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599B1 -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599B1
KR102523599B1 KR1020220128802A KR20220128802A KR102523599B1 KR 102523599 B1 KR102523599 B1 KR 102523599B1 KR 1020220128802 A KR1020220128802 A KR 1020220128802A KR 20220128802 A KR20220128802 A KR 20220128802A KR 102523599 B1 KR102523599 B1 KR 10252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ifiable
server
terminal
decentralized identifi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호
Original Assignee
(주)디지탈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탈센스 filed Critical (주)디지탈센스
Priority to KR102022012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에 있어서,VC예약정보 생성을 요청하는 단말기; 상기 VC예약정보를 수신받아 VC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총괄서버; 및 상기 단말기의 암호정보와, 상기 VC가 스캔되면 상기 단말기로 출입증을 발급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ISSUE SYSTME OF MOBILE PASS}
본 발명은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 시스템은 기업, 주거지역 등에서 기술 유출, 안전 등을 목적으로 신분이 확인되고, 방문이 허가된 사람들만을 출입할 수 있도록 입구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출입 시스템은 수동으로 수행된다. 출입 시스템은 안내데스크에서 안내원이 출입 자격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출입 자격이 있는 경우 신분을 보장할 수 있는 어떠한 물건(예를 들면 신분증)을 보관한 후, 미리 보유한 출입증을 전달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비대면 시대를 역행하는 것이며, 출입자가 많은 경우 대기 시간이 많아지고 장소가 좁은 경우 대기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시대의 흐름 및 효율성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출입 시스템에 대해, 절차를 간소화 하고, 출입 시 신원 확인, 출입 시 발생되는 비효율적인 절차를 단축하며, 보안이 강조된 출입 시스템에 대한 열망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0001) KR 10-2266824, 2021.06.14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별도의 출입증이 필요하지 않으며, 단말기를 출입증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정보(QR코드)를 생성하여 위조, 변조 및 타인이 사용 불가능하여 보완이 보강된 모바일 출입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은,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발급요청과, 개인 정보의 등록과, VC(Verifiable Claims) 발급요청하는 관리프로그램을 구비하여 VC(Verifiable Claims) 예약 정보 생성을 요청하는 단말기와, 상기 VC(Verifiable Claims)예약정보를 수신받아 VC(Verifiable Claims)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총괄서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VC(Verifiable Claims)가 스캔되면 상기 단말기로 모바일 출입증을 발급하는 키오스크와, 상기 단말기의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발급 요청에 따라 DID(Decentralized Identifier)를 발급하는 발급서버 및 상기 단말기에서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등록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블록체인등록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총괄서버는 상기 VC(Verifiable Claims) 예약정보를 수신받는 DID(Decentralized Identifier)서버와 상기 DID(Decentralized Identifier)서버로부터 VC(Verifiable Claims)예약정보를 전달받고, VC(Verifiable Claims)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관리프로그램의 최초 실행시에 DID(Decentralized Identifier)가 발급되지 않았으면, PIN, 홍체, 지문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인식정보가 포함된 개인정보의 입력 요청하고,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DID(Decentralized Identifier)를 발급하고, 상기 블록체인등록서버로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등록을 요청하여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등록 결과가 수신되면 DID(Decentralized Identifier)를 발급 완료하고, 발급완료된 DID(Decentralized Identifier)로서 출입증 발급을 위한 VC(Verifiable Claims)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앱게이트를 통해 상기 발급서버에 VC(Verifiable Claims) 발급을 요청하고, 상기 발급서버에서 발급된 암호화된 VC(Verifiable Claims)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발급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VC(Verifiable Claims)발급을 요청 받으면 미리 발급된 DID(Decentralized Identifier)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체인등록서버에 DID(Decentralized Identifier) 조회를 요청하고, DID(Decentralized Identifier) 조회 결과 DID(Decentralized Identifier)가 존재하는 경우 DID(Decentralized Identifier)서명을 검증하여 QR코드 또는 바코드로 암호화된 VC(Verifiable Claims)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인접한 상기 단말기에 생성된 QR코드 또는 바코드로 암호화된 VC(Verifiable Claims)를 스캔하는 스캐너를 구비하여 스캔하고, 스캔된 VC(Verifiable Claims)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DID(Decentralized Identifier)서버로 연결되어 생성된 VC(Verifiable Claims)를 조회하고, DID(Decentralized