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397B1 - 전기 히터 - Google Patents

전기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397B1
KR102523397B1 KR1020220135076A KR20220135076A KR102523397B1 KR 102523397 B1 KR102523397 B1 KR 102523397B1 KR 1020220135076 A KR1020220135076 A KR 1020220135076A KR 20220135076 A KR20220135076 A KR 20220135076A KR 102523397 B1 KR102523397 B1 KR 102523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eat
heater
reflective cup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테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테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테크원
Priority to KR1020220135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24C7/06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with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모듈과, 상기 하우징 모듈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열을 발산하는 발열 유닛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 유닛에서 발생된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히터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모듈의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모듈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히터 모듈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열풍 방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팬에 의해 상기 하우징 모듈의 상기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히터{electric heater}
본 발명은 전기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난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히터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 실내 난방을 위한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전기 히터나, 가스나 석유나 목재 등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히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중, 가스나 석유나 목재 등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히터의 경우, 실내에서 사용할 경우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거나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가스 중독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고, 연료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점차 그 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반면, 전기 히터의 경우,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서 실내 공기 오염의 문제나, 가스 중독의 위험성 등을 해소할 수 있고, 화석 연료 대비 저렴한 난방 비용 및 사용 편리성이 좋아, 최근 들어 그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난방용 전기 히터는, 반사판 전방에 설치된 전기 코일 등을 이용한 발열체로 이루어진 히터 모듈에, 히터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과 같은 케이싱을 한 구조로서, 히터 모듈의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기가 자연 확산하는 구조로 전기 히터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열기가 잘 확산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히터 모듈을 감싸고 있는 하우징이 히터 모듈의 열기에 의해 지나치게 과열되어 사용자가 전기 히터의 이동이나 조작 시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히터 모듈의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기가 전기 히터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용이하게 확산되고, 히터 모듈을 감싸고 있는 하우징이 히터 모듈의 열기에 의해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전기 히터의 이동이나 조작 시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히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히터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 히터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모듈; 상기 하우징 모듈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열을 발산하는 발열 유닛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 유닛에서 발생된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히터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모듈의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모듈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히터 모듈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열풍 방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팬에 의해 상기 하우징 모듈의 상기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모듈은,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사방이 폐쇄된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히터 모듈 및 상기 팬 모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모듈은, 상기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는 바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 및 상기 조작부가 설치된 상면에 상기 히터 모듈의 열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조작부가 설치된 상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가 설치된 상면과 대응되는 내측 부분에 상기 내부 공간과 구분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단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발열 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발열 유닛에서 발생된 열기를 전방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전체적으로 우묵한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사컵부; 열기가 발생되는 발열면이 상기 반사컵부의 반사면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발열 유닛; 상기 발열 유닛이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컵부의 테두리 부분과 상기 발열 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 및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시(Mesh) 망으로서, 상기 발열 유닛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보호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히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일면에 상기 반사컵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반사컵부를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 부분과 상기 반사컵부의 테두리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링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의 지름 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되, 상기 링 고정부의 외주면의 지름 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 