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434B1 - 냉동 탑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동 탑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434B1
KR102524434B1 KR1020210040942A KR20210040942A KR102524434B1 KR 102524434 B1 KR102524434 B1 KR 102524434B1 KR 1020210040942 A KR1020210040942 A KR 1020210040942A KR 20210040942 A KR20210040942 A KR 20210040942A KR 102524434 B1 KR102524434 B1 KR 102524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power
battery
refriger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377A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건국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국테크 filed Critical (주)건국테크
Priority to KR102021004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4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1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vehicle refrigeration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particularly adapted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실시예는 냉동 탑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냉동 탑차 시스템은 냉동탑차에서 여러 냉동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환경에서, 압축기 전력공급용의 배터리 전압별로 맞추어서 압축기를 특정 개수만 구동하므로,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냉동환경에 유연한 신선도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렇게 배터리에서 압축기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일실시예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에 의해서 배터리 전력을 관련된 장치의 손상을 일으키는 정도의 상당히 낮은 전압이 될 시점에 즉시 차단하므로, 관련된 장치를 보호한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배터리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냉방온도 감시 구조가 상호 간에 연계해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배터리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서 원활히 이용한다.
또한, 배터리에서 압축기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는, 배터리에서 전력 소모와 충전을 동시에 수행해서 진행하므로, 냉각속도를 상당히 높인다.

Description

냉동 탑차 시스템{System for cooling employing refrigeration tower vehic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냉동 탑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탑차에서 냉동용 제품을 운반할 경우에, 냉동탑차 내부에서 제품을 적정한 온도로 냉각해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냉동탑차는 냉동 및 냉장이 필요한 화물을 즉, 제품을 내부에 적재하여 이송하는 동안 품질이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이러한 냉동탑차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압축기 등의 동작을 제어해서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냉동 탑차 시스템도 포함한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 의한 냉각 탑차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5-00870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압축기를 엔진에 직결시켜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도록 하였다.
또한, 개선된 다른 방식으로 냉동탑차의 정지 상태 등에서도 계속적으로 냉동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거나, 또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한편, 이러한 냉동탑차는 2-압축기와, 3-압축기, 4-압축기 등의 여러 냉동방식이 있으며, 현장에서는 이 중에서 냉동탑차 또는 운반할 화물량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 냉동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많은 전력 즉, 에너지가 요구되기에,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여러 대의 압축기가 사용되는 냉동방식인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은 아래의 특허문헌에 나타나 있는 정도이다.
(특허문헌 1) KR102162926 Y1
추가적으로, 위의 선행기술은 냉동탑차에서 냉동이 될 경우에, 배터리에서의 전력을 주행 모드에서는 압축기 구동용으로만 사용하고, 대기 모드에서는 외부 전원을 사용해서, 배터리의 전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이러한 선행기술을 참조하여 2-압축기와, 3-압축기 등의 여러 냉동방식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환경 하에서 배터리 전력도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발명하였다.
개시된 내용은, 냉동탑차에서 여러 냉동방식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환경에서, 냉동탑차 내의 제품을 냉동할 경우에 냉동을 위한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 탑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은,
냉동탑차에서 2-압축기와, 3-압축기, 4-압축기 등의 냉동방식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환경에서, 압축기를 통해 냉각이 될 경우, 냉동탑차 내의 냉각시간과, 냉동온도, 주변 환경에 따라 계속 변화하는 배터리 전압별로 맞추어서 압축기를 특정 개수만 구동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이렇게 배터리에서 압축기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일실시예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을 구비해서 배터리 전력을 관련된 장치의 손상을 일으키는 정도의 상당히 낮은 전압이 될 시점에 차단한다.
또한, 이때 배터리 전력을 단속하는 공통의 특징으로부터 위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연계해서 냉방온도 감시 구조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그 냉방온도 감시 구조는 제품별로 미리 설정된 냉방온도를 기준으로서, 냉동탑차 내의 실제 온도에 따라 압축기의 전력 공급동작을 단속하는 구성이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배터리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냉방온도 감시 구조가 상호 간에 연계해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냉동탑차에서 여러 냉동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환경에서, 압축기 전력공급용의 배터리 전압별로 맞추어서 압축기를 특정 개수만 구동하므로,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냉동환경에 유연한 신선도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렇게 배터리에서 압축기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일실시예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에 의해서 배터리 전력을 관련된 장치의 손상을 일으키는 정도의 상당히 낮은 전압이 될 시점에 즉시 차단하므로, 관련된 장치를 보호한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배터리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냉방온도 감시 구조가 상호 간에 연계해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배터리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서 원활히 이용한다.
또한, 배터리에서 압축기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는, 배터리에서 전력 소모와 충전을 동시에 수행해서 진행하므로, 냉각속도를 상당히 높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이 적용된 전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냉동탑차(1)가 차량(10)의 엔진을 냉장모듈(80)의 동력원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차량(10)에 설치된 배터리모듈(20)의 전원, 가정용 상용 전원 등을 사용한다.
