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136B1 -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136B1
KR102524136B1 KR1020220133406A KR20220133406A KR102524136B1 KR 102524136 B1 KR102524136 B1 KR 102524136B1 KR 1020220133406 A KR1020220133406 A KR 1020220133406A KR 20220133406 A KR20220133406 A KR 20220133406A KR 102524136 B1 KR102524136 B1 KR 102524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late
hole
connecting plate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창전기
Priority to KR102022013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전신주에 설치되는 완금,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1수평판과, 상기 제1수평판의 일단에 하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1수직판을 갖춘 제1모듈; 상기 제1수평판과 마주하도록 제1수직판의 상단에 일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1수평판의 관통공과 동일한 수직축선 상에 위치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타단에 하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2수직판과, 상기 연결판과 마주하도록 제2수직판의 상단에 일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연결판의 관통공과 동일한 수직축선 상에 위치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2수평판을 갖춘 제2모듈;로 구성되어서 'ㄹ' 형상을 이루되, 상기 연결판을 기준으로 제1모듈과 제2모듈이 비대칭 형태를 이루고, 상기 완금이 제1모듈과 연결판 사이, 또는 상기 제2모듈과 연결판 사이에 삽입되어서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매개로 체결되며, 상기 제1수평판과 제2수평판과 제1수직판과 제2수직판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제1탈착부재가 설치된 ㄹ형 브래킷, 상기 완금이 미체결된 제1모듈 또는 제2모듈 각각의 관통공 중 하나에 끼워져 고정되는 현수애자, 상기 현수애자가 설치된 제1모듈 또는 제2모듈에서 현수애자가 미설치된 수평판 또는 수직판의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점퍼애자, 및 상기 현수애자에 연결되는 가공배전선을 가공점퍼선으로 분기해서 점퍼애자에 연결되도록 하는 분기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DISTRIBUTION LINE FIXED STRAP DEVICE HAVING SAFETY FUNCTION}
본 발명은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공배전선은 전신주 또는 철탑에서 절연 애자로 지지되어 배전하는 배전선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은 전신주 또는 철탑에 설치된 완금(腕金, cross arm)에 지지되며, 가공배전선의 지지를 위해 완금에는 절연 애자가 설치된다. 절연 애자는 가공배전선과 완금 사이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에 대한 완금을 절연하고 동시에 가공배전선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비탄성 절연체이다.
그런데 절연 애자는 완금에 직접 설치되므로 가공배전선이 가하는 충격이 완충 없이 흡수되어서 자체 균열이 발생하고, 심지어 가공배전선이 직접 가하는 충격에 의해 바로 파손되면서 절연 애자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가공배전선을 지지하는 완충식 연결 장치(이하 '종래 기술')가 개시되었으나, 종래 기술은 구성과 구조가 복잡하고 효율성은 물론 경제적으로도 매우 취약하므로 현실적으로 실용 가치가 높지 않았다. 결국,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실용성과 상품성이 우수하고 현실적 가치가 충분한 완충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또한, 현수 애자를 이용한 가공배전선의 경우에는 전신주를 기준으로 가공점퍼선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데, 가공점퍼선을 고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완금 또는 이에 상응하는 브래킷을 설치했어야 하므로, 설치 유지와 관리 및 비용에 부담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1759987호(2017.07.20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배전선과 가공점퍼선 설치를 위해 소비되는 자재를 줄여서 관리에 따른 수고와 소모 비용을 절감하고, 가공배전선이 가하는 충격에 대응해서 완충성이 우수하고 완금에 대한 설치가 용이한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신주에 설치되는 완금,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1수평판과, 상기 제1수평판의 일단에 하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1수직판을 갖춘 제1모듈; 상기 제1수평판과 마주하도록 제1수직판의 상단에 일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1수평판의 관통공과 동일한 수직축선 상에 위치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타단에 