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261B1 -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261B1
KR102522261B1 KR1020190151731A KR20190151731A KR102522261B1 KR 102522261 B1 KR102522261 B1 KR 102522261B1 KR 1020190151731 A KR1020190151731 A KR 1020190151731A KR 20190151731 A KR20190151731 A KR 20190151731A KR 102522261 B1 KR102522261 B1 KR 102522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store
volume
manager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053A (ko
Inventor
한유상
Original Assignee
(주)유상한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상한사람들 filed Critical (주)유상한사람들
Publication of KR2020006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입력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 및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매장 내 제공되는 안내 방송에 대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MUSIC PLAYBACK SERVICE FOR A STORE}
본 발명은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볼륨 조절 선택 정보 및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망의 보급으로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하여 음악을 다운로드받아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통해 음악을 듣는 경우가 많다. 특히 매장 내에서 점주가 개인적으로 다운로드받은 음악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 음악 저작권의 문제로 음악 재생이 자유롭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가 점주 개인의 성향이 반영되므로 고객 위주의 음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방송'이라고 하여 음악 채널에 접속하여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음악을 재생하는 서비스 방법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 방법 또한 음악 채널로 할당된 서버에 일방적으로 음악을 편성해 두고 사용자(또는 점주)가 음악 채널에 업로드 된 음악을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매장 내 고객이 원하는 음악을 골라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형태가 아니다. 또한, 종래에는 매장의 위치, 업종별 분위기와 맞지 않는 음악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매장의 홍보 및 수익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9-0097610호는 "매장용 음악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제어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입력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 및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매장 내 제공되는 안내 방송에 대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최초로 활성화되면,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선호하는 음악 장르, 매장 업종 종류, 매장이 위치한 지역, 매장 운영 시간, 연동하고자 하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 정보, 매장 내에서 음악 재생이 이루어지는 음악 재생 기기의 정보및 매장 주요 이용자의 연령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매장 관리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 및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매장 소음 정보를 토대로 현재 매장에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1 조절 모드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 매장 관리자 단말 및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매장 소음 정보를 토대로 현재 매장에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2 조절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볼륨 조절 모드 선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안내 방송 파일, 안내 방송 시간 및 안내 방송 볼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등록한 안내 방송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안내 방송 파일 저장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안내 방송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안내 방송 시간 저장부; 및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안내 방송 볼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안내 방송 볼륨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볼륨 조절 선택 정보 및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는 음악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악 재생 제어부는,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장르별, 업종별, 지역별, 매장 이용자 나이별, 날씨별 및 신곡 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테마로 하는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 생성부;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설정하는 음악 재생 스케쥴 설정부; 및 설정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토대로 연동된 음악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음악을 스트리밍하여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실행하는 음악 재생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하는 음악 볼륨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악 볼륨 제어부는,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1 조절 모드인 경우, 매장 내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하는 제1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이 기준 볼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는 제1 음악 볼륨 조절부;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2 조절 모드인 경우, 음악 재생 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하면, 매장 내 관리자 단말 및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하는 제2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 및 각각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지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조절된 조절 볼륨으로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는 제2 음악 볼륨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는 음악 재생 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하지 않으면,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음악 볼륨 조절부는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서만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가 수집되면,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이 기준 볼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고,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이 인식되어 매장 내 관리자 단말 및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되어 매장 내 음악의 볼륨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관리자 단말에 볼륨 이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제어하는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설정하는 안내 방송 스케쥴 설정부; 및 설정된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실행하는 안내 방송 재생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과 연동 설정되어 있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게 설정된 음악 재생 스케쥴 및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유하여 현 매장과 타 매장에 동일한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 관리자 단말을 마스터 단말로 설정하는 마스터 단말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매장 관리 정보에 포함된 타 매장 관리자 단말 정보를 토대로 해당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 해당 타 매장 관리자 단말을 슬레이브 단말로 설정하여 상호 연동을 수행하는 단말기 연동 수행부; 및 매장 관리자 단말에서 설정된 음악 재생 스케쥴 및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게 전송하여 공유하는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는 기 설정된 시간 또는 실시간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음악 재생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결과 현재 매장 내 음악이 비정상적으로 재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알림하는 음악 재생 오류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단계;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입력부를 통해,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에 의해,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에 