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037B1 - 다용도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037B1
KR102522037B1 KR1020220074672A KR20220074672A KR102522037B1 KR 102522037 B1 KR102522037 B1 KR 102522037B1 KR 1020220074672 A KR1020220074672 A KR 1020220074672A KR 20220074672 A KR20220074672 A KR 20220074672A KR 102522037 B1 KR102522037 B1 KR 10252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ressing
binding
insertion pi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김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현 filed Critical 김지현
Priority to KR102022007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8Quilting; El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5/00Auxiliary devices and tools specially for uphols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말, 장갑, 토시 등의 한 벌 형태의 착용물이나 이불커버와 이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이불 등을 포함하는 결속대상물에 대한 결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결속된 상태의 결속대상물에 대한 사용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용도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결속장치{MULTIPURPOS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용도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말, 장갑, 토시 등의 한 벌 형태의 착용물이나 이불커버와 이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이불 등을 포함하는 결속대상물에 대한 결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결속된 상태의 결속대상물에 대한 사용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용도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은 넓게 지은 침구의 하나로, 취침 시 몸을 덮어 체온을 따뜻하게 하면서 편안한 수면을 취하는데 사용되며,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일체형 이불은 통상 듀벳(duvet)으로 불리는 것으로, 차렵이불(comforter)과 같이 속과 커버의 분리가 방지된 형태를 이룬다.
분리형 이불은 이불속을 이불커버 속에 넣고 뺄 수 있게 마련된 형태를 이룬다.
분리형 이불은 이불속은 그대로 두고 이불커버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체형과 비교하여 세탁이나 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불커버는 이불속이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출입하도록 출입구를 구비하고, 출입구는 지퍼나 단추 등을 통해 개폐된다.
한편, 분리형 이불은 이불속이 접히거나 한 쪽으로 쏠리는 등 이불커버 내부에서 바르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불속은 이불커버 내부에 바르게 펴진 상태로 수용되면서 고정수단을 통해 이불커버에 일체감 있게 고정된다.
고정수단은 이불속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끈과, 이에 대응하여 이불커버의 내측 둘레에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끈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불속을 이불커버로부터 분리하거나, 이불속을 이불커버에 넣어 고정시킬 때는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업과, 다수의 고정끈들 사이를 묶거나 푸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불커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끈은 시각적으로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고정끈 사이를 풀거나 묶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형체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하는 이불의 특성상 이불커버의 내부에 삽입된 이불속이 바르게 펴지도록 하는 작업 역시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5593호(2011.06.08.)에는 '솜이불 고정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솜이불 고정기구는 고정막대와 고정캡을 나사결합시켜 솜과 천을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솜이불 사용시, 외력 등에 의해 고정캡이 풀림되면서 고정막대의 뾰족한 선단부가 신체부위를 찌르면서 부상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5593호(2011.06.08.) '솜이불 고정기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말, 장갑, 토시 등의 한 벌 형태의 착용물이나 이불커버와 이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이불 등을 포함하는 결속대상물에 대한 결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결속된 상태의 결속대상물에 대한 사용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용도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세로바(11)와 가로바(12)가 일체로 연결된 결속심(10)을 사용하여 결속대상물을 결속하기 위한 다용도 결속장치(100)로서, 내측으로 빈공간(110a)이 형성되는 몸체(110);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빈공간(110a)과 연통되도록 몸체(110)의 하부에 고정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121)이 형성되는 삽입핀(120); 하부가 삽입핀(120)의 내부를 상하 이동하는 가압바(130); 및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따라 가압바(130)가 하강되도록 하는 한편, 가압해제에 따라 가압바(13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가압수단(140)을 포함하며, 결속심(10)은 가로바(12)가 가이드홈(121)을 통과하도록 한 쌍의 세로바(11) 중 제1세로바(11a)가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삽입핀(120)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삽입핀(120)은 가이드홈(121)을 이루는 하부에 제1세로바(11)가 인입,인출되는 유출입구(122)가 형성되고, 가압바(130)는 결속심(10)이 결합된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통과하면, 가압수단(140)의 가압에 의해 제1세로바(11a)를 가압하여 제1세로바(11a)가 결속대상물을 통과하도록 하는 한편, 삽입핀(12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결속대상물은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한 쌍의 세로바(11)가 양측에 배치되면서 결속심(10)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140)은 빈공간(110a)에 배치되면서 가압바(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가압판(141); 빈공간(110a)의 바닥면으로부터 가압판(141)을 지지하는 