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846B1 - Heating device - Google Patents

He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846B1
KR102524846B1 KR1020200189189A KR20200189189A KR102524846B1 KR 102524846 B1 KR102524846 B1 KR 102524846B1 KR 1020200189189 A KR1020200189189 A KR 1020200189189A KR 20200189189 A KR20200189189 A KR 20200189189A KR 102524846 B1 KR102524846 B1 KR 10252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tank
pipe
tank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6602A (en
Inventor
장환학
김강영
정유헌
장지원
정봉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846B1/en
Publication of KR2022009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6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8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61H33/065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with steam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61H33/067Installations for the inside of such cabins, e.g.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8Sauna cab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온열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가열탱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보충탱크가 가열탱크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보충탱크가 가열탱크와 별도로 마련됨으로써, 온수공급모듈의 전체 물 저장 용량이 증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열탱크에 대한 물보충 주기가 증가될 수 있다.The invention of a warming device is disclosed. The disclose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 replenishment tank for supplying water to a heating tank provided for supplying hot water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Since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the total water storage capacity of the hot water supply module can be increased, and through this, a water replenishment cycle for the heating tank can be increased.

Figure R1020200189189
Figure R1020200189189

Description

온열장치{HEATING DEVICE}Heating device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온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에 의해 가열되는 사우나실을 갖는 온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m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rming device having a sauna room heated by hot water.

삶의 질이 향상되고, 개인의 다양한 욕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근래에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에 있어서도 새로운 산업 및 사업 아이템이 다양하게 창출되고 있다.As the quality of life improves and the demand for various individual needs increases, in recent years, not only manufacturing but also various new industries and business items have been created in the service industry.

특히 인간의 건강과 미용에 관련된 분야는, 다른 산업에 비하여 더욱 괄목할만한 관심과 새로운 사업아이템이 창출되고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수요도 매우 빠르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particular, the fields related to human health and beauty are generating more remarkable interest and new business item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nd the demand for it is also on a trend that is increasing very rapidly.

더욱이 인간 수명이 점차 연장되고, 이에 따라 사회의 고령화가 점차 이루어지면서, 미용/건강 분야에 갈수록 더욱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서비스업과 그 서비스의 매개체인 상품에 대한 기술의 발달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Furthermore, as the human lifespan is gradually extended and the aging of society is gradually achieved accordingly, more and more attention is being focused on the field of beauty/health.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the service industry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is and the product that is the medium of the service is also being made.

즉 미용/건강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와 관련된 독자적인 서비스업 형태의 발전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상품의 개발도 함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In other words, as interest in the beauty/health-related industry increases, not only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service industries related to it, but also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product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특히 최근에는, 대규모의 미용/건강 관련 시설이 아닌 일반 가정에서도 개인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미용/건강 관련 상품의 개발도 함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beauty/health-related products that are provided so that individuals can conveniently use them at home, rather than in large-scale beauty/health-related facilities, has also been actively developed.

이 중 소형 사우나 장치는, 이와 같은 추세 속에서 개발되는 장치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사우나는 증기욕이나 열기욕으로 체내에 축적된 각종 노폐물을 땀과 함께 체외로 배출시켜 주게 함으로써,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고 피로를 회복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mong them, a small sauna device is one of the devices being developed in this trend. In general, saunas are known to have an effect of activating metabolism and recovering fatigue by allowing various wastes accumulated in the body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ogether with sweat by steam bath or heat bath.

이러한 사우나를 위한 시설 또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대형 목욕탕 내의 넓은 공간에 대기실과 탈의실 및 욕실과 휴게실 등을 갖춘 대규모의 시설에서 제공되어 왔었다.Facilities or devices for these saunas have generally been provided in large-scale facilities equipped with a waiting room, a changing room, a bathroom, and a resting room in a large space in a large public bath.

최근에는, 사우나를 가정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소형화된 소형 사우나 장치에 대한 개발 및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소형 사우나 장치로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습식 사우나보다는 전기히터를 이용한 건식 온열 사우나 장치가 주로 채택되고 있다.Recentl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miniaturized sauna devices have been made so that saunas can be enjoyed at home. As such a small sauna device, a dry thermal sauna device using an electric heater is mainly adopted rather than a wet sauna that generates steam.

이러한 방식의 사우나 장치는, 사우나 장치의 벽면 및 바닥면에 설치된 전기히터가 사우나 장치의 벽면 및 바닥면을 가열하고, 이를 통해 사우나 장치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형태로 제공된다.In this type of sauna device, electric heaters installed on the wall and bottom of the sauna device heat the wall and bottom of the sauna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auna device.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사우나 장치는, 전기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악영향을 미칠 위험성, 전기히터로 인한 화재나 감전 등의 위험성을 갖는다.However, this type of sauna device has a risk of harmful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the electric heater adversely affecting the user, and a risk of fire or electric shock due to the electric heater.

최근에는, 벽면 및 바닥면에 온수관이 매설되고, 매설된 온수관을 통해 온수가 순환하면서 사우나 장치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식의 사우나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 sauna devic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hot water pipe is buried in a wall surface and a floor, and hot water circulates through the buried hot water pip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auna device.

이러한 방식의 사우나 장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와 물탱크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물탱크는 온수관과 연결되며, 물탱크에서 가열된 온수는 온수관을 통해 흐르며 사우나 장치의 벽면 및 바닥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처럼 온수관을 사우나 장치의 벽면 및 바닥면의 온도를 상승시킨 물은, 물탱크로 되돌아와 가열된 후 다시 온수관을 통해 흐르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This type of sauna device includes a water tank for accommodating water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The water tank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and hot water heated in the water tank flows through the hot water pip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wall and bottom surfaces of the sauna device. In this way, the hot water pipe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wall and bottom surfaces of the sauna device, returns to the water tank, is heated, and flows through the hot water pipe again, repeating the cycle.

히터는,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온수관과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물탱크의 내부는 물과 열의 누설을 막기 위해 밀폐된다. 또한 물탱크에는 물탱크 내부에 물을 보충하기 위한 물주입구가 마련될 수 있고, 물주입시를 제외하고는 물주입구는 마개로 폐쇄된다.The heater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Except for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is sealed to prevent leakage of water and heat. In addition, the water tank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inlet for replenishing water inside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inlet is closed with a stopper except when water is injected.

이러한 물탱크와 히터를 포함하는 온수모듈은, 사우나 장치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우나 장치에 내장될 수도 있다.The hot water module including the water tank and the heater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auna device or may be built into the sauna device.

온수모듈이 사우나 장치의 외부에 설치될 경우, 물 보충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온수모듈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해 온수모듈이 파손의 위험에 노출되고, 외부로 노출된 온수모듈이 사우나 장치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된다.When the hot water module is installed outside the sauna device, water can be easily replenished, but the hot water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exposes the hot water module to the risk of damage, and the exposed hot water module affects the appearance of the sauna device. A problem that harms occurs.

이와 달리 온수모듈이 사우나 장치에 내장되는 경우, 사우나 장치에 내장된 물탱크에 물을 보충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의 크기가 작고, 이에 따라 물 보충이 자주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사우나 장치의 이용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Unlike this, when the hot water module is built into the sauna device,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replenish water in the water tank built into the sauna device. 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water tank is small and thus water must be replenished frequently, many inconveniences arise in using the sauna device.

그렇다고 해서 물탱크의 크기를 키울 경우, 히터가 한 번에 가열해야 하는 물의 양이 증가되므로,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되고 온수 가열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when the size of the water tank is increased, the amount of water to be heated by the heater at one time increas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and a decrease in the heating rate of hot water.

또한 물 보충 주기를 최대한 늘리기 위해 물탱크에 물을 가득 채울 경우,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물의 열팽창으로 인해 물탱크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tank is filled with water to maximize the water replenishment cycle, a phenomenon in which the water tank pressure is excessively increased may occur due to thermal expansion of the water generated as the water is heated.

물탱크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질 경우, 물탱크나 온수관, 특히 물탱크와 온수관의 연결 부위에서 누설이 발생되거나 온수관의 파열이 발생될 위험성이 있다.When the pressure of the water tank is excessively high, there is a risk of leakage or rupture of the water tank or the hot water pipe, particularly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pipe.

또한 물탱크의 내부는 물과 열의 누설을 막기 위해 밀폐되는데, 이처럼 밀폐된 물탱크 내부로의 급수는, 쉽지 않은 작업이다. 이러한 물탱크 내부로의 급수는, 물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오는데 필요한 통로를 물주입구 상에 확보하면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is sealed to prevent leakage of water and heat, but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is not an easy task. Since water supply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must be performed while securing a passage on the water inlet for the air inside the water tank to escape to the outside, unnecessarily much time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0427호(발명의 명칭: 개인용 온열사우나 및 그 이용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40427 (Title of Invention: Personal Thermal Sauna and Method of Using It)

본 발명은 물보충 주기가 증가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 water replenishment cycle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에너지로 신속하게 온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quickly heat hot water with less energ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탱크의 압력이 안정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pressure of a water tank can be stably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비용 및 중량이 감소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온열장치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가열탱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보충탱크가 가열탱크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rm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 replenishment tank for supplying water to a heating tank provided for supplying hot water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물보충탱크가 가열탱크와 별도로 마련됨으로써, 온수공급모듈의 전체 물 저장 용량이 증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열탱크에 대한 물보충 주기가 증가될 수 있다.Since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the total water storage capacity of the hot water supply module can be increased, and through this, a water replenishment cycle for the heating tank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가열탱크와 물보충탱크 사이가 배기관에 의해 연결되고, 가열탱크 내부의 공기가 배기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tank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are connected by an exhaust pipe, and air inside the heating tank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이로써 가열탱크로의 급수가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가열탱크의 배기와 가열탱크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회수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As a result, the exhaust of the heating tank necessary for supplying water to the heating tank and the recovery of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heating tank can be performed togeth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하단홀을 통해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배기부재가 가열부재에 설치되고, 물보충탱크에서 가열탱크로의 자연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높이에 물보충탱크가 배치되며, 가열탱크의 수위에 따라 하단홀의 개폐가 이루어지고, 하단홀의 개방시에 배기부재를 통한 배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haust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through a lower hole is installed on the heating member, and the water supplement tank is disposed at a height where natural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ement tank to the heating tank can be made.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hole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and exhaust is performed through the exhaust member when the lower hole is opened.

이를 통해, 급수펌프나 고수위센서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도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 조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heating tank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a water supply pump or a high level sensor.

이를 통해, 냉각팬의 고장 발생을 신속히 파악하여 조리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과열로 인한 고장으로부터 전장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ailure of the cooling fan is quickly identified and the cooking operation is stopped, thereby protecting electric components from failure due to overheat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열장치는: 온열벽체와 온열바닥체로 둘러싸인 공간인 사우나실, 및 상기 사우나실과 구분된 공간인 기계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온열벽체와 온열바닥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온수순환배관과; 내부에 물을 수용하며, 상기 온수순환배관을 통한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온수순환배관과 연결되는 가열탱크와; 상기 가열탱크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탱크와 별도로 마련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물보충탱크와; 상기 물보충탱크의 물이 상기 가열탱크로 공급되도록 상기 물보충탱크와 상기 가열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급수관; 및 상기 가열탱크 내부에서 물이 채워지지 않은 공간을 상기 가열탱크 외부로 개방하거나 상기 물보충탱크와 연결하는 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 which a sauna room, which is a space surrounded by a heating wall and a heating floor, and a machine room, which is a space separated from the sauna room, are formed therein;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heating wall and the heating floor; a heating tank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so that water is circulated through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eating tank; a water replenishment tank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and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replenishing tank and the heating tank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replenishing tank is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and an exhaust pipe opening a space not filled with water inside the heating tank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or connecting it 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또한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타측에는 상기 배기관의 내부를 개방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and an exhaust port opening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xhaust pipe.

상기 배기구는, 상기 물보충탱크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exhaust port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또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사우나실 내부로 개방될 수도 있다.Also, the exhaust port may be opened into the inside of the sauna roo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관을 통한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을 조절하는 물공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water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n response to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또한 상기 물공급조절부는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 이하인 조건에서 상기 급수관을 통한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설정최저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allows water to be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is lower than the set minimum water level, and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An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inlet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t minimum water level.

