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099B1 - Shuttle rack for keeping snall box - Google Patents

Shuttle rack for keeping snall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099B1
KR102526099B1 KR1020200173640A KR20200173640A KR102526099B1 KR 102526099 B1 KR102526099 B1 KR 102526099B1 KR 1020200173640 A KR1020200173640 A KR 1020200173640A KR 20200173640 A KR20200173640 A KR 20200173640A KR 102526099 B1 KR102526099 B1 KR 102526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bar
stopper
post
fastened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3416A (en
Inventor
김남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Priority to KR102020017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099B1/en
Publication of KR2022008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0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에 관한 것으로, 물류창고에서 적재물을 적재하도록 다수의 포스트, 빔 또는 바 등이 상호 체결되어 제작되는 랙에서,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다수의 후부 포스트 및 전부 포스트를 구비한 포스트; 전부 포스트들을 연결하면서 다단으로 설치된 레일빔; 후부 포스트들을 연결하면서 다단으로 설치된 스토퍼빔;과 적재물을 올려놓기 위해 레일빔과 스토퍼빔을 연결하여 체결된 타이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설치가 간단하고, 레일빔과 스토퍼빔의 상하, 좌우 요동이 방지되고, 포스트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in a rack manufactured by interlocking a plurality of posts, beams, bars, etc. to load loads in a distribution warehouse, a plurality of rear posts and front posts erected vertically on the ground Post equipped; Rail beam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while connecting all posts; By including a stopper beam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while connecting the rear posts; and a tie bar fastened by connecting the rail beam and the stopper beam to place the load, the installation is simple, and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rail beam and the stopper beam It is designed to prevent rocking and to be firmly fixed to the post.

Figure R1020200173640
Figure R1020200173640

Description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Shuttle rack for keeping snall box}Shuttle rack for keeping snall box {Shuttle rack for keeping snall box}

본 발명은 셔틀이 이송한 물품이 적재 또는 인출되는 랙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트, 레일빔, 스토퍼빔, 로드빔, 타이바 및 브레싱 등이 더욱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철구조물로서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on which goods transported by a shuttle are loaded or taken out,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system in which posts, rail beams, stopper beams, load beams, tie bars, bracing, etc. can be more simply and firmly fastened. As a steel structure of the structure, it relates to a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일반적으로 소형물품 보관용 랙구조물은 작은 공간에 물건을 적재하거나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 음료 및 의류, 가전, 잡화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된다.In general, rack structures for storing small items are designed to load or easily transport items in a small space. Used for temporary or long-term storage of all items.

이러한 랙구조물은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전, 후부의 포스트들, 전부 또는 후부의 이웃한 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높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설치된 전, 후부의 빔들, 전, 후부의 빔들을 연결하면서 적재물이 얹혀지는 지지빔과, 후부 또는 측부에서 이웃한 포스트를 일정 각도로 가로질러 견고히 고정된 브레이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is rack structure consists of front and rear pos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erected vertically on the ground, front and rear beams, front and rear beam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while horizontally connecting neighboring posts at the front or rear. It may include a support beam on which a load is placed while connecting and a bracing that is firmly fixed across a post adjacent to the rear or side at a certain angle.

이처럼, 다수의 포스트, 빔 및 브레이싱들이 상호 결합되어 물건을 적재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As such, multiple posts, beams, and bracings may be manufact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o load an article.

하지만, 이들 포스트, 빔 및 브레이싱들의 체결이 간단하면서 설치가 용이하고, 보다 견고한 설치를 위한 지속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However, the fastening of these posts, beams and bracings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and continuous development for more robust installation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4786호(2014.03.17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74786 (Announced on March 17, 201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43781호(2018.05.14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43781 (2018.05.14 announcement)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스트, 레일빔, 스토퍼빔, 로드빔, 타이바 및 브레싱 등이 상호 체결되어 랙 구조물이 제작됨으로써, 더욱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체결된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구조의 철구조물인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을 제공함에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manufacture a rack structure by mutually fastening posts, rail beams, stopper beams, load beams, tie bars, bracing, etc. It is to provide a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which is another new structure of steel structure.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은 물류창고에서 적재물을 적재하도록 다수의 포스트, 빔 또는 바 등이 상호 체결되어 제작되는 철구조물에서,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다수의 후부 포스트 및 전부 포스트를 구비한 포스트; 전부 포스트들을 연결하면서 다단으로 설치된 레일빔; 후부 포스트들을 연결하면서 다단으로 설치된 스토퍼빔;과 적재물을 올려놓기 위해 레일빔과 스토퍼빔을 연결하여 체결된 타이바;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structure manufactured by interlocking a plurality of posts, beams, or bars to load loads in a warehouse,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erected on the ground. a post with an aft post and an anterior post; Rail beam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while connecting all posts; It may include a stopper beam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while connecting the rear posts; and a tie bar fastened by connecting the rail beam and the stopper beam to place the load.

