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766B1 -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766B1
KR102523766B1 KR1020210018481A KR20210018481A KR102523766B1 KR 102523766 B1 KR102523766 B1 KR 102523766B1 KR 1020210018481 A KR1020210018481 A KR 1020210018481A KR 20210018481 A KR20210018481 A KR 20210018481A KR 102523766 B1 KR102523766 B1 KR 10252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housing
lighting device
coupl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894A (ko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이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환 filed Critical 이경환
Priority to KR102021001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7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8Psycholog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수면유도용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는, 빛의 파장이 조절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의 빛의 파장을 시간별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의 위치를 쉽게 조정하고, 물건을 놓을 수 있는 평면을 제공하며,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면유도용 조명장치{SLEEPING INDUCING LAMP}
본 발명은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시점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합한 파장의 조명 환경을 조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빛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 필수 요소이며 기본적으로 시각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궁극적으로는 인간 건강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빛의 특정 단파장 비율은 인간의 생체리듬 조절에 기여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량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멜라토닌 분비량의 조절은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연구자료에 따르면 460nm 파장의 빛이 555nm 파장의 빛보다 멜라토닌 억제에 더 많은 기여를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595nm, 660nm의 장파장의 빛보다 470nm, 495nm, 525nm의 단파장 빛이 멜라토닌 분비 및 억제에 더욱 민감하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즉 시점에 따라 단파장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경우 조명 사용자의 각성 상태를 유지하거나 수면 상태에 자연스럽게 진입하도록 도움을 주므로 건강한 생체패턴을 유지할 수 있다.
기존 조명 빛은 항시 고정된 단파장 비율로 제공되므로 사용자 생체리듬이 불규칙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면위상지연증후군, 수면위상전진증후군 등 다양한 수면장애 현상을 초래한다.
밀폐된 실내공간에 오랜 시간 상주하는 재실자, 근무시간이 불규칙한 교대근무자, 과중한 업무량에 의해 야간근무를 수행하는 야간근무자 등은 변동적인 근무시간과 획일화된 조명 환경으로 인해 건강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특성이나 사용 시점에 따라 적합한 파장의 조명 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78956호(이하 '선행문헌')는 멜라토닌량 분석에 기초한 수면 유도 조명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의 멜라토닌량 분석에 기초한 수면 유도 조명 장치는 유저의 생체 내 멜라토닌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멜라토닌량 감지부와, 수면 유도 모드 및 일반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모드 선택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드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모드 및 멜라토닌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생체 내 멜라토닌량에 기초하여 단파장의 광량을 결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광량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446nm 내지 477nm의 단파장의 광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명; 및 제어부로부터 광량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 동작되어 조명의 광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광량 조절부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멜라토닌량 분석에 기초한 수면 유도 조명 장치는, 제어부가 모드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모드 및 멜라토닌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멜라토닌량에 기초하여 단파장의 광량을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광량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446nm 내지 477nm의 단파장의 광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명을 구비하여 광량 조절부가 제어부로부터 광량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 동작되어 조명의 광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숙면을 유도하기 위해 멜라토닌의 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멜라토닌량 분석에 기초한 수면 유도 조명 장치는, 멜라토닌량 감지부가 혈액 또는 타액 샘플을 분석하여 혈중 또는 타액 중의 멜라토닌 농도를 기초로 생체 내 멜라토닌량을 감지하게 되는데, 혈액 또는 타액 샘플을 분석하는 장치는 고가 및 고중량이므로, 일반 가정집 조명이나 휴대용 조명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78956호 (공개일: 2018.07.10)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시점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합한 파장의 조명 환경을 조성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책상, 선반, 침대 등 주변 사물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램프의 위치를 쉽게 조정하고, 물건을 놓을 수 있는 평면을 제공하며,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빛의 파장이 조절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의 빛의 파장을 시간별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램프가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램프의 빛이 투과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투과하는 빛이 확산하도록, 상기 커버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램프가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의 파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램프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리는, 상기 브래킷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다리; 및 상기 제1 다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물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제2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일 방향으로 긴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다리는 상기 삽입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 다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홈의 내면은 상기 제2 다리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래킷에 제1 자성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다리에 제2 자성체가 결합되며, 상기 제2 다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가 인력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끼움홈 내에 상기 사물의 일측과 접촉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다리에 상기 접촉부재를 이동시키는 노브가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어부를 세팅하는 