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095B1 - Management System for Data Room which is able to Perform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for Data Room which is able to Perform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095B1
KR102525095B1 KR1020220044405A KR20220044405A KR102525095B1 KR 102525095 B1 KR102525095 B1 KR 102525095B1 KR 1020220044405 A KR1020220044405 A KR 1020220044405A KR 20220044405 A KR20220044405 A KR 20220044405A KR 102525095 B1 KR102525095 B1 KR 102525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data room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계완
유승구
장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마루네트웍스
노계완
유승구
장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마루네트웍스, 노계완, 유승구, 장재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마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2004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0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224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related to virtual st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room operating system for performing a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ata room operating system for performing a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which can operate a data room which replaces leisure facilities such as karaoke rooms, DVD rooms, and game rooms in a work space by experienc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which allows the user to play songs, play games, and watch media in the data room with six internal sides comprised of display panels.

Description

가상현실 공간에서 복합적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방 운영시스템 {Management System for Data Room which is able to Perform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Management System for Data Room which is able to Perform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본 발명은 가상현실 공간에서 복합적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으로서, 내부 6면이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는 데이터방내에서 노래, 게임, 미디어 시청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함으로써, 일 공간에서 노래방, DVD방, 게임방 등의 여가시설을 대체하는 데이터방을 운영할 수 있는, 가상현실 공간에서 복합적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 room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complex contents in a virtual reality space, by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contents capable of performing songs, games, and media viewing in a data room composed of display panels on six inner sides, It relates to a data room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complex contents in a virtual reality space, capable of operating a data room that replaces leisure facilities such as karaoke rooms, DVD rooms, and game rooms in a work space.

여가산업은 문화, 스포츠, 관광, 오락, 휴양 등 여가활동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서, 2013년에 발간된 문체부 여가백서에 따르면 여가산업의 규모는 외식, 영화, 게임 등을 포함해 약 226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The leisure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leisure activities such as culture, sports, tourism, entertainment, and recreation. It is estimated in trillions of dollars.

구체적으로 여가산업을 '오프라인에서 유료로 제공되는 위락·미·휴양을 위한 서비스로 한정하면, 노래방, PC방, 영화관 등이 국내에서 운영되는 대표적인 여가산업의 종류라고 볼 수 있다.Specifically, if the leisure industry is limited to services for entertainment, beauty, and leisure provided offline for a fee, karaoke rooms, PC rooms, and movie theaters can be seen as representative types of leisure industries operated in Korea.

한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ixed Reality) 등의 메타버스(Metaverse) 기술이 4차 산업의 주요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여가산업 또한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metaverse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emerge as a major topic in the 4th industry, the leisure industry also utilizes them to create new forms of Attempts to provide services are increasing.

예를 들어,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노래방은 1990년대 초 국내에 도입된 후, 2011년 3만 5316개를 기록할 정도로 폭발적으로 성장해왔으나,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 시설 노후화 등의 이유로 최근 들어 그 수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고, 특히 코로나 팬더믹 이후에는 관련 산업의 하향세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이를 타개하고자 노래방과 가상현실을 결합한 VR노래방을 상용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araoke has grown explosively since it was introduced in Korea in the early 1990s, recording 35,316 in 2011. It is steadily decreasing, and especially after the corona pandemic, the downward trend of related industries is becoming more pronounced. In order to overcome this, attempts to commercialize VR karaoke, which combines karaoke and virtual reality, are continuing.

또한, PC방, DVD방 등도 이와 유사하게 기존의 서비스에 VR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하고자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In addition, PC rooms and DVD rooms are similarly making attempts to create new revenue models by utilizing VR technology in existing services.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VR노래방, VR오락실과 같이 노래, 게임 등 특정 서비스에 VR기술을 접목한 것으로서, 동일 공간에서 노래방, 게임방, DVD방 등과 같은 여가시설 중 사용자가 체험하고자 하는 특정 여가시설을 간접체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는 못하였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to combine VR technology with specific services such as songs and games, such as VR karaoke and VR arcades, and among leisure facilities such as karaoke, game rooms, and DVD rooms in the same space, specific leisure facilities that users want to experience A system for indirect experience was not established.

또한, 해당 공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는 대부분 안면에 착용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장치를 활용한 콘텐츠로서, 해당 콘텐츠만을 위한 별도의 VR콘텐츠가 제작될 필요가 있었다.In addition, most of the contents provided in the space are contents using HMD (Head Mounted Display) devices worn on the face, so it was necessary to create separate VR contents only for the contents.

따라서 동일 공간에서 노래방, 게임방, DVD방 등의 여가시설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indirectly experience leisure facilities such as karaoke rooms, game rooms, and DVD rooms in the same space.

본 발명은 가상현실 공간에서 복합적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으로서, 내부 6면이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는 데이터방내에서 노래, 게임, 미디어 시청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함으로써, 일 공간에서 노래방, DVD방, 게임방 등의 여가시설을 대체하는 데이터방을 운영할 수 있는, 가상현실 공간에서 복합적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 room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complex contents in a virtual reality space, by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contents capable of performing songs, games, and media viewing in a data room composed of display panels on six inner sid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room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complex contents in a virtual reality space, which can operate a data room that replaces leisure facilities such as karaoke rooms, DVD rooms, and game rooms in a work spa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상현실 공간에서 복합적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으로서, 데이터방의 내면으로 상하좌우전후방이 6면의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고,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이 독립적인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데이터방 내부 일측에 배치되는 스피커로 콘텐츠에 대한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장치; 마이크,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콘텐츠를 수행 중인 사용자로부터 음성정보 및 동작정보를 취득하는 입력장치; 상기 영상출력부, 음향장치 및 입력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방; 상기 음향장치,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영상출력부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세팅값을 입력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향장치,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영상출력부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세팅값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방의 하드웨어 환경을 설정하는 제1설정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해 기저장된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소프트웨어 환경을 결정하는 제2설정부; 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상속 및 이전하여, 상기 데이터방의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의 진행상황을 결정하는, 제3설정부;를 포함하는, 콘텐츠설정부; 및 상기 데이터방에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방의 운영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a data room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complex contents in a virtual reality space, the top, bottom, left, right,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ata room are composed of 6 display panels, and each of the 6 display panels is independent. an imag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image information; a sound device that outputs sound information about content to a speak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ata room; an input device including a microphone and a controller to acquire voice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from a user performing content; a data room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video output unit, audio device, and input device; a user terminal for inputting setting values for each of the sound device, the input device, and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image output unit; and a first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hardwar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based on setting values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sound device, the input device, and the video output uni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 second setting unit for determining a software environment of the content based on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user terminal; a content setting unit including a third setting unit that inherits and transfers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other user terminals to set th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and determine the progress of the content; and a service server including a contents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to the data roo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텐츠는 가창콘텐츠, 게임콘텐츠, 미디어콘텐츠 및 VR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중 일부는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단말기 에 의해 선택입력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디스플레이패널은 데이터방의 배경에 해당하는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ncludes song content, game content, media content, and VR content, and some of the six display panels display content selected and input by a user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content, and the A display panel that does not display content may display background media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data roo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팅값은, 영상출력부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하여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될지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선택입력된 정보, 상기 영상출력부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휘도, 명도, 명암, 해상도에 대한 정보, 상기 음향장치의 출력크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컨트롤러의 감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기록정보는, 상기 콘텐츠를 1 회 이상 수행한 사용자단말기에 대하여 가창콘텐츠, 게임콘텐츠, 미디어콘텐츠 및 VR콘텐츠 각각에 대한 콘텐츠의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부는, 상기 세팅값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방의 영상출력부, 음향장치, 입력장치의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제2설정부는, 상기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하여 콘텐츠의 진행상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value is information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terminal as to which one of content or background media is to be displayed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video output unit,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video output unit. includes information on luminance, brightness, contrast, resolution, information on the output size of the sound 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of the controller, and the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includes a user who has played the content one or more times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content for each of the song content, game content, media content, and VR content for the terminal; and the first setting unit, based on the setting value, the video output unit of the data room, the sound Environments of the device and the input device may be set, and based on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the second setting unit may update a progress status of the content with respect to the user terminal desiring to perform the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설정부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 중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선택입력된 타 사용자단말기의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etting unit selects and inputs th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from among th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by the user terminal. It can be updated with the setting value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연령대에 대한 제1파라미터값,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대한 제2파라미터값 및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컨디션에 대한 제3파라미터값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4파라미터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제1파라미터값, 제2파라미터값 및 제3파라미터값의 평균값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제1파라미터값, 제2파라미터값 및 제3파라미터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4파라미터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세팅값의 평균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추천세팅값으로 제공하는, 추천세팅값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파라미터값은 콘텐츠 수행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erver includes a first parameter value for the age group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content, a second parameter value for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content, and a desire to perform the content. A third parameter value is calculated for the condition of the user, and the first parameter value, the second parameter value for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for which the fourth parameter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parameter value and the third parameter value and the first parameter value, the second parameter value, and the third parameter value of the user terminal, setting for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in which the fourth parameter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and a recommendation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average value of the values as a recommended setting value for the user terminal, and the fourth parameter value may indicate content execution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은 내부 6면이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고, 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상하좌우전방 6면에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는 콘텐츠에 더욱 몰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x inner surfaces of the data room are composed of display panels, and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top, bottom, left, right, and front sides of the user performing the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be more immersed in the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노래를 부르거나, 게임을 하거나,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운영자는 동일 공간에서 노래방, 게임방, DVD방 등을 간접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provides users with content that allows them to sing songs, play games, or watch media, so that operators can indirectly experience karaoke rooms, game rooms, DVD rooms, etc. in the same space. You can run a service busin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데이터방 환경설정 및 콘텐츠 수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가 재방문 시 기존과 동일한 환경에서 콘텐츠를 이어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stores information on data room environment settings and content execution status for each user, and allows the user to continue performing the content in the same environment as before when the user visits again.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타 사용자의 데이터방 환경설정과 동일하게 자신의 환경설정을 동일하게 하거나, 타 사용자의 콘텐츠 수행상황에 이어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set his or her environment identical to that of another user's data room environment, or perform content following the execution status of other users'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이용요금이 높은 세팅값으로 시스템 운영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can maximize system operation with a setting value having a high usage fe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유사한 타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방의 세팅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으로 데이터방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can set the data room environment customized for the user by providing the user with data room setting values for other users similar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콘텐츠 수행시간이 높은 타 사용자의 세팅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콘텐츠에 몰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해당 시스템의 운영자는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provides the user with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who have a high content execution time, induces the user to be immersed in the content, and the operator of the system can create higher profit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이용요금이 높은 타 사용자의 세팅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콘텐츠에 몰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해당 시스템의 운영자는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provides the user with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with high usage fees and induces the user to be immersed in the content, so that the operator of the system can create higher profi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의 구조 및 해당 데이터방에서 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 및 서비스서버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의 수행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출력부의 6면 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팅값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의 환경이 설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의 수행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의 수행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추천세팅값을 도출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data room and a user performing content in the data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detailed configurations of a data room and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data room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steps performed by a data room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six-sided display panel of an image output unit for displaying content or background med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how the environment of a data room is set based on setting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steps performed by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steps performed by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 step of deriving a recommended setting value for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 step of generating an avatar for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now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principle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bed descriptions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Moreover,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will be presented by a system that may include a number of devices, components and/or modules, and the like.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various systems may include additional devices, components and/or modules, and/or may not include all of the devices, components, modules, etc.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figures. It must be understood and recogniz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Example",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u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preferring or advantageous to any aspect or design being described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The terms '~unit', 'component', 'module', 'system', 'interface', etc. used below generally mean a computer-related entity, and for example, hardware, hardware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nd software, software.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s the same meaning a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be interpreted as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의 사용자는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방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 사용자단말기는 해당 사용자가 구비하고 서비스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통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데이터방의 운영자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단말장치 또는 모바일기기일 수 있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user refers to a person who wants to use the data roo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a user terminal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by the user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server. Preferably, the user terminal may be a terminal device or mobile device capable of accessing a web page provided by a data room operator or installing an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100)의 구조 및 해당 데이터방(100)에서 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100) 및 서비스서버(200)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the structure of a data roo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user performing content in the corresponding data room 100, and FIG. 2 show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oom 1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도 1 및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데이터방(100) 운영시스템은 데이터방(100)의 내면으로 상하좌우전후방이 6면의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고,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이 독립적인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120); 데이터방(100) 내부 일측에 배치되는 스피커로 콘텐츠에 대한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장치(130); 마이크,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콘텐츠를 수행 중인 사용자로부터 음성정보 및 동작정보를 취득하는 입력장치(140); 상기 영상출력부(120), 음향장치(130) 및 입력장치(140)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10);를 포함하는 데이터방(1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S. 1 and 2, the operating system of the data roo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six display panels on the inside of the data room 100, the top, bottom, left, right, front and rear, and the six displays an image output unit 120 for outputting independent image information for each panel; a sound device 130 that outputs sound information about contents to a speak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ata room 100; an input device 140 including a microphone and a controller to acquire voice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from a user performing content; A data room 100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110 that controls operations of the image output unit 120, the sound device 130, and the input device 140;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데이터방(100)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본원 발명의 사용자는 데이터방(100)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게임을 하거나,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방(100)은 내부면이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고, 해당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ta room 100 is a space where users can perform content, and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content for singing, playing games, or watching media in the data room 100. . 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data room 100 is composed of a display panel, and contents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corresponding display panel.

