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071B1 - Ketboard Support - Google Patents

Ketboard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071B1
KR102523071B1 KR1020220058413A KR20220058413A KR102523071B1 KR 102523071 B1 KR102523071 B1 KR 102523071B1 KR 1020220058413 A KR1020220058413 A KR 1020220058413A KR 20220058413 A KR20220058413 A KR 20220058413A KR 102523071 B1 KR102523071 B1 KR 102523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support
cradle
holder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김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우 filed Critical 김병우
Priority to KR102022005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0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0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a keyboard, e.g. pivoting le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stand comprising a body having a keyboard support portion and a monitor support portion, mounted to allow a keyboard to be leaned to reduce a usable space of the keyboard placed on a desk or table and allow both ends of the keyboard to be supported thereon, thereby allowing smooth use even when the keyboard is mounted and securing separable coupling according to a user's needs; and a stand which is provided in front of the body and on which the keyboard is placed. The bottom center portion of the keyboard is leaned against the stand,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upports are formed on both sides spaced apart from the stand, so th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are supported by the supports.

Description

키보드 받침대{Ketboard Support}Keyboard Support {Ketboard Support}

본 발명은 키보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에 놓여지는 키보드의 양 측편이 지지할 수 있는 키보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board stand capable of supporting both sides of a keyboard placed on a holder.

가정이나 사무실 및 PC를 사용하는 공간에서 일반적으로 PC의 위치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모니터 및 키보드는 주로 책상이나 테이블 상에 올려져 사용되고 있다. 책상이나 테이블은 PC를 전용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사무를 보는 테이블이나 공부를 하는 책상에 모니터와 키보드를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PCs may be placed in various positions in homes, offices, and spaces where PCs are used, but monitors and keyboards are mainly used on desks or tables. A desk or table is generally used by arranging a monitor and keyboard on a table for office work or a desk for study, rather than exclusively using a PC.

따라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들 모니터와 키보드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지 않으며, 통상 이런 상태에서 책상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키보드를 본체 위에 올리거나. 모니터 옆에 세워놓는 경우가 많고,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식사 또는 다과를 즐기는 경우 키보드의 위치로 인하여 음식을 놓을 자리가 마땅치 않은 것과 같은 책상 위의 공간을 활용함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Therefore, when the computer is not in use, the space occupied by these monitors and keyboards is not small, and usually, when you want to use the desk for other purposes in this state, put the keyboard on top of the main body. It is often placed next to a monitor, and when enjoying a meal or refreshment while using a computer, there is a problem in utilizing the space on the desk, such as not having a good place to put food due to the location of the keyboard.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7424호(이하 '인용발명' 이라함)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가 놓여지는 받침대(100)의 내측에 키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인출홈(110)이 형성되어, 키보드를 모니터 받침대 내부에 수납하여 책상 또는 업무나 학습공간의 공간활용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17424 (hereinafter referred to as 'cited invention'), as shown in FIG. (110) is formed,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space utilization of a desk or work or study space by storing a keyboard inside the monitor stand is disclosed.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함에 있어 식사 또는 다과등을 즐기면서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키보드가 모니터 받침내 내부에 수납되어 있어 키보드를 사용하면서 식사나 다과를 즐길 수 없으며, 책상이나 업무 공간 또는 학습 공간인 경우, 업무 관련 자료나 책을 펴는 경우 키보드를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However, in this method,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computer while enjoying a meal or refreshment while using the computer, the keyboard is housed inside the monitor stand, so it is impossible to enjoy a meal or refreshment while using the keyboard, and the desk or In the case of a work space or a study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keyboard when opening work-related materials or books.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7424호 '모니터 및 키보드용 하이브리드 받침대'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17424 'Hybrid stand for monitor and keyboar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책상 또는 테이블 상의 공간에 배치되는 키보드의 활용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키보드가 기대어 지도록 거치되면서 키보드의 양측단이 지지됨에 따라 키보드가 거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키보드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reduce the usable space of the keyboard disposed in the space on a desk or table, the keyboard is supported so as to be leaned and both ends of the keyboard are supported, so that the keyboard can be used even in the mounted stat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keyboard stand that enables smooth ope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구비되고, 키보드(12)가 놓여지는 거치대(20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200)에는, 키보드의 저면 중앙부가 기대어지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거치대로부터 이격된 양측편에 지지부가 형성되어, 지지부에 의해 키보드의 저면 양측편이 지지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body 100; A cradle 200 provided in front of the body 100 and on which the keyboard 12 is placed, wherein the central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leans on the cradle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Supporting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keyboard so th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arts.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의 전방측 상단 가장자리 부근의 양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의 저면 상단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된 회동부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at both ends near the upper edge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radle is coupled with the rotation par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s, so that it can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지지부는 키보드의 저면이 맞닿아 지지되도록 볼록한 형상의 라운드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는 회전됨에 따라 상면 중 회동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지점은 상기 거치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며 가상의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라운드는, 상기 가상의 경로와 동일한 곡률을 이루면서 상기 가상의 경로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has a convex round shap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comes into contact with it and is supported, and as the cradle is rotated, a point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pivoting part of the upper surface is shifted as the cradle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al axis. While changing to form a virtual path, the round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virtual path while achiev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virtual path.

