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690B1 -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 Google Patents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690B1
KR101631690B1 KR1020160009891A KR20160009891A KR101631690B1 KR 101631690 B1 KR101631690 B1 KR 101631690B1 KR 1020160009891 A KR1020160009891 A KR 1020160009891A KR 20160009891 A KR20160009891 A KR 20160009891A KR 101631690 B1 KR101631690 B1 KR 10163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er
output
dielectric layer
pow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장익수
Original Assignee
(주)엑소더스커뮤니케이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소더스커뮤니케이션스 filed Critical (주)엑소더스커뮤니케이션스
Priority to KR102016000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1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for coupling balanced lines or devices with unbalanced lines or devices
    • H01P5/1007Microstrip transitions to Slotline or fin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Landscapes

  • Microwave Amplifi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력 분배기/결합기는,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된 입력 포트;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며 각 출력단은 상기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1 및 제2 출력 포트;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포트의 출력단들을 연결하는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되, 상기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기 유전체층의 제2 면에 형성된 접지층; 슬롯(slot)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뒷면에 형성된 슬롯 라인; 일단은 상기 제2 마이크로스크립 선로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접지층과 연결된 제1 및 제2 저항;을 구비하여, 입력 포트로 입력된 신호를 제1 및 제2 출력 포트로 나누어 분배하거나 제1 및 제2 출력 포트로 입력된 신호를 결합하여 입력 포트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있어서, 출력 포트들로 차이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서 슬롯 라인으로 빠지도록 함으로써 두 출력단 사이의 Isolation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슬롯 라인은 다시 제2 마이크로스트립을 통해 기구 면에 접지되어 있는 저항들로 보내지게 되어 전력을 소모하게 함으로써 저항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Power Divider/Combiner for high power having an improved isolation characteristic }
본 발명은 고출력에서도 성능이 우수한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출력용으로 사용되면서도 두 출력단 사이의 격리 특성이 우수한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RF 및 마이크로웨이브 분야에서 입력 신호를 둘로 나눠서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그 중에서 특히 Wilkinson Power Divider/Combiner는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디바이스이다.
도 1은 종래의 윌킨슨 전력 분배기/결합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Wilkinson Power Divider/Combiner(10)에 있어서, 입력 포트(Port 1;100)에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두 개의 출력 포트(Port 2 및 Port 3; 110 및 120)로는 동일한 출력이 나오는 Power Divider로 사용될 때는 두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격리용 저항(13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한편, 종래의 Wilkinson Power Divider/Combiner(10)에 있어서, 두 개의 출력 포트(110, 120)에 각각 증폭기가 연결되고 증폭기의 출력이 입력으로 인가되어 입력 포트(100)로 출력이 나오는 Power Combiner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 증폭기의 출력을 Even mode와 Odd mode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증폭기의 출력이 100W이고 다른 증폭기의 출력이 120W면, 100W는 110W-10W, 120W는 110W+10W로 포현할 수 있으며, 이 때 110W는 Even, 10W는 Odd mode 출력이 된다. Even mode일 때는 격리용 저항(130)에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Odd mode일 때는 격리용 저항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격리용 저항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격리용 저항의 전력보다 크게 되면 저항은 타게 된다.
즉, 종래의 윌킨슨 전력 분배기/결합기는 사용하는 대역 내에서 두 증폭기의 출력이 완벽하게 동일하지 않는 경우, 두 출력의 차이가 격리용 저항에서 소모가 되는데, 수백 와트(Watt) 이상의 고출력 증폭기의 경우 Wilkinson Power Divider/ Combiner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격리용 저항에 큰 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격리용 저항이 타게 된다.
