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665B1 - Work jig for attaching pipes - Google Patents

Work jig for attaching pip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665B1
KR102525665B1 KR1020210071757A KR20210071757A KR102525665B1 KR 102525665 B1 KR102525665 B1 KR 102525665B1 KR 1020210071757 A KR1020210071757 A KR 1020210071757A KR 20210071757 A KR20210071757 A KR 20210071757A KR 102525665 B1 KR102525665 B1 KR 10252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ipe
seating
seat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9200A (en
Inventor
최모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원테크
최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원테크, 최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원테크
Publication of KR2022013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2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6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대와, 작업대에 장착되며, 제1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제1 안착부의 외측 전방에 구비되며, 제2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2 안착부와,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 및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배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할 수 있어 배관 간의 용접 부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table, a first seat mounted on the work table, and a first seating portion on which a first pipe is horizontally seated, provided on the outer front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2 In order to correct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etween the second seating part where the pipe is seated horizontally,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seated on the first seat part,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seated on the second seat part. 2 including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 of the seating portion and up and down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to compensate for a vertical step difference between a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and a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It relates to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etween the pipes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pipes, so that the welded parts between the pipes can be accurately matched.

Description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WORK JIG FOR ATTACHING PIPES}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WORK JIG FOR ATTACHING PIPES}

본 발명은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재 간을 얼라인 핏업(fit up)하여 배관재 간의 피용접 단부를 취부 용접(tack welding)할 수 있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that can align and fit up between piping materials to tack weld ends to be welded between piping materials.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의 배관을 길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배관을 용접으로 이어붙이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데, 이와 같이 두개의 배관을 용접하는 경우에, 두개의 배관 간의 단차 및 간격을 맞추는 정렬 작업을 필요로 한다.In general, in order to install a long metal pipe, it is necessary to connect two pipes by welding. do.

이와 같은 배관의 용접 작업은 용접부에 대한 핏업(fit-up)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핏업 공정은 용접부를 형성하게 될 배관의 피용접 단부를 서로 일치시켜 가접하여 배관의 피용접 단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공정으로서 지그(jig)를 필요로 한다.The welding work of such a pipe includes a fit-up process for a welded part. This pit-up process requires a jig as a process of fixing the welded ends of the pipes to each other by aligning and contacting the welded ends of the pipes to form the welded portion.

즉, 핏업 공정은 두개의 배관의 피용접 단부에 의해 설정되는 갭을 조절하고, 피용접 단부의 단차를 제거하여 피용접 단부를 일치시켜야 한다.That is, in the pit-up process, the welded ends must be matched by adjusting the gap set by the welded ends of the two pipes and remov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welded ends.

한편, 두개의 배관 간의 단차 및 간격을 맞추는 정렬 작업을 위해 용접 방식으로 접합되는 두개의 배관 사이에 구비되어 용접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접합 위치가 고정되도록 잡아주면서, 두개의 배관의 얼라인먼트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배관 용접용 지그가 종래기술로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ovided between two pipes joined by a welding method for alignment work to match the step and gap between the two pipes, and while holding the joint position fixed while the welding work is performed, so that the alignment of the two pipes is aligned. A variety of jigs for pipe welding that allow to be disclosed in the prior art.

하지만, 종래의 배관 용접용 지그는, 지그 자체의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배관의 무게 또한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 혼자서 두개의 배관을 정렬시키는 작업을 하기가 어렵고, 마무리 용접 작업을 다시 해야함으로써 한번에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ipe welding jig, not only the weight of the jig itself is heavy, but also the weight of the pipe made of metal is heavy, so it is difficult for a worker to align the two pipes by himself, and the finishing welding work must be red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lding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at one tim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3290호(2021년 02월 04일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213290 (published on February 04, 202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배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배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하여 배관 간의 용접 부위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할 수 있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piping material capable of correcting the left and right step difference between the pipes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pipes so that the welded parts between the pipes are precisely matched. It is to provide a work jig for mounting.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배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배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하여 배관 간의 용접 부위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할 수 있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that can precisely match the welding parts between pipes by correcting the vertical step difference between pipes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pipes.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배관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조정하여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일치시킬 수 있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capable of matching the gap between welded ends of the pipe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welded ends of the pipe by moving the pip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로서,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장착되며, 제1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1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의 외측 전방에 구비되며, 제2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2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 및 상기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안착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and is mounted on a work table, the work table, a first seating portion on which a first pipe is horizontally seated, and provided on the outer front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 the second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second pipe is seated horizontally, correct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etween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seated on the first seat portion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seated on the second seat portion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 of the second seating part to correct the vertical step difference between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Includes up and down positioning means.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1 안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ating par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worktable, and a fixing plate having a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protrusion seated on the fix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on the uppe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eating block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pipe is seated.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제1 안착블럭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고정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어 제1 안착블럭에 안착된 상기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ating block seated on the fixing plate slides linearly along the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and is seated on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seated on the first seating block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ends to be welded of the second pipe is adjusted.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안착블럭의 전단과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면에 형성된 제2 안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eat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seating block disposed facing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ating block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ipe to be seated.