Identifier)서버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출입증을 상기 키오스크로 발급하고, 상기 모바일 출입증은 상기 단말기 설치되는 앱 형태의 프로그램으로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로 암호화된 개인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얼굴사진과, 성명을 포함하고, 기본정보, 방문정보, 방문일시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알람을 통해 모바일 출입증 반납 여부를 경보하거나, 출입증을 반납하는 반납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자동으로 모바일 출입증을 폐기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단말기에서 생성된 출입증의 반납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반납정보에 대응되는 VC(Verifiable Claims)를 폐기하도록 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DID(Decentralized Identifier) 서버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VC(Verifiable Claims)를 폐기하도록 상기 단말기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VC(Verifiable Claims)예약정보는 지문, 사진, 신분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발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급되는 모바일 출입증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본인 인증을 하여야 하므로 보안성이 높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발급 시스템으로 발급되는 모바일 출입증은 QR코드, 지문, 얼굴 사진 등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복합 인증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급된 모바일 출입증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에서 모바일 출입증의 생성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에서 모바일 출입증의 생성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VC는 Verifiable Claims를 줄여서 표현한 것이며, DID는 Decentralized Identifier(블록체인 분산인증)를 줄여서 표현한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급된 모바일 출입증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은 단말기(100), 총괄서버(200), 키오스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총괄서버(200)는 DID서버(210) 및 관리서버(2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DID서버(21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3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DID서버(210)는 관리서버(2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키오스크(300)는 관제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출입증을 발급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이용자는 단말기(100)를 관리프로그램을 기인스톨하여 DID를 미리 발급받을 수 있다. 이용자는 이후 모바일 출입증 발급을 원하는 경우 VC예약정보 생성을 DID서버(210)로 요청할 수 있다. DID서버(210)는 VC예약정보를 수신 후 관리서버(220)로 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VC예약정보는 이용자 개인의 정보(지문, 사진, 신분증, 홍체 등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220)는 VC를 생성하여 DID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 DID서버(210)는 전달받은 VC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VC를 전송받은 단말기(100)는 암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정보는 QR코드, 바코드 등 다양한 방식이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이용자는 키오스크(300)에 인접하여 단말기(100)에 생성된 암호정보를 키오스크(300)에 스캔할 수 있다. 여기서 키오스크(300)는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300)는 암호정보를 스캔하면 관리서버(220)로 스캔된 VC를 관리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220)는 DID서버(210)로 연결되어 스캔되어 생성된 VC를 조회할 수 있다. DID서버(210)는 해당 VC가 존재하면 인증결과를 관리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220)는 인증한 결과 이상이 없으면 모바일 출입증을 발급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220)는 키오스크(300)를 통하여 모바일 출입증을 발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급된 모바일 출입증은 도 2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즉, 모바일 출입증은 단말기(100)(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앱 형태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단말기(100) 내에 개인정보, 암호정보(QR코드, 바코드) 등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가운데 본인의 얼굴사진이 위치되고, 그 아래에 성명이 위치될 수 있다. 이용자는 발급된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하여 출입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출입증은 기본정보, 방문정보, 방문일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는 방문을 마친 후 출입증을 반납하는 반납정보 및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키오스크(300)는 반납정보 및 인증을 받으면 해당 VC(스캔하여 확인된 VC)를 폐기하도록 관리서버(220)에 요청할 수 있다. 이후 관제서버는 VC를 폐기하도록 DID서버(210)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DID서버(210)는 이후 단말기(100)로 해당 VC를 폐기하는 폐기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모바일 출입증은 폐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본 발명은 모바일 출입증을 발급하고, 폐기할 수 있다.