한편, 두 출력단 사이의 격리용 저항이 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저항을 달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두 출력단 사이의 격리(Isolation) 특성은 2~3 dB 정도로 매우 나쁘게 되어 두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심한 경우는 증폭기의 출력단 라인과 트랜지스터들이 타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Wilkinson Power Divider/Combiner가 제작도 용이하고 두 출력의 위상도 동일하여 많은 증폭기에서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고출력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출력이 큰 마이크로파 전력 증폭기에 적용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고출력에서 사용할 수 있는 Wilkinson Power Divider/Combiner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만약 고출력에서도 사용가능한 윌킨슨 전력 분배기/결합기가 개발되는 경우, 수 백 Watt의 출력을 갖는 전력증폭기에도 사용 가능할 것이며, Ku 밴드나 Ka 밴드 등 높은 주파수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등, 많은 증폭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3409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이용한 전력분배기의 뒷면에 슬롯(Slot) 라인을 배치하고, 상기 슬롯 라인을 다시 별도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결합시킨 후, 상기 별도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소모 전력이 큰 저항과 연결시킴으로써, 격리용 저항이 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두 출력단 사이의 격리(Isolation) 특성이 개선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는, 서로 대향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유전체층;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된 입력 포트;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며 각 출력단은 상기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1 및 제2 출력 포트;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포트의 출력단들을 연결하는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되, 상기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기 유전체층의 제2 면에 형성된 접지층; 슬롯(slot)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뒷면에 형성된 슬롯 라인; 일단은 상기 제2 마이크로스크립 선로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접지층과 연결된 제1 및 제2 저항;을 구비하여, 입력 포트로 입력된 신호를 제1 및 제2 출력 포트로 나누어 분배하거나 제1 및 제2 출력 포트로 입력된 신호를 결합하여 입력 포트로 출력한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있어서, 상기 슬롯 라인은 유전체층 및 접지층을 일정 폭을 갖는 라인(line) 형태로 식각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롯 라인은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들의 뒷면을 모두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롯 라인은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있어서,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과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임피던스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는,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들을 입력용 및 2개의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들로 구성하고,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2개의 출력 포트는 각각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들의 입력 포트들과 연결함으로써, 4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Wilkinson Power Divider/Combiner의 구조를 형성하고 입력 포트와 연결되는 두 출력 포트의 출력단을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연결한다. 또한,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뒷면에 수직으로 슬롯 라인을 배치하여 증폭기들에 각각 연결된 2 개의 출력 포트로 입력된 신호들의 차이 또는 반사되어서 돌아오는 신호들이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서 슬롯 라인으로 빠지도록 하고, 슬롯 라인으로 빠진 신호는 슬롯 라인의 아래쪽 부분에서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과 결합하며,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양단에 접지층과 연결된 큰 저항이 연결되어, 제2 마이크로스크립 라인과 결합된 신호가 저항에서 소모된다. 따라서, 두 증폭기의 차이 나는 전력이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서 슬롯 라인으로 빠지도록 함으로써 두 출력단 사이의 Isolation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 신호는 소모 전력이 큰 저항으로 보내 전력을 소모하게 함으로써 저항이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 두 출력단 사이의 Isolation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Wilkinson Power Divider/Combiner의 2개의 출력단에 고출력 증폭기를 연결하여 출력을 결합하는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내에서 두 증폭기의 출력이 완벽하게 동일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두 출력의 차이가 Isolation용 저항에서 소모가 되면서 저항이 타게 되는 것을 막고, 저항이 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저항을 달지 않고 사용을 하는 경우에는 두 출력단 사이의 Isolation이 2~3dB 정도로 매우 나쁘게 되어 두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이용한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뒷면에 Slot 라인을 두고 이를 다시 별도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결합하고 다시 소모 전력이 큰 저항과 연결함으로써, 저항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두 출력단 사이의 Isolation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있어서, 주파수에 따른 전달 특성 및 격리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 Way Power Divider/Combiner를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사용 주파수대역인 8~11GHz에서 -15~-30dB의 좋은 Isolation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있어서, 주파수에 따른 전달 특성 및 격리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2 Way Power Divider/Combiner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사용 주파수대역인 8~11GHz에서 -7.5dB정도의 좋은 전달 특성과 -20~-30dB 이상의 좋은 Isolation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Power Divider/ Combiner는 입력된 신호를 두 개의 출력 포트들로 나눠서 출력할 수 있으며, 