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348B1 -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348B1
KR102526348B1 KR1020180060596A KR20180060596A KR102526348B1 KR 102526348 B1 KR102526348 B1 KR 102526348B1 KR 1020180060596 A KR1020180060596 A KR 1020180060596A KR 20180060596 A KR20180060596 A KR 20180060596A KR 102526348 B1 KR102526348 B1 KR 10252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etwork
service
termina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298A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3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7Signalling methods or messages providing extensions to protocols defined by standard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04L12/1439Metric aspects time-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기반으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별화된 기술을 실현하는,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NETWOR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기종 망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기종 망 간에 정보 송수신을 기반으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LTE 통신시스템에서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LTE 주파수 증설 및 5G 통신시스템으로의 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빠르게 진화되고 있는 5G 통신시스템은, 한정된 무선자원을 기반으로 최대한 많은 수의 단말을 수용하면서,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대규모 기계형 통신)/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고도의 신뢰도와 낮은 지연 시간 통신)의 시나리오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5G에서는, 단말, 기지국(액세스), 코어 및 서버를 End to End로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으며, 기존 LTE(4G)에서 단일 노드(예: S-GW, P-GW 등)가 복합적으로 수행하던 제어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분리하여, 제어 시그널링 기능의 영역(Control Plane)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의 영역(User Plane)을 구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다.
이때, 5G에서 Control Plane의 제어노드는, 단말의 무선구간 액세스를 제어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단말 정보와 단말 별 가입서비스정보, 과금 등의 정책을 관리/제어하는 PCF(Policy Control Function), 단말 별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외부 망과의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5G에서 User Plane의 데이터노드는, SMF의 제어(연동)를 토대로 단말과의 세션을 통해 단말 및 외부 서비스망(예: 인터넷) 상의 서버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PF(User Plane Function)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5G의 NEF는, 통신 사업자의 내부 망(이하,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이하, 3rd Party) 간에 정보 송수신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며, 정보 공유 기능을 위해 송수신하는 정보 형태로서 PFD(Packet Flow Description) 정보가 있다.
이에, 향후에는, NEF의 PFD 정보를 활용한 정보 공유 기능을 통해, 통신망 및 3rd Party 간에 서로 공유할 수 없었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들이 개발/추진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헌데, 5G 표준에서 정의 및 논의되고 있는 PFD 정보 수준에서는, 통신망을 운영하는 통신망 사업자 및 3rd Party 측 외부 사업자 중 어디에서도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들이 개발/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기종 망 간에 정보 송수신 즉 NEF의 PFD 정보를 활용한 정보 공유 기능을 기반으로, 통신망 사업자 또는 외부 사업자 측에서 실질적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실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이기종 망 간에 정보 송수신 즉 NEF의 PFD 정보를 활용한 정보 공유 기능을 기반으로, 통신망 사업자 또는 외부 사업자 측에서 실질적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속해 있는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 간 정의된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으로부터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에 따른 단말과 관련된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상기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상기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 간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노드에서 PFD(Packet Flow Description)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정의된 메시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식별자, 단말이 이용 중인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 상태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정보, 단말에 대한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정보, 단말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 통계를 근거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순위정보, 단말 가입자가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 정보, 단말 가입자의 가입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요청은, 상기 PFD 정보를 구성하는 2 이상의 정보필드 중,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서 수신 요청하는 정보의 특정 정보필드에 요청식별자가 기록된 상태로 수신되는 PFD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에 따른 단말에 대하여, 상기 특정 정보필드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를 취합하여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PFD 정보 형태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제공부는, 단말 별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제어노드 및 상기 정보 요청에 따른 단말의 세션을 담당하는 데이터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제공 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내 지정된 특정 정보를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익명화(Anonymization)시킨 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외부 서비스망으로부터 상기 익명화된 특정 정보에 대한 추가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기 정의된 정책에 따라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변경 가능 판단 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내 상기 특정 정보를 이전 비율 보다 낮은 비율에 따라 익명화시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속해 있는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 간 정의된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으로부터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에 따른 단말과 관련된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상기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상기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 간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노드에서 PFD(Packet Flow Description)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정의된 메시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식별자, 단말이 이용 중인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 상태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정보, 단말에 대한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정보, 단말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 통계를 근거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순위정보, 단말 가입자가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 정보, 단말 가입자의 가입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요청은, 상기 PFD 정보를 구성하는 2 이상의 정보필드 중,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서 수신 요청하는 정보의 특정 정보필드에 요청식별자가 기록된 상태로 수신되는 PFD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에 따른 단말에 대하여, 상기 특정 정보필드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를 취합하여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PFD 정보 형태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단말 별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제어노드 및 상기 정보 요청에 따른 단말의 세션을 담당하는 데이터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제공 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내 지정된 특정 정보를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익명화(Anonymization)시킨 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으로부터 상기 익명화된 특정 정보에 대한 추가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기 정의된 정책에 따라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변경 가능 판단 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내 상기 특정 정보를 이전 비율 보다 낮은 비율에 따라 익명화시켜 다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기반으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별화된 기술을 실현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기존 통신시스템에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정의되는 PFD 정보의 필드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에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기종 망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술, 구체적으로는 5G에서 정의하고 있는 NEF(Network Exposure Function)의 정보 공유 기능에 관한 것이다.