그래서, 냉동탑차(1)는 고객이 요청한 제품을 배송하며 짧은 시간 정차하더라도 냉각모듈(80)을 계속 구동시켜, 냉동탑차(1)의 내부 온도 변화가 발생 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냉동탑차(1)는 예를 들어, 배터리모듈(20)과, 전동모듈(30), 알터네이터(40), 전원공급부(50), 구동모터모듈(60), 압축기(70) 및 냉각모듈(80)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그래서,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기존과 같이, 냉동탑차 내의 제품을 적정 온도로 보관할 경우, 메인 제어부에서 냉동탑차의 자체 엔진 또는, 별도의 배터리 전원, 가정의 상용 전원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품별 냉동온도 등에 맞게 변환해서 냉각모듈에 제공하므로, 제품별로 맞게 냉각하여 신선하게 보관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냉동 탑차 시스템은 이렇게 냉각될 경우, 먼저 자체 엔진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DC-DC 컨버터를 통해 냉각모듈 구동용 전력으로 변환한 후에, 제품별로 맞는 냉동온도에 따라 조절해서, 해당하는 RPM으로 냉각모듈을 구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모듈은 냉매 가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교축팽창시키는 팽창변, 팽창변에서 교축된 냉매를 기화시켜 내부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냉각모듈은 여러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냉각모듈의 개수는 냉동탑차 내의 제품 종류와, 주변 상황에 따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이렇게 냉각모듈 구동용 전력으로 변환될 경우에, 메인 제어부에서 배터리전압을 감시하여 현재 배터리전압 레벨별로 맞게 특정개수의 DC-DC 컨버터 동작만을 수행시키므로, 배터리전압별로 압축기를 특정개수만 구동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전압 레벨이 최소 1레벨 ~ 최대 5레벨로 정해진 경우, 현재 배터리전압 레벨이 2 레벨인 경우에는 압축기를 4개 구동하고, 현재 배터리전압 레벨이 4레벨인 경우에는 압축기를 2개만 구동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압축기를 통해 냉각이 될 경우, 냉동탑차 내의 냉각시간과, 냉동온도, 주변 환경에 따라 계속 변화하는 배터리 전압별로 맞추어서 압축기를 특정 개수만 구동하므로,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냉동환경에 유연한 신선도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배터리에서 압축기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배터리에서 전력 소모와 충전을 동시에 수행해서 진행하므로, 냉각속도를 상당히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실제적으로는, 기존과 같이 35℃에서 시작한 것과 달리 40℃에서 1시간 40분 후에 -18℃에 도달한다(실험을 통해 증명됨).
또한, 이에 더하여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배터리에서 압축기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일실시예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을 구비해서 배터리 전력을 관련된 장치의 손상을 일으키는 정도의 상당히 낮은 전압이 될 시점에 즉시 차단하므로, 관련된 장치를 보호한다.
그리고,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에, 배터리 전력을 단속하는 공통의 특징으로부터 위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연계해서 냉방온도 감시 구조를 구비하므로, 냉동 탑차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원활히 운용된다.
참고로, 이러한 냉방온도 감시 구조는 냉방온도를 기준으로서, 냉동탑차 내의 실제 온도에 따라 압축기의 전력 공급동작을 단속하는 구조이다(이러한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냉방온도 감시 구조가 연계된 것은 아래의 도 3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함).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이 적용된 전체 시스템(냉동 탑차 시스템 + 냉동 탑차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다수의 상이한 냉동 탑차별로 구비된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과, 자가망을 통해 연결된 중앙관제센터(20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전체 시스템은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이 자체의 차량 ECU와도 연결되어서, 상기 차량 ECU로부터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의 여러 가지 제어를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은 다수의 냉동탑차별로 각기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냉동 탑차가 운행이 될 경우에, 내부에 제품이 보관된 상태에서 냉각을 상이한 제품별로의 냉동온도에 따라 수행하므로, 목적지까지 제품을 신선하게 보관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은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냉동 탑차 내부의 실제온도를 주기적으로 상기 중앙관제센터(200)에 알림해서, 원격지의 중앙관제센터(200)가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해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모니터링과 관리는 자가망을 통해 이루어지며, GPS통신망과, TCP/IP망, LTE망, 무선 통신망 등을 사용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이러한 경우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서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의 동작을 개시 수행시키므로, 원격지에서 관리자를 통해 통합적으로 많은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의 동작을 관리한다. 다른 예로는,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으로부터 냉동 탑차 내부의 실제온도가 알림될 경우, 상이한 냉동 탑차와 제품별로 미리 설정된 기준냉동온도와 비교해서, 상기 비교 결과 현재 냉동 탑차의 실제온도가 기준냉동온도보다 특정 차이값보다 많이 낮아진 때에 해당하는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의 압축기 전력을 차단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이러한 냉동 탑차의 내부 실제온도 등과 관련하여 외부연계기관과 연동하는데, 자사 정보처리장치와, 환경관리공공기관 정보처리장치, 고장수리처 정보처리장치 등이다.