두 출력 포트로 전력이 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입력된 신호를 결합시켜 1개의 입력 포트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Power Divider/ Combiner는 입력된 신호를 두 개의 출력 포트들로 나누어 출력하는 경우나 큰 전력의 신호가 두 출력 포트들로 각각 인가되는 경우 모두 저항을 제거한 통상의 Wilkinson Power Divider/Combiner보다 Isolation 특성을 10dB이상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Power Divider/ Combiner는 2 Way Power Divider/Combiner는 물론 4 Way Power Divider/ Combiner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8 Way Power Divider/Combiner, 16 Way Power Divider/Combiner 등으로 확장하여 다수의 증폭기를 묶어서 고출력을 내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Wilkinson Power Divider/Combiner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 2b,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출력단 사이에 격리용 저항을 달아서 두 입력 사이의 차이나 반사되어서 돌아오는 신호를 소모하여 격리도를 확보하는 종래의 Wilkinson Power Divider/ Combiner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Power Divider/ Combiner는, Power Divider/Combiner의 출력단을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연결하고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뒷면에 수직으로 슬롯 라인을 배치시켜 상기 슬롯 라인을 통해 두 입력 신호들의 차이 또는 반사되어서 돌아오는 신호를 받아들이고,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과 슬롯 라인이 결합되는 지점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저항들과 연결된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배치하고 상기 슬롯 라인이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슬롯 라인으로 빠진 신호들이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통해 접지된 큰 전력을 가진 저항으로 소모되도록 함으로써 큰 출력의 신호에 대해서도 저항이 타는 일 없이 신호를 Combin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2 Way Power Divider/Combiner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2 Way Power Divider/Combiner에 대하여 도시한 전체 구성도, 전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20)는 서로 대향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유전체층(202), 유전체층의 제2면에 형성된 접지층(204), 유전체층의 제1 면에 형성된 입력 포트(200)와 제1 및 제2 출력 포트(210, 220), 유전체층의 제1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포트의 출력단을 연결하는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230), 유전체층의 제1 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240), 상기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저항(250, 260),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뒷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들까지 연장되는 슬롯 라인(270)을 구비한다.
상기 슬롯 라인(270)은 상기 유전체층(202)과 접지층(204)이 식각되어 미세한 라인(line) 형태의 슬롯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뒷면에 상기 선로들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들의 뒷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저항(250, 260)은 사전 설정된 크기의 저항을 가지도록 유전체층의 제1면에 구성되며, 그 일단은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나사를 통해 기구 면과 연결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윌킨슨 전력 분배기/결합기에 있어서, 두 개로 나눠지는 제1 및 제2 출력 포트에 크기가 동일한 신호가 들어오면 두 라인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저항이 필요 없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출력 포트에 동일한 증폭기를 연결하더라도 양 포트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는 완전히 동일할 수가 없고, 두 라인에 인가된 크기가 다른 신호를 크기가 동일한 부분을 Even Mode로, 크기가 차이나는 부분을 Odd Mode로 생각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2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는, 제1 및 제2 출력 포트의 출력단의 두 라인 사이를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연결함으로써, Even Mode일 때는 두 라인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추가된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은 Open상태가 됨으로써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Odd Mode일 때는 추가된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이 Short상태가 되어 신호가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뒷면의 Slot 라인 쪽으로 빠지게 된다. 출력단의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뒷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Slot 라인 쪽으로 빠진 신호는 다시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통해 결합되며,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양단에 연결된 제1 및 제2 저항을 통해 소모가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의 각 일단은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며 타단은 나사를 통해 기구 면과 연결되어 있는 저항들로서, 소모 전력이 수십W에서 수백W가 되는 저항으로서, 발생하는 열이 기구 면으로 빠지게 되어 큰 전력에서도 견딜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롯 라인으로 빠진 신호가 상기 접지된 제1 및 제2 저항들을 통해 소모됨으로써 큰 출력의 신호에 대해서도 저항이 타는 일 없이 신호를 Combine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2 Way Power Divider/ Combiner의 주파수에 대한 전달 특성 및 격리 특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2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는, 사용 주파수대역인 8~11GHz에서 -15~-30dB의 좋은 Isolation 특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 제2 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 Way Power Divider/Combiner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4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2 Way Power Divider/Combiner들을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400) 및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402, 404)로 구성한 것으로서,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400)의 