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142B1 - 자동전환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전환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142B1
KR102525142B1 KR1020210003848A KR20210003848A KR102525142B1 KR 102525142 B1 KR102525142 B1 KR 102525142B1 KR 1020210003848 A KR1020210003848 A KR 1020210003848A KR 20210003848 A KR20210003848 A KR 20210003848A KR 102525142 B1 KR102525142 B1 KR 10252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utomatic transfer
commercial power
mover
transf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528A (ko
Inventor
성일휴
이동윤
Original Assignee
이지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1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01H3/3005Charging means
    • H01H3/3015Charging means using cam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전원 (NP)와 비상전원 (EP)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상기 비상전원으로 즉시 전환시켜 부하 (LP)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상용전원이 복전되면 상기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즉시 전환 시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자동전환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블유 형태의 캠 또는 하트 형상의 캠축을 포함하여 정전이 발생하거나 복전이 되면 상용전원 (NP)와 비상전원 (EP)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상기 비상전원으로 즉시 전환시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상용전원이 복귀되면 상기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즉시 전환시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자동전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전환스위치{A Automatic Transfer Switch}
본 발명은 더블유 (W) 형상의 캠(Cam)축을 포함한 가동자부가 포함된 자동전환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전원 (NP)과 상기 비상전원 (EP)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상기 비상전원으로 즉시 전환시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상용전원이 복귀되면 상기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즉시 전환시켜 부하 (LP)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제어부를 포함한 자동전환스위치 (ATS)에 있어서, 상기 자동전환스위치 (ATS)는 상기 전환 시 상기 상용전원에서 상시 비상전원으로 또는 상기 비상전원에서 상기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더블유 (W) 형상의 캠(Cam)축을 포함한 가동자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자동전환스위치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솔레노이드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자부와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을 연결하기 위한 솔가동자연결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자동전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공장 및 병원 등에서는 한국 전력과 같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상용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정전과 같이 상용 전력 공급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건물 내에 구비된 발전 설비 등을 이용하여 비상 전력을 생성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대형 건물이나 공장 및 병원 등에서는, 평상시에는 상용 전원 (Normal Power Supply; NP)과 부하 측을 연결하여 부하 측에 전력을 공급 (Load Power; LP)하고, 상용 전력 공급원에 이상이 발생할 때 비상 전원 (Emergency Power Supply; EP)을 부하 측에 연결하여 비상 전력을 부하 측으로 제공하는 자동 전환스위치가 포함된 자동전원 전환장치가 구비된 고압 폐쇄 수,배전반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용전원과 비상전원 같은 2개의 서로 다른 전원을 택일적으로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 전환장치는 그 용량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용량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대형 건물이나 공장 등에는 전원 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이나 상용전원의 이상 시 대체되는 비상전원을 선택적으로 부하 측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 전환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1은 종래 배전반의 전원 전환장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의 자동전환스위치를 포함하여 전원을 전환하는 회로의 구성을 살펴보면, 평상시 한전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 (Normal Power, NP)과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Emergency Power, EP)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용전원 (1) 또는 상기 비상전원(2)으로부터 전원을 부하 (3)(Load Power, LP)에 공급하기 위한 자동전환스위치(Automatic Transfer Switch ; ATS, 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동전환스위치 (4)는 평상시 상용전원(1)에 절체되어 부하(3)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용전원(1)이 차단되면 비상전원(2)에 절체되어 부하(3) 측에 전원을 공급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은 상용전원(1)과 비상전원(2) 및 부하(3) 사이에 하나의 자동전환스위치(4)가 설치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상용전원(1)의 공급 차단 시, 비상전원 (2)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전환스위치(4)의 접점 절환이 수행된다.