5G 통신시스템은, 한정된 무선자원을 기반으로 최대한 많은 수의 단말을 수용하면서,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대규모 기계형 통신)/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고도의 신뢰도와 낮은 지연 시간 통신)의 시나리오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5G에서는, 단말, 기지국(액세스), 코어 및 서버를 End to End로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으며, 기존 LTE(4G)에서 단일 노드(예: S-GW, P-GW 등)가 복합적으로 수행하던 제어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분리하여, 제어 시그널링 기능의 영역(Control Plane)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의 영역(User Plane)을 구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다.
이때, 5G에서 Control Plane의 제어노드는, 단말의 무선구간 액세스를 제어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단말 정보와 단말 별 가입서비스정보, 과금 등의 정책을 관리/제어하는 PCF(Policy Control Function), 단말 별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외부 망과의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5G에서 User Plane의 데이터노드는, SMF의 제어(연동)를 토대로 단말과의 세션을 통해 단말 및 외부 서비스망(예: 인터넷) 상의 서버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PF(User Plane Function)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5G의 NEF는, 통신 사업자의 내부 망(이하,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이하, 3rd Party) 간에 정보 송수신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며, 정보 공유 기능을 위해 송수신하는 정보 형태로서 PFD(Packet Flow Description) 정보가 정의되고 있다.
참고로, 내부 망(또는 통신망)과 외부 망(또는 외부 서비스망) 간 차이점은, 5G 표준에서 정의한 UPF(내부) <-> DN(Data Network) (외부) 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이에, 향후에는, NEF의 PFD 정보를 활용한 정보 공유 기능을 통해, 통신망 및 3rd Party 간에 서로 공유할 수 없었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들이 개발/추진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헌데, 5G 표준에서 정의 및 논의되고 있는 PFD 정보와 관련하여,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통신망 내부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나리오가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수준의 PFD 정보를 활용해서는, 통신망을 운영하는 통신망 사업자 및 3rd Party 측 외부 사업자 중 어디에서도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들이 개발/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기종 망 간에 정보 송수신 즉 NEF의 PFD 정보를 활용한 정보 공유 기능을 기반으로, 통신망 사업자 또는 외부 사업자 측에서 실질적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실현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활용하여,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실현하고자 한다.
도 1은, 기존 통신시스템에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기존(현재)에는, 통신망 사업자 및 3rd Party 측 외부 사업자 간에, 각기 특수한 계약을 맺고 사전 협의(기능 매칭)를 통한 기술적 기능을 구현하여, 각기 독립적인 비표준 방식으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즉, 통신망에서 서비스제공장치1에 제공할 수 있는 내부 정보의 종류 및 이를 제공하는 방식과, 통신망에서 서비스제공장치2에 제공할 수 있는 내부 정보의 종류 및 이를 제공하는 방식 등이, 각기 다른 기술적 기능으로 구현되어 각기 독립적인 비표준 방식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현재)의 내부 정보 제공 시나리오는, 3rd Party 측 외부 사업자 모두에게 적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그 실효성 역시 매우 한시적일 뿐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내부 정보 제공 시나리오는,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NEF의 PFD 정보를 활용한 정보 공유 기능을 기반으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하며, 이에 따른 소정의 정보 제공료를 3rd Party(외부 사업자)가 통신망 사업자에게 지불하는 시나리오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실현하는 내부 정보 제공 시나리오는, 3rd Party 측 외부 사업자 모두에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그 실효성 역시 매우 장기적일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겠다.
5G 통신시스템을 위한 통신망에는 제어노드로서의 AMF, PCF, SMF, NEF 등이 존재하지만, 도 3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SMF, NEF 만을 도시하고 있다.