하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2수직판과, 상기 연결판과 마주하도록 제2수직판의 상단에 일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연결판의 관통공과 동일한 수직축선 상에 위치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2수평판을 갖춘 제2모듈;로 구성되어서 'ㄹ' 형상을 이루되, 상기 연결판을 기준으로 제1모듈과 제2모듈이 비대칭 형태를 이루고, 상기 완금이 제1모듈과 연결판 사이, 또는 상기 제2모듈과 연결판 사이에 삽입되어서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매개로 체결되며, 상기 제1수평판과 제2수평판과 제1수직판과 제2수직판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제1탈착부재가 설치된 ㄹ형 브래킷,
상기 완금이 미체결된 제1모듈 또는 제2모듈 각각의 관통공 중 하나에 끼워져 고정되는 현수애자,
상기 현수애자가 설치된 제1모듈 또는 제2모듈에서 현수애자가 미설치된 수평판 또는 수직판의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점퍼애자, 및
상기 현수애자에 연결되는 가공배전선을 가공점퍼선으로 분기해서 점퍼애자에 연결되도록 하는 분기슬리브,
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과 가공점퍼선 설치를 위해 소비되는 자재를 줄여서 관리에 따른 수고와 소모 비용을 절감하고, 가공배전선이 가하는 충격에 대응해서 완충성이 우수하고 완금에 대한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에 구성된 ㄹ형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ㄹ형 브래킷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에 구성된 ㄹ형 브래킷에 보강수단이 장착되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에 구성된 ㄹ형 브래킷에 보강수단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ㄹ형 브래킷에 보강수단을 장착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갖춘다", "구성한다" 라고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입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에 구성된 ㄹ형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ㄹ형 브래킷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는, 완금(10)과, 완금(10)에 설치되는 ㄹ형 브래킷(20)과, ㄹ형 브래킷(20)과 가공배전선(W1)을 연결하는 현수애자(30)와, ㄹ형 브래킷(20)과 가공점퍼선(Z)을 연결하는 점퍼애자(40)와, 가공배전선(W1)에서 가공점퍼선(Z)을 분기하는 분기슬리브(50)로 구성된다.
완금(10)은 현수애자(30) 설치를 위해 전신주(미도시함)에 설치되며, 가공배전선(W1)과 현수애자(30) 등을 지지하기 위해 고강도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완금(10)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ㄹ형 브래킷(20)은, 제1수평판(21a)과 제1수직판(21b)과 연결판(22)과 제2수직판(23b)과 제2수평판(23a)이 일렬로 연결되어 'ㄹ' 형상을 이루고, 완금(10)에 설치된다. 이에 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모듈(21)은, 관통공(h1)이 중앙에 형성된 제1수평판(21a)과, 제1수평판(21a)의 일단에 하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관통공(h2)이 중앙에 형성된 제1수직판(21b)을 갖춘다. 따라서 제1모듈(21)은 'ㄴ' 형상을 이룬다. ㄹ형 브래킷(20)은 완충 기능을 위해 탄성 재질을 이루고, 완금(10)에 설치된 상태에서 'ㄹ' 형상을 유지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같는 재질을 이룬다. 따라서 ㄹ형 브래킷(20)은 탄성과 강성을 갖는 강철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판(22)은, 제1수평판(21a)과 마주하도록 제1수직판(21b)의 상단에 일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1수평판(21a)의 관통공(h1)과 마주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공(h3)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모듈(21)과 연결판(22) 간의 연결로 인해 'ㄷ' 형상을 이루고, 완금(10)은 제1모듈(21)과 연결판(22) 사이의 개구부로 삽입된다.
제2모듈(21)은, 연결판(22)의 타단에 하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관통공(h4)이 중앙에 형성된 제2수직판(23b)과, 연결판(22)과 마주하도록 제2수직판(23b)의 상단에 일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관통공(h3)과 마주하는 관통공(h5)이 중앙에 형성된 제2수평판(23a)을 갖춘다. 따라서 제2모듈(23)과 연결판(22) 간의 연결로 인해 'ㄷ' 형상을 이루고, 완금(10)은 제2모듈(23)과 연결판(22) 사이의 개구부로 삽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모듈(21)과 연결판(22)과 제2모듈(23)의 연결을 통해 ㄹ형 브래킷(20)은 'ㄹ' 형상을 이루고, 완금(10)은 제1모듈(21)과 연결판(22)이 이루는 개구부, 또는 제2모듈(23)과 연결판(22)이 이루는 개구부로 삽입된다. 상기 개구부에 완금(10)이 삽입되면, 제1수평판(21a)과 연결판(22)과 제2수평판(23a)에 형성된 관통공(h1, h3, h5)을 관통하는 고정핀(F)에 의해 완금(10)과 ㄹ형 브래킷(20)은 상호 체결된다.
