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602B1 - 가변형 책장 - Google Patents

가변형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602B1
KR102523602B1 KR1020220142600A KR20220142600A KR102523602B1 KR 102523602 B1 KR102523602 B1 KR 102523602B1 KR 1020220142600 A KR1020220142600 A KR 1020220142600A KR 20220142600 A KR20220142600 A KR 20220142600A KR 102523602 B1 KR102523602 B1 KR 102523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shelf
space
frame
plate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룡
Original Assignee
이광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룡 filed Critical 이광룡
Priority to KR102022014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2063/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rotatable around a vertical axis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책장에 관한 것으로, 폭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가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측부위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배치방향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책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책장; 상기 제1책장의 측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제2책장;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책장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제1측방프레임; 상기 제1측방프레임의 하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부 책꽂이; 상기 하부 책꽂이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측방프레임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 책꽂이; 상기 하부 책꽂이와 상부 책꽂이 사이의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책장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제2측방프레임; 상기 제1공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측방프레임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부에 삽입되는 중간 책꽂이; 상기 중간 책꽂이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 책꽂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공간부; 상기 중간 책꽂이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책꽂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3공간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가변형 책장{Variable type bookcase}
본 발명은 가변형 책장에 관한 것으로, 폭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가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측부위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배치방향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책장에 관한 것이다.
책장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책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상하방향으로 다단의 선반이 구비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책장은 그 일예로서 등록특허 제10-1865397호(다기능 책장)에서와 같이,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측판, 상기 측판 사이에 둘 이상으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판, 상기 측판과 격판 사이에 지지되어 책을 올려놓는 받침대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책장은 그 폭의 길이가 정해져 있으므로, 많은 책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책장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결코 유리하지 못하여, 또한 책장은 이미 정형화되어 있으므로, 그 폭이 배치할 공간보다 클 경우에는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 제10-1865397호
(다기능 책장)
2. 등록특허 제10-2001196호
(선반의 분리방지가 가능한 책장)
3.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724호
(가변형 조립식 책장)
4. 등록특허 제10-1935534호
(낙하방지장치가 구비된 책장)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폭방향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측부위를 실내공간 또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배치가 가능하도록 한 가변형 책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책장은,
제1책장;
상기 제1책장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책장;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책장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제1측방프레임;
상기 제1측방프레임의 하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부 책꽂이;
상기 하부 책꽂이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측방프레임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 책꽂이;
상기 하부 책꽂이와 상부 책꽂이 사이의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책장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제2측방프레임;
상기 제1공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측방프레임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부에 삽입되는 중간 책꽂이;
상기 중간 책꽂이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 책꽂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공간부;
상기 중간 책꽂이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책꽂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3공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부위에는 상기 제2측방프레임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책꽂이의 저면부위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두께만큼 상기 제1측방프레임의 저면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책꽂이, 제1공간부, 상부책꽂이의 높이는 각각 제2공간부, 중간책꽂이, 제3공간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공간부의 상측부위에는 상기 상부책꽂이의 상단부위와 접하도록 상기 제2측방프레임으로부터 타측부위로 연장된 상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책꽂이의 하판과 상판, 상부책꽂이의 하판과 상판에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복수의 핀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 중간책꽂이, 상부프레임에도 상기 하부책꽂이와 상부책꽂이와 대응된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복수의 핀공이 형성되어 핀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책장은 하부 책꽂이와 상부 책꽂이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책장은 중간 책꽂이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공간부는 후면부위와 상기 중간책꽂이가 삽입되는 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 및 제3공간부는 후면부위와 상기 하부책꽂이와 상부책꽂이가 삽입되는 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책장은, 폭방향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지않고 배치가 가능하며, 또한, 핀에 의해 제1책장과 제2책장의 조절된 폭이 고정됨과 아울러 핀을 축으로 하여 제1책장 또는 제2책장이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배치공간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최적의 책장 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책장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제1책장과 제2책장의 폭방향 길이가 조절되고, 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