영상출력부(120)는 데이터방(100)의 내부면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데이터방(100)의 상하좌우전후방 내부 6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은 사용자의 세팅값에 따라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배경에 해당하는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video output unit 120 is an element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ata room 100, and may be composed of a display panel disposed on six inner surfaces of the top, bottom, left, right, front, and rear of the data room 100. The six display panels can display contents or background media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values.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50)에는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가창콘텐츠, 게임할 수 있는 게임콘텐츠, 및 영화, 드라마와 같은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는 미디어콘텐츠 및 해변, 숲, 도시, 콘서트홀 등과 같은 다양한 배경미디어가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는 복수의 콘텐츠 중 본인이 수행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이 해당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 중 어떤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할지 선택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database 250 of the service server 200, singing contents that can be sung, game contents that can be played, and media contents that can watch media such as movies and dramas, beaches, forests, cities, concert halls, etc. Various background media such as the same are stored, and the user can select the content he/she wants to perform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and select which image information to display among the corresponding contents or background media on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음향장치(130)는 데이터방(100)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데이터방(10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장치(130)는 상기 영상출력부(1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음향정보를 출력하되, 데이터방(100)의 내부면은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므로, 음향장치(130)에 의해 사용자의 시계가 차단되지 않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장치(130)는 데이터방(100)의 상부면 일측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sound device 130 is a device that outputs sound information for content provided in the data room 100 an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data room 100 . Specifically, the sound device 130 outputs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displayed by the image output unit 120, but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data room 100 is composed of a display panel, the sound device 130 It may be desirable to place it so that the user's field of view is not blocked. Preferably, the sound device 130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ata room 100.

또한, 본원 발명의 데이터방(100)은 상하좌우전후방을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하여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향상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음향장치(130) 또한 서라운드 스피커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향상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장치(130)는 5채널 이상을 갖는 서라운드 스피커로 데이터방(10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공간감을 느끼고 해당 콘텐츠에 더욱 몰입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rpose of the data roo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user's immersion in content by configuring the top, bottom, left, right, front, and rear surfaces with display panels, the sound device 130 is also configured with surround speakers, so that the user's It may be desirable to be able to improve immersion. Specifically, the sound device 130 is a surround speaker having 5 or more channels and is disposed inside the data room 100, so that the user can feel a sense of space and become more immers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입력장치(140)는 데이터방(100)내에서 사용자로부터 동작 및 음성형태의 입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입력장치(140)는 마이크,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통해 사용자는 콘텐츠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혹은 명령을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140 is a component capable of receiving motion and voice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in the data room 100 . Specifically, the input device 140 includes a microphone, a controller, and the like, and the user can transmit data or commands for performing content to the service server 200 through corresponding components.

일례로 마이크를 통해 가창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정보를 취득하거나, 컨트롤러를 통해 게임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동작정보를 취득하여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voice information may be acquired from a user performing song content through a microphone, or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acquired from a user performing game content through a controller and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양손에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내부에 동작센서를 포함하여, 콘텐츠를 수행 중인 사용자의 동작을 데이터로 취득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roller is in a form that the user can carry in both hands and includes a motion sensor therein, so that the motion of the user performing the content can be obtained as data.

인증장치(150)는 데이터방(100)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권한을 검증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방(100)의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데이터방(100) 운영자가 제공하는 웹페이지 및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이용권을 결제하는 방식으로 해당 데이터방(100)에 대한 이용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device 150 is a component that verifies the user's right to use the data room 100. Specifically, the user of the data room 100 can acquire the right to use the data room 100 by accessing a web page and application provided by the operator of the data room 100 through a smartphone and paying for the right to use. there is.

인증장치(150)는 데이터방(100)에 입장한 사용자에 대하여 해당 데이터방(100)에 대한 이용권한이 있는 지 여부, 해당 이용권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는 지 여부, 해당 데이터방(100)이 해당 사용자에게 배정되었는 지 여부 등을 검증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device 1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ho has entered the data room 100 has the right to use the data room 100, whether the payment for the right to use has been completed, and whether the data room 100 Whether or not it is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user can be verified.

조명장치(160)는 데이터방(100)의 조명으로서, 콘텐츠에 부합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출력형태를 변경하여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가창콘텐츠를 수행하는 경우, 데이터방(100)의 영상출력부(120), 음향장치(130) 등은 노래방 또는 콘서트홀을 모방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고, 조명장치(160) 또한 노래방 또는 콘서트홀에 부합하는 형태로 설정되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160 is the lighting of the data room 100, and can provide lighting by changing the output form according to the content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put. For example, when a user performs song content, the video output unit 120 and the sound device 130 of the data room 100 may be set in a form imitating a karaoke or concert hall, and the lighting device 160 may also It is set in a form suitable for a karaoke room or a concert hall to provide lighting.

촬영장치(170)는 데이터방(100)의 내부구성을 촬영한 구성요소로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방(100)의 전체 혹은 일부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방(100) 내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은 촬영장치(170)에 의해 녹화 및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device 170 is a component that photograph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ata room 100, and can record all or part of the image of the data room 10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pecifically, the user's activity in the data room 100 may be recorded and stor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170 and provided to the user.

중앙처리장치(110)는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영상출력부(120), 음향장치(130), 입력장치(140) 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로서, 중앙처리장치(110)는 별도의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세팅값을 수신할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0 is an elemen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video output unit 120, sound device 130, input device 140, etc.) of the data room 10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0 )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setting values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from the service server 200.

구체적으로 중앙처리장치(110)는 서비스서버(200)로부터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세팅값 및 데이터방(1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해당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수행결과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는 중앙처리장치(110)에 의해 서비스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0 receives setting values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and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in the data room 100 from the service server 200, and You can control the action. In addition,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performance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0 .