본 발명에 구성된 ㄹ형 브래킷(20)은 연결판(22)을 기준으로 제1모듈(21)과 제2모듈(23)이 비대칭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수평판(21a)은 제2수평판(23a)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제1수직판(21b) 또한 제2수직판(23b)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다. 따라서 완금(10)의 크기에 맞춰 제1모듈(21)과 연결판(22) 사이 또는 제2모듈(23)과 연결판(22) 사이에 끼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모듈(21)과 제2모듈(23)의 비대칭 형태를 이루므로, 제1수평판(21a)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h1)과 제2수평판(23a)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h5)이 서로 다른 수직축선 상에 위치한다. 그런데 연결판(2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h3)은 완금(10)과의 체결을 위해서 제1수평판(21a)의 관통공(h1)에 수직하게 끼워진 고정핀(F)은 물론 제2수평판(23a)의 관통공(h5)에 수직하게 끼워진 고정핀(F)도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결판(22)의 관통공(h3)은 제1수평판(21a)의 관통공(h1)과 제2수평판(23a)의 관통공(h5) 모두와 수직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장공 형태를 이룬다.
ㄹ형 브래킷(20)의 제1수평판(21a)과 제2수평판(23a)과 제1수직판(21b)과 제2수직판(23b)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제1탈착부재(26)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탈착부재(26)는 슬라이딩으로 보관박스(40)를 분리하거나 설치할 수 있도록 레일 형태를 이루었으나, 이외에도 고리 연결이 가능하도록 링 또는 고리 형태일 수도 있고, 기타 2개의 분리된 부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수단이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현수애자(30)는 완금(10)이 미체결된 제1모듈(21) 또는 제2모듈(23)의 해당 관통공(h1, h2, h4, h5)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를 위해 현수애자(30)는, ㄹ형 브래킷(20)에 고정되는 고정축대(31)와, 고정축대(31)와 일렬로 이어지는 절연체(32)와, 가공배전선(W1)을 지지하는 지지대(33)로 구성된다. 현수애자(30)의 구조와 기능 및 재질 등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점퍼애자(40)는 현수애자(30)가 설치된 모듈(21, 23)에서 현수애자(30)가 미체결된 수평판 또는 수직판의 관통공에 체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현수애자(30)는 제1모듈(21)에 구성된 제1수직판(21b)의 관통공(h2)에 관통해 체결되었으므로, 점퍼애자(40)는 제1모듈(21)에 구성된 제1수평판(21a)의 관통공(h1)에 관통해 체결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가공점퍼선(Z)은 점퍼애자(40)의 지지대(33)에 걸려 고정된다. 점퍼애자(40)는 현수애자(30)와 같이 그 구조와 기능 및 재질 등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기슬리브(50)는 현수애자(30)에 연결된 가공배전선(W1)을 가공점퍼선(Z)으로 분기해서 점퍼애자(40)에 연결되도록 한다. 분기슬리브(50)는 가공배전선(W1)으로 통전하는 전기를 배전하거나, 다른 가공배전선(W1)으로 통전하도록 분기하는 전기기구이다. 분기슬리브(50)는 이미 전기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배전 및 분기를 위한 분기슬리브(5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에 구성된 ㄹ형 브래킷(20)은 완금(10)을 기준으로 다양한 자세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자세에 맞춰 현수애자(30)와 점퍼애자(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완금(10)이 설치된 제2모듈(23)과 제1모듈(21)이 상하로 배치되고, 완금(10)이 미설치된 제1모듈(21)의 제1수직판(21b)에 가공배전선(W1)을 지지하는 현수애자(30)가 설치되며, 제1모듈(21)의 제1수평판(21a)에 가공점퍼선(Z)을 지지하는 점퍼애자(40)가 설치된다. 여기서 현수애자(30)는 물론 점퍼애자(40) 또한 전선(가공배전선, 가공점퍼선)을 현수식으로 연결해 지지하므로, 현수애자(30)와 점퍼애자(40)의 각 지지대(33, 43; 인장클램프)는 가공배전선(W1)과 가공점퍼선(Z)을 각각 그랩핑(grabbing)한다.
도 1과는 달리 도 4는 완금(10)이 설치된 제1모듈(21)과 제2모듈(23)이 수평하게 배치되고, 제2모듈(23)의 제2수직판(23b)에 점퍼애자(40)가 설치되며, 제2수평판(23a)에 현수애자(30)가 설치된 실시 예이다.