SMF(200)는, 단말 별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SMF(200)는, 단말(10)에 대한 데이터 세션 생성_Create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데이터 세션 수정_Modify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 세션 정보 및 서비스 요구사항 등을 포함하는 정책(Rule)을 단말(10)의 데이터 세션에 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UPF(도 2에서는 편의 상 하나의 UPF(300)로 도시)로 제공하여, UPF(300)가 정책(Rule)에 따라 단말(10)의 데이터 세션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5G 통신시스템을 위한 통신망에는 데이터노드로서의 UFP가 존재한다.
UFP(300)는, SMF(200)의 제어(연동)를 토대로, 단말의 데이터 세션을 제어하며 단말의 세션을 통해 단말 및 외부 서비스망(예: 인터넷) 상의 서버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고객의 단말(10)이 외부 서비스망 즉 3rd Party 측 서버(예: 서비스제공장치1)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UFP(300)는, SMF(200)로부터 수신한 정책(Rule)에 따라, 데이터 세션 정보 및 서비스 요구사항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단말(10) 및 서비스제공장치1 간의 데이터 세션 제어(예: 생성_Create, 수정_Modify 등)를 수행한다.
그리고, UFP(300)는, SMF(200)로부터 수신한 정책(Rule)에 따라, 단말(10)의 세션을 통해 단말(10) 및 서비스제공장치1 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에, 단말(10)은 UFP(300)가 서비스해 주는 세션을 통해서 서비스제공장치1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서비스제공장치1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NEF(100)는, 통신망(내부 망) 및 외부 서비스망(이하, 3rd Party) 간에 정보 송수신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며, 정보 공유 기능을 위해 송수신하는 정보 형태로서 PFD 정보를 활용한다.
현재 5G 표준에서 정의 및 논의되고 있는 PFD 정보와 관련하여,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통신망 내부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나리오가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PFD 정보를 구체화하여 특정함으로써,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서 필요한 정보를 특정하여 요청하고 이에 따른 통신망 내부의 정보를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실현하고자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표준화된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활용하여,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실현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장치를 제안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는 요청수신부(110), 정보제공부(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노드 중 NEF에 해당될 수 있다.
요청수신부(110)는, 네트워크장치(100)가 속해 있는 통신망(내부 망) 및 외부 서비스망(3rd Party) 간 정의된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3rd Party 로부터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특정 메시지는, 통신망(내부 망) 및 외부 서비스망(3rd Party) 간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노드 즉 NEF에서 PFD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정의된 메시지, 다시 말해 NEF의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일 것이다.
따라서,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수신하는 정보 요청은, NEF의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에 포함되는 PFD 정보로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메시지 즉 NEF의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기반으로 수신하는 정보 요청은, PFD 정보를 구성하는 2 이상의 정보필드 중, 외부 서비스망(3rd Party)에서 수신 요청하는 정보의 특정 정보필드에 요청식별자가 기록된 상태로 수신되는 PFD 정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PFD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2 이상의 정보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장치(100)는, 실제 정보를 기록하지 않은 상태의 PFD 정보(A)를, 외부 서비스망(이하, 3rd Party)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1,2,...N 각각에 미리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을 언급하여 예를 들면, 서비스제공장치1은 PFD 정보(A)를 구성하는 각 정보필드를 근거로, 내부적으로 정해져 있는 정보요청정책에 따라 수신 요청할 특정 정보필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제공장치1은, 내부적으로 정해져 있는 정보요청정책에 따라 정보를 요청하는 이벤트 발생 시, PFD 정보를 구성하는 각 정보필드 중, 수신 요청한 특정 정보필드에는 요청식별자(예: Yes)를 기록하고 수신 요청하지 않을 정보필드에는 미요청식별자(예: No)를 기록한 상태의 PFD 정보(B)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100) 특히 요청수신부(110)는, 외부 서비스망(이하, 3rd Party) 예컨대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 수신되는 NEF의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에서,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의 정보 요청 즉 PFD 정보(B)를 수신할 것이다.