이는 상기 자동전환스위치(4)에서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공급 상태를 인지하고 있는 상태로서, 입력되는 상용전원(1)의 차단은 자동전환스위치(4)의 동작을 유도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전환스위치 (4)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용전원 접점(6)과 비상전원 접점(7)의 연결을 위한 각각의 접점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용전원 (1)이 차단되면 비상전원 (2)으로 절체되어 부하(3) 측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용전원이 복전이 이루어지게되면 비상전원(2)에서 상용전원(1)로 절체하기 위한 가동자(5)를 포함하고 부하 (3)에 전원을 공급하기위한 부하 접점 (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또는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절체 시 접점에서 순간 아크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소거하기 위한 소거 공간으로써 아크 챔버 (9)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자동전환스위치는 복수개의 자동전환스위치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을 외부에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외부에 형성된 솔레노이드코일의 부피는 복수개의 자동전환스위치의 제어를 돕기 위해 부피가 큰 형태의 큰 솔레노이드코일에 의해 제어신호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자동전화스위치 교체 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자동전환스위치 전체가 하나의 부품처럼 교체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동전환스위치가 상용전원의 정전 또는 복전에 따라 그 접점이 변경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전 또는 복전 시 그 접점이 변경될 때 다시 원래의 접점으로 복귀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84111 (2009년08월05일)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71173호 (2004년12월23일)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용전원 (NP) 또는 비상전원 (EP)중 어느 하나로 전원이 전환되어야 할 경우, 상기 상용전원에서 상시 비상전원으로 또는 상기 비상전원에서 상기 상용전원으로의 전환을 돕기위한 더블유(W) 형상의 캠(Cam)축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한 가동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동전환스위치 내부에 솔레노이드코일을 포함하여 소형의 솔레노이드코일을 포함하여 자동전환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용전원 (NP) 단자와 상기 비상전원 (EP) 단자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상기 비상전원 (EP)으로 즉시 전환시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상용전원 (NP)이 복귀되면 상기 비상전원 (EP)에서 상용전원 (NP)으로 즉시 전환시켜 부하에 전원 (LP)을 공급하여 주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 자동전환스위치 (ATS)에 있어서, 상기 자동전환스위치 (ATS)는 상기 전환 시 상기 상용전원에서 상시 비상전원으로 또는 상기 비상전원에서 상기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가동부스바 및 더블유 (W) 형상의 캠(Cam)축을 포함한 가동자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자동전환스위치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솔레노이드코일;과 상기 가동자부와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을 연결하기 위한 솔가동자연결대; 및 상기 솔가동자연결대를 복원하기 위한 솔가동자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자부는 상기 전환 시 상기 상용전원 (NP)와 상기 비상전원 (EP)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동부스바를 유지하기 위한 가동자 스프링;과 상기 가동자부의 중점을 잡아 상기 가동자부의 중점이 이동될 때 상기 가동자부를 상기 상용전원 또는 상기 비상전원중 어느 하나로 전환시키며 상기 전환에 의해 상기 선택된 접점으로 유지하기 위한 상기 가동자부의 좌·우측에 밀대 스프링;과 상기 밀대스프링의 끝단에 연결되는 가동자 중점 가이드부;와 상기 더블유캠의 이동 시 동작에 도움을 주기 위한 더블유캠 이동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은 상기 자동전환스위치의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스바는 두 개의 가동부스바(41a, 41b)를 하나의 쌍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전환스위치가 2개 내지 4개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자동전환스위치 내부의 솔레노이드코일들과의 전기적인 접속은 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접속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환스위치는 더블유 형태의 캠축을 이용하여 외부의 작은 힘에도 불구하고 중심을 무너뜨리게 되면 접점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뤄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더블유 형태의 캠축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의한 외부의 힘이 작게 작용함으로써 작은 부피의 솔레노이드코일의 이용이 가능하여 저비용의 자동전환스위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코일을 자동전환스위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싸 개별적으로 교체 및 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더블유 형태의 캠축에 따라 접점의 변경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접점 변경 시 정전 또는 복전의 경우 이전접점으로의 투입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자부에 복수의 가동부스바를 이용한 가동부스바를 설치하여 자동전환스위치의 전류용량을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자동전환스위치의 전류 용량 변화에 따른 설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전반의 전원 전환장치 회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자동 전환 스위치.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의 자동전환스위치.
도 4는 가동부스바 2개를 포함한 자동전환스위치.