또한, 상기 거치대는 저면의 일 지점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거치대 지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 지지구가 상기 몸체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홀을 가지는 거치대 받침구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의 고정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 cradle support that is rotatab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point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radle support is supported by a cradle support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 fixing angle of the cradle may vary.

또한, 상기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ㄱ' 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이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수납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 홀더는 상기 몸체와의 사이 공간에 키보드가 삽입되어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includes a storage holder having an 'A' shape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and one end coupled to the body, wherein the storage holder can be inserted and erected in a space between the body and the keyboard. .

또한, 상기 몸체는 키보드가 거치되는 키보드 받침부와, 모니터 놓이는 모니터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키보드 받침부와 상기 모니터 받침부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includes a keyboard support portion on which a keyboard is mounted, and a monitor support portion on which a monitor is placed, and the keyboard support portion and the monitor support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는 작은 폭을 가지면서 키보드가 기대어질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되고, 거치대에 기대어진 키보드의 저면 양측편이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키보드가 거치대에 거치되더라도 원활하게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has a small width and is provided with a cradle on which the keyboard can be leaned, and a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leaning on the cradle, so that the keyboard can be used smoothly even when placed on the cradle. there is.

또한, 키보드가 거치되는 거치대는 회전됨에 따라 상면 중 회동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지점이 거치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형성된 가상의 경로와 지지부의 전면과 평면에 걸쳐 볼록하게 형성된 라운드는 동일한 곡률을 이루면서 동일선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거치대가 회동하더라고 양측단이 일정하게 지지되도록 키보드가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radle on which the keyboard is mounted is rotated, the virtual path formed while the point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ating part of the upper surface rotates arou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cradle, and the round formed convexly across the front surface and plane of the support have the same curvature. Since they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while forming, the keyboard can be supported so that both ends are constantly supported even if the cradle rotates.

또한, 몸체는 키보드가 거치되는 키보드 받침부와 모니터가 놓이는 모니터 받침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 분리되어 사용되거나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keyboard support on which the keyboard is mounted and the monitor support on which the monitor is placed, and may be used separately or combined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키보드 받침대의 정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키보드 받침대의 측면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몸체의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평면과 수직한 거치대 받침구가 형성된 몸체의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지지부의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거치대 상면과 라운드의 접점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키보드 받침부와 모니터 받침부가 구비된 몸체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키보드가 키보드 받침부에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키보드 받침대의 예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모니터 받침대의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related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structure of the keyboard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structure of a keyboard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exemplary views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illustrative views of a body having a holder support perpendicular to a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are exemplary views of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 contact point between an upper surface of a cradle and a 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emplary view of a body provided with a keyboard support unit and a monitor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stand showing a state in which a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keyboard stand.
16 and 17 are exemplary views of a monitor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책상 또는 테이블 상의 공간에 배치되는 키보드의 활용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키보드가 기대어 지도록 거치되면서 키보드의 양측단이 지지됨에 따라 키보드가 거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보드 받침부와 모니터 받침부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키보드가 놓여지는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에는, 키보드의 저면 중앙부가 기대어지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거치대로부터 이격된 양측편에 지지부가 형성되어, 지지부에 의해 키보드의 저면 양측편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받침대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usable space of the keyboard disposed in the space on a desk or table, the keyboard is leaned forward and both ends of the keyboard are supported so that the keyboard can be used smoothly even when the keyboard is mount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 body having a detachably coupled keyboard support and a monitor support, and a cradle provided in front of the body and on which the keyboard is placed, wherein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keyboard leans against the cradle,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We propose a keyboard stand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and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s.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키보드 받침대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keyboard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7 attached.