도3은 핀을 축으로 하여 제2책장이 제1책장으로부터 회전한 상태를 보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책장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제1책장과 제2책장의 폭방향 길이가 조절되고, 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이며, 도3은 핀을 축으로 하여 제2책장이 제1책장으로부터 회전한 상태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의 책장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책장(100)과 제2책장(200)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1책장(100)은 판 형태로 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제1측방프레임(110)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측방프레임(110)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하부책꽂이(120)와 상부책꽂이(140)가 연장되어 구비되면서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책꽂이(120)는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인 책꽂이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도면부호 및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하부책꽂이(120)의 상측으로는 제1공간부(130)에 의해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책꽂이(14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상부책꽂이(140)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1측방프레임(110)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1공간부(130)는 상기 하부책꽂이(120)와 상부책꽂이(140)의 이격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전면부위와 후면부위, 그리고 측방부위 즉, 제2책장(200)의 중간책꽂이(230)가 슬라이드되어 삽입되는 부위가 모두 개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책꽂이(120)의 하판과 상판, 그리고 상부책꽂이(140)의 하판과 상판에는 각각 폭방향으로 복수의 핀공(121,122,141,142)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핀공(121,122,141,142)은 서로 동일한 위치 즉, 상하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2책장(200)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제2측방프레임(210)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하부프레임(220), 제2공간부(250), 중간책꽂이(230), 제3공간부(260), 상부프레임(240)이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프레임(220)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책꽂이(120)의 하측부위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된다.
이때 하부책꽂이(120)의 저면부위와 제1측방프레임(110)의 저면부위 사이에는 하부프레임(220)의 두께만큼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하부프레임(220)이 하부책꽂이(120)의 하측으로 삽입되며, 하부프레임(220)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지지됨으로써 하부책꽂이(120)의 쳐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책꽂이(230)는 상기 하부프레임(220)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하부책꽂이(120)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측방프레임(210)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됨으로써 하부프레임(220)과 중간책꽂이(230) 사이에는 제2공간부(2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측방프레임(210)도 마찬가지로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프레임(240)은 하부프레임(220)과 마찬가지로 판 형태로 되어 중간책꽂이(23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상부책꽂이(140)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측방프레임(210)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됨으로써 중간책꽂이(230)와 상부프레임(240) 사이에는 제3공간부(260)가 형성된다.
상기 제2공간부(250)와 제3공간부(260)는 제1공간부(130)와 마찬가지로 전면부위와 후면부위, 그리고 하부책꽂이(120)와 상부책꽂이(140)가 삽입되는 측방부위가 모두 개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220), 중간책꽂이(230)의 하판과 상판, 그리고, 상부프레임(240)에도 폭방향으로 복수의 핀공(221,231,232,241)이 일렬로 형성되는데, 그 간격은 제1책장(100)에 형성된 핀공(121,122,141,142)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책장(100)의 하부책꽂이(120), 제1공간부(130), 상부책꽂이(140)는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책장(200)의 제2공간부(250), 중간책꽂이(230), 제3공간부(260)도 제1책장(100)의 하부책꽂이(120), 제1공간부(130), 상부책꽂이(140)와 서로 대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 제1책장(100)은 하부책꽂이(120), 제1공간부(130), 상부책꽂이(140)에 의해 3단으로 형성되고, 제2책장(200)도 제2공간부(250), 중간책꽂이(230), 제3공간부(260)에 의해 3단으로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책장(100)의 일측부위 즉 하부책꽂이(120)와 상부책꽂이(140)가 연장된 방향에 제2책장(200)을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2책장(200)의 중간책꽂이(230)가 제1책장(100)을 바라보는 타측방향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책장(100) 또는 제2책장(200)을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제2공간부(250)에 하부책꽂이(120)가 측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중간책꽂이(230)는 제1공간부(130)에 삽입되며, 상부책꽂이(140)는 제3공간부(260)에 삽입된다.
이후 제1책장(100)과 제2책장(200)의 전체 폭이 결정되며, 제1책장(100)의 핀공(121,122,141,412)과 제2책장(200)의 핀공(221,231,232,241)을 일치시킨 다음 결합핀(300,310,320)을 삽입시키게 되면, 제1책장(100)과 제2책장(200)의 폭이 고정되면서 이동이 제한되어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책꽂이(120)와 상부책꽂이(140), 중간책꽂이(230)의 격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의 지지력이 형성된다.
즉, 하부책꽂이(120)의 상부면에 중간책꽂이(230)의 하부면이 맞닿고, 중간책꽂이(230)의 상부면에 상부책꽂이(140)의 하부면이 맞닿게 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격판에 의해 상호간 지지력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2에서와 같이 결합핀(300,310,320)을 동일축 즉,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핀공에 삽입하게 되면, 이는 회전축으로 작용함으로써 도3에서와 같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결합핀(300,310,320)이 축으로 작용하여 제1책장(100) 또는 제2책장(2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손쉽게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곧, 결합핀(300,310,320)을 축으로 하여 손쉽게 제1책장(100) 또는 제2책장(2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구조에 따라 최적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책장을 배치하여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제1책장
110 : 제1측방프레임
120 : 하부책꽂이
130 : 제1공간부
140 : 상부책꽂이
200 : 제2책장
210 : 제2측방프레임
220 : 하부프레임
230 : 중간책꽂이
240 : 상부프레임
250 : 제2공간부
260 : 제3공간부
121,122,141,142,221,231,232,241 : 핀공
300,310,320 : 결합핀