또는 이용자가 모바일 출입증을 반납하지 않으면 관리프로그램은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알람정보를 송신하여 이용자에게 모바일 출입증이 반납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는 이용자가 모바일 출입증을 반납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관리프로그램은 미팅종료시관 후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예를 들어 미팅 시간이 오후 1시인데, 오후 3시가 된 경우) 자동으로 모바일 출입증을 폐기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에서 모바일 출입증의 생성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모바일 전자 지갑, 앱게이트, 발급서버 및 블록체인등록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는 관리프로그램을 처음 실행 시 DID가 없는 경우 DID를 발급하여 미리 DID를 보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용자는 DID발급 요청을 미리 하고, 발급서버에서 블록체인등록서버으로 신원을 증명하는 신원증명서를 생성하고, DID를 발급할 수 있다. 이용자는 DID를 발급 받고, VC를 발급을 위한 VC예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VC예약정보는 모바일 전자 지갑에서 앱게이트로 전달될 수 있다. VC예약정보는 출입신청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발급서버는 VC발급을 요청 받으면 미리 발급된 DID를 검증하는 DID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등록서버가 DID조회결과 DID가 존재하는 경우 발급서버는 DID서명을 검증할 수 있다. 이후 발급서버는 암호화된 VC를 단말기(100)(모바일 전자 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VC를 수신받으면 VC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에서 모바일 출입증의 생성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출입증 생성을 위한 처리 흐름은 이용자(단말기(100)), 관리프로그램(APP), 앱게이트, 발급서버, 발급기관, Agent, 블록체인등록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용자는 단말기(100)에 관리프로그램을 인스톨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 관리프로그램이 인스톨되면 관리프로그램은 단말기(100)에 DID가 발급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약 DID가 발급되지 않으면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D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용자는 단말기(100)에 DID발급을 관리프로그램에 요청할 수 있다.
관리프로그램은 DID발급을 이용하여 개인정보(PIN. 홍체, 지문 등 생체인식정보)를 등록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이용자는 개인정보 등록 요청에 따라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프로그램은 전자지갑을 생성하고, DID를 발급할 수 있다.
DID가 발급되면 앱게이트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블록체인등록서버로 DID등록이 요청될 수 있다. 블록체인등록서버는 DID등록 요청을 받으면, 그에 따라 DID를 등록한 후 등록결과를 다시 DID 등록 요청 절차와 반대되는 절차를 통하여 DID 등록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관리프로그램은 DID 등록이 완료되면 DID를 발급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단말기
200 : 총괄서버
210 : DID서버
220 : 관리서버
300 : 키오스크

Claims (8)

  1.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발급요청과, 개인 정보의 등록과, VC(Verifiable Claims) 발급요청하는 관리프로그램을 구비하여 VC(Verifiable Claims) 예약 정보 생성을 요청하는 단말기;
    상기 VC(Verifiable Claims)예약정보를 수신받아 VC(Verifiable Claims)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총괄서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VC(Verifiable Claims)가 스캔되면 상기 단말기로 모바일 출입증을 발급하는 키오스크;
    상기 단말기의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발급 요청에 따라 DID(Decentralized Identifier)를 발급하는 발급서버; 및
    상기 단말기에서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등록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블록체인등록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총괄서버는
    상기 VC(Verifiable Claims) 예약정보를 수신받는 DID(Decentralized Identifier)서버와
    상기 DID(Decentralized Identifier)서버로부터 VC(Verifiable Claims)예약정보를 전달받고, VC(Verifiable Claims)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관리프로그램의 최초 실행시에 DID(Decentralized Identifier)가 발급되지 않았으면,
    PIN, 홍체, 지문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인식정보가 포함된 개인정보의 입력 요청하고,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DID(Decentralized Identifier)를 발급하고, 상기 블록체인등록서버로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등록을 요청하여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등록 결과가 수신되면 DID(Decentralized Identifier)를 발급 완료하고,
    발급완료된 DID(Decentralized Identifier)로서 출입증 발급을 위한 VC(Verifiable Claims)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앱게이트를 통해 상기 발급서버에 VC(Verifiable Claims) 발급을 요청하고, 상기 발급서버에서 발급된 암호화된 VC(Verifiable Claims)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발급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VC(Verifiable Claims)발급을 요청 받으면 미리 발급된 DID(Decentralized Identifier)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체인등록서버에 DID(Decentralized Identifier) 조회를 요청하고, DID(Decentralized Identifier) 조회 결과 DID(Decentralized Identifier)가 존재하는 경우 DID(Decentralized Identifier)서명을 검증하여 QR코드 또는 바코드로 암호화된 VC(Verifiable Claims)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인접한 상기 단말기에 생성된 QR코드 또는 바코드로 암호화된 VC(Verifiable Claims)를 스캔하는 스캐너를 구비하여 스캔하고, 스캔된 VC(Verifiable Claims)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DID(Decentralized Identifier)서버로 연결되어 생성된 VC(Verifiable Claims)를 조회하고, DID(Decentralized Identifier)서버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출입증을 상기 키오스크로 발급하고,