또한 상기 물공급조절부는,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가 상기 설정최저수위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 및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한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을 단속하는 급수밸브 또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includes a low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is the set minimum water level, and a water supply valve or water supply pump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저수위센서가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를 상기 설정최저수위로 감지하면, 상기 급수관을 통한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급수밸브 또는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low water level sensor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as the set minimum water level,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valve or the water supply pump be operated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이 상기 가열탱크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급수관 및 배기관과 각각 연결되는 분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branch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exhaust pipe, respectively.

또한 상기 분지관은, 내부가 제1유로와 제2유로로 구획된 연결관부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급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제1분지관부, 및 상기 제2유로와 상기 배기관 사이를 연결하는 제2분지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nch pipe, a connection pipe portion having an interior partitioned into a first flow passage and a second flow passage, a first branch pipe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water supply pipe, and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flow passage and the exhaust pip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branch pipe.

또한 상기 연결관부의 일측은 상기 가열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1분지관부 및 상기 제2분지관부는, 상기 연결관부의 타측으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is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and the first branch pipe part and the second branch pipe part are branch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또한 상기 분지관은, 상기 연결관부와 상기 제1분지관부 및 상기 제2분지관부가 Y 형상으로 연결된 Y관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nch pipe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Y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part, the first branch pipe part, and the second branch pipe part in a Y shape.

또한상기 연결관부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부 내부를 상기 제1분지관부와 연결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분지관부와 연결된 상기 제2유로로 분리하는 구획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rtition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ing pipe part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part into the first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ipe part and the second flow path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ipe part.

또한 상기 구획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분지관과 연결된 상기 가열탱크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관부의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preferably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part so as to protrude into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또한 상기 연결관부와 상기 제1분지관부와 상기 제2분지관부와 상기 구획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ipe portion, the first branch pipe portion, the second branch pipe portion, and the partition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가열탱크에는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가열탱크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벤트홀이 마련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벤트홀을 통해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ing tank is provided with a vent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heating tank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and the exhaust pipe is preferably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vent ho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배기부재를 더 포함하고,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exhaust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벤트홀을 통해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상기 배기관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xhaust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vent hol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insertion part to the exhaust pipe.

또한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홀을 통해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홀을 통해 상기 배기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through a lower hol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sertion part and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through an upper ho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

또한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가열탱크의 상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열탱크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체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xhaus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late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insert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tank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tank.

또한 상기 물보충탱크는 상기 물보충탱크에서 상기 가열탱크로의 자연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벤트홀을 통해서만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가 밀폐되고, 상기 하단홀은 상기 벤트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is disposed at a height at which water can be supplied naturally from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to the heating tank, and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is sealed so that air inside the heating tank can b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vent hole. And, the lower hole is preferably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vent hole.

또한 상기 하단홀은, 상기 벤트홀의 높이와 상기 설정최저수위 사이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hole is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height of the vent hole and the set minimum water level.

본 발명의 온열장치에 따르면, 가열탱크와 별도로 물을 저장하는 물보충탱크에 의해 온수공급모듈의 전체 물 저장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열탱크에 대한 물보충 주기가 증가될 수 있게 되므로, 온열장치의 무급수 운전 시간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rm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water storage capacity of the hot water supply module can be increased by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for storing water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Through this, since the water replenishment cycle for the heating tank can be increased, the waterless operation time of the heater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이로써, 물 보충 작업에 따르는 번거로움이 줄어들고, 온열장치의 사용이 더욱 쉽고 편리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inconvenience of replenishing water can be reduced, and the effect of making the use of the warmer easier and more convenient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가열탱크와 물보충탱크 사이에서 배기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관에 의해 수증기의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열장치의 무급수 운전 시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water vapor to be recovered by an exhaust pipe forming an exhaust passage between the heating tank and the water replenishing tank, so that the water-free operation time of the heater can be more effective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무급수 운전 시간 증가를 위해 가열탱크의 크기를 키우는 대신 물보충탱크를 추가함으로써, 무급수 운전 시간을 증가시키면서도, 적은 에너지로 신속하게 온수를 가열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water replenishment tank instead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heating tank to increase the non-water supply operation time, can provide an effect of rapidly heating hot water with less energy while increasing the non-water supply operation time.

또한 본 발명은, 급수펌프나 고수위센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가열탱크로의 물 보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열장치의 제조 비용 및 중량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of the heating device can be reduced by smoothly replenishing water to the heating tank without needing to separately provide a water supply pump or a high level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열장치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열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온열벽체와 온열바닥체 및 지지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계실 내부 구성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분지관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분지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배기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배기부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배기부재의 하단홀이 잠긴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rm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 state of the warming device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warm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ing wall, the heating floor, and the support shown in FIG. 3 separately.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in FIG. 4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chine room shown in FIG. 5 in isola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rm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nch pipe shown in FIG. 7 in a separated state;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ranch pipe shown in Figure 8;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rm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haust member shown in FIG. 10 in a separated stat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haust member shown in FIG. 1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hole of the exhaust member shown in FIG. 12 is locked.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various changes may be applied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substitution or addition of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each other to substitutes.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ly large or small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but due to thi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implementations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and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That is,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 include, ~ consist of, etc.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top” or “under”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s well as being directly above the other element.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온열장치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온열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온열장치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With the warmer placed on the flo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install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warmer is defined as the front. Therefore, the direction to open the door and enter the inside of the heater is to the rear. For convenience,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Then, the front may be referred to as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rear may be referred to a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direction of gravity can be defined as downward,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s upward.

그리고, 온열장치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온열장치의 도어 앞에서 온열장치를 바라볼 때 온열장치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warming device, that is, a width direction of the warming device when looking at the warming device from the front of the door of the warming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 left-right direction. For convenienc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Then, the right side can be said to be one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eft side can be said to b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온열장치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Als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ting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 lateral direction. Then, the right side can be said to be one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eft side can be said to be the other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vertic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direction. Then, the upper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one side of the third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other side of the third direction.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vertic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Then,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and/or B" is used,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when used as "C to D", this mean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s long as there is no, it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온열장치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warm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열장치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열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 state of the heat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ing device shown in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devic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장치(1)는, 본체(100)와 온수공급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warm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0 and a hot water supply module 200 .

본체(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온열장치(1)의 골격 및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온열벽체(110)와 온열바닥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form the skeleton and exterior of the warm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100 may include a heating wall 110 and a heating floor 120.

본체(100)의 내부에는, 사우나실(100a)이 형성될 수 있다. 온열벽체(110)는, 사우나실(100a)의 전방 경계면과 후방 경계면 및 측방 경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우나실(100a)의 전방 경계면과 후방 경계면 및 측방 경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열벽체(11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Inside the main body 100, a sauna room 100a may be formed. The heating wall 110 may form at least one of a front boundary surface, a rear boundary surface, and a side boundary surface of the sauna room 100a. That is, at least one of the front boundary, the rear boundary, and the side boundary of the sauna room 100a may be defined by the heating wall 110 .

본 실시예에서는, 온열벽체(110)가 사우나실(100a)의 후방 경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온열벽체(110)는, 본체(10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wall 110 is illustrated as forming a rear boundary surface of the sauna room 100a. For example, the heating wall 110 may for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다른 예로서, 사우나실(100a)의 후방 경계면과 측방 경계면이 온열벽체(110)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고, 사우나실(100a)의 전방 경계면과 후방 경계면 및 측방 경계면이 모두 온열벽체(110)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우나실(100a)의 양측방 경계면 모두가 온열벽체(110)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고, 사우나실(100a)의 양측방 경계면 중 하나만이 온열벽체(110)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ear boundary and the side boundary of the sauna room 100a may be defined by the heating wall 110, and the front boundary, the rear boundary, and the side boundary of the sauna room 100a are all connected to the heating wall 110. may be defined by In addition, both side boundary surfaces of the sauna room 100a may be defined by the heating wall 110, or only one of the both side boundary surfaces of the sauna room 100a may be defined by the heating wall 110.

사우나실(100a)의 하부 경계면은, 온열바닥체(12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온열바닥체(120)는, 사우나실(100a)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우나실(100a)의 하부에 기계실(100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우나실(100a)과 기계실(100b) 사이의 경계면이 온열바닥체(12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The lower boundary of the sauna room 100a may be defined by the heated floor body 120 . The heated floor body 120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sauna room 100a. In addition, a machine room 100b may be disposed under the sauna room 100a, and a boundary between the sauna room 100a and the machine room 100b may be defined by the heated floor body 120.

본 실시예에서는, 온열벽체(110)가 사우나실(100a)의 후방 경계면을 형성하고, 온열바닥체(120)가 사우나실(100a)의 하부 경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온열벽체(110)와 온열바닥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온수순환배관(101)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열벽체(110)와 온열바닥체(120)에 온수순환배관(101)이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heated wall 110 forms the rear boundary of the sauna room 100a and the heated floor 120 forms the lower boundary of the sauna room 100a.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heating wall 110 and the heating floor 120.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is installed in the heating wall 110 and the heating floor 120, respectively.

온수순환배관(101)은, 온열벽체(110) 또는 온열바닥체(120)에 매설될 수 있다. 이러한 온수순환배관(101)은, 온수가 온열벽체(110) 또는 온열바닥체(120) 내부와 온수공급모듈(200)을 순환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온열벽체(110) 또는 온열바닥체(120)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buried in the heating wall 110 or the heating floor 120.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provides a passage necessary for hot water to circulate between the inside of the heating wall 110 or the heating floor 120 and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inside the heating wall 110 or the heating floor 120. can be formed in

온열바닥체(120)의 하부에는, 기계실(100b)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00b)은, 온수공급모듈(200)이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 그리고 제어기판 등과 같은 전장부품들이 배치되는 필요한 공간을 온열장치(1) 내부에 제공할 수 있다.A machine room 100b may be disposed under the heated floor 120 . The machine room 100b may provide a space necessary for disposing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and a necessary space for disposing electric components such as a control board inside the warming device 1 .

이를 위해, 온열바닥체(120)의 하부에는 지지체(15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체(150)는, 온열바닥체(120)의 하부에서 온열바닥체(120)를 지지하되, 온열장치(1)가 설치되는 바닥(floor)으로부터 온열바닥체(120)가 소정 높이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To this end, a support 150 may be disposed under the heated floor 120 . The support 150 supports the heated underfloor 120 at the bottom of the heated underfloor 120, and supports the heated underfloor 120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where the heating device 1 is installed. can do.

이러한 지지체(150)는, 온열바닥체(120) 하부에 기계실(100b)이 형성되는데 필요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며, 온열벽체(110)와 온열바닥체(120), 그리고 후술할 측벽체(130)와 전방벽체(140)를 지지하는 구조물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upport 150 enables the space necessary for the machine room 100b to be formed under the heated floor 120 to be secured, and the heated wall 110, the heated floor 120, and the side wall (to be described later) 130) and a structure supporting the front wall 140.

본체(100)의 양측부에는, 측벽체(13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체(130)는, 사우나실(100a)의 양측방 경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Sidewalls 13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These side walls 130 may form boundary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sauna room 100a.

본체(100)의 전방에는, 전방벽체(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벽체(140)는, 후술할 도어(145)와 함께 사우나실(100a)의 전방 경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front of the body 100, a front wall 140 may be disposed. The front wall 140 may form a front boundary of the sauna room 100a together with a door 145 to be described later.

전방벽체(140)는, 온열벽체(110)와 온열바닥체(120) 및 측벽체(1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벽체(140)의 측방향 길이는,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벽체(130) 간의 이격 거리보다는, 바꾸어 말하면 온열벽체(110)의 측방향 길이보다는 짧게 설정될 수 있다.The front wall 14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ing wall 110, the heating floor 120, and the side wall 130. The lateral length of the front wall 140 may be set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s 1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lateral length of the heating wall 110 .

즉 전방벽체(140)는, 사우나실(100a)의 전방 전체를 가리지 않고, 사우나실(100a) 출입을 위한 출입구(140a)가 사우나실(100a)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벽체(140)가 측방향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출입구(140a)가 그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at is, the front wall 14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entrance 140a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sauna room 100a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sauna room 100a without covering the entire front of the sauna room 100a.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wall 140 is disposed biased to one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entrance 140a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on its side.

아울러 본체(100)의 전방에는, 도어(145)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45)는, 출입구(140a)를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된다.In addition, a door 145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0 . The door 145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140a.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부벽체(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벽체(160)는, 사우나실(100a)의 상부 경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An upper wall 160 may be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100 . This upper wall 160 may form an upper boundary surface of the sauna room 100a.