Claims (7)

  1. 제1책장;
    상기 제1책장의 측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제2책장;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책장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제1측방프레임;
    상기 제1측방프레임의 하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부 책꽂이;
    상기 하부 책꽂이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측방프레임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 책꽂이;
    상기 하부 책꽂이와 상부 책꽂이 사이의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책장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제2측방프레임;
    상기 제1공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측방프레임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판과 상판이 격판에 의해 지지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부에 삽입되는 중간 책꽂이;
    상기 중간 책꽂이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 책꽂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공간부;
    상기 중간 책꽂이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책꽂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3공간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의 바닥부위에는 상기 제2측방프레임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책꽂이의 저면부위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두께만큼 상기 제1측방프레임의 저면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3공간부의 상측부위에는 상기 상부책꽂이의 상단부위와 접하도록 상기 제2측방프레임으로부터 타측부위로 연장된 상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책꽂이의 하판과 상판, 상부책꽂이의 하판과 상판에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복수의 핀공이 일렬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 중간책꽂이의 하판과 상판, 상부프레임에도 상기 하부책꽂이와 상부책꽂이와 대응된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복수의 핀공이 일렬로 형성되어 결합핀에 의해 체결되고,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의 핀공에 결합핀이 체결된 경우에 결합핀이 회전축으로 작용하여 제1책장 또는 제2책장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책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책꽂이, 제1공간부, 상부책꽂이의 높이는 각각 제2공간부, 중간책꽂이, 제3공간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책장.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책장은 하부 책꽂이와 상부 책꽂이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책장은 중간 책꽂이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책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는 후면부위와 상기 중간책꽂이가 삽입되는 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 및 제3공간부는 후면부위와 상기 하부책꽂이와 상부책꽂이가 삽입되는 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책장.
KR1020220142600A 2022-10-31 2022-10-31 가변형 책장 KR102523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600A KR102523602B1 (ko) 2022-10-31 2022-10-31 가변형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600A KR102523602B1 (ko) 2022-10-31 2022-10-31 가변형 책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602B1 true KR102523602B1 (ko) 2023-04-20

Family

ID=8614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600A KR102523602B1 (ko) 2022-10-31 2022-10-31 가변형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6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565Y1 (ko) * 2006-12-06 2007-09-07 안미성 수납용 가구
KR200465616Y1 (ko) * 2010-11-16 2013-02-28 정성준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200468434Y1 (ko) * 2012-03-13 2013-08-13 변윤정 공간 활용이 용이한 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565Y1 (ko) * 2006-12-06 2007-09-07 안미성 수납용 가구
KR200465616Y1 (ko) * 2010-11-16 2013-02-28 정성준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200468434Y1 (ko) * 2012-03-13 2013-08-13 변윤정 공간 활용이 용이한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3043B1 (en) Trader desk
US6996940B2 (en) Movable wall module
US20130061783A1 (en) Grommet assembly for work surfaces
US5695264A (en) Portable office
KR102523602B1 (ko) 가변형 책장
US4735471A (en) Adjustable height bookcase
EP1507467A4 (en) MODULAR FURNITURE SYSTEM
WO1991003965A1 (en) Furnishing element with foldable panels
KR101460583B1 (ko) 시스템 가구
KR101811177B1 (ko) 각도 가변형 서가
KR20100010944U (ko)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EP1344471A1 (en) Space-adjustable interlocking binder-supporter/bookend/magazine-organizer
US10827833B2 (en) Cabinet with tiltable wire shelf and bin exchange system
KR20110118907A (ko) 다목적 조립형 가구
KR200287512Y1 (ko) 책상이 결합된 책장
JPH0998845A (ja) 家 具
KR20150102458A (ko) 다기능 복합 가구
CN218551797U (zh) 一种设有多种储存结构的组合式电视柜
CN220423462U (zh) 一种书架组合系统
US20230301431A1 (en) Modular component assembly
CN218605946U (zh) 展示柜结构
CN215837835U (zh) 书架装置
CN201070132Y (zh) 一种多功能书桌
CN218571775U (zh) 一种升降侧翻柜
CN215837786U (zh) 一种分隔式书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