의해,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매장 내 제공되는 안내 방송에 대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이전에,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최초로 활성화되면,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선호하는 음악 장르, 매장 업종 종류, 매장이 위치한 지역, 매장 운영 시간, 연동하고자 하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 정보, 매장 내에서 음악 재생이 이루어지는 음악 재생 기기의 정보 및 매장 주요 이용자의 연령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장르별, 업종별, 지역별, 매장 이용자 나이별, 날씨별 및 신곡 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테마로 하는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토대로 연동된 음악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음악을 스트리밍하여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1 조절 모드인 경우, 매장 내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이 기준 볼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는 단계;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2 조절 모드인 경우, 음악 재생 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하면, 매장 내 관리자 단말 및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각각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지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조절된 조절 볼륨으로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함으로써, 매장별로 차별화된 맞춤형 음악을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여 출입 또는 특정 위치 방문 고객의 만족도를 증가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1 조절 모드인 경우,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소음 정보만을 이용하여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하고,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2 조절 모드인 경우, 음악 재생 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이 인식되면 매장 관리자 단말 및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소음 정보를 반영하여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함으로써,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최적화할 수 있고 보다 섬세하게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조절할 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제어함으로써, 간편하게 안내 방속을 등록(녹음)하고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장 관리자 단말과 연동 설정되어 있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게 설정된 음악 재생 스케쥴 및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공유하여 현 매장과 타 매장에 동일한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업종의 매장의 경우 별도의 설정 없이 맞춤형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에 포함되는 음악 재생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에 포함되는 음악 볼륨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에 포함되는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에 포함되는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에 채용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는 과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에 채용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하는 과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에 채용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제어하는 과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은 크게 매장 관리자 단말(10), 음악 데이터 서버(20), 음악 파일 제공 서버(30), 음악 재생 기기(40) 및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100)를 포함한다.
매장 관리자 단말(10)은 매장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유한 단말이며,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활성화되는 단말이다. 이때, 매장 관리자 단말(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2 조절 모드인 경우, 내장된 음악 재생 기기 또는 마이크를 통해 매장 내 소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2 조절 모드인 경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음악 재생 기기를 인식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음악 데이터 서버(20)는 다수의 매장의 특성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는 이를 토대로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고, 음악 볼륨 조절 시 사용되는 기준 볼륨 범위 및 평균 볼륨 범위를 설정한다. 음악 데이터 서버(20)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고, 별도로 채용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음악 파일 제공 서버(30)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를 토대로 재생되는 음악과 신곡 음악에 대한 MP3 파일을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서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는 이를 토대로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고,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한다.
음악 재생 기기(40)는 매장 내 위치하여 매장 내 음악을 재생시키는 파워앰프와 스피커 등을 말한다. 음악 재생 기기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사전에 기 설정된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을 인식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100)는 원격지에 있는 음악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음악 파일을 재생시킴에 있어 버퍼링 타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파일 슬라이스(File Slice) 시스템과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DN:Contents Delivery Network)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100)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볼륨 조절 선택 정보 및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로 이하 개시되는 도면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100)는 크게 매장 관리 정보 수신부(105),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입력부(110),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120),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130) 및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매장 관리 정보 수신부(105)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최초로 활성화되면,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선호하는 음악 장르, 매장 업종 종류, 매장이 위치한 지역, 매장 운영 시간, 연동하고자 하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 정보, 매장 내에서 음악 재생이 이루어지는 음악 재생 기기의 정보 및 매장 주요 이용자의 연령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연동하고자 하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 정보에는 매장 관리자 단말이 마스터 단말인지 슬레이브 단말인지를 선택한 마스터 단말 설정 정보 또는 슬레이브 단말 설정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매장 관리자 단말이 마스터 단말 설정 정보로 선택된 경우 매장 관리자 단말은 매장 관리자 단말에서 설정된 음악 재생 스케쥴 및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타 매장 관리자 단말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입력부(110)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120)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120)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 및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매장 소음 정보를 토대로 현재 매장에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1 조절 모드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 매장 관리자 단말 및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매장 소음 정보를 토대로 현재 매장에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2 조절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볼륨 조절 모드 선택 정보를 제공한다.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130)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매장 내 제공되는 안내 방송에 대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130)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안내 방송 파일, 안내 방송 시간 및 안내 방송 볼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130)는 안내 방송 파일 저장부(131), 안내 방송 시간 저장부(132) 및 안내 방송 볼륨 저장부(133)를 포함한다.