고정부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그 횡단면이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팬 모듈이 발생시킨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부의 내주면과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의 외부면 사이의 갭(Gap)을 통해서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과 접하는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열풍 방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링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컵부를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열 유닛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열기가 발생되는 상기 발열면에 열선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발열판; 상기 지지 유닛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열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열판 커버; 및 상기 발열판의 열기가 상기 열판 커버로 전달되지 않도록,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열판과 상기 열판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열판은, 상기 열선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발열면측의 내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열선이 형성되는 상기 발열면이 상기 발열판의 내측으로 오프셋(Off-set)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모듈의 내부 공간에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팬 모듈이 설치되어, 팬 모듈에 의해 하우징 모듈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히터 모듈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열풍 방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열풍 방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히터 모듈의 발열 유닛에서 발생한 열기를 전기 히터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확산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히터 모듈이 하우징 모듈의 일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열풍 방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확산되는 열기가 상향 포물선의 궤적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히터 모듈의 발열 유닛에서 발생한 열기를 전기 히터에서 더욱 멀리 떨어진 곳까지 확산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모듈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팬 모듈에 의해 내부 공간의 공기가 계속해서 순환되어, 하우징 모듈이 히터 모듈의 열기에 의해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전기 히터의 이동이나 조작 시 화상과 같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 모듈을 합성수지와 같은 경량 소재로 적용이 가능하여, 전기 히터의 무게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터 모듈의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기가 전기 히터에서 멀리 확산되도록 유도하여 열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켜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고, 히터 모듈을 감싸고 있는 하우징이 히터 모듈의 열기에 의해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히터 사용 시 사용자의 상해 가능성을 해소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 히터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히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전기 히터의 정면, 배면, 평면, 저면, 측면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2의 절취선 A-A를 따라 취한 전기 히터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절취선 B-B를 따라 취한 전기 히터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및 도 11은 도 1의 전기 히터의 히터 모듈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히터 모듈에 포함된 발열 유닛 및 지지 유닛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히터 모듈에 포함된 발열 유닛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절취선 C-C를 따라 취한 발열 유닛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히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히터(10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전기 히터(1000)의 정면, 배면, 평면, 저면, 측면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며, 도 7은 도 2의 절취선 A-A를 따라 취한 전기 히터(1000)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절취선 B-B를 따라 취한 전기 히터(1000)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0은 및 도 11은 도 1의 전기 히터(1000)의 히터 모듈(200)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히터 모듈(200)에 포함된 발열 유닛(220) 및 지지 유닛(230)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히터 모듈(200)에 포함된 발열 유닛(220)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절취선 C-C를 따라 취한 발열 유닛(220)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히터(20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히터(1000)는, 크게, 하우징 모듈(100)과, 히터 모듈(200) 및 팬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모듈(100)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1)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우징 모듈(100)은, 내부 공간(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사방이 폐쇄된 육면체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양측면(110e, 110f)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20)와, 히터 모듈(200) 및 팬 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 모듈(200) 및 팬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작부(130) 및 본체(110)를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110)의 하면에 설치되는 바퀴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10)는, 내부 공간(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사방이 폐쇄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종의 케이스로서, 상면(110a)과, 하면(110b)과, 정면(110c)과, 후면(110d)과, 좌측면(110e) 및 우측면(110f)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나 전체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후술될 팬 모듈(300)에 의해 내부 공간(1)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11) 및 조작부(130)가 설치된 상면(110a)에 후술될 히터 모듈(200)의 열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1)에서 조작부(130)가 설치된 상면(110a)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조작부(130)가 설치된 상면(110a)과 대응되는 내측 부분에 내부 공간(1)과 구분되는 단열 공간(2)을 형성하는 단열 플레이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수의 통공(111)은, 