상부벽체(160)는, 측벽체(130) 및 전방벽체(140)의 상부에서 측벽체(130) 및 전방벽체(1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벽체(160)는, 측벽체(130) 및 전방벽체(140)가 측방 또는 전후방으로 벌어지지 않게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벽체(160)에 의해, 환기팬, 조명등 등의 설치를 위한 지지구조물 및 이들의 배선에 필요한 통로가 제공될 수도 있다.The upper wall body 160 may be coupled to the side wall body 130 and the front wall body 140 at the top of the side wall body 130 and the front wall body 140 . The upper wall 160 may support the side wall 130 and the front wall 140 so that they do not spread sideways or forward and backward. In addition, by the upper wall 160, a support structure for installing a ventilation fan, lighting, etc., and a passage necessary for wiring thereof may be provided.

온수공급모듈(200)은,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온수순환배관(101)을 통해 순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온수공급모듈(200)은, 본체(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수공급모듈(200)이 기계실(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온수공급모듈(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may heat water and circulate the heated water through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serving this role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0 . In this embodiment,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00b.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본체의 구조][Structure of the body]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온열벽체와 온열바닥체 및 지지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ing wall, the heating floor, and the support shown in FIG. 3 by being separated,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4 .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사우나실(100a)과 기계실(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사우나실(100a)은, 온열벽체(110)와 온열바닥체(120)와 측벽체(130)와 전방벽체(140) 및 상부벽체(16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100b)은, 지지체(150)와 온열바닥체(12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우나실(100a)과 구분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5 ,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sauna room 100a and a machine room 100b. Among them, the sauna room 100a may be formed in a form surrounded by a heating wall 110, a heating floor 120, a side wall 130, a front wall 140, and an upper wall 160. In addition, the machine room 100b may be formed in a form surrounded by the support 150 and the heated floor 120, and may form a space separated from the sauna room 100a.

사우나실(100a) 내부의 온도는, 본체(100)에 설치된 온수순환배관(101)을 통해 순환되는 온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열벽체(110)와 온열바닥체(120)에 온수순환배관(101)이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온수순환배관(101)은, 온열벽체(110) 또는 온열바닥체(120)의 내부에 매설되거나, 온열벽체(110)의 배후, 또는 온열바닥체(12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inside the sauna room 100a may be adjusted by hot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is installed in the heating wall 110 and the heating floor 120.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buried inside the heating wall 110 or the heating floor 120, or installed behind the heating wall 110 or below the heating floor 120.

예컨대, 온열벽체(110)는 사우나실(100a)의 내부로 노출되는 제1후면벽체(111)를 포함할 수 있고, 온수순환배관(101)은 그 배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온수순환배관(101)은 제1후면벽체(111)에 직접 접촉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제1후면벽체(111)와 온수순환배관(101) 사이에 방열판이 설치되고, 온수순환배관(101)을 흐르는 온수의 열이 방열판을 통해 제1후면벽체(111) 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heating wall 110 may include a first rear wall 111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auna room 100a,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disposed behind it. As an exampl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install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rear wall 111. As another example, a heat sink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ear wall 111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and the heat of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is transferred to the first rear wall 111 through the heat sink. may be

아울러 온열벽체(110)는, 제2후면벽체(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후면벽체(113)는, 제1후면벽체(111)의 배후에 배치될 수 있다. 온수순환배관(101)은, 제1후면벽체(111)에 내장될 수도 있고, 제1후면벽체(111)와 제2후면벽체(113)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2후면벽체(113)에 내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wall 1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ar wall 113. The second rear wall 113 may be disposed behind the first rear wall 111 .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built into the first rear wall 111, 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ar wall 111 and the second rear wall 113, and the second rear wall 113 may be embedded in

또한 온열바닥체(120)는 사우나실(100a)의 내부로 노출되는 바닥패널(121)을 포함할 수 있고, 온수순환배관(101)은 그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온수순환배관(101)은 바닥패널(121)에 직접 접촉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바닥패널(121)과 온수순환배관(101) 사이에 방열판이 설치되고, 온수순환배관(101)을 흐르는 온수의 열이 방열판을 통해 바닥패널(121) 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ated floor body 120 may include a floor panel 121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auna room 100a,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disposed below it. As an exampl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install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panel 121 . As another example, a heat sink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loor panel 121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and heat of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transferred to the floor panel 121 through the heat sink.

제1후면벽체(111)와 바닥패널(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황토대리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황토로 제조된 복수개의 타일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제1후면벽체(111)와 바닥패널(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목재가 가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rear wall 111 and the floor panel 121 may be formed of ocher marble or may be formed in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tiles made of ocher. As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rear wall 111 and the floor panel 121 may be formed in a processed form of wood.

사우나실(100a)의 양측방 경계면을 형성하는 측벽체(130)는, 사우나실(100a) 내부로 노출되는 측면패널(131)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패널(131)은 목재가 가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wall 130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both sides of the sauna room 100a may include a side panel 131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auna room 100a. The side panel 131 may be formed in a processed form of wood.

그리고 측면패널(131)의 전후방향 양측 단부에는, 금속 재질의 제1세로프레임(133)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세로프레임(133)은, 전후방향 양측에서 측면패널(131)을 지지하며, 후술할 베이스프레임(151)과 결합되어 측벽체(130)를 베이스프레임(15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first vertical frames 133 made of metal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ide panel 13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first vertical frame 133 supports the side panel 131 on both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is combined with the base frame 151 to be described later to perform a role in fixing the side wall body 130 to the base frame 151. can

사우나실(100a)의 전방 경계면을 형성하는 전방벽체(140)는, 사우나실(100a) 내부로 노출되는 전면패널(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41)은, 측면패널(131)과 마찬가지로 목재가 가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wall 140 forming the front boundary of the sauna room 100a may include a front panel 141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auna room 100a. Like the side panels 131, the front panel 141 may be formed in a processed form of wood.

그리고 전면패널(141)의 측방향 단부에는, 금속 재질의 제2세로프레임(142)이 설치될 수 있다. 제2세로프레임(142)은, 전면패널(141)의 측부에서 전면패널(141)을 지지하며, 후술할 베이스프레임(151)과 결합되어 전방벽체(140)를 베이스프레임(15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 second vertical frame 142 made of metal may be installed at a lateral end of the front panel 141 . The second vertical frame 142 supports the front panel 141 at the side of the front panel 141 and is combined with a base frame 151 to be described later to fix the front wall 140 to the base frame 151. role can be fulfilled.

상기 제2세로프레임(142)은, 전면패널(141)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고, 전면패널(141)의 양측부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세로프레임(142)이 전면패널(141)의 일측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second vertical frame 142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nel 141, or may be disposed only on either side of the front panel 141.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vertical frame 142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front panel 141 .

예컨대, 출입구(140a)와 인접한 전면패널(141)의 일측에만 제2세로프레임(142)이 배치되고, 측벽체(130)와 인접한 전면패널(141)의 타측에는 제2세로프레임(142)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면패널(141)의 타측은 그와 인접한 제1세로프레임(133)과 결합되며 해당 제1세로프레임(1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vertical frame 142 is disposed only on one side of the front panel 141 adjacent to the doorway 140a,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42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anel 141 adjacent to the side wall 130. may not be placed. In this case,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anel 141 is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33 adjacent thereto and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vertical frame 133 .

즉 하나의 측면패널(131)이 전면패널(141)과 하나의 제1세로프레임(133)을 공유하며, 그 공유된 제1세로프레임(133)에 의해 측면패널(131)의 전방측과 전면패널(141)의 일측이 함께 지지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panel 131 shares one first vertical frame 133 with the front panel 141, and the front side and front side of the side panel 131 are shared by the shared first vertical frame 133. One side of the panel 141 may be supported together.

사우나실(100a)의 상부 경계면을 형성하는 상부벽체(160)는, 사우나실(100a) 내부로 노출되는 상면패널(1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패널(161)은 목재가 가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wall 160 forming the upper boundary surface of the sauna room 100a may include a top panel 161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auna room 100a. The top panel 161 may be formed in a processed form of wood.

그리고 상면패널(161)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프레임(163)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63)이 상면패널(161)의 테두리에 설치되거나 상면패널(161)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163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top panel 161 .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63 are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top panel 161 or installed to cross the top panel 161 .

각각의 가로프레임(163)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프레임(163)은, 상면패널(161)의 상부에서 상면패널(161)을 지지하며, 그 하부에 배치된 세로프레임들(133,135)과 결합되어 상부벽체(160)를 온열벽체(110)와 측벽체(130)와 전방벽체(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Each horizontal frame 163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horizontal frame 163 supports the top panel 161 at the top of the top panel 161, and is combined with the vertical frames 133 and 135 disposed below the top panel 161 to form the upper wall 160 into a heating wall 110. And it may serve to fix to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body 130 and the front wall body 140.

사우나실(100a)의 하부에는 기계실(100b)이 배치되고, 기계실(100b)은 지지체(1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150)는, 베이스프레임(151)과 지지틀(153)을 포함할 수 있다.A machine room 100b is disposed under the sauna room 100a, and the machine room 100b may be formed by the support 150. The support 150 may include a base frame 151 and a support frame 153 .

베이스프레임(151)은, 바닥에 놓이는 부분으로서, 온열장치(1)의 가장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51)은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frame 151, as a part placed on the floor, may be dispos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warming device 1. The base frame 15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본 실시예에서는, 온열장치(1)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51)은, 그 육면체의 밑면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rming device 1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 addition, the base frame 151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edge of the hexahedron.

상기 베이스프레임(151)은, 제1세로프레임(133) 및 제2세로프레임(142)과 각각 결합되어 측벽체(130)와 전방벽체(14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51)은, 후술할 지지틀(153)을 가로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지지틀(153)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온열바닥체(120)가 지지틀(153)에 의해 지지되고 온열벽체(110) 및 상부벽체(160)가 측벽체(130)에 의해 지지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본체(100) 전체가 베이스프레임(151)에 의해 지지된다고 볼 수도 있다.The base frame 15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33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42 to support the side wall body 130 and the front wall body 140 from a lower portion. In addition, the base frame 151 may support the support frame 153 while surrounding the support frame 153 from the out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heated floor 12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53 and the heated wall 110 and the upper wall 160 are supported by the side wall 130, virtually the entire main body 100 It may be seen that it is supported by the base frame 151.

지지틀(153)은, 베이스프레임(151)과 함께 바닥에 놓일 수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5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틀(153)은, 온열바닥체(120) 하부에 배치되어 온열바닥체(12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53 may be placed on the floor together with the base frame 151 and may be disposed in an area surrounded by the base frame 151 . The support frame 153 may be disposed below the heated floor 120 to support the heated floor 120 from the lower portion.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틀(153)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지지틀(153)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이 기계실(100b)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frame 153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frame 153, and this space may form a machine room 100b.

온열바닥체(120)와 마주보는 지지틀(153)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계실(100b) 내부와 온열바닥체(12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지지틀(153) 상에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53 facing the heated floor body 120 may b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a passage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100b and the heated floor 120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frame 153.

기계실(100b) 내부에는, 전장케이스(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장케이스(170)는, 온수공급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온수공급모듈(20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side the machine room 100b, the electrical case 170 may be disposed. The electric field case 170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 In this embodiment,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또한 지지틀(153)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계실(100b) 내부의 전장케이스(170)가 전후방향으로 기계실(100b)을 출입하는데 필요한 통로가 지지틀(153) 상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53 may b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a passage necessary for the electric field case 170 inside the machine room 100b to enter and exit the machine room 100b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an be formed on the support frame 153 .

예컨대, 전장케이스(170)는 기계실(100b) 내부에서 인출 가능한 서랍 형태로 지지틀(153)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케이스(170)에 수용된 온수공급모듈(200)은, 전장케이스(170)와 함께 기계실(100b) 내부에 수용되거나 기계실(100b) 내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ic field case 170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53 in the form of a drawer that can be drawn out from inside the machine room 100b. In addition,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accommodated in the electric field case 170 may be accommodated in the machine room 100b together with the electric field case 170 or may be taken out from the machine room 100b.

아울러 지지틀(153)의 배후에는, 후면서포터(115)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서포터(115)는, 제1후면벽체(1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후면벽체(111)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ehind the support frame 153, a rear porter 115 may be disposed. The rear porter 115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rear wall 111 to support the first rear wall 111 from the lower side.