도 5는 본 발명의 더블유캠의 작동원리.
도 6는 상용전원 (A)에서 비상전원 (B)으로 전환되는 과정.
도 7는 비상전원 (B)에서 상용전원 (A)으로 전환되는 과정.
도 8은 제어전원의 형태에 따른 자동전환스위치들의 직력연결.
도 9는 제어전원의 형태에 따른 자동전환스위치들의 병렬연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전환스위치 (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자동 전환스위치(10)의 일측에는 자동전환스위치 (10)의 각종 구성부들이 설치될 수 있는 부착판 (11)이 구비되고, 부착판 (11)의 대략 중심에는 축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전환스위치(10)는 크게 세개의 구성요소 구분된다. 먼저, 첫번째는 상용전원 (NP) 접점 (20)및 비상전원 (EP) 접점 (30)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하기 위한 가동부스바 (41) 접점의 구성이다. 둘째는 상기 가동부스바 (41)와 연결하고 전류를 흘리기 위한 케이블 (81)과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점 (80), 더블유 캠 (42)을 포함한 가동자부 (40)의 구성이다. 그리고 세째는 솔가동자 복원스프링 (49), 솔가동자연결대(50), 솔네로이드코일 (60)로 크게 3개의 부분으로 구분하여 설계된다.
이중에서 가동자부 (40)의 축공에는 실질적으로 전환을 담담하는 가동자 몸체(43)의 메인축(44)이 삽입 관통되어 있고, 일단에는 축공에 대응되는 각형으로 이루어져 결합되고, 메인축(44)에는 상용전원(이하 A라함.)과 비상전원 (이하 B라 함.) 중 하나가 부하에 연결되도록 하는 가동부스바 (41)가 설치되어 있어 가동자 몸체(43)의 메인축(44)이 회전되면 전원을 연결하는 가동부스바 (41)의 접점이 전환되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가동부스바 (41) 전환시 발생되는 전기적인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아크챔버 (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4는 상기 가동부스바 (41)의 접점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자동전환스위치 (10)의 전류용량은 용이하게 증가시키고 가동부스바 (41)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더블유 캠을 포함한 가동자부, 솔가동자연결대 (50)만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두개의 가동부스바(41a, 41b)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두개의 가동부스바 (41a, 41b)가 포함되어 있는 자동전환스위치 (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알수 있듯이 가동부스바 (41)를 두개로 나누어 설치하여 전류용량 증가 및 가동부스바 (41)의 크기를 감소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도록 구성을 하였다.
또한,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가동자부 (40)는 가동자 스프링셋 (45)과 가동자 몸체 (43), 밀대 스프링(46), 가동자 중점 가이드 (47), 알파벳 더블유(W) 형태의 더블유캠 이동 스프링(48) 및 더블유캠(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에서 가동자 스프링셋 (45)은 가동자의 접점을 유지하는 보조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접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구성이다.