상기 차량 ECU는 다수의 상이한 차량 상태별로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의 배터리전력 공급 동작 등을 상이하게 단속해서, 기존의 차량 자체 시스템과 연계해서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차량 ECU는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이 운용될 경우에, 예를 들어, 냉동 탑차의 평균 주행속도가 미리 설정된 최대 평균 주행속도보다 높을 때에는 배터리 전력을 대응하는 압축기 개수만큼 줄여서 공급한다. 반면, 상기 차량 ECU는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이 운용될 경우에, 예를 들어, 냉동 탑차의 평균 주행속도가 미리 설정된 최소 평균 주행속도보다 낮을 때에는 배터리 전력을 대응하는 압축기 개수만큼 늘여서 공급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전체 시스템은 여러 가지의 사용상 편의를 위해 아래의 서비스도 수행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소유한 관리자 단말기에는 운전자가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의 위치에 도달한 경우,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으로부터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냉동온도에 따른 냉동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모니터
링한 일자, 냉동상태 등을 입력하고 체크하며, 냉동온도 조정이 필요한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 즉, 냉동탑차를 확인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를 작동, 조작함으로써, 냉동온도를 설정하거나 변경하여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은 냉동탑차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해당되는 냉동탑차 등에 도달하면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관리자 단말기와 무선통신한다. 그리고, 해당 냉동탑차 등의 냉동온도 및 냉동습도를 포함하는 냉동탑차의 상태 정보를 운전자의 관리자 단말기 내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관리자 단말기가 접근하면 상기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 등이 이를 인식하도록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 또는 냉동탑차는 각기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고유번호는 특수차량(차량 등록지 등) 또는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의 주소값으로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은 무선통신망이 단절되는 음영지역의 상태에서도 냉동탑차 등의 내부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가능하다. 그래서, 이를 통해 음영지역에서 벗어나 재접속 상태가 되면 무선센서 내부의 플래쉬메모리에 실시간으로 저장된 온도내부 온도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운송중인 내부의 제품에 대한 전체적인 온도변화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중앙관제센터(200)는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으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의 고유번호(예컨대, 고유ID)를 통해 어느 냉동탑차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인지를 파악하고, 해당 냉동탑차 별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전체 시스템은 위에 양질의 서비스에 더해서 아래의 특징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특징은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측정된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기록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실시예의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은 다수의 상이한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별로 고유번호를 가지며, 운전자가 특정 냉동 탑차 시스템(100-1 ~ 100-n)에 근접하면 해당 위치와, 내부온도 등의 상태정보를 관리자 단말기 등에 전송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냉동온도값을 표시하고, 저온과, 빙온, 냉동 상태를 포함하는 온도 상태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냉동습도값을 표시하고, 습도값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냉동 탑차 시스템 (100-1 ~ 100-n)별 표준 온도값과, 표준 습도값을 저장하고 있다가 지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서 일정 시간동안 유지될 경우, 해당하는 고유번호와 상태 현황을 진동 및 알람 방식, 알림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알려주는 알림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GPS에 의해 위치값을 생성하고, 냉동탑차 등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획화된 영역에 설치된 전체 냉동탑차 등의 배치도를 생성한다. 그리고, 특정 일자에 어떤 운전자가 방문을 하였고, 해당 업무를 할당받은 운전자가 냉동탑차의 현재 냉동온도 및 습도 상황을 체크하였는 지를 기록하기 위하여 담당 운전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관리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해당 차량에 승선한 운전자의 아이디, 운전자의 이름, 직책 등 운전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고유번호를 통해 인식된 냉동탑차의 고유 번호를 저장한다. 이에 더하여 운전자와 냉동탑차 등의 데이터를 조합하여 매칭하면 어떤 운전자가 컨테이너를 모니터링하였는지의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차량 운전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냉동온도나 냉동습도 등의 상태 현황에 대한 정보가 저장, 관리되므로 냉동 탑차 시스템을 갖춘 냉동탑차의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3a와 도 3b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a는 냉동 탑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b는 냉동 탑차 시스템에 적용된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냉방온도 감시 구조가 상호 간에 연계하는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PDU(101)와, LDC(102), 배터리(103), DC-DC 컨버터(104), 압축기 드라이버(105) 및, 메인 제어부(106)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냉동 탑차 시스템(100)은 배터리(103)의 소모와 충전을 동시에 진행하여 수행하므로, 냉각속도를 높인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냉동 탑차 시스템(100)은 배터리(100)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냉방온도 감시 구조가 상호 간에 연계해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도 3b 참조). 이를 위해, 상기 냉동 탑차 시스템(100)은 배터리(100)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을 위한 전원 릴레이(107)와, 이에 연동되는 냉방온도 감시용 온도 센서(108)와, 서브 제어부(109) 및 스위치(110)를 포함하고, 상기 LDC(102)는 전원 릴레이(107)와 스위치(110)에 연동해서 해당 전력이 차단되는 구성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이러한 냉동 탑차 시스템(100)은 상기 메인 제어부(106)가 배터리 전압(103) 레벨별로 압축기의 개수와, RPM을 조절해서, 압축기를 상이하게 구동한다.