예컨대, 후면서포터(115)는 지지틀(153)의 배후에서 지지틀(153)과 결합되고 제1후면벽체(111)의 하부에서 제1후면벽체(11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면서포터(115)는, 지지틀(153)과 제2후면벽체(113) 사이에 배치되어 제2후면벽체(113)와도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서포터(115)는, 온열벽체(110)가 지지틀(150)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ar porter 115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53 at the rear of the support frame 153 and coupled to the first rear wall 111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ar wall 111 . In addition, the rear porter 11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frame 153 and the second rear wall 113 and coupled to the second rear wall 113 as well. The rear porter 115 may serve to stably support the heating wall 110 on the support frame 150.

본체(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출입구(140a)는, 사우나실(100a)의 전방과 기계실(100b)의 전방을 함께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구(140a)의 상하방향 길이는 사우나실(100a)의 상하방향 길이와 기계실(100b)의 상하방향 길이를 합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출입구(140a)에 의해, 사우나실(100a)을 출입하기 위한 통로와 기계실(100b)에 접근하기 위한 통로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The entrance 140a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0 may open both the front of the sauna room 100a and the front of the machine room 100b. For example, the vertical length of the entrance 140a may be set to the sum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sauna room 100a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chine room 100b. That is, a passag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sauna room 100a and a passage for accessing the machine room 100b may be formed together by the entrance 140a.

상기 출입구(140a)를 개폐하는 도어(145)는, 본체(100)의 전방에 배치되되, 베이스프레임(151)과 상부벽체(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door 145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140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0,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frame 151 and the upper wall 160.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45)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출입구(140a)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도어(145)는, 상단이 상부벽체(16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이 지지체(1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프레임(15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oor 145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 sliding door that sl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140a. The door 145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e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wall 160 and the lower e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support 150, more specifically, the base frame 151. can

다른 예로서, 도어(145)는 여닫이 방식의 도어나 폴딩 방식의 도어 또는 출입구(140a)를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셔터(Shutter)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도어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oor 145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hutter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140a in a vertical direction, a door of a casement type or a folding type, and various types of doors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한편 본체(10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외장패널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외장패널들은, 도어(145)와 함께 온열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exterior panels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Exterior panel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warming device 1 together with the door 145 .

예컨대, 측벽체(130)는 측면외장패널(135)을 포함할 수 있고, 전방벽체(140)는 전면외장패널(1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벽체(160)는 상면외장패널(165)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de wall body 130 may include a side exterior panel 135, the front wall body 140 may include a front exterior panel 143, and the upper wall body 160 may include a top exterior panel 165. can include

측면외장패널(135)은 측면패널(131)과 제1세로프레임(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전면외장패널(143)은 전면패널(141)과 제1세로프레임(133)과 제2세로프레임(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The side exterior panel 135 may be combined with at least one of the side panel 131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133, and the front exterior panel 143 is the front panel 141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133. And it may be combined with at least on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142).

그리고 상면외장패널(165)은, 상면패널(161)의 상부에 덮이되, 상면패널(161)과 가로프레임(1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도 있고, 상면패널(161)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op exterior panel 165 is covered on the top of the top panel 161, and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top panel 161 and the horizontal frame 163, and is placed on top of the top panel 161. It may also be installed in a topped form.

[온수공급모듈의 구조][Structure of hot water supply module]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계실 내부 구성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interior of the machine room shown in FIG. 5 in which parts are separated, and FIG.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온수공급모듈(200)은, 가열탱크(210)와 가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to 7 ,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may include a heating tank 210 and a heating unit 220 .

가열탱크(210)는 기계실(100b) 내부에 배치되며, 가열탱크(210)의 내부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탱크(210)는, 온수순환배관(101)을 통한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온수순환배관(101)과 연결될 수 있다.The heating tank 210 is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100b, and wa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heating tank 210. The heating tank 210 may 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so that water circulates through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

예컨대, 온수순환배관(101)의 입구 측과 출구측이 각각 다른 위치에서 가열탱크(210)와 연결될 수 있고, 가열탱크(210)에서 가열된 물이 온수순환배관(101)을 따라 이동한 후, 다시 가열탱크(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210 at different positions, and after the water heated in the heating tank 210 moves along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ank 210 again.

본 실시예에서는, 온열벽체(110)와 온열바닥체(120)에 온수순환배관(101)이 각각 설치되고, 온수공급모듈(200)은 한 쌍의 가열탱크(2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한 쌍의 가열탱크(210) 중 어느 하나(이하, "제1가열탱크(210a)"라 한다)는 온열벽체(110)에 설치된 온수순환배관(10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열탱크(210) 중 다른 하나(이하, "제2가열탱크(210b)"라 한다)에 설치된 온수순환배관(101)과 연결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is installed in the heating wall 110 and the heating floor 120, respectively, and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pair of heating tanks 210. . For example, one of the pair of heating tanks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heating tank 210a”) may 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installed on the heating wall 110 . And it can 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installed i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heating tanks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heating tank 210b").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하나의 가열탱크가 모든 온수순환배관과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온열벽체(110)와 온열바닥체(120) 외에도, 측벽체(130)와 전방벽체(140) 및 상부벽체(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도 온수순환배관(101)이 설치될 수 있고, 셋 이상의 가열탱크가 이들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other embodiments in various forms. As an example, one heating tank may be connected to all hot water circulation pipes. As another example, in addition to the heating wall 110 and the heating floor 120,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130, the front wall 140, and the upper wall 160. In addition, three or more heating tanks may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가열부(220)는, 가열탱크(21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예컨대, 가열부(220)는 가열탱크(210)에 설치되는 전기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열부(220)는 시즈히터(sheath heater)가 가열탱크(210)의 내부에서 물과 직접 접촉될 수 있게 설치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220 may heat water accommodated in the heating tank 210 . For example, the heating unit 220 may include an electric heater installed in the heating tank 210 . As an example, the heating unit 22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sheath heater is installed to directly contact wate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열탱크(210a)와 제2가열탱크(210b)에 각각 가열부(220)가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heating unit 22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nd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온수공급모듈(200)은, 물보충탱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보충탱크(230)는, 가열탱크(210)와 마찬가지로 기계실(100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보충탱크(230)는 가열탱크(210)와 별도로 마련되며, 물보충탱크(230)의 내부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다.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like the heating tank 2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100b.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210, and water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상기 물보충탱크(230)는, 가열탱크(210)와 별도로 물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물보충탱크(230)는, 물 보충이 필요한 가열탱크(210)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is configured to store water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210 .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serve to stor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210 requiring water replenishment.

본 실시예에서, 물보충탱크(230)는 가열탱크(210)와 함께 기계실(100b) 내부에 배치되되, 가열탱크(210)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열탱크(210a) 및 제2가열탱크(210b)가 모두 물보충탱크(230)와 연결되고, 물보충탱크(230)는 제1가열탱크(210a) 및 제2가열탱크(210b) 모두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is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100b together with the heating tank 210, and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above the heating tank 210.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nd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are connected to the water replenishing tank 230, and the water replenishing tank 230 is connected to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nd the second heating tank 210a. It is exemplified as being provided to supply water to all of the heating tanks 210b.

물보충탱크(230)와 가열탱크(210) 간의 연결을 위해, 급수관(240)이 마련될 수 있다. 급수관(240)은, 물보충탱크(230)의 물이 가열탱크(210)로 공급되도록 물보충탱크(230)와 가열탱크(2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A water supply pipe 24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and the heating tank 210 to each other. The water supply pipe 24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ement tank 230 and the heating tank 210 so that water in the water supplement tank 230 is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210 .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관(240)이 제1급수관(240a)과 제2급수관(240b)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급수관(240a)은 제1가열탱크(210a)와 연결되며, 제2급수관(240b)은 제2가열탱크(210b)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ipe 24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According to this,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제1급수관(240a)은, 물보충탱크(230)의 물이 제1가열탱크(210a)로 공급되도록, 물보충탱크(230)와 제1가열탱크(210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급수관(240b)은, 물보충탱크(230)의 물이 제2가열탱크(210b)로 공급되도록, 물보충탱크(230)와 제2가열탱크(210b)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may connect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and the first heating tank 210a so that water in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is supplied to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ls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may connect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and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is supplied to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일례로서, 제1급수관(240a) 및 제2급수관(240b)과 물보충탱크(230) 사이에는, 메인급수관(240c)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급수관(240c)은 물보충탱크(230)와 연결되고, 제1급수관(240a) 및 제2급수관(240b)은 메인급수관(240c)과 연결될 수 있다.As an example, a main water supply pipe 240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For example, the main water supply pipe 240c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ement tank 230, and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240c.

즉 제1급수관(240a)의 일측은 메인급수관(240c)을 통해 물보충탱크(230)와 연결되고, 제1급수관(240a)의 타측은 제1가열탱크(210a)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급수관(240b)의 일측은 메인급수관(240c)을 통해 물보충탱크(230)와 연결되고, 제2급수관(240b)의 타측은 제2가열탱크(210b)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rough the main water supply pipe 240c,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eating tank 210a. In addition, one side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is connected 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rough the main water supply pipe 240c,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is connected to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Can be connected.

이때 메인급수관(240c)과 제1급수관(240a) 및 제2급수관(240b) 간의 연결은, T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메인급수관(240c)을 통해 물보충탱크(230)에서 흘러나온 물은, 제1급수관(240a)을 통해 제1가열탱크(210a)로 공급되고, 제2급수관(240b)을 통해 제2가열탱크(210b)로 공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water supply pipe 240c,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may be made by a T pipe. For example,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rough the main water supply pipe 240c is supplied to the first heating tank 210a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It may be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210b).

다른 예로서, 제1급수관(240a) 및 제2급수관(240b)은 메인급수관(240c)을 통하지 않고 물보충탱크(230)와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without going through the main water supply pipe 240c.

아울러 온수공급모듈(200)은, 배기관(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관(250)은, 가열탱크(210) 내부에서 물이 채워지지 않은 공간을 가열탱크(210) 외부로 개방하거나 물보충탱크(230)와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pipe 250 . The exhaust pipe 250 may open a space not filled with wate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or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배기관(250)의 일측에는, 가열탱크(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구(251)가 형성될 수 잇다. 그리고 배기관(250)의 타측에는, 배기구(253)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253)는, 물보충탱크(230)의 내부와 연통될 수도 있고, 사우나실(100a) 내부로 개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구(253)가 물보충탱크(230)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An inlet 25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250 . An exhaust port 253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xhaust pipe 250 . The exhaust port 253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or open to the inside of the sauna room 100a. In this embodiment, the exhaust port 253 is illustrated a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한편 상기 배기관(250)은, 제1배기관(250a)과 제2배기관(2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배기관(250a)은 제1가열탱크(210a)와 연결되며, 제2배기관(250b)은 제2가열탱크(210b)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exhaust pipe 250 may include a first exhaust pipe 250a and a second exhaust pipe 250b. The first exhaust pipe 250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nd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배기관(250a)이 제1가열탱크(210a)와 물보충탱크(230) 사이를 연결하고, 제2배기관(250b)이 제2가열탱크(210b)와 물보충탱크(23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가열탱크(210a) 내부의 공기가 제1배기관(250a)을 통해 물보충탱크(23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제2가열탱크(210b) 내부의 공기가 제2배기관(250b)을 통해 물보충탱크(23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xhaust pipe 250a connects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and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connects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 230) is exemplified by connecting between them. According to this, the air inside the first heating tank 210a can move in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rough the first exhaust pipe 250a, and the air inside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can move to the inside of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 It is possible to move in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rough.

아울러 제1배기관(250a) 및 제2배기관(250b)과 물보충탱크(230) 사이에는, 메인배기관(250c)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배기관(250c)은 물보충탱크(230)와 연결되고, 제1배기관(250a) 및 제2배기관(250b)은 메인배기관(250c)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main exhaust pipe 250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exhaust pipe 250a and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For example, the main exhaust pipe 250c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ement tank 230, and the first exhaust pipe 250a and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exhaust pipe 250c.

즉 제1배기관(250a)의 일측은 제1가열탱크(210a)와 연결되며, 이러한 제1배기관(250a)의 유입구(251)는 제1가열탱크(210a)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기관의 타측은 메인배기관(250c)과 연결되며, 이러한 제1배기관(250a)의 배기구(253)는 메인배기관(250c)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first exhaust pipe 250a is connected to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nd the inlet 251 of the first exhaust pipe 250a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heating tank 210a.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haust pipe is connected to the main exhaust pipe 250c, and the exhaust port 253 of the first exhaust pipe 250a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main exhaust pipe 250c.

