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851B1 -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서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서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851B1
KR102522851B1 KR1020210084165A KR20210084165A KR102522851B1 KR 102522851 B1 KR102522851 B1 KR 102522851B1 KR 1020210084165 A KR1020210084165 A KR 1020210084165A KR 20210084165 A KR20210084165 A KR 20210084165A KR 102522851 B1 KR102522851 B1 KR 102522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xel
server
volumetric content
type
d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377A (ko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8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8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3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involving central third party, e.g. key distribution center [KDC] or trusted third party [TTP]
    • H04L9/0833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involving central third party, e.g. key distribution center [KDC] or trusted third party [TTP] involving conference or group key
    • H04L9/0836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involving central third party, e.g. key distribution center [KDC] or trusted third party [TTP] involving conference or group key using tree structure or hierarchic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입체 컨텐츠를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특히,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Root Tree)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키를 생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생성된 DRM 키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서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SERVER AND MULTIMEDIA DEVICE FOR PROCESSING VOXEL TYPE'S VOLUMETRIC CONTENTS}
본 발명은 3D 입체 컨텐츠를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처리하는 서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등에 적용 가능하다.
컨텐츠 보호 기술은 사용 목적에 따라 복제 방지 기술, CAS (Conditional Access System),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등으로 구분된다. 복제 방지 기술은 기기간 전송 또는 기록장치로 저장시 컨텐츠의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한 기술이다. CAS 기술은 디지털방송 컨텐츠의 보호를 위한 기술로, 방송만을 통하여 전송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허가된 사용자에게만 수신 권한을 부여하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DRM 기술은 컨텐츠의 생성에서 소멸에서 이르는 전과정에 걸쳐 컨텐츠의 저작권을 지속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다. 그러나, 종래 DRM 기술은 2차원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에만 주로 사용되어 왔다.
다만, 최근에는 AR (Augmented Reality), VR (Virtual Reality), MR (Mixed Reality), XR (eXtended Reality), 3차원 관련 컨텐츠 등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에 대한 DRM 적용 기술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포함된 가상의 오브젝트들(예를 들어, 연예인, 유명인사 등등)에 대한 저작권 이슈가 해결되지 않아 서비스가 매우 제한적으로만 이루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대하여, 오브젝트별로 DRM 키를 생성하고 있지 않아서,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대한 보안성이 매우 취약하고, 안드로이드가 아닌 웹기반의 디바이스 등에서는 구현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및 이와 연관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의 오브젝트별로 DRM 기술을 적용하고자 한다.
나아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키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가상의 위치를 추정하여 DRM 키를 수신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위에선 예시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추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Root Tree)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키를 생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생성된 DRM 키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생성된 DRM 키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오브젝트별로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이 적용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 중, 상기 서버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DRM 키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디코딩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특정 오브젝트가 표시될 것으로 예정된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점이 도래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특정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가상 공간에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Root Tree)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키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AR (Augmented Reality) 또는 VR (Virtual Reality) 에 기초하여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 수단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변형 실시예들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반적인 취지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추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대한 암호화 성능을 강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별로 DRM 암호화를 적용할 수 있어서, 연예인 및 유명인사 등의 저작권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저작권 이슈가 있는 다양한 3D 컨텐츠의 보호가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재생 플랫폼의 제약이 없어진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웹으로 AR 서비스를 재생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으나, 컨텐츠 보안 이슈로 제공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 적용시 안전하게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 명시적으로 언급한 기술적 효과 이외에, 본 명세서 전체 기재를 통해 당업자에게 자명한 효과도 추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셀(Voxel)을, 픽셀(Pixel)과 대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볼류메트릭 컨텐츠내 임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복셀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트리 구조 및 이를 기반으로 DRM 키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RM 키값이 3차원 공간내 특정 위치 정보와 맵핑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서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 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이하 도면들을 설명의 편의상 순차적으로 설명하지만, 복수개의 도면들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셀(Voxel)을, 픽셀(Pixel)과 대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컨텐츠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의 픽셀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면, AR, VR 등 3차원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는 복수개의 정육면체, 사각기둥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단위를 복셀(voxel) 이라고 지칭한다.