본 발명인 키보드 받침대(10)는, 도 2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몸체(100)의 전방에 구비되면서 키보드(12)의 저면 중앙부가 기대어지는 거치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몸체(100)의 상면에는 거치대(200)로부터 이격된 양측편에 지지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지지부(110)에 키보드(12)의 저면 양측편이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The keyboard stan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3 and 6, is provided on the body 100 and the front of the body 100, and the cradle 200 o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12 leans can include At this time, support parts 11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spaced apart from the holder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12 may be supported by contacting with the formed support parts 110. .

따라서, 몸체(100)의 전방에 구비된 거치대(200)에 키보드(12)의 중앙부가 기대어지면서 몸체(100)의 상면에 구비된 지지부(110)에 의해 키보드(12)의 양측편이 지지되고, 사용자는 바닥면이 아닌 거치대(200)에 기대어진 키보드(12)를 사용함에 있어 키보드(12)의 버튼을 가압할 때 키보드(12)의 중앙부와 키보드(12)의 양측편이 모두 지지되어 키보드(12)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both sides of the keyboard 12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1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whi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keyboard 12 leans against the holder 200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body 100,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of the keyboard 12 in using the keyboard 12 leaning on the cradle 200 rather than the bottom surface, bo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keyboard 12 and both sides of the keyboard 12 are supported so that the keyboard ( 12) can be used smoothly.

몸체(10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일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몸체(1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과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몸체(100)가 책상 또는 테이블 위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9, the body 100 may have a partially open front surface, and the body 10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lat. (100) can be stably placed on a desk or table.

이 때, 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비어 있는 공간에 형성된 수납부(150)에 다른 사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 개방된 형태의 전면을 통해 수납부(150)로 사물을 수납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ody 10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other objects in the storage unit 150 formed in an empty space inside, as shown in FIG. (150) to store objects.

일 예로, 몸체(100)의 내부가 구획되어 복수의 수납부(150)가 형성되게끔 할 수 있으며, 구획된 수납부(150) 내에 가이드 레일 또는 전,후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서랍으로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side of the body 100 may be partitioned so that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150 are formed, and guide rails or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the compartments 150 to be used as drawers. there is.

또한, 거치대(200)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수납부(150)가 구획되어 다양하게 다른 사물을 수납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되는 형태와 수납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is partition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200, respectively, and can be formed to accommodate various other objects, and the storage form and storage method are not limited.

몸체(100)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위치한 거치대(200)에 기대어진 키보드(12)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100)의 양측편에 복수의 지지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부(110) 사이에 거치대(2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10, the body 100 ha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on both sides of the body 100 so a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12 leaning on the cradle 20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 may be formed, and may include a rotation unit 120 capable of rotating the cradle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units 110 .

이 때, 몸체(1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면서 상하 방향의 복수의 체결홈(131)을 가지는 거치대받침구(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거치대받침구(130)는 회동부(120)을 중심으로 폭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6 to 8 , the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cradle support 130 formed vertically on the front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3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ceiving sphere 130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in the width direction around the pivoting part 120 .

이 때, 거치대받침구(13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하면이 돌출되고, 상방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S. 2 to 5 , the holder support 130 may be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right-angled triangular shape and to have an upward inclination.

이를 통해서 거치대(200)가 회동부(12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됨에 있어 거치대(200) 받침구에 형성된 체결홈(1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체결홈(131)의 위치와 거치대받침구(130)의 형상에 따라 거치대(200)의 고정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Through this, as the holder 200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rotating part 120, it can be fixed by the fastening groove 131 formed in the base of the holder 200, and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31 and The fixing angle of the holder 200 may var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older support 130 .

지지부(110)는 도 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전방측 상단 가장자리 부근의 양측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17 , the support part 11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near the top edge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100 .

일 예로, 지지부(110)는 몸체(100)의 전면에 상면 가장자리 부근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부(110) 사이에 구비되는 회동부(120)는 몸체(100)의 상면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part 11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 near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pivoting part 12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s 1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there is.