상기 PDU(101)는 냉동탑차 내의 제품을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압축기를 통해 적정 온도로 보관할 경우, 상기 냉동탑차의 엔진과 외부의 전원(상용 전원 등 포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위한 제 1 전력을 공급받아 분배한다.
상기 LDC(102)는 상기 PDU(101)에 의해 분배된 제 1 전력을 미리 설정된 저전압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상기 배터리(103)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위한 제 2 전력을 상기 압축기에 대해서 출력하고, 상기 제 2 전력이 출력될 때에 상기 LDC(102)에 의해 변환된 제 1 전력으로 충전하므로, 전력 소모와 충전을 연동해서 냉각속도를 높이도록 한다.
상기 DC-DC 컨버터(104-1, 104-2, ... )는 다수의 상이한 압축기별로 각기 설치되어서, 상기 배터리(103)에 의해 출력된 제 2 전력을 상기 압축기 구동용 전력으로 변환한다.
상기 압축기 드라이버(105-1, 105-2, ... )는 상기 DC-DC 컨버터(104-1, 104-2, ... )별로의 변환된 전력을 스위칭하여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해서 상기 압축기로 제공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106)는 상기 냉동탑차 내의 상이한 제품별로 미리 설정된 냉동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 드라이버(105-1, 105-2, ... )의 스위칭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해서, 냉동탑차 내의 제품별로 적정 온도를 구비한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106)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감시해서, 현재 배터리 전압이 속하는 레벨별로 DC-DC 컨버터(105-1, 105-2, ... )의 개수를 대응하여 설정하므로, 배터리 전압별로 압축기를 상이하게 구동한다.
상기 전원 릴레이(107)는 상기 배터리(103)와 DC-DC 컨버터(104-1, 104-2, ... )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배터리(103)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보다 초과하는 경우에 온되고, 이하인 경우에는 오프되므로, 배터리(103)의 방전을 방지한다(저전압 방지 메커니즘).
상기 온도 센서(108)는 상기 냉동탑차 내의 실제온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10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106) 전압별로 압축기가 구동될 때에, DC-DC 컨버터(104-1, 104-2, ... )의 개수와, 제품별 냉동온도, 온도 센서(108)의 실제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 드라이버(105-1, 105-2, ... )의 조절 동작을 통합적으로 상이하게 제어한다.
상기 서브 제어부(109)는 상기 메인 제어부(106)의 냉동온도와 온도 센서의 실제온도를 비교해서, 상기 비교 결과 냉동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차이값보다 미만인 경우 배터리전력 공급 제어신호로서, 이상인 경우 배터리전력 차단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109)는 상기 전원 릴레이(107)의 철편과 연결되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109)의 배터리전력 공급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되어 전원 릴레이(107)를 통해 배터리전력이 공급되고, 배터리전력 차단 제어신호에 의해 온되어서 전원 릴레이(107)를 통한 배터리전력이 차단된다.
상기 LDC(102)는 상기 전원 릴레이(107)의 전자석과 연결되어서, 상기 스위치(109)의 오프에 의해 전원 릴레이(107)에서 자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오프되고, 상기 스위치(109)의 온에 의해 전원 릴레이(107)에서 자력이 발생한 경우에는 온되어서, 해당 동작이 단속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도 3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은 먼저 PDU가 냉동탑차 내의 제품을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압축기를 통해 적정 온도로 보관할 경우, 상기 냉동탑차의 엔진과 외부의 전원(상용 전원 등 포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위한 제 1 전력을 공급받아 분배한다(S401).
그리고,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은 상기 LDC가 이렇게 PDU에 의해 분배된 제 1 전력을 미리 설정된 저전압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S402).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위한 제 2 전력을 상기 압축기에 대해서 출력하고, 상기 제 2 전력이 출력될 때에 상기 LDC에 의해 변환된 제 1 전력으로 충전하므로(S403), 전력 소모와 충전을 연동해서 냉각속도를 높이도록 한다.