어플이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램프가 결합되고, 체결부재가 결합된 하우징; 상기 체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 상기 다리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제2 걸림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다리를 연결하고, 상기 돌기를 상기 홈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에 상기 램프가 결합되고, 하부가 사물에 형성된 삽입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관통홀의 위에서 상기 사물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중간이 절곡된 파이프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면, 상기 램프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이블에 무선충전기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통홀에 로드 부싱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 부싱의 상부와 하부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플랜지가 각각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 외면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안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플랜지는 상기 로드 부싱 상부의 상기 확장플랜지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가 램프의 빛의 파장을 시간별로 조절하거나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사용 시점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합한 파장의 조명 환경을 조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에 브래킷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브래킷에 다리가 결합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며, 책상, 선반, 침대 등 주변 사물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의 하부가 사물에 형성된 삽입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우징은 중간이 절곡된 파이프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램프의 위치를 쉽게 조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블에 하우징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테이블은 관통홀의 위에서 사물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됨으로써, 물건을 놓을 수 있으면서도 위치 조절 가능한 평면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블에 무선충전기가 구비됨으로써,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제2 다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다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다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무선충전기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침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책상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의 로드 부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는, 사용 시점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합한 파장의 조명 환경을 조성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책상, 선반, 침대 등 주변 사물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는, 램프의 위치를 쉽게 조정하고, 물건을 놓을 수 있는 평면을 제공하며,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의 제2 다리(820)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의 다리(8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는 사용 시점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합한 파장의 조명 환경을 조성하도록 이루어지며, 램프(100), 제어부(200), 배터리(300), 하우징(400), 커버(500), 감지센서(600), 브래킷(700) 및 다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은 일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한다. 하우징(400)의 한쪽 면이 개구부를 형성한다.
하우징(400) 내에 램프(100), 제어부(200) 및 배터리(300)가 구비된다. 배터리(300)는 충전식 배터리(300)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400)의 일측에 충전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은 프레임(410)을 포함한다. 프레임(410)은 하우징(400) 내에 구비된다. 하우징(400) 내면에 프레임(410), 제어부(200) 및 배터리(300)가 끼워지는 복수의 돌출부(420)가 형성된다.
커버(500)는 램프(100)의 빛이 투과하는 구성이다. 커버(500)는 하우징(400)의 개구부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0)에 다수의 요철(501)이 형성된다. 램프(100)의 빛은 다수의 요철(501) 부분에서 확산하며 커버(500)를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LED 모듈의 빛은 커버(500)의 전면에 걸쳐 대체로 유사한 광량을 형성하게 된다.
램프(100)는 프레임(410)에 결합된다. 프레임(410)은 램프(100)와 커버(500) 사이에 램프(100)의 빛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프레임(410)은 경로의 측면에 램프(100)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412)을 형성한다. 반사면(412)에서 반사된 램프(100)의 빛은 커버(500)로 이동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100)는 파장이 조절되는 LED 모듈로 구비된다.
LED 모듈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LED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주로 단파장의 빛을 발산하고, 다른 하나는 주로 장파장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한 쌍의 LED 모듈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프레임(410)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램프(100)의 빛의 파장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제어부(200)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여 빛의 파장이 조절되도록 램프(100)를 제어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9194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명의 빛의 파장을 조절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자료에 의하면 460nm 파장의 빛이 555nm 파장의 빛보다 멜라토닌 억제에 더 많은 기여를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리고 다른 선행 연구자료에 의하면 595nm, 660nm의 장파장의 빛보다 470nm, 495nm, 525nm의 단파장 빛이 멜라토닌 분비 및 억제에 더욱 민감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또 다른 선행 연구자료에 의하면 446nm~477nm에 해당하는 단파장 영역의 비율이 10% 이상 변화하게 되면 멜라토닌 분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램프(100)의 빛의 파장을 조절하면 생체 내 멜라토닌량을 증가시켜 수면을 유도하거나 생체 내 멜라토닌량을 감소시켜 수면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램프(100)의 파장을 시간별로 조절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램프(100)가 낮시간대에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고 밤시간대에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시키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도록 램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시간 경과에 따라 빛의 파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램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폰에는 제어부(200)를 세팅하는 어플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600)는 커버(500) 전방의 물체를 감지한다. 감지센서(600)는 하우징(400)에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10)에 감지센서(600)가 결합되는 구멍(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500)에 감지센서(600)가 삽입되는 통과홀(502)이 형성된다.