또한 제2배기관(250b)의 일측은 제2가열탱크(210b)와 연결되며, 이러한 제2배기관(250b)의 유입구(251)는 제2가열탱크(210b)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기관(250b)의 타측은 메인배기관(250c)과 연결되며, 이러한 제2배기관(250b)의 배기구(253)는 메인배기관(250c)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is connected to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and the inlet 251 of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is connected to the main exhaust pipe 250c, and the exhaust port 253 of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main exhaust pipe 250c.

메인배기관(250c)의 내부는 물보충탱크(230)의 내부와 연통되며, 이에 따라 제1배기관(250a) 및 제2배기관(250b)의 배기구(253)는, 메인배기관(250c)을 통해 물보충탱크(23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main exhaust pipe 250c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and accordingly, the exhaust ports 253 of the first exhaust pipe 250a and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supply water through the main exhaust pipe 250c. It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replenishment tank 230.

이때 메인배기관(250c)과 제1배기관(250a) 및 제2배기관(250b) 간의 연결은, T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배기관(250a)을 통해 제1가열탱크(210a)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와 제2배기관(250b)을 통해 제2가열탱크(210b)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는, 메인배기관(250c)을 통해 물보충탱크(23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exhaust pipe 250c, the first exhaust pipe 250a, and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may be made by a T pipe. For exampl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heating tank 210a through the first exhaust pipe 250a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through the second exhaust pipe 250b are separated from the main exhaust pipe 250c. It can move in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rough.

가열탱크(210)에서는 물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가열탱크(210)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배기관(25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관(250)을 통해 배출된 수증기는, 물보충탱크(2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Water is heated in the heating tank 210 , and thus water vapor generated inside the heating tank 21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 As such, the water vapo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다른 예로서, 배기관(250)은 물보충탱크(230)와 연결되지 않고 사우나실(100a)의 내부로 개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관(250)의 배기구(253)는 사우나실(100a) 내부로 개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xhaust pipe 250 may be opened into the sauna room 100a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In this case, the exhaust port 253 of the exhaust pipe 250 may be opened into the sauna room 100a.

이 경우, 배기관(250)을 통해 배출된 고온의 수증기는, 사우나실(100a)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우나실(100a) 내부로 배출된 고온의 수증기는, 사우나실(100a)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사우나실(100a)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igh-temperatur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may be discharged into the sauna room 100a. The high-temperature steam discharged into the sauna room 100a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auna room 100a and adjust the humidity inside the sauna room 100a.

또한 본 실시예의 온수공급모듈(200)은, 물공급조절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조절부(260)는, 가열탱크(210)의 수위에 대응하여 급수관(240)을 통한 가열탱크(210)로의 물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물공급조절부(260)는, 물보충탱크(230)로부터 가열탱크(210)로의 물 공급을 조절하되, 물보충탱크(230)로부터 가열탱크(210)로의 물 공급이 가열탱크(210)의 수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may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in response to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 That is,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o the heating tank 210, but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o the heating tank 210 is controlled by the heating tank 2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상기 물공급조절부(260)는,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L) 이하인 조건에서 급수관(240)을 통한 가열탱크(210)로의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최저수위(L)는, 가열탱크(210)에 수용된 물의 높이에 대한 수치로서, 가열탱크(210)에 수용된 물에 대한 가열과 가열탱크(210)와 온수순환배관(101)을 통한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가열탱크(210)의 수위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may supply water 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lower than the set minimum water level (L). Here, the set minimum water level (L) is a numerical value for the height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heating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water through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It may be defined as a pre-set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as necessary for smooth circulation.

상기 물공급조절부(260)는, 저수위센서(26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위센서(261)는,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L)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저수위센서(261)는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L)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위센서(261)가 제1가열탱크(210a) 및 제2가열탱크(210b)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may include a low water level sensor 261 . The low water level sensor 261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a set minimum water level (L). As an example, the low water level sensor 261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generating different signa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below the set minimum water level (L).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low water level sensor 261 is installed in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nd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respectively.

아울러 물공급조절부(260)는, 급수밸브(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밸브(263)는, 급수관(2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밸브(263)는, 급수관(240)을 통한 가열탱크(210)로의 물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valve 263. The water supply valve 263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240 . The water supply valve 263 may regulate water supply 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밸브(263)가 제1급수밸브(263a)와 제2급수밸브(263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급수밸브(263a)는 제1급수관(240a)에 설치되며, 제2급수밸브(263b)는 제2급수관(240b)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급수밸브(263a)는 제1급수관(240a)을 통한 제1가열탱크(210a)로의 물 공급을 단속할 수 있으며, 제2급수밸브(263b)는 제2급수관(240b)을 통한 제2가열탱크(210b)로의 물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valve 263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first water supply valve 263a and a second water supply valve 263b.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63a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and the second water supply valve 263b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63a may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first heating tank 210a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and the second water supply valve 263b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Water supply to the heating tank 210b may be regulated.

예컨대, 저수위센서(261)가 제1가열탱크(210a)의 수위를 설정최저수위(L)로 감지하면, 제1급수밸브(263a)가 개방되면서 제1급수관(240a)을 통한 제1가열탱크(210a)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가열탱크(210a)로의 물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면, 제1급수밸브(263a)가 폐쇄되면서 제1급수관(240a)을 통한 제1가열탱크(210a)로의 물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w water level sensor 261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s the set lowest water level (L),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63a is opened and the first heating tank passes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Water supply to (210a) may be made. When the water supply to the first heating tank 210a is sufficiently achieved,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63a is closed and the water supply to the first heating tank 210a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may be stopped.

다른 예로서, 물공급조절부(260)는, 급수밸브(263) 대신 급수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급수펌프는, 급수밸브(263)와 마찬가지로 제1급수관(240a)과 제2급수관(240b)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may include a water supply pump instead of the water supply valve 263 . The water supply pump, like the water supply valve 263,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40b.

이와 같이 설치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물공급조절부(260)는, 급수관(240)을 통한 가열탱크(210)로의 물 공급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물보충탱크(230)가 가열탱크(210)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가열탱크(210)로의 물 공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including the water supply pump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can make the water supply to the heating tank 210 more quickly and smoothly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and the water supplement tank 230 Even when is disposed below the heating tank 210, water can be effectively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210.

[온수공급모듈의 물 공급 구조][Water supply structure of hot water supply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에 기계실(100b)이 마련되고, 기계실(100b) 내부에 온수공급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온수공급모듈(200)은, 사우나실(100a)과 구분된 별도의 공간에 배치되는 형태로 본체(100)에 내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chine room 100b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100b. That is,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may be embedded in the main body 100 in a form disposed in a separate space separated from the sauna room 100a.

온수순환배관(101)을 통해 순환하는 온수는, 기계실(100b) 내부에 배치되는 가열탱크(210)에서 공급될 수 있다. 가열탱크(210)에 설치된 가열부(220)는 가열탱크(21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가열탱크(210) 내부에 온수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가열탱크(210)에서 생성된 온수는, 온수순환배관(101)과 가열탱크(21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265) 상에 설치된 순환펌프(267)에 의해 온수순환배관(101)으로 공급될 수 있다.Hot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ay be supplied from the heating tank 210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100b. The heating unit 220 installed in the heating tank 210 may heat water accommodated in the heating tank 210 to generate hot wate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 The hot water generated in the heating tank 210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by the circulation pump 267 installed on the pipe 265 connecting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and the heating tank 210. can

온수순환배관(101)으로 공급된 온수는, 온수순환배관(101)을 따라 이동하며 사우나실(100a)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처럼 온수순환배관(101)을 따라 이동한 온수는, 다시 가열탱크(210) 내부로 복귀하여 가열탱크(210)에서 가열된 후 온수순환배관(101)을 따라 이동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moves along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and ma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auna room 100a. As such, the hot water that has moved along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is heated in the heating tank 210, and then moves along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101, repeating the cycle.

상기와 같은 온수의 순환이 반복되는 동안,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가열탱크(210)의 수위 저하는, 가열탱크(210) 내부에서 가열된 물의 증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While the circulation of hot water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may gradually decrease. A drop i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may occur due to evaporation of water heated inside the heating tank 210 .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지나치게 낮아지게 되면, 온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소정 수준 이하가 되면, 가열탱크(210)에 대한 물 보충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L) 이하일 때 가열탱크(210)에 대한 물 보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If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too low, it may be difficult to smoothly circulate hot water. Accordingly,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it is necessary to replenish the heating tank 210 with water.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water replenishment for the heating tank 210 is mad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below the set minimum water level (L).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탱크(210)와는 별도로, 기계실(100b) 내부에 물보충탱크(230)가 마련된다. 이러한 물보충탱크(230)는, 가열탱크(210)에 대한 물 보충을 위해 필요한 물을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part from the heating tank 210, a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is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100b.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store water necessary for replenishing water in the heating tank 210 .

물보충탱크(230)와 가열탱크(210) 사이는, 급수관(2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물보충탱크(230)의 물이 급수관(240)을 통해 가열탱크(210)로 공급될 수 있다.A water supply pipe 24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ement tank 230 and the heating tank 210 . That is, water in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be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

급수관(240)을 통한 물 공급은, 물공급조절부(26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서, 물공급조절부(260)는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L) 이하인 조건에서 급수관(240)을 통한 가열탱크(210)로의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Water supply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may be controlled by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 As an example,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may supply water 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lower than the set minimum water level (L).

예컨대, 제1가열탱크(210a)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L) 이하임이 저수위센서(261)에 의해 감지되면, 제1급수밸브(263a)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제1급수관(240a)을 통한 제1가열탱크(210a)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w water level sensor 261 detects that the water level of the first heating tank 210a is lower than the set minimum water level L,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63a is opened, and accordingly,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is closed.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first heating tank 210a.

아울러 물공급조절부(260)는, 고수위센서(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수위센서(262)는,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고수위(H)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고수위센서(262)는,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고수위(H)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260 may further include a high level sensor 262 . The high level sensor 262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the set highest water level (H). As an example, the high level sensor 262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generates different signa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highest water level (H).

여기서 설정최고수위(H)는, 가열탱크(210)에 수용된 물의 높이에 대한 수치로서, 배기관(250)을 통한 공기 또는 수증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 가열탱크(210)의 최고 수위로 미리 설정된 수치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수위센서(262)가 제1가열탱크(210a) 및 제2가열탱크(210b)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Here, the set highest water level (H) is a numerical value for the height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heating tank 210 allowed within the range in which air or water vapo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It can be defined as a preset value as the highest water level of .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high level sensor 262 is installed in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nd the second heating tank 210b, respectively.

예컨대, 저수위센서(261)가 제1가열탱크(210a)의 수위를 설정최저수위(L)로 감지하면, 제1급수밸브(263a)가 개방되면서 제1급수관(240a)을 통한 제1가열탱크(210a)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고수위센서(262)가 제1가열탱크(210a)의 수위를 설정최고수위(H)로 감지하면, 제1급수밸브(263a)가 폐쇄되면서 제1급수관(240a)을 통한 제1가열탱크(210a)로의 물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w water level sensor 261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s the set lowest water level (L),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63a is opened and the first heating tank passes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Water supply to (210a) may be made. And, in this process, when the high level sensor 262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first heating tank 210a as the set highest water level (H),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63a is closed and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63a is closed and the first water supply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0a Water supply to the heating tank 210a may be stopped.

상기와 같은 물 보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열탱크(210) 내부로 물이 유입될 때,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 배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가열탱크(210)에는 배기관(250)이 마련된다.In order to smoothly replenish the water as described above,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ank 210, the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must be discharged together. To this end, an exhaust pipe 250 is provided in the heating tank 210 .

배기관(250)은,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가 가열탱크(2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가열탱크(210) 상에 형성한다. 가열탱크(210)의 내부가 밀폐되어 있음을 고려하면, 배기관(250)은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 배출을 위한 주요 통로가 될 수 있다.The exhaust pipe 250 forms a passage on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 Considering that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is sealed, the exhaust pipe 250 may serve as a main passage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

배기관(250)의 유입구(251)는 가열탱크(210)의 내부와 연통되며, 배기관(250)의 배기구(253)는 물보충탱크(23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관(250)을 통해 가열탱크(2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물보충탱크(2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inlet 251 of the exhaust pipe 250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exhaust port 253 of the exhaust pipe 250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ement tank 230.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may flow in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바람직하게는, 유입구(251)는 설정최저수위(L) 이상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유입구(251)는 설정최고수위(H) 이상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구(251)가 배치됨으로써, 가열탱크(210) 내부로의 급수가 이루어질 때 배기관(250)을 통한 공기 또는 수증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inlet 251 may be dispos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set minimum water level (L). More preferably, the inlet 251 may be dispos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set highest water level (H). As the inlet 251 is disposed in this way, air or water vapo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heating tank 210 .