다음, 상기 DC-DC 컨버터는 다수의 상이한 압축기별로 각기 설치되어서,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출력된 제 2 전력을 상기 압축기 구동용 전력으로 변환한다(S404).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감시해서(S406), 현재 배터리 전압이 속하는 레벨별로 DC-DC 컨버터의 개수를 대응하여 설정하므로(S407), 배터리 전압별로 압축기를 상이하게 구동한다(이때, 이 개수만큼 DC-DC 컨버터를 인에이블함).
그리고 나서, 상기 압축기 드라이버는 상기 DC-DC 컨버터별로의 변환된 전력을 스위칭하여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해서(S405) 상기 압축기로 제공하는 즉, 제품별로 설정된 냉방온도에 맞추어서 압축기를 구동한다.
그래서, 냉동탑차 내부의 온도를 보관된 제품별로 적정 온도 상태가 되도록 해서, 제품을 신선하게 보관한다.
또한, 이에 따라 압축기를 통해 냉각이 될 경우, 냉동탑차 내의 냉각시간과, 냉동온도, 주변 환경에 따라 계속 변화하는 배터리 전압별로 맞추어서 압축기를 특정 개수만 구동하므로,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냉동환경에 유연한 신선도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 탑차 시스템은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원 릴레이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DC-DC 컨버터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보다 초과하는 경우에(S408) 온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보다 이하인 경우에는(S408) 오프되므로(S409),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배터리에서 압축기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일실시예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을 구비해서 배터리 전력을 관련된 장치의 손상을 일으키는 정도의 상당히 낮은 전압이 될 시점에 즉시 차단하므로, 관련된 장치를 보호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배터리 전력을 단속하는 공통의 특징으로부터 위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연계해서 냉방온도 감시 구조도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온도 센서가 상기 냉동탑차 내의 실제온도를 감지한다(S410). 이때, 부가적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가 구동될 때에, DC-DC 컨버터의 개수와, 제품별 냉동온도, 온도 센서의 실제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 드라이버의 조절 동작을 통합적으로 상이하게 제어한다.
다음,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냉동온도와 온도 센서의 실제온도를 비교해서(S411), 상기 비교 결과 냉동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차이값보다 미만인 경우 배터리전력 차단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상인 경우 배터리전력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임계차이값은 예를 들어, 다수의 상이한 배터리 전압 레벨별로 대응해서 설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전원 릴레이의 철편과 연결되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의 배터리전력 공급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되어 전원 릴레이를 통해 배터리전력이 공급되고, 배터리전력 차단 제어신호에 의해 온되어서 전원 릴레이를 통한 배터리전력이 차단된다(S412).
그러면, 이러한 경우에 상기 LDC는 상기 전원 릴레이의 전자석과 연결되어서, 상기 스위치의 오프에 의해 전원 릴레이에서 자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오프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스위치의 온에 의해 전원 릴레이에서 자력이 발생한 경우에는 철편이 전자석에 근접되어 온되므로, 해당 동작이 단속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배터리 전력을 단속하는 공통의 특징으로부터 위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연계해서 냉방온도 감시 구조도 동작하므로, 냉동 탑차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원활히 운용되고 배터리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서 원활히 이용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냉동 탑차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기를 통해 냉각이 될 경우, 냉동탑차 내의 냉각시간과, 냉동온도, 주변 환경에 따라 계속 변화하는 배터리 전압별로 맞추어서 압축기를 특정 개수만 구동하므로,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냉동환경에 유연한 신선도를 제공한다.
그리고, 일실시예는 배터리에서 압축기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일실시예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을 구비해서 배터리 전력을 관련된 장치의 손상을 일으키는 정도의 상당히 낮은 전압이 될 시점에 즉시 차단하므로, 관련된 장치를 보호한다.
또한, 배터리 전력을 단속하는 공통의 특징으로부터 위의 저전압 방지 메커니즘과 연계해서 냉방온도 감시 구조도 구비하므로, 냉동 탑차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원활히 운용되고 배터리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서 원활히 이용된다.
한편, 추가적으로 이러한 냉동 탑차 시스템은 전술한 배터리 전압별로 압축기를 상이하게 구동하는 것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실시예가 개시된다(도 3 참조).
첫 번째 예로, 이러한 변형은 상기 메인 제어부가 DC-DC 컨버터의 개수가 설정된 경우, 미리 DC-DC 컨버터의 개수별로 대응하는 직류전력값을 설정해서 해당하는 DC-DC 컨버터의 변환 동작을 현재 직류전력값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므로, 배터리 전압별로 압축기 구동을 상이하게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경우에 상기 메인 제어부는 이러한 직류전력값별로 대응하여 DC-DC 컨버터의 온과 오프 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해서 상기 DC-DC 컨버터의 스위칭 동작을 현재 직류전력값의 온과 오프 시간에 따라 제어하므로, DC-DC 컨버터의 변환을 수행한다.
