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107B1 -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107B1
KR102522107B1 KR1020190173654A KR20190173654A KR102522107B1 KR 102522107 B1 KR102522107 B1 KR 102522107B1 KR 1020190173654 A KR1020190173654 A KR 1020190173654A KR 20190173654 A KR20190173654 A KR 20190173654A KR 102522107 B1 KR102522107 B1 KR 102522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ielectric
substrate
stoppe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557A (ko
Inventor
곽창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107B1/ko
Priority to US17/126,371 priority patent/US11742560B2/en
Publication of KR2021008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01P5/20Magic-T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1Manufacturing waveguides or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3Manufacturing lines with conductors on a substrate, e.g. strip lines, slot lines

Abstract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T자형 접합부는, 전력을 분배 또는 결합하는 전력 분배/결합기와, 상기 전력 분배/결합기의 하부 평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을 배치하기 위한 유전체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T-JUNCTION WITH HIGH ISOLA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신 배열 안테나는 전력 분배기(power divider), 수신 배열 안테나는 전력 결합기(power combiner)를 필요로 한다. 전력 분배기와 전력 결합기는 형태적으로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각 포트의 반사손실(return loss)이나 각 포트 사이의 격리도(isolation) 요구조건이 다를 뿐, 전파의 방향만 서로 반대 방향을 가지는 특성을 지닌다. 수신용 능동형 위상배열안테나(active phased array antenna)의 경우 각 요소 안테나(antenna element)의 다음에 위상과 전력의 크기를 제어하는 빔형성모듈이 결합되고 그 다음에 전력 결합기가 결합된다. 빔형성모듈에서 나온 신호가 전력 결합기로 입력되는데 반사손실도 적어야 하지만 그 입력된 신호가 주변의 빔형성모듈로 다시 입력되지 않아야 한다. 즉, 전력 결합기의 각 입력 포트 사이의 격리도가 좋아야 한다.
실시예들은 전력 결합기/분배기를 구성하는 T자형 접합부에 관한 것으로서, 저항체가 형성된 유전체 기판을 전력 결합기/분배기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하여 모든 포트의 반사손실은 유지하면서 개별 포트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T자형 접합부는, 전력을 분배 또는 결합하는 전력 분배/결합기와, 상기 전력 분배/결합기의 하부 평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을 배치하기 위한 유전체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유전체 기판은, 기판의 일부에 형성된 저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홀더는, 제1 유전체 홀더 및 제2 유전체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전체 홀더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하고, 길이 방향을 가지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전체 홀더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연결되는 절곡 부위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기판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전체 홀더는, 상기 제1 바디의 타측에서 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에서 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체 홀더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체 홀더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연결되는 절곡부위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기판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체 홀더는, 상기 제1 바디의 타측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 삽입부와,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분배/결합기는, 상부 면에 위치하는 홀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홀더는 상기 홀더 삽입부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홀더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되고, 길이 방향을 가지는 제1 수 홀더 바디 및 상기 제1 수 홀더 바디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 홀더 바디를 포함하는 기판 수 홀더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되고, 길이 방향을 제1 암 홀더 바디 및 상기 제1 암 홀더 바디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암 홀더 바디를 포함하는 기판 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수 홀더 및 암 홀더는 일면이 서로 접촉되되, 사이에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 수 홀더는, 상기 제1 수 홀더 바디 및 제2 수 홀더 바디가 연결되는 절곡부위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 기판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암 홀더는, 상기 수 기판 안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암 홀더 바디 및 제2 암 홀더 바디가 연결되는 절곡부위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암 기판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기판 안착부 및 암 기판 안착부는 서로 연통되어, 기판 삽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수 홀더는, 상기 제1 수 홀더 바디의 타측에서 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수 홀더 바디의 일측에서 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암 홀더는, 상기 제1 암 홀더 바디의 타측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 삽입부와, 상기 제2 암 홀더 바디의 일측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는 각각 상기 제1 스토퍼 삽입부 및 제2 스토퍼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은 전력 결합/분배기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T자형 접합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의 삽입손실, 반사손실 및 격리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를 통해 구현한 바이너리 전력 결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종래의 격리도가 향상된 T자형 접합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T자형 접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의 격리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유전체 홀더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유전체 홀더 및 결합기의 조립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7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의 조립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를 통해 구현한 전력 결합/분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실시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전력 결합기/분배기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T자형 접합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의 삽입손실, 반사손실 및 격리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T자형 접합부(T-junction; 100)는 전력 분배기(power divider) 또는 전력 결합기(power combiner)를 구성할 수 있다.