상기 좌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안착블럭이 상면에 고정 설치된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의 하측에 결합되어 이동블럭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레일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includes a moving block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block and a first rail block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block to allow the moving block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o.

상기 이동블럭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럭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상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이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ail groove accommoda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rail block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block, and locking steps extending i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opening of the rail groove are formed, and the movable block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In order to do s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portion is formed that protrudes in both directions from both side rim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ail block and catches the locking step.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에 나선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이동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이 상기 제1 레일블럭을 따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xing bol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rail block, passing through a support piece having a through hole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piece, screwed into the through hole, and having an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block is moved in a left direction or a right direction along the first rail block according to one direc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fixing bolt.

상기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레일블럭이 상면에 고정 설치된 승강블럭 및 상기 승강블럭의 외측에 결합되어 승강블럭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레일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 and down position adjusting means includes a lift block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ail block and a second rail block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lift block to enable the lift block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do.

상기 승강블럭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레일블럭의 외측 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블럭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레일블럭의 외측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이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ail groove accommodating the outer end of the second rail block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lock, and locking steps extending i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opening of the rail groove are formed, and the lifting block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portion is formed that protrudes in both directions from both side rim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ail block and catches the locking step.

상기 제2 레일블럭의 하측 단부에 구비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에 나선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승강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블럭이 상기 제2 레일블럭을 따라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xing bol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ail block, passing through a support piece having a through hole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piece, threadab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having an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ifting block.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on block is moved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second rail block according to one direc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fixing bolt.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관을 자중(自重)으로 하향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workbench and includes a pressurizing means for downwardly pressing the first pipe seated in the first seating part with its own weight.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수직봉, 상기 수직봉을 감싸는 형태로 수직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수평하게 연장된 중공의 연장봉을 구비한 회전대, 상기 회전대의 연장봉 내측에 일단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봉과, 상시 삽입봉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제2 몸체를 구비한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제2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와, 수직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배관을 가압하는 가압블럭을 구비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sing means includes a vertical bar mounted vertically on the upper plate of the work table, a hollow first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bar in a form surrounding the vertical bar, a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 swivel table having a hollow extension rod extending horizontally, a connecting rod having an insertion rod having one e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extension rod of the rotating rod, and a hollow second body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ert rod at all times, and the connecting rod 2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essing member having a vertical rod vertically penetrating the body, a head unit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rod, and a pressing block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rod to press the first pipe. to be

상기 가압부재의 수직대는, 상기 연결대의 제2 몸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압블럭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배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는 가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rtical stand of the pressure member is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of the connecting rod, and a pressure groov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 block to cover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pipe.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는, 상기 수직봉의 하단부가 관통한 상태로 수직봉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이 상기 이동홀을 통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봉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pper plate of the workbench, a moving hole is formed to enable linear movement of the vertical rod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od penetrating, and integrally formed around the vertical rod to prevent the vertical rod from falling through the moving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late seated on the upper plate of the workbench.