두 번째 예로는, 이러한 변형이 압축기의 모터 맵 테이블을 사용해서 이루어지기도 한다(참고적으로, 위의 모터 맵 테이블은 종래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에 이용되는 모터 맵 테이블과 동일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메인 제어부는 압축기의 구동을 수행할 경우에, 미리 다수의 상이한 배터리 전압 레벨별로 압축기 모터의 파라미터 요구 명령 값과 미리 설정된 모터의 파라미터 표준 출력 동작 값의 매핑 관계를 변환하는 모터 맵 테이블을 등록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압축기 드라이버의 조절 동작을 상기 모터 맵 테이블에 의해 현재 배터리 전압 레벨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므로, 배터리 전압별로 압축기 구동을 정밀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모터 맵 테이블이 다수의 상이한 제품 유형별로 압축기 모터의 파라미터 요구 명령 값과 모터의 파라미터 표준 출력 동작 값의 매핑 관계를 변환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세 번째 예로는, 이러한 모터 맵 테이블을 우선적으로 냉동탑차의 2-압축기와, 3-압축기, 4-압축기 등의 여러 가지 냉동방식별로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도록 해서, 다양한 형태의 냉동방식에 맞게 관련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 제어부는 먼저 상기한 모터 맵 테이블의 모터의 파라미터 요구 명령 값과 모터의 파라미터 표준 출력 동작 값의 매핑 관계가 2-압축기와, 3-컴프레서, 4-압축기를 포함한 냉동탑차의 상이한 냉동방식별로 미리 설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 맵 테이블을 현재의 냉동방식에 대응하여 캘리브레이션하므로, 냉동탑차의 냉동방식별로 맞게 압축기 구동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개선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냉동 탑차 시스템이 이렇게 냉동이 될 경우에, 냉동기의 각종 센싱 데이터로부터 주변 환경정보를 수집해서 최적의 냉동제어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상기한 제어는 먼저 냉동이 될 때, 메인 제어부에서 냉동탑차 내부의 온도를 포함하여 냉동기의 각종 센싱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수집한다.
다음, 수집된 결과로부터 다수의 상이한 센싱 장치별로 소요시간 및 센싱량을 학습하고, 상기 학습결과로부터의 상이한 모델별로 소요시간과 센싱량을 예측하므로, 예측 데이터 모델을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예측 데이터 모델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a) 먼저 상기 예측 데이터 모델은 다수의 상이한 센싱 장치별로 소요시간 및 센싱량 학습 모델을 정의한다.
b) 그리고, 온도 등의 센싱 데이터가 최초로 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센싱량과, 해당 데이터셋(예 : 온도 데이터셋)을 생성한다.
c) 다음으로 다수의 상이한 센싱 장치별로 소요시간 및 센싱량의 속성을 추가한다.
d) 그리고 나서, 다수의 상이한 모델별로 소요시간과, 센싱량의 속성을 결정한다.
e) 그래서, 상기 결정된 결과로부터 정규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f) 다음, 각 모델별로 소요시간과 센싱량을 설정하여 독립 및 종속 변수를 설정한다.
g) 그리고 나서, 상기 설정된 결과에 대해 학습 및 훈련 데이터를 생성한다.
h) 그래서, 이렇게 생성된 결과로부터 딥러닝 기반 학습모델을 생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동탑차에서 제품을 보관하여 특정 목적지로 운반할 경우, 현재 냉동기의 각종 센싱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수집하여 소요시간과 센싱량을 확인한다.
다음, 이러한 소요시간과 센싱량을 해당하는 모델의 미리 예측된 소요시간과 센싱량에 대해서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예를 들어 두 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하한 임계치와 상한 임계치의 사이에 해당하는 값인 경우, 정상으로 확인한다.
반면, 두 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하한 임계치와 상한 임계치의 사이에 해당하는 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설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냉동탑차 내의 환경에 이상 현상, 예를 들어 갑작스런 온도 저하나, 빠른 작업 종료, 데이터 미수집 등이 발생된 경우에는 이상현상 알림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좀 더 상세히 전술한 예측 모델 즉, 학습 모델의 생성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이러한 학습 모델의 생성 방식은 다수의 상이한 센싱 장치별로 소요시간 및 센싱량 학습 모델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품이나 냉동탑차의 용적 등에 따라 소요시간 및 센싱량 패턴이 달라서 데이터셋을 구분하여 모델을 생성한다. 따라서, 모델은 냉동탑차 또는 냉동 탑차 시스템의 각 호기마다 새로 생성할 수도 있고 기준을 잡아 몇 개의 설비의 묶음으로 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결정하도록 한다.
다음,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에서 주변 환경과, 장치 등의 오류로 인하여 다수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을 경우와 상당한 저온의 온도 이상치가 발생할 경우 등에, 해당하는 데이터 파일을 제거한다. 그리고, 기본 데이터셋 생성 후, 추가적으로 필요한 누적 소요시간 및 센싱량 속성을 추가한다.