안내 방송 파일 저장부(131)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등록한 안내 방송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안내 방송 시간 저장부(132)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안내 방송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안내 방송 볼륨 저장부(133)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안내 방송 볼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140)는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볼륨 조절 선택 정보 및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140)는 음악 재생 제어부(150), 음악 볼륨 제어부(160),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170),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180) 및 음악 재생 오류 알림부(190)를 포함한다.
음악 재생 제어부(150)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한다. 음악 재생 제어부(150)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이후 설명되는 도 3에서 자세하게 하기로 한다.
음악 볼륨 제어부(160)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한다. 음악 볼륨 제어부(160)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이후 설명되는 도 4에서 자세하게 하기로 한다.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170)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제어한다.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170)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이후 설명되는 도 5에서 자세하게 하기로 한다.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180)는 매장 관리자 단말과 연동 설정되어 있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게 설정된 음악 재생 스케쥴 및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유하여 현 매장과 타 매장에 동일한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180)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이후 설명되는 도 6에서 자세하게 하기로 한다.
음악 재생 오류 알림부(190)는 기 설정된 시간 또는 실시간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음악 재생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결과 현재 매장 내 음악이 비정상적으로 재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팝업 메시지 형태로 알림한다. 즉, 음악 재생 오류 알림부(190)는 음악 재생 여부, 음악 재생 속도 및 버퍼링 발생 여부 등을 포함하는 음악 재생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음악 재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이 안되고 있거나 음악 재생 속도가 느리거나 빠른 경우 및 버퍼링이 발생된 경우 중 어느 하나라도 인식된 경우 현재 매장 내 음악이 비정상적으로 재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에 포함되는 음악 재생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 제어부(150)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음악 재생 제어부(150)는 음악 재생 리스트 생성부(151), 음악 재생 스케쥴 설정부(152) 및 음악 재생 실행부(153)를 포함한다.
음악 재생 리스트 생성부(151)는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장르별, 업종별, 지역별, 매장 이용자 나이별, 날씨별 및 신곡 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테마로 하는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
음악 재생 리스트 생성부(151)는 매장 관리 정보 중 선호하는 음악 장르, 매장 업종 종류, 매장이 위치한 지역, 매장 운영 시간 및 매장 주요 이용자의 연령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한다.
음악 재생 리스트 생성부(151)는 음악 데이터 서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음악 장르별, 업종별, 지역별, 매장 이용자 나이별, 날씨별 및 신곡 선호를 테마로 하는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 즉, 테마별로 미리 음악 재생 리스트를 라이브러리화하고, 이를 각 채널에 링크시킨다.
음악 재생 스케쥴 설정부(152)는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설정한다.
즉, 음악 재생 스케쥴 설정부(152)는 매장 관리자의 음악 장르, 매장 업종 종류, 매장이 위치한 지역, 매장 운영 시간 및 매장 주요 이용자의 연령대, 매장 이용자 나이별, 날씨별 및 신곡 선호 등을 토대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설정한다.
음악 재생 실행부(153)는 설정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토대로 연동된 음악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음악을 스트리밍하여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실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에 포함되는 음악 볼륨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볼륨 제어부(160)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음악 볼륨 제어부(160)는 161 제1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161),제1 음악 볼륨 조절부(162), 제2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163) 및 제2 음악 볼륨 조절부(164)를 포함한다.
제1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161)는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1 조절 모드인 경우, 매장 내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한다.
