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476B1 -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476B1
KR102524476B1 KR1020200083111A KR20200083111A KR102524476B1 KR 102524476 B1 KR102524476 B1 KR 102524476B1 KR 1020200083111 A KR1020200083111 A KR 1020200083111A KR 20200083111 A KR20200083111 A KR 20200083111A KR 102524476 B1 KR102524476 B1 KR 10252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ed
fixing member
coupling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355A (ko
Inventor
정도영
Original Assignee
정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영 filed Critical 정도영
Priority to KR1020200083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4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와 문틀 사이에 끼임방지구가 설치되되 도어의 개폐시 상기 끼임방지구가 접히고 펼쳐지도록 작동되어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새에 손 또는 손가락 등의 신체 끼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경질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일측에 제1 관절부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부는 라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운딩부 내측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외측면에 상기 도어와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색 또는 시트지 필름이 래핑되게 하는 제1 본체;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 일단부는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일측에 제2 관절부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라운딩부의 내측에 내삽되도록 구비되며, 외측면에 상기 도어와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색 또는 시트지 필름이 래핑되게 하는 제2 본체; 및 제3 관절부를 통해 상기 제2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본체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Hand fitting prevention device of folding type having middle assembly}
본 발명은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와 문틀 사이에 끼임방지구가 설치되되 도어의 개폐시 상기 끼임방지구가 접히고 펼쳐지도록 작동되어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새에 손 또는 손가락 등의 신체 끼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되, 중간 연결부재를 통해 본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hinged door)은 밀거나 당겨서 여는 도어나 창을 말하며, 문틀과 문짝의 가장자리에 금속으로 만든 힌지를 설치하고, 이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여 밀거나 당겨서 여는 문을 지칭한다.
상기 여닫이문은 가정집 및 어린이집, 학교 등의 거의 모든 건물의 실내, 외용 문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여닫이문에 있어서 도어를 열었다가 닫을 때 도어가 닫히면서 힌지가 설치된 문틀의 단부와 힌지가 설치된 도어의 단부 사이에 사람의 손이나 손가락 등 신체 일부가 끼어 안전사고를 당하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2077209호 및 10-20772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평판시트(111, 112, 113) 및 다수 개의 연질관절(121, 122, 123, 124)로 연결되어 문틀(2)에 밀착되어 접힘과 펼침에 의해 도어(1)와 문틀(2) 사이의 틈새를 메움하는 접이식 손끼임 방지구를 개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개방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질관절들(121, 122, 123, 124)의 부위에 따라 문틀(2)로부터 떨어져서 관절과 관절이 꺾이면서 그리고 평판시트(111, 112, 113)들이 서로로부터 꺽이면서 도어(1)와 문틀(2)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손끼임방지장치에 있어서는, 연질관절들(121, 122, 123, 124)의 절곡에 의해 평판시트(111, 112, 113)들이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되는데, 도어(1)의 열림시 펼쳐질 때는 모서리부(E)가 외부로 돌출되어 외관상 미려(美麗)하지 않게 되고, 출입할 때나 물건을 운반할 때에 걸리적 거리게 되며, 또한 그 모서리부(E)에 신체가 접촉할 때는 뾰족한 형상을 통해서 그리고 접촉 속도에 의한 충격에 의해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는 문제점과, 아울러 펼쳐졌다 접혀질 때는 문틀(2)과 평판시트(112) 사이의 틈에 손이나 손가락이 끼어 안전사고를 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손끼임방지장치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평판시트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노출된 모든 평판시트에 도어(1)의 색깔과 유사하게 많은 부분에 대하여 도색이나 래핑을 해야하고, 그리고 평판시트를 문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쫄대(114)를 구비해야하기 때문에 제조상 경제적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손끼임방지장치에 있어서는, 결합체를 분리할 때에, 그리고 도어(1)와 문틀(2)로부터 분리할 때에, 그들을 부착시키고 있는 접착제를 떼어낸 후 분리시켜야 하고, 아울러, 전체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분리하는 작업도 일체로 실행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2077209호
2.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2077205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와 문틀 사이에 끼임방지구가 설치되되 도어의 개폐시 끼임방지구가 접히고 펼쳐지도록 작동되어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새에 손 또는 손가락 등의 신체 끼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되, 외부로 모서리부가 돌출되지 않아 공간을 차지하거나 미관을 해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평판시트인 본체의 수를 줄여서 도색 또는 래핑에 대한 소모를 줄이고, 아울러 평판시트를 문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쫄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도어나 문틀의 부착제를 떼어내지 않고서도 연결부재를 쉽게 분리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연결/분리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는, 경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부착재를 통해서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경질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일측에 