가열탱크(210)의 내부에서 물의 가열이 이루어질 때, 가열탱크(210)의 내부에서는 수증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증기는, 배기관(250)을 통해 물보충탱크(2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When water is heated inside the heating tank 210, steam may be generated inside the heating tank 210. And this steam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

물보충탱크(230)의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는, 물보충탱크(230) 내부의 차가운 공기 및 물과 접촉하면서 다시 물로 회수될 수 있다. 즉 가열탱크(210)에서 증발된 수분 중 상당량이 물보충탱크(230)에서 다시 회수될 수 있다.The water vapor introduced in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be recovered as wat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old air and water inside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That is, a significant amount of moisture evaporated in the heating tank 210 may be recovered again in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수공급모듈(200)은 가열탱크(210)와 별도로 마련되는 물보충탱크(230)를 포함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210, thereby providing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가열탱크(210)와 별도로 물을 저장하는 물보충탱크(230)는, 온수공급모듈(200) 전체의 물 저장 용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수공급모듈(200) 전체의 물 저장 용량이 증가되면, 온열장치(1)의 무급수 운전 시간이 그만큼 증가될 수 있게 된다.First,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for storing water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210 may serve to increase the water storage capacity of the entir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 In this way, when the water storage capacity of the entir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is increased, the non-water supply operation time of the heater 1 can be increased by that much.

즉 가열탱크(210)에 대한 물 보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물을 저장하고 있는 물보충탱크(230)의 물 저장 용량만큼, 온수공급모듈(200)에 대한 급수 간격이 증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water supply interval for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can be increased by the water storage capacity of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storing water so that the heating tank 210 can be replenished.

이처럼 온열장치(1)의 무급수 운전 시간이 증가되면 될수록, 물 보충 작업에 따르는 번거로움이 줄어들 수 있고, 온열장치(1)의 사용이 더욱 쉽고 편리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s the waterless operation time of the warmer 1 increases, the inconvenience of replenishing water can be reduced, and the effect of making the use of the warmer 1 easier and more convenient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물보충탱크(230)를 포함한 온수공급모듈(200) 전체는, 온열장치(1)에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공급모듈(200)이 파손의 위험에 노출되거나 외부로 노출된 온수공급모듈(200)이 기기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의 발생도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entir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including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be incorporated in the warming device 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from being exposed to the risk of damage or the exposed hot water supply module 200 damaging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둘째, 가열탱크(210)와 물보충탱크(230)가 각각 별도로 마련됨으로써, 온수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되고, 온수 가열 속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Second, since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are separately provided, the energy consumption required for heating the hot water is reduced and the hot water heating rate is increas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급수 운전 시간 증가를 위해 가열탱크(210)의 크기를 키울 필요가 없다. 무급수 운전 시간 증가를 위해 물보충탱크(230)가 더 추가될 뿐이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size of the heating tank 210 in order to increase the waterless operation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non-water supply operation time, a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is only added.

가열탱크(210)의 크기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히터가 한 번에 가열해야 하는 물의 양이 증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온수공급모듈(200)에서는, 온수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되고, 온수 가열 속도가 증가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ize of the heating tank 210 does not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to be heated by the heater at one time does not increase. Therefore, in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energy consumption required for heating hot water is reduced and the hot water heating rate can be increased.

즉 본 실시예의 온열장치(1)는, 무급수 운전 시간을 증가시키면서도, 적은 에너지로 신속하게 온수를 가열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warm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n effect of quickly heating hot water with little energy while increasing the non-water supply operation time.

셋째, 가열탱크(210)와 별도로 물을 저장하는 물보충탱크(230)가 가열탱크(210)와 연결됨으로써, 물보충탱크(230)가 팽창탱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for storing water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210 is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210,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can serve as an expansion tank.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보충탱크(230)는 급수관(240) 외에도 배기관(250)을 통해서도 가열탱크(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는, 배기관(250)을 통해 물보충탱크(230)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be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as well as the water supply pipe 240 . Accordingly,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may move 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

가열탱크(210)에 물이 가득 채워진 경우,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물의 열팽창으로 인해 가열탱크(21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될 수 있으며, 이는 가열탱크(210)에서 발생되는 누수의 원인이 되거나, 가열탱크(210)의 파손이 발생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When the heating tank 210 is filled with water, the pressure inside the heating tank 210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due to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water generated as the water is heated, which is a cause of leaks in the heating tank 210. This may be a cause of damage to the heating tank 2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탱크(210)와 물보충탱크(230)가 배기관(250)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열탱크(210)의 압력이 상승되더라도 이 압력 상승의 영향이 물보충탱크(230)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are connected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even if the pressure of the heating tank 210 rises, the effect of this pressure increase is not affected by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can be offset by

가열탱크(210) 내부의 압력 상승의 주요인은,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된 수증기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가열탱크(210)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배기관(250)을 통해 가열탱크(210)로 외부로 배출된 후 물보충탱크(230)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열탱크(210) 내부의 압력은 적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main cause of the increase in pressure inside the heating tank 210 may be steam generated while water is heated. As such, the water vapor generated inside the heating tank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to the heating tank 210 and then can move 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whereby the pressure inside the heating tank 210 will be a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level.

넷째, 가열탱크(210)와 물보충탱크(230)을 연결하는 배기관(250)의 작용에 의해, 가열탱크(210)에 대한 물 공급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급수 운전 시간이 더욱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Fourth, by the action of the exhaust pipe 250 connecting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e water supply to the heating tank 210 can be made quickly and smoothly, and the non-water supply operation time is further reduced.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상술한 바와 같이, 물보충탱크(230)가 팽창탱크 역할을 수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열탱크(210)와 물보충탱크(230)가 배기관(250)에 의해 연결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o serve as an expansion tank,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ust be connected by an exhaust pipe 250.

이처럼 가열탱크(210)와 물보충탱크(230)를 연결하는 배기관(250)은, 가열탱크(210)에 대해 이루어지는 급수 및 가열탱크(210)에서 배출되는 수증기의 회수에도 관여할 수 있다.As such, the exhaust pipe 250 connecting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be involved in supplying water to the heating tank 210 and recovering steam discharged from the heating tank 210.

급수관(240)을 통한 가열탱크(210)로의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열탱크(210)로 물이 유입되는 동안에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의 배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In order to smoothly supply water 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must also be discharged whil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ank 2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관(240)을 통해 가열탱크(210)로 물이 유입될 때,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가 배기관(250)을 통해 가열탱크(2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가열탱크(210)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수증기는, 배기관(250)을 통해 물보충탱크(2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water flows in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the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 In addition, water vapo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tank 210 may flow in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

물보충탱크(230)의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는, 물보충탱크(230) 내부의 차가운 공기 및 물과 접촉하면서 다시 물로 회수될 수 있다. 즉 가열탱크(210)에서 증발된 수분 중 상당량이 물보충탱크(230)에서 다시 회수될 수 있다.The water vapor introduced into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be recovered as wat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old air and water inside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That is, a significant amount of moisture evaporated in the heating tank 210 may be recovered again in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

가열탱크(210)와 물보충탱크(230)이 배기관(25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가열탱크(210)에 대한 급수가 이루어질 때 가열탱크(210)의 내부의 공기 배출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가열탱크(210)에 대한 물 공급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Since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are connected by the exhaust pipe 250,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210, the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can be discharged smoothly. , Water supply to the heating tank 210 can be made quickly and smoothly.

또한 가열탱크(210)와 물보충탱크(230)이 배기관(25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가열탱크(210)에서 배출되는 수증기가 물보충탱크(230)의 수량을 증가시키는 수분으로 회수될 수 있게 되므로, 온열장치(1)의 무급수 운전 시간이 더욱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are connected by the exhaust pipe 250, the water vapo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tank 210 can be recovered as moisture to increase the water quantity of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herefore, the non-water supply operation time of the warming device 1 can be increased more effectively.

[분지관의 구조][Structure of branch pipe]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분지관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분지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nch pipe shown in FIG. 7 in isola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ranch pipe shown in FIG. 8 .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온수공급모듈(200)은 분지관(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지관(270)은, 가열탱크(210)와 급수관(240) 사이, 가열탱크(210)와 배기관(250)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Referring to FIGS. 6 to 9 ,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ranch pipe 270 . The branch pipe 270 is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water supply pipe 240 and between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exhaust pipe 250 .

분지관(270)의 일측은 가열탱크(210)와 연결되며, 분지관(270)의 타측은 급수관(240) 및 배기관(25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분지관(270)은, 연결관부(271)와 제1분지관부(273)와 제2분지관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branch pipe 270 may be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pipe 27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240 and the exhaust pipe 250, respectively. The branch pipe 270 may include a connection pipe part 271 , a first branch pipe part 273 , and a second branch pipe part 275 .

연결관부(271)는, 가열탱크(210)와 제1및 제2분지관부(273, 27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관부(271)의 내부는 제1유로(271a)와 제2유로(271b)로 구획될 수 있고, 연결관부(271)의 일측은 가열탱크(2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부(271)의 타측은, 제1분지관부(273) 및 제2분지관부(275)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part 27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first and second branch pipe parts 273 and 275 .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271 may be partitioned into a first passage 271a and a second passage 271b, and one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271 may be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210 . Als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tube unit 27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tube unit 273 and the second branch tube unit 275 , respectively.

제1분지관부(273)는, 연결관부(271)와 급수관(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분지관부(273)의 일측은 연결관부(271)의 제1유로(271a)와 연결될 수 있고, 제1분지관부(273)의 타측은 급수관(24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분지관부(273)는, 제1유로(271a)와 급수관(24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branch pipe part 27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part 271 and the water supply pipe 240 . One side of the first branch pipe part 27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271a of the connection pipe part 271,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ranch pipe part 273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240. That is, the first branch pipe unit 273 may connect the first flow passage 271a and the water supply pipe 240 .

제2분지관부(275)는, 연결관부(271)와 배기관(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분지관부(275)의 일측은 연결관부(271)의 제2유로(271b)와 연결될 수 있고, 제2분지관부(275)의 타측은 배기관(25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분지관부(275)는, 제2유로(271b)와 배기관(25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branch pipe part 27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part 271 and the exhaust pipe 250 . One side of the second branch pipe part 27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271b of the connection pipe part 271,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ranch pipe part 275 may be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250. That is, the second branch pipe 275 may connect the second flow path 271b and the exhaust pipe 250 .

본 실시예에서는, 분지관(270)이 연결관부(271)와 제1분지관부(273) 및 제2분지관부(275)가 "Y" 형상으로 연결된 Y관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연결관부(271)의 일측은 가열탱크(210)와 연결되고, 제1분지관부(273) 및 제2분지관부(275)는 연결관부(271)의 타측으로부터 각각 분기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ranch pipe 27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 Y pipe in which the connecting pipe part 271, the first branch pipe part 273, and the second branch pipe part 275 are connected in a “Y” shape. According to this, one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271 may be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first branch pipe part 273 and the second branch pipe part 275 may branch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271, respectively.

그리고 연결관부(271)의 내부에는, 구획부재(272)가 배치될 수 있다. 구획부재(272)는, 연결관부(271) 내부를 제1유로(271a)와 제2유로(271b)로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제2유로(271b)와 분리된 제1유로(271a)는, 가열탱크(210) 내부와 제1분지관부(273)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271b)는, 가열탱크(210) 내부와 제2분지관부(27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A partition member 272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nnecting pipe part 271 . The partition member 272 may divide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271 into a first flow path 271a and a second flow path 271b. The first flow path 271a separated from the second flow path 271b in this way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first branch pipe part 273 . Also, the second passage 271b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second branch pipe 275 .

구획부재(272)는, 제1유로(271a)를 따라 이동하는 물이 제2유로(271b)로 흘러나가지 않게, 그리고 제2유로(271b)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제1유로(271a)로 새어나가지 않게, 연결관부(271) 내부를 제1유로(271a)와 제2유로(271b)로 분리할 수 있다.The partition member 272 prevents water moving along the first flow path 271a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flow path 271b and prevents air moving along the second flow path 271b from flowing into the first flow path 271a. To prevent leakage,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ipe 271 may be separated into a first flow path 271a and a second flow path 271b.