감지센서(600)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로 구비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물리적 접촉 없이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전자기장이나 전자기파(적외선)을 방출하고 그 전기장과 돌아오는 신호를 찾는다. 감응을 받는 물체는 근접 센서의 대상으로 간주된다. 근접 센서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감지센서(600)의 신호는 제어부(200)에 전달된다. 제어부(200)는 감지센서(600)의 신호에 의해 램프(100)의 파장을 조절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손으로 감지센서(600)를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가리면, 제어부(200)는 램프(100)가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으로 감지센서(600)를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2번 이상 가리면, 제어부(200)는 램프(100)가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감지센서(600)를 비교적 긴 시간 동안 가리면, 제어부(200)는 램프(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브래킷(700)은 축부재(710)에 의해 하우징(4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축부재(710)는 하우징(400)과 브래킷(7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pin)일 수 있다.
브래킷(700)은 한 쌍으로 구비된다. 브래킷(700)은 하우징(40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800)는 브래킷(700)에 각각 결합된다. 다리(800)는 제1 다리(810) 및 제2 다리(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리(810)는 브래킷(7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래킷(700)은 일 방향으로 긴 삽입홈(701)을 형성한다. 삽입홈(701)의 형성방향은 하우징(40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다리(810)는 삽입홈(70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삽입홈(701)의 내면과 제1 다리(810)의 외면은 비교적 작은 간극을 형성한다. 따라서 삽입홈(701)의 내면은 제1 다리(810)의 회전을 구속한다.
제1 다리(810)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제1 다리(810)는 서로 나란하다. 브래킷(700)은 일 방향으로 긴 한 쌍의 삽입홈(701)을 형성한다. 제1 다리(810)는 각각 삽입홈(70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다리(820)는 제1 다리(8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다리(810)와 제2 다리(820) 사이에 힌지부(830)가 형성된다.
힌지부(830)는 제1 다리(810)와 제2 다리(8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다리(810)와 제2 다리(8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핀(pin)이 힌지부(8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한쪽 면에 제2 다리(820)가 삽입되는 홈부(401)가 형성된다.
제2 다리(820)는 힌지부(8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홈부(401)에 삽입(도 4 참조)될 수 있다. 제2 다리(820)는 힌지부(8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홈부(401)로부터 이탈(도 5 참조)될 수 있다.