연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제1 관절부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라운딩진 라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운딩부 내측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외측면에 상기 도어와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색 또는 시트지 필름이 래핑되게 하는 제1 본체; 경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부착재를 통해서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 경질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일측에 연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제2 관절부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라운딩부의 내측에 내삽되도록 구비되며, 외측면에 상기 도어와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색 또는 시트지 필름이 래핑되게 하는 제2 본체; 및 연질합성수지재의 제3 관절부를 통해 상기 제2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본체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공은 일측이 외통되는 외통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외통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본체의 라운딩부 내측에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될 때 그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유도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유도부재는 단부의 자유단이 상기 제1 본체의 내측과 벌려지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1 본체에 결합시킬 때에, 상기 연결부재의 제1 안착부가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결합유도부재 사이의 결합안내홈에 삽입되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3 관절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결합공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는 하부 양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본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 각각의 일단에 구비된 끼움돌기가 해당되는 상기 끼움홈)에 이탈하지 못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착탈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작용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제2 고정부재의 결합형태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문틀에 장착된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측 단단부에 결합되게 하여서, 상기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서로 겹쳐지는 형태를 이루게 하고, 상기 도어를 닫을 때에는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제2 고정부재가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제2 고정부재의 결합형태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문틀에 장착된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게 하여서, 상기 도어를 닫을 때에는 서로 겹쳐지게 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서 꺽임없이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는,
문과 문틀 사이에 끼임방지구가 설치되어서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새에 손 또는 손가락 등의 신체 끼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되, 외부로 모서리부가 돌출되지 않아 접촉/충격에 의한 신체 안전사고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또한, 도어의 개폐시 끼임방지구의 모서리가 발생하지 않고 연결부재 및 제2 본체가 제1 본체의 라운딩부에 가려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美麗)하여 심미성이 향상되게 하고,
또한, 평판시트인 본체의 수를 줄여서 도색이나 래핑에 대한 소모를 줄이고, 아울러 평판시트를 문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쫄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는,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1 본체 또는 제2 본체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었다 하더라도 도어나 문틀의 부착제를 떼어내지 않고서도 연결부재를 통해 쉽게 분리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연결/분리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하며, 방지장치의 일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손끼임방지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에서 연결부재가 결합안내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의 결합상태에서 연결부재의 해제상태를 보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의 실시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에서 제2 본체와 제2 고정부재의 결합형태의 다른 일례를 보인 개략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실시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에서 연결부재가 결합안내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의 결합상태에서 연결부재의 해제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의 실시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장치에서 제2 본체와 제2 고정부재의 결합형태의 다른 일례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실시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와 문틀(2) 사이에 끼임방지구가 설치되되 도어(1)의 개폐시 상기 끼임방지구가 접히고 펼쳐지도록 작동되어 도어(1)와 문틀(2) 사이의 틈새에 손 또는 손가락 등의 신체 끼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는, 제1 고정부재(10), 제1 본체(20), 제2 고정부재(30), 제2 본체(40) 및 연결부재(50)를 구성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10)는 PVC(Poly Vinyl Chloride)와 같은 경질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양면테잎이나 본드와 같은 부착재, 또는 피스 시공을 통해서 도어(1)에 고정 설치되어서, 도어(1)의 개폐시 제1 본체(2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본체(20)는 PVC(Poly Vinyl Chloride)와 같은 경질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측에 도어(1)와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색 또는 시트지 필름이 래핑되게 하였다.