여기서, 레일빔 또는 스토퍼빔에서 상면과 수직부에 걸쳐 'ㄱ'자 형상으로 서로 대칭으로 성형되면서 하부에 걸림홈이 돌출 가공된 한 쌍의 타이바체결구를 다수 구비할 수 있다. Here, while being mold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in an 'L' shape across the upper surface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rail beam or stopper beam, a plurality of pair of tie bar fasteners having a protruding groove at the bottom may be provided.

또한, 타이바는 측면이 'ㄷ'자 형상이면서 양측 선단부에서 중앙부위가 굴절되어 지지편이 가공되고, 이 지지편의 굴절에 의해 양측부의 돌출된 끼움연장부가 성형되며, 하부 내측면에 내향 돌출되어 타이바체결구의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ie bar has a 'U' shape on the side, and the support piece is processed by bending the central part at the front end of both sides, and the protruding fitting extension part of both sides is formed by the bending of the support piece, and the tie bar protrudes inward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to tie the tie bar. A locking protrusion fastened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bar fastener may be provided.

이때, 걸림돌기는 펀칭으로 가공되고, 평면상 반타원형상의 걸림편으로 이루어지거나, 1/4 타원형상의 걸림편과, 걸림편으로부터 찢어서 돌출된 보조지지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is processed by punching and may be made of a locking piece of a semi-elliptical shape on a plane, or a locking piece of a 1/4 oval shape and an auxiliary support piece torn from the locking piece and protruding from the locking piece.

또한, 타이바는 레일빔 또는 스토퍼빔과의 체결에서 지지편은 레일빔 또는 스토퍼빔의 수직부의 외면과 밀착되고, 걸림편은 타이바체결구의 걸림홈에 체결되며, 보조지지편은 레일빔 또는 스토퍼빔의 수직부의 내면과 밀착되어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ie bar is fastened with the rail beam or stopper beam, the support pie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art of the rail beam or stopper beam, the locking piece is fastened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tie bar fastener, and the auxiliary support piece is the rail beam or It may be faste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topper beam.

또한, 레일빔은 'ㄷ'자 형상이고, 상면이 평평면과, 평평면에서 수직부까지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단 부위가 이웃한 전부 포스트(110)들을 연결하면서 포스트체결구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beam has a 'c' shape, and the upper surface is made of a flat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from the flat surface to the vertical part, and both ends are fastened to the post fastener while connecting the adjacent front posts 110, can be fixed

이때, 경사면은 평평면보다 낮게 위치한 타이바의 상면에서 평평면을 이어주는 경사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clined surface may be an inclined surface connecting the flat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e bar located lower than the flat surface.

그리고 타이바체결구가 경사면과 수직부에 걸쳐 성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ie bar fastener may be molded over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vertical part.

또한, 스토퍼빔은 'ㄷ'자 형상이면서 상부의 선단부가 상향 굴절되어 굴절되어 이동하는 적재물이 걸려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성형되고, 상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단 부위가 이웃한 후부 포스트들을 연결하면서 포스트체결구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beam has a 'c' shape, and the upper end is refracted upward, and the stopper part that restricts excessive movement by refracting and refracting the moving load is formed, the upper surface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and both ends are adjacent to the rear post It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post fastener while connecting them.

이때, 경사면은 타이바의 상면에서 스토퍼부의 기저부까지 상향하는 경사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clined surface may be an upward slop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ie bar to the base of the stopper part.

그리고 타이바체결구가 경사면과 수직부에 걸쳐 성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ie bar fastener may be molded over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vertical part.

한편, 레일빔에서 하중이 가해지면 평평면이 처지고, 경사면이 올라가는 형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빔과 스토퍼빔을 연결하여 고정된 고정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load is applied from the rail beam, the flat surface sags, and a fixing bolt fixed by connecting the rail beam and the stopper beam to prevent rotation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rising; may further include.

추가로, 지면에 고정되어 포스트가 세워지는 베이스; 전부 포스트와 후부 포스트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제1브레이싱; 후부 포스트에 고정된 다수의 제2체결판; 제2체결판에 고정되면서 제2브레이싱이 체결되는 다수의 제1체결판; 제1체결판들을 연결하여 고정되는 제2브레이싱; 전부 포스트 또는 후부 포스트의 상단을 연결하여 고정되는 탑빔;과 전부 포스트와 후부 포스트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결하여 고정되는 탑브레이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post is erected; A first bracing fixed by connecting the front post and the rear post;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lates fixed to the rear post;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lates to which second bracings are fastened while being fixed to the second fastening plates; a second bracing fixed by connecting the first fastening plates; A top beam fixed by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ront post or rear post; and a top bracing fixed by connecting across the upper ends of the front post and rear post; At least one of them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제2체결판은 제1체결판까지 돌출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연장부의 길이는 후부포스트에 체결된 스토퍼빔의 폭을 감안하여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fastening plate has an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to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ortion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stopper beam fastened to the rear post.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빔, 스토퍼빔, 타이바을 하향 끼워서 걸림결합하고, 레일빔과 스토퍼빔이 타이바의 지지편, 걸림돌기 및 보조지지편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설치가 간단하고, 레일빔과 스토퍼빔의 상하, 좌우 요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beam, the stopper beam, and the tie bar are downwardly inserted and engaged, and the rail beam and the stopper beam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piece of the tie bar, the lock protrusion, and the auxiliary support piece, so installation is simple and ,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vertical and horizontal fluctuations of the rail beam and the stopper beam.