여기서, PFD 정보(B)의 경우, 후술의 단말식별자가 기록되는 정보필드(MSISDN, IMEI)에 요청식별자(예: Yes)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서비스제공장치1가, 금번 정보 요청을 통해서, 네트워크장치(100) 내부적으로 정해져 있는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에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불특정의 모든 단말에 대한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한편, 서비스제공장치1은,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B)에서 단말식별자가 기록되는 정보필드(MSISDN, IMEI)에 단말 또는 단말그룹을 특정하는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이는, 서비스제공장치1가, 금번 정보 요청을 통해서, 정보필드(MSISDN, IMEI)에 특정한 단말 또는 단말그룹에 대한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정보제공부(120)는, 수신된 정보 요청에 따른 단말과 관련된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특정 메시지 즉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기반으로 외부 서비스망(3rd Party)에 제공한다.
즉,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가입자 서비스정보는, NEF의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에 포함되는 PFD 정보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서비스정보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식별자, 단말이 이용 중인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 상태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정보, 단말에 대한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정보, 단말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 통계를 근거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순위정보, 단말 가입자가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 정보, 단말 가입자의 가입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식별자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MSISDN), 단말ID(IME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단말이 이용 중인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 상태, 예컨대 부하률, idle 률, Bandwidth 및 Latency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지역정보는, 단말에 대한 위치정보 통계를 근거로 단말이 주로 위치하는 특정 지역 또는 단말의 실시간 위치하는 실시간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의 순위정보는, 단말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 통계를 근거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순위 예컨대 Top 5의 데이터 서비스 및 그 이용률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요금제 정보는, 단말 가입자가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가입자정보는, 단말 가입자가 가입하고 있는 부가 서비스(예: 가족그룹 할인 서비스 등), 연령대 등 가입자 개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FD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필드는, 전술의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정보필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PFD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필드는, 단말식별자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필드(예: MSISDN,IMEI), 네트워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필드(예: Bandwidth), 지역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필드(예: Location), 순위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필드(예: Service in use), 요금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필드(예: SKT Subscription), 가입자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필드(예: 연령대,가족그룹,상품사용시작,상품사용종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보제공부(120)는, 수신된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B)를 분석하여 요청식별자(예: Yes)가 기록된 특정 정보필드를 추출한다.
도 5에 도시된 PFD 정보(B)를 가정하면, 요청식별자(예: Yes)가 기록된 특정 정보필드로서, 정보필드(예: MSISDN,IMEI)/정보필드(예: SKT Subscription)/ 정보필드(예: 연령대)/ 정보필드(예: Location)/ 정보필드(예: Bandwidth)가 추출될 것이다.
이에, 정보제공부(120)는,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B)에 따른 단말, 즉 네트워크장치(100) 내부적으로 정해져 있는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에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불특정의 모든 단말에 대하여, 특정 정보필드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를 취합하여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정보제공부(120)는, 단말 별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제어노드 즉 SMF(200) 및 PFD 정보(B)에 따른 단말의 세션을 담당하는 데이터노드 즉 UPF(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정보제공부(120)가 가입자 서비스정보 생성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노드 및/또는 데이터노드는, 특정 정보필드에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제공부(120)는,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B)에 따른 단말, 즉 네트워크장치(100) 내부적으로 정해져 있는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에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불특정의 모든 단말에 대하여, 특정 정보필드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를 SMF(200)로 요청한다.
이렇게 되면, SMF(200)는 정보제공부(120) 즉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의 정보 요청에서 식별되는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세션을 담당하는 각 UPF(이하, 편의 상 하나의 UPF(300)로 언급)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SMF(200)는, 확인한 UPF(300)로부터 정보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정보(예: Bandwidth)를 획득할 수 있다.
더불어, SMF(200)는,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 요청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필요 시에는 직접 관리하는 정보 또는 다른 제어노드, 예컨대 단말의 무선구간 액세스를 제어하는 AMF, 단말 정보와 단말 별 가입서비스정보, 과금 등의 정책을 관리/제어하는 PCF로부터, 지역정보(Location), 가입정보(SKT Subscription/ 연령대)를 획득할 수 있다.
SMF(200)는, NEF(100)로부터의 정보 요청에서 식별되는 각 단말에 대하여, UPF(300) 및 그 밖의 제어노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취합하고 NEF(100) 즉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100)로 전달한다.