상기 제1 본체(20)의 일단부는 제1 고정부재(10)의 일측에 연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제1 관절부(21)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라운딩진 라운딩부(22)를 구비하고, 상기 라운딩부(22) 내측에는 결합돌기(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본체(20)의 타단부에 외측으로 라운딩진 라운딩부(22)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모서리부(E, 도 1 참조)가 돌출되지 않아 접촉/충격에 의한 신체 안전사고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 고정부재(30)는 PVC(Poly Vinyl Chloride)와 같은 경질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양면테잎이나 본드와 같은 부착재, 또는 피스 시공을 통해서 문틀(2)에 고정 설치되어서, 도어(1)의 개폐시 제2 본체(4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본체(40)는, 경질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제2 고정부재(30)의 일측에 연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제2 관절부(41)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부는 라운딩부(22)의 내측에 내삽되도록 구비되며, 외측면에 상기 도어(1)와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색 또는 시트지 필름이 래핑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본체(40)와 제2 고정부재(30)의 결합형태에 대해서 몇 가지의 일례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2 본체(40)와 제2 고정부재(30)의 결합형태에 대한 일례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40)가 제2 관절부(41)를 통해서 문틀(2)에 장착된 제2 고정부재(3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게 하여서, 도어(1)를 개방할 때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40)와 제2 고정부재(30)가 서로 겹쳐지는 형태를 이루게 하였지만, 도어(1)를 닫을 때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40)와 제2 고정부재(30) 사이에서 일직선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40)와 제2 고정부재(30)의 결합형태에 대한 다른 일례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40)가 제2 관절부(41)를 통해서 문틀(2)에 장착된 제2 고정부재(30)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게 하여서, 도어(1)를 닫을 때에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40)와 제2 고정부재(30)가 서로 겹쳐지게 하였지만, 도어(1)의 개방시에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40)와 제2 고정부재(30) 사이에서 꺽임없이 일직선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연결부재(50)는 연질합성수지재의 제3 관절부(51)를 통해 제2 본체(40)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25)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결합공(55)을 구비하여 제1 본체(20)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1 본체(20)와 제2 본체(4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본체(10)와 제2 본체(40)를 중간의 연결부재(50)를 통해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1 본체(10) 또는 제2 본체(40)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었다 하더라도 도어(1)나 문틀(2) 모두의 부착제를 떼어내지 않고서도 연결부재를 통해 쉽게 분리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연결/분리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방지장치의 일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40)는 제3 관절부(51)를 통해, 제1 본체(20)의 라운딩부(22) 내측의 결합돌기(25)와 체결되도록 구비된 연결부재(50)의 결합공(55) 외측에 결합되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1 본체(20)와 제2 본체(4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제3 관절부(51)가 라운딩부(22) 내부에서 연결부재(50)와 결합, 다시 말하면 결합공(55) 외측에 결합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끼임방지장치에 대한 외관상 미려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일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상기 도어(1)의 개방시 제2 본체(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부(22)와 거의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어서 모서리부를 형성하지 않게 되고, 아울러 외관상 미려한 심미성 향상을 얻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50)의 결합공(55)은 결합돌기(25)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서 일측이 외통되는 외통부(52)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외통부(52)의 양측에는 제1 본체(20)의 라운딩부(22) 내측에 안착되는 제1 안착부(54) 및 제2 안착부(5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25)는 하부 양측에 끼움홈(25-1)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본체(20)에 구비되어서, 상기 연결부재(50)의 제1 안착부(54) 및 제2 안착부(56) 각각의 일단에 구비된 끼움돌기(54-1, 56-1)가 해당되는 끼움홈(25-1)에 이탈하지 못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게 하였다.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55)에 결합돌기(25)가 끼워져 결합되게 할 때는, 끼움돌기들(54-1, 56-1)이 각각 해당되는 끼움홈(25-1)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합돌기(25)는 결합공(55)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약, 상기 결합돌기(25)를 결합공(55)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하여 연결부재(50)를 제1 본체(20)와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이 뾰족한 송곳과 같은 도구를 제2 안착부(56)와 제1 본체(20)의 사이의 틈새에 밀어넣어 화살표 방향으로 젖혀서 제2 안착부(56)를 들어올려 결합돌기(25)가 결합공(55)으로부터 쉽게 빠져 나오도록 하여 분리시키면 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공(55)에는, 연결부재(50)의 용이한 착탈을 위해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작용홈부(57)를 일측에 구비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25)를 결합공(55)에 끼워서 결합시킬 때에나 분리시킬 때에 탄성작용홈부(57)를 통해서 탄성력이 작용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탈착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 제1 본체(20)의 내측에 구비되어서 연결부재(50)가 제1 본체(20)에 결합될 때 그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유도부재(60)를 추가로 구비하였다.