홈부(401)에 삽입된 제2 다리(820)는 하우징(400)의 한쪽 면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를 간편하게 휴대하고 보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다리(820)를 제1 다리(810)의 연장선상으로 회전시키면, 제1 다리(810), 제2 다리(820) 및 힌지부(830)는 삽입홈(701)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삽입홈(701)의 내면과 제2 다리(820)의 외면은 비교적 작은 간극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2 다리(820)가 삽입홈(701)에 삽입되면, 삽입홈(701)의 내면은 제2 다리(820)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701) 안쪽에서 브래킷(700)에 제1 자성체(7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다리(810)에 제2 자성체(811)가 결합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리(810)는, 제1 자성체(720)와 제2 자성체(811)가 접촉할 때까지 삽입홈(701)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1 자성체(720)와 제2 자성체(811)는 인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2 다리(820)가 삽입홈(701)에 삽입되면, 다리(800)의 슬라이드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자성체(720)와 제2 자성체(811)는 영구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자성체(720)와 제2 자성체(811)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반대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자성체(720)와 제2 자성체(811) 중 어느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구비되고, 제1 자성체(720)와 제2 자성체(811) 중 다른 하나는 철 등 강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다리(820)에 사물(1)이 끼워지는 끼움홈(8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사물(1)은 테이블, 선반, 책꽂이 등 판재(board plank), 침대의 헤드 보드(head board), 칸막이(partition) 등 일정한 두께를 가진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의 사물(1)은 침대의 헤드 보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의 사물(1)은 책상 위쪽에 있는 책꽂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821) 내에 사물(1)의 일측과 접촉하는 접촉부재(82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다리(820)에 접촉부재(822)를 이동시키는 노브(823)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노브(823)를 회전시키면, 끼움홈(821)의 두께가 사물(1)의 두께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823)를 회전시키면, 사물(1)에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20)의 다리(800)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20)는 램프(100), 제어부(200), 배터리(300), 하우징(400), 커버(500), 감지센서(600) 및 다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20)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에 체결부재(840)가 결합된다. 체결부재(840)는 볼트로 구비된다. 볼트는 헤드와 나사부를 포함한다. 다리(800)는 체결부재(8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리(800)에 구멍이 형성되고, 나사부는 구멍을 통과하여 하우징(400)에 나사결합된다.
다리(800)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다리(800)는 하우징(40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리(800)에 자력부재(880)가 결합된다. 자력부재(880)는 강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다리(800)를 철재 등 강자성체로 제작된 사물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800)를 강자성체로 제작된 사물에 부착한 상태에서 하우징(4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리(800)와 하우징(400) 사이에 제1 걸림부재(860)와 제2 걸림부재(870)가 개재된다. 제1 걸림부재(860)는 다리(800)에 결합된다. 제2 걸림부재(870)는 하우징(400)에 결합된다.
제1 걸림부재(860)는 체결부재(84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기를 형성한다. 제2 걸림부재(870)는 체결부재(84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을 형성한다.
탄성부재(850)는 체결부재(840)와 다리(800)를 연결한다. 탄성부재(850)는 체결부재(840)의 헤드와 다리(8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탄성부재(850)는 돌기를 홈으로 미는 탄성 회복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의도치 않은 다리(800)와 하우징(400) 간 상대회전이 억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3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30)의 A-A'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30)의 무선충전기(910)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30)의 사용상태도로서, 침대(2)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30)의 사용상태도로서, 책상(2)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수면유도용 조명장치(30)의 로드 부싱(920)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유도용 조명장치(30)는 램프(100), 제어부(200), 배터리(300), 하우징(400), 커버(500), 감지센서 및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은 중간이 절곡된 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하우징(400)의 하부는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하우징(400)의 상부는 가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하우징(400)의 중간부는 절곡된 형태로 하우징(400)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한다.
도 10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하부 외면에 안착플랜지(430)가 형성된다. 안착플랜지(430)는 하우징(400)의 하부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안착플랜지(430)는 하우징(400)의 하부 외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400)의 상부에 램프(100), 제어부(200) 및 배터리(300)가 구비된다. 배터리(300)는 충전식 배터리(300)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400)의 일측에 충전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은 프레임(410)을 포함한다. 프레임(410)은 하우징(400)의 상부 내부에 구비된다. 하우징(400) 상부 내면에 프레임(410), 제어부(200) 및 배터리(300)가 끼워지는 복수의 돌출부(420)가 형성된다.
커버(500)는 램프(100)의 빛이 투과하는 구성이다. 하우징(400)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구부는 아래를 향해 개구된다. 커버(500)는 하우징(400)의 개구부에 결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0)에 다수의 요철(501)이 형성된다. 램프(100)의 빛은 다수의 요철(501) 부분에서 확산하며 커버(500)를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LED 모듈의 빛은 커버(500)의 전면에 걸쳐 대체로 유사한 광량을 형성하게 된다.
램프(100)는 프레임(410)에 결합된다. 프레임(410)은 램프(100)와 커버(500) 사이에 램프(100)의 빛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프레임(410)은 경로의 측면에 램프(100)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412)을 형성한다. 반사면(412)에서 반사된 램프(100)의 빛은 커버(500)로 이동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100)는 파장의 광량이 조절되는 LED 모듈로 구비된다.