한편, 도 6은 완금(10)이 설치된 제1모듈(21)과 제2모듈(23)이 상하로 배치되고, 제2모듈(23)의 제2수평판(23a)에 라인포스트 애자(LP애자)가 점퍼애자(40)로 입설되며, 제2수직판(23b)에 가공배전선(W1)이 연결되는 현수애자(30)가 설치된 실시 예이다. 이 경우 가공점퍼선(Z)은 점퍼애자(40)의 지지대(43')의 안착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ㄹ형 브래킷(20)은 완금(10)을 기준으로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작업자는 현장 상황에 맞춰 현수애자(30)와 점퍼애자(40)를 다양한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모듈(21)과 제2모듈(23) 중 하나에 완금(10)이 설치되면, 다른 하나의 모듈에 현수애자(30)와 점퍼애자(40)가 설치되어서 절연 재질인 현수애자(30) 및 점퍼애자(40)에는 없는 완충 기능을 수행하므로, 가공배전선(W1)과 가공점퍼선(Z)의 흔들림으로 현수애자(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에 구성된 ㄹ형 브래킷에 보강수단이 장착되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에 구성된 ㄹ형 브래킷에 보강수단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ㄹ형 브래킷에 보강수단을 장착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점퍼선 지지기구는 보강판(24)과 연결로드(25)를 더 포함한다. 보강판(24)은 현수애자(30) 및 점퍼애자(40)가 설치될 모듈(21, 23)의 위치에 맞춰 연결판(22)의 상면 또는 하면(도 8의 (c)도면 참조)에 안착 고정된다. 이를 위해 연결판(22)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고정레일(22a, 22b)이 형성되고, 연결판(22)과 마주하는 보강판(24)의 일면에는 고정레일(22a, 22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홈(24d)이 형성된다. 따라서 현수애자(30) 및 점퍼애자(40)가 고정될 모듈(21, 23)이 결정되면, 해당 모듈(21, 23)에 노출되는 연결판(22)의 일면에 보강판(24)을 끼워 고정한다.
보강판(24)은 장공 형태의 관통공(h3)이 형성된 연결판(22)의 상면 또는 하면을 덮는 부재이므로, 관통공(h3)과 연통하는 관통공(24a)을 형성해서, 고정핀(F)이 연결판(22)의 관통공(h3)에 삽입하는데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보강판(24)은 선단에 제1가이드홈(24c)이 형성되고, 제1가이드홈(24c)에는 걸림턱(24b)이 형성된다. 또한, 제1수평판(21a)과 제2수평판(23a)의 선단에는 제1가이드홈(24c)에 상응하는 제2가이드홈(21c, 23c)이 형성된다.
연결로드(25)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림돌기(25a, 25b)가 형성된다. 걸림돌기(25a, 25b)는 도 8의 (b)도면과 같이 걸림턱(24b)에 걸려 맞물리도록 함은 물론, 제1수평판(21a)과 제2수평판(23a)의 선단 턱을 감싸며 걸리도록 한다. 따라서 연결판(22)에 고정된 보강판(24)의 제1가이드홈(24c)으로 연결로드(25)의 하단이 삽입되면, 상기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5b)는 걸림턱(24b)에 맞물려서 끼워지고, 연결로드(25)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5a)는 제2수평판(23a)의 제2가이드홈(23c)에 삽입되어 제2수평판(23a)의 선단 턱에 걸린다. 또한, 연결로드(25)는 제1가이드홈(24c)과 제2가이드홈(23c)에 맞물리므로, 수평판(21a, 23a)에 대한 연결로드(25)의 좌우 이동이 제한된다.
결국, 연결판(22)과 수평판(21a, 23a)은 보강판(24)과 연결로드(25)에 의해 상호 연결이 안정하게 보강되어서, 수직판(21b, 23b)의 변형에 의한 연결판(22)과 수평판(21a, 23a) 간의 벌어짐을 방지한다.