스프링(142); 하부가 가압판(141)에 고정되고 상부가 몸체(110)의 상부를 통과하는 조절바(143); 및 조절바(143)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름손잡이(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150)을 더 포함하며, 몸체(110)는 하부 양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이동홀(112)이 형성되고, 탄성조절수단(150)은 스프링(14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가압바(130)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에 하부이동홀(112)을 통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돌기(151a)가 형성되는 지지판(151); 및 몸체(110)의 하부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하부돌기(151a)가 인입되는 하부조절부재(152)를 포함하며, 하부조절부재(152)는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하부돌기(151a)와 함께 지지판(151)이 승,하강되도록 하여 스프링(142)이 수축,이완되면서 탄성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110)로부터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바(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160)을 더 포함하며, 몸체(110)는 상부 양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부이동홀(114)이 형성되고, 길이조절수단(160)은 가압판(141)의 양측으로 배치되면서 상부이동홀(114)을 통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돌기(161); 및 몸체(110)의 상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부돌기(161)가 인입되는 상부조절부재(162)를 포함하고, 상부조절부재(162)는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부돌기(161)와 함께 가압판(141)이 승,하강되도록 하여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바(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누름손잡이(144)로의 가압에 따라 가압바(130)가 하강된 상태에서 누름손잡이(144)로의 가압해제시, 가압바(130)가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도록 잠금하는 잠금수단(170)을 더 포함하며, 몸체(110)는 하부에 하부조절부재(152)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턱(113)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조절부재(162)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턱(115)이 형성되며, 하부돌기(151a)는 롤러로 이루어져 지지판(1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하부조절부재(15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고, 상부돌기(161)는 롤러로 이루어져 가압판(14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부조절부재(16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잠금수단(170)은 상부이동홀(11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몸체(1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부돌기(161)가 인입되는 절개선(172)이 형성되는 밀착부재(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말, 장갑, 토시 등의 한 벌 형태의 착용물이나 이불커버와 이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이불 등을 포함하는 결속대상물에 대한 결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속된 상태의 결속대상물에 대한 사용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결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용도 결속장치로 결속심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결속장치를 사용하여 결속대상물을 결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결속장치에 의해 결속대상물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결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한 쌍의 세로바(11)와 가로바(12)가 일체로 연결된 결속심(10)을 사용하여 결속대상물을 결속하기 위한 다용도 결속장치(이하 "결속장치"라 한다)(100)로서, 내측으로 빈공간(110a)이 형성되는 몸체(110),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빈공간(110a)과 연통되도록 몸체(110)의 하부에 고정되며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홈(121)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핀(120), 삽입핀(120)의 내부를 상하 이동하는 가압바(130) 및 외부로부터 가압에 따라 가압바(130)가 하강되도록 하는 한편, 가압해제에 따라 가압바(13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가압수단(140)을 포함한다.
결속대상물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불커버와 이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이불 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100)는 결속심(10)을 사용하여 결속대상물을 결속함으로써 결속대상물을 이루는 이불커버와 이불속 등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결속대상물을 분리형 이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말, 장갑, 토시 등의 한 벌 형태의 착용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100)는 결속심(10)을 사용하여 결속대상물을 이루는 일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거나 복수개의 결속대상물이 중첩된 상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속심(10)은 한 쌍의 세로바(11)와 가로바(12)가 일체로 연결되면서 'H'자 형태를 이룬다.
세로바(11) 및 가로바(12)는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원형봉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우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결속장치(100)를 이용한 결속대상물의 결속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후술되는 결속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속장치(100)를 이용한 결속대상물의 결속시, 먼저, 결속심(10)을 삽입핀(120)으로 결합시킨다. 삽입핀(120)으로의 결속심(10)의 결합은 한 쌍의 세로바(11) 중 어느 하나의 세로바가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인입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세로바(11) 중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어느 하나의 세로바는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제1세로바(11a)로, 삽입핀으로 인입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세로바는 제2세로바(11b)로 지칭하기로 한다.