이에 정보제공부(120)는, SMF(2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가입자 서비스정보는, 도 5에 도시된 PFD 정보(C)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정보제공부(120)는, SMF(2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생성한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를 포함하는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외부 서비스망(3rd Party) 즉 전술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의 서비스제공장치1 외에도, 외부 서비스망(3rd Party) 측의 각 서비스제공장치2,3,...N는, 내부적으로 정해져 있는 정보요청정책에 따라 정보를 요청하는 이벤트 발생 시, PFD 정보를 구성하는 각 정보필드 중, 수신 요청한 특정 정보필드에는 요청식별자(예: Yes)를 기록하고 수신 요청하지 않을 정보필드에는 미요청식별자(예: No)를 기록한 상태의 PFD 정보를 포함하는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제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서비스제공장치2,3,...N 별로, 각기 수신되는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에 따른 단말의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가 포함된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제공장치2,3,...N 각각에 필요한 통신망 내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PFD 정보를 구체화하여 특정하고 이를 포함하는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서 필요한 정보를 특정하여 통신망에 요청하고 이에 따른 통신망 내부의 정보를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서는, 자신의 고객(단말 가입자)에 대한 통신망 내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들을 개발/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한편, 통신망 내부의 정보를 외부 서비스망(3rd Party)으로 제공하는 것은, 보안 및 안정성 측면에서 민감한 이슈를 야기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망 내부의 정보를 외부 서비스망(3rd Party)으로 제공함에 따라 야기될 우려가 있는 보안 및 안정성 측면의 이슈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정보제공부(120)는, 전술의 생성한 가입자 서비스정보 제공 시, 가입자 서비스정보 내 지정된 특정 정보를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익명화(Anonymization)시킨 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보제공부(120)는, 전술의 실시예와 같이, SMF(2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도 5에 도시된 PFD 정보(C)의 형태를 가지는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100)는, 가장 높은 비율로 익명화를 시키는 레벨(Level-h)을 기본 설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정보제공부(120)는, 생성한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 내 지정된 특정 정보 예컨대 단말식별자(MSISDN)를, 기 설정된 비율 즉 기본 설정 레벨(Level-h)의 비율(예: 60%)에 따라 익명화시킨 후, PFD 정보(C)가 포함된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서비스제공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를 제공받은 서비스제공장치1 측에서는, 특정 정보(예: MSISDN)가 익명화된 가입자 서비스정보 만으로는 자신의 서비스에 활용하기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더 정확한 특정 정보(예: MSISDN)를 얻고자 특정 정보(예: MSISDN)에 대하여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정보제공부(120)는,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를 제공받은 외부 서비스망, 예컨대 전술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 추가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기 정의된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정보제공부(120)는, 통신망을 운영하는 통신망 사업자 및 서비스제공장치1 측 외부 사업자 간 서비스 계약에 근거하여,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의 추가 정보 요청에 대해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20)는,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판단 시,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 내 특정 정보(예: MSISDN)를, 이전 비율 보다 낮은 비율 예컨대 이전 비율이 기본 설정 레벨(Level-h)의 비율(예: 60%)이었으므로 그 다음 레벨(Level-m)의 비율(예: 40%)에 따라 익명화시킨 후, PFD 정보(C)가 포함된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다시 서비스제공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정보제공부(120)는,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 추가 정보 요청이 재 수신되는 경우,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판단 시, 그 다음 레벨(Level-l)의 비율(예: 20%)에 따라 익명화시킨 후, PFD 정보(C)가 포함된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다시 서비스제공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에 의하면,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기반으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서 필요한 정보 즉 통신망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별화된 기술을 실현하며, 이를 근거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서 통신망 내부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들을 개발/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5G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활용하여 3rd Party 측에서 필요로 하는 통신망 내부 정보 제공을 실현하기 때문에, 통신망(내부 망) 및 외부 사업자망(3rd Party) 간에 독립적/비표준 방식으로 각기 구현한 기술적 기능을 통해 실현할 수 있는 기존 대비, 3rd Party 측 외부 사업자 모두에게 적용 가능하고 그 실효성이 매우 장기적일 뿐 아니라, 적용 시간 및 비용 등의 절감 측면에서 월등히 높은 효율성을 가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겠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에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내부 정보를 제공하는 흐름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 사업자 망 즉 3rd Party 측의 다수 서비스제공장치 중, 서비스제공장치1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단말(10)은 UFP(300)가 서비스해 주는 세션을 통해서 외부 서비스망(예: 인터넷) 상의 서비스제공장치1과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서비스제공장치1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비스제공장치1은, 내부적으로 정해져 있는 정보요청정책에 따라 정보를 요청하는 이벤트 발생 시, PFD 정보를 구성하는 각 정보필드 중, 수신 요청한 특정 정보필드에는 요청식별자(예: Yes)를 기록하고 수신 요청하지 않을 정보필드에는 미요청식별자(예: No)를 기록한 상태의 PFD 정보(B)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10).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외부 서비스망(이하, 3rd Party) 예컨대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 수신되는 NEF의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에서,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의 정보 요청 즉 PFD 정보(B)를 수신할 것이다.