T자형 접합부(100)는 세 개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자형 접합부(100)는 제1 포트(Port 1), 제2 포트(Port 2), 및 제3 포트(Port 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결합기를 구성하는 T자형 접합부(100)의 경우, T형 접합부(100)는 두 포트에서 입력된 신호를 결합되어 하나의 공통 포트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포트(Port 2) 및 제3 포트(Port3)에 입력된 신호는 결합되어 제1 포트(Port 1)로 출력될 수 있다.
전력 분배기를 구성하는 T자형 접합부(100)의 경우, T형 접합부(100)는 하나의 포트에 입력된 신호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두 포트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트(Port 1)로 신호가 입력되면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180도 차이 나는 신호가 제2 포트(Port 2) 및 제3 포트(Port 3)로 출력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T자형 접합부(100)의 제1 포트(Port 1)로 입력된 신호의 1/2(-3 dB)이 제2 포트(Port 2)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므로, 제2 포트(Port 2)와 제3 포트(Port 3)로 동일하게 입력된 신호의 합이 제1 포트(Port 1)로 출력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T자형 접합부(100)의 제2 포트(Port 2)로 입력된 신호의 1/4(-6 dB)이 반사되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포트(Port 2)로 입력된 신호의 나머지 1/4(-6 dB)은 제3 포트(Port 3)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T자형 접합부(100)의 제2 포트(Port 2) 및 제3 포트(Port 3)의 격리도가 -6 dB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를 통해 구현한 바이너리 전력 결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T자형 접합부(100)를 한 개 사용하면 2-웨이(2-way) 결합기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T자형 접합부(100)를 세 개 사용하면 4-웨이 결합기를 설계할 수 있다. 즉, T자형 접합부(100)를 2N-1개 사용하면 2N-웨이 결합기를 설계할 수 있다.
도 3은 T자형 접합부(100)를 일곱 개 사용한 8-웨이 바이너리(8-way binary) 결합기를 나타낸다. 바이너리 결합기가 2N개의 입력 포트를 가지려면 2N-1개의 T자형 접합부(100)를 사용해야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종래의 격리도가 향상된 T자형 접합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결합기/분배기의 경우, 제2 포트(Port 2)와 제3 포트(Port 3) 또는 제4 포트(Port 4)와 제5 포트(Port 5) 등 사이의 격리도는 -6 dB일 수 있는데, 결합기/분배기는 일반적으로 -20 dB 이하의 격리도를 가져야 한다.
격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의 T자형 접합부(200)는 교차점에 마이크로스트립 선로(microstrip line)를 삽입하고,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 정합된 로드(load)를 연결하여 제2 포트(Port 2) 및 제3 포트(Port 3) 사이의 격리도를 -20 dB 이하로 구현할 수 있다.
T자형 접합부(200)는 도파관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이 되는 부분을 분리하여 두 파트로 제작될 수 있다. T자형 접합부(200)의 한 파트에는 교차점에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로드가 조립되어 있는 유전체 기판이 은이 포함된 에폭시(silver-loaded epoxy)로 고정될 수 있다. T자형 접합부(200)는 해당 파트와 나머지 파트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T자형 접합부(200)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제작 오차 또는 공차로 인해 유전체 기판을 교체해야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에폭시로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T자형 접합부(200)는 본딩 와이어(bonding wire)를 사용하여 로드와 연결해야 하는데 이는 부품마다, 또는 작업자마다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서 일관적인 성능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T자형 접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의 격리도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T자형 접합부(300)는 전력 결합기 또는 전력 분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있어 저항체(600)가 형성된 유전체 기판(500)을 전력 결합기 또는 전력 분배기의 하부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하여 두 입력 포트 또는 출력 포트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T자형 접합부(300) 전력 결합기의 경우 두 입력 포트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력 분배기의 경우 두 출력 포트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자형 접합부(300)는 전력 결합기/분배기(400), 유전체 기판(500) 및, 저항체(600-1 및 600-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결합기/분배기(400)는 이용 방식에 따라 전력 결합기 또는 전력 분배기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력 결합기/분배기(400)를 결합기(400)로 통칭하기로 한다.
