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820B1 -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820B1
KR102524820B1 KR1020200114515A KR20200114515A KR102524820B1 KR 102524820 B1 KR102524820 B1 KR 102524820B1 KR 1020200114515 A KR1020200114515 A KR 1020200114515A KR 20200114515 A KR20200114515 A KR 20200114515A KR 102524820 B1 KR102524820 B1 KR 102524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rug
comparison
tak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779A (ko
Inventor
정수용
전한수
허성필
박병선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8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약을 복용하는 환자의 약물 복용 상태를 관리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설정 주기마다 상기 환자의 담당 간호사가 사용하는 간호사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치료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치료 정보를 수신하는 치료 정보 수신부, 상기 치료 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약물 복용 스케줄을 추출하여 상기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약물 복용 스케줄 전송부, 추출된 상기 약물 복용 스케줄에 따른 약물 복용 시간이 도래 하면 상기 환자 단말에 해당 약물의 복용 시간임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전송하고,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 단말의 촬영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환자 단말 활성화부,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 단말을 통해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간호사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정보 전송부, 및 상기 간호사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환자가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복용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간호사 단말에 입력한 제1 복용 신호를 수신하는 복용 신호 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OF MEDICINE TAKING }
본 발명은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와 동일한 질병, 나이대, 성별을 가진 다른 비교 환자들의 약물 복용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여 환자가 올바른 약물 복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만성질환이라 할 수 있는 고혈압, 당뇨, 비만을 비롯하여 뇌혈관계 질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초고령화 사회 진입과 함께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 문제는 심각한 상태이다. 2017년 노인실태 조사에 따르면, 노인의 89.5%가 만성질환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처방약물 수는 3.9개에 이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복약순응이 성공적 치료에 선결조건임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약물복용 지식과 이행 정도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이는 병원 입원율과 사망률을 높이고, 의료비를 상승시키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는 담당 간호사의 주도 지역 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약물 복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행문헌]
등록 특허 10-1635744
본 발명은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와 동일한 질병, 나이대, 성별을 가진 다른 비교 환자들의 약물 복용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여 환자가 올바른 약물 복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약을 복용하는 환자의 약물 복용 상태를 관리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설정 주기마다 상기 환자의 담당 간호사가 사용하는 간호사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치료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치료 정보를 수신하는 치료 정보 수신부, 상기 치료 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약물 복용 스케줄을 추출하여 상기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약물 복용 스케줄 전송부, 추출된 상기 약물 복용 스케줄에 따른 약물 복용 시간이 도래 하면 상기 환자 단말에 해당 약물의 복용 시간임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전송하고,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 단말의 촬영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환자 단말 활성화부,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 단말을 통해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간호사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정보 전송부, 및 상기 간호사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환자가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복용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간호사 단말에 입력한 제1 복용 신호를 수신하는 복용 신호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용 신호 수신부를 상기 간호사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환자가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복용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간호사 단말에 입력한 제2 복용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복용 신호는 상기 환자가 약물 종류, 약물 복용량, 복용 자세, 복용 시 물의 양 및 약물 복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잘못되었다 오남용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상기 제2 복용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간호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복용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게 지시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지시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복용이 되어야 하는 약물의 종류, 해당 약물의 복용량, 복용 자세, 해당 약물 복용 시 물의 양, 및 해당 약물의 복용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상기 제2 복용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1 복용 신호가 수신된 환자 리스트에서 상기 제2 복용 신호가 수신된 환자와 동일한 질병, 동일한 나이대, 동일한 성별, 유사 범위 내의 생활 습관을 가지는 환자를 비교 환자로 추출하는 비교 환자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제2 복용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오남용 정보에 대응하는 비교 데이터를 추출하는 비교 데이터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자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약물 복용 스케줄에 따른 약물 복용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알람 신호와 동시에 상기 비교 데이터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오남용 정보가 약물 종류인 경우, 상기 비교 데이터 추출부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비교 환자가 복용하는 약물을 인식하여 이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오남용 정보가 약물 복용량인 경우, 상기 비교 데이터 추출부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비교 환자가 복용하는 약물량을 인식하여 이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오남용 정보가 복용 자세인 경우, 상기 비교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비교 환자의 신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교 환자의 신체를 부위 별로 분할하여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분할된 영역 각각에 대한 특징을 근거로 인식된 관절 포인트를 연결하여 추출한 모션 데이터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오남용 정보가 복용 시 물의 양인 경우, 상기 비교 데이터 추출부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비교 환자가 복용하는 물의 양을 인식하여 이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추출된 상기 비교 환자 리스트로부터 질병이 치료된 완치 환자를 추출하는 완치 환자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완치 환자의 약물 치료 시점에서 완치 시점까지의 영상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조합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영상 전송부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완치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 상기 완치 환자의 신체를 인식하여 상기 완치 환자가 약물을 복용하는 모션을 추출하고 이를 조합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한다.