이와 같이 데이터방(100)은 상하좌우전후방 6면의 디스플레이패널과 음향장치(130), 입력장치(140), 조명장치(160) 등으로 구성되어, 콘텐츠를 수행 중인 사용자가 입체감과 몰입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ata room 100 is composed of a display panel on six sides, a sound device 130, an input device 140, a lighting device 160, and the like, so that a user performing content can feel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 sense of immersion. can make it possible

한편,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향장치(130), 상기 입력장치(140) 및 상기 영상출력부(120)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세팅값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방(100)의 하드웨어 환경을 설정하는 제1설정부(211); 상기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해 기저장된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소프트웨어 환경을 결정하는 제2설정부(212); 타 사용자단말기(300.2)로부터 수신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상속 및 이전하여, 상기 데이터방(100)의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의 진행상황을 결정하는, 제3설정부(213);를 포함하는, 콘텐츠설정부(210); 및 상기 데이터방(100)에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부(220);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연령대에 대한 제1파라미터값,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대한 제2파라미터값 및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컨디션에 대한 제3파라미터값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내에서 사용자를 대변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24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4파라미터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제1파라미터값, 제2파라미터값 및 제3파라미터값의 평균값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1)의 제1파라미터값, 제2파라미터값 및 제3파라미터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4파라미터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세팅값의 평균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추천세팅값으로 제공하는, 추천세팅값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b) of FIG. 2, the service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ound device 130, the input device 140, and the video output uni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1). a first setting unit 211 for setting the hardwar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100 based on the setting values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120); a second setting unit 212 for determining a software environment of the content based on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terminal 300.1; A third setting unit 213 that inherits and transfers th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received from other user terminals 300.2 to set th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100 and determine the progress of the content. Including, content setting unit 210; and a contents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to the data room 100; Based on a first parameter value for the age group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content, a second parameter value for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content, and a third parameter value for the condi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content an avatar generator 240 that creates an avatar representing the user in the content; and the first parameter value, the second parameter value, and the third parameter value for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for which the fourth parameter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300.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and the first parameter value, the second parameter value, and the third parameter value of the user terminal 300.1, the setting value for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whose fourth parameter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It may include; a recommendation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230 that provides the average value of as a recommended setting value for the user terminal 300.1.

또한 서비스서버(200)는 별도의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데이터방(100)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폰 형태의 사용자단말기(300.1)를 통해 데이터방(100) 운영자가 제공하는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데이터방(100)과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and a user who wants to use the data room 100 uses a smart phone-type user terminal 300.1 to provide a web page or application provided by the operator of the data room 100. Information on the data room 100 and contents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by accessing the .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300.1)를 통해 데이터방(100)의 운영자가 제공하는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하드웨어적 환경을 결정한 정보인 세팅값, 복수의 콘텐츠 중 수행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입력한 정보 등을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accesses a web page or application provided by the operator of the data room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1, and sets values, which are information that determines the hardware environment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a plurality of It is possible to transmit to the service server 200 information on selecting and inputting the content to be performed among the contents of .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개개인은 각자의 아이디를 통해 해당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저장된 세팅값을 불러오거나 콘텐츠진행상황을 이어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each user accesses a corresponding web page or application through his/her ID, so that setting values stored for each user can be recalled or content progress can be followed.

또한 서비스서버(200)는 콘텐츠를 완료한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해 콘텐츠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기록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가 재방문시 해당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콘텐츠 진행상황 등을 업데이트하여 콘텐츠에 대한 소프트웨어적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stores content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content for the user terminal 300.1 that has completed the content, and when the user revisits the content progress for the user terminal 300.1. A software environment for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by updating the situation.

또는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와 유사한 연령대, 신체조건, 컨디션을 갖는 타 사용자의 세팅값을 참고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최적의 세팅값을 추천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rvice server 200 may recommend an optimal setting value for the user by referring to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having a similar age group, physical condition, and physical condition to the user.

콘텐츠설정부(210)는 데이터방(100)의 환경과 콘텐츠의 진행상황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사용자단말기(300.1)로부터 수신한 세팅값에 기초하여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의 환경을 설정하는 제1설정부(211),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를 로드하여 콘텐츠 진행상황을 결정하는 제2설정부(212), 및 타 사용자단말기(300.2)로부터 수신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상속 및 이전하여, 데이터방(100)의 환경을 설정하고, 콘텐츠 진행상황을 결정하는 제3설정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setting unit 210 is a component for setting th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100 and the progress of content, and the contents of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based on the setting valu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1. A first setting unit 211 that sets the environment, a second setting unit 212 that loads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300.1 to determine the progress of the content, and settings received from other user terminals 300.2 It may include a third setting unit 213 that inherits and transfers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sets th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100, and determines the content progress.

제1설정부(211)는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세팅값을 설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방(100)은 영상출력부(120), 음향장치(130), 입력장치(140), 조명장치(1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로부터 해당 구성요소들에 대한 환경설정값인 세팅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1설정부(211)는 상기 세팅값에 기초하여 해당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환경을 설정하고,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방(100)으로 송신하여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가 사용자단말기(300.1)가 송신한 세팅값과 상응하게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setting unit 211 is a component that sets setting values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 As described above, the data room 100 may be composed of a video output unit 120, a sound device 130, an input device 140, a lighting device 160, and the like, and the service server 200 is a user terminal ( 300.1) may receive a setting value, which is an environment setting value f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e first setting unit 211 sets the environment for each corresponding component based on the setting value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data room 100 so that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is a user terminal 300.1 ) can be set to correspond to the transmitted setting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팅값에는 영상출력부(120)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하여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될지 사용자단말기(300.1)에 의해 선택입력된 정보, 상기 영상출력부(120)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휘도, 명도, 명암, 해상도에 대한 정보, 상기 음향장치(130)의 출력크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컨트롤러의 감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1설정부(211)는 상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tting values include information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terminal 300.1 on which one of content or background media is to be displayed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video output unit 120, the video output unit 120 information on luminance, brightness, contrast, and resolution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information on the output size of the sound device 130, and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of the controller, and a first setting unit 211 ) may set the environment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일례로 영상출력부(120)를 구성하는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에는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300.1)를 통해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세팅값을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any one of content or background media may be displayed on the six display panels constituting the video output unit 120, and the user may input setting values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1. can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특정 디스플레이패널(예를 들어 좌우 및 전면부 패널)에 가창콘텐츠, 게임콘텐츠, 미디어콘텐츠 및 VR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입력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하고,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디스플레이패널(예를 들어 상하 및 후면부 패널)에는 숲, 해변, 도시, 하늘 등 데이터방(100)의 배경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디시플레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ser sets the content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among song content, game content, media content, and VR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specific display panel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panels), and the display on which the content is not displayed Media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data room 100, such as a forest, a beach, a city, and the sky, can be set to be displayed on the panels (for example, the top and bottom and rear panels).

또는 제1설정부(211)는 영상출력부(120)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휘도, 명도, 명암, 해상도, 음향장치(130)의 출력크기 및 컨트롤러의 감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setting unit 211 may set brightness, brightness, contrast, resolution, output size of the sound device 130 and sensitivity of the controller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image output unit 120 .

또한 서비스서버(200)는 상기 세팅값을 1회 이상 송신한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세팅값을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단말기(300.1)의 사용자가 재방문시 해당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세팅값을 로드하여 데이터방(100)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stores the setting values for the user terminal 300.1 that has transmitted the setting values at least once in the database 250, and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300.1 revisits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 300.1) may be loaded and transmitted to the data room (100).

일례로 게임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는 콘텐츠를 수행함에 앞서, 컨트롤러의 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가 콘텐츠를 종료한 후에 해당 사용자에 대한 세팅값은 서비스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될 수 있고, 추후 해당 사용자가 재방문 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세팅값을 로드하여 컨트롤러의 감도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playing game content may set the sensitivity of a controller prior to playing content. After the corresponding user ends the content, the setting value for the corresponding user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250 of the service server 200, and when the corresponding user visits again later, the setting value for the corresponding user is loaded to detect the sensitivity of the controller. can be set the same.

이와 같이 사용자는 데이터방(100)을 매번 방문할 때마다 영상출력부(120), 음향장치(130), 컨트롤러 등에 대한 환경을 설정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 개개인별로 저장된 세팅값을 로드하여 편리하게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does not have to set the environment for the video output unit 120, sound device 130, controller, etc. every time he visits the data room 100, and conveniently loads the settings stored for each user. can be performed.

제2설정부(212)는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콘텐츠의 진행상황을 결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방(100)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는 가창콘텐츠, 게임콘텐츠, 미디어콘텐츠 및 VR콘텐츠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해당 복수의 콘텐츠 중 1개 콘텐츠를 선택하여 데이터방(100)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제2설정부(212)는 상기 콘텐츠를 1회 이상 수행한 사용자에 대해 저장된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콘텐츠 진행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The second setting unit 212 is a component that determines the progress of content for the user terminal 300.1.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provided in the data room 100 include song contents, game contents, media contents, and VR contents, and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and performs it in the data room 100 can do. The second setting unit 212 may determine the content progress status for the user, based on content record information stored for the user who performed the content one or more times.

구체적으로 상기 콘텐츠기록정보는 가창콘텐츠를 수행한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애창곡, 점수, 음향효과, 음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게임콘텐츠를 수행한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게임진행상황, 점수, 순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미디어콘텐츠를 수행한 사용자에 대하여, 시청한 미디어내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favorite song, score, sound effect, and pitch for the user who performed the song content, and for the user who performed the game content, the user's game progress, score,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rankings, etc., and information about contents of media watched by a user who performed media content.

제2설정부(212)는 콘텐츠를 1 회 이상 수행한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재방문시 콘텐츠기록정보를 로드하여 사용자가 콘텐츠를 연속성있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잇다. Based on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each user who has performed the content one or more times, the second setting unit 212 can load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when the corresponding user revisits the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continuously perform the content.

이와 같이 사용자는 데이터방(100)을 매번 방문할 때마다 콘텐츠 내부에서의 환경을 설정하지 않아도 되고, 기존에 수행한 콘텐츠에 이어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does not have to set the environment inside the contents every time he visits the data room 100, and can perform the contents following the previously performed contents.

제3설정부(213)는 타 사용자단말기(300.2)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방(100)의 하드웨어 환경 및 콘텐츠의 소프트웨어 환경을 결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방(100) 운영자는 1 이상의 데이터방(100)을 운영하여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세팅값과 콘텐츠기록정보가 서비스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될 수 있다.The third setting unit 213 is a component that determines the hardwar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100 and the software environment of content for the user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other user terminals 300.2. Specifically, the operator of the data room 100 can provide services to a plurality of users by operating one or more data rooms 100, and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re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ervice server 200. (250).