다른 일 예로, 지지부(110)는 몸체(100)의 전면에 상면 가장자리 부근에 결합되고, 지지부(110) 사이에 구비되는 회동부(120)는 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110)와 회동부(120)의 위치는 후술하는 키보드(12) 저면과 라운드(111)의 접점을 벗어나지 않는 한 제한하지 않는다.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part 11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 near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pivoting part 12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s 11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 .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pivot part 120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y do not deviate from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12 and the round 111 described later.

지지부(1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와 흡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하면이 몸체(100)의 상면과 결합되어, 몸체(100)의 상면상에 구비되거나, 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 It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ront and provided on the front.

또한, 지지부(1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전면에 걸쳐 볼록한 형상의 라운드(111)가 형성되며, 라운드(111) 상의 일 지점에 거치대(200)에 기대어진 키보드(12)저면의 양측편이 지지될 수 있으며, 몸체(100)의 상면 양측단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구비되어 키보드(12)의 저면 양측편이 복수의 지지부(110)에 라운드(1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support 110 has a convex round 111 formed over the top and front surfaces, and the bottom of the keyboard 12 leaning against the cradle 200 at a point on the round 111. Both sides of the body 100 may be supported,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re provided on the sam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12 are roun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10. (111) can be stably supported.

이 때, 지지부(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의 형상이 상부에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110)가 회전하더라도 일정한 지점에 키보드가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 the support part 11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t the top so that the keyboard can be placed at a certain point even when the support part 110 rotates. there is.

거치대(2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는 거치되는 물체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radle 200 may be formed with a smaller width than the body 100 and may be formed flat on an upper surface so that an object to be mounted may be stably placed thereon.

거치대(200)는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거치대(200)의 상단을 향해 개방되도록 일단이 상면에 결합된 거치돌기(210)가 형성되고, 거치돌기(210)는 기대어진 키보드(12)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13) 및 사물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11 to 17, the holder 200 is formed in an 'L' shape at the bottom and has a holder protrusion 21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so as to open toward the top of the holder 200. Formed, the protrusion 210 may support the keyboard 12 or the smart device 13 and the lower end of the object leaning against it.

또한, 거치대(200)저면의 일 지점에는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거치대지지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radle support 220 rotatab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included at one poi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radle 200 .

거치대지지구(220)는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거치대(200)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몸체(100)에 형성된 거치대받침구(130)에 지지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폭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를 통해 거치대지지구(220)를 쉽게 회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11 to 15, the cradle support 220 has one end rotatab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radle 200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cradle support 130 formed on the body 100. It can be formed in a shape, and a handle having a certain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holder support 220 can be easily rotated through the handle.

이 때, 거치대지지구(220)의 형상은 거치대(200)가 키보드(12)를 거치한 상태에서 회동함에 있어, 거치대(20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 한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cradle support 220 may not be limited as long as the cradle 20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cradle 200 when it rotates while the keyboard 12 is mounted thereon.

또한, 상술한 거치대받침구(130)와 거치대지지구(220)는 거치대(200)를 특정각도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구조 중 하나의 예시이며, 거치대지지구(220)는 거치대(200)를 특정 각도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거치대(200)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radle support 130 and cradle support 220 are examples of structures having various shapes in order to fix the cradle 200 at a specific angle, and the cradle support 220 is an example of the cradle 200. ) may have a structure of various shapes in order to fix it at a specific angle, and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cradle 200 is not limited.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인 키보드 받침대(1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100)에 구비되는 거치대(200)의 상면에 키보드(12)가 거치될 때, 거치대(20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2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면 중 회동부(120)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지점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가상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몸체(100)의 지지부(110)에 형성된 볼록한 형상의 라운드(111)가 가상의 경로와 동일한 곡률을 이루면서, 가상의 경로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stan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keyboard 1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200 provided in the body 100, the holder 200 will As shown in FIGS. 11 to 13 , as the rotating part 120 rotates, the position of a point orthogona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120 on the top surface is changed, and a virtual path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convex round 111 formed on the support part 110 of the body 100 forms the same curvature as the virtual path and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virtual path.

이를 통하여, 거치대(200)에 중앙부가 기대어진 키보드(12)의 저면 양측편이 지지부(110)와 맞닿아 거치됨에 있어, 거치대(200)가 회동부(120)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예각 내에서 회전하게 되는 경우, 거치대(200)에 기대어진 키보드(12)의 저면 양측편이 지지부(110)의 라운드(111)에 지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12, the central portion of which is leaned against the cradle 200, are plac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10, so that the cradle 200 rotates in an acute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pivoting part 120. 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12 leaning on the cradle 200 may be supported by the round 111 of the support 110 .