상기 결합유도부재(60)는 단부의 자유단(61)이 제1 본체(20)의 내측과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50)를 제1 본체(20)에 결합시킬 때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0)의 제1 안착부(54)가 제1 본체(20)와 결합유도부재(60) 사이의 결합안내홈(63)에 삽입되어지게 함으로써 연결부재(50)가 제1 본체(20)에 쉽게 결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50)의 제1 안착부(54)는 결합유도부재(60)에 의해 형성된 결합안내홈(63)에 쉽게 찾아 들어가고 어렵지 않게 쉽게 체결되어 용이한 조립을 구성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에 대한 도어(1) 개폐시 작동상태를, 즉 도 9a, 도 9b, 도 11a 및 도 11b를 통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a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가 닫혔을 때는, 손끼임 방지장치의 제1 본체(20)인 경질의 부위, 즉 라운딩부(22)의 단부가 문틀(2)의 표면에 밀착되어 붙어 있으며, 이때는 제2 본체(40) 및 연결부재(50)는 제1 본체(20)의 내측에 수용되어서 외부에서 전혀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9b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가 열렸을 때는, 도어(1)가 개방되고 제1 본체(20)의 라운딩부(22)가 문틀(2)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 본체(40)가 외부로 노출되지만, 제2 본체(40)의 단부, 연결부재(50) 및 제3 관절부(51)는 라운딩부(22)의 내측에 위치해 있어 여전히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아울러 상기 라운딩부(22)의 형태로 둥글게 배열되어 있어 모서리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도어(1)가 열렸을 때에도 제2 본체(40) 및 연결부재(50)는 제1 본체(20)의 내측, 즉 라운딩부(22)의 내측에 수용되어서 외부에서 전혀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는 외부로 모서리부가 돌출되지 않아 접촉/충격에 의한 신체 안전사고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또한, 도어(1)의 개폐시 끼임방지장치의 모서리가 발생하지 않고 라운딩부(22)에 의해 연결장치 등이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美麗)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도어 2: 문틀
10: 제1 고정부재
20: 제1 본체 21: 제1 관절부
22: 라운딩부 25: 결합돌기
25-1: 끼움홈
30: 제2 고정부재
40: 제2 본체 41: 제2 관절부
50: 연결부재 51: 제3 관절부
52: 외통부 54: 제1 안착부
54-1: 끼움돌기 55: 결합공
56: 제2 안착부 56-1: 끼움돌기
57: 탄성작용홈부
60: 결합유도부재 61: 자유단
63: 결합안내홈

Claims (9)

  1. 경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부착재를 통해서 도어(1)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10);
    경질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상기 제1 고정부재(10)의 일측에 연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제1 관절부(21)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라운딩진 라운딩부(22)를 구비하고, 상기 라운딩부(22) 내측에는 결합돌기(25)가 구비되며, 외측면에 상기 도어(1)와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색 또는 시트지 필름이 래핑되게 하는 제1 본체(20);
    경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부착재를 통해서 문틀(2)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30);
    경질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상기 제2 고정부재(30)의 일측에 연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제2 관절부(41)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라운딩부(22)의 내측에 내삽되도록 구비되며, 외측면에 상기 도어(1)와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색 또는 시트지 필름이 래핑되게 하는 제2 본체(40);
    연질합성수지재의 제3 관절부(51)를 통해 상기 제2 본체(40)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25)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결합공(55)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본체(20)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1 본체(20)와 상기 제2 본체(4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50); 및
    상기 제1 본체(20)의 내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연결부재(50)가 상기 제1 본체(20)에 결합될 때 그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유도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재(50)의 결합공(55)은 일측이 외통되는 외통부(52)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외통부(52)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본체(20)의 라운딩부(22) 내측에 안착되는 제1 안착부(54) 및 제2 안착부(5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도부재(60)는 단부의 자유단(61)이 상기 제1 본체(20)의 내측과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50)를 상기 제1 본체(20)에 결합시킬 때에, 상기 연결부재(50)의 제1 안착부(54)가 상기 제1 본체(20)와 상기 결합유도부재(60) 사이의 결합안내홈(63)에 삽입되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50)가 상기 본체(20)에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40)는 상기 제3 관절부(51)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50)의 상기 결합공(55)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25)는 