제3설정부(213)는 타 사용자단말기(300.2)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타 사용자와 동일한 세팅값으로 데이터방(100) 환경을 설정하거나, 타 사용자의 콘텐츠 진행상황에 이어서 자신의 콘텐츠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The third setting unit 213 provides a plurality of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received from other user terminals 300.2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data room 100 environment with the same setting values as other users, You can have your own content performed following the progress of other users' content.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족, 친구 등 데이터방(100)에 방문한 적이 있는 지인의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로드하여 자신도 동일한 환경에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play content in the same environment by loading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of acquaintances such as family and friends who have visited the data room 100.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는 서비스서버에 저장되어 타인에게 상속 또는 이전될 수 있고, 사용자는 타 사용자로부터 상속 또는 이전받은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로드하여, 본인이 데이터방을 환경을 설정하거나,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individual users are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and can be inherited or transferred to others, and the user loads th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inherited or transferred from other users, so that the data You can set the room environment or determine the content.

또는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와 유사한 연령대, 신체조건, 컨디션을 갖는 타 사용자의 세팅값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추천세팅값을 제공하는 추천세팅값제공부(230)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추천세팅값제공부(230)에 의해 도출된 추천세팅값을 로드하여, 데이터방(100)의 하드웨어적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 recommendation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230 that provides a recommended setting value suitable for the user by referring to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having similar age, physical condition, and physical condition to the user, and the user receives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The hardwar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100 may be set by loading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derived by the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230 .

이와 같이 서비스서버(200)의 콘텐츠설정부(210)는 제1설정부(211), 제2설정부(212) 및 제3설정부(213)를 포함하고, 상기의 구성요소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하드웨어적 환경을 설정할 수 있고, 추후 재방문 시 설정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로드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방(100)에 방문할 때마다 세팅값을 재설정하거나, 콘텐츠를 새롭게 시작해야 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tent setting unit 210 of the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 first setting unit 211, a second setting unit 212, and a third setting unit 213, and through the above components, the user can It is possible to set the hardware environment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and reset the setting value whenever the user visits the data room 100 by loading the set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when revisiting later. Or, you can prevent a situation where you have to start the content anew.

또한 사용자에게 타 사용자의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세팅값을 일일히 설정하지 않고 편리하게 자신에게 적합한 환경에서 콘텐츠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perform content in an environment suitable for himself without individually setting setting values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there is.

콘텐츠저장부(220)는 데이터방(1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가창콘텐츠부(221), 게임콘텐츠부(222), 미디어콘텐츠부(223) 및 VR콘텐츠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데이터방(100)은 동일 공간에서 노래방, 게임방, DVD방 다양한 종류의 여가시설을 간접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이며, 데이터방(100) 내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에는 가창콘텐츠, 게임콘텐츠, 미디어콘텐츠 및 VR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storage unit 220 is a component that stores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to users of the data room 100, and includes a song contents unit 221, a game contents unit 222, a media contents unit 223, and VR contents. may include section 224 . As described above, the data roo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ce that provides a service for indirectly experiencing various types of leisure facilities such as karaoke rooms, game rooms, and DVD rooms in the same space, and is provided to users within the data room 100. The content to be used may include singing content, game content, media content, and VR content.

구체적으로 가창콘텐츠부(221)는 노래방 또는 콘서트홀과 유사한 가상현실에서 노래를 부르는 가창콘텐츠를 저장하고, 게임콘텐츠는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콘텐츠를 저장하고, 미디어콘텐츠는 DVD방 또는 영화관과 유사한 가상현실에서 영화, 드라마 등의 미디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미디어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inging content unit 221 stores singing content singing in virtual reality similar to karaoke or concert halls, game content stores game content that can enjoy games, and media content stores virtual reality similar to DVD rooms or movie theaters. In reality, media contents such as movies and dramas can be viewed and media contents can be stored.

예를 들어, 게임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는 데이터방(100) 내면을 구성하는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에 게임콘텐츠를 분할 또는 복제하도록 세팅값을 설정하고, 데이터방(100) 내부에서 입체감과 몰입감을 느끼면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who plays game content sets settings to divide or duplicate game content on six display panels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ata room 100, and feels three-dimensional and immersive inside the data room 100. You can play the game while doing it.

이와 같이 사용자는 데이터방(100)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게임을 하거나, 미디어를 시청함으로써, 노래방, 게임방, DVD방과 같이 각기 다른 여가시설에 방문하지 않고도 다양한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고, 데이터방(100)의 운영자는 노래방, 게임방, DVD방 각각을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설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본원 발명의 데이터방(100)을 운영하는 것만으로 노래방, 게임방, DVD방와 같은 여가시설을 동시에 운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enjoy various leisure activities without visiting different leisure facilities such as karaoke rooms, game rooms, and DVD rooms by singing songs, playing games, or watching media in the data room 100, and the data room ( The operator of 100) does not need to have various facilities for configuring each of the karaoke rooms, game rooms, and DVD rooms, and simultaneously operates leisure facilities such as karaoke rooms, game rooms, and DVD rooms simply by operating the data roo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same effect as

한편, 서비스서버(200)는 타 사용자의 세팅값을 참조하여 사용자에 대한 추천세팅값을 도출하고 제공하는 추천세팅값제공부(230)와 데이터방(100)에서 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대변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천세팅값제공부(230) 및 아바타생성부(2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 및 도 10에서 후술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 recommendation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230 that derives and provides recommended setting values for the user by referring to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and an avatar representing the user performing content in the data room 100. It may further include an avatar generator 240 that generat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230 and the avatar generating unit 2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한편 본원 발명의 데이터방(100) 운영시스템은 별도의 결제서버를 더 포함하여, 데이터방(100)의 이용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서버는 사용자단말기(300.1) 및 서비스서버(200)와 통신하여 데이터방(100)의 이용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단말기(300.1)의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가 완료된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결제정보를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하여, 서비스서버(200)가 해당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데이터방(100) 이용권한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data roo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parate payment server, and can perform payment for the user terminal 300.1 that wants to purchase the right to use the data room 100. Specifically, the payment server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300.1 and the service server 200 to process the payment for the user terminal 300.1 that wants to purchase the right to use the data room 100, and sends the user terminal 300.1 where the payment is completed. Paym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so that the service server 200 grants permission to use the data room 100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300.1.

결제서버는 통상의 온라인 결제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결제를 수행함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가상화폐 또는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활용한 결제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The payment server may preferably perform payment for the user terminal 300.1 through a normal online payment system, but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payment method using virtual currency or a non-fungible token (NFT).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100) 운영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the structure of the data room 100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데이터방(100) 운영시스템의 운영주체는 콘텐츠제공사 및 서비스운영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제공사는 데이터방(100)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주체로서, 가창콘텐츠, 게임콘텐츠, 미디어콘텐츠 및 VR콘텐츠 등을 제작하여 서비스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제공사가 제공하는 콘텐츠는 서비스서버(200)의 콘텐츠저장부(220)에 저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operating subject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data roo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tent provider and a service operator. Specifically, the content provider is a subject that produces and provides content provided in the data room 100, and may produce and provide song content, game content, media content, and VR content to the service server 2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may be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220 of the service server 200 .

한편, 서비스운영자는 데이터방(100)을 운영하는 주체로서, 서비스운영자는 서버시스템을 통해 1 이상의 데이터방(100)을 운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시스템은 복수의 데이터방(10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고, 특정 데이터방(100)에서 특정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방(100)으로 해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데이터방(100)에서 수신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서버시스템에서 취합되어 사용자가 기존에 방문했던 데이터방(100)이 아닌 지점에 방문하더라도 기저장된 설정값을 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operator is a subject that operates the data room 100, and the service operator can operate one or more data rooms 100 through the server system. Specifically, the server system collects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data rooms 100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250, and when a specific data room 100 requests specific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sent to the corresponding data room 100. can send Preferably, the information on the user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ata rooms 100 is collected by the server system, and even if the user visits a branch other than the previously visited data room 100, the pre-stored settings are loaded and provided to the user. can do.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폰 형태의 사용자단말기(300.1)를 통해 데이터방(100)의 세팅값을 입력하거나,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 수행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입력하여 서비스서버(200)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puts the setting value of the data room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1 in the form of a smartphone, or selects and inputs the content to be performed from among a plurality of provided content to enter the service server 200. can be s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100) 운영시스템의 수행단계를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steps performed by the operating system of the data roo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300.1)는 서비스서버(200)에서 로그인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300.1)는 각자의 아이디를 통해 데이터방(100) 운영자가 제공하는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이션에 로그인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연령대, 키, 몸무게, 컨디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동의 하에 서비스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다.In step S1, the user terminal 300.1 may log in to the service server 200 and transmit user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user.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300.1 may log in to a web page or application provided by the operator of the data room 100 through their respective IDs, and transmit user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user to the service server 200. Preferably,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user's age group, height, weight, and physical condition,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with the consent of the user.

S2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200)는 S1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300.1)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300.1)가 정상적인 절차로 접속하였는 지 여부, 해당 사용자에 대한 방문이력 등을 조회할 수 있다.In step S2, the service server 2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for the user terminal 300.1. Specificall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1 in step S1, the service server 200 can inquire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300.1 accessed through a normal procedure, the visit history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the like. there is.

또한, S2단계는 별도의 결제단계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단말기(300.1)가 결제서버를 통해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방(100)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방식으로, 해당 데이터방(100)의 이용권한을 획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tep S2 further includes a separate payment step, in which the user terminal 300.1 pays the amount for the data room 100 to use through the payment server, and the right to use the data room 100 can also be obtained.