또한, 레일빔과 스토퍼빔을 연결하는 고정볼트가 설치됨으로써, 셔틀 및 적재물의 하중이 레일빔의 일측이 처지면서 회전하는 요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fixing bolt connecting the rail beam and the stopper beam,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oad of the shuttle and the load can be prevented from swinging when one side of the rail beam sags and rotates.

그리고 다수의 브레이싱에 의해 포스트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t can be firmly fixed by a plurality of bracing.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의 후부와 측부가 도시된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포스트, 스토퍼빔, 레일빔, 타이바 및 고정볼트의 체결구조가 도시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포스트의 일부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일빔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레일빔이 도시된 사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스토퍼빔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타이바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타이바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돌기의 종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에서 타이바가 레일빔의 타이바체결구의 체결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타이바와 타이바체결구의 체결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타이바와 레일빔이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측부브레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후부브레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후부프레싱과 포스트의 체결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and 2 are rear and side views showing the rear and side views of a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a post, a stopper beam, a rail beam, a tie bar, and a fixing bolt shown in FIGS. 1 and 2;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post shown in Figure 3;
5 is a view showing the rail beam shown in FIG. 3;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ail beam of FIG. 5;
FIG. 7 is a view showing the stopper beam shown in FIG. 3;
8 is a view showing the tie bar shown in FIG. 3;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the tie bar shown in FIG. 8 .
FIG. 10 is a view showing types of fastening protrusions shown in FIG. 8 .
11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tie bar fastener of the rail beam in FIG. 3;
1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fastening state of the tie bar and the tie bar fastener in FIG. 11 .
13 is a photograph showing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ie bars and rail beams are fastened in FIG. 11 .
14 is a view showing the side bracing shown in FIG. 2;
15 is a view showing the rear bracing shown in FIG.
Figure 1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fastening state of the rear pressing and the post shown in Figure 15.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so, among components mentioned in various embodiments, similar components and related components in each embodiment may be replaced, replaced, or added.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2에서 셔틀이 전후진하면서 적재물을 운반하고, 양측 선반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동작에서 셔틀과 가까운 위치를 전부(前部)로 하고, 셔틀과 먼 위치를 후부(後部)라고 하며, 상, 하, 좌, 우, 전, 후, 내향, 외향의 방향은 각 도면에서 보이는 방향으로 지칭한다. A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after, in FIG. 2, in the operation of carrying loads while the shuttle moves forward and backward, and loading loads on both shelves, the position close to the shuttl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the position far from the shuttle is referred to as the rear. , Down, left, right, front, back, inward, and outward directions are referred to as directions shown in each draw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0), 레일빔(200), 스토퍼빔(300), 타이바(400), 고정볼트(500), 제1브레이싱(600), 제2브레이싱(700), 탑빔(800)과 탑브레이싱(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t 100, a rail beam 200, a stopper beam 300, a tie bar 400, and a fixed It includes a bolt 500, a first bracing 600, a second bracing 700, a top beam 800 and a top bracing 900.

포스트(100)는 도 2, 도 3 및 도4에서 보듯이, 셔틀(St)측의 전부(前部) 포스트(110)와 반대측의 후부(後部) 포스트(120)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포스트(100)는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130)에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포스트(100)는 도 4에서처럼 대략 'ㄷ'자 형상이고, 전면에는 다수의 포스트체결구(H1)가 양측에 높이 방향으로 가공되고, 하측 선단부 볼팅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전부 포스트의 포스트체결구(H1)에는 레일빔(200)이 일정 높이마다 배치되어 고정되고, 후부 포스트(120)의 포스트체결구(H1)에는 스토퍼빔(300)이 일정 높이마다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3 and 4, in the post 100, the front post 110 on the shuttle St side and the rear post 120 on the opposite side can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re is. At this time, the post 100 may be fixed vertically to the base 130 fixed to the ground. The post 100 has a substantially 'c' shape as shown in FIG. 4, and a plurality of post fasteners H1 are process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lower front end portion can be bolted. In addition, the rail beam 200 is arranged and fixed at a certain height in the post fastener H1 of the front post, and the stopper beam 300 is arranged at a certain height in the post fastener H1 of the rear post 120 can be fixed

레일빔(200)은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보듯이, 전부 포스트(110)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고, 셔틀(St)의 바퀴가 얹혀져 회전하는 부재이다. 이 레일빔(200)은 이웃한 전부 포스트(110)를 연결하면서 양측부가 전부 포스트(110)에 체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3 and 5, the rail beam 200 is a member that is installed in a number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front post 110, and the wheels of the shuttle St are placed on and rotated. Both sides of the rail beam 200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post 110 while connecting the adjacent front posts 110.