복수의 약을 복용하는 환자의 약물 복용 상태를 관리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를 이용하는 약물 복용 관리 방법은 치료 정보 수신부가 설정 주기마다 상기 환자의 담당 간호사가 사용하는 간호사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치료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약물 복용 스케줄 전송부가 상기 치료 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약물 복용 스케줄을 추출하여 상기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환자 단말 활성화부가 추출된 상기 약물 복용 스케줄에 따른 약물 복용 시간이 도래 하면 상기 환자 단말에 해당 약물의 복용 시간임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전송하고,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 단말의 촬영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영상 정보 전송부가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 단말을 통해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간호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복용 신호 수신부가 상기 간호사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환자가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복용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간호사 단말에 입력한 제1 복용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간호사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환자가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복용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간호사 단말에 입력한 제2 복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 환자는 약물 치료를 하는 동안 자신과 동일한 질병, 나이대, 성별을 가지고 해당 질병을 올바르게 치료하고 있는 비교 환자에 대응하는 비교 데이터를 수시로 확인함에 따라 환자는 자신의 잘못된 약물 복용 패턴을 개선시켜 약물 치료를 좀 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시스템(10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시스템(1000)은 간호사 단말(100), 환자 단말(300), 및 이들과 네트워크(400)로 연계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단말(300)은 약물을 복용하는 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고, 간호사 단말(100)은 환자를 전담으로 관리하는 간호사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환자 단말(300) 및 간호사 단말(100)에는 후술할 약물 복용 관리 장치(200)가 구현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환자 단말(300) 및 간호사 단말(100)은 장착된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자 단말(300) 및 간호사 단말(100)은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 네비게이션,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PC 등과 같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일반적이거나 특수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네트워킹 컴포넌트(유선 또는 무선)를 가질 수 있다.
약물 복용 관리 장치(2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간호사 단말(100) 및 환자 단말(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환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약물 복용 관리 장치(200)는 서버일 수 있고, 앞서 언급한 바대로 간호사 단말(100) 및 환자 단말(300)에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400)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40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망, 유선 온라인, 무선 온라인,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40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온라인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200)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약물 복용 관리 장치(200)는 치료 정보 수신부(201), 약물 복용 스케줄 전송부(202), 환자 단말 활성화부(203), 영상 정보 전송부(204), 복용 신호 수신부(205), 지시 정보 전송부(206), 비교 환자 추출부(207), 비교 데이터 추출부(208), 완치 환자 추출부(209), 및 하이라이트 영상 전송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정보 수신부(201)는 설정 주기마다 환자의 담당 간호사가 사용하는 간호사 단말(100)로부터 환자의 치료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치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 치료 정보는 환자의 질병, 치료 예상 기간, 현재까지의 치료 기간, 환자의 인적 사항(성별, 나이, 키, 몸무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 복용 스케줄 전송부(202)는 치료 정보로부터 환자의 약물 복용 스케줄을 추출하여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S11) 예를 들어, 약물 복용 스케줄은 일단위, 주단위, 월단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위에 따른 스케줄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 단말 활성화부(203)는 추출된 약물 복용 스케줄에 따른 약물 복용 시간이 도래 하면 환자 단말(300)에 해당 약물의 복용 시간임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전송하고, 설정 시간 동안 환자 단말(300)의 촬영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12) 예를 들어 약물 복용 시간이 도래하면 환자 단말(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알람 신호가 환자 단말(300)에 출력될 수 있고, 환자 단말(300)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에 의한 촬영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환자는 알람 신호를 확인하여 약물을 복용할 수 있고, 약물을 복용하는 과정은 촬영 모드로 변환된 환자 단말(300)을 통해서 촬영될 수 있다.
영상 정보 전송부(204)는 설정 시간 동안 환자 단말(300)을 통해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간호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13)
영상 정보에는 앞서 언급한 촬영 모드에 의해서 촬영된 환자의 약물 복용 영상이 촬영된 시간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복용 신호 수신부(205)는 제1 복용 신호 또는 제2 복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4)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용 신호 수신부(205)는 간호사가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환자가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복용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간호사 단말(100)에 입력한 제1 복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용 신호 수신부(205)를 간호사가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환자가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복용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간호사 단말(100)에 입력한 제2 복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간호사는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고, 복수의 항목 체크를 통해서 약물 복용이 올바르게 복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항목은 환자가 약물 종류, 약물 복용량, 복용 자세, 약물 복용 시 물의 양, 및 약물 복용 시간일 수 있다. 제2 복용 신호는 환자가 약물 종류, 약물 복용량, 복용 자세, 복용 시 물의 양 및 약물 복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잘못되었다 오남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시 정보 전송부(206)는 제2 복용 신호가 수신된 후, 간호사 단말(100)로부터 제2 복용 신호에 대응하여 환자에게 지시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환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지시 정보는 복용이 되어야 하는 약물의 종류, 해당 약물의 복용량, 복용 자세, 해당 약물 복용 시 물의 양, 및 해당 약물의 복용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환자는 지시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이 현재 약물을 올바르게 복용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고, 지시 정보를 통해서 잘못된 약물 복용 행동 또는 패턴을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다.