S3 및 S4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로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단말기(300.1)는 해당 콘텐츠 목록 중 자신이 수행하고자 하는 특정 콘텐츠를 선택입력할 수 있다.In steps S3 and S4, the service server 200 provides a content list to the user terminal 300.1, and the user terminal 300.1 can select and input specific content it wants to perform from among the content list.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는 가창콘텐츠, 게임콘텐츠, 미디어콘텐츠 및 VR콘텐츠를 포함하고, 해당 콘텐츠들은 서비스서버(200)의 콘텐츠저장부(22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콘텐츠목록들을 사용자단말기(300.1)로 제공하고, 사용자단말기(300.1)는 해당 콘텐츠목록 중 자신이 수행하고자 하는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여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inging content, game content, media content, and VR content,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may be pre-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220 of the service server 200. The service server 200 provides corresponding content lists to the user terminal 300.1, and the user terminal 300.1 may select and transmit specific content to be performed from among the corresponding content lists to the service server 200.

S5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가 선택입력한 콘텐츠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해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가 저장되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In step S5, the service server 200 may inquir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300.1. Specifically, the service server 200 checks whether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are stored for the user terminal 300.1 for the content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terminal 300.1, and load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can

구체적으로 데이터방(100)을 1회 이상 방문 및 콘텐츠를 수행하여, 데이터방(100)에 대한 세팅값과 콘텐츠기록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는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로드하여, 동일한 세팅값과 콘텐츠기록정보로 데이터방(100)에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by visiting the data room 100 at least once and performing content, a user whos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the data room 100 are previously stored loads the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and sets the same settings. Content can be performed in the data room 100 with the value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일례로, 게임콘텐츠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는 영상출력부(120)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설정값(예를 들어 전면부 디스플레이패널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외 디스플레이패널에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밝기 등), 음향장치(130)의 출력크기, 컨트롤러의 감도 등을 설정하여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가 재방문한 경우 사용자는 일일히 해당 구성요소에 대한 세팅값을 새로 입력하지 않고, 기저장되어 있던 세팅값을 로드하여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As an example, a user who has a history of playing game content sets values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video output unit 120 (for example, displays content on the front display panel and displays background media on other display panels). and content can be performed by setting the brightness of each display panel, etc.), the output size of the sound device 130, the sensitivity of the controller, and the like, and when the user revisited, the user can individually view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Content can be performed by loading previously stored setting values without newly inputting setting values for the content.

또한, 게임콘텐츠를 완료한 사용자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에는 게임의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사용자가 재방문한 경우 사용자는 기존의 진행상황에 이어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the user who has completed the game conten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game, and when the user returns, the user can play the content following the previous progress.

S6 및 S7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300.1)는 서비스서버(200)로 신규 세팅값을 송신하고,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세팅값을 해당 신규 세팅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In steps S6 and S7, the user terminal 300.1 transmits new setting values to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may update the setting values for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300.1 to the corresponding new setting values. there is.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데이터방(100)에 처음 방문하는 경우, 또는 데이터방(100)에 대한 세팅값을 신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300.1)를 통해 서비스서버(200)로 세팅값을 송신할 수 있고,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세팅값을 신규 세팅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a user visits the data room 100 for the first time or when a user wants to set a new setting value for the data room 100, the setting value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1. and the service server 200 may update the setting value for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300.1 to a new setting value.

바람직하게는 S6단계에서 사용자는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세팅값을 직접 입력하거나, 서비스서버(200)로부터 가족, 친구 등 지인의 세팅값을 수신하여 이와 동일하게 자신의 세팅값을 설정하거나,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자신과 유사한 연령대, 신체조건, 컨디션을 갖는 타 사용자의 세팅값을 추천세팅값으로 제공받아 이와 동일하게 자신의 세팅값을 설정할 수 있다. Preferably, in step S6, the user directly inputs setting values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or receives setting values of acquaintances, such as family and friends, from the service server 200 and sets them in the same way. , or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having a similar age group, physical condition, and physical condition to the service server 200 as recommended setting values, and setting their own setting values in the same way.

S8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데이터방(100)으로 세팅값을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세팅값을 해당 사용단말기가 이용권한을 가지는 데이터방(100)으로 해당 세팅값을 송신할 수 있다. In step S8, the service server 200 may transmit setting values to the data room 100. Specifically, the service server 200 may transmit the setting values for the user terminal 300.1 to the data room 100 to which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has the right to use.

S9단계에서, 데이터방(100)은 상기 세팅값에 기초하여 각 구성요소를 셋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팅값은 데이터방(100)을 구성하는 영상출력부(120), 음향장치(130), 입력장치(140), 조명장치(160) 등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고, 데이터방(100)은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세팅값에 기초하여 해당 구성요소들을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9, the data room 100 may set up each component based on the setting value.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values include settings for the video output unit 120, sound device 130, input device 140, lighting device 160, etc. constituting the data room 100, and (100) may set corresponding components based on the setting values for the user terminal (300.1).

S10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에 대한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바타는 콘텐츠 내에서 사용자를 대변하는 객체이고, 서비스서버(200)의 아바타생성부(24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In step S10, the service server 200 may create an avatar for the user. Specifically, the avatar is an object representing a user in content, and may be created by the avatar generator 240 of the service server 20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

S11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셋업할 수 있다. 앞선 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를 조회하였고, 서비스서버(200)는 상기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셋업할 수 있다.In step S11, the service server 200 may set up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In the previous step, the service server 200 inquired for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300.1, and the service server 200 can set up the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perform based on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일례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가 기존 진행상황에 이어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셋업하거나,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콘텐츠를 셋업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200 sets up the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content following the existing progress, or sets up the content for the user terminal 300.1 based on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the other user terminal 300.2. can be set up.

S12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데이터방(100)으로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단말기가 이용권한을 가지는 데이터방(100)으로 셋업된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In step S12, the service server 200 may transmit content to the data room 100. Specifically, the service server 200 may transmit set-up content to the data room 100 to which the user terminal has the right to use.

S13단계에서, 데이터방(100)에서 콘텐츠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환경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게임을 하거나, 영상을 시청하는 형태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S13, content can be performed in the data room 100. Specifically, the user can perform content in the form of singing, playing games, or watching a video in an environment set by the user.

S14 및 S15단계에서, 데이터방(100)은 서비스서버(200)로 콘텐츠기록정보를 송신하고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콘텐츠를 수행함에 따라 콘텐츠기록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고, 해당 사용자는 추후 재방문 시에 자신이 수행하던 콘텐츠 진행상황에 이어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In steps S14 and S15, the data room 100 transmits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can update the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300.1. Specifically, as the user performs the content,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can be updated, and the corresponding user can perform the content following the progress of the content he/she was performing when revisiting later.

한편, 데이터방(100) 내에서 사용자의 활동은 녹화되고 서비스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방(100)은 데이터방(100)의 전체 혹은 일부를 녹화하는 촬영장치(170)를 더 포함하고, 촬영장치(170)에 의해 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동작, 음성 등이 녹화되어 서비스서버(200)에 저장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s activities in the data room 100 may be recorded and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200 . As described above, the data room 100 further includes a recording device 170 that records all or part of the data room 100, and the user's motion and voice performing content by the recording device 170 are recorded. It is recorded and stored in the service server 200, an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출력부(120)의 6면 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한 것이다.5 shows a six-sided display panel of the video output unit 120 displaying content or background med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방(100)의 영상출력부(120)는 데이터방(100) 내부면을 형성하는 6면의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데이터방(100) 내부에서의 사용자의 시계를 도시한 것으로, 6면의 디스플레이패널은 데이터방(100)의 상,하,좌,우,전,후방 6면(D2, D5, D3, D4, D1, 미도시)에 배치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패널은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video output unit 120 of the data room 100 may be composed of six display panels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ata room 100 . Specifically, FIG. 5 shows the user's clock inside the data room 100, and the six display panels are the upper, lower, left, right, front, and rear six sides (D2, D5) of the data room 100. , D3, D4, D1 (not shown), and each display panel can display content or background media.

일례로 도 5의 경우, 사용자는 전방 디스플레이패널(D1)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하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그 외 상,하,좌,우,후방 디스플레이패널(D2, D5, D3, D4, 미도시)에 배경에 해당하는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하였다.As an example, in the case of FIG. 5, the user sets the front display panel D1 to display content, and other upper, lower, left, right, and rear display panels that do not display content (D2, D5, D3, D4, Not shown) is set to display the background media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방 디스플레이패널(D1)에 가창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하고, 상방 디스플레이패널(D2)에 하늘에 해당하는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하고, 하방 디스플레이패널(D2)에 잔디에 해당하는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하고, 좌,우,후방 디스플레이패널(D3, D4, 미도시)에 숲에 해당하는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하여 자연속에서 노래를 부르는 것과 같은 몰입감을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ser sets the front display panel (D1) to display the song content, sets the upper display panel (D2) to display the background media corresponding to the sky, and sets the lower display panel (D2) to display the background corresponding to the grass By setting the media to be displayed, and setting the left, right, and rear display panels (D3, D4, not shown) to display the background media corresponding to the forest, a sense of immersion, such as singing in nature, can be felt three-dimensionally.

또는, 사용자는 상,하,좌,우,후방 디스플레이패널(D2, D5, D3, D4, 미도시)에 콘서트홀에 해당하는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하여 본인이 가수가 되어 콘서트를 진행하는 것과 같은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sets the upper, lower, left, right, and rear display panels (D2, D5, D3, D4, not shown) to display the background media corresponding to the concert hall so that the user becomes a singer and conducts a concert. You can feel the immersion.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데이터방(100)을 구성하는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중 콘테츠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디스플레이패널은 사용자가 몰입감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배경에 해당하는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this way, among the six display panels constituting the data roo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that does not display content can display background media corresponding to various backgrounds that allow the user to feel immersive.