참고로, 복셀(voxel)은 부피(volume)와 픽셀(pixel)을 결합한 합성어로서, 부피를 가진 픽셀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2는 볼류메트릭 컨텐츠내 임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복셀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오브젝트(200)는 예를 들어, 연예인 또는 유명인사 등의 AR 컨텐츠에 해당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해당 오브젝트(200)는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복셀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복셀(201) 안에는 하나 이상의 특성값(파라미터)이 저장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이미지 관련 텍스쳐 정보 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복셀(201)은 모두 모양과 크기는 동일하며, 하나의 복셀을 다시 트리 구조로 분할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하여 DRM 키값을 생성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트리 구조 및 이를 기반으로 DRM 키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임의의 복셀(201)을 트리 형태로 분할하면 도 3과 같이 표시할 수가 있다.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 요청을 수신한 서버는, 특정 오브젝트(도 2의 200번)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도 2의 201번)에 대한 루트 트리 (Root Tree)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DRM 키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서버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AR, VR 기능 등을 탑재한 휴대폰, HMD 기기 등)로부터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생성된 DRM 키를 전송함으로써, 오브젝트 단위별로 저작권 보호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2D 픽셀과 달리, 3차원 볼류메트릭 컨텐츠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키를 생성하는 2가지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서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
(1-1단계): 첫째, 루트 트리에 대한 값(00000001) + (1단계 트리에 대한 값(00100010)*1.1) + (2단계 트리에 대한 값(00100000+00000010)*1.2)을 sum (합산) 한다. 특히, 단계의 뎁스(Depth)가 증가할 수록 각 트리에 대한 값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암호화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루트 트리에 대한 값은 00000000 또는 00000001이 될 수 있으며, 당해 실시예에서는 00000001인 것으로 가정한다.
(1-2단계): 둘째, 상기 sum (합산) 한 값을 64 비트 해쉬(HASH)값으로 변환한다. 물론, 당해 명세서에서는 64 비트 해쉬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3단계): 셋째, 상기 변환된 64 비트 해쉬값을 DRM 키로 생성하도록 설계한다.
제2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서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가 각 트리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채택했다면, 후술할 제2실시예는 각 트리별로 해쉬 변환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2-1단계): 첫째, 루트 트리에 대한 값(00000001)을 64 비트 해쉬값으로 변환하고,
(2-2단계): 둘째, 1단계 트리에 대한 값(00100010)을 64 비트 해쉬값으로 변환하고,
(2-3단계): 셋째, 2단계 트리에 대한 값(00100000+00000010)을 64 비트 해쉬값으로 변환하고,
(2-4단계): 넷째, 상기 (2-1단계) 내지 (2-3) 단계에서 변환된 64 비트 해쉬값을 모두 sum (합산) 하고,
(2-5단계): 다섯째, 상기 (2-4) 단계에서 sum 한 값을 DRM 키로 생성하도록 설계한다.
위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생성된 DRM 키는 임의의 서버에 전송 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볼류메트릭 컨텐츠 재생 중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 특유의 기술적 효과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서버(400)는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암호화 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복셀에 대한 트리 구조를 이용하도록 설계한다.
도 4에서는 서버(400)가 컨텐츠 관리 서버(401), 클라우드 서버(402) 및 라이센스 서버(403)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들을 모두 결합하여 하나의 단일 서버로 운영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단일 서버로 운영하는 경우, 서버내 프로세서(미도시)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 요청을 수신한 경우,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Root Tree)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키를 생성한다. 이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전 도 3에서 상술한 바 생략한다.
그리고, 서버내 네트워크 모듈(미도시)은, 생성된 DRM 키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서버(400)를 복수개의 서버들로 운영하는 경우의 상세 시나리오는 이하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하겠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450)는, 네트워크 모듈(451), 디스플레이 모듈(452), 비디오 디코더(453) 및 컨트롤러(454) 등을 포함한다. 물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삭제, 추가, 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우선, 네트워크 모듈(451)은, 서버(400)로부터 오브젝트별로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이 적용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디스플레이 모듈(452)은, 상기 수신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하고, 컨트롤러(454)는,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 중, 특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서버(400)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한다. 여기서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라 함은, 이하 도 5 및 도 6(특히, S609 단계)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453)는, 상기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DRM 키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디코딩 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오브젝트들을 별도로 저작권 관리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RM 키값이 3차원 공간내 특정 위치 정보와 맵핑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별로 DRM 키를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또는 도 6에 도시된 라이센스 서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오브젝트별로 서로 다른 DRM 키값을 생성하게 된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복셀의 트리값이 다르게 설정되기 때문이다.