이러한 레일빔(200)은 측면상 대략 'ㄷ'자 형상에서 상측 선단부가 하방 굴절된 형상일 수 있다. 이 레일빔(200)의 상면은 셔틀(St)의 바퀴가 얹혀져 회전하는 평평면(F)과, 셔틀(St)에 얹혀진 적재물이 타이바(400)로 이송될 때 걸리지 않도록 평평면(F)보다 낮은 위치의 타이바(400)의 상면과 평평면(F)을 이어주는 경사면(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사면(S)의 각도(θ)는 평평면(F)의 높이와 타이바(400)의 상면의 높이 차이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경사면(S)으로 인해 적재물이 타이바(400)로 밀려 내려갈 때 걸리지 않을 수 있다. The rail beam 200 may have a shape in which an upper front end is bent downward in a substantially 'c' shape on the 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beam 200 is a flat surface (F) on which the wheels of the shuttle (St) are placed and rotated, and a flat surface (F) so that the load placed on the shuttle (St) is not caught when transferred to the tie bar (400). It may be made of an inclined surface (S)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ie bar 400 at a lower position and the flat surface (F). The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S may be determined by a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flat surface F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ie bar 400 . Therefore, when the load is pushed down to the tie bar 400 due to the inclined surface (S), it may not be caught.

또한, 레일빔(200)의 타이바(400)측 수직부(P)에는 평면상 타이바(400)의 양측의 끼움연장부(420)가 끼워지도록 한 쌍의 타이바체결구(T)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가공될 수 있다. 한 쌍의 타이바체결구(T)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듯이, 상호 마주하는 대략 'ㄱ'자 형상이면서 하부에 돌출된 걸림홈(T1)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걸림홈(T1)은 도 12에서처럼 타이바(400)의 하부의 내향 돌출된 걸림돌기(430)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In addition, a pair of tie bar fasteners T are inserted into the vertical portion P of the tie bar 400 side of the rail beam 200 so that the fitting extensions 420 on both sides of the flat tie bar 400 are fitted. It can be processed multiple times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air of tie bar fasteners T may have a substantially 'L' shape facing each other and a locking groove T1 protruding from the bottom. As shown in FIG. 12 , the locking protrusion 430 protruding inward from the bottom of the tie bar 400 may be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T1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given later.

스토퍼빔(300)은 도 2, 도 3 및 도 7에서 보듯이, 후부 포스트(120)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이 스토퍼빔(300)은 이웃한 후부 포스트(120)를 연결하면서 양측부가 후부 포스트(120)에 체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3 and 7, a plurality of stopper beams 30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post 120 in the height direction. Both sides of the stopper beam 300 may be fastened to the rear post 120 while connecting the adjacent rear posts 120 .

이러한 스토퍼빔(300)은 측면상 대략 'ㄷ'자 형상이면서 상측 선단부가 상향 굴절된 스토퍼부(310)를 구비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 스토퍼부(310)는 셔틀(St)에서 적재물이 후부까지 밀어 넣어질 때 적재물이 걸려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310)는 적재물과의 충격에 대비하여 2겹 이상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빔(300)은 상면이 경사면(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사면(S)의 각도(θ)는 타이바(400)의 상면에서 스토퍼부(310)의 기저부까지 상승하는 경사일 수 있다. 따라서, 경사면(S)으로 인해 적재물이 타이바(400)에서 걸림 없이 밀려 올라올 수 있다. The stopper beam 300 may have a substantially 'c' shape on the side and a stopper part 310 having an upwardly refracted upper front end. The stopper unit 310 may stop the load from being caught when the load is pushed to the rear of the shuttle (St). At this time, the stopper part 310 may be made of two or more layers in preparation for an impact with a load.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eam 300 may be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S. The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S may be a slope ris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ie bar 400 to the base of the stopper part 310 . Therefore, due to the inclined surface (S), the load can be pushed up from the tie bar 400 without being caught.

또한, 스토퍼빔(300)의 타이바(400)측 수직부에는 평면상 타이바(400)의 양측부의 끼움연장부(420)가 끼워지도록 한 쌍의 타이바체결구(T)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가공될 수 있다. 이 타이바체결구(T)의 형상은 레일빔(200)의 그것과 동일하고, 타이바(400)와의 결합 역시 동일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air of tie bar fasteners (T) are fitt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fitting extensions 420 on both sides of the flat tie bar 400 are fitted i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topper beam 300 on the tie bar 400 side Many can be processed. The shape of the tie bar fastener T is the same as that of the rail beam 200, and the coupling with the tie bar 400 may also be the same.