한편, 상기 배경미디어는 하늘, 잔디, 숲, 도시, 콘서트홀 등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배경미디어는 이미지 또는 영상형태로 서비스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media includes various types of media such as sky, grass, forest, city, concert hall, etc. Specifically, the background media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250 of the service server 200 in the form of images or images.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300.1)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기(300.1)를 통해 데이터방(100)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세팅값을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상술한 S4 및 S6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300.1)가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세팅값을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300.1)에 표시되는 화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6 , a user may transmit setting values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to the service server 200 through a user terminal 300.1 such as a smart phone. Specifically, 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1 in order for the user terminal 300.1 to select content or transmit setting values to the service server 200 in steps S4 and S6 described above. .

L1레이어는 영상출력부(120)를 구성하는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세팅값을 입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레이어로서, 사용자는 세팅값을 입력하고자 하는 특정 디스플레이패널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해당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한 세팅값을 입력할 수 있다. The L1 layer is a layer provided to input setting values for each of the 6 display panels constituting the image output unit 120, and the user selects a specific display panel to input setting values to on the corresponding display panel. You can enter settings for

구체적으로 L1레이어는 데이터방(100)을 입체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는 L1레이어에 표시되는 데이터방(100)을  드래그(Drag), 팬(Pan), 핀치 아웃 & 핀치 인(Pinch Out & Pinch In)하는 방식으로 본인이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방(100)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1 layer displays the data room 100 in three dimensions, and the user drags, pans, pinch-out & pinch-in the data room 100 displayed on the L1 layer. ) metho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ructure of the data room 100 that the person wants to use.

한편, 사용자가 L1레이어에서 특정 디스플레이패널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300.1) 화면에는 L6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6레이어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하여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 중 어느 것을 디스플레이할지 선택입력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레이어이다.Meanwhile,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display panel from the L1 layer, the L6 laye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1. Specifically, the L6 layer is a layer provided to the user to select and input whether to display content or background media on a specific display panel selected by the user.

바람직하게는 L6레이어는 사용자가 선택입력한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하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E2엘리먼트 및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E3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E3엘리먼트는 하늘, 잔디, 숲, 도시, 해변, 콘서트홀 각각에 대한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6 layer includes an E2 element for displaying content and an E3 element for displaying background media on a display panel selected and input by a user, and the E3 element includes sky, lawn, forest, city, beach, and concert hall. It may be configured in a form further including elements for each.

한편, 사용자단말기(300.1)에 표시되는 화면은 콘텐츠를 선택입력 L2레이어, 음향장치(130)에 대한 출력값을 설정하는 L3레이어, 조명장치(160)에 대한 조도를 설정하는 L4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2레이어는 데이터방(100)에서 수행할 수 있는 가창콘텐츠, 게임콘텐츠, 미디어콘텐츠 및 VR콘텐츠 각각에 대한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복수의 엘리먼트 중 본인이 수행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엘리먼트를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1 may further include an L2 layer for selecting and inputting content, an L3 layer for setting an output value for the sound device 130, and an L4 layer for setting the illuminance for the lighting device 160. can Specifically, the L2 layer includes elements for each of song content, game content, media content, and VR content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data room 100, and the user selects an element for the content he/she wants to perform among a plurality of elements You can choose.

또한 L3레이어 및 L4레이어는 데이터방(100)을 구성하는 음향장치(130) 및 조명장치(160)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레이어로서, 사용자는 해당 장치의 출력크기, 조도, 색상 등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3 layer and the L4 layer are layers for inputting set values for the sound device 130 and the lighting device 160 constituting the data room 100, and the user can set the output size, illuminance, color, etc. of the device. can be set

한편, L5레이어는 사용자에 대한 추천세팅값을 제공하기 위한 레이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200)의 추천세팅값제공부(230)는 사용자와 유사한 조건을 갖는 타 사용자의 세팅값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추천세팅값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L5레이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본인이 직접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세팅값을 설정하지 않고 추천세팅값을 로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5 layer is a layer for providing recommended setting values for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230 of the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to the user by referring to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having conditions similar to those of the user. The user can load recommended setting values without directly setting setting values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by selecting the L5 layer.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L5레이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L1, L2, L3, L4, 및 L6레이어의 세팅값이 사용자에 대해 도출된 추천세팅값으로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L5레이어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300.1)의 화면에는 사용자에 대해 도출된 추천세팅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별도의 레이어(미도시)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추천세팅값을 확인하게 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the L5 layer, setting values of the L1, L2, L3, L4, and L6 layers may be automatically set as recommended setting values derived for the user. Alternatively, when the user selects the L5 layer, a separate layer (not shown) displaying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derived for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1,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corresponding recommended setting value. can

한편, E1엘리먼트는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불러오기 위한 엘리먼트로서, 사용자가 상기 E1엘리먼트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300.1)의 화면에는 타 사용자,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가족, 친구 등 지인의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별도의 레이어(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레이어를 통해 서비스서버(200)에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해 저장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1 element is an element for calling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other user terminals 300.2,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E1 element, other users, more specifically, appear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1. A separate layer (not shown) displaying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of acquaintances such as the user's family and friends may be displayed, and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server 200 to other user terminals 300.2 through the corresponding layer. Stored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결과적으로 E1엘리먼트는 사용자 가족, 친구 등 지인의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지인에 대한 정보를 상속 및 이전하기 위해 제공되는 엘리먼트이다.As a result, the E1 element is an element provided to confirm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of acquaintances such as the user's family and friends, and to inherit and transfer information about specific acquaintances.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단말기(300.1)를 통해 서비스서버(200)로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세팅값, 즉 영상출력부(120)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하여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될지 사용자단말기(300.1)에 의해 선택입력된 정보, 상기 영상출력부(120)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휘도, 명도, 명암, 해상도에 대한 정보, 상기 음향장치(130)의 출력크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컨트롤러의 감도에 정보 등을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sends the service server 200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300.1 the setting values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that is, the contents or content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video output unit 120. Information about which one of the background media will be displayed is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terminal 300.1, information about brightness, brightness, contrast, and resolution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image output unit 120, the sound device ( 130), information on the output size and sensitivity of the controll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팅값에 기초하여 데이터방(100)의 환경이 설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 7 illustrates how th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100 is set based on setting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방(100)은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세팅값에 기초하여 데이터방(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출력부(120)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음향장치(130) 및 조명장치(160) 또한 사용자에 의해 출력값 등이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data room 100 can set the environment for each component of the data room 100 based on the setting values for the user terminal 300.1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 Specifically,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video output unit 120 may be set by the user to output content or background media, and the output values of the sound device 130 and the lighting device 160 may also be set by the user. can

한편, 도 7의 아래 이미지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전,좌,우방 디스플레이패널(D3, D1, D4)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패널들은 해당 콘텐츠를 분할 혹은 복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image below in FIG. 7, when a user sets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display panels D3, D1, and D4, the corresponding display panels can display the content by dividing or duplicating it. .

일례로 사용자가 게임콘텐츠를 수행하는 경우 전,좌,우방 디스플레이패널(D3, D1, D4)들은 해당 게임콘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함에 있어 더욱 몰입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plays game content, the front, left, and right display panels D3, D1, and D4 divide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game content, so that the user feels more immersed in playing the gam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100) 운영시스템의 수행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콘텐츠설정부(210)의 제3설정부(213)에 의해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상속 및 이전하여,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8 illustrates steps performed by the operating system of the data roo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8 shows the setting values for the user terminal 300.1 by inheriting and transferring th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other user terminals 300.2 by the third setting unit 213 of the contents setting unit 210. and a step of setting content record information.

S20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타 사용자단말기(300.2)로부터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란 데이터방(100)에 1회 이상 방문하여 데이터방(100)에 대한 세팅값을 설정하고, 콘텐츠를 1 회 이상 수행하여 콘텐츠기록정보가 저장된 사용자단말기(300.1)로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가족, 친구 등 지인의 단말일 수 있다.In step S20, the service server 200 may receiv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from other user terminals 300.2. Specifically, another user terminal 300.2 in FIG. 8 is a user who visits the data room 100 one or more times, sets the settings for the data room 100, and executes the content one or more times to store content record information. As the terminal 300.1, it may be preferably a terminal of an acquaintance such as a family member or friend of the user.

더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서버(200)는 1 이상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 각각으로부터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service server 200 may receiv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300.2, respectively.

S21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로 타 사용자단말기(300.2)의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로 1 이상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 각각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21, the service server 200 may receiv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of another user terminal 300.2 from the user terminal 300.1. Preferably, the service server 200 may receiv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for each of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300.2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1.

S22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300.1)는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타 사용자단말기(300.2)의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 중 1개를 선택입력하여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300.1)는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 각각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 각각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 중 1개를 선택하여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In step S22, the user terminal 300.1 may select and input one of the setting value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 terminal 300.2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and transmit the selected input to the service server 200.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300.1 displays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user displays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One of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may be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

바람직하게는 S22단계는 도 6에 도시된 사용자단말기(300.1)의 화면에서 해당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레이어에서 진행될 수 있다.Preferably, step S22 may be performed in a separate layer for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step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1 shown in FIG. 6 .

S23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step S23, the service server 200 may updat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300.1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1.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 사용자는 타 사용자,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가족,친구 등의 지인과 동일한 환경에서 콘텐츠를 수행하거나, 지인이 수행한 콘텐츠에 이어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perform content in the same environment as other users, preferably acquaintances such as his or her family and friends, or perform content following content performed by acquaintance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방(100) 운영시스템의 수행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추천세팅값을 도출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추천세팅값제공부(230)에 의해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추천세팅값을 도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FIG. 9 shows steps performed by the data room 100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shows steps of deriving recommended setting values for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FIG. 9 illustrates a step of deriving and providing recommended setting values for the user terminal 300.1 by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230 .

