 부재들(220)이 설치된다. 이에 배전 선로(200)는 지지 부재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보호관의 내측의 일면부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도어들(600)은, 상기 지지 부재들(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관(100)의 다수 위치에는, 개구들(110)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들(600)은, 상기 개구들(1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관(100)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4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6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개구들(11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보호관(100)의 내주에는 개구(110)와 연결되는 레일(620)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600)는 레일(620)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개구(110)를 개폐한다.
그리고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이동 장치(150)는 레일(151)과, 상기 레일(151)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블록(152)과, 상기 제어기(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 블록(152)을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블록(152)은 상기 선로 교체 유닛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 교체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 2그립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1그립부재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선로 교체 유닛(700)은 상기 이동 블록(152)에 연결되는 유닛 본체(710)와, 상기 유닛 본체(710)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회전축(721)을 갖는 회전 모터(720)와, 상기 회전축(721)에 설치되는 상기 그립퍼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퍼는 상기 회전축(721)에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신축 가능하고, 상기 고장 선로(210')를 그립하여 인출하는 제 1그립퍼(730)와, 상기 회전축(721)에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신축 가능하고, 상기 교체 선로들(10)을 구비하고, 상기 교체 선로들(10) 중 어느 하나를 인출전 상기 고정 선로(210')의 위치에 재배치시키는 제 2그립퍼(740)을 갖는다.
특히, 상기 제 1그립퍼(730)는, 상기 회전축(721)에 고정되며, 신축되는 제 1축(731)을 갖는 제 1실린더(732)와, 상기 제 1축(7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장 선로(210')의 양단을 그립하는 제 1그립 부재(733)를 구비한다. 상기 제 1그립 부재(733)는 외부 동력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려져 고장 선로(210')를 그립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 2그립퍼(740)는, 상기 회전축(721)에 고정되며, 신축되는 제 2축(741)을 갖는 제 2실린더(742)와, 상기 제 2축(74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교체 선로들(10)이 순차적으로 그립된 제 2그립 부재(743)를 구비한다.
상기 제 2그립 부재(743)는 좌우로 벌어짐이 가능한 유압 엑츄에이터(743a)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한 쌍을 이루어 작동되고, 내측에는 교체 선로(10)의 둘레 일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홈(h)이 형성되어 다단을 이루어 고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고장 선로를 교체 선로로 교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 하면, 전류 센서(300)에 의해 고장 선로(210')가 선정되면, 제어기(400)는 선로 교체 유닛(700)을 상기 고장 선로(210')가 배치된 위치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고장 선로(210')가 배치된 위치에서의 도어(600)는 제어기(40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된다.
이어 제어기는 제 1그립퍼(730)의 제 1그립 부재(733)를 하강시켜 고장 선로(210')를 집도록 하고, 이어 제 1그립 부재(733)를 원위치로 위치시켜 고장 선로(210')를 인출한다.
그리고 제어기(400)는 제 1,2그립퍼(730, 740)의 위치를 반전시키도록 회전시킨다.
이어 제어기(400)는 제 2그립퍼(740)의 제 2그립 부재(743)를 고장 선로(210')가 위치되어 있던 위치로 하강시킨다.
이때 제 2그립 부재(743)에는 교체 선로(10)가 그립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제 2그립 부재(743)는 하강하면서 교체 선로(10)를 이웃하는 단위 선로들(210)과 결합되도록 하고, 그립을 해제한 뒤 원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이어 도어(600)는 다시 닫히고, 선로 교체 유닛(700) 역시 원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 하면 상기 보호관(100)에는, 상기 단위 선로들(210)의 경계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기 단위 선로들(210) 각각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부(800)가 설치된다.
상기 밀페부(800)는, 상기 제어기(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정 선로(210')의 공간을 밀폐시킨다.