제1 음악 볼륨 조절부(162)는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이 기준 볼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한다.
제2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163)는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2 조절 모드인 경우, 음악 재생 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하면, 매장 내 관리자 단말 및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한다.
제2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163)는 음악 재생 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하지 않으면,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한다.
제2 음악 볼륨 조절부(164)는 각각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지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조절된 조절 볼륨으로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한다. 제2 음악 볼륨 조절부(164)는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지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현재와 동일 시간에 조절된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의 평균인 조절 볼륨으로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한다.
제2 음악 볼륨 조절부(164)는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서만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가 수집되면,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이 기준 볼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고,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이 인식되어 매장 내 관리자 단말 및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되어 매장 내 음악의 볼륨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관리자 단말에 볼륨 이상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볼륨 이상 메시지는 매장 내 관리자 단말에 해당 음악 재생 기기의 근처에 접근하여 매장 소음 정보를 재 수집하도록 요청한다.
여기서,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기 설정된 볼륨 이상 메시지가 수신한 후, 해당 음악 재생 기기의 근처에 접근하여 매장 내 관리자 단말 및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소음 정보를 재 수집한 결과, 매장 내 음악의 볼륨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해당 음악 재생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매장 내 관리자 단말에 음악 재생 기기 이상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에 포함되는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170)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170)는 안내 방송 스케쥴 설정부(171) 및 안내 방송 재생 실행부(172)를 포함한다.
안내 방송 스케쥴 설정부(171)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설정한다. 즉, 안내 방송 스케쥴 설정부(171)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에 포함된 안내 방송 시간 정보와 안내 방송 볼륨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설정한다.
안내 방송 재생 실행부(172)는 설정된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실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에 포함되는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180)는 매장 관리자 단말과 연동 설정되어 있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게 설정된 음악 재생 스케쥴 및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유하여 현 매장과 타 매장에 동일한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180)는 단말기 연동 수행부(181) 및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전송부(182)를 포함한다.
단말기 연동 수행부(181)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 관리자 단말을 마스터 단말로 설정하는 마스터 단말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매장 관리 정보에 포함된 타 매장 관리자 단말 정보를 토대로 해당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 해당 타 매장 관리자 단말을 슬레이브 단말로 설정하여 상호 연동을 수행한다. 이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최초로 활성화되면 1회 수행되고, 추후 현재 매장 관리자 단말 또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의 변동 사항이 생기면 필요시 수행된다.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전송부(182)는 매장 관리자 단말에서 설정된 음악 재생 스케쥴 및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게 전송하여 공유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다(S100).
다음,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최초로 활성화되면,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선호하는 음악 장르, 매장 업종 종류, 매장이 위치한 지역, 매장 운영 시간, 연동하고자 하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 정보, 매장 내에서 음악 재생이 이루어지는 음악 재생 기기의 정보및 매장 주요 이용자의 연령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110).
다음,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S120)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S130).
다음,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S140).
S140 단계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 및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매장 소음 정보를 토대로 현재 매장에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1 조절 모드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 매장 관리자 단말 및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매장 소음 정보를 토대로 현재 매장에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2 조절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볼륨 조절 모드 선택 정보를 제공한다.
다음,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매장 내 제공되는 안내 방송에 대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S150).
S150 단계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안내 방송 파일, 안내 방송 시간 및 안내 방송 볼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볼륨 조절 선택 정보 및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한다(S160)
S160 단계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에 채용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는 과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는 과정은 먼저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장르별, 업종별, 지역별, 매장 이용자 나이별, 날씨별 및 신곡 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테마로 하는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S200).
S200 단계는 매장 관리 정보 중 선호하는 음악 장르, 매장 업종 종류, 매장이 위치한 지역, 매장 운영 시간 및 매장 주요 이용자의 연령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음악 데이터 서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음악 장르별, 업종별, 지역별, 매장 이용자 나이별, 날씨별 및 신곡 선호를 테마로 하는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
다음,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설정한다(S210).