네트워크장치(100)는, 수신된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B)를 분석하여 요청식별자(예: Yes)가 기록된 특정 정보필드를 추출한다(S20).
도 5에 도시된 PFD 정보(B)를 가정하면, 요청식별자(예: Yes)가 기록된 특정 정보필드로서, 정보필드(예: MSISDN,IMEI)/정보필드(예: SKT Subscription)/ 정보필드(예: 연령대)/ 정보필드(예: Location)/ 정보필드(예: Bandwidth)가 추출될 것이다.
네트워크장치(100)는,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B)에 따른 단말, 예컨대 네트워크장치(100) 내부적으로 정해져 있는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에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불특정의 모든 단말에 대하여, 특정 정보필드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를 SMF(200)로 요청한다(S30).
이렇게 되면, SMF(200)는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의 정보 요청에서 식별되는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세션을 담당하는 각 UPF(이하, 편의 상 하나의 UPF(300)로 언급)를 확인할 수 있다(S40).
이에, SMF(200)는, 확인한 UPF(300)로부터 정보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정보(예: Bandwidth)를 획득할 수 있다(S50).
더불어, SMF(200)는,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 요청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필요 시에는 직접 관리하는 정보 또는 다른 제어노드, 예컨대 단말의 무선구간 액세스를 제어하는 AMF, 단말 정보와 단말 별 가입서비스정보, 과금 등의 정책을 관리/제어하는 PCF로부터, 지역정보(Location), 가입정보(SKT Subscription/ 연령대)를 획득할 수 있다.
SMF(200)는, NEF(100)로부터의 정보 요청에서 식별되는 각 단말에 대하여, UPF(300) 및 그 밖의 제어노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취합하고 NEF(100) 즉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100)로 전달한다(S60,S70).
이에 네트워크장치(100)는, SMF(2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80).
이렇게 생성된 가입자 서비스정보는, 도 5에 도시된 PFD 정보(C)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장치(100)는, 생성한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 내 지정된 특정 정보 예컨대 단말식별자(MSISDN)를, 기본 설정 레벨(Level-h)의 비율(예: 60%)에 따라 익명화시킨 후(S80), PFD 정보(C)가 포함된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외부 서비스망(3rd Party) 즉 서비스제공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S90).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를 제공받은 서비스제공장치1 측에서는, 특정 정보(예: MSISDN)가 익명화된 가입자 서비스정보 만으로는 자신의 서비스에 활용하기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더 정확한 특정 정보(예: MSISDN)를 얻고자 특정 정보(예: MSISDN)에 대하여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00).
이에, 네트워크장치(100)는,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 추가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기 정의된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110).
예를 들면, 네트워크장치(100)는, 통신망을 운영하는 통신망 사업자 및 서비스제공장치1 측 외부 사업자 간 서비스 계약에 근거하여,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의 추가 정보 요청에 대해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네트워크장치(100)는,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판단 시,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 내 특정 정보(예: MSISDN)를, 이전 비율 보다 낮은 비율 예컨대 이전 비율이 기본 설정 레벨(Level-h)의 비율(예: 60%)이었으므로 그 다음 레벨(Level-m)의 비율(예: 40%)에 따라 익명화시킨 후(S110), PFD 정보(C)가 포함된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다시 서비스제공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S12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네트워크장치(100)는, 네트워크장치(100)가 속해 있는 통신망(내부 망) 및 외부 서비스망(3rd Party) 간 정의된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3rd Party 로부터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네트워크장치(100)는, 외부 서비스망(이하, 3rd Party) 예컨대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 수신되는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에서,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의 정보 요청 즉 PFD 정보(B)를 수신할 수 있다(S2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네트워크장치(100)는, 수신된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B)를 분석하여 요청식별자(예: Yes)가 기록된 특정 정보필드를 추출한다(S210).
도 5에 도시된 PFD 정보(B)를 가정하면, 요청식별자(예: Yes)가 기록된 특정 정보필드로서, 정보필드(예: MSISDN,IMEI)/정보필드(예: SKT Subscription)/ 정보필드(예: 연령대)/ 정보필드(예: Location)/ 정보필드(예: Bandwidth)가 추출될 것이다.