비교 환자 추출부(207)는 제2 복용 신호가 수신된 후, 제1 복용 신호가 수신된 환자 리스트에서 제2 복용 신호가 수신된 환자와 동일한 질병, 동일한 나이대, 동일한 성별, 유사 범위 내의 생활 습관을 가지는 환자를 비교 환자로 추출할 수 있다.
비교 데이터 추출부(208)는 추출된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제2 복용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오남용 정보에 대응하는 비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딥러닝 알고리즘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등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 단말 활성화부(203)는 약물 복용 스케줄에 따른 약물 복용 시간이 도래하면, 알람 신호와 동시에 비교 데이터를 환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비교 데이터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비교 데이터는 오남용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종류에 기인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오남용 정보가 약물 종류인 경우, 비교 데이터 추출부(208)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비교 환자가 복용하는 약물을 인식하여 이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오남용 정보가 약물 복용량인 경우, 비교 데이터 추출부(208)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비교 환자가 복용하는 약물량을 인식하여 이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오남용 정보가 복용 자세인 경우, 비교 데이터 추출부(208)는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비교 환자의 신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교 환자의 신체를 부위 별로 분할하여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분할된 영역 각각에 대한 특징을 근거로 인식된 관절 포인트를 연결하여 추출한 모션 데이터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교 환자의 신체를 감지하여 추출하는 방식은 공지의 대상체 감지 알고리즘을 채택할 수 있다. 해당 알고리즘은 가시광선 영상 정보 또는 열화상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신체를 감지할 수 있고, 두 영상 정보를 동시에 활용하여 신체 감지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추출된 비교 환자의 신체를 부위 별로 분할하는 과정은 신체 부위가 있을 만한 영역을 선택적 탐색 알고리즘(Selective Search Algorithm) 통해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후보 영역은 설정 규격의 크기로 리사이징(resizing)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준 크기로 변환된 후보 영역 각각에 대한 특징 추출하여, 해당 후보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관절 포인트를 인식할 수 있다.
오남용 정보가 복용 시 물의 양인 경우, 비교 데이터 추출부(208)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비교 환자가 복용하는 물의 양을 인식하여 이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환자는 약물 치료를 하는 동안 자신과 동일한 질병, 나이대, 성별을 가지고 해당 질병을 올바르게 치료하고 있는 비교 환자에 대응하는 비교 데이터를 수시로 확인함에 따라 환자는 자신의 잘못된 약물 복용 패턴을 개선시켜 약물 치료를 좀 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완치 환자 추출부(209)는 추출된 비교 환자 리스트로부터 질병이 치료된 완치 환자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완치 환자는 비교 환자들 중 담당 간호사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서 완치가 되었다고 입력한 환자일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 전송부(210)는 추출된 완치 환자의 약물 치료 시점에서 완치 시점까지의 영상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조합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여 환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 전송부(210)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완치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 완치 환자의 신체를 인식하여 완치 환자가 약물을 복용하는 모션을 추출하고 이를 조합하여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완치 환자의 신체를 인식하는 방법은 대상체 감지 알고리즘을 통해서 인식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설명은 앞서 언급하였는 바 생략하도록 한다.