또한 상기 밀폐부(800)는, 다수의 밀폐 유닛(810)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밀폐 유닛(810) 각각은, 상기 보호관(100)의 내주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회전축(811)과, 상기 한 쌍의 제 1회전축(8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밀폐판(812)과, 상기 한 쌍의 제 1회전축(811)을 회전시키는 제 1회전 모터(81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밀폐판(812)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 선로(210')의 외주를 감싸는 홈(812a)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밀폐판(812)은 회전되는 경우, 단부가 맞닿는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에 소화기능구현을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 하면 보호관(100)에는 상기 단위 선로들(210)이 배치되는 공간에 연결되는 다수의 공급 튜브(910)가 연결된다.
상기 단위 선로들(210)이 배치되는 공간에 연결되는 다수의 회수 튜브(920)가 연결된다.
상기 단위 선로들(210)이 배치되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들(930)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공급 튜브(910)는 겔상의 소화물질을 공급하는 소화물질 공급기(940)와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회수 튜브(920)는, 회수 펌프(921)와 연결된다.
상기 회수 펌프(921)는, 상기 소화물질 공급기(940)에 의해 상기 단위 선로들(210)이 배치되는 공간에 공급된 소화 물질을 강제 회수하여 상기 소화물질 공급기(940)로 회수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온도 센서(93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고장 선로(210')가 배치된 공간의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 온도에 이르면, 상기 소화물질 공급기(940)를 사용하여 상기 고장 선로(210')가 배치된 공간으로 소화 물질을 공급하고,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상기 이상 온도 미만을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상기 회수 펌프(921)를 사용하여 상기 공급된 소화 물질을 상기 소화 물질 공급기(940)로 회수시킨다.
또한 상기 다수의 회수 튜브(920)에는, 교체 가능한 필터(미도시)가 설치되어 회수되는 상기 소화 물질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제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첫째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실시간으로 감시함과 아울러, 고장 구간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고장구간을 격리하고, 고장 구간에 해당되는 선로를 모듈 방식의 교체 선로로 즉시 교체 및 교체가 이루어진 고정 선로를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기의 고장구간에 화재가 발생되거나 이상 온도를 이루는 경우 소화물질을 투입하여 즉시 소화 후 이를 외부로 즉시 제거하여 고장 구간에서의 화재가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보호관
200 : 배전 선로
210 : 단위 선로
300 : 전류 센서
400 : 제어기
500 : 외부관
600 : 도어
700 : 선로 교체 유닛

Claims (4)

  1. 중공을 이루는 보호관;
    상기 보호관의 중공에 배치되며, 단위 선로들을 이루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전 선로;
    상기 단위 선로들에서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들;
    상기 단위 선로들 중, 상기 측정된 전류가 기설정된 고장 전류에 이르는 고정 선로를 선정하는 제어기;
    상기 보호관을 에워싸는 외부관;
    상기 보호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위 선로들을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노출시키는 도어들;
    상기 외부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교체 선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 선로를 그립하는 그립퍼를 갖는 선로 교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고장 선로가 선정되면, 이동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선로 교체 유닛을 상기 고장 선로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들 중, 상기 고장 선로가 배치된 위치에 해당되는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선로 교체 유닛의 상기 그립퍼를 사용하여 상기 고장 선로를 상기 외부관 내부로 인출하고, 상기 교체 선로들 중 어느 하나를 인출전 상기 고정 선로의 위치에 재배치시키고,
    상기 보호관의 외주와 상기 외부관의 내주 사이에는 지지대들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들은, 스프링이 개재되어 탄성적으로 거동 가능하도록 둘 이상의 파이프로 결합되고,
    상기 단위 선로들 각각의 양단에는 연결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 선로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단자가 서로 맞물리도록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보호관의 내주에는,
    상기 단위 선로들 각각이 끼워져 지지되는 U 형상의 지지 부재들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들은, 상기 지지 부재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관의 다수 위치에는, 개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들은, 상기 개구들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관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개구들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블록과,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 블록을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로 교체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갖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상기 그립퍼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퍼는,