출력 포트들에 각각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402, 404)를 연결하여 4 Way Power Divider/Combiner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는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들의 각 출력 포트들에 각각 증폭기들을 연결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4개의 증폭기를 연결하여 더 큰 전력을 결합할 수 있는 Power Combiner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4 Way Power Divider/Combiner의 주파수에 대한 전달 특성 및 격리 특성을 각각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4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는 사용 주파수대역인 8~11GHz에서 -7.5dB정도의 좋은 전달 특성과 -20~-30dB 이상의 좋은 Isolation 특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2 Way Power Divider/Combiner는 간편한 방법으로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력증폭기에 적용하여 높은 출력을 가진 전력증폭기를 설계/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4 Way, 8 Way, Power Divider/Combiner 등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20 : 2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
40 : 4 Way 전력 분배기/결합기
202 : 유전체층
204 : 접지층
200 : 입력 포트
210 : 제1 출력 포트
220 : 제2 출력 포트
230 :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240 :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250 : 제1 저항
260 : 제2 저항
270 : 슬롯 라인
400 :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402 : 제1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404 :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Claims (8)

  1. 서로 대향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유전체층;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된 입력 포트;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며 각 출력단은 상기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1 및 제2 출력 포트;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포트의 출력단들을 연결하는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되, 상기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기 유전체층의 제2 면에 형성된 접지층;
    슬롯(slot)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뒷면에 형성된 슬롯 라인;
    일단은 상기 제2 마이크로스크립 선로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접지층과 연결된 제1 및 제2 저항;
    을 구비하여, 입력 포트로 입력된 신호를 제1 및 제2 출력 포트로 나누어 분배하거나 제1 및 제2 출력 포트로 입력된 신호를 결합하여 입력 포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라인은 유전체층 및 접지층을 일정 폭을 갖는 라인(line) 형태로 식각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롯 라인은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들의 뒷면을 모두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라인은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과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임피던스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5. 하나의 입력 포트와 두 개의 출력 포트를 갖는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및
    하나의 입력 포트와 두 개의 출력 포트를 갖는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2개의 출력 포트는 각각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포트들과 연결되며,
    상기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및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들의 각각은,
    서로 대향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유전체층;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된 입력 포트;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며 각 출력단은 상기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1 및 제2 출력 포트;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포트의 출력단들을 연결하는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기 유전체층의 제1 면에 구성되되, 상기 제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상기 유전체층의 제2 면에 형성된 접지층;
    슬롯(slot)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뒷면에 형성된 슬롯 라인;
    일단은 상기 제2 마이크로스크립 선로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접지층과 연결된 제1 및 제2 저항;
    을 구비하여,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포트로 입력된 신호를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출력 포트들로 나누어 분배하거나,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출력 포트들로 입력된 신호를 결합하여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포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및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각 슬롯 라인들은 유전체층 및 접지층을 일정 폭을 갖는 라인(line) 형태로 식각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롯 라인은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들의 뒷면을 모두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및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각 슬롯 라인들은 제1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및 제1 및 제2 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의 제1 마이크로스트립 라인들의 임피던스는 대응되는 제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들의 임피던스들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KR1020160009891A 2016-01-27 2016-01-27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KR101631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91A KR101631690B1 (ko) 2016-01-27 2016-01-27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91A KR101631690B1 (ko) 2016-01-27 2016-01-27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690B1 true KR101631690B1 (ko) 2016-06-20

Family