    상기 모바일 출입증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 형태의 프로그램으로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로 암호화된 개인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얼굴사진과, 성명을 포함하고, 기본정보, 방문정보, 방문일시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알람을 통해 모바일 출입증 반납 여부를 경보하거나, 출입증을 반납하는 반납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자동으로 모바일 출입증을 폐기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단말기에서 생성된 출입증의 반납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반납정보에 대응되는 VC(Verifiable Claims)를 폐기하도록 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DID(Decentralized Identifier) 서버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VC(Verifiable Claims)를 폐기하도록 상기 단말기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VC(Verifiable Claims)예약정보는
    지문, 사진, 신분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128802A 2022-10-07 2022-10-07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 KR10252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802A KR102523599B1 (ko) 2022-10-07 2022-10-07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802A KR102523599B1 (ko) 2022-10-07 2022-10-07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599B1 true KR102523599B1 (ko) 2023-04-20

Family

ID=8614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802A KR102523599B1 (ko) 2022-10-07 2022-10-07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685B1 (ko) 2023-07-13 2024-01-23 비전아이 주식회사 출입 id 발급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663B1 (ko) * 2018-01-31 2019-07-02 이대석 키리스 기반의 도어락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66824B1 (ko) 2020-07-28 2021-06-18 주식회사 엠투에스 열영상을 활용한 비대면 무인 출입자 열영상 체온측정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비대면 무인 자동입소 방법
KR20210116821A (ko) * 2020-03-17 2021-09-28 주식회사 야놀자 블록체인 신원 인증 기반의 qr 코드를 이용한 체크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8870A (ko) * 2020-08-31 2022-03-08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fier, DID)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인증 서비스 방법 및 모바일 신분증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663B1 (ko) * 2018-01-31 2019-07-02 이대석 키리스 기반의 도어락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6821A (ko) * 2020-03-17 2021-09-28 주식회사 야놀자 블록체인 신원 인증 기반의 qr 코드를 이용한 체크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266824B1 (ko) 2020-07-28 2021-06-18 주식회사 엠투에스 열영상을 활용한 비대면 무인 출입자 열영상 체온측정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비대면 무인 자동입소 방법
KR20220028870A (ko) * 2020-08-31 2022-03-08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fier, DID)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인증 서비스 방법 및 모바일 신분증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685B1 (ko) 2023-07-13 2024-01-23 비전아이 주식회사 출입 id 발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4004B1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417739A1 (en) Secure data communication
US6748530B1 (en) Cer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5271731A (zh) 用于安全处理电子身份的系统和方法
EP2397961A2 (en) Registration method of biologic information, application method of using template and authentication method in biometric authentication
US201902808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d
US20060107064A1 (en) API for a system having a passcode authenticator
KR101343349B1 (ko)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보안카드와 그에 따른 보안카드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AU2017221747A1 (en) Method, system, device and software programme product for the remote authorization of a user of digital services
JP2017182326A (ja) モバイル端末を用いた資格認証システム、資格認証用ツール、及び、資格認証方法
JP6504639B1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KR20210039920A (ko)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본인 인증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JP2015525409A (ja) 高安全性生体認証アクセス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A036443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дентификационных данных
KR102523599B1 (ko) 모바일 출입증 발급 시스템
CZ2015472A3 (cs) Způsob navazování chráněné elektronické komunikace, bezpečného přenášení a zpracování informací mezi třemi a více subjekty
KR20220048997A (ko) 분산된 아이덴티티 플랫폼들을 위한 통합 인증 시스템
KR102122555B1 (ko) 사용자가 소지한 금융 카드 기반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285362B1 (ko) 전자서명 인증 시스템
KR102512260B1 (ko) 도어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락 출입여부 판단방법
KR100711863B1 (ko) 본인 확인 기능을 가진 무인 단말 장치
JP2009086890A (ja) 申請受理システムおよび申請受理方法
WO2023022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entralising digital identification
GB2587075A (en) Proving identity
KR20130048532A (ko) 차세대 금융 거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