상기 연장봉의 외측면에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연장봉에 형성된 제1 체결홀과 상기 삽입봉에 형성된 제2 체결홀을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봉에 삽입봉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봉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삽입봉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삽입봉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rod, and a second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spaced a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rod,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formed on the extension rod and It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insertion rod to the extension rod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second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insertion rod, and the length of the insertion rod is varied while the insertion rod inserted inside the extension rod slides horizontally. to be

본 발명은 배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배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할 수 있어 배관 간의 용접 부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ccurately matching welded parts between pipes by correcting a step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between pipes through a detailed configuration of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pipes.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배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할 수 있어 배관 간의 용접 부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matching the welded parts between the pipes by correcting the vertical step difference between the pipes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pipes.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조정하여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tching the gap between the welded ends of the pipe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welded ends of the pipe by moving the pip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work jig for attaching a pip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It is a side view showing a work jig for attaching a pip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는, 작업대(100), 제1 안착부(200), 제2 안착부(300), 좌우 위치 조정 수단(400) 및 상하 위치 조정 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6, the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 table 100, a first seating part 200, a second seating part 300,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 400) and a vertical position adjusting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작업대(100)는,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상형의 상판(110)과, 상판(110)의 하측에서 상판(1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120)로 구성된다.The workbench 100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top plate 110 horizontally dispos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supporting the top plate 110 below the top plate 110 .

제1 안착부(200)는, 작업대(100)에 장착되어 제1 배관(P1)이 수평하게 안착되게 하는 것으로, 고정플레이트(210)와 제1 안착블럭(220)으로 구성된다.The first seating part 200 is mounted on the work table 100 so that the first pipe P1 is seated horizontally, and is composed of a fixing plate 210 and a first seating block 220.

고정플레이트(210)는, 작업대(100)의 상판(110)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판(110)의 상면 일측 테두리에 수평한 상태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210)의 상면에는, 고정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211)이 길게 형성된다.The fixing plate 2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top plate 110 of the workbench 100, and is installed long in a horizontal state on on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110.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10, a guide groove 211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210.

부연하면, 고정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안착된 제1 안착블럭(220)이 가이드홈(211)을 따라 고정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어 제1 안착블럭(220)에 안착된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후술하는 제2 안착부(300)에 안착된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first seating block 22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10 is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210 and seated on the first seating block 22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P1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P2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00 to be described later.

이렇게 제1 배관(P1)이 수평하게 안착된 제1 안착블럭(220)을 제2 배관(P2)이 수평하게 안착된 제2 안착부(300)를 향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조정하여 갭을 일치시킴으로써, 용접 작업시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 간의 용접 부위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while moving the first seating block 220 on which the first pipe P1 is seated horizontally towar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00 on which the second pipe P2 is seated horizontally, the first pipe P1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welded end of the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P2) to match the gap,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the welded portion between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can be exactly matched there is.

제1 안착블럭(220)은, 고정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제1 안착블럭(220)의 하면에는, 고정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가이드홈(211)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221)가 제1 안착블럭(2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안착블럭(220)의 상면에는 제1 배관(P1)이 안착되는 안착홈(222)이 형성된다.The first seating block 2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10 .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block 220, a guide protrusion 221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11 formed in the fixing plate 21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ting block 220. . Also, a seating groove 222 in which the first pipe P1 is sea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block 220 .

여기서, 안착홈(222)은 종단면이 반구형, 타원 반구형 또는 'V'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제1 배관(P1)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1 안착블럭(220)의 상면에 제1 배관(P1)의 하부를 감싸는 안착홈(222)이 형성됨으로써 제1 배관(P1)이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Here, the seating groove 222 may have a hemispherical cross section, an elliptical hemispherical shape, or a 'V' shape. As such, a seating groove 222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pe P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block 220 on which the first pipe P1 is horizontally seated, so that the first pipe P1 does not move. It can be mounted stably.

제2 안착부(300)는, 제2 배관(P2)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2 안착블럭(320)으로, 제1 안착부(200)의 외측 전방, 즉 제1 안착블럭(220)의 전단과 마주하여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안착블럭(320)의 상면에는 제2 배관(P2)이 안착되는 안착홈(322)이 형성된다.The second seating portion 300 is a second seating block 320 on which the second pipe P2 is horizontally seated, and is the outer front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200,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ating block 220. facing and spaced apart. Also, a seating groove 322 on which the second pipe P2 is sea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block 320 .