ID=5635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891A KR101631690B1 (ko) 2016-01-27 2016-01-27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6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3197A (zh) * 2017-12-18 2018-06-05 刘伟 一种渐变线功分器
CN108649308A (zh) * 2018-05-15 2018-10-12 电子科技大学 一种改进型太赫兹分支波导耦合器
CN109149040A (zh) * 2018-08-30 2019-01-04 成都邑电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w波段宽带有耗三端口功分器
EP3474443A1 (en) * 2017-10-18 2019-04-24 NXP USA, Inc. Amplifier power combiner with slotline impedance transformer
KR102229888B1 (ko) * 2020-04-23 2021-03-22 (주)이랑텍 5g용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우수한 결함 접지 구조 방식의 전력 분배 장치 및 방법
KR20210081557A (ko) * 2019-12-24 2021-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230026230A (ko) * 2021-08-17 2023-02-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추가적인 접지된 저항을 갖는 감쇄된 모드 전력 분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4302A (en) * 1985-02-01 1987-02-17 Ferranti, Plc Microwave power divider
KR20070034903A (ko) * 2005-09-26 2007-03-2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시분할 전송 시스템의 송수신 전환 스위치 장치
KR100863409B1 (ko) 2007-04-17 2008-10-1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비대칭 전력분배기 및 브랜치 하이브리드 커플러
CN101777687A (zh) * 2010-03-23 2010-07-14 南通大学 一种具有任意功率分配比的反相微波功分器
CN101938029A (zh) * 2009-06-30 2011-01-05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具高隔离度的功率分配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4302A (en) * 1985-02-01 1987-02-17 Ferranti, Plc Microwave power divider
KR20070034903A (ko) * 2005-09-26 2007-03-2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시분할 전송 시스템의 송수신 전환 스위치 장치
KR100863409B1 (ko) 2007-04-17 2008-10-1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비대칭 전력분배기 및 브랜치 하이브리드 커플러
CN101938029A (zh) * 2009-06-30 2011-01-05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具高隔离度的功率分配器
CN101777687A (zh) * 2010-03-23 2010-07-14 南通大学 一种具有任意功率分配比的反相微波功分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4443A1 (en) * 2017-10-18 2019-04-24 NXP USA, Inc. Amplifier power combiner with slotline impedance transformer
US10826437B2 (en) 2017-10-18 2020-11-03 Nxp Usa, Inc. Amplifier power combiner with slotline impedance transformer
CN108123197A (zh) * 2017-12-18 2018-06-05 刘伟 一种渐变线功分器
CN108649308A (zh) * 2018-05-15 2018-10-12 电子科技大学 一种改进型太赫兹分支波导耦合器
CN108649308B (zh) * 2018-05-15 2020-09-25 电子科技大学 一种改进型太赫兹分支波导耦合器
CN109149040A (zh) * 2018-08-30 2019-01-04 成都邑电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w波段宽带有耗三端口功分器
KR20210081557A (ko) * 2019-12-24 2021-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522107B1 (ko) 2019-12-24 2023-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t자형 접합부 및 이의 제작 방법
US11742560B2 (en) 2019-12-24 2023-08-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junction with high isol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229888B1 (ko) * 2020-04-23 2021-03-22 (주)이랑텍 5g용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우수한 결함 접지 구조 방식의 전력 분배 장치 및 방법
KR20230026230A (ko) * 2021-08-17 2023-02-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추가적인 접지된 저항을 갖는 감쇄된 모드 전력 분배기
KR102570677B1 (ko) 2021-08-17 2023-08-2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추가적인 접지된 저항을 갖는 감쇄된 모드 전력 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690B1 (ko) 격리 특성이 우수한 고출력용 전력 분배기/결합기
US7663449B2 (en) Divider/combiner with coupled section
US6483397B2 (en) Tandem six port 3:1 divider combiner
US4305043A (en) Coupler having arbitrary impedance transformation ratio and arbitrary coubling ratio
US8723618B2 (en) Power combiner/distributor and transmitter using the power combiner/distributor
US6472950B1 (en) Broadband coupled-line power combiner/divider
US6246299B1 (en) High power broadband combiner having ferrite cores
US6078227A (en) Dual quadrature branchline in-phase power combiner and power splitter
US9413054B2 (en) Miniature wideband quadrature hybrid
CN104966881A (zh) 一种双频带平衡式功分器
CN110190372A (zh) 宽频带一分六等功率分配器
US10079420B2 (en) Broadband high power microwave combiner/divider
US9178263B1 (en) Divider/combiner with bridging coupled section
KR101967426B1 (ko) 대전력용 Gysel 전력 결합기
KR101002624B1 (ko) 고주파 전력 분배기
US6320478B1 (en) Power divider for harmonically rich waveforms
US6121853A (en) Broadband coupled-line power combiner/divider
Grebennikov Power combiners, impedance transformers and directional couplers: Part II
US5796317A (en) Variable impedance transmission line and high-power broadband reduced-size power divider/combiner employing same
US5789997A (en) Bypassable wilkinson divider
KR100362877B1 (ko) 3단 체비셰프 매칭변환기를 이용한 전력분배기/합성기
US6486749B1 (en) Four-way power combiner/splitter
Li et al. A low-loss, impedance matched λ/4 compact T-junction power combiner
US4577167A (en) Microstrip line branching coupler having coaxial coupled remote termination
JP4774949B2 (ja) 分配器及び合成器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電力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