다만,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M 키값과 3차원 가상 공간내 위치 정보를 함께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설계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a 라는 영화배우에 해당하는 제1 가상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해 보겠다. 특히, 상기 임의의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HMD)를 착용한 유저의 위치 및 회전 각도 등에 따라 다른 오브젝트들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착용한 유저가 제1오브젝트가 존재하는 3차원 공간내 위치(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X1, Y1, Z1))를 향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a라는 영화배우에 해당하는 제1오브젝트에 맵핑된 해당 DRM 키값(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A")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디코딩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
반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착용한 유저가 제2오브젝트가 존재하는 3차원 공간내 위치(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X2, Y2, Z2))를 향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제2오브젝트에 맵핑된 해당 DRM 키값(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B")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디코딩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오브젝트(유명인, 스포츠 스타, 연예인 등에 대응)별로 DRM 관리가 가능하고, 볼류메트릭 컨텐츠 재생시 모든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값을 한번에 수신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적 측면에서도 탁월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가상 오브젝트별로 DRM 키값 및 3차원 공간내 위치 정보가 함께 맵핑된 상태로 서버 등의 DB(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기 임의의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HMD)를 착용한 유저의 위치 및 회전 각도 등에 따라 다른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는 방식이 아니고, 특정 시점에 무조건적으로 특정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서비스로 가정해 본다면, 도 5에 도시된 3차원 공간내 위치 정보 대신에 해당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 정보가 저장되도록 변형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한 이후 특정 시점이 도래하면, 제3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값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디코딩이 이루어 진다. 따라서, 특정 시점 정보가 도 5에 도시된 3차원 공간내 위치 정보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포함되도록 설계하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서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에서는 서버를 기능별로 분할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601), 클라우드 서버(602), 라이센스 서버(603)를 나누어 도시하였으나,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서버로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리 서버(601), 클라우드 서버(602) 및 라이센스 서버(603) 등으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서버들이 구현하는 일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하나의 서버에서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컨텐츠 관리 서버(601)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업로드 한다(S600). 나아가,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601)는 원본 파일을 클라우드 서버(602)에 업로드 한다(S601).
또한,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601)가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 요청을 수신한 경우(S602), 클라우드 서버(602)로부터 원본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S603).
나아가,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601)는,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Root Tree)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키를 생성한다(S604). 이에 대해서는 이전 도 3에서 2가지 상세 실시예를 전술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도 당업자가 반복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컨텐츠 관리 서버(601)는 오브젝트별 DRM 키를 라이센스 서버(603)에 전송함으로써(S605), 멀티미디어 디바이스(650)가 필요한 경우 별도로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601)는 DRM이 적용된 파일을 클라우드 서버(602)에 업로드 한다(S606).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컨텐츠에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650)로부터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라이센스 서버(603)가 상기 생성된 DRM 키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650)로 전송하도록 설계하는데, 이는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650)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650)는, 클라우드 서버(602)로부터 오브젝트별로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이 적용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수신한다(S607).
나아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650)는 상기 S607 단계에서 수신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650)는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 중, S609 단계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라이센스 서버(603)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하도록 설계된다(S610).
상기 S609 단계는, 이전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오브젝트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적 위치 또는 공간적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포함된 수많은 오브젝트의 저작권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S609 단계 및 S610 단계는, 특정 오브젝트가 표시될 것으로 예정된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점이 도래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라이센스 서버(603)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하도록 설계된다.
또는, 다른 예로서, 상기 S609 단계 및 상기 S610 단계는, 특정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가상 공간에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라이센스 서버(603)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650)가 라이센스 서버(603)로부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수신한 경우(S61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650)는 해당 DRM 키로 특정 오브젝트를 디코딩(S612) 후 정상적으로 해당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AR (Augmented Reality) 또는 VR (Virtual Reality) 에 기초하여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aspect)로서, 앞서 설명한 제안 또는 발명의 동작이 "컴퓨터"(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에 의해 구현, 실시 또는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얩, Application),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product) 등으로도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확장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400: 서버
401: 컨텐츠 관리 서버
402: 클라우드 서버
403: 라이센스 서버
45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451: 네트워크 모듈
452: 디스플레이 모듈
453: 비디오 디코더
454: 컨트롤러

Claims (13)

  1.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Root Tree)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키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된 DRM 키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오브젝트는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생성된 DRM 키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키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1) 루트 트리에 대한 값 + (1단계 트리에 대한 값*1.1) + (2단계 트리에 대한 값*1.2)을 sum 하는 단계;
    2) 상기 sum 한 값을 64 비트 해쉬(HASH)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3) 상기 변환된 64 비트 해쉬값을 DRM 키로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키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1) 루트 트리에 대한 값을 64 비트 해쉬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2) 1단계 트리에 대한 값을 64 비트 해쉬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3) 2단계 트리에 대한 값을 64 비트 해쉬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4) 상기 1) 내지 3) 단계에서 변환된 64 비트 해쉬값을 모두 sum 하는 단계; 그리고
    5) 상기 4) 단계에서 sum 한 값을 DRM 키로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6.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오브젝트별로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이 적용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 중, 상기 서버에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DRM 키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디코딩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특정 오브젝트가 표시될 것으로 예정된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점이 도래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특정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가상 공간에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Root Tree)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키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AR (Augmented Reality) 또는 VR (Virtual Reality) 에 기초하여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2.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 요청을 수신한 경우,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셀에 대한 루트 트리 (Root Tree) 부터 N 단계 트리까지의 값을 이용하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키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생성된 DRM 키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암호화 하는 서버.