결속심(10)이 삽입핀(120)으로 결합되면, 몸체(110)를 가압하여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통과되도록 한다.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의 타측을 통과하여 돌출되면, 가압수단(140)을 가압하여 제1세로바(11a)가 삽입핀(120)의 내측을 이동하며 결속대상물을 통과하도록 하는 한편, 삽입핀(12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이는,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을 통과할 때, 결속심(10)이 함께 통과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압바(130)는 가압수단(140)의 가압에 의해 제1세로바(11a)를 가압함으로써 제1세로바(11a)가 삽입핀(120)의 내측을 따라 이동되며 결속대상물을 통과하는 동시에 삽입핀(12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제1세로바(11a)가 삽입핀(120)으로부터 인출되어 결속대상물의 타측에 위치되면, 몸체(110)를 결속대상물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겨 결속대상물로부터 삽입핀(120)을 분리한다.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로부터 분리되면, 결속심(10)은 제1세로바(11a)가 결속대상물의 타측에 걸림되고 제2세로바(11b)가 결속대상물의 일측에 걸림되면서 결속대상물을 결속할 수 있다.
즉, 결속심(10)은 한 쌍의 세로바(11)가 결속물대상물의 양측에 걸림되며 가로바(12)가 결속대상물로부터 인출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결속대상물을 결속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바(11)와 결속대상물 간에는 가로바(12)로 결합되는 별도의 지지부재(13)가 이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13)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속대상물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결속심(10)이 결합된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과 함께 지지부재(13)를 통과 및 통과한 상태로부터 인출됨으로써 결속심(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결속심(1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하다.
이에 따라, 결속심(10)은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을 통과한 상태에서 가압바(130)에 의한 가압이 이뤄질 때, 제1세로바(11a)와 가로바(12) 사이가 접히면서 결속대상물을 쉽게 통과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통과 후에는 제1세로바(11a)가 삽입핀(120)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다.
또한, 결속심(10)은 결속대상물을 결속한 상태에서 외력 등에 의해 쉽게 절단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절단되더라도 신체부위와의 접촉 등에 따라 일정부분 휘거나 날카롭지 않으면서 안전성을 가질 수 있다.
세로바(11)는 결속대상물의 개수나 두께 등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개수는 결속대상물을 적층하여 하나로 결속하기 위한 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세로바(11)는 가로바(12)보다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지면서 일정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10)는 결속장치(100)에 대한 사용시, 손 등으로의 파지가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빈공간(110a)이 형성된다.
몸체(11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기둥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결속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삽입핀(120)을 보호하는 보호캡(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캡(111)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몸체(110)의 하부로 결합될 수 있다.
삽입핀(120)은 상부가 빈공간(110a)과 연통되도록 몸체(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뽀족한 형태를 이루면서 상,하부가 개방되는 송곳 형태를 이루며, 일측에 가이드홈(121)이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삽입핀(120)은 몸체(110)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분리,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닥면에 삽입핀(120)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삽입핀(120)은 상부가 결합홈으로 끼움 결합된다.
몸체(110)는 결합홈을 이루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삽입핀(120)은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결합홈으로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삽입핀(120)은 하부가 뾰족한 송곳 형태를 이루면서 결속대상물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의 통과가 가능하다.
가이드홈(121)은 삽입핀(120)의 전면부에 형성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을 통과할 때, 상방향을 향한다.
삽입핀(120)은 내측 둘레가 세로바(11)의 둘레보다 크게 이루어지면서 삽입핀(120)으로의 결속심(10) 결합시, 제1세로바(11a)가 인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홈(121)은 제1세로바(11a)가 삽입핀(120)의 내부로 인입됨과 함께 가로바(12)가 통과되면서 삽입핀(1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홈(121)은 결속심(10)이 결합된 상태의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을 통과할 때, 결속심(10)이 결속대상물과 접하며 진행이 차단되는 상태에서 몸체(110) 방향으로의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삽입핀(120)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가이드홈(121)은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을 통과할 때, 결속심(10)이 결속대상물과 접하며 삽입핀(120)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핀(120)은 가이드홈(121)을 이루는 폭이 세로바(1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인입된 제1세로바(11a)가 가이드홈(121)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삽입핀(120)은 가이드홈(121)을 이루는 하부에 제1세로바(11a)가 인입,인출되는 유출입구(122)가 형성된다.
유출입구(122)는 가이드홈(121)의 폭보다 넓게 이루어지면서 삽입핀(120)으로의 결속심(10) 결합시, 삽입핀(120)의 내부로 제1세로바(11a)에 대한 인입이나 삽입핀(120)으로부터 제1세로바(11a)에 대한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가압바(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삽입핀(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빈공간(110a)에 배치되면서 가압수단(140)에 의해 몸체(110) 내부에 지지된다.