그리고, 간혹 데이터의 끊김 현상으로 일부 데이터가 미수집 되었을 경우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상이한 모델별로 유효한 속성을 결정하고 정규치를 생성한 후 독립 및 종속 변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소요시간 모델은 누적분, 누적센싱량, 온도 등이 유효한 독립변수일 수 있고 소요시간이 종속변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학습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체 데이터 중에서 학습과 훈련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전체 데이터셋에서 70%를 학습데이터로 30%를 모델 생성후 모델을 시험하기 위해 훈련데이터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학습 모델을 생성한다. 이 단계에서 어떠한 학습모델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딥러닝 기반에서 필요한 레이어를 구성하여 입력과 출력층을 구성하여 최정 출력 개수를 설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생성된 모델을 평가하고 이 모델을 오차율에 만족하면 새로운 데이터로 모델을 시뮬레이션 한 후, 모델 갱신이 필요하지 않으면 학습 모델을 저장한 후 예측 모델로 사용한다.
100 : 냉동 탑차 시스템
101 : PDU 102 : LDC
103 : 배터리 104 : DC-DC 컨버터
105 : 압축기 드라이버 106 : 메인 제어부
107 : 전원 릴레이 108 : 온도 센서
109 : 서브 제어부 110 : 스위치

Claims (7)

  1. 냉동탑차 내의 제품을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압축기를 통해 적정 온도로 보관할 경우, 상기 냉동탑차의 엔진과 외부의 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위한 제 1 전력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PDU;
    상기 PDU에 의해 분배된 제 1 전력을 미리 설정된 저전압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LDC;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위한 제 2 전력을 상기 압축기에 대해서 출력하고, 상기 제 2 전력이 출력될 때에 상기 LDC에 의해 변환된 제 1 전력으로 충전하므로, 전력 소모와 충전을 연동해서 냉각속도를 높이는 배터리;
    상기 압축기별로 각기 설치되어서,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출력된 제 2 전력을 상기 압축기 구동용 전력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별로의 변환된 전력을 스위칭하여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해서 상기 압축기로 제공하는 압축기 드라이버; 및
    상기 냉동탑차 내의 상이한 제품별로 미리 설정된 냉동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 드라이버의 스위칭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해서, 냉동탑차 내의 제품별로 적정 온도를 구비하는 메인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DC-DC 컨버터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보다 초과하는 경우에 온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보다 이하인 경우에는 오프되므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전원 릴레이;
    상기 냉동탑차 내의 실제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메인 제어부의 냉동온도와 온도 센서의 실제온도를 비교해서, 상기 비교 결과 냉동온도와 실제온도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차이값보다 미만인 경우 배터리전력 차단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상인 경우 배터리전력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서브 제어부;
    상기 전원 릴레이의 철편과 연결되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의 배터리전력 공급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되어 전원 릴레이를 통해 배터리전력이 공급되고, 배터리전력 차단 제어신호에 의해 온되어서 전원 릴레이를 통한 배터리전력이 차단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LDC는 상기 전원 릴레이의 전자석과 연결되어서, 상기 스위치의 오프에 의해 전원 릴레이에서 자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오프되고, 상기 스위치의 온에 의해 전원 릴레이에서 자력이 발생한 경우에는 온되어서, 해당 동작이 단속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감시해서, 현재 배터리 전압이 속하는 레벨별로 DC-DC 컨버터의 개수를 대응하여 설정하므로, 배터리 전압별로 압축기를 상이하게 구동하는 제 1단계;
    상기 압축기가 구동될 때에, DC-DC 컨버터의 개수와, 제품별 냉동온도, 온도 센서의 실제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 드라이버의 조절 동작을 통합적으로 상이하게 제어하는 제 2단계;
    냉동탑차 내부의 실제 온도를 포함하여 냉동과 관련된 다수의 상이한 센싱 장치별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3단계;
    다수의 상이한 센싱 장치별로 소요시간 및 센싱량을 학습하고, 상기 학습결과로부터 모델별로 소요시간과 센싱량을 예측하는 예측 데이터 모델을 생성하는 제 4단계;
    상기 냉동탑차에서 냉동이 될 경우에, 현재 냉동과 관련된 각각의 센싱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수집하여 소요시간과 센싱량을 확인하는 제 5단계;
    상기 소요시간과 센싱량을 상기 예측 데이터 모델에 따라 해당하는 미리 예측된 소요시간과 센싱량에 대해서 비교하는 제 6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두 값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하한 임계치와 상한 임계치의 사이에 해당하는 값인 경우에 정상으로 확인하고, 반면, 두 값의 차이값이 상기 하한 임계치와 상한 임계치의 사이에 해당하는 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상으로 확인하는 제 7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 데이터 모델은 ① 다수의 상이한 센싱 장치별로 소요시간 및 센싱량 학습 모델을 정의하고, ② 센싱 데이터의 초기 지점을 기준으로 센싱량과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③ 다수의 상이한 센싱 장치별로 소요시간 및 센싱량의 속성을 추가하고, ④ 다수의 상이한 모델별로 소요시간과, 센싱량의 속성을 결정하며, ⑤ 상기 결정된 결과로부터 정규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⑥ 각각의 모델별로 소요시간과 센싱량을 설정하여 독립 및 종속 변수를 설정하고, ⑦ 상기 설정된 결과에 대해 학습 및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며, ⑧ 상기 생성된 결과로부터 딥러닝 기반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계차이값은,