결합기(400)는 도파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항체(600-1 및 600-2)는 얇은 필름 저항(thin film resistor; 600-1 및 600-2)일 수 있다. 얇은 필름 저항(600-1 및 600-2)은 유전체 기판(5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기판(500)은 결합기(400)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 저항(600-1 및 600-2)이 형성된 유전체 기판(500)은 결합기(400)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되어 T자형 접합부(300)의 포트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T자형 접합부(300)는 얇은 필름 저항(600-1 및 600-2)를 포함하는 유전체 기판(500)을 교차점에 삽입하여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T자형 접합부(300)는 유전체 기판(500)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오차나 설계 오차에 의해 요구되는 튜닝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T자형 접합부(300)를 중심주파수가 30 GHz이고 대역폭이 2 GHz인 주파수 대역에서 구현한 일 예로써, 각각 T자형 접합부(300)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 반사 손실(return loss), 및 격리도(isolation)을 나타낸다.
도 6a는 T자형 접합부(300)의 제1 포트(Port 1)로 입력된 신호의 삽입손실(S12, S13)을 나타낸다. 도 2a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T자형 접합부(100)는 3 dB의 삽입손실을 보이는 반면, T자형 접합부(300)는 3.25 dB의 삽입손실을 보인다. 0.25 dB의 차이는 얇은 필름 저항(600-1 및 600-2)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도 6b는 제1 포트(Port 1) 및 제2 포트(Port 2)에서 반사 손실이 21 dB 이상임을 나타낸다. 도 6b는 제2 포트(Port 2) 및 제3 포트(Port 3) 사이의 격리도가 21 dB 이상임을 나타낸다. T자형 접합부(300)는 유전체 기판(500) 및 얇은 필름 저항(600-1 및 600-2)을 통해 격리도가 6 dB인 일반적인 T자형 접합부(100)에 비해 격리도를 15 dB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자형 접합부(300)는 결합기(400), 유전체 기판(500), 유전체 홀더(800), 유전체 홀더 조립용 볼트(711-1 및 711-2) 및 결합기 조립용 볼트(710-1 내지 710-6)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기(400)는 결합기 상부(410) 및 결합기 하부(43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500)은 양 면에 저항체(600-1 및 600-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홀더(800)는 유전체 기판(500)을 고정시켜 결합기(400)의 평면에 수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유전체 홀더(800)는 제1 유전체 홀더(810), 제2 유전체 홀더(8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전체 홀더(810) 및 제2 유전체 홀더(830)는 유전체 기판(500)의 양 면에 접촉하여 유전체 기판(5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유전체 홀더(810) 및 제2 유전체 홀더(830)은 유전체 홀더 조립용 볼트(711-1 및 711-2)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도 7에는 두 개의 유전체 홀더 조립용 볼트(711-1 및 711-2)를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전체 홀더(800)을 조립하기에 적절한 개수의 유전체 홀더 조립용 볼트가 이용될 수 있다.
결합기 조립용 볼트(710-1 내지 710-6)는 유전체 홀더(800), 결합기 상부(410), 및 결합기 하부(4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여섯 개의 결합기 조립용 볼트(710-1 내지 710-6)를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전체 홀더(800), 결합기 상부(410), 및 결합기 하부(430)을 조립하기에 적절한 개수의 결합기 조립용 볼트가 이용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유전체 홀더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유전체 기판(500)은 제1 유전체 홀더(810) 및 제2 유전체 홀더(8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유전체 홀더(810) 및 제2 유전체 홀더(830)이 결합되어 유전체 기판(500)을 고정한 유전체 홀더(800)는 결합기 상부(4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유전체 홀더(810)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되는 제1 바디 및 제1 바디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는 길이 방향을 가지고 플레이트 하측에 수평으로 접촉할 수 있고, 제2 바디는 플레이트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전체 홀더(810)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연결되는 절곡 부위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기판 안착부(815)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500)는 기판 안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유전체 홀더(810)는 제1 바디의 타측에서 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로 스토퍼(811)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에서 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세로 스토퍼(8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 스토퍼(811) 및 세로 스토퍼(813)은 각각 유전체 기판(500)을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유전체 홀더(830)는 제1 유전체 홀더(810)와 결합하여 유전체 기판(5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유전체 홀더(830)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제1 바디 및 제1 바디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전체 홀더(830)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연결되는 절곡 부위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기판 안착부(835)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500)는 기판 안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유전체 홀더(830)는 제1 바디의 타측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가로 스토퍼 삽입부(831)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세로 스토퍼 삽입부(8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전체 홀더(810) 및 제2 유전체 홀더(830)가 결합할 때 가로 스토퍼(811) 및 세로 스토퍼(813)는 각각 가로 스토퍼 삽입부(831) 및 세로 스토퍼 삽입부(83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유전체 홀더(810) 및 제2 유전체 홀더(830)는 유전체 홀더 조립용 볼트(711-1 및 71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유전체 홀더 및 결합기의 조립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는 도 7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전체 홀더(800)는 결합기 상부(410)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홀더(800)의 플레이트를 제외한 부분이 결합기 