S30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타 사용자단말기(300.2)로부터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서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란 데이터방(100)에 1회 이상 방문하여 데이터방(100)에 대한 세팅값을 설정하고, 콘텐츠를 1 회 이상 수행하여 콘텐츠기록정보가 저장된 사용자단말기(300.1)로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조건을 갖는 타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In step S30, the service server 200 may receiv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from other user terminals 300.2. Specifically, another user terminal 300.2 in FIG. 9 is a user who visits the data room 100 one or more times, sets settings for the data room 100, and executes the content one or more times to store content record information. As the terminal 300.1, it may preferably be another user's terminal having a physical condition similar to that of the user.

더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서버(200)는 1 이상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 각각으로부터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ervice server 200 may receiv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300.2, respectively.

한편, 도 4의 S1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300.1)는 서비스서버(200)로 연령대, 키, 몸무게, 컨디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고 상술한 바 있다. 즉, S30단계에서 타 사용자단말기(300.2) 각각은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연령대, 키, 몸무게, 컨디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Meanwhile, in step S1 of FIG. 4, i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at 'the user terminal 300.1 can transmit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ge group, height, weight, and condition to the service server 200'. That is, in step S30, each of the other user terminals 300.2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age group, height, weight, and condition of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o the service server 200.

S31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타 사용자단말기(300.2)로부터 수신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단말기(300.2) 각각에 대한 제1,2,3,4파라미터값을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파라미터값은 사용자의 연령대에 대해 산출되고, 제2파라미터값은 사용자의 신체조건(키 및 몸무게)에 대해 산출되고, 제3파라미터값은 사용자의 컨디션에 대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제4파라미터값은 사용자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값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수행시간에 비례하여 산출될 수 있다. In step S31, the service server 200 derive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ameter values for each of the other user terminals 300.2 based on the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ther user terminals 300.2. can Specifically, the first parameter value may be calculated for the user's age group, the second parameter value may be calculated for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height and weight), and the third parameter value may be calculated for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Meanwhile, the fourth parameter value is a value calculated based on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for a user, and may be calculated in proportion to content execution tim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서버(200)는 타 사용자단말기(300.2) 각각에 대해 도출된 제1,2,3,4파라미터값을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200 may store in the database 250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ameter values derived for each of the other user terminals 300.2.

S32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데이터 중 일부를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200)는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데이터 중 추천세팅값을 도출하는 데 적합한 데이터만을 선별할 수 있다. In step S32, the service server 200 may select some of the data for the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Specifically, the service server 200 may select only data suitable for deriving a recommended setting value from among data on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200)는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데이터 중 제4파라미터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데이터만을 선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 the service server 200 may select only data for other user terminals 300.2 whose fourth parameter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mong data for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또는 서비스서버(200)는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데이터 중 제4파라미터값이 크기가 상위에 해당하는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데이터만을 선별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rvice server 200 may select only data for other user terminals 300.2 whose fourth parameter value has a larger size among the data for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즉, S32단계에서 선별된 데이터는 콘텐츠 수행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거나 콘텐츠 수행시간이 상위에 해당하는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S32단계에서 선별된 데이터는 추천세팅값을 도출함에 있어 적합한 데이터일 수 있다.That is, the data selected in step S32 may be information about other user terminals 300.2 whose content execution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or whose content execution time is higher. In other words, the data selected in step S32 may be suitable data for deriving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구체적으로 통상의 경우 데이터방(100)에 대한 이용요금은 콘텐츠수행시간에 비례하여 산정될 수 있으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콘텐츠 수행시간이 높은 타 사용자단말기(300.2)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추천세팅값을 도출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콘텐츠 수행시간이 증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usage fee for the data room 100 in a normal case can be calculated in proportion to the content execution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300.1 By deriving a recommended setting value for , it is possible to induce an increase in content execution time for the corresponding us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4파라미터값은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되, 이용요금에 비례하여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방(10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결제서버를 통해 이용요금을 결제하고, 해당 정보는 서비스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될 수 있다. 추천세팅값제공부(230)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제4파라미터값을 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parameter value is calculated based on the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and may be calculated in proportion to the usage fee. Specifically, a user using the data room 100 pays a usage fee through a payment server,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250 of the service server 200.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230 may calculate a fourth parameter value based o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즉, 추천세팅값제공부(230)는 이용요금이 높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추천세팅값을 도출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지불하는 이용요금이 증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That is,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230 derives a recommended setting value for the user terminal 300.1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user with a high usage fee, thereby inducing the usage fee to be paid by the corresponding user to increase.

이와 같이 방식으로 데이터방(100)의 운영자는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operator of the data room 100 can generate higher profits.

S33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300.1)는 서비스서버(200)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00.1)는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연령대, 키, 몸무게, 컨디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서비스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In step S33, the user terminal 300.1 may transmit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200. Also,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300.1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age group, height, weight,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o the service server 200.

S34단계에서,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추천세팅값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세팅값제공부(230)는 타 사용자단말기(300.2)의 사용자에 대한 연령대, 신체조건, 컨디션에 대한 제1,2,3파라미터값과 사용자단말기(300.1)의 사용자에 대한 연령대, 신체조건, 컨디션에 대한 제1,2,3파라미터값에 기초하여 추천세팅값을 도출할 수 있다.In step S34, the service server 200 may derive recommended setting values for the user terminal 300.1. As shown in FIG. 10,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230 provid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parameter values for the age group, physical condition, and condition of the user of the other user terminal 300.2 and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300.1. Recommended setting values may be derived bas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parameter values for age group, physical condition, and physical condition.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200)에 S32단계에서 선별된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제1,2,3파라미터값 각각에 대한 평균값을 도출하고, 해당 평균값과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제1,2,3파라미터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추천세팅값을 도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ice server 200 derives an average value for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arameter values for the other user terminals 300.2 selected in step S32, and the average value for the user terminal 300.1.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2 and 3 parameter values, a recommended setting value can be derived.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추천세팅값은 사용자의 연령대 및 신체조건(키 및 몸무게)과 유사한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의 세팅값을 평균하여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에 대한 데이터는 콘텐츠 수행시간 혹은 이용요금의 크기에 따라 선별되었으므로, 상기 추천세팅값은 사용자와 신체조건이 유사하면서, 콘텐츠 수행시간 혹은 이용요금이 높은 타 사용자의 세팅값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for the user terminal 300.1 may be derived by averaging setting values of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similar to the user's age group and physical condition (height and weight).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ata for the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is selected according to content execution time or usage fee,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is similar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content execution time or usage fee. I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is high setting value of other users.

또는,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추천세팅값은 사용자의 컨디션과 유사한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300.2)의 세팅값을 평균하여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디션은 기쁨, 슬픔, 흥분, 우울 등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와 비슷한 감정을 가졌던 타 사용자의 세팅값을 참조하여 추천세팅값을 도출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for the user terminal 300.1 may be derived by averaging setting values of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300.2 similar to the user's condition. In detail, the condi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urrent emotions, such as joy, sadness, excitement, and depression, and recommend setting values may be derived by referring to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who had similar emotions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천세팅값은 콘텐츠기록정보를 더 고려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파라미터값은 기쁨, 슬픔, 흥분, 우울 등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세팅값은 사용자와 비슷한 감정을 가졌던 타 사용자가 수행했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may be calculated by further considering content record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third parameter value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urrent emotions, such as joy, sadness, excitement, and depression, and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includes information about content performed by other users who had similar emotions to the user. can

일례로 현재 슬픈 감정을 가진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콘텐츠는 과거에 슬픈 감정을 가진 타 사용자가 다수 수행한 콘텐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거에 슬픈 감정을 가진 다수의 사용자가 시청한 미디어콘텐츠가 코미디영화인 경우, 슬픈 감정을 가진 사용자에게도 이와 동일하게 코미디영화를 추천해줄 수 있다.For example, content recommended for a user with a current feeling of sadness may be content performed a lot by other users with a feeling of sadness in the past. Specifically, if the media content that a number of users with sad feelings watched in the past is a comedy movie, the comedy movie can be recommended to the users with sad feelings in the same way.

S35단계 및 S36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300.1)는 서비스서버(200)에 추천세팅값을 요청하고,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사용자단말기(300.1)에 대한 추천세팅값을 송신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300.1)에 표시되는 화면에서의 L5레이어에서 서비스서버(200)에 추천세팅값을 요청할 수 있다. In steps S35 and S36, the user terminal 300.1 requests a recommended setting value from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may transmit the recommended setting value for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300.1. As described above in FIG. 6 , the user may request a recommended setting value from the service server 200 in the L5 layer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1.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11 illustrates a step of generating an avatar for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데이터방(100) 운영시스템은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연령대에 대한 제1파라미터값,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대한 제2파라미터값 및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컨디션에 대한 제3파라미터값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내에서 사용자를 대변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data room 100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parameter value for the age group of a user who wants to perform content, and a second parameter value for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content. and an avatar generator 240 generating an avatar representing the user in the content based on a third parameter value for the condi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content.

본원 발명의 데이터방(1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에는 VR콘텐츠를 포함하고, 해당 VR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HMD(Head Mounted Display)장치를 착용하고 데이터방(100)에서 VR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ed in the data roo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R content, and a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VR content can perform the VR content in the data room 100 wearing an HM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here is.

한편, 통상의 상용화된 VR콘텐츠는 대부분 1인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어, 데이터방(100)에 2인 이상의 사용자가 방문하여 VR콘텐츠를 수행하는 경우, 특정 사용자가 VR콘텐츠를 수행하더라도 다른 사용자는 함께 콘텐츠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commercialized VR contents are developed in a way that is performed by a single user, so when two or more users visit the data room 100 and perform VR contents, a specific user performs the VR content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other users cannot perform content together.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특정 사용자가 HMD(Head Mounted Display)장치를 착용하여 콘텐츠를 수행하는 경우, 해당 HMD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데이터방(100)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함께 방문한 다른 사용자가 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VR콘텐츠 내에서 어떤 활동을 하는 지 직관적으로 인지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user wears an HM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o perform content, the same content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HMD device is displayed in the data room 100, so that other users visiting together can view the content. Users can intuitively recognize what kind of activity they are doing in VR content.