가압수단(140)은 빈공간(110a)에 배치되면서 가압바(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가압판(141), 빈공간(110a)의 바닥면으로부터 가압판(141)을 지지하는 스프링(142) 및 하부가 가압판(141)에 고정되고 상부가 몸체(110)의 상부를 통과하는 조절바(143)를 포함한다.
가압판(141)은 조절바(143)의 하부에 고정되면서 조절바(143)로의 인위적인 가압이나 가압해제에 따라 승,하강되며 스프링(142)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한다.
스프링(142)은 가압판(14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가압바(130)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빈공간(110a)의 바닥면으로부터 가압판(141)을 지지한다.
스프링(142)은 조절바(143)로의 가압에 따라 수축되며 가압바(130)가 하강되도록 하고, 조절바(143)로의 가압해제에 따라 이완되며 가압바(130)가 승강되며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가압바(130)는 상부가 가압판(141)의 하부에 고정되면서 조절바(143)로의 가압이나 가압해제에 따라 조절바(143)와 함께 승,하강된다.
가압바(130)는 하강에 따라 삽입핀(120)의 내부로 인입된 세로바(11)를 가압하여 결속심(10)이 삽입핀(1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승강에 따라 세로바(11)가 삽입핀(120)의 내부로 인입 가능하도록 한다.
가압수단(140)은 조절바(143)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름손잡이(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손잡이(144)는 몸체(110)를 손 등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 등으로의 누름 즉, 가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결속장치(100)는 동,식물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110)는 동물의 몸통을 이루고 누름손잡이(144)는 동물의 머리를 이루면서 결속장치(100)에 대한 독창적인 이미지를 부각할 수 있다.
결속장치(1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하부 양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이동홀(112)이 형성된다.
탄성조절수단(150)은 스프링(14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가압바(130)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에 하부이동홀(112)을 통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돌기(151a)가 형성되는 지지판(151), 몸체(110)의 하부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하부돌기(151a)가 인입되는 하부조절부재(152)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조절부재(152)는 하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몸체(110)의 하부로 나사결합된다.
하부조절부재(152)는 조임 회전에 따라 승강되면서 하부돌기(151a)와 함께 지지판(151)을 밀어올려 스프링이(142)이 수축되도록 하고, 풀림 회전에 따라 하강되면서 하부돌기(151a)와 함께 지지판(151)이 하강되며 스프링(142)이 이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하부조절부재(152)는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하부조절부재(152)는 상방향으로의 이동시, 하부돌기(151a)가 하부이동홀(112)을 이루는 상면에 접할 때까지 최대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하부돌기(151a)가 하부이동홀(112)을 이루는 상면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몸체(110)는 하부에 하부조절부재(152)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턱(113)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턱(113)은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링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110)의 하부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는 하부 외주면에 하부턱(113)이 결합되는 환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돌기(151a)는 하부조절부재(152)의 회전시, 하부조절부재(152)의 내측 바닥면과의 접촉이 최소가 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부돌기(151a)는 롤러로 이루어지면서 일단부가 지지판(151)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하부이동홀(112)을 통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부조절부재(152)의 내측 하면에 접할 수 있다.
하부돌기(151a)는 하부조절부재(15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마찰이 최소가 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부조절부재(152)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결속장치(100)는 몸체(110)로부터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바(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수단(160)은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바(1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삽입핀(120)으로 결속심(10)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결속대상물 통과시. 제1세로바(11a)의 이동거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결속대상물의 양이나 두께 등에 따라 삽입핀(120)이 결속대상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인입된 제1세로바(11a)의 이동거리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세로바(11a)는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바(13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진행되는 이동거리가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세로바(11a)는 결속심(10)이 삽입핀(12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유출입구(122)로부터 가압바(130)의 하부에 이르는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데,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바(13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이동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제1세로바(11a)의 이동거리가 짧아지는 경우, 누름손잡이(144)로의 인위적인 가압이 짧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가압수단(140)에 의한 삽입핀(120)으로부터의 제1세로바(11a)의 인출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결속대상물을 반복 결속하는 경우, 결속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결속대상물의 특성에 맞게 삽입핀(120)으로 돌출되는 가압바(13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결속작업이 보다 빠르고 능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110)는 상부 양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부이동홀(114)이 형성된다.