    상기 회전축에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신축 가능하고, 상기 고장 선로를 그립하여 인출하는 제 1그립퍼와,
    상기 회전축에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신축 가능하고, 상기 교체 선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교체 선로들 중 어느 하나를 인출전 상기 고정 선로의 위치에 재배치시키는 제 2그립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
KR1020220110202A 2022-08-31 2022-08-31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 KR10252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202A KR102526358B1 (ko) 2022-08-31 2022-08-31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202A KR102526358B1 (ko) 2022-08-31 2022-08-31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358B1 true KR102526358B1 (ko) 2023-04-27

Family

ID=8610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202A KR102526358B1 (ko) 2022-08-31 2022-08-31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30663A (zh) * 2023-08-02 2023-10-24 北京住总第一开发建设有限公司 电气线路故障检测仪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92B1 (ko) 2005-10-17 2007-03-08 이호기술단(주) 지중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검출장치
KR102049525B1 (ko) * 2019-08-05 2020-01-08 (주)신화에프이원 지중전력케이블 고장검출 및 복구장치
KR102147981B1 (ko) * 2020-05-04 2020-08-25 박종희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검출 개폐설비
KR102160244B1 (ko) * 2020-05-18 2020-09-25 박종희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2167874B1 (ko) * 2020-07-24 2020-10-20 남부솔루션(주) 내진성능을 갖는 배전용 지중 전력케이블 구조
KR102386892B1 (ko) * 2022-01-20 2022-04-14 (주)세정이에프씨 건축물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92B1 (ko) 2005-10-17 2007-03-08 이호기술단(주) 지중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검출장치
KR102049525B1 (ko) * 2019-08-05 2020-01-08 (주)신화에프이원 지중전력케이블 고장검출 및 복구장치
KR102147981B1 (ko) * 2020-05-04 2020-08-25 박종희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검출 개폐설비
KR102160244B1 (ko) * 2020-05-18 2020-09-25 박종희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2167874B1 (ko) * 2020-07-24 2020-10-20 남부솔루션(주) 내진성능을 갖는 배전용 지중 전력케이블 구조
KR102386892B1 (ko) * 2022-01-20 2022-04-14 (주)세정이에프씨 건축물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30663A (zh) * 2023-08-02 2023-10-24 北京住总第一开发建设有限公司 电气线路故障检测仪
CN116930663B (zh) * 2023-08-02 2024-03-26 北京住总第一开发建设有限公司 电气线路故障检测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6358B1 (ko) 단지 내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및 보수설비
KR102035351B1 (ko) 전기 설비 유지보수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30286547A1 (en) Subsea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Having Redundant Circuit Breaker Control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KR102062819B1 (ko) 단지 내 통신 케이블 고장 진단 시스템
CN107064715A (zh) 动车接触网自动接地系统及控制方法
CA3077377C (en) Network service and transformer safety protector
CN110023046B (zh) 具有监控传感器的工业机器人系统
KR200431177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검사장치
KR200410388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검사장치
CN109950822A (zh) 110kv一电一充直流系统不停电更换方法
KR10169856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CN105990803A (zh) 一种智能中压绝缘表征压力激光测位开关柜
GB2385937A (en) Measuring earth leakages in intrinsically safe current feeds by monitoring charging of earthed R-C network
CN106972397A (zh) 充气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CN206865005U (zh) 充气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CN109888765A (zh) 220kv两电两充直流系统不停电更换方法
KR102089769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CN104794844A (zh) 一种换流站阀厅火灾信号扩展装置
CN108279360A (zh) 单相接地故障线路监测系统
CN105471095B (zh) 一种低压交流环网回路电源监测方法
KR101541719B1 (ko) 가스배관의 방식전위 다중감시 장치 및 그것의 원격제어 방법
KR102079873B1 (ko) 센서형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단자대 과열 진단방법
JP5188906B2 (ja) 原子力発電所の異常検知設備
CN218181017U (zh) 气体绝缘封闭组合电器在线监测装置及水电站监测系统
JP2672682B2 (ja) 自動復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