먼저, 가동자부(40)중에서 가동자부 몸체(43)는 가동자가 움직여 입력측의 전원을 전환하기 위해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으로 전환하도록 하고 입력전원을 로드하는 중간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밀대 스프링 (46)은 가동자부(40)의 중점을 잡아 가동자부의 중점이 무너질때 가동부스바 (41)의 접점을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으로 전환시키며 동시에 가동부스바 (41)의 접점이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가동자 중점가이드 (47)는 가동부스바 (41)의 위치가 변화하면 두개가 서로 왕복하며 가동자가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으로 원할하게 움직이도록 도움을 주기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블유캠 이동 스프링 (48)은 더블유캠 (42)이 원할하게 동작하도록 더블유캠 (42) 내부 몸체의 위치를 설정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요 구성중 하나 인 더블유캠 (42) (또는 하트캠 이라고 칭함.)는 상용전원 접점 연결 상태에서 가동부스바 (41)의 접점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비상전원의 접속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비상전원 접점 연결 상태에서 상용전원의 접속 상태로 전환되도록 가동자부 (40)의 전체적인 중심을 이동시키도록 작동하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코일부는 솔레노이드코일(60), 솔가동자 복원 스프링 (49) 및 솔가동자연결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에서 솔레노이드코일부는 외부의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에서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전류(i)와 솔레노이드 코일내부의 쇄교 자속(B)과에 따른 힘(F)이 발생하게 된다. 이 발생된 힘에 의해 솔가동자연결대(50)를 하단부로 당기게 되고 당겨진 힘에 의해 솔가동연결대 (50)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는 경우 솔가동자 복원스프링 (49)과 더블유캠 이동스프링 (47)의 작용에 의해 솔가동연결대는 최초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때 솔가동자연결대 (50)는 솔레노이드코일 (60)과 솔가동자 복원스프링 (49)에 의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운동원리를 바꿔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전환스위치 (10)의 중요한 구성요소중 하나인 솔레노이드코일(60) 자동전환스위치 (1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위치하게 되어 자동전환스위치 (10)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 뿐만 아니라 더불유캠(49)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입력측의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의 전환 시 가동부스바 (41) 접점의 이동이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중요 구성 요소인 더블유캠 (42)의 작동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비상전원 (EP)에서 상용전원 (NP)으로 전환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5(a)는 외부 제어부 (도시되지 않음)에서 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것으로 더블유캠 (42)의 중심축이 비상전원의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도 5(b)는 외부에서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로써, 외부에서 인가된 제어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코일 (6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솔레노이드코일(60)의 쇄교자속과의 작용에 따른 아래방향으로의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 발생된 힘에의해 솔가동자연결대 (50)을 아래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때 아래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솔가동자연결대 (50)에 의해 더블유캠 (42)의 중심축이 이동하게 된다. 도 5(c)는 외부 제어부 (도시되지 않음)에서 제어신호가 다시 인가되지 않은 것으로, 솔가동자 복원스프링(49)에 의해 솔가동자연결대 (50)는 최초의 위치로 밀려서 복원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더블유캠 (42)의 동작에 의해 자동전환스위치 (10)의 접점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6 및 도 7 각각은 입력측 전원이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로 또는 비상전원 (B)에서 상용전원 (A)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에서 진술한 바와 같이 입력측의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입력측의 접점이 A-->B 또는 B-->A로 전환 시 솔레노이드코일 (60)에 외부 컨트롤러에 의한 전류가 흐르게되고 그에 따른 힘이발생함으로써 솔가동자연결대 (50)가 직선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게 되며 더블유캠 (42)이 가동자부(40)의 중심을 무너지게 하고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입력측 전원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과 도 9는 외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전원의 형태에 따른 자동전환스위치(10)이 복수개 연결되는 경우 직렬 연결과 병렬연결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이 높은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동전환스위치 (10)이 직렬연결되어 복수개의 자동전환스위치가 동시에 접점의 전환이 이뤄어지게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9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이 낮은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동전환스위치 (10)이 병렬연결되어 복수개의 자동전환스위치의 접점이 동시에 전환이 이뤄어지게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전환스위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형태에 따라서 직력 또는 병렬 접속으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접속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자동전환스위치 11: 부착판
20: 상용전원접점
30: 비상전원접점
40: 가동자부 41, 41a, 41b: 가동부스바