길이조절수단(160)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141)의 양측으로 배치되면서 상부이동홀(114)을 통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돌기(161), 몸체(110)의 상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부돌기(161)가 인입되는 상부조절부재(162)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조절부재(162)는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몸체(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된다.
상부조절부재(162)는 조임 회전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부돌기(161)와 함께 가압판(141)을 가압하여 가압바(130)가 하강되도록 하고, 풀림 회전에 따라 승강되면서 상부돌기(161)와 함께 가압판(141)을 가압해제하여 가압바(130)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부조절부재(162)는 회전을 통해 승,하강되면서 몸체(110)로부터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바(13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부조절부재(152)는 하방향으로의 이동시, 상부돌기(161)가 상부이동홀(114)을 이루는 하면에 접할 때까지 최대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부돌기(161)가 상부이동홀(114)을 이루는 하면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몸체(110)는 상부에 상부조절부재(162)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턱(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턱(115)은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링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110)의 상부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는 상부 외주면에 상부턱(115)이 결합되는 환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돌기(161)는 상부조절부재(162)의 회전시, 상부조절부재(162)의 내측 상부면과의 접촉이 최소가 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부돌기(161)는 롤러로 이루어지면서 일단부가 가압판(141)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부이동홀(114)을 통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조절부재(162)의 내측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상부돌기(161)는 상부조절부재(16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마찰이 최소가 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부조절부재(162)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결속장치(1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손잡이(144)로의 가압에 따라 가압바(130)가 하강된 상태에서 누름손잡이(144)로의 가압해제시, 가압바(130)가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도록 잠금하는 잠금수단(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수단(170)은 상부이동홀(11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몸체(1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부돌기(161)가 인입되는 절개선(172)이 형성되는 밀착부재(171)를 포함한다.
밀착부재(171)는 고무재질이나 발포폼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개선(172)이 형성된다.
밀착부재(171)는 누름손잡이(144)를 가압함에 따라 가압판(141)과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부돌기(161)가 절개선(172)을 벌리며 인입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누름손잡이(144)로의 가압해제에 따라 상부돌기(161)를 감싸면서 원상태로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밀착부재(171)는 스프링(142)보다 강한 밀착력으로 상부돌기(161)를 감싸면서 누름손잡이(144)로의 가압해제에 따른 스프링(142)의 탄발력에도 가압판(141)이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도록 잠금할 수 있다.
가압바(130)는 누름손잡이(144)로의 가압해제시에도 원상태로 복귀됨이 없이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결속장치(100)를 기울이거나 외력 등에 의해 세로바(11)가 다시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속장치(100)는 누름손잡이(144)로의 가압해제시에도 가압바(130)가 원상태로 복귀됨이 없이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삽입핀(120)으로부터 세로바(11)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결속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결속심 11 : 세로바
12 : 가로바 100 : 결속장치
110 : 몸체 120 : 삽입핀
130 : 가압바 140 : 가압수단
141 : 가압판 142 : 스프링
143 : 조절바 150 : 탄성조절수단
151 : 지지판 151a : 하부돌기
152 : 하부조절부재 160 : 길이조절수단
161 : 상부돌기 162 : 상부조절부재
170 : 잠금수단 171 : 밀착부재

Claims (5)

  1. 한 쌍의 세로바(11)와 가로바(12)가 일체로 연결된 결속심(10)을 사용하여 결속대상물을 결속하기 위한 다용도 결속장치(100)로서,
    내측으로 빈공간(110a)이 형성되고 상,하부 양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하부이동홀(114,112)이 형성되는 몸체(110);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빈공간(110a)과 연통되도록 몸체(110)의 하부에 고정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121)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21)을 이루는 하부에 제1세로바(11)가 인입,인출되는 유출입구(122)가 형성되는 삽입핀(120); 하부가 삽입핀(120)의 내부를 상하 이동하는 가압바(130); 빈공간(110a)에 배치되면서 가압바(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가압판(141)과, 빈공간(110a)의 바닥면으로부터 가압판(141)을 지지하는 스프링(142)과, 하부가 가압판(141)에 고정되고 상부가 몸체(110)의 상부를 통과하는 조절바(143) 및 조절바(143)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름손잡이(144)를 