S210 단계는 매장 관리자의 음악 장르, 매장 업종 종류, 매장이 위치한 지역, 매장 운영 시간 및 매장 주요 이용자의 연령대, 매장 이용자 나이별, 날씨별 및 신곡 선호 등을 토대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설정한다.
다음, 설정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토대로 연동된 음악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음악을 스트리밍하여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실행한다(S22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에 채용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하는 과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1 조절 모드인지 확인한다(S300).
S300 단계에서,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1 조절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매장 내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한다(S310).
그리고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이 기준 볼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한다(S320).
한편, S300 단계에서,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2 조절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음악 재생 기기가 위치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330).
S330 단계에서, 음악 재생 기기가 위치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매장 내 관리자 단말 및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한다(S340).
다음, 각각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비교한다(S350).
다음,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지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조절된 조절 볼륨으로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한다(S360),
한편, S330 단계에서, 음악 재생 기기가 위치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한다(S370).
다음,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이 기준 볼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한다(S38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에 채용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제어하는 과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제어하는 과정은 먼저 안내 방송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설정한다(S300).
S300 단계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에 포함된 안내 방송 시간 정보와 안내 방송 볼륨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설정한다.
다음, 설정된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실행한다(S310).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수신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105 : 매장 관리 정보 수신부
110 :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입력부
120 :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
130 :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
140 :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

Claims (15)

  1.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입력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매장 내 제공되는 안내 방송에 대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 및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볼륨 조절 선택 정보 및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볼륨 조절을 제어하는 음악 볼륨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악 볼륨 제어부는,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1 조절 모드인 경우, 매장 내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하는 제1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이 기준 볼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는 제1 음악 볼륨 조절부;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2 조절 모드인 경우, 음악 재생 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하면, 매장 내 관리자 단말 및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하는 제2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 및
    각각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지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조절된 조절 볼륨으로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는 제2 음악 볼륨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최초로 활성화되면,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선호하는 음악 장르, 매장 업종 종류, 매장이 위치한 지역, 매장 운영 시간, 연동하고자 하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 정보, 매장 내에서 음악 재생이 이루어지는 음악 재생 기기의 정보및 매장 주요 이용자의 연령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매장 관리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 및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매장 소음 정보를 토대로 현재 매장에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1 조절 모드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 매장 관리자 단말 및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매장 소음 정보를 토대로 현재 매장에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2 조절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볼륨 조절 모드 선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안내 방송 파일, 안내 방송 시간 및 안내 방송 볼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등록한 안내 방송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안내 방송 파일 저장부;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안내 방송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안내 방송 시간 저장부; 및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안내 방송 볼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안내 방송 볼륨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는 음악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악 재생 제어부는,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장르별, 업종별, 지역별, 매장 이용자 나이별, 날씨별 및 신곡 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테마로 하는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 생성부;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설정하는 음악 재생 스케쥴 설정부; 및
    설정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토대로 연동된 음악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음악을 스트리밍하여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실행하는 음악 재생 실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장 소음 정보 수집부는 음악 재생 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하지 않으면,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악 볼륨 조절부는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서만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가 수집되면,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이 기준 볼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고,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이 인식되어 매장 내 관리자 단말 및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되어 매장 내 음악의 볼륨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관리자 단말에 볼륨 이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한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제어하는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방송 재생 제어부는,