타이바(400)는 도 2, 도 3 및 도 8에서 보듯이, 양측 배치된 레일빔(200)과 스토퍼빔(300)을 연결하여 배치되고, 적재물이 얹혀지는 부재이다. 이 타이바(400)의 형상은 도 2에서 보듯이, 대략 'ㄷ'자 형상이면서 양단부가 마주보면서 굴절된 형상일 수 있다. 더불어, 타이바(400)의 형상은 도 8에서 보듯이, 좌우 양측부에서 중앙부위가 후방으로 굴절되어 지지편(410)이 성형되고, 이로 인해 상하의 끼움연장부(42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바(400)의 양측부에 내향으로 걸림돌기(430)가 펀칭 또는 피어싱으로 돌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도 9의 사진에서도 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3 and 8, the tie bar 400 is a member that is disposed by connecting the rail beams 200 and the stopper beam 300 disposed on both sides, and a load is placed on them. As shown in FIG. 2, the shape of the tie bar 400 may be approximately 'c' shape while both ends are refracted while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shape of the tie bar 400 is formed by bending the central portion rearwar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o form the support piece 410, which causes the upper and lower fitting extensions 420 to protrude. can In addition, protrusions 430 may be protruded in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tie bar 400 by punching or piercing. This shape can also be seen in the photograph of FIG. 9 .

여기서, 걸림돌기(430)의 형상은 도 10에서 보듯이, 일례로 (a)처럼 대략 반타원 형상의 걸림편(431)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b)처럼 대략 1/4 타원 형상의 걸림편(431)과, 이보다 더 돌출된 보조지지편(4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b)의 보조지지편(432)은 걸림편(431)으로부터 더 찢어져 돌출되도록 펀칭으로 성형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10, the shape of the locking protrusion 430 may be formed of only the locking piece 431 having a substantially semi-elliptical shape, as shown in (a), for example.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it may be composed of a locking piece 431 having an approximately 1/4 oval shape and an auxiliary support piece 432 protruding more than this. The auxiliary support piece 432 of (b) may be molded by punching so that it is further torn from the locking piece 431 and protrudes.

그리고 타이바(400)의 끼움연장부(420)는 도 11에서 보듯이, 레일빔(200) 또는 스토퍼빔(300)의 타이바체결구(T)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 체결되고, 이때 걸림돌기(430)와 타이바체결구(T)의 걸림홈(T1)이 결합될 수 있다. 이 체결은 도 12에서 볼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11, the fitting extension 420 of the tie bar 400 is inserted into the tie bar fastening hole T of the rail beam 200 or the stopper beam 300 from top to bottom and fastened.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430) and the locking groove (T1) of the tie bar fastener (T) may be coupled. This fastening can be seen in FIG. 12 .

이렇게 타이바(400)와, 레일빔(200) 또는 스토퍼빔(300)의 체결된 상태는 도 13에서 볼 수 있다. 이때, 지지편(410)은 레일빔(200) 또는 스토퍼빔(300)의 수직부(P)의 외면에 밀착되고, 보조지지편(432)은 수직부(P)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빔(200) 또는 스토퍼빔(300)의 수직부(P)가 지지편(410)과 보조지지편(432)에 의해 구속되어 도 3에서 보듯이 좌우 요동, 즉 타이바(400)를 기준으로 레일빔(200) 또는 스토퍼빔(300)의 전후 이동이 방지되고, 걸림편(431)에 의해 상하 요동이 방지됨으로써, 타이바(400)와 레일빔(200), 타이바(400)와 스토퍼빔(300)의 흔들림 없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된 상태에서의 레일빔(200)과 타이바(400)가 이어지는 이음부위는 적재물이 이동할 때 걸리지 않도록 매우 매끈하게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astened state of the tie bar 400 and the rail beam 200 or the stopper beam 300 can be seen in FIG. At this time, the support piece 4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P of the rail beam 200 or the stopper beam 300, and the auxiliary support piece 43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P. . Therefore, the vertical portion P of the rail beam 200 or the stopper beam 300 is constrained by the support piece 410 and the auxiliary support piece 432, and as shown in FIG. Based on ,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ail beam 200 or stopper beam 300 is prevented, and up and down fluctuation is prevented by the locking piece 431, so that the tie bar 400, the rail beam 200, and the tie bar 400 ) and the stopper beam 300 can be firmly fixed without shaking. In addition, the joint where the rail beam 200 and the tie bar 400 are connected in a fastened state can be rounded very smoothly so as not to be caught when the load moves.

고정볼트(500)는 도 3에서 보듯이, 서로 마주하는 레일빔(200)과 스토퍼빔(300)을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고정볼트(500)의 양단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레일빔(200) 및 스토퍼빔(300)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볼트(500)의 체결을 위해 레일빔(200) 및 스토퍼빔(300)에는 고정볼트체결구(H2)가 가공될 수 있다. 이 고정볼트체결구(H2)는 한 쌍의 타이바체결구(T)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bolt 500 may be fixed by connecting the rail beam 200 and the stopper beam 300 facing each other. Of course, nuts are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fixing bolt 500 to be fastened to the rail beam 200 and the stopper beam 300. Therefore, the fixing bolt fastener H2 may be processed in the rail beam 200 and the stopper beam 300 to fasten the fixing bolt 500. This fixing bolt fastener H2 may be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tie bar fasteners T.