여기서, 네트워크장치(100)는, S210단계에서 추출한 특정 정보필드에 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한지 여부를, 기 정의된 정보제공정책, 통신망 내 획득 가능한 정보 여부, 망 상태(부하, 지연 등)을 근거로 판단하고(S220), 정보 제공 불가능 판단 시(S220 No), 정보 제공 불가를 NEF 정보 공유 기능을 통해 서비스제공장치1에 통지할 수도 있다(S340).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네트워크장치(100)는, 정보 제공 불가능 판단 시(S220 Yes),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B)에 따른 단말, 예컨대 네트워크장치(100) 내부적으로 정해져 있는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에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불특정의 모든 단말에 대하여, 특정 정보필드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를 SMF(200)로 요청한다(S230).
이렇게 되면, SMF(200)는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의 정보 요청에서 식별되는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세션을 담당하는 각 UPF(이하, 편의 상 하나의 UPF(300)로 언급)를 확인할 수 있다(S240).
이에, SMF(200)는, 확인한 UPF(300)로부터 정보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정보(예: Bandwidth)를 획득할 수 있다(S250).
더불어, SMF(200)는,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 요청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필요 시에는 직접 관리하는 정보 또는 다른 제어노드, 예컨대 단말의 무선구간 액세스를 제어하는 AMF, 단말 정보와 단말 별 가입서비스정보, 과금 등의 정책을 관리/제어하는 PCF로부터, 지역정보(Location), 가입정보(SKT Subscription/ 연령대)를 획득할 수 있다(S250).
SMF(200)는, NEF(100)로부터의 정보 요청에서 식별되는 각 단말에 대하여, UPF(300) 및 그 밖의 제어노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취합하고 NEF(100) 즉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100)로 전달한다(S26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네트워크장치(100)는, SMF(2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70).
이렇게 생성된 가입자 서비스정보는, 도 5에 도시된 PFD 정보(C)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장치(100)는, 생성한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 내 지정된 특정 정보 예컨대 단말식별자(MSISDN)를, 기본 설정 레벨(Level-h)의 비율(예: 60%)에 따라 익명화시킨 후, PFD 정보(C)가 포함된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외부 서비스망(3rd Party) 즉 서비스제공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S280).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를 제공받은 서비스제공장치1 측에서는, 특정 정보(예: MSISDN)가 익명화된 가입자 서비스정보 만으로는 자신의 서비스에 활용하기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더 정확한 특정 정보(예: MSISDN)를 얻고자 특정 정보(예: MSISDN)에 대하여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00).
이에, 네트워크장치(100)는,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 추가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S290 Yes), 기 정의된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300).
예를 들면, 네트워크장치(100)는, 통신망을 운영하는 통신망 사업자 및 서비스제공장치1 측 외부 사업자 간 서비스 계약에 근거하여,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의 추가 정보 요청에 대해 정보제공정책에 따라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네트워크장치(100)는,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판단 시(S300 Yes), 이전 비율 보다 낮은 비율, 예컨대 이전 비율이 기본 설정 레벨(Level-h)의 비율(예: 60%)이었으므로 그 다음 레벨(Level-m)로 변경하여, 레벨(Level-m)의 비율(예: 40%)로 변경한다(S310).
네트워크장치(100)는,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 내 특정 정보(예: MSISDN)를, 변경한 레벨(Level-m)의 비율(예: 40%)에 따라 익명화시킨 후, PFD 정보(C)가 포함된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다시 서비스제공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S320).