상부(410)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유전체 홀더(800)는 결합기 상부(410)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 유전체 홀더(810)의 플레이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유전체 홀더(800)에 의해 고정된 유전체 기판(500)은 결합기(400)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 저항(600-1 및 600-2)이 형성된 유전체 기판(500)은 결합기(400)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되어 T자형 접합부(300)의 포트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자형 접합부(300)의 교차점에 저항 성분의 요소를 삽입하여 포트들 사이의 격리도가 20 dB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홀더(800)를 이용하여 유전체 기판(500)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T자형 접합부(300)의 제작 오차나 설계 오차에 의해 요구되는 튜닝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T자형 접합부(300)는 저항체(600)가 구현된 유전체 기판(500)을 별도의 모듈(예를 들어 유전체 홀더(800))로 설계하여 결합기(400)에 조립하기 용이하므로 저항체의 교체가 수월할 수 있다. 또한 조립 후 저항체(600)의 크기나 저항 값에 오류가 발견되었을 경우 이를 쉽게 수정할 수 있다.
T자형 접합부(300)는 저항체(600)가 구현된 유전체 기판(500)을 결합기(400)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하기 때문에 결합기(400)를 구성하는 도파관들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구현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T자형 접합부를 통해 구현한 전력 결합/분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도파관의 다른 부분과 너무 가까워서 평면으로 유전체 기판(500)을 삽입할 경우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유전체 기판(500)을 수직으로 삽입하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전력을 분배 또는 결합하는 전력 분배/결합기;
    상기 전력 분배/결합기의 하부 평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유전체 기판; 및
    상기 유전체 기판의 배치 및 용이한 교체를 위해 상기 전력 분배/결합기와는 별도로 구성된 유전체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기판은,
    기판의 양면에 형성된 저항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홀더는
    상기 유전체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접촉되는 제1 유전체 홀더 및 제2 유전체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분배/결합기는,
    상기 전력 분배/결합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전체 홀더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홀더 삽입부
    를 포함하는, T자형 접합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 홀더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하고, 길이 방향을 가지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바디
    를 포함하는 T자형 접합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 홀더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연결되는 절곡 부위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는 T자형 접합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 홀더는,
    상기 제1 바디의 타측에서 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에서 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
    를 포함하는 T자형 접합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 홀더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바디
    를 포함하는 T자형 접합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 홀더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연결되는 절곡부위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는 T자형 접합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 홀더는,
    상기 제1 바디의 타측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 삽입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 삽입부
    를 포함하는 T자형 접합부.
  10. 삭제
  11. 유전체 기판의 배치 및 용이한 교체를 위해 전력 분배/결합기와는 별도로 구성된 유전체 홀더에 있어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되고, 길이 방향을 가지는 제1 수 홀더 바디 및 상기 제1 수 홀더 바디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수 홀더 바디를 포함하는 기판 수 홀더;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되고, 길이 방향을 제1 암 홀더 바디 및 상기 제1 암 홀더 바디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암 홀더 바디를 포함하는 기판 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수 홀더 및 암 홀더는 일면이 서로 접촉되되, 사이에 상기 유전체 기판이 삽입되는 기판 삽입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 기판은,
    상기 유전체 기판 및 유전체 홀더를 포함하는 전력 분배/결합기의 하부 평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고,
    기판의 양면에 형성된 저항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분배/결합기는,
    상기 유전체 홀더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홀더 삽입부를 상기 전력 분배/결합기의 상부에 위치시킨 것인,
    유전체 홀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수 홀더는,
    상기 제1 수 홀더 바디 및 상기 제2 수 홀더 바디가 연결되는 절곡부위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 기판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암 홀더는,
    상기 수 기판 안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암 홀더 바디 및 상기 제2 암 홀더 바디가 연결되는 절곡부위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암 기판 안착부
    를 더 포함하는 유전체 홀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암 기판 안착부는 서로 연통되어, 기판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유전체 홀더.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수 홀더는,
    상기 제1 수 홀더 바디의 타측에서 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수 홀더 바디의 일측에서 일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암 홀더는,
    상기 제1 암 홀더 바디의 타측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 삽입부; 및
    상기 제2 암 홀더 바디의 일측에서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 삽입부
    를 포함하는 유전체 홀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는 각각 상기 제1 스토퍼 삽입부 및 제2 스토퍼 삽입부에 삽입되는 유전체 홀더.