일 예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거치대(200)에 기대어진 키보드의 저면과 라운드(111)가 맞닿는 접점(A)은, 키보드(12)의 저면이 거치대(200)의 상면 중 회동부(120)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지점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각 상이한 각도에서 고정되는 거치대(200)에 기대어진 키보드(12)의 저면 양측편은 일정하게 지지부(110)의 라운드(111) 내에서 지지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leaning on the cradle 200 shown in FIGS. 11 to 13 and the contact point A where the round 111 comes into contact are the pivotal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200 ( 120), it can be seen that it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point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and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12 leaning on the cradle 200 fixed at different angles are constantly round the support part 110 ( 111) can be supported.

이를 통하여 거치대(200)의 고정되는 각도에 상관없이 키보드(12)의 저면 양측편이 몸체(100)의 지지부(110)에 형성된 라운드(111)에 지지되므로 예각 내에서 키보드(12)의 사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regardless of the fixed angle of the holder 200,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12 are supported by the round 111 formed on the support part 110 of the body 100, so that the use of the keyboard 12 is stable within an acute angle. can be done with

이 때, 지지부(110)는 몸체(100)와 결합되면서 키보드(12)가 지지되므로, 탄성을 가지면서 형상이 유지되도록 우레탄 또는 고무를 포함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part 110 supports the keyboard 12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body 100, it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including urethane or rubber so as to maintain its shape while having elastic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몸체(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가 거치되는 키보드 받침부(100A)와 상면에 모니터가 놓일 수 있는 모니터 받침부(100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키보드 받침부(100A)와 모니터 받침부(100B)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keyboard support portion 100A on which a keyboard is mounted and a monitor support portion 100B on which a monitor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 , The keyboard support portion (100A) and the monitor support portion (100B) may be detachably coupled.

또한, 몸체(100)는 도 1, 도 4 및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 'ㄱ'자 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이 몸체(100)와 결합되는 수납홀더(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납홀더(140)는 몸체(100)의 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몸체(100)와 수납홀더(140) 사이의 공간에 키보드가 세워져 삽입되어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100 includes a storage holder 140 having an 'L' shape on both sides and one end coupled to the body 100, as shown in FIGS. 1, 4 and 14 to 17 In addition, the storage holder 14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body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keyboard can be erected and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storage holder 140.

이 때, 수납홀더(14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rage holder 140 may be detachably formed for the user's convenience, and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10: 모니터 받침대 11: 모니터
12: 키보드 13: 스마트 디바이스
100: 몸체 100A: 키보드 받침부
100B: 모니터 받침부 110: 지지부
111: 라운드 120: 회동부
130: 거치대 받침구 131: 체결홈
140: 수납홀더 150: 수납부
200: 거치대 210: 거치돌기
220: 거치대 지지구 A: 키보드 저면과 라운드의 접점
10: monitor stand 11: monitor
12: keyboard 13: smart device
100: body 100A: keyboard support
100B: monitor support 110: support
111: round 120: turning part
130: cradle support 131: fastening groove
140: storage holder 150: storage unit
200: Cradle 210: Cradle
220: holder support A: contact point between the bottom of the keyboard and the round