여기서, 안착홈(322)은 종단면이 반구형, 타원 반구형 또는 'V'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제2 배관(P2)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2 안착블럭(320)의 상면에 제2 배관(P2)의 하부를 감싸는 안착홈(322)이 형성됨으로써 제2 배관(P2)이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Here, the seating groove 322 may have a hemispherical cross section, an elliptical hemispherical shape, or a 'V' shape. As such, a seating groove 322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ipe P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block 320 on which the second pipe P2 is horizontally seated, so that the second pipe P2 does not move. It can be mounted stably.

좌우 위치 조정 수단(400)은, 제1 안착블럭(220)에 안착된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제2 안착블럭(320)에 안착된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블럭(32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400 includes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P1 seated on the first seating block 220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P2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block 320. This is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econd seating block 320 in order to correct the left and right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iver.

부연하면, 좌우 위치 조정 수단(400)은, 이동블럭(410)과 제1 레일블럭(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400 includes a moving block 410 and a first rail block 420.

이동블럭(410)은, 작업대(100)의 상판(110)과 평행한 상태로 작업대(100)의 외측에 마련되며, 이동블럭(410)의 상면에 제2 안착블럭(320)이 고정 설치된다.The movable block 41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work table 100 in parallel with the top plate 110 of the work table 100,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3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lock 410. .

제1 레일블럭(420)은, 이동블럭(410)의 하측에 결합되는데, 이동블럭(410)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rail block 42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block 410, and serves to allow the moving block 410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때, 이동블럭(410)의 하면 중앙에는, 제1 레일블럭(420)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블럭(410)에 형성된 레일홈(411)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411a)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rail groove 411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first rail block 420 is accommoda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410 . Further, locking steps 411a extending i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opening of the rail groove 411 formed in the moving block 410 are formed.

그리고, 제1 레일블럭(420)의 상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이동블럭(410)에 형성된 걸림단턱(411a)이 걸리는 걸림돌부(421)가 형성되어 제1 레일블럭(420)에서의 이동블럭(4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rail block 420 protrudes in both dir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ail block 420, respectively, and the locking step 411a formed on the moving block 410 is formed, and the locking portion 421 is formed to catch the first rail block 4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movement block 410 of the.

한편, 제1 레일블럭(420)의 일측 단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422)과, 지지편(422)에 형성된 관통홀을 수평으로 통과하여 관통홀에 나선결합되는 고정볼트(4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rail block 420 and passes through the support piece 422 having a through hole horizontally passing through the center an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piece 422 horizontall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bolt 423 screwed into the hole.

이때, 지지편(422)에 나선결합된 고정볼트(423)의 끝단부는 이동블럭(41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볼트(423)와 이동블럭(410) 간은 베어링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블럭(410)의 외측면에 베어링이 장착되고, 이 베어링의 내륜에 고정볼트(423)의 끝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fixing bolt 423 spirally coupled to the support piece 42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410 . Here, between the fixing bolt 423 and the moving block 410 may be coupled by a bearing coupling method. For example, a bearing may b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410, and an end portion of a fixing bolt 423 may be press-fitted to an inner ring of the bearing.

즉, 고정볼트(423)가 일방향 회전되면, 이동블럭(410)이 제1 레일블럭(420)을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반대로 고정볼트(423)가 역방향 회전되면, 이동블럭(410)이 제1 레일블럭(420)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xing bolt 423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moving block 410 moves leftward along the first rail block 420, and when the fixing bolt 423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moving block 410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moves in the right direction along the first rail block 420.

따라서, 이동블럭(4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제2 배관(P2)이 안착되는 제2 안착블럭(320)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안착블럭(32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좌우 단차가 보정/제거되어 용접 작업시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 간의 용접 부위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ile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410, the second seating block 320 on which the second pipe P2 is seated is also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econd seating block 320. 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step difference between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P1)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P2) is corrected/removed to weld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The parts can be matched exactly.

상하 위치 조정 수단(500)은,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부(30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The vertical position adjusting means 500 adjust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300 to compensate for the vertical step difference between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P1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P2. will be.

부연하면, 상하 위치 조정 수단(500)은, 승강블럭(510)과 제2 레일블럭(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up and down position adjusting unit 500 includes a lift block 510 and a second rail block 520.