LED 모듈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LED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주로 단파장의 빛을 발산하고, 다른 하나는 주로 장파장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한 쌍의 LED 모듈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프레임(410)에 결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램프(100)의 빛의 파장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제어부(200)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여 빛의 파장이 조절되도록 램프(100)를 제어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9194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명의 빛의 파장을 조절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자료에 의하면 460nm 파장의 빛이 555nm 파장의 빛보다 멜라토닌 억제에 더 많은 기여를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리고 다른 선행 연구자료에 의하면 595nm, 660nm의 장파장의 빛보다 470nm, 495nm, 525nm의 단파장 빛이 멜라토닌 분비 및 억제에 더욱 민감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또 다른 선행 연구자료에 의하면 446nm~477nm에 해당하는 단파장 영역의 비율이 10% 이상 변화하게 되면 멜라토닌 분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램프(100)의 빛의 파장을 조절하면 생체 내 멜라토닌량을 증가시켜 수면을 유도하거나 생체 내 멜라토닌량을 감소시켜 수면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램프(100)의 파장을 시간별로 조절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램프(100)가 낮시간대에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고 밤시간대에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시키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도록 램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시간 경과에 따라 빛의 파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램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폰에는 제어부(200)를 세팅하는 어플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600)는 커버(500) 전방의 물체를 감지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감지센서(600)는 하우징(400)에 결합된다. 프레임(410)에 감지센서(600)가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500)에 감지센서(600)가 삽입되는 통과홀이 형성된다.
감지센서(600)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로 구비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물리적 접촉 없이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전자기장이나 전자기파(적외선)을 방출하고 그 전기장과 돌아오는 신호를 찾는다. 감응을 받는 물체는 근접 센서의 대상으로 간주된다. 근접 센서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감지센서(600)의 신호는 제어부(200)에 전달된다. 제어부(200)는 감지센서(600)의 신호에 의해 램프(100)의 파장을 조절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손으로 감지센서(600)를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가리면, 제어부(200)는 램프(100)가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으로 감지센서(600)를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2번 이상 가리면, 제어부(200)는 램프(100)가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감지센서(600)를 비교적 긴 시간 동안 가리면, 제어부(200)는 램프(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900)은 원형 또는 다각형 패널 형태를 형성한다. 도 10은 원형 패널 형태의 테이블(900)을 도시하고 있다. 테이블(900)의 상면은 물품이 놓이는 평탄면을 형성한다. 물품은 스마트폰, 컵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테이블(900)은 목재,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900)의 일측에 관통홀(901)이 형성된다. 관통홀(901)은 테이블(900)을 세로방향으로 관통한 형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901)은 테이블(900)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된다.
관통홀(901)에 로드 부싱(920)이 구비된다. 로드 부싱(920)은 원형 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로드 부싱(920)의 상부와 하부에 확장플랜지(921)가 각각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상부플랜지(922)를 상부플랜지(922)로 지칭하고, 하부플랜지(923)를 하부플랜지(923)로 지칭하고자 한다.