여기서, 셔틀(St)의 바퀴가 평평면(F)에 얹혀져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게 되고, 즉 경사면(S) 부위보다 평평면(F) 부위에 하중이 가해지므로, 평평면(F)이 처지고, 경사면(S)이 올라가는 형태의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고정볼트(500)는 이러한 레일빔(2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wheel of the shuttle (St) is placed on the flat surface (F) and a heavy load is applied, that is, since the load is applied to the flat surface (F) portion rather than the inclined surface (S) portion, the flat surface (F) sags , rotation in the form of rising the inclined surface S may occur. The fixing bolt 500 can prevent the rotation of the rail beam 200.

제1브레이싱(600)은 도 2에서 보듯이, 전부 포스트(110)와 후부 포스트(12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부재이다. 이 제1브레이싱(600)은 도 14에서 보듯이 측면상 대략 'ㄷ'자 형상이면서 상하 선단부가 내향으로 굴절된 형상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bracing 600 is a member that connects and fixes the front post 110 and the rear post 120. As shown in FIG. 14, the first bracing 600 may have a substantially 'c' shape on the side and a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front ends are bent inwardly.

제2브레이싱(700)은 도 1에서 보듯이 후부 포스트(12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부재이다. 이 제2브레이싱(700)은 도 15에서 보듯이 후부 포스트(120)에 체결된 제2체결판(720) 및 제1체결판(710)에서, 제1체결판(710)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15 및 도 16에서처럼 제2체결판(720)은 후부 포스트(120)에 체결된 대략 직사각형상이면서 돌출된 연장부(7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체결판(710)은 대략 정사각형상의 판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연장부(721)의 길이는 후부 포스트(120)에 체결된 스토퍼빔(300)의 폭을 감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결판(710), 연장부(721)와 제2체결판(720)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bracing 700 is a member that connects and fixes the rear post 120. As shown in FIG. 15 , the second bracing 70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late 710 in the second fastening plate 720 and the first fastening plate 710 fastened to the rear post 120. .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5 and 16 , the second fastening plate 720 may have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shape and a protruding extension 721 fastened to the rear post 120 . Also, the first fastening plate 710 may have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shape.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ortion 721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stopper beam 300 fastened to the rear post 120 . Here, the first fastening plate 710, the extension part 721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720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탑빔(800)은 도 1에서 보듯이, 후부 포스트(120) 또는 전부 포스트(110)의 상단을 연결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 탑빔(800)의 형상은 단면이 대략 'ㄷ'자 또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top beam 800 may be fastened by connecting the top of the rear post 120 or the front post 110. The shape of the top beam 800 may have a cross section of a 'c'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탑브레이싱(900)은 도 2에서 보듯이, 셔틀(St) 양측에 세워진 포스트(100)를 연결하여 평면상 수평 또는 경사지게 체결될 수 있다. 이 탑브레이싱(900)의 형상은 제1브레이싱(600) 또는 제2브레이싱(700)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top bracing 900 may be fastened horizontally or inclinedly on a plane by connecting the posts 100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shuttle St. The top bracing 90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bracing 600 or the second bracing 700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포스트 110:전부 포스트
120:후부 포스트 130:베이스
200:레일빔
300:스토퍼빔 310:스토퍼부
400:타이바 410:지지편
420:끼움연장부 430:걸림돌기
431:걸림편 432:보조지지편
500:고정볼트
600:제1브레이싱
700:제2브레이싱 710:제1체결판
720:제2체결판 721:연장부
800:탑빔
900:탑브레이싱
F:평평면 H1:포스트체결구
H2:고정볼트체결구 S:경사면
P:수직부 St:셔틀
T:타이바체결구. T1:걸림홈.
100: Post 110: Post All
120: rear post 130: base
200: rail beam
300: stopper beam 310: stopper part
400: tie bar 410: support piece
420: fitting extension 430: locking protrusion
431: hanging piece 432: auxiliary support piece
500: fixing bolt
600: first bracing
700: second bracing 710: first fastening plate
720: second fastening plate 721: extension
800: top beam
900: top bracing
F: Flat plane H1: Post fastener
H2: Fixing bolt connection S: Inclined surface
P: Vertical St: Shuttle
T: tie bar fastening. T1: catch groove.

Claims (7)