아바타생성부(240)는 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대변하는 아바타를 생성하고, 해당 아바타를 콘텐츠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바타의 외형은 사용자의 연령대, 신체조건, 컨디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avatar generator 240 may generate an avatar representing a user who performs content, reflect the avatar to content, and display the avatar. Specifically,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ge, physical condition, physical condition, and the like.

아바타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는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콘텐츠에 반영되어, 디스플레이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인의 사용자가 HMD장치를 착용하여 콘서트홀에서 노래를 부르는 VR콘텐츠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외형과 유사한 아바타가 콘서트홀에서 노래를 부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타 사용자(HMD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VR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콘텐츠 내에서 어떤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The avatar created by the avatar generator may be reflected in the content being performed by the user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Specifically, when one user wears an HMD device and performs VR content singing a song in a concert hall, a screen similar to the user's appearance singing a song in the concert hall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and through this, other users ( A user not wearing an HMD device can intuitively recognize what activity the corresponding user (user performing VR content) is performing within the conten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아바타는 제1,2,3파라미터값, 즉 사용자와 나이, 키, 몸무게가 비슷하고, 사용자의 감정에 대응하는 표정을 갖는 형태로 아바타의 외형이 결정되어, 해당 아바타가 콘텐츠를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를 대변하고 있음을 더욱 실감나게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avatar h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parameter values, that is, the user's age, height, and weight are similar, and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is determined in the form of having a facial ex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motion. It is possible to more realistically feel that the avatar represents the user performing the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은 내부 6면이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고, 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상하좌우전방 6면에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는 콘텐츠에 더욱 몰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x inner surfaces of the data room are composed of display panels, and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top, bottom, left, right, and front sides of the user performing the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be more immersed in the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노래를 부르거나, 게임을 하거나,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운영자는 동일 공간에서 노래방, 게임방, DVD방 등을 간접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provides users with content that allows them to sing songs, play games, or watch media, so that operators can indirectly experience karaoke rooms, game rooms, DVD rooms, etc. in the same space. You can run a service busin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데이터방 환경설정 및 콘텐츠 수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가 재방문 시 기존과 동일한 환경에서 콘텐츠를 이어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stores information on data room environment settings and content execution status for each user, and allows the user to continue performing the content in the same environment as before when the user visits again.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타 사용자의 데이터방 환경설정과 동일하게 자신의 환경설정을 동일하게 하거나, 타 사용자의 콘텐츠 수행상황에 이어서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set his or her environment identical to that of another user's data room environment, or perform content following the execution status of other users'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유사한 타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방의 세팅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으로 데이터방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can set the data room environment customized for the user by providing the user with data room setting values for other users similar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콘텐츠 수행시간이 높은 타 사용자의 세팅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콘텐츠에 몰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해당 시스템의 운영자는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provides the user with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who have a high content execution time, induces the user to be immersed in the content, and the operator of the system can create higher profit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은 이용요금이 높은 타 사용자의 세팅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콘텐츠에 몰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해당 시스템의 운영자는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oom operating system provides the user with setting values of other users with high usage fees and induces the user to be immersed in the content, so that the operator of the system can create higher profits.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5)

가상현실 공간에서 복합적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방 운영시스템으로서,
데이터방의 내면으로 상하좌우전후방이 6면의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고,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이 독립적인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데이터방 내부 일측에 배치되는 스피커로 콘텐츠에 대한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장치; 마이크,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콘텐츠를 수행 중인 사용자로부터 음성정보 및 동작정보를 취득하는 입력장치; 상기 영상출력부, 음향장치 및 입력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방;
상기 음향장치,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영상출력부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세팅값을 입력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향장치,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영상출력부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세팅값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방의 하드웨어 환경을 설정하는 제1설정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해 기저장된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소프트웨어 환경을 결정하는 제2설정부;
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상속 및 이전하여, 상기 데이터방의 하드웨어 환경 및 상기 콘텐츠의 소프트웨어 환경을 결정하는, 제3설정부;를 포함하는, 콘텐츠설정부; 및
상기 데이터방에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저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연령대, 키, 몸무게, 컨디션 중 1 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연령대에 대한 제1파라미터값,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대한 제2파라미터값 및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컨디션에 대한 제3파라미터값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4파라미터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제1파라미터값, 제2파라미터값 및 제3파라미터값의 평균값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제1파라미터값, 제2파라미터값 및 제3파라미터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4파라미터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세팅값의 평균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추천세팅값으로 제공하는, 추천세팅값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파라미터값은 이용요금에 비례하는 콘텐츠 수행시간을 의미하는, 데이터방의 운영시스템.
As a data room operat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complex contents in a virtual reality space,
The inner surface of the data room is composed of 6 display panels on the top, bottom, left, right, front and rear sides, and a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dependent image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6 display panels; a sound device that outputs sound information about content to a speak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ata room; an input device including a microphone and a controller to acquire voice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from a user performing content; a data room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video output unit, audio device, and input device;
a user terminal for inputting setting values for each of the sound device, the input device, and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image output unit; and
a first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hardwar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based on setting values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sound device, the input device, and the video output uni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 second setting unit for determining a software environment of the content based on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user terminal;
a content setting unit including a third setting unit that inherits and transfers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other user terminals to determine the hardware environment of the data room and the software environment of the content; and
A content storage unit that stores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to the data room; and a service ser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ge group, height, weight, and physical condition from a user terminal;
The service server,
Calculate a first parameter value for the age group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content, a second parameter value for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content, and a third parameter value for the condi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perform the content do,
The average value of the first parameter value, the second parameter value, and the third parameter value for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in which the fourth parameter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first parameter value, the second parameter value and the third parameter value,
A recommended setting value providing unit providing an average value of setting values for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in which the fourth parameter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as a recommended setting value for the user terminal;
The fourth parameter value means a content execution time proportional to the usage fe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data roo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가창콘텐츠, 게임콘텐츠, 미디어콘텐츠 및 VR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중 일부는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단말기 에 의해 선택입력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디스플레이패널은 데이터방의 배경에 해당하는 배경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방의 운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includes singing content, game content, media content and VR content,
Some of the six display panels display content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and display panels that do not display the contents display background media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data roo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팅값은,
영상출력부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하여 콘텐츠 혹은 배경미디어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될지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선택입력된 정보, 상기 영상출력부의 6개의 디스플레이패널 각각에 대한 휘도, 명도, 명암, 해상도에 대한 정보, 상기 음향장치의 출력크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컨트롤러의 감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기록정보는,
상기 콘텐츠를 1 회 이상 수행한 사용자단말기에 대하여 가창콘텐츠, 게임콘텐츠, 미디어콘텐츠 및 VR콘텐츠 각각에 대한 콘텐츠의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부는,
상기 세팅값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방의 영상출력부, 음향장치, 입력장치의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제2설정부는,
상기 콘텐츠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하여 콘텐츠의 진행상황을 업데이트하는, 데이터방의 운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tting value is
Information about which one of the content or background media is to be displayed for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video output unit selected and inputted by the user terminal, and information on the luminance, brightness, contrast, and resolution of each of the six display panels of the video output unit. , information on the output level of the sound 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sensitivity of the controller,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content for each of the song content, game content, media content, and VR content for the user terminal that performed the content one or more times;
The first setting unit,
Based on the setting value, the environment of the video output unit, sound device, and input device of the data room is set,
The second setting unit,
Based on the content record informati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data room updates the progress of the content for the user terminal that intends to perform the cont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설정부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를, 복수의 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 중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선택입력된 타 사용자단말기의 세팅값 및 콘텐츠기록정보로 업데이트하는, 데이터방의 운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setting unit,
A data room that updates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for a user terminal with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of other user terminals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terminal among setting values and content record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other user terminals. operating system.
삭제delete
KR1020220044405A 2022-04-11 2022-04-11 Management System for Data Room which is able to Perform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KR102525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405A KR102525095B1 (en) 2022-04-11 2022-04-11 Management System for Data Room which is able to Perform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405A KR102525095B1 (en) 2022-04-11 2022-04-11 Management System for Data Room which is able to Perform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095B1 true KR102525095B1 (en) 2023-04-24

Family

ID=8614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405A KR102525095B1 (en) 2022-04-11 2022-04-11 Management System for Data Room which is able to Perform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09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105A (en) * 2011-08-04 2013-02-14 한국과학기술원 Modulation-based intelligent digital space system
JP2018055230A (en) * 2016-09-27 2018-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105A (en) * 2011-08-04 2013-02-14 한국과학기술원 Modulation-based intelligent digital space system
JP2018055230A (en) * 2016-09-27 2018-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6132A1 (en) Virtual environment for computer game
EP2131934B1 (en) Entertainment device and method
US86136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layer characters in an interactive multiplayer story
US20160029088A1 (en) Video feed radar
JP6931505B2 (en) Event production system, its operation method, and its program
US20130346875A1 (en) Personalized Interactive Entertainment Profile
CN109982757A (en) Digital multi-media platform
CN111641843A (en) Metho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displaying virtual jumping and shaking activities in live broadcast room
US11517827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laying arcade games
CN111641876A (en) Virtual activity scene interaction metho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in live broadcast room
CN111641842A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collective activity in live broadcast room,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4761943A (en) Creating, maintaining and developing virtual music theme worlds
JP6832997B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distribution program
US20210216191A1 (en) Distally shared, augmented reality space
KR102525095B1 (en) Management System for Data Room which is able to Perform Complex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Space
JP2019063207A (en) Program, computer system, server system, and game system
JP7038513B2 (en) Programs, computer systems, server systems and game systems
JP6923735B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distribution program
JP7442097B2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distribution program
JP7368524B2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distribution program
WO20222015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430014B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227998B1 (en) System for virtual reality karaoke and providing virtual reality karaoke using the same
JP2022134538A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server device
JP2022075492A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distribu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