    상기 배터리 전압 레벨별로 대응하여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c) 상기 DC-DC 컨버터의 개수가 설정된 경우, 미리 DC-DC 컨버터의 개수별로 대응하는 직류전력값을 설정해서 해당하는 DC-DC 컨버터의 변환 동작을 현재 직류전력값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므로, 배터리 전압별로 압축기 구동을 상이하게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d-1)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수행할 경우에, 미리 다수의 상이한 배터리 전압 레벨별로 압축기 모터의 파라미터 요구 명령 값과 미리 설정된 모터의 파라미터 표준 출력 동작 값의 매핑 관계를 변환하는 모터 맵 테이블을 등록해서,
    d-2) 상기 압축기 드라이버의 조절 동작을 상기 모터 맵 테이블에 의해 현재 배터리 전압 레벨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므로, 배터리 전압별로 압축기 구동을 정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모터 맵 테이블이 다수의 상이한 제품 유형별로 압축기 모터의 파라미터 요구 명령 값과 모터의 파라미터 표준 출력 동작 값의 매핑 관계를 변환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e-1) 상기 모터 맵 테이블의 모터의 파라미터 요구 명령 값과 모터의 파라미터 표준 출력 동작 값의 매핑 관계가 2-압축기와, 3-컴프레셔, 4-압축기를 포함한 냉동탑차의 상이한 냉동방식별로 미리 설정되어서,
    e-2) 상기 모터 맵 테이블을 현재의 냉동방식에 대응하여 캘리브레이션하므로, 냉동탑차의 냉동방식별로 맞게 압축기 구동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탑차 시스템.
  7. 삭제
KR1020210040942A 2021-03-30 2021-03-30 냉동 탑차 시스템 KR10252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42A KR102524434B1 (ko) 2021-03-30 2021-03-30 냉동 탑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42A KR102524434B1 (ko) 2021-03-30 2021-03-30 냉동 탑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377A KR20220135377A (ko) 2022-10-07
KR102524434B1 true KR102524434B1 (ko) 2023-04-21

Family

ID=8359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942A KR102524434B1 (ko) 2021-03-30 2021-03-30 냉동 탑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4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928B1 (ko) * 2022-11-11 2023-10-16 소무나 주식회사 공조 제어 시스템을 기반으로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컴프레서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49B1 (ko) * 2013-02-28 2014-06-13 주식회사 이에스티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925B1 (ko) * 2018-12-07 2020-10-07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복수 압축기를 구비한 냉장/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KR20200126071A (ko) * 2019-04-29 2020-11-06 (주)퓨처시스텍 Bldc 모터용 압축기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49B1 (ko) * 2013-02-28 2014-06-13 주식회사 이에스티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377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2703B (zh) 电池寿命预测及监测
US11130387B2 (en) Load management for refrigerated truck unit
US11155143B2 (en) Load management for refrigerated truck unit
US11821661B2 (en) Energy control for a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with an energy storage device
US11827074B2 (en)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architecture and controls for smart grid optimization and integration
EP2315985B1 (en) Continuous compressor envelope protection in a refrigeration system
CN101522448B (zh) 汽车辅助电加热器的工作方法
US11104230B2 (en) Multi-source power management for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WO20151003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power allocation in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KR102524434B1 (ko) 냉동 탑차 시스템
EP1564049B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WO20201420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notifying and mitigating a suboptimal event occurring in a transport climate control system
CN103883545A (zh) 发动机冷却风扇的控制方法及装置
US1199313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feedback for a transport climate control system
KR102381249B1 (ko)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1318888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management of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KR102162925B1 (ko) 복수 압축기를 구비한 냉장/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EP30869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power allocation in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CN104374009A (zh) 一种车用一体式直流空调系统及其控制系统
EP30876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battery charger for use in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CN204373065U (zh) 一种车用一体式直流空调系统及其控制系统
US20210159699A1 (en) Improved method for managing a group of electrical devices
CN212194999U (zh) 一种电动双层巴士远程车联控温管理系统
CN117382413A (zh) 一种新能源商用冷藏车高压电源管理方法
EP4316878A1 (en) Method of operating a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