포함하면서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따라 가압바(130)가 하강되도록 하는 한편, 가압해제에 따라 가압바(13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가압수단(140); 스프링(14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가압바(130)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에 하부이동홀(112)을 통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돌기(151a)가 형성되는 지지판(151)과, 몸체(110)의 하부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하부돌기(151a)가 인입되는 하부조절부재(152)를 포함하면서 하부조절부재(152)의 승,하강에 따라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150); 가압판(141)의 양측으로 배치되면서 상부이동홀(114)을 통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돌기(161)와, 몸체(110)의 상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부돌기(161)가 인입되는 상부조절부재(162)를 포함하면서 상부조절부재(162)의 승,하강에 따라 몸체(110)로부터 삽입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바(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160); 및 누름손잡이(144)로의 가압에 따라 가압바(130)가 하강된 상태에서 누름손잡이(144)로의 가압해제시, 가압바(130)가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도록 잠금하는 잠금수단(170)을 포함하며,
    몸체(110)는 하부에 하부조절부재(152)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턱(113)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조절부재(162)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턱(115)이 형성되며,
    하부돌기(151a)는 롤러로 이루어져 지지판(1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하부조절부재(15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고,
    잠금수단(170)은 상부이동홀(11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몸체(1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부돌기(161)가 인입되는 절개선(172)이 형성되는 밀착부재(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결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4672A 2022-06-20 2022-06-20 다용도 결속장치 KR10252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72A KR102522037B1 (ko) 2022-06-20 2022-06-20 다용도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72A KR102522037B1 (ko) 2022-06-20 2022-06-20 다용도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037B1 true KR102522037B1 (ko) 2023-04-14

Family

ID=8594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672A KR102522037B1 (ko) 2022-06-20 2022-06-20 다용도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0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3088A (ja) * 1999-02-12 2000-08-29 Kh:Kk ミシンの布押さえ押圧力調整機構、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布押さえ調整ネジ装置
KR20110005593U (ko) 2009-11-30 2011-06-08 이주호 솜이불 고정기구
CN216074246U (zh) * 2021-10-15 2022-03-18 王心芳 一种推胶针固定器
CN216166682U (zh) * 2021-09-25 2022-04-05 郑令锋 一种被子固定器
CN216364586U (zh) * 2021-11-22 2022-04-26 胡昌蓉 一种手拨式被子固定器
CN216454419U (zh) * 2021-10-25 2022-05-10 胡昌蓉 一种新型被子固定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3088A (ja) * 1999-02-12 2000-08-29 Kh:Kk ミシンの布押さえ押圧力調整機構、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布押さえ調整ネジ装置
KR20110005593U (ko) 2009-11-30 2011-06-08 이주호 솜이불 고정기구
CN216166682U (zh) * 2021-09-25 2022-04-05 郑令锋 一种被子固定器
CN216074246U (zh) * 2021-10-15 2022-03-18 王心芳 一种推胶针固定器
CN216454419U (zh) * 2021-10-25 2022-05-10 胡昌蓉 一种新型被子固定器
CN216364586U (zh) * 2021-11-22 2022-04-26 胡昌蓉 一种手拨式被子固定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3879A1 (en) Strap-Based Exercise System
KR101340560B1 (ko) 키 성장 촉진기구
KR101201734B1 (ko) 립스틱 용기
US2679842A (en) Restraining device
US201802558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ide-loading strap buckle
US9757304B2 (en) Safety walker
KR102522037B1 (ko) 다용도 결속장치
KR20210089692A (ko)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
US10039351B2 (en) Breakaway clasp
EP3167711B1 (en) A handgrip for a leash
JPS6187552A (ja) 患者引上げ用掛け帯
JP2013085949A (ja)
US5975386A (en) Tool for pulling zippers located on the back of garments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JP6999792B2 (ja) ショルダーバッグの肩ベルトずり落ち防止方法及びショルダーバッグの肩ベルトずり落ち防止具並びにショルダーバッグ
KR101535672B1 (ko) 발판을 구비한 클램핑 장치
DE4102498C2 (ko)
CN205866237U (zh) 一种自动折伞的开合控制装置
US4014570A (en) Knot tying assistance contrivance
US4064610A (en) Method of and means for forming floral puffs
JP3235603U (ja) アイラッシュカーラーの固定具及びこれを備えたアイラッシュカーラー
JP2010012211A (ja) 取り付けコード付勢巻取り装置
CN215836522U (zh) 一种宠物用牵引装置
KR101598387B1 (ko) 호송용 벨트 수갑
CN215503654U (zh) 一种便于束缚躁动患者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