KR1020190173654A 2019-12-24 2019-12-24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522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654A KR102522107B1 (ko) 2019-12-24 2019-12-24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
US17/126,371 US11742560B2 (en) 2019-12-24 2020-12-18 T-junction with high isol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654A KR102522107B1 (ko) 2019-12-24 2019-12-24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557A KR20210081557A (ko) 2021-07-02
KR102522107B1 true KR102522107B1 (ko) 2023-04-17

Family

ID=7643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654A KR102522107B1 (ko) 2019-12-24 2019-12-24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42560B2 (ko)
KR (1) KR1025221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90B1 (ko) 2016-01-27 2016-06-20 (주)엑소더스커뮤니케이션스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KR101698125B1 (ko) 2015-10-22 2017-01-19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 이득 향상을 위한 다이폴 안테나 및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634B1 (ko) 2004-08-03 2006-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도성 아이리스를 갖는 전계면 결합망 구조의 도파관다이플렉서
KR101070009B1 (ko) 2009-09-10 2011-10-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격리도를 향상시킨 1:2 초광대역 전력 분배기/결합기
KR20160134381A (ko) * 2015-05-15 2016-11-23 공성호 분배성능 향상용 전력분배기
US10243324B2 (en) * 2016-10-17 2019-03-26 Trilumina Corp. Matching drive device for multi-beam optoelectronic arrays
KR101942570B1 (ko) * 2016-11-18 2019-03-04 주식회사 에버플러스 Rf전력분배기
KR102377589B1 (ko) 2018-04-02 2022-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범위 주파수-스캔 방식의 선형 슬롯 배열 안테나 장치
CN111697304A (zh) * 2020-06-18 2020-09-22 广州程星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托盘式空间功率合成器
CN113161709B (zh) * 2021-03-30 2022-05-17 西南电子技术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宽带毫米波混合波导魔t功分器/合成器
CN114361753A (zh) * 2021-12-15 2022-04-15 盛纬伦(深圳)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太赫兹通信的波导功分器
CN114256585B (zh) * 2021-12-24 2023-01-17 电子科技大学 一种毫米波宽带波导魔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125B1 (ko) 2015-10-22 2017-01-19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 이득 향상을 위한 다이폴 안테나 및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KR101631690B1 (ko) 2016-01-27 2016-06-20 (주)엑소더스커뮤니케이션스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94107A1 (en) 2021-06-24
US11742560B2 (en) 2023-08-29
KR20210081557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7744B2 (en) Multi-line phase shifter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bile plate in slideable engagement to provide vertical beam-tilt
US10249922B2 (en) Partial dielectric loaded septum polarizer
US11095009B2 (en) Partial dielectric loaded septum polarizer
CA3115092C (en) Radio-frequency component comprising several waveguide devices with ridges
US110570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 communication with scalable, modular network nodes
KR20090039103A (ko) Mimo 안테나 장치
US8766851B2 (en) Butler matrix and multi-port amplifier having the same
US11705614B2 (en) Coupling device and antenna
US4088970A (en) Phase shifter and polarization switch
US10673118B2 (en) Power divider for an antenna comprising four identical orthomode transducers
US5190462A (en) Multilead microwave connector
KR102522107B1 (ko)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
CN111585050B (zh) 一种宽频带平板阵列天线
US20030227420A1 (en) Integrated aperture and calibration feed for adaptive beamforming systems
US10581136B2 (en) Three-way power divider and multibeam forming circuit
KR200231576Y1 (ko) 다중 결합기
US6842631B1 (en) Reduced-layer isolated planar beamformer
JP6022129B1 (ja) 給電回路および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