상기 연결관부(271)와 제1분지관부(273)와 제2분지관부(275) 및 구획부재(27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지관(270)은, 제1분지관부(273)와 제2분지관부(275) 및 구획부재(272)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part 271, the first branch pipe part 273, the second branch pipe part 275, and the partition member 272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branch pipe 270 may be provided as a single member in which the first branch pipe part 273, the second branch pipe part 275, and the partition member 272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분지관(270)은, 급수관(240)과 가열탱크(210) 간의 연결, 그리고 배기관(250)과 가열탱크(210) 간의 연결이 하나의 구조물에 의해 한 지점에서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분지관(270)은, 급수를 위해 가열탱크(210)에 마련된 급수홀(211)에 급수관(240)뿐 아니라 배기관(250)의 연결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ranch pipe 270 serves to enab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240 and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haust pipe 250 and the heating tank 210 to be made together at one point by one structure. do. That is, the branch pipe 270 may serve to connect not only the water supply pipe 240 but also the exhaust pipe 250 to the water supply hole 211 provided in the heating tank 210 for water supply.

상기 분지관(270)은, 급수를 위해 가열탱크(210)에 마련된 급수홀(211)만을 이용하여 급수 및 배기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기를 위한 천공(Boring)이 가열탱크(210)에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게 한다.The branch pipe 270 allows water supply and exhaust to be performed together using only the water supply hole 211 provided in the heating tank 210 for water supply, so that boring for exhaust is added to the heating tank 210. do not have to be done.

즉 상기 분지관(270)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온수공급모듈(200)은, 배기를 위한 천공이 가열탱크(210)에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천공 부위의 증가로 인한 누수 발생 위험을 낮추고, 열 누설로 인한 에너지 낭비 발생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branch pipe 270 eliminates the need for an additional hole for exhaust to be made in the heating tank 210,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leakag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les. , energy waste due to heat leakage can be suppressed.

또한 분지관(270)에 급수관(240) 및 배기관(250)을 연결하고 이 분지관(270)을 가열탱크(210)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급수관(240) 및 배기관(250)을 가열탱크(210)에 연결하는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지관(270)은, 급수관(240) 및 배기관(250) 연결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imply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ipe 240 and the exhaust pipe 250 to the branch pipe 270 and connecting the branch pipe 270 to the heating tank 210, the water supply pipe 240 and the exhaust pipe 250 are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 210) may be completed. That is, the branch pipe 270 may also provide an effect of allowing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240 and the exhaust pipe 250 to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한편 상기 분지관(270)에 마련되는 구획부재(272)의 적어도 일부분은, 연결관부(271)의 내부로부터 연결관부(27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관부(271)의 외부로 돌출된 구획부재(272)의 일부분은, 분지관(270)과 연결된 가열탱크(210)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272 provided in the branch pipe 270 may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part 271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ipe part 271 . As such, a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272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ipe unit 271 may protrude into the heating tank 210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270 .

상기와 같이 가열탱크(210)의 내부로 돌출된 구획부재(272)의 일부분은, 가열탱크(210) 내부에서 제1유로(271a)의 출구와 제2유로(271b)의 입구 사이를 가로막는 차단벽 역할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272 protruding into the heating tank 210 blocks the opening between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th 271a and the inlet of the second flow path 271b inside the heating tank 210. can serve as a wall.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관(24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제1분지관부(273) 및 제1유로(271a)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가열탱크(2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 또는 수증기는, 제2유로(271b) 및 제2분지관부(275)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배기관(250)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may be supplied in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a passage formed by the first branch pipe 273 and the first flow path 271a. Air or water vapo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may move to the exhaust pipe 250 through a passage formed by the second flow path 271b and the second branch pipe part 275 .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가열탱크(210)의 내부와 제1유로(271a)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지점은 제1유로(271a)의 출구라고 할 수 있고, 가열탱크(210)의 내부와 제2유로(271b)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지점은 제2유로(271b)의 입구라고 할 수 있다.Considering this point, the point where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first flow path 271a are connected can be referred to as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th 271a, and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second flow path The point where the connection of 271b is made may be referred to as an inlet of the second flow path 271b.

제1유로(271a)를 통해 가열탱크(210) 내부로의 급수가 이루어질 때, 가열탱크(2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이 제2유로(271b)의 입구를 막을 수도 있다. 그러나 가열탱크(210)의 내부로 돌출된 구획부재(272)의 일부분이 가열탱크(210) 내부에서 제1유로(271a)의 출구와 제2유로(271b)의 입구 사이를 가로막음으로써, 가열탱크(2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이 제2유로(271b)의 입구를 막지 못하게 작용할 수 있다.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71a,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heating tank 210 may block the inlet of the second flow path 271b. However, a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272 protruding into the heating tank 210 blocks between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th 271a and the inlet of the second flow path 271b inside the heating tank 210, thereby heating the heating tank 210.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tank 210 may prevent the inlet of the second flow path 271b from being blocked.

즉 가열탱크(210)의 내부로 돌출된 구획부재(272)의 일부분은, 제1유로(271a)를 통해 가열탱크(2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이 제2유로(271b)를 통해 이루어지는 배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art of the partition member 272 protruding into the heating tank 210,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71a is exhausted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71b. can act to prevent the flow of

[온수공급모듈의 다른 실시예][Another embodiment of hot water supply modul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배기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배기부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배기부재의 하단홀이 잠긴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rm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haust member shown in FIG. 10 in a separated stat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haust member shown in FIG. 11,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hole of the exhaust member shown in FIG. 12 is locked.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에서 예시된 온열장치(1; 도 7 참조)도 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열장치 간의 주요 차이점은, 온수공급모듈(300)에 있다.10 to 12,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warming device (1; see FIG. 7) illustrat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warm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es in the hot water supply module 300.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모듈(300)은, 배기부재(3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탱크(210)에는, 벤트홀(313)이 마련될 수 있다. 벤트홀(313)은, 가열탱크(210)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서 가열탱크(210)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기관(250)은, 벤트홀(313)을 통해 가열탱크(2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hot water supply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exhaust member 380. A vent hole 313 may be provided in the heating tank 210 . The vent hole 313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heating tank 210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 The exhaust pipe 250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vent hole 313 .

본 실시예에서는, 벤트홀(313)을 통해서만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가열탱크(210)의 내부가 밀폐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 또는 수증기는, 벤트홀(313) 및 이와 연결된 배기관(250)을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is seal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can b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vent hole 313 . That is, air or water vapo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can b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vent hole 313 and the exhaust pipe 250 connected thereto.

바람직하게는, 벤트홀(313)은 설정최저수위(L) 이상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벤트홀(313)은 설정최고수위(H) 이상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트홀(313)은 가열탱크(2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벤트홀(313)이 배치됨으로써, 가열탱크(210) 내부로의 급수가 이루어질 때 배기관(250)을 통한 공기 또는 수증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vent hole 313 may be dispos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set minimum water level (L). More preferably, the vent hole 313 may be dispos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set highest water level (H). More preferably, the vent hole 313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heating tank 210 . As such, the vent hole 313 is disposed so that air or water vapo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250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

배기부재(380)는, 가열탱크(2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게 마련되며, 벤트홀(313)을 통해 가열탱크(2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부재(380)는, 삽입부(381) 및 연결부(383)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member 38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vent hole 313 . The exhaust member 380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381 and a connection part 383 .

삽입부(381)는, 중공이 형성된 막대(Ro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381)는, 벤트홀(313)을 통해 가열탱크(2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삽입부(381)는, 배기부재(380) 중 가열탱크(210)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에 해당된다.The insertion portion 381 may be formed in a hollow rod shape. The insertion part 381 may be inserted in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vent hole 313 . That is, the insertion portion 381 corresponds to a portion of the exhaust member 380 inserted into the heating tank 210 .

연결부(383)는, 삽입부(381)와 마찬가지로 중공이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83)는, 삽입부(381)와 연결되며, 가열탱크(2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연결부(383)는, 배기부재(380) 중 가열탱크(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해당된다.Like the insertion part 381, the connection part 383 may be formed in a hollow rod shape. This connection portion 383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381 an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 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383 corresponds to a portion of the exhaust member 380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381)와 연결부(383)가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로 배기부재(380)가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배기부재(380)는, 대략 빨대(Straw)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exhaust member 380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insertion part 381 and the connection part 383 are vertically connected. This exhaust member 38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straw shape.

이에 따르면, 연결부(383)는 삽입부(38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열탱크(2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부(383)에는 배기관(250)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부(383)는, 삽입부(381)와 배기관(250)을 연결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connection portion 383 may extend upward from the insertion portion 381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and the exhaust pipe 2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83. That is, the connection part 383 may be a medium connecting the insertion part 381 and the exhaust pipe 250 .

삽입부(381)의 하단에는, 하단홀(38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383)의 상단에는, 상단홀(383a)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단홀(381a)은 삽입부(381)의 하단에서 삽입부(381)의 내부를 하부로 개방하고, 상단홀(383a)은 연결부(383)의 상단에서 연결부(383)의 내부를 상부로 개방할 수 있다.A lower hole 381a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381 . An upper hole 383a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383 . The lower hole 381a opens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art 381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art 381, and the upper hole 383a opens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art 383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383. can do.

삽입부(381) 및 연결부(383)의 내부는, 하단홀(381a)을 통해 가열탱크(2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고, 상단홀(383a)을 통해 배기관(25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홀(381a)은, 벤트홀(31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insertion part 381 and the connection part 383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lower hole 381a and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250 through the upper hole 383a. can Also, the lower hole 381a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vent hole 313 .

상기 배기부재(380)는, 체결플레이트(3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385)는, 삽입부(381)와 연결부(3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가열탱크(210)의 상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플레이트(385)는, 가열탱크(21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가열탱크(2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체결플레이트(385)는, 배기부재(380)를 가열탱크(2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exhaust member 38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late 385 . The fastening plate 385 may protrude from at least one of the insertion portion 381 and the connection portion 383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tank 210 . The fastening plate 385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tank 210 and coupled with the heating tank 210 . That is, the fastening plate 385 may serve to fix the exhaust member 380 to the heating tank 210 .

한편 상기 물보충탱크(230)는, 물보충탱크(230)에서 가열탱크(210)로의 자연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보충탱크(230)의 하단의 높이가 가열탱크(210)의 상단의 높이 이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물보충탱크(230)의 하단의 높이가 하단홀(381a)의 높이 이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be disposed at a height where natural water supply from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o the heating tank 210 can be made.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heating tank 210 . More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hole 381a.

이와 같은 위치에 물보충탱크(230)가 배치됨으로써, 물보충탱크(230)에서 가열탱크(210)로의 자연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급수펌프와 같은 장치 없이도,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물의 흐름만으로 물보충탱크(230)에서 가열탱크(210)로의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By disposing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at such a position, natural water supply from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o the heating tank 210 can be achieved. That is,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o the heating tank 210 only by the flow of water flowing from top to bottom without a device such as a water supply pump.

그리고 하단홀(381a)은, 벤트홀(31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되, 벤트홀(313)의 높이와 설정최저수위(L) 사이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And the lower hole 381a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vent hole 313, and may be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height of the vent hole 313 and the set minimum water level (L).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벤트홀(313)을 통해서만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가열탱크(210)의 내부가 밀폐된다. 그리고 벤트홀(313)에는 배기부재(380)가 끼워지고, 벤트홀(313)과 배기부재(380) 사이의 틈도 밀폐된다. 따라서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는, 배기부재(380)를 통해서만 가열탱크(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210 is sealed so that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can b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vent hole 313 . In addition, the exhaust member 380 is inserted into the vent hole 313, and the gap between the vent hole 313 and the exhaust member 380 is also sealed. Therefore, the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only through the exhaust member 380 .

이에 따르면, 하단홀(381a)이 막힐 경우, 가열탱크(210)의 내부의 공기가 가열탱크(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없다. 예컨대, 하단홀(381a)이 가열탱크(210)에 수용된 물에 잠긴다면, 가열탱크(210)의 내부의 공기가 가열탱크(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없다. 가열탱크(210)의 내부의 공기가 가열탱크(210)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면, 물보충탱크(230)에서 가열탱크(210)로의 급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lower hole 381a is blocked,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can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 For example, if the lower hole 381a is submerg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heating tank 210, the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can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If the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it is difficult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o the heating tank 210.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배기부재(380)는 하단홀(381a)이 설정최저수위(L)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 이하가 될 경우, 물보충탱크(230)에서 가열탱크(210)로의 자연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Considering this point, the exhaust member 380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lower hole 381a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t minimum water level L. Accordingly,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below the set minimum water level, water may be supplied naturally from the water replenishing tank 230 to the heating tank 210 .