    안내 방송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설정하는 안내 방송 스케쥴 설정부; 및
    설정된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을 토대로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내 안내 방송의 재생을 실행하는 안내 방송 재생 실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과 연동 설정되어 있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게 설정된 음악 재생 스케쥴 및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유하여 현 매장과 타 매장에 동일한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공유부는,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 관리자 단말을 마스터 단말로 설정하는 마스터 단말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매장 관리 정보에 포함된 타 매장 관리자 단말 정보를 토대로 해당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 해당 타 매장 관리자 단말을 슬레이브 단말로 설정하여 상호 연동을 수행하는 단말기 연동 수행부; 및
    매장 관리자 단말에서 설정된 음악 재생 스케쥴 및 안내 방송 재생 스케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 매장 관리자 단말에게 전송하여 공유하는 음악 및 안내 방송 스케쥴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12.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단계;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입력부를 통해,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음악 볼륨 조절 선택 정보 입력부에 의해,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입력부에 의해,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입력한 매장 내 제공되는 안내 방송에 대한 안내 방송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부에 의해,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볼륨 조절 선택 정보 및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입력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 볼륨 조절 선택 정보 및 안내 방송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1 조절 모드인 경우, 매장 내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이 기준 볼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는 단계;
    수신된 볼륨 조절 선택 정보가 제2 조절 모드인 경우, 음악 재생 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매장 내 관리자 단말이 접근하면, 매장 내 관리자 단말 및 해당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각각 실시간으로 현재 음악 볼륨 및 현재 매장 소음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소음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각각 수집된 매장 소음 정보와 매장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파악된 현재 매장에서 재생되고 있는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지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조절된 조절 볼륨으로 매장 내 음악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이전에,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최초로 활성화되면,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선호하는 음악 장르, 매장 업종 종류, 매장이 위치한 지역, 매장 운영 시간, 연동하고자 하는 타 매장 관리자 단말 정보, 매장 내에서 음악 재생이 이루어지는 음악 재생 기기의 정보및 매장 주요 이용자의 연령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기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테마별로 기 생성된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에 대한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리스트를 매장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장 관리자 단말을 통해 매장 관리자가 제공된 음악 재생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수신되어 저장된 매장 관리 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음악 재생 리스트 및 음악 장르별, 업종별, 지역별, 매장 이용자 나이별, 날씨별 및 신곡 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테마로 하는 다수개의 음악 재생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음악 재생 리스트 선택 정보를 토대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매장 내 음악 재생 스케쥴을 토대로 연동된 음악 파일 제공 서버로부터 음악을 스트리밍하여 음악 재생 기기를 통해 매장 내 음악의 재생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방법.
  15. 삭제
KR1020190151731A 2018-11-26 2019-11-22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2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7758 2018-11-26
KR1020180147758 2018-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053A KR20200062053A (ko) 2020-06-03
KR102522261B1 true KR102522261B1 (ko) 2023-04-18

Family

ID=7108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731A KR102522261B1 (ko) 2018-11-26 2019-11-22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770B1 (ko) * 2021-09-02 2022-04-19 주식회사 유니캐스트 환경변수를 이용한 음악 자동 재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43151B1 (ko) * 2022-12-06 2024-03-04 주식회사 샵캐스트 음악 종류를 이용한 음악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092B1 (ko) * 2005-09-02 2007-01-10 블루코드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301B1 (ko) * 2000-10-12 2003-11-01 주식회사 윤텔 인터넷 음악 / 광고 장치 및 방법
KR101511422B1 (ko) * 2013-04-16 2015-04-20 주식회사 샵캐스트 감성 음악 제공을 위한 매장 관리 시스템
KR20180065218A (ko) * 2016-12-07 2018-06-18 미래엔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매장 맞춤형 음악 채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092B1 (ko) * 2005-09-02 2007-01-10 블루코드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053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1101B1 (en) Real time popularity based audible content acquisition
US93782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nd presenting a consumption profile for a media item
US7349663B1 (en) Internet radio station and disc jockey system
US10452250B2 (en) Method for associating media files with additional content
US9686586B2 (en) Interstitial audio control
US9154535B1 (en)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customizable content
US105800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user preferences to dynamically identify remotely located media for local access
US20110199180A1 (en) Consumer interactive music system
KR102522261B1 (ko) 매장용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162997A1 (en) Methods for streaming radio content
US20160066035A1 (en) Profile Generator
US20150163263A1 (en)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on between an internet or broadcast automation system and a system or platform for gathering web-based audience interaction with programming including secure weighted open selection iterative monitoring
KR20210017730A (ko) Tts 기능을 구비하는 매장 맞춤형 음악 제공 방법 및 서버
AU2018330796A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customized execution of a media file
US20240144977A1 (en) Architecture for personalized media segmentation
KR20080083075A (ko) 라디오 방송 중 음악파일의 실시간 다운로드 시스템 및 그방법
JP202106078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7087437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