상부플랜지(922)는 로드 부싱(920)의 상부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상부플랜지(922)는 로드 부싱(920)의 상부 외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플랜지(922)는 테이블(90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하부플랜지(923)는 로드 부싱(920)의 하부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하부플랜지(923)는 로드 부싱(920)의 하부 외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부플랜지(923)는 테이블(900)의 저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900)의 상면에 무선충전기(910)가 구비된다. 무선충전기(910)는 테이블(9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충전기(910) 상면에 스마트폰(S)을 올려놓고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충전기(910)는 공진유도식 또는 자기유도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충전기(910)의 일측에는 USB단자(911)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USB단자(911)에 USB 연결선(C)을 삽입하고 다양한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하부는 사물에 형성된 삽입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삽입홀을 기준으로 하우징(400)을 회전시키면, 램프(100)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사물은 침대, 책상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삽입홀은 사무용 책상의 상면에 형성된 전선홀일 수 있다. 삽입홀은 드릴 등에 의해 침대나 책상 등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삽입홀을 기준으로 하우징(400)을 회전시키면, 램프(100)는 침대를 조명할 수도 있고, 침대의 바깥쪽을 조명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삽입홀을 기준으로 하우징(400)을 회전시키면, 램프(100)는 책상의 상면을 조명할 수도 있고, 책상의 바깥쪽을 조명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하부는 테이블(900)의 관통홀(9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물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된다. 따라서 하우징(400)의 하부가 사물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면, 테이블(900)은 관통홀(901) 위에서 사물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우징(400) 하부를 기준으로 테이블(900)을 회전시키면, 테이블(900)은 침대쪽에 위치할 수도 있고, 침대 바깥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우징(400) 하부를 기준으로 테이블(900)을 회전시키면, 테이블(900)은 책상의 상면 쪽에 위치할 수도 있고, 책상 바깥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플랜지(430)는 상부플랜지(922)에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우징(400) 및 테이블(900)을 회전시키면, 하우징(400)의 하중이 안착플랜지(430)를 통해 상부플랜지(9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우징(400) 및 테이블(900)을 회전시키더라도 테이블(900) 상면의 마모가 방지된다.
하부플랜지(923)와 사물 사이에 와셔(940)가 개재될 수 있다. 와셔(940)는 글자 그대로 판형 고리 형태를 형성한다. 와셔(940)의 중간에 하우징(400) 하부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와셔(940)는 삽입홀 위에서 사물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하부플랜지(923)는 와셔(940)의 상면에 안착된다. 하우징(400) 및 테이블(900)의 하중은 하부플랜지(923), 와셔(940)를 통해 사물의 상면에 전달된다.
사용자가 테이블(900)을 회전시키면, 하부플랜지(923)와 와셔(940) 사이의 접촉면에 마찰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테이블(900)을 회전시키더라도 사물 상면의 마모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가 램프의 빛의 파장을 시간별로 조절하거나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사용 시점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합한 파장의 조명 환경을 조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에 브래킷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브래킷에 다리가 결합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며, 책상, 선반, 침대 등 주변 사물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의 하부가 사물에 형성된 삽입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우징은 중간이 절곡된 파이프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램프의 위치를 쉽게 조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블에 하우징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테이블은 관통홀의 위에서 사물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됨으로써, 물건을 놓을 수 있으면서도 위치 조절 가능한 평면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블에 무선충전기가 구비됨으로써,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20 : 조명장치
100 : 램프 700 : 브래킷
200 : 제어부 710 : 축부재
300 : 배터리 701 : 삽입홈
400 : 하우징 720 : 제1 자성체
401 : 홈부 800 : 다리
410 : 프레임 810 : 제1 다리
411 : 구멍 811 : 제2 자성체
412 : 반사면 820 : 제2 다리
420 : 돌출부 821 : 끼움홈
500 : 커버 822 : 접촉부재
501 : 요철 823 : 노브
502 : 통과홀 830 : 힌지부
600 : 근접감지센서 840 : 체결부재
900 : 테이블 850 : 탄성부재
901 : 관통홀 860 : 제1 걸림부재
910 : 무선충전기 870 : 제2 걸림부재
911 : USB단자 880 : 자력부재
920 : 로드 부싱 1 : 사물
921 : 확장플랜지
922 : 상부플랜지
923 : 하부플랜지
940 : 와셔

Claims (15)

  1. 빛의 파장이 조절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의 빛의 파장을 시간별로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램프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는,
    상기 브래킷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다리; 및
    상기 제1 다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물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제2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램프의 빛이 투과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투과하는 빛이 확산하도록, 상기 커버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의 파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일 방향으로 긴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다리는 상기 삽입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 다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홈의 내면은 상기 제2 다리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 제1 자성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다리에 제2 자성체가 결합되며,