만약, 네트워크장치(100)는,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 추가 정보 요청이 재 수신되는 경우,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판단 시, 그 다음 레벨(Level-l)의 비율(예: 20%)에 따라 익명화시킨 후, PFD 정보(C)가 포함된 NEF 정보 공유 기능 메시지를 다시 서비스제공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장치(100)는, 가입자 서비스정보 즉 PFD 정보(C)를 제공받은 서비스제공장치1로부터 정보 수신 완료(Res : OK)가 수신되면(S330 Yes), S200단계에서 수신된 정보 요청에 따른 내부 정보(가입자 서비스정보)의 제공을 종료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PFD 정보를 구체화/특정하고 이를 포함하는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활용하여,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에 필요한 통신망 내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기술을 실현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NEF의 정보 공유 기능을 기반으로, 3rd Party(외부 사업자) 측 정보에 따라 단말의 데이터 세션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단말
20 : 과금시스템
100 : NEF
110 : 정보획득부 120 : 세션제어부
200 : SMF
300 : UPF

Claims (14)

  1. 네트워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속해 있는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 간 정의된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으로부터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에 따른 단말과 관련된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상기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메시지는, 상기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 간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노드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정의된 메시지이며,
    상기 특정 메시지는,
    상기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 간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노드에서 PFD(Packet Flow Description)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정의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식별자, 단말이 이용 중인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 상태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정보, 단말에 대한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정보, 단말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 통계를 근거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순위정보, 단말 가입자가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 정보, 단말 가입자의 가입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청은,
    상기 PFD 정보를 구성하는 2 이상의 정보필드 중,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서 수신 요청하는 정보의 특정 정보필드에 요청식별자가 기록된 상태로 수신되는 PF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에 따른 단말에 대하여, 상기 특정 정보필드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를 취합하여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PFD 정보 형태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제공 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내 지정된 특정 정보를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익명화(Anonymization)시킨 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외부 서비스망으로부터 상기 익명화된 특정 정보에 대한 추가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기 정의된 정책에 따라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변경 가능 판단 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내 상기 특정 정보를 이전 비율 보다 낮은 비율에 따라 익명화시켜 다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8.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속해 있는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 간 정의된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으로부터의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에 따른 단말과 관련된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상기 특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메시지는, 상기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 간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노드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정의된 메시지이며,
    상기 특정 메시지는,
    상기 통신망 및 외부 서비스망 간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노드에서 PFD(Packet Flow Description)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정의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식별자, 단말이 이용 중인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 상태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정보, 단말에 대한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정보, 단말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 통계를 근거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순위정보, 단말 가입자가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 정보, 단말 가입자의 가입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청은,
    상기 PFD 정보를 구성하는 2 이상의 정보필드 중,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서 수신 요청하는 정보의 특정 정보필드에 요청식별자가 기록된 상태로 수신되는 PF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정보 요청으로서의 PFD 정보에 따른 단말에 대하여, 상기 특정 정보필드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를 취합하여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를 PFD 정보 형태로 상기 외부 서비스망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제공 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내 지정된 특정 정보를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익명화(Anonymization)시킨 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비스망으로부터 상기 익명화된 특정 정보에 대한 추가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기 정의된 정책에 따라 익명화 비율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변경 가능 판단 시, 상기 가입자 서비스정보 내 상기 특정 정보를 이전 비율 보다 낮은 비율에 따라 익명화시켜 다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060596A 2018-05-28 2018-05-28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2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96A KR102526348B1 (ko) 2018-05-28 2018-05-28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96A KR102526348B1 (ko) 2018-05-28 2018-05-28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298A KR20190135298A (ko) 2019-12-06
KR102526348B1 true KR102526348B1 (ko) 2023-04-26

Family

ID=6883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596A KR102526348B1 (ko) 2018-05-28 2018-05-28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915A (ko) * 2020-09-28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제1 통신 네트워크의 동기 정보를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631B1 (ko) * 2013-01-10 2019-03-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의 서비스 실행 설정 방법 및 컴퓨팅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23.502 v15.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298A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1340B2 (en) Network slice selection
JP7183416B2 (ja) 時間依存ネットワーキング通信方法及び装置
US8996670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network metadata based policy control
US11968128B2 (en) Management, by an intermediate device, of the quality of transmission of a data stream to a mobile terminal
CN111614563A (zh) 一种用户面路径的选择方法及装置
US10218858B2 (en) Download account with shared data plan
WO2020135848A1 (zh) 计费的方法、装置及系统
CN104769980A (zh) 向移动端分配策略规则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US111339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provisioning of a charging function in a wireless network
US9088966B2 (en) Providing limited network access to user devices
KR20170127520A (ko) 통신 시스템, 기지국, 판정 방법, 통신 단말 및 접속 방법
CN111131506B (zh) 报文处理方法及装置
US201903870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service migration
EP2817985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network metadata based policy control
KR102526348B1 (ko)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JP2014155096A (ja) 通信ポリシルール動的変更システムおよび通信ポリシルールの動的変更方法
CN115734282A (zh) 一种服务质量的处理方法、装置和通信系统
US20210105591A1 (en) Dynamic subscriber profile management
KR102530422B1 (ko)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51375A (ko) 가상 id를 이용하여 복수의 pdu 세션들을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smf
JP7030159B2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2736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3126479A1 (en) User consent based model provisioning
CN117221841A (zh) 流量计费系统和方法
JP656687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