하부 양측에 끼움홈(25-1)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본체(20)에 구비되어서, 상기 연결부재(50)의 제1 안착부(54) 및 제2 안착부(56) 각각의 일단에 구비된 끼움돌기(54-1, 56-1)가 해당되는 상기 끼움홈(25-1)에 이탈하지 못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55)에는, 상기 연결부재(50)의 착탈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작용홈부(5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40)와 상기 제2 고정부재(30)의 결합형태는, 상기 제2 본체(40)가 상기 문틀(2)에 장착된 상기 제2 고정부재(30)의 외측 단단부에 결합되게 하여서, 상기 도어(1)를 개방할 때에는 서로 겹쳐지는 형태를 이루게 하고, 상기 도어(1)를 닫을 때에는 상기 제2 본체(40)와 상기 제2 고정부재(30)가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40)와 상기 제2 고정부재(30)의 결합형태는, 상기 제2 본체(40)가 상기 문틀(2)에 장착된 상기 제2 고정부재(30)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게 하여서, 상기 도어(1)를 닫을 때에는 서로 겹쳐지게 하고, 상기 도어(1)의 개방시에는 상기 제2 본체(40)와 상기 제2 고정부재(30) 사이에서 꺽임없이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KR1020200083111A 2020-07-06 2020-07-06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KR10252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111A KR102524476B1 (ko) 2020-07-06 2020-07-06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111A KR102524476B1 (ko) 2020-07-06 2020-07-06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355A KR20220005355A (ko) 2022-01-13
KR102524476B1 true KR102524476B1 (ko) 2023-04-20

Family

ID=7934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111A KR102524476B1 (ko) 2020-07-06 2020-07-06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4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9037A1 (en) * 1996-10-29 1998-05-07 Hellstroem Bjoern A protection strip
JP2002349120A (ja) *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折りたたみ扉の取付構造
KR102015284B1 (ko) * 2019-03-20 2019-08-28 구본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077209B1 (ko) * 2019-11-08 2020-02-13 조용만 다수개의 평판시트 및 연질관절로 연결되어 문틀에 밀착되어 접힘과 펼침에 의해 문과 문틀의 모서리를 메움하는 손끼임방지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909A (en) * 1997-06-11 2000-11-07 Kreger-Hanson, Incorporated Safety guards for door jambs
KR20150002207U (ko) * 2015-03-10 2015-06-10 주식회사 코아드 굴곡 피스 및 이들이 결합된 커버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9037A1 (en) * 1996-10-29 1998-05-07 Hellstroem Bjoern A protection strip
JP2002349120A (ja) *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折りたたみ扉の取付構造
KR102015284B1 (ko) * 2019-03-20 2019-08-28 구본춘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077209B1 (ko) * 2019-11-08 2020-02-13 조용만 다수개의 평판시트 및 연질관절로 연결되어 문틀에 밀착되어 접힘과 펼침에 의해 문과 문틀의 모서리를 메움하는 손끼임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355A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1909A (en) Safety guards for door jambs
US5220708A (en) Self-trimming shield for a door heel
KR102077205B1 (ko) 다수의 경질시트를 연질관절부에 의해 연결하여 특정 모양으로 접고 펴면서 문과 문틀의 모서리를 메움하는 손끼임방지구
KR102077209B1 (ko) 다수개의 평판시트 및 연질관절로 연결되어 문틀에 밀착되어 접힘과 펼침에 의해 문과 문틀의 모서리를 메움하는 손끼임방지구
KR102524476B1 (ko) 중간 조립체를 갖춘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KR20220005356A (ko) 접이식 손끼임 방지장치
US20040237411A1 (en) Finger guard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KR102483324B1 (ko)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새 전후방에 장착된 슬라이딩 작동형 손끼임 방지장치
KR20120041333A (ko) 가구 힌지용 보호대 조립체
KR102244145B1 (ko) 경첩의 힌지가 위치된 문의 후면 틈새를 가려주는 손끼임 방지 장치
AU2009271760A1 (en) Door assembly
KR102156120B1 (ko)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구
KR200379709Y1 (ko) 문 보호대 조립체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2497150B1 (ko) 손 끼임 방지구
KR102427727B1 (ko) 슬라이딩 작동형 손끼임 방지장치
KR101820355B1 (ko) 제2자유도를 가지는 도어
KR102200460B1 (ko) 폭이 좁은 문틀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경첩
KR20210017712A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CN220014993U (zh) 防夹手安全门
KR102020367B1 (ko) 도어용 손 보호구
KR20240003861A (ko) 페로니켈슬래그를 포함한 탈부착형 손끼임방지장치
KR200491293Y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조
KR20210116930A (ko) 손가락끼임 방지용 안전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