물류창고에서 적재물을 적재하도록 다수의 포스트, 빔 또는 바 등이 상호 체결되어 제작되는 랙에서,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다수의 후부 포스트(120) 및 전부 포스트(110)를 구비한 포스트(100);
상기 전부 포스트(110)들을 연결하면서 다단으로 설치된 레일빔(200);
상기 후부 포스트(120)들을 연결하면서 다단으로 설치된 스토퍼빔(300);과
상기 적재물을 올려놓기 위해 레일빔(200)과 스토퍼빔(300)을 연결하여 체결된 타이바(40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빔(200) 또는 스토퍼빔(300)에서 상면과 수직부(P)에 걸쳐 'ㄱ'자 형상으로 서로 대칭으로 성형되면서 하부에 걸림홈(T1)이 돌출 가공된 한 쌍의 타이바체결구(T)를 다수 구비하고,
상기 타이바(400)는 측면이 'ㄷ'자 형상이면서 양측 선단부에서 중앙부위가 굴절되어 지지편(410)이 가공되고, 이 지지편(410)의 굴절에 의해 양측부의 돌출된 끼움연장부(420)가 성형되며, 하부 내측면에 내향 돌출되어 타이바체결구(T)의 걸림홈(T1)에 체결되는 걸림돌기(430)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430)는 펀칭으로 가공되고, 평면상 반타원형상의 걸림편(431)으로 이루어지거나, 1/4 타원형상의 걸림편(431)과, 걸림편(431)으로부터 찢어져 돌출된 보조지지편(4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
In a rack manufactured by mutually fastening a number of posts, beams, or bars to load loads in a warehouse,
a post (100) with a plurality of rear posts (120) and front posts (110) standing upright on the ground;
Rail beams 200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while connecting the front posts 110;
A stopper beam 300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while connecting the rear posts 120; and
Including; a tie bar 400 fastened by connecting the rail beam 200 and the stopper beam 300 to place the load,
In the rail beam 200 or stopper beam 300, a pair of tie bars with a protruding groove (T1) formed at the bottom while being formed symmetrically in an 'L' shape across the upper surface and the vertical portion (P) fasten A plurality of spheres (T) are provided,
The tie bar 400 has a 'c'-shaped side surface, and the central portion is bent at both ends to process the support piece 410, and the protruding fitting extension portion of both sides due to the bending of the support piece 410 ( 420) is molded,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430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and is fastened to the locking groove T1 of the tie bar fastener T,
The locking protrusion 430 is processed by punching and consists of a half-elliptical locking piece 431 on a plane, or a 1/4 elliptical locking piece 431 and an auxiliary support piece torn from the locking piece 431 and protruding A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432).
청구항 1에서,
상기 타이바(400)은 레일빔(200) 또는 스토퍼빔(300)과의 체결에서,
상기 지지편(410)은 레일빔(200) 또는 스토퍼빔(300)의 수직부(P)의 외면과 밀착되어 체결되고,
상기 걸림편(431)은 타이바체결구(T)의 걸림홈(T1)에 체결되며,
상기 보조지지편(432)은 레일빔(200) 또는 스토퍼빔(300)의 수직부(P)의 내면과 밀착되어 체결됨으로써, 레일빔(200) 또는 스토퍼빔(300)의 전후 이동을 구속하여 타이바(400)와의 체결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
In claim 1,
The tie bar 400 is fastened with the rail beam 200 or the stopper beam 300,
The support piece 410 is faste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P of the rail beam 200 or the stopper beam 300,
The locking piece 431 is fastened to the locking groove (T1) of the tie bar fastening hole (T),
The auxiliary support piece 432 is faste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P of the rail beam 200 or the stopper beam 300, thereby restric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ail beam 200 or the stopper beam 300. A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with the tie bar 400 is maintained.
청구항 1에서,
상기 레일빔(200)은 'ㄷ'자 형상이고, 상면이 평평면(F)과, 평평면(F)에서 수직부(P)까지의 경사면(S)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단 부위가 이웃한 전부 포스트(110)들을 연결하여 체결되고,
상기 경사면(S)은 평평면(F)보다 낮게 위치한 타이바(400)의 상면에서 평평면(F)을 이어주는 경사이고,
상기 타이바체결구(T)가 경사면(S)과 수직부(P)에 걸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
In claim 1,
The rail beam 200 has a 'c' shape, and the upper surface is composed of a flat surface (F) and an inclined surface (S) from the flat surface (F) to the vertical part (P), and both end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ll are fastened by connecting the posts 110,
The inclined surface (S) is an inclination connecting the flat surface (F)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ie bar 400 located lower than the flat surface (F),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e bar fastener (T) is molded over the inclined surface (S) and the vertical part (P).
청구항 1에서,
상기 스토퍼빔(300)은 'ㄷ'자 형상이면서 상부의 선단부가 상향 굴절되어 이동하는 적재물이 걸리게 하여 후방 추락을 제한하는 스토퍼부(310)가 성형되고, 상면이 경사면(S)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단 부위가 이웃한 후부 포스트(120)들을 연결하여 체결되고,
상기 경사면(S)은 타이바(400)의 상면에서 스토퍼부(310)의 기저부까지 상향하는 경사이고,
상기 타이바체결구(T)가 경사면(S)과 수직부(P)에 걸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
In claim 1,
The stopper beam 300 has a 'c' shape, and a stopper part 310 is molded in which the top end portion is bent upward to catch a moving load to limit backward fall, and the upper surface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S, Both ends are fastened by connecting the rear posts 120 adjacent to each other,
The inclined surface S is an upward slop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ie bar 400 to the base of the stopper part 310,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e bar fastener (T) is molded over the inclined surface (S) and the vertical part (P).
청구항 3에서,
상기 레일빔(200)에서 하중이 가해지면 평평면(F)이 처지고, 경사면(S)이 올라가는 형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빔(200)과 스토퍼빔(300)을 연결하여 고정된 고정볼트(5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
In claim 3,
Fixed by connecting the rail beam 200 and the stopper beam 300 to prevent rotation in the form that the flat surface F sags and the inclined surface S rises when a load is applied from the rail beam 200 A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olt 50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지면에 고정되어 포스트(100)가 세워지는 베이스(130);
상기 전부 포스트(110)와 후부 포스트(120)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제1브레이싱(600);
상기 후부 포스트(120)에 고정된 다수의 제2체결판(720);
상기 제2체결판(720)에 고정되면서 제2브레이싱(700)이 체결되는 다수의 제1체결판(710);
상기 제1체결판(710)들을 연결하여 고정되는 제2브레이싱(700);
상기 전부 포스트(110) 또는 후부 포스트(120)의 상단을 연결하여 고정되는 탑빔(800);과
상기 전부 포스트(110)와 후부 포스트(120)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결하여 고정되는 탑브레이싱(9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판(720)은 제1체결판(710)까지 돌출된 연장부(721)를 구비하고, 연장부(721)의 길이는 후부포스트(100)에 체결된 스토퍼빔(300)의 폭을 감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
In any one of claims 1 to 5,
A base 130 fixed to the ground and on which the post 100 is erected;
A first bracing 600 fixed by connecting the front post 110 and the rear post 120;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lates 720 fixed to the rear post 120;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lates 710 to which the second bracing 700 is fastened while being fixed to the second fastening plate 720;
a second bracing 700 fixed by connecting the first fastening plates 710;
A top beam 800 fixed by connecting the top of the front post 110 or the rear post 120; and
A top bracing 900 connected and fixed across upper ends of the front post 110 and the rear post 120;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fastening plate 720 has an extension 721 protruding to the first fastening plate 710, and the length of the extension 721 is the length of the stopper beam 300 fastened to the rear post 100. A shuttle rack for storing small item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삭제delete
KR1020200173640A 2020-12-11 2020-12-11 Shuttle rack for keeping snall box KR102526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40A KR102526099B1 (en) 2020-12-11 2020-12-11 Shuttle rack for keeping snall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40A KR102526099B1 (en) 2020-12-11 2020-12-11 Shuttle rack for keeping snall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16A KR20220083416A (en) 2022-06-20
KR102526099B1 true KR102526099B1 (en) 2023-04-26