42: 더블유(W)캠 43: 가동자몸체
44: 메인축 45: 가동자스프링셋
46: 밀대스프링 47: 가동자 중점가이드
48: 더블유캠 이동스프링 49: 솔가동자 복원스프링
50: 솔가동자연결대
60: 솔레노이드코일
70: 아크챔버
80: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점 81: 케이블

Claims (5)

  1. 상용전원 (NP) 단자와 비상전원 (EP) 단자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상기 비상전원 (EP)으로 즉시 전환시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상용전원 (NP)이 복귀되면 상기 비상전원 (EP)에서 상용전원 (NP)으로 즉시 전환시켜 부하에 전원 (LP)을 공급하여 주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 자동전환스위치 (ATS)에 있어서,
    상기 자동전환스위치 (ATS)는 상기 전환 시 상기 상용전원에서 상기 비상전원으로 또는 상기 비상전원에서 상기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가동부스바 및 더블유 (W) 형상의 캠(Cam)축을 포함한 가동자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자동전환스위치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솔레노이드코일;과
    상기 가동자부와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을 연결하기 위한 솔가동자연결대;와
    상기 솔가동자연결대를 복원하기 위한 솔가동자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동자부는 상기 전환 시 상기 상용전원 (NP)와 상기 비상전원 (EP)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동부스바를 유지하기 위한 가동자 스프링;과
    상기 가동자부의 중점을 잡아 상기 가동자부의 중점이 이동될 때 상기 가동자부를 상기 상용전원 또는 상기 비상전원중 어느 하나로 전환시키며 상기 전환에 의해 상기 선택된 접점으로 유지하기 위한 상기 가동자부의 좌·우측에 밀대 스프링;과
    상기 밀대스프링의 끝단에 연결되는 가동자 중점 가이드부;와
    상기 더블유캠의 이동 시 동작에 도움을 주기 위한 더블유캠 이동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환스위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은 상기 자동전환스위치의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환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스바는 두 개의 가동부스바(41a, 41b)를 하나의 쌍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환스위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전환스위치가 2개 내지 4개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자동전환스위치 내부의 솔레노이드코일들과의 전기적인 접속은 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접속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환스위치.
KR1020210003848A 2021-01-11 2021-01-11 자동전환스위치 KR10252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848A KR102525142B1 (ko) 2021-01-11 2021-01-11 자동전환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848A KR102525142B1 (ko) 2021-01-11 2021-01-11 자동전환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528A KR20220101528A (ko) 2022-07-19
KR102525142B1 true KR102525142B1 (ko) 2023-04-21

Family

ID=8260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848A KR102525142B1 (ko) 2021-01-11 2021-01-11 자동전환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1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1975A (ja) * 2004-07-12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開閉装置
KR101667229B1 (ko) * 2015-05-19 2016-10-28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전원절환개폐기의 구동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173Y1 (ko) 2004-10-08 2004-12-23 (주)에이엔피테크놀러지 자동전압 조절기의 보호 스위치, 비상 스위치와 변압기탭 전환부
KR20090084111A (ko) 2008-01-31 2009-08-05 성일휴 자동전환 스위치
KR20160136057A (ko) *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전원절환개폐기의 작동레버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1975A (ja) * 2004-07-12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開閉装置
KR101667229B1 (ko) * 2015-05-19 2016-10-28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전원절환개폐기의 구동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528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9389A (ko) 탭 전환기 및 이러한 탭 전환기용 진공 인터럽터
US8222981B1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8564386B2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CN101303946A (zh) 电气开关装置及其导体组件和分流器组件
EP3293748B1 (en) Improved contactor device for high current switching applications
CN115172104B (zh) 一种桥式双断点接触器、断路器
JP2018120861A (ja) 高電圧直流リレー
JP6405361B2 (ja) 電気スイッチデバイスおよび電気スイッチデバイスを作動する方法
CN110890242A (zh) 开关设备
CN102426975A (zh) 一种永磁操动机构
KR102525142B1 (ko) 자동전환스위치
JP6956828B2 (ja) 手動アクチュエータを有するラッチングリレー
KR102669671B1 (ko) 자동전환스위치의 구동회로
CN103635985B (zh) 模块化电气开关
KR20230050190A (ko) 자동전환스위치의 구동회로
KR102525141B1 (ko) 자동전환스위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40066016A (ko) 자동전환스위치 및 그의 구동회로
CN109427509A (zh) 继电器
CN220189467U (zh) 一种机械式静态双电源切换开关
CN113841213A (zh) 电磁操作装置
CN213583562U (zh) 一种双电源转换机构
CN219040364U (zh) 单驱动多断口继电器
CN102226969A (zh) 串联式复合切换开关变压器有载分接开关
CN220933939U (zh) 用于转换开关系统的电气互锁装置及转换开关系统
CN113096987B (zh) 一种正反转电机切换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