외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1)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일종의 관통홀부로서, 원형 형상이나, 타원 형상이나, 슬롯 형상과 같이 공기가 내부 공간(1)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통공(111)은, 본체(110)의 정면(110c)과, 후면(110d)과 하면(110b)에 복수개가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통공(111)은, 내부 공간(1)으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1)에 설치된 팬 모듈(300)의 인근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통공(111)의 형성 위치는 반드시 도 1 내지 도 6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본체(110)의, 상면(110a)과, 좌측면(110e) 및 우측면(110f)에도 복수개가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열 플레이트(1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1)에서 조작부(130)가 설치된 상면(110a)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조작부(130)가 설치된 상면(110a)과 대응되는 내측 부분에 단열 공간(2)을 형성하여, 상면(110a)에 히터 모듈(200)의 열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조작부(130)의 조작 시 과열된 상면(110a)과의 접촉으로 화상과 같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 플레이트(112)에 의해 히터 모듈(200)의 상면(110a)이 직접적으로 열기를 받는 것을 차단하여, 상면(110a)의 소재를 무게가 가볍고 형상 구현의 자유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작부(130)가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더욱 집중될 수 있는 상면(110a) 부분의 디자인의 자유도가 증가되어, 전기 히터(1000)의 형상을 더욱 유려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단열 플레이트(112)에 의한 단열 공간(2)의 형성은 조작부(130)가 설치된 상면(110a) 측에만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정면(110c)이나, 후면(110d)이나, 좌측면(110e) 및 우측면(110f)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 모듈(100)은, 반드시 도 1 내지 도 7에 국한되지 않고, 상술한 직육면체 형상 이외에도 내부 공간(1)을 형성하고 일측에 히터 모듈(200)이 설치될 수 있는 모든 형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동의 편의성을 위한 손잡이부(120)도 양측면(110e, 110f) 이외에 후면(110d)에 설치되는 후면 손잡이부(150)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작부(130) 또한, 반드시 상면(110a)에 설치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정면(110c)이나, 후면(110d)이나, 좌측면(110e)이나, 우측면(110f)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모듈(300)은, 하우징 모듈(100)의 내부 공간(1)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하우징 모듈(100)의 내부 공간(1)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후술될 히터 모듈(20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열풍 방출구(251)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팬(310)에 의해 하우징 모듈(100)의 내부 공간(1)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팬 모듈(300)은, 하우징 모듈(100)의 내부 공간(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팬(310)과, 회전 팬(310)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회전 팬(3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모터(320) 및 구동 모터(320)를 하우징 모듈(100)의 본체(110)의 일면에, 예컨대 하면(110b)에 고정시키는 브라켓(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회전 팬(310)이 회전하면, 본체(110)의 복수의 통공(111)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본체(110)의 내부 공간(1)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후술될 히터 모듈(20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열풍 방출구(25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모듈(200)은, 하우징 모듈(100)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열을 발산하는 발열 유닛(220)이 내부에 형성되어, 발열 유닛(220)에서 발생된 열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모듈(200)은, 발열 유닛(220)을 수용하고, 발열 유닛(220)에서 발생된 열기를 전방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전체적으로 우묵한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사컵부(210)와, 열기가 발생되는 발열면(221a)이 반사컵부(210)의 반사면(211)을 향할 수 있도록, 반사컵부(210)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발열 유닛(220)과, 발열 유닛(220)이 반사컵부(210)의 개방된 일측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반사컵부(210)의 테두리 부분과 발열 유닛(220)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31, 232, 233)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230) 및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시(Mesh) 망으로서, 발열 유닛(22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반사컵부(210)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보호망(2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히터 모듈(200)은, 반사컵부(210)의 개방된 일측에서 발열면(221a)이 반사컵부(210)의 반사면(211)을 바라보도록, 후방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치된 발열 유닛(220)이 발열하면 그 열기가 후방을 향해서 발산되다가 반사컵부(210)의 반사면(211)에 의해 다시 전방을 향해 반사됨으로써, 그 열기가 최종적으로 전방을 향해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 유닛(220)은, 더욱 구체적으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열기가 발생되는 발열면(221a)에 열선(221b)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발열판(221)과, 지지 유닛(230)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222a)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열판(221)의 후면에 결합되는 열판 커버(222) 및 발열판(221)의 열기가 열판 커버(222)로 전달되지 않도록,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열판(221)과 열판 커버(222)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 부재(2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발열판(221)은, 열선(221b)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발열면(221a)측의 내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하향 경사면(221c)이 형성되어, 열선(221b)이 형성되는 발열면(221a)이 발열판(221)의 내측으로 오프셋(Off-set)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발열 유닛(220)에서 발산되어 확산되는 열기를 우묵한 보울 형태의 반사면(211)이 형성된 반사컵부(210)를 이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재확산시킴으로써, 그 열기가 반사컵부(210)의 지름 만큼 더욱 큰 면적으로 균일하게 발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발열 유닛(220)은, 반사컵부(210)의 개방된 일측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반사컵부(210)의 테두리 부분에 지지된 세 개의 지지대(231, 232, 233)에 의해 삼각 지지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반드시 