Family

ID=8225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640A KR102526099B1 (en) 2020-12-11 2020-12-11 Shuttle rack for keeping snall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09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580A (en) * 2000-09-06 2002-03-19 Tamatoshi Kogyosho:Kk Steel pipe structure and exhibition stand
JP2008115934A (en) * 2006-11-02 2008-05-22 Mk Seiko Co Ltd Assembling and fixing structure of hollow square bar
JP2013224185A (en) * 2012-04-19 2013-10-31 Daifuku Co Ltd Article storage shel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786B1 (en) 2013-04-26 2014-03-17 주식회사 한국랙스 Logistics warehouse for rack structure
KR101843781B1 (en) 2017-05-11 2018-05-14 우드메가 주식회사 Rack assembly for warehou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580A (en) * 2000-09-06 2002-03-19 Tamatoshi Kogyosho:Kk Steel pipe structure and exhibition stand
JP2008115934A (en) * 2006-11-02 2008-05-22 Mk Seiko Co Ltd Assembling and fixing structure of hollow square bar
JP2013224185A (en) * 2012-04-19 2013-10-31 Daifuku Co Ltd Article storage shel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16A (en)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5798A (en) Rack with special mounting arrangement
US7007815B2 (en) Pallet rack with camber beams
US9386855B2 (en) Storage rack and cross-bar support
US7128225B2 (en) Cargo rack
US20190125077A1 (en) Shelving unit with load capacity increasing tie clips
US7252202B2 (en) Cargo rack
US20150282613A1 (en) Shelving System Having Improv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US2895619A (en) Storage rack
US7748546B2 (en) Reinforced and bolted rack truss
US6776298B2 (en) Front beam and tension rod arrangement for push back rack storage system
US20150041744A1 (en) Modular safety rail system
US20190029416A1 (en) Heavy duty shelving assembly
KR102526099B1 (en) Shuttle rack for keeping snall box
US3848747A (en) Stacking frame
US5246210A (en) Grid and spring subassembly for box springs
KR101843781B1 (en) Rack assembly for warehouses
US4287994A (en) Wedgable storage rack
KR200496670Y1 (en) Assembling rack for use in warehouse
KR200468202Y1 (en) Shelf for Ship
KR200360095Y1 (en) Assembly type pallet
KR101348106B1 (en) Assembly Type Dock House Having Dock Leveler and Shelter
KR200255304Y1 (en) Beam structure of Pallet rack
KR102210742B1 (en) Braket assembly for drawer type rfrigerator
KR102261927B1 (en) Beam connecting bracket and rack using the same
KR102606230B1 (en) Safety pins for preventing vertical column and rod beam separation in pallet-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