승강블럭(510)은, 제1 레일블럭(420)에 직교한 상태로 제1 레일블럭(420)의 하측에 마련되며, 승강블럭(510)의 상면에 제1 레일블럭(420)이 고정 설치된다.The lifting block 51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ail block 420 in a state orthogonal to the first rail block 420, and the first rail block 4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block 510. do.

제2 레일블럭(520)은, 작업대(100)의 지지 다리(120) 외측면에 수직한 상태로 장착되며, 승강블럭(510)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로 승강블럭(510)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The second rail block 520 is mounted perpendicular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leg 120 of the work table 100, and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lock 510 so that the lifting block 510 moves up and down. to enable sliding movement.

이때, 승강블럭(510)의 외측면 중앙에는, 제2 레일블럭(520)의 외측 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5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블럭(510)에 형성된 레일홈(511)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511a)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rail groove 511 in which the outer end of the second rail block 520 is accommoda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lock 510. Further, hooking steps 511a extending i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opening of the rail groove 511 formed in the lifting block 510 are formed.

그리고, 제2 레일블럭(520)의 외측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승강블럭(510)에 형성된 걸림단턱(511a)이 걸리는 걸림돌부(521)가 형성되어 제2 레일블럭(520)에서의 승강블럭(5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rail block 520 protrudes in both dir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outer rim of the second rail block 520, and a locking portion 521 is formed to hook the locking step 511a formed on the lifting block 510, thereby forming the second rail block 5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lifting block 510 from.

한편, 제2 레일블럭(520)의 하측 단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522)과, 지지편(522)에 형성된 관통홀을 수직으로 통과하여 관통홀에 나선결합돠는 고정볼트(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ail block 520 and vertically passes through the support piece 522 having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vertically an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piece 52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bolt 523 threaded into the through hole.

이때, 지지편(522)에 나선결합된 고정볼트(523)의 끝단부는 승강블럭(51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볼트(523)와 승강블럭(510) 간은 베어링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블럭(510)의 외측면에 베어링이 장착되고, 이 베어링의 내륜에 고정볼트(523)의 끝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fixing bolt 523 spirally coupled to the support piece 52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lock 510 . Here, the fixing bolt 523 and the lifting block 510 may be coupled in a bearing coupling method. For example, a bearing may b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lock 510, and an end portion of a fixing bolt 523 may be press-fitted to an inner ring of the bearing.

즉, 고정볼트(523)가 일방향 회전되면, 승강블럭(510)이 제2 레일블럭(520)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고, 반대로 고정볼트(523)가 역방향 회전되면, 승강블럭(510)이 제2 레일블럭(520)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하강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xing bolt 523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lifting block 510 rises upward along the second rail block 520, and when the fixing bolt 523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lifting block 510 It descends downward along the second rail block 520.

따라서, 승강블럭(51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제2 배관(P2)이 안착되는 제2 안착블럭(320) 또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승강되어 제2 안착블럭(32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상하 단차가 보정/제거되어 용접 작업시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 간의 용접 부위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seating block 32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block 510 and on which the second pipe P2 is seated, is also moved upward or downward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econd seating block 320. , Eventually, the upper and lower steps between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P1)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P2) are corrected / removed, and the welded portion between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can be matched exactly.

한편, 작업대(100)의 상판(110)에 설치되어 용접 작업시 제1 배관(P1)이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 제1 안착블럭(220)에 안착된 제1 배관(P1)을 자중(自重)으로 하향 가압하는 가압 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pipe (P1) from shaking or moving during welding by being installed on the top plate 110 of the work table 100, the first pipe (P1) seated on the first seating block (220) is placed under its own weight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ans 600 for downward pressing with its own weight.

가압 수단(600)은, 수직봉(610), 회전대(620), 연결대(630) 및 가압부재(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means 600 may include a vertical bar 610, a rotating table 620, a connecting table 630, and a pressing member 640.

수직봉(610)은, 작업대(100)의 상판(110)에 수직하게 장착된다.The vertical rod 610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top plate 110 of the work table 100.

회전대(620)는, 수직봉(610)을 감싸는 형태로 수직봉(6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제1 몸체(621)와, 제1 몸체(621)의 외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수평하게 연장된 중공의 연장봉(622)으로 구성된다.The rotating table 620 includes a hollow first body 621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bar 610 in a form surrounding the vertical bar 610, and a horizontal leng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621. It is composed of a hollow extension rod 622 that extends to the right.