도 11 및 도 12에 국한되지 않고, 발열 유닛(220)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한 개 또는 네 개 등 다양한 개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 유닛(220)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세 개의 지지대(231, 232, 23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전력선이 관통하는 단열 튜브(T)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히터 모듈(200)이 하우징 모듈(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 모듈(100)의 본체(110)는, 일면에 반사컵부(210)와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부(1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히터 모듈(200)은, 반사컵부(210)를 본체(110)의 일면에 형성된 관통홀부(113)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홀부(113)의 테두리 부분과 반사컵부(210)의 테두리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링 고정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부(113)는, 반사컵부(210)의 개방된 일측의 지름(D1) 보다 더 큰 지름(D2)으로 형성되되, 링 고정부(250)의 외주면(250)의 지름(D3) 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링 고정부(25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3)이 형성될 수 있도록, 그 횡단면이 본체(110)의 내부 공간(1)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팬 모듈(300)이 발생시킨 내부 공간(1)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서로 다른 지름(D1, D2)으로 형성되는 관통홀부(113)의 내주면과 반사컵부(210)의 개방된 일측의 외주면 사이의 갭(Gap)(G)을 통해서 유동 공간(3)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반사컵부(210)의 개방된 일측과 접하는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열풍 방출구(2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모듈(300)의 구동 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회전 팬(310)이 회전하면, 본체(110)의 복수의 통공(111)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본체(110)의 내부 공간(1) 하측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방을 향해 바람을 일으키도록 설치된 팬 모듈(300)에 의해 본체(110)의 내부 공간(1)을 따라 상승될 수 있다. 이어서, 서로 다른 지름(D1, D2)으로 형성되는 관통홀부(113)의 내주면과 반사컵부(210)의 개방된 일측의 외주면 사이의 갭(Gap)(G)을 통해서 히터 모듈(200)의 링 고정부(250)의 유동 공간(3)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동 공간(3)을 유동하던 공기는 링 고정부(25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열풍 방출구(251)를 통해서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풍 방출구(251)가 형성되고, 히터 모듈(200)을 하우징 모듈(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홀부(113)의 테두리 부분과 반사컵부(210)의 테두리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링 고정부(250)는, 본체(110)의 일면을 기준으로 반사컵부(210)를 소정의 각도(a)로 상향 경사지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제 1 높이(H1)에서 제 2 높이(H2)로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히터(1000)에서는, 하우징 모듈(100)에 4개의 히터 모듈(200)이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히터(2000)와 같이, 하우징 모듈(100)에 2개의 히터 모듈(2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기 히터의 요구되는 난방 열량에 따라 하우징 모듈(100)에 1개의 히터 모듈(200)이나 3개의 히터 모듈(200) 등 매우 다양한 개수의 히터 모듈(200)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전기 히터(1000, 2000)에 따르면, 하우징 모듈(100)의 내부 공간(1)에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팬 모듈(300)이 설치되어, 팬 모듈(300)에 의해 하우징 모듈(100)의 내부 공간(1)으로 유입된 공기가 히터 모듈(20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열풍 방출구(251)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열풍 방출구(251)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히터 모듈(200)의 발열 유닛(220)에서 발생한 열기를 전기 히터(1000, 2000)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용이하게 확산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히터 모듈(200)이 하우징 모듈(100)의 일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a)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열풍 방출구(25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확산되는 열기가 상향 포물선의 궤적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히터 모듈(200)의 발열 유닛(220)에서 발생한 열기를 전기 히터(1000, 2000)에서 더욱 멀리 떨어진 곳까지 확산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모듈(100)의 내부 공간(1)에 설치된 팬 모듈(300)에 의해 내부 공간(1)의 공기가 계속해서 순환되어, 하우징 모듈(100)이 히터 모듈(200)의 열기에 의해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전기 히터(1000, 2000)의 이동이나 조작 시 화상과 같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 모듈(100)을 합성수지와 같은 경량 소재로 적용이 가능하여, 전기 히터(1000, 2000)의 무게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히터 모듈(200)의 발열 유닛(220)에서 발생한 열기가 전기 히터(1000, 2000)에서 멀리 확산되도록 유도하여 열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켜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고, 히터 모듈(200)을 감싸고 있는 하우징 모듈(100)이 히터 모듈(200)의 열기에 의해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히터(1000, 2000) 사용 시 사용자의 상해 가능성을 해소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 히터(1000, 2000)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내부 공간
2: 단열 공간
3: 유동 공간
100: 하우징 모듈
110: 본체
110a: 상면
110b: 하면
110c: 정면
110d: 후면
110e: 좌측면
110f: 우측면
111: 복수의 통공
112: 단열 플레이트
113: 관통홀부
120: 손잡이부
130: 조작부
140: 바퀴 유닛
150: 후면 손잡이부
200: 히터 모듈
210: 반사컵부
211: 반사면
220: 발열 유닛
221: 발열판
221a: 발열면
221b: 열선
221c: 하향 경사면
222: 열판 커버
222a: 플랜지부
223: 단열 부재
230: 지지 유닛
231, 232, 233: 지지대
240: 보호망
250: 링 고정부
251: 열풍 방출구
300: 팬 모듈
310: 회전 팬
320: 구동 모터
330: 브라켓
1000, 2000: 전기 히터

Claims (10)

  1.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모듈;