또한 배기부재(380)는, 하단홀(381a)이 설정최고수위(H) 이하인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고수위 이상이 될 경우, 물보충탱크(230)에서 가열탱크(210)로의 자연 급수가 중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member 38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lower hole 381a is disposed at a position below the set highest water level (H). Accordingly,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higher than the set maximum water level, the natural supply of water from the water replenishing tank 230 to the heating tank 210 may be stopped.

예컨대,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고수위 이상이 되면, 하단홀(381a)이 물에 잠겨 가열탱크(210) 내부의 공기가 가열탱크(210)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보충탱크(230)에서 가열탱크(210)로의 자연 급수가 중단될 수 있다(도 13 참조).For exampl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is higher than the set maximum water level, the lower hole 381a is submerged in water, preventing the air inside the heating tank 21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tank 210. The natural supply of water from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230 to the heating tank 210 may be stopped (see FIG. 13).

즉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고수위(H)에 도달되면, 배기부재(380)에 마련된 배기 통로가 막히고, 이에 따라 가열탱크(210) 내부로의 물 유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reaches the set highest water level (H), the exhaust passage provided in the exhaust member 380 is blocked, and accordingly, water is not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ank 210.

이에 따르면, 상기 배기부재(380)가 이전 실시예에서 예시된 고수위센서(262)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가열탱크(210)에 고수위센서(262)가 별도로 설치되지 않아도, 가열탱크(210)의 수위가 설정최고수위(H)에 도달되면 급수관(240)을 통한 가열탱크(210)로의 물 공급이 배기부재(380)의 작용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exhaust member 380 can replace the role of the high level sensor 262 exemplifi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at is, even if the high level sensor 262 is not separately installed in the heating tank 21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210 reaches the set maximum water level (H), wat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2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0. It can be stopped by the action of the exhaust member 380.

상기한 바와 같은 배기부재(380)는, 가열탱크(210)로의 자연 급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부재(38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온수공급모듈(300)은, 급수펌프나 고수위센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가열탱크(210)로의 물 공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열장치의 제조 비용 및 중량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exhaust member 380 as described above may contribute to effectively supplying natural water to the heating tank 210 . The hot water supply module 300 of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n exhaust member 380 enables water to be effectively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210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water supply pump or high level sensor, thereby manufacturing a warming device. It can contribute to lower cost and weigh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 : 온열장치
100 : 본체
100a : 사우나실
100b : 기계실
101 : 온수순환배관
110 : 온열벽체
111 : 제1후면벽체
113 : 제2후면벽체
115 : 후면서포터
120 : 온열바닥체
121 : 바닥패널
130 : 측벽체
131 : 측면패널
133 : 제1세로프레임
135 : 측면외장패널
140 : 전방벽체
140a: 출입구
141 : 전면패널
142 : 제2세로프레임
143 : 전면외장패널
145 : 도어
150 : 지지체
151 : 베이스프레임
153 : 지지틀
160 : 상부벽체
161 : 상부패널
163 : 가로프레임
165 : 상면외장패널
170 : 전장케이스
200,300 : 온수공급모듈
210 : 가열탱크
210a : 제1가열탱크
210b : 제2가열탱크
211 : 급수홀
220 : 가열부
230 : 물보충탱크
240 : 급수관
240a : 제1급수관
240b : 제2급수관
240c : 메인급수관
250 : 배기관
250a : 제1배기관
250b : 제2배기관
250c : 메인배기관
251 : 유입구
253 : 배기구
260 : 물공급조절부
261 : 저수위센서
262 : 고수위센서
263 : 급수밸브
263a : 제1급수밸브
263b : 제2급수밸브
265 : 배관
267 : 순환펌프
270 : 분지관
271 : 연결관부
271a : 제1유로
271b : 제2유로
272 : 구획부재
273 : 제1분지관부
275 : 제2분지관부
313 : 벤트홀
380 : 배기부재
381 : 삽입부
381a : 하단홀
383 : 연결부
383a : 상단홀
385 : 체결플레이트
1: Warmer
100: body
100a: sauna room
100b: machine room
101: hot water circulation pipe
110: thermal wall
111: first rear wall
113: second rear wall
115: back porter
120: heated floor
121: bottom panel
130: side wall body
131: side panel
133: first vertical frame
135: side exterior panel
140: front wall
140a: entrance
141: front panel
142: second vertical frame
143: front exterior panel
145: door
150: support
151: base frame
153: support frame
160: upper wall
161: upper panel
163: horizontal frame
165: top exterior panel
170: battlefield case
200,300: hot water supply module
210: heating tank
210a: first heating tank
210b: second heating tank
211: water supply hole
220: heating unit
230: water supplement tank
240: water supply pipe
240a: first water supply pipe
240b: second water supply pipe
240c: main water supply pipe
250: exhaust pipe
250a: first exhaust pipe
250b: second exhaust pipe
250c: main exhaust pipe
251: inlet
253: exhaust vent
260: water supply control unit
261: low water level sensor
262: high level sensor
263: water supply valve
263a: first water supply valve
263b: second water supply valve
265: piping
267: circulation pump
270: branch pipe
271: connector part
271a: first euro
271b: second flow path
272: partition member
273: first branch pipe
275: second branch pipe
313: vent hole
380: exhaust member
381: insertion part
381a: lower hole
383: connection part
383a: upper hole
385: fastening plate

Claims (15)

온열벽체와 온열바닥체로 둘러싸인 공간인 사우나실, 및 상기 사우나실과 구분된 공간인 기계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온열벽체와 온열바닥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온수순환배관;
내부에 물을 수용하며, 상기 온수순환배관과 연결되는 가열탱크;
상기 가열탱크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탱크와 별도로 마련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물보충탱크;
상기 물보충탱크와 상기 가열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급수관; 및
상기 가열탱크 내부에서 물이 채워지지 않은 공간과 연결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탱크에서 가열된 물이 상기 온수순환배관을 따라 이동한 후 다시 상기 가열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물보충탱크의 물이 상기 온수순환배관과 별도로 마련된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가열탱크로 공급되는 온열장치.
A body in which a sauna room, which is a space surrounded by a heated wall and a heated floor, and a machine room, which is a space separated from the sauna room, are formed therein;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heating wall and the heating floor;
a heating tank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eating tank;
a water replenishment tank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tank and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and the heating tank; and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a space not filled with water inside the heating tank;
After the water heated in the heating tank moves along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the water flowing into the heating tank is circulated again,
The warming device in which water from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is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타측에는, 상기 배기관의 내부를 개방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물보충탱크의 내부와 연결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xhaust pipe, an exhaust port for opening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is formed,
The exhaust port is a warming devic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타측에는, 상기 배기관의 내부를 개방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사우나실 내부로 개방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xhaust pipe, an exhaust port for opening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is formed,
The exhaust port is a warming device that is opened to the inside of the sauna ro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관을 통한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을 조절하는 물공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rm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water supply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n response to the water level in the heating ta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조절부는,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 이하인 조건에서 상기 급수관을 통한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설정최저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allows water to be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is lower than the set minimum water level,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t minimum water lev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조절부는,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 및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한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을 단속하는 급수밸브 또는 급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위센서가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를 상기 설정최저수위로 감지하면, 상기 급수관을 통한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급수밸브 또는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includes a low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water level in the heating tank is a set minimum water level, and a water supply valve or water supply pump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do,
When the low water level sensor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as the set minimum water level, the water supply valve or the water supply pump is operated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가열탱크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급수관 및 배기관과 각각 연결되는 분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지관은, 내부가 제1유로와 제2유로로 구획된 연결관부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급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제1분지관부, 및 상기 제2유로와 상기 배기관 사이를 연결하는 제2분지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부의 일측은, 상기 가열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1분지관부 및 상기 제2분지관부는, 상기 연결관부의 타측으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ranch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exhaust pipe, respectively;
The branch pipe includes a connection pipe portion having an interior partitioned into a first flow passage and a second flow passage, a first branch pip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water supply pipe, and a connecting pipe between the second flow passage and the exhaust pipe. Including two branch pipes,
One side of the connecting pipe part is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The first branch pipe part and the second branch pipe part are each branch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관은, 상기 연결관부와 상기 제1분지관부 및 상기 제2분지관부가 Y 형상으로 연결된 Y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관부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부 내부를 상기 제1분지관부와 연결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분지관부와 연결된 상기 제2유로로 분리하는 구획부재가 배치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branch pip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Y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part, the first branch pipe part, and the second branch pipe part in a Y shape,
A partition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ing pipe part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part into the first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ipe part and the second flow path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ipe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분지관과 연결된 상기 가열탱크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관부의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8,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so as to protrude into the heating tank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와 상기 제1분지관부와 상기 제2분지관부와 상기 구획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8,
A warming device in which the connecting pipe part, the first branch pipe part, the second branch pipe part, and the partition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에는,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가열탱크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벤트홀이 마련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벤트홀을 통해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tank is provided with a vent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heating tank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The exhaust pip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vent ho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배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벤트홀을 통해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상기 배기관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홀을 통해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홀을 통해 상기 배기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n exhaust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The exhaust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heating tank through the vent hol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insertion part to the exhaust pipe,
The insertion part and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art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through a lower hol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sertion part and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through an upper ho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가열탱크의 상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열탱크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체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exhaust member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late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insert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tank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tank.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보충탱크는, 상기 물보충탱크에서 상기 가열탱크로의 자연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벤트홀을 통해서만 상기 가열탱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상기 가열탱크의 내부가 밀폐되고,
상기 하단홀은, 상기 벤트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is disposed at a height at which water can be supplied naturally from the water replenishment tank to the heating tank,
The inside of the heating tank is seal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heating tank can b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vent hole,
The lower hole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vent ho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의 수위가 설정최저수위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홀은, 상기 벤트홀의 높이와 상기 설정최저수위 사이의 높이에 배치되는 온열장치.
According to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low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heating tank is a set minimum water level,
The lower hole is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height of the vent hole and the set minimum water level.
KR1020200189189A 2020-12-31 2020-12-31 Heating device KR102524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189A KR102524846B1 (en) 2020-12-31 2020-12-31 He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189A KR102524846B1 (en) 2020-12-31 2020-12-31 He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02A KR20220096602A (en) 2022-07-07
KR102524846B1 true KR102524846B1 (en) 2023-04-21

Family

ID=8239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189A KR102524846B1 (en) 2020-12-31 2020-12-31 He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84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710B1 (en) * 2006-03-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system of sauna booth
JP2007205671A (en) * 2006-02-03 2007-08-16 Denso Corp Heat pump type water heater
JP2010051512A (en) * 2008-08-28 2010-03-11 Panasonic Corp Saun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384B1 (en) * 2010-09-13 2012-11-02 피엘에이치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Steam Generator For Sauna
KR101840427B1 (en) 2016-12-01 2018-05-04 강기병 The structure of sauna roo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671A (en) * 2006-02-03 2007-08-16 Denso Corp Heat pump type water heater
KR100673710B1 (en) * 2006-03-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system of sauna booth
JP2010051512A (en) * 2008-08-28 2010-03-11 Panasonic Corp Saun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02A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5974B2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omprising a recirculation module
CN105492681A (en) Laundry appliance having overheating preventing system
KR101924730B1 (en) Warm or cool water circulating apparatus for a mat
KR20190038334A (en) Towel warmer
KR102524846B1 (en) Heating device
KR20190038466A (en) Towel warmer
KR101495571B1 (en) Cooling or heating type massage chair
KR100961937B1 (en) Electric heating hot water supply apparatus
KR20190002339U (en) Hot water boiler for camping
KR20220096601A (en) Heating device
JP4877580B2 (en)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KR20190038467A (en) Towel warmer
CA1187750A (en) Thermo storage water heater having extended heat withdrawal
KR20220096600A (en) Heating device
JP3741105B2 (en) Heat pump water heater
KR101434900B1 (en) Boiler that is inserted into the oven, open the rear
KR200294627Y1 (en) Compulsory circular apparatus used of heat energy and hot water mat used its apparatus
KR102614891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a heating device
KR100865083B1 (en) Energy saving type electric boiler
JP2008082688A (en) Heat storing and radiating device and heat supply system
KR100904998B1 (en) Electric boiler
KR102543124B1 (en) Protable hot water boiler using anti-start heater
JP4021631B2 (en) Stove with a built-in hot water heat exchanger
KR20130014779A (en) Solar boiler system
KR20140140233A (en) The mat for circulating hot and cool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