한편, 연결로드(25)는 보강판(24)과 일체로 고정되고, 수평판(21a, 23a)과는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가공배전선(W1) 등으로부터 받는 충격에 대해 수평판(21a, 23a)은 연결로드(25)의 제약 없이 흔들리며 완충할 수 있고, 수평판(21a, 23a)이 연결판(22)으로부터 기준치 이상 이격되면 연결로드(25)의 걸림돌기(25a, 25b)가 수평판(21a, 23a)의 선단 턱을 걸어 제약하여 연결판(22)과 수평판(21a, 23a) 간의 벌어짐을 방지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완금 20; ㄹ형 브래킷 21; 제1모듈
22; 연결판 23; 제2모듈 24; 보강판
25; 연결로드 30; 현수애자 40; 점퍼애자

Claims (1)

  1. 전신주에 설치되는 완금,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1수평판과, 상기 제1수평판의 일단에 하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1수직판을 갖춘 제1모듈; 상기 제1수평판과 마주하도록 제1수직판의 상단에 일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1수평판의 관통공과 동일한 수직축선 상에 위치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타단에 하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2수직판과, 상기 연결판과 마주하도록 제2수직판의 상단에 일단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연결판의 관통공과 동일한 수직축선 상에 위치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제2수평판을 갖춘 제2모듈;로 구성되어서 'ㄹ' 형상을 이루되, 상기 연결판을 기준으로 제1모듈과 제2모듈이 크기 차이로 인한 비대칭 형태를 이루고, 상기 완금이 제1모듈과 연결판 사이, 또는 상기 제2모듈과 연결판 사이에 삽입되어서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매개로 체결되며, 상기 제1수평판과 제2수평판과 제1수직판과 제2수직판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면에는 제1탈착부재가 설치된 ㄹ형 브래킷,
    상기 완금이 미체결된 제1모듈 또는 제2모듈 각각의 관통공 중 하나에 끼워져 고정되는 현수애자,
    상기 현수애자가 설치된 제1모듈 또는 제2모듈에서 현수애자가 미설치된 수평판 또는 수직판의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점퍼애자, 및
    상기 현수애자에 연결되는 가공배전선을 가공점퍼선으로 분기해서 점퍼애자에 연결되도록 하는 분기슬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KR1020220133406A 2022-10-17 2022-10-17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KR102524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406A KR102524136B1 (ko) 2022-10-17 2022-10-17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406A KR102524136B1 (ko) 2022-10-17 2022-10-17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136B1 true KR102524136B1 (ko) 2023-04-21

Family

ID=8609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406A KR102524136B1 (ko) 2022-10-17 2022-10-17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1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342Y1 (ko) * 1995-12-30 1999-10-15 정몽규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200251758Y1 (ko) * 2001-07-11 2001-11-17 한국전력공사 전선케이블의 점퍼선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애자
KR101352074B1 (ko) *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759987B1 (ko) 2017-02-28 2017-07-20 주식회사 선진전기 가공 배전선의 완충식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342Y1 (ko) * 1995-12-30 1999-10-15 정몽규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200251758Y1 (ko) * 2001-07-11 2001-11-17 한국전력공사 전선케이블의 점퍼선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애자
KR101352074B1 (ko) *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759987B1 (ko) 2017-02-28 2017-07-20 주식회사 선진전기 가공 배전선의 완충식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83733A1 (en) Modular cable support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9939602B2 (en) Mounting system and kit for aerial mounting of a fiber optic enclosure
CN215935203U (zh) 便于重型电信设备装配的架杆安装系统
KR100519935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2524136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US10971915B2 (en) Mounting bracket systems for dead-end utility lines
KR102491957B1 (ko) 충돌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간격 유지기구
US4570884A (en) Communication cable support system
KR102534687B1 (ko) 보수 작업이 편리한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0876331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2534690B1 (ko) 충돌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간격 유지기구
KR200446267Y1 (ko)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RU187237U1 (ru) Натяжной анкерный кронштейн
JP5579585B2 (ja) 引込み用ケーブルの支持具
CA1279382C (en) Dead end tension clamp for optical ground wire
CN209948624U (zh) 耐张线夹
JP7366970B2 (ja) ケーブル用吊架金物
KR20130015952A (ko)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CN112510620B (zh) 一种适用于架空电力电缆的安装固定装置
CN221633380U (zh) 一种居民住宅小区供电工程用线路支撑装置
AU2018202314B2 (en) A cable suspension
CN219412081U (zh) 一种10kV带电组立铁塔绝缘横担
JP5351854B2 (ja) 引込み用ケーブルの支持具
JP7415587B2 (ja) ケーブル架設具
JP3115358U (ja) ドロップ支持線の端部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