    상기 제2 다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가 인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 내에 상기 사물의 일측과 접촉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다리에 상기 접촉부재를 이동시키는 노브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어부를 세팅하는 어플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체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다리는 상기 체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다리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제2 걸림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다리를 연결하고, 상기 돌기를 상기 홈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가 사물에 형성된 삽입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관통홀의 위에서 상기 사물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중간이 절곡된 파이프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면, 상기 램프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무선충전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 로드 부싱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 부싱의 상부와 하부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플랜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 외면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안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플랜지는 상기 로드 부싱 상부의 상기 확장플랜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KR1020210018481A 2021-02-09 2021-02-09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KR10252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481A KR102523766B1 (ko) 2021-02-09 2021-02-09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481A KR102523766B1 (ko) 2021-02-09 2021-02-09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894A KR20220114894A (ko) 2022-08-17
KR102523766B1 true KR102523766B1 (ko) 2023-04-21

Family

ID=8311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481A KR102523766B1 (ko) 2021-02-09 2021-02-09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486B1 (ko) * 2023-04-18 2024-01-11 이재관 주파수 및 산소 조절을 통한 수면 유도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806A (ja) * 2000-05-15 2001-11-22 Isao Minamii 就寝用ベッド設置型電気スタンド及び小形テーブル
KR100918995B1 (ko) * 2009-04-01 2009-09-25 (주)세미백아이엔씨 Led 조명장치
KR200482223Y1 (ko) * 2015-01-26 2016-12-30 최재균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용 케이스
KR101700223B1 (ko) 2016-07-13 2017-01-26 주식회사 파워넥스 무선 충전/광고 장치
KR101919468B1 (ko) * 2017-08-14 2018-11-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각성 및 수면 상태를 조절하는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방법
KR101987544B1 (ko) * 2017-10-17 2019-06-10 김성환 휴대용 다용도 젤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964A (ko) * 2015-07-13 2017-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면 환경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78956A (ko) 2016-12-30 2018-07-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라토닌 량 분석에 기초한 수면 유도 조명 장치 및 방법
KR20210003391A (ko) * 2019-07-02 2021-01-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리듬 유지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806A (ja) * 2000-05-15 2001-11-22 Isao Minamii 就寝用ベッド設置型電気スタンド及び小形テーブル
KR100918995B1 (ko) * 2009-04-01 2009-09-25 (주)세미백아이엔씨 Led 조명장치
KR200482223Y1 (ko) * 2015-01-26 2016-12-30 최재균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용 케이스
KR101700223B1 (ko) 2016-07-13 2017-01-26 주식회사 파워넥스 무선 충전/광고 장치
KR101919468B1 (ko) * 2017-08-14 2018-11-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각성 및 수면 상태를 조절하는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방법
KR101987544B1 (ko) * 2017-10-17 2019-06-10 김성환 휴대용 다용도 젤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894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9184B1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102523766B1 (ko) 수면유도용 조명장치
US7418747B1 (en) Furniture
US11026497B2 (en) Compact mirror
US20180360251A1 (en) Multi-function organizer for smart watches and wrist watches
US7204614B2 (en) Portable, automated illumination device
KR102264203B1 (ko) 캠핑용 수납박스
CN101466290A (zh) 响应于室内光的柜子照明装置
JP7065227B2 (ja) 冷蔵庫
USD489200S1 (en) Desk
US6203167B1 (en) Drawer light fixture for those having vision difficulties
US20150260387A1 (en) Night lighting system, method and component kit
CN104068679A (zh) 一种可对灯光的开关进行控制的系统
US10514138B2 (en) Lighting placements system
US10555616B1 (en) Rocking device
DK176565B1 (da) Möbelben med lys
USD488342S1 (en) Pancake and egg cooking appliance
US20120144624A1 (en) Door stop assembly having an interchangeable decorative head piece
US6318878B1 (en) Portable lamp with conformable base
JPH0620451Y2 (ja) 家具用把手
CN216164294U (zh) 一种用于宠物的防倾倒组合式陶瓷喂食碗
US20100018003A1 (en) Door stop assembly having an interchangeable decorative head piece
CN202834785U (zh) 一种工作灯
CN210637987U (zh)
CN210511163U (zh) 一种柜式led感应灯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