Claims (6)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구비되고 키보드(12)의 저면 중앙부가 기대어지게끔 키보드(12)가 놓여지는 거치대(20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는 거치대로부터 이격된 양측편에 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지지부(110)에 의해 키보드(12)의 저면 양측편이 지지되되,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측 상단 가장자리 부근의 양측단에 구비되고, 키보드(12)의 저면이 맞닿아 지지되도록 볼록한 형상의 라운드(11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거치대(200)은 저면 상단이 상기 지지부(110) 사이에 구비된 회동부(12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 중 회동부(120)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지점은, 상기 거치대(2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어 가상의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라운드(111)는, 상기 가상의 경로와 동일한 곡률을 이루면서 상기 가상의 경로와 동일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받침대.
body 100; And a cradle 200 provided in front of the body 100 and on which the keyboard 12 is placed so that the central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12 leans against 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support parts 110 are formed on both sides spaced apart from the holder, and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board 12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s 110,
The support part 110 is provided at both ends near the upper edge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100, and a convex round 111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12 comes into contact with it and is supported.
The cradle 200 is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eing coupled with the pivoting part 12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s 110 at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A point orthogona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ivoting part 120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200 is changed in position as the cradle 200 rotates around the axis of rotation to form a virtual path,
The round 111 is a keyboard stand,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virtual path while form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virtual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0)는 저면의 일 지점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거치대 지지구(220)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 지지구(220)가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홀을 가지는 거치대 받침구(130)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200)의 고정 각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The cradle 200 is provided with a cradle support 220 rotatab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point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radle support 2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keyboard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angle of the holder (200) varies as it is supported by the holder holder (130) having a 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ㄱ' 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이 상기 몸체(100)와 결합되는 수납 홀더(140)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 홀더(140)는 상기 몸체(100)와의 사이 공간에 키보드(12)가 삽입되어 세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100 includes a storage holder 140 having an 'A' shape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ody 100,
The storage holder 140 is a keyboard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board 12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dy 100 and er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키보드(12)가 거치되는 키보드 받침부(100A)와, 모니터(11)가 놓이는 모니터 받침부(100B)를 포함하되,
상기 키보드 받침부(100A)와 상기 모니터 받침부(100B)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100 includes a keyboard support portion 100A on which the keyboard 12 is mounted and a monitor support portion 100B on which the monitor 11 is placed,
Keyboard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board support portion (100A) and the monitor support portion (100B) are detachably coup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58413A 2022-05-12 2022-05-12 Ketboard Support KR1025230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413A KR102523071B1 (en) 2022-05-12 2022-05-12 Ketboard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413A KR102523071B1 (en) 2022-05-12 2022-05-12 Ketboard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071B1 true KR102523071B1 (en) 2023-04-19

Family

ID=8614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413A KR102523071B1 (en) 2022-05-12 2022-05-12 Ketboard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07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967A (en) * 2002-06-18 2004-01-22 Yumiko Go Keyboard holder
KR100917424B1 (en) 2009-02-20 2009-09-14 (주)에이치앤씨 Hybrid supporter for monitor and keyboard
KR20120002643U (en) * 2010-10-09 2012-04-18 문경록 Reading prop with monitor support structure
KR20170127820A (en) * 2016-05-13 2017-11-22 이철재 Multipurpose Monitor Stand
CN208211760U (en) * 2018-01-18 2018-12-11 大连外国语大学 A kind of bracket for placing earphone and keyboar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967A (en) * 2002-06-18 2004-01-22 Yumiko Go Keyboard holder
KR100917424B1 (en) 2009-02-20 2009-09-14 (주)에이치앤씨 Hybrid supporter for monitor and keyboard
KR20120002643U (en) * 2010-10-09 2012-04-18 문경록 Reading prop with monitor support structure
KR20170127820A (en) * 2016-05-13 2017-11-22 이철재 Multipurpose Monitor Stand
CN208211760U (en) * 2018-01-18 2018-12-11 大连外国语大学 A kind of bracket for placing earphone and key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2233B1 (en) Portable stand for a laptop computer
US6553919B1 (en) Computer desk with concealable display
US5073050A (en) Ergonomic keyboard apparatus
US10753531B2 (en) Multi-display stand
US9999298B1 (en) Lap desk with mouse pad and device slot
US10760727B2 (en) Display stand
KR102140887B1 (en) Multi-purpose monitor pedestal
US20060075942A1 (en) Combination desk with connector
KR101268863B1 (en) A reading book stand
CN114470731A (en) Onboard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523071B1 (en) Ketboard Support
US10124736B2 (en) Article storage device in a vehicle
US8313156B2 (en) LCD monitor stand with note and storage areas
KR101801467B1 (en) Multipurpose Monitor Stand
US6601815B2 (en) Adjustable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169936B1 (en) Filing cabinet for mounting user terminal
KR100917129B1 (en) Desk for computer
KR101359323B1 (en) Reading stand for attaching a desk
CN208901017U (en) A kind of protective case of more bracket angle adjustables
KR200472078Y1 (en) Sitting table having reading desk
KR20230002268U (en) Reading table that doubles as a portable laptop stand
KR200415705Y1 (en) Desk for Computer
CN216877805U (en) Onboard supporting device
KR200195622Y1 (en) A support of keyboard
KR200281952Y1 (en) Separation type desk cov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