    상기 하우징 모듈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열을 발산하는 발열 유닛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 유닛에서 발생된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히터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모듈의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모듈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히터 모듈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열풍 방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팬에 의해 상기 하우징 모듈의 상기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모듈은,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사방이 폐쇄된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히터 모듈 및 상기 팬 모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발열 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발열 유닛에서 발생된 열기를 전방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전체적으로 우묵한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사컵부;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열기가 발생되는 발열면이 상기 반사컵부의 반사면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발열 유닛;
    상기 발열 유닛이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컵부의 테두리 부분과 상기 발열 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 및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시(Mesh) 망으로서, 상기 발열 유닛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보호망;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 및
    상기 조작부가 설치된 면에 상기 히터 모듈의 열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조작부가 설치된 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가 설치된 면과 대응되는 내측 부분에 상기 내부 공간과 구분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단열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전기 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모듈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전기 히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모듈은,
    상기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는 바퀴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전기 히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히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일면에 상기 반사컵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히터 모듈은,
    상기 반사컵부를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 부분과 상기 반사컵부의 테두리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링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전기 히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부는,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의 지름 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되, 상기 링 고정부의 외주면의 지름 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 고정부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그 횡단면이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팬 모듈이 발생시킨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부의 내주면과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의 외주면 사이의 갭(Gap)을 통해서 상기 유동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사컵부의 개방된 일측과 접하는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열풍 방출구가 형성되는, 전기 히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컵부를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전기 히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유닛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열기가 발생되는 상기 발열면에 열선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발열판;
    상기 지지 유닛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열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열판 커버; 및
    상기 발열판의 열기가 상기 열판 커버로 전달되지 않도록,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열판과 상기 열판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 부재;
    를 포함하는, 전기 히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은,
    상기 열선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발열면측의 내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열선이 형성되는 상기 발열면이 상기 발열판의 내측으로 오프셋(Off-set) 되도록 형성되는, 전기 히터.
KR1020220135076A 2022-10-19 2022-10-19 전기 히터 KR10252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76A KR102523397B1 (ko) 2022-10-19 2022-10-19 전기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76A KR102523397B1 (ko) 2022-10-19 2022-10-19 전기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397B1 true KR102523397B1 (ko) 2023-04-20

Family

ID=8614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076A KR102523397B1 (ko) 2022-10-19 2022-10-19 전기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3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57B1 (ko) * 2006-06-30 2007-10-11 주식회사 나우이엘 히터 일체형 인서트 몰딩을 이용한 원적외선 히터
CN204629665U (zh) * 2015-02-04 2015-09-09 深圳市普道电器有限公司 电暖器
CN206846875U (zh) * 2017-05-18 2018-01-05 无锡市翱宇特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效取暖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57B1 (ko) * 2006-06-30 2007-10-11 주식회사 나우이엘 히터 일체형 인서트 몰딩을 이용한 원적외선 히터
CN204629665U (zh) * 2015-02-04 2015-09-09 深圳市普道电器有限公司 电暖器
CN206846875U (zh) * 2017-05-18 2018-01-05 无锡市翱宇特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效取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3604B1 (en) Infrared air heater with multiple light sources and reflective enclosure
US5437001A (en) Upright radiant electric heating appliance
US3077531A (en) Electric heater
KR102523397B1 (ko) 전기 히터
US2256049A (en) Heater
KR102245946B1 (ko) 전기가열구를 갖는 조리용 솥
KR20200059728A (ko) 가스 온풍기
JP6484202B2 (ja) 赤外線温風暖房機
KR200491825Y1 (ko) 적외선 가열기구 및 장치
KR100437421B1 (ko) 전기히터를 구비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200452868Y1 (ko) 열풍 블로워
KR100394187B1 (ko) 360°방향 전기스토브
JP5415882B2 (ja) 屋外ストーブ
KR200386476Y1 (ko) 전기온풍기
KR102669167B1 (ko) 전도열과 복사열 및 대류열을 이용한 전기난로
CN216244536U (zh) 反射罩组件和取暖设备
CA2625276C (en) Food cooking oven
JPS6311547Y2 (ko)
KR200226557Y1 (ko) 전기 온풍기
KR200316314Y1 (ko) 온풍기
WO2023123518A1 (zh) 干燥设备
JPH0121410B2 (ko)
KR200312517Y1 (ko) 온풍기
KR200237145Y1 (ko) 전기히터
KR200181013Y1 (ko) 이동식 온풍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