  13.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오브젝트별로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이 적용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상기 수신된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비디오 디코더; 그리고
    컨트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재생 중, 특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서버에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DRM 키를 요청하고,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DRM 키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디코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셀 타입의 볼류메트릭 컨텐츠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1020210084165A 2021-06-28 2021-06-28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서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102522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65A KR102522851B1 (ko) 2021-06-28 2021-06-28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서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65A KR102522851B1 (ko) 2021-06-28 2021-06-28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서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77A KR20230001377A (ko) 2023-01-04
KR102522851B1 true KR102522851B1 (ko) 2023-04-18

Family

ID=8492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165A KR102522851B1 (ko) 2021-06-28 2021-06-28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서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8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5458A1 (en) 2004-10-29 2006-05-04 Microsoft Corporation Multi-level nested open hashed data stor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290B1 (ko) * 1999-09-07 2007-02-1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관리 시스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격납 매체
KR100821083B1 (ko) * 2005-11-30 2008-04-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디지털 권한 관리를 이용한 자작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041261B1 (ko) * 2008-04-02 2011-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코덱 디알엠을 이용한 디알엠 컨텐츠 제공 시스템, 디알엠컨텐츠의 생성/재생 장치 및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80069963A (ko) * 2016-12-15 2018-06-26 주식회사 마크애니 3차원 객체모델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U2018393019A1 (en) * 2017-12-22 2020-07-23 Magic Leap, Inc. Methods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3D videos in a virtual, augmented, or mixed reality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5458A1 (en) 2004-10-29 2006-05-04 Microsoft Corporation Multi-level nested open hashed data sto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77A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730E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copying and moving of content between devices and domains based on conditional encryption of content key depending on usage state
US7461405B2 (en) Mixed-media data encoding
US8782418B2 (en) Entertainment device
US10972807B2 (en) Dynamic watermarking of digital media content at point of transmission
EP3664399B1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 system, and computer programs for digital files management and preservation in digital licenses
KR20170056613A (ko) 하드웨어로 보호되는 디지털 권한 관리를 구비한 미디어 디코딩 제어
KR100817653B1 (ko) 보안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8031062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a/v profiles
JP2003284024A (ja) セキュアコンテンツを暗号的に保護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875835B2 (ja) 3次元オブジェクトの座標点の置換による3次元オブジェクトの保護の方法及び装置
US20110283362A1 (en) data storage device and method
JP2012243319A (ja) 3次元オブジェクトのポイントの変換による3次元オブジェクトの保護法及び装置
US201401195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3d object encryption by application of a function modified using a secret key
KR20140059224A (ko) 포맷 보존 코딩을 통해 디지털 오브젝트들을 보호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EP3416077A1 (en) Dynamic content access management
US20130329808A1 (en) Streaming portions of a quilted image representation along with content control data
US20140115338A1 (en) Digital broadcast methods using secure meshes and wavelets
TW201216710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Three-dimensional video content
US10331862B2 (en) Viewport decryption
KR102522851B1 (ko) 복셀(voxel) 타입의 볼류메트릭(volumetric) 컨텐츠를 처리하는 서버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Papadopoulos et al. Sequential multiple LSB methods and real-time data hiding: variations for visual cryptography ciphers
US20200275142A1 (en) A method for delivering digital content to at least one client device
JP2021522759A (ja) Drmコンテンツパッケージング装置及びそれを含むdrmコンテンツ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及びdrmコンテンツパッケージング方法
US20110004761A1 (en) Viral file transfer
Rizvi et al. An End-to-End Video Content Encryption Module for HLS Video Strea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