환자는 약물 치료를 하는 동안 자신과 동일한 질명, 나이대, 성별을 가지고 해당 질병을 완치한 비교 환자의 약물 치료를 시작한 시점부터 완치한 시점까지는 치료 과정을 참고함으로써, 약물 치료를 좀 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간호사 단말 202: 약물 복용 스케줄 전송부
200: 약물 복용 관리 장치 203: 환자 단말 활성화부
201: 치료 정보 수신부 300: 환자 단말

Claims (7)

  1. 복수의 약을 복용하는 환자의 약물 복용 상태를 관리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에 있어서,
    설정 주기마다 상기 환자의 담당 간호사가 사용하는 간호사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치료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치료 정보를 수신하는 치료 정보 수신부;
    상기 치료 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약물 복용 스케줄을 추출하여 상기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약물 복용 스케줄 전송부;
    추출된 상기 약물 복용 스케줄에 따른 약물 복용 시간이 도래 하면 상기 환자 단말에 해당 약물의 복용 시간임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전송하고,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 단말의 촬영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환자 단말 활성화부;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 단말을 통해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간호사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정보 전송부;
    상기 간호사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환자가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복용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간호사 단말에 입력한 제1 복용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간호사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환자가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복용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간호사 단말에 입력한 제2 복용 신호를 수신하는 복용 신호 수신부;
    상기 제2 복용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간호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복용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게 지시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지시 정보 전송부;
    상기 제2 복용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1 복용 신호가 수신된 환자 리스트에서 상기 제2 복용 신호가 수신된 환자와 동일한 질병, 동일한 나이대, 동일한 성별, 유사 범위 내의 생활 습관을 가지는 환자를 비교 환자로 추출하는 비교 환자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제2 복용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오남용 정보에 대응하는 비교 데이터를 추출하는 비교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복용 신호는 상기 환자가 약물 종류, 약물 복용량, 복용 자세, 복용 시 물의 양 및 약물 복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잘못되었다 오남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복용이 되어야 하는 약물의 종류, 해당 약물의 복용량, 복용 자세, 해당 약물 복용 시 물의 양, 및 해당 약물의 복용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환자 단말 활성화부는 상기 약물 복용 스케줄에 따른 약물 복용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알람 신호와 동시에 상기 비교 데이터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남용 정보가 약물 종류인 경우, 상기 비교 데이터 추출부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비교 환자가 복용하는 약물을 인식하여 이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오남용 정보가 약물 복용량인 경우, 상기 비교 데이터 추출부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비교 환자가 복용하는 약물량을 인식하여 이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오남용 정보가 복용 자세인 경우, 상기 비교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비교 환자의 신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교 환자의 신체를 부위 별로 분할하여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분할된 영역 각각에 대한 특징을 근거로 인식된 관절 포인트를 연결하여 추출한 모션 데이터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오남용 정보가 복용 시 물의 양인 경우, 상기 비교 데이터 추출부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비교 환자가 복용하는 물의 양을 인식하여 이를 비교 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추출된 상기 비교 환자 리스트로부터 질병이 치료된 완치 환자를 추출하는 완치 환자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완치 환자의 약물 치료 시점에서 완치 시점까지의 영상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조합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환자 단말로 전송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영상 전송부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완치 환자의 영상 데이터에 상기 완치 환자의 신체를 인식하여 상기 완치 환자가 약물을 복용하는 모션을 추출하고 이를 조합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

  7. 삭제
KR1020200114515A 2020-09-08 2020-09-08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24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15A KR102524820B1 (ko) 2020-09-08 2020-09-08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15A KR102524820B1 (ko) 2020-09-08 2020-09-08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779A KR20220032779A (ko) 2022-03-15
KR102524820B1 true KR102524820B1 (ko) 2023-04-21

Family

ID=8081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515A KR102524820B1 (ko) 2020-09-08 2020-09-08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8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111A (ko) * 2013-12-19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약관리 방법, 복약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복약관리 시스템
KR20160062664A (ko) * 2014-11-25 2016-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약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지원 시스템, 및 복약 가이드 방법
SG11201806306UA (en) * 2016-01-31 2018-08-30 WaterI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 reminders to a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779A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056B1 (ko) 빅데이터 기반의 환자 맞춤형 복약 정보 제공 장치 및 복약 정보 제공 방법
Chang et al. MedGlasses: A wearable smart-glasses-based drug pill recogni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for visually impaired chronic patients
US201902286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tency training and use authorization for dispensing an agent
US9390457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mpetency training and use authorization for dispensing an agent
WO2011028261A2 (en) Portable medical record storage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y
US20140236922A1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positive patient identification
CN113257383B (zh) 匹配信息确定方法、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70064529A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emergency signal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for
WO2018082262A1 (zh) 医疗信息化基于虹膜识别的电子病历信息查询系统及方法
JP2013145481A (ja) カメラ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カメラシステム
CN109509527A (zh) 一种药品配发方法、区块链节点设备及系统
KR102595904B1 (ko)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2524820B1 (ko) 약물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103348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alth and cognitive ability of a customer
Chang et al. A Fully Automated Intelligent Medicine Dispensary System Based on AIoT
US10580533B2 (en) Image-based food analysis for medical condition warnings
Almuzaini et al. Medication identification aid for visually impaired patients
JP7287512B2 (ja) サーバ装置、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06348794U (zh) 一种医疗信息查询设备和系统
KR102254498B1 (ko) 사용자 유형에 따른 복약 안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Aldeer User identification using smart pill bottles: Systems and machine learning models: Phd forum abstract
Crisóstomo et al. Robotics services at home support
KR102248344B1 (ko) 차량 번호판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차량번호의 인식을 수행하는 차량번호 인식 장치
Chen et al. iDispensing: A deep learning-based dispensing medicine recognition system
KR20160085478A (ko)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