연결대(630)는, 회전대(620)의 연장봉(622) 내측에 일단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봉(631)과, 삽입봉(631)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제2 몸체(632)로 구성된다.The connecting rod 630 consists of an insertion rod 631, one end of which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extension rod 622 of the rotating base 620, and a hollow second body 632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rod 631. It consists of

여기서, 연장봉(622)의 외측면에는 제1 체결홀(622a)이 형성되고, 삽입봉(631)의 외측면에는 제1 체결홀(622a)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631a)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Here, a first fastening hole 622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rod 622, and a second fastening hole 631a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622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rod 631. It can be form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그리고, 연장봉(622)에 형성된 제1 체결홀(622a)과 삽입봉(631)에 형성된 제2 체결홀(631a)을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봉(622)에 삽입봉(631)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ixing fixes the insertion rod 631 to the extension rod 622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622a formed in the extension rod 622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631a formed in the insertion rod 63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ember (B).

부연하면, 연장봉(622)의 내측에 삽입된 삽입봉(631)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삽입봉(631)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ile the insertion rod 631 inserted inside the extension rod 622 slides horizontally, the length of the insertion rod 631 can be varied.

가압부재(640)는, 연결대(630)의 제2 몸체(632)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대(641)와, 수직대(64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직대(641)의 지름 보다 더 넓은 헤드부(642)와, 수직대(64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배관(P1)을 가압하는 가압블럭(643)으로 구성된다. 이때, 헤드부(642)의 둘레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고, 체결공구가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다각의 렌치부가 헤드부(64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64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right stand 641 vertically penetrating the second body 632 of the connecting stand 630 and the upper end of the upright stand 641, an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right stand 641. It is composed of a wider head part 642 and a pressing block 643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right stand 641 to pressurize the first pipe P1. At this time, a polygonal wrench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portion 642 around the head portion 64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it and the fastening tool is easily fastened thereto.

여기서, 가압부재(640)의 수직대(641)는, 연결대(630)의 제2 몸체(63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블럭(643)의 하면에는, 제1 배관(P1)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는 가압홈(643a)이 형성된다.Here, the upright stand 641 of the pressure member 640 is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632 of the connecting rod 630,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 block 643, the outside of the first pipe (P1). A pressing groove 643a surround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is formed.

한편, 작업대(100)의 상판(110)에는, 가압수단(600)의 수직봉(610) 하단부가 관통한 상태로 수직봉(610)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홀(1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plate 110 of the work table 100, a moving hole 111 is further formed to enable the linear movement of the vertical rod 610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od 610 of the pressing means 600 penetrates. It can be.

여기서, 수직봉(610)이 이동홀(111)을 통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직봉(610)이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수직봉(610)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대(100)의 상판(110)에 안착되는 지지판(6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vertical bar 610 is integrally formed around the vertical bar 610 so that the vertical bar 610 is supported vertically while preventing the vertical bar 610 from falling through the moving hole 111, and the top plate 110 of the work table 10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plate 611 seated 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obvious, and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작업대 110: 상판
111: 이동홀 120: 지지 다리
200: 제1 안착부 210: 고정플레이트
211: 가이드홈 220: 제1 안착블럭
221: 가이드돌부 222, 322: 안착홈
300: 제2 안착부 320: 제2 안착블럭
400: 좌우 위치 조정 수단 410: 이동블럭
411, 511: 레일홈 411a, 511a: 걸림단턱
420: 제1 레일블럭 421, 521: 걸림돌부
422, 522: 지지편 423, 523: 고정볼트
500: 상하 위치 조정 수단 510: 승강블럭
520: 제2 레일블럭 600: 가압수단
610: 수직봉 611: 지지판
620: 회전대 621: 제1 몸체
622: 연장봉 622a: 제1 체결홀
630: 연결대 631: 삽입봉
631a: 제2 체결홀 632: 제2 몸체
640: 가압부재 641: 수직대
642: 헤드부 643: 가압블럭
643a: 가압홈 P1: 제1 배관
P2: 제2 배관
100: work table 110: top plate
111: moving hall 120: support leg
200: first seating portion 210: fixing plate
211: guide groove 220: first seating block
221: guide protrusion 222, 322: seating groove
300: second seating part 320: second seating block
400: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410: moving block
411, 511: rail groove 411a, 511a: hooking step
420: first rail block 421, 521: stumbling block
422, 522: support piece 423, 523: fixing bolt
500: up and down position adjustment means 510: lifting block
520: second rail block 600: pressing means
610: vertical bar 611: support plate
620: rotating table 621: first body
622: extension bar 622a: first fastening hole
630: connecting rod 631: insertion rod
631a: second fastening hole 632: second body
640: pressing member 641: vertical stand
642: head part 643: pressurization block
643a: pressure groove P1: first pipe
P2: second pipe

Claims (15)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장착되며, 제1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1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의 외측 전방에 구비되며, 제2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2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 및
상기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안착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관을 자중(自重)으로 하향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수직봉;
상기 수직봉을 감싸는 형태로 수직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수평하게 연장된 중공의 연장봉을 구비한 회전대;
상기 회전대의 연장봉 내측에 일단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봉과, 상시 삽입봉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제2 몸체를 구비한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제2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와, 수직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배관을 가압하는 가압블럭을 구비한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수직대는, 상기 연결대의 제2 몸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압블럭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배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는 가압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는, 상기 수직봉의 하단부가 관통한 상태로 수직봉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이 상기 이동홀을 통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봉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봉의 외측면에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연장봉에 형성된 제1 체결홀과 상기 삽입봉에 형성된 제2 체결홀을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봉에 삽입봉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봉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삽입봉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삽입봉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bench;
a first seating part mounted on the workbench and on which a first pipe is horizontally seated;
a second seating portion provided at an outer front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on which a second pipe is horizontally seated;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econd seating part in order to correct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etween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seated on the first seat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seated on the second seat. method; and
Up and down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up and down position of the second seating part to compensate for the upper and lower step difference between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and the welded end of the second pipe;
A pressurizing mean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work table and downwardly pressurizing the first pipe seated in the first seating part with its own weight; further comprising,
The pressing means may include a vertical rod vertically mounted on the top plate of the workbench;
A rotating table having a hollow first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rod in a form surrounding the vertical rod and a hollow extension rod extending horizontally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 connecting rod having an insertion rod, one end of which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extension rod of the swivel table, and a hollow second body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rod; and
a pressing member having a vertical rod vertically penetrating the second body of the connecting rod, a head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rod, and a pressing block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rod to pressurize the first pipe; including,
The vertical stand of the pressure member is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of the connecting rod, and a pressure groov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 block to cover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ipe,
A moving hole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late of the workbench to enable linear movement of the vertical rod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od penetrating, and integrally around the vertical rod to prevent the vertical rod from falling through the moving hole. It includes a support plate formed and seated on the upper plate of the workbench,
A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rod, and a second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spaced a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rod,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formed on the extension rod and It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insertion rod to the extension rod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second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insertion rod, and the length of the insertion rod is varied while the insertion rod inserted inside the extension rod slides horizontally. A work jig for attaching piping materials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1 안착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ating part,
a fixing plate fixed to the upper plate of the workbench and having guide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seating block seated on the fixing plate, having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side the guide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and having a seating groove on an upper surface to which the first pipe is seated;
A work jig for attaching a piping material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제1 안착블럭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고정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어 제1 안착블럭에 안착된 상기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seating block seated on the fixing plate slides linearly along the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and is seated on the welded end of the first pipe seated on the first seating block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 work jig for attaching a pip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ends to be welded of the second pipe is adjus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안착블럭의 전단과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면에 형성된 제2 안착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seating part,
a second seating block disposed to face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ating block and having a seating groove on an upper surface of which the second pipe is seated;
A work jig for attaching a piping material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안착블럭이 상면에 고정 설치된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의 하측에 결합되어 이동블럭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레일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According to claim 4,
The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means,
a moving block in which the second seating block is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and
A first rail block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block to enable the moving block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work jig for attaching a piping material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럭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상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이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According to claim 5,
A rail groove accommoda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rail block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and locking steps extending i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opening of the rail groove are formed,
A work jig for mounting a pip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moving block, a locking portion protrudes in both directions from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ail block and catches the locking ste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에 나선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이동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이 상기 제1 레일블럭을 따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According to claim 5,
a support pie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rail block and having a through hole; and
a fixing bolt that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piece, is spiral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has an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Including,
The piping material mounting work jig,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block is moved in a left direction or a right direction along the first rail block according to one direc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fixing bol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레일블럭이 상면에 고정 설치된 승강블럭; 및
상기 승강블럭의 외측에 결합되어 승강블럭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레일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According to claim 5,
The vertical positioning means,
an elevation block to which the first rail block is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and
a second rail block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lifting block to allow the lifting block to slid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 work jig for attaching a piping material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럭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레일블럭의 외측 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블럭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레일블럭의 외측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이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According to claim 8,
A rail groove accommodating the outer end of the second rail block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block, and locking steps extending i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opening of the rail groove are formed,
A work jig for attaching a pip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prevent the elevating block from coming off, protrusions are formed in both directions from both rim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ail block to catch the catching ste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블럭의 하측 단부에 구비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에 나선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승강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블럭이 상기 제2 레일블럭을 따라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According to claim 8,
a support piec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rail block and having a through hole; and
a fixing bolt that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piece, is spiral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has an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ifting block; Including,
The work jig for mounting the pip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block is lifted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second rail block according to one direc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fixing bol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71757A 2021-04-07 2021-06-02 Work jig for attaching pipes KR1025256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4978 2021-04-07
KR1020210044978 2021-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200A KR20220139200A (en) 2022-10-14
KR102525665B1 true KR102525665B1 (en) 2023-04-26

Family

ID=8359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757A KR102525665B1 (en) 2021-04-07 2021-06-02 Work jig for attaching pip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66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10B1 (en) * 2007-07-27 2008-04-30 (주)범한정수 Auto roller for welding
KR101470451B1 (en) * 2014-03-07 2014-12-08 (주)녹원 Welding apparatus for pipes
WO2017078232A1 (en) * 2015-11-05 2017-05-11 (주)성광 Fixing apparatus for pipe weld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904B1 (en) * 1996-12-12 1999-11-15 정몽규 Jig for arm welding
KR20030058889A (en) * 2002-01-02 2003-07-07 정중근 Autometic pipe welding system
KR101136099B1 (en) * 2010-02-26 2012-04-17 주식회사화신 Locking device for pip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02690U (en) * 2012-10-30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ovement welding machine torch cradle
KR102213290B1 (en) 2020-10-25 2021-02-04 홍중철 Jig apparatus for welding pi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10B1 (en) * 2007-07-27 2008-04-30 (주)범한정수 Auto roller for welding
KR101470451B1 (en) * 2014-03-07 2014-12-08 (주)녹원 Welding apparatus for pipes
WO2017078232A1 (en) * 2015-11-05 2017-05-11 (주)성광 Fixing apparatus for pipe we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200A (en)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02B1 (en) Processing device for pipe
US9802277B2 (en) Tank welding fixture
US1137780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thotropic deck panel
US8746536B2 (en) Weld stress compensation system
US20050218275A1 (en) Stand
CN109158811B (en) Gas-liquid separator multi-point MIG welding special fixture
US9393656B1 (en) Riser for use with a gripping device
WO2001068313A1 (en) Welding roller stand for rotation welding
KR102525665B1 (en) Work jig for attaching pipes
KR101619204B1 (en) Terrain slope safety scaffolding framework
CN106984930B (en) Elbow pipe section alignment mould
KR20140131067A (en) Multi angle jig for processing goods
JPH0929572A (en) 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jig
KR101531328B1 (en) Supporting device for welding parent metal
KR20120055963A (en) Jig device for welding safty guard sockets of deck
CN115008095A (en) Portal frame automatic weld equipment
US6453708B2 (en) Press for forming workpieces
CN112605586A (en) Steering connecting rod welding tool
KR101194055B1 (en) Angle fix apparatus for ship
US20070007702A1 (en) Device and arrangement for fixing workpieces
CN205520213U (en) Well support assembly welding frock
CN108637577B (en) Welding device, clamp thereof and welding method
EP1479481B1 (en) Portable work bench
CN220498241U (en) Be used for lower boundary beam seam